맨위로가기

뇽테우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뇽테우푸는 두부에 고기, 어묵, 채소 등을 채워 넣어 조리한 음식으로, 하카어로는 뇽테우푸, 민난어로는 능따우후, 표준 중국어로는 냥더우푸라고 불린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용타우푸, 태국에서는 옌따포로 알려져 있다. 객가인들이 중국 남부에 정착하면서 만두피 대신 두부를 활용하여 유래되었으며, 튀김, 국/수프 형태로 다양하게 즐겨 먹는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말레이시아 암팡, 사바 타와우, 태국의 옌따포, 베트남의 코 쿠아 카 옷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부 요리 - 순두부찌개
    순두부찌개는 부드러운 순두부를 주재료로 하여 고추장과 참기름 양념으로 간을 맞추고 날달걀을 넣어 먹는 한국의 대표적인 찌개 요리이며, 전라북도 완주군과 경상남도 함양군의 향토 음식으로, 해외에서도 인기가 많고 조선시대 기록에도 등장하는 오랜 역사를 지닌 음식이다.
  • 두부 요리 - 유도후
    유도후는 간장 등으로 간을 한 국물에 데운 두부를 약재와 함께 먹는 일본 요리이며, 가정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넣어 끓이거나 스모(相撲)部屋에서는 전골 형태로 먹기도 한다.
  • 인도네시아 요리 - 엠파나다
    엠파나다는 "빵을 입히다"라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구운 또는 튀긴 패스트리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와 맛으로 발전하여 지역 고유의 재료와 조리법을 반영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요리 - 발리 요리
    발리 요리는 밥을 주식으로 다양한 재료와 풍부한 향신료를 사용하여 다채로운 풍미를 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독특한 요리 문화이며, 힌두교 전통에 따라 종교 의식에 사용되는 음식이 있고 바비 굴링, 베투투와 같은 특색 있는 요리가 발달했다.
뇽테우푸 - [음식]에 관한 문서
요리 정보
이름용 타우 푸
원어 이름 (중국어)釀豆腐 (niàngdòufu)
원어 이름 (광둥어)釀豆腐 (joeng6 dau6 fu6)
원어 이름 (하카어)Ngiong Tew Foo (Ngiòng-theu-fú)
원어 이름 (민난어)jiōng-tāu-hū / liōng-tāu-hū
원어 이름 (태국어)ก๋วยเตี๋ยวแคะ (k̄wyteī๋ยวkhæa)
원어 이름 (크메르어)យ៉ុងតៅហ្វូ (yong tau hfu)
원어 이름 (라오어)ຢອງຕັ໋ງຟູ (yong tăng fu)
원어 이름 (베트남어)khổ qua cà ớt
종류주요리
주재료두부
고기 페이스트 (생선 및 간 고기)
국가중국
관련 국가말레이시아 요리
싱가포르 요리
인도네시아 요리
중국 요리
태국 요리
하카 요리

2. 이름

하카어 발음은 '''뇽테우푸'''(ngiòng-theu-fúhak), 민난어 발음은 '''능따우후'''(nn̂g-tāu-hūnan)이며, 표준 중국어로는 '''냥더우푸'''(酿豆腐|niàng dòufu중국어)이다.

말레이시아싱가포르에서는 '''용타우푸'''(yong tau fums)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광둥어 발음인 "영다우푸(釀豆腐|joeng6 dau6 fu6yue)"에서 유래했다.

태국에서는 '''옌따포'''(เย็นตาโฟth)라 불린다.

3. 역사

객가인들은 중국 북부의 분쟁을 피해 남쪽으로 이주를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이주 끝에 중국 남부에 정착했다. 축제 기간 동안 만두 피를 만드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밀가루를 구할 수 없게 되자, 그들은 두부를 대체재로 사용했다. "채워넣는 행위"를 의미하는 객가어 Nyong|뇽hak에서 유래된 Yong Tau Foo|용토우푸hak라는 요리가 탄생했으며, 이는 두부에 다양한 재료를 채워 넣는 음식이다.

4. 종류

뇽테우푸는 만드는 방식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튀김 방식과 국 또는 수프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튀김 방식은 전통적인 하카 요리법에 가까우며, 다진 고기로 속을 채운 두부나 채소를 기름에 튀겨 만든다.[3] 반면 국 또는 수프 형태는 동남아시아의 객가인 공동체에서 주로 발전한 방식으로, 어묵으로 속을 채운 재료들을 끓는 육수에 익혀 국물과 함께 먹거나 락사, 카레 소스 등과 곁들여 먹는다.[2]

4. 1. 튀김 (Fried)

전통적인 하카 버전의 뇽테우푸는 다진 고기(보통 양고기 또는 돼지고기)와 허브로 속을 채운 두부 조각으로 구성된다. 이것을 금빛 갈색이 될 때까지 튀기거나 때로는 조림하기도 한다. 변형된 형태로는 동일한 고기 페이스트로 속을 채운 가지, 표고버섯, 여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뇽테우푸는 여주와 표고버섯 변형과 함께 맑은 노란색 콩 스튜에 담겨 제공된다.[3]

4. 2. 국/수프 (Soup)

특히 동남아시아 객가인 디아스포라에서 "용토우푸"라는 용어는 다진 고기 대신 어묵을 넣은 수프 요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요리의 기본은 어묵으로 속을 채운 다양한 형태의 두부이지만, 현재는 여주, 오크라, 고추와 같은 채소에도 어묵을 채워 넣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프에는 어묵, 맛살, 오징어, 소시지 등 다른 재료도 들어갈 수 있다. 그런 다음 음식들은 한 입 크기로 썰어 끓는 육수에 살짝 익혀 수프처럼 육수와 함께 제공되거나 별도의 그릇에 육수를 담아 "드라이"로 제공된다. 이 요리는 젓가락국자로 먹으며, 단독으로 먹거나 흰밥, 국수 또는 쌀국수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 요리의 또 다른 변형은 ''락사'' 그레이비 또는 카레 소스와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필수적인 부속물로는 매콤하고 시큼한 칠리 소스가 있는데, 원래 붉은 발효된 두부로 만들어졌으며 맛이 스리라차 소스와 비슷하고, 찍어 먹는 독특한 갈색 단된장 또는 해선장이 있다.[2]

5. 지역별 변형

용 타우 푸는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각기 다른 특징을 보인다. 태국에는 เย็นตาโฟ|옌타포tha라는 유사한 요리가 있는데, 발효 콩 페이스트를 사용한 분홍색 국물이 특징이다.[4] 베트남 남부 지역에서는 khổ qua cà ớt|꺼 꾸아 까 엇vie이라는 비슷한 요리를 찾아볼 수 있다.[1]

5. 1. 말레이시아

용 타우 푸는 말레이시아 전역에서 다양한 지역적 변형을 보이며, 각 지역마다 요리에 대한 독특한 해석을 제공한다. 특히 쿠알라룸푸르 외곽에 위치한 슬랑오르주 암팡 지역의 클랑 밸리에서는 용 타우 푸가 지역 특산 요리로 자리 잡았다. 암팡은 다양한 두부, 채소, 어묵을 넣고 수프나 곁들여 먹는 전통적인 용 타우 푸와 연관되어 있으며, 다양한 소스와 함께 곁들여 먹는다.

반면, 사바타와우 지역은 용 타우 푸에 대한 독특한 해석을 발전시켰다. 타와우 스타일은 특히 튀김으로 조리되며, 삼발과 튀긴 쌀국수 미훈과 함께 즐겨 먹어 저녁 식사 메뉴로 인기가 많다. 이 튀긴 변형은 이를 대중화한 최초의 식당의 이름을 따서 "얌얌"이라고 불린다. 용 타우 푸 자체 외에도 잘게 썬 튀긴 닭고기, 계미, 닭 모래주머니가 함께 제공되어 풍미와 식감을 더한다. 타와우 스타일 용 타우 푸는 이후 인기가 높아져 사바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 현지 별미가 되었다.

5. 2. 태국

태국에서 ''옌타포''는 용 타우 푸의 변형으로, 발효 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독특한 분홍색 국물이 특징이다. 이 색상은 피나 식용 색소를 추가하여 더욱 강조될 수 있으며, 요리에 독특한 외관을 부여한다.[4] 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두부, 고기나 생선 완자 외에 모닝글로리 등의 채소, 오징어, 튀긴 완탕 껍질, 굳힌 피로 만든 두부 모양의 것이 들어있다.[5] 꾸아이띠아오를 판매하는 노점에서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며, 테스코 로터스나 BIG C 등의 대형 할인점의 푸드 코트에서도 대부분 먹을 수 있다. 대개 국물이 있는 남(나암)과 국물이 없는 행(행)을 선택할 수 있다.

5. 3. 베트남

베트남, 특히 남부 지역에서는 khổ qua cà ớt|꺼 꾸아 까 엇vie으로 알려진 유사한 요리가 인기가 있다. 이것은 현지에서 짜라고 불리는 어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쓴 여주, 큰 칠리 고추, 튀긴 두부, 가지 또는 토마토에 채워 넣은 후 튀겨진다. 이 요리는 단독으로 즐기거나, 소스에 찍어 먹거나, 국물과 함께 그릇에 담아 제공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Hẻm Gems: Saigon's Hakka Culture Lives in D5's Khổ Qua Cà Ớt https://saigoneer.co[...] 2020-12-21
[2] 웹사이트 ย้งเที้ยวฟู เย็นตาโฟ http://topicstock.pa[...] 2012-09-19
[3] 웹사이트 น้ำสีแดงๆที่ใช้ใส่เย็นตาโฟนี่มันทำมาจากอะไรครับ แล้วมีขายที่ไหนครับ http://topicstock.pa[...] 2004-09-21
[4] 웹사이트 The distinctive pink colour of yentafo makes it stand out from the crowd https://www.thephuke[...] 2016-11-23
[5] 뉴스 タイ人直伝!タイの屋台の基礎知識 「クイティアオ・イェンターフォー 紅腐乳麺」 種類と注文の仕方 http://anngle.org/cu[...] Anngle 2014-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