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제정된 니케아 신경을 계승·발전시킨 신조로,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승인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신경은 성부와 일체인 성자, 성령의 위치와 존재, 교회, 성사, 부활, 영생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며, 이단 파문 선언을 생략하여 전례용으로 적합해졌다. 현재 동방 정교회, 천주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등에서 신앙고백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개신교회에서도 예배 신앙고백문으로 활용된다. 니케아 신경과의 비교를 통해 초기 기독교 교리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서이며, 라틴어 번역본에는 '필리오케' 구절이 추가되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음악 - 코랄
코랄은 독일 종교 개혁에서 유래한 독일어 찬미가를 지칭하며, 마르틴 루터의 예배 운동으로 촉발되어 다성부 형태로 발전, 바흐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 형식으로 창작되었고 현재까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 기독교 음악 - 레퀴엠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레퀴엠은 1791년 작곡된 미완성 장례 미사곡으로, 모차르트 사후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다양한 판본으로 존재하고 작품 해석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 신학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신학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신경 |
전례 시기 | 연중 |
기원 | 니케아 공의회 (325년)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 |
언어 | 그리스어, 라틴어 |
다른 이름 |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 니케아 신조 |
신학적 내용 | |
주요 내용 |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 신앙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교회의 사도성, 보편성, 거룩성, 단일성 죄의 용서와 영원한 생명에 대한 소망 |
역사 | |
배경 | 아리우스주의 논쟁에 대한 대응 |
채택 | 니케아 공의회 (325년) |
수정 및 확정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 |
필리오케 논쟁 | 서방 교회에서 'Filioque'(그리고 아들로부터) 구절 추가 |
언어별 텍스트 (한국어 번역) | |
그리스어 원문 | Πιστεύω εἰς ἕνα Θεόν, Πατέρα, παντοκράτορα, ποιητὴν οὐρανοῦ καὶ γῆς, ὁρατῶν τε πάντων καὶ ἀοράτων. Καὶ εἰς ἕνα Κύριον Ἰησοῦν Χριστόν, τὸν Υἱὸν τοῦ Θεοῦ τὸν μονογενῆ, τὸν ἐκ τοῦ Πατρὸς γεννηθέντα πρὸ πάντων τῶν αἰώνων· φῶς ἐκ φωτός, Θεὸν ἀληθινὸν ἐκ Θεοῦ ἀληθινοῦ, γεννηθέντα οὐ ποιηθέντα, ὁμοούσιον τῷ Πατρί, δι' οὗ τὰ πάντα ἐγένετο· τὸν δι' ἡμᾶς τοὺς ἀνθρώπους καὶ διὰ τὴν ἡμετέραν σωτηρίαν κατελθόντα ἐκ τῶν οὐρανῶν καὶ σαρκωθέντα ἐκ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καὶ Μαρίας τῆς Παρθένου καὶ ἐνανθρωπήσαντα· σταυρωθέντα τε ὑπὲρ ἡμῶν ἐπὶ Ποντίου Πιλάτου καὶ παθόντα καὶ ταφέντα καὶ ἀναστάντα τῇ τρίτῃ ἡμέρᾳ κατὰ τὰς Γραφάς· καὶ ἀνελθόντα εἰς τοὺς οὐρανούς καὶ καθεζόμενον ἐκ δεξιῶν τοῦ Πατρός· καὶ πάλιν ἐρχόμενον μετὰ δόξης κρῖναι ζῶντας καὶ νεκρούς, οὗ τῆς βασιλείας οὐκ ἔσται τέλος. Καὶ εἰς τὸ Πνεῦμα τὸ Ἅγιον, τὸ Κύριον, τὸ ζωοποιόν, τὸ ἐκ τοῦ Πατρὸς ἐκπορευόμενον, τὸ σὺν Πατρὶ καὶ Υἱῷ συμπροσκυνούμενον καὶ συνδοξαζόμενον, τὸ λαλῆσαν διὰ τῶν προφητῶν. Εἰς μίαν, Ἁγίαν, Καθολικὴν καὶ Ἀποστολικὴν Ἐκκλησίαν. Ὁμολογῶ ἓν βάπτισμα εἰς ἄφεσιν ἁμαρτιῶν. Προσδοκῶ ἀνάστασιν νεκρῶν καὶ ζωὴν τοῦ μέλλοντος αἰῶνος. Ἀμήν. (나는 하늘과 땅,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모든 것을 만드신 전능하신 아버지, 유일하신 하느님을 믿습니다. 나는 또한 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독생자, 만세 전에 아버지에게서 나신 분을 믿습니다. 빛으로부터의 빛, 참 하느님으로부터의 참 하느님, 창조되지 않고 태어나신 분, 아버지와 한 본질이신 분, 그를 통하여 모든 것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 인간을 위하여,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시고, 성령과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육신을 입으시고 사람이 되셨습니다. 또한 본시오 빌라도 시대에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고난을 받으시고 묻히셨으며, 성경대로 사흘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그리고 하늘에 오르시어 아버지 오른편에 앉아 계시며,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영광 중에 다시 오실 것이며, 그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입니다. 나는 또한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습니다. 그분은 아버지에게서 나오시며 아버지와 아들과 함께 경배받고 영광을 받으시며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 나는 죄 사함을 위한 하나의 세례를 고백합니다. 나는 죽은 자의 부활과 오는 세상의 삶을 소망합니다. 아멘.) |
라틴어 | Credo in unum Deum, Patrem omnipotentem, factorem caeli et terrae, visibilium omnium et invisibilium. Et in unum Dominum Iesum Christum, Filium Dei unigenitum, et ex Patre natum ante omnia saecula. Deum de Deo, lumen de lumine, Deum verum de Deo vero, genitum non factum, consubstantialem Patri; per quem omnia facta sunt. Qui propter nos homines et propter nostram salutem descendit de caelis. Et incarnatus est de Spiritu Sancto ex Maria Virgine, et homo factus est. Crucifixus etiam pro nobis sub Pontio Pilato; passus, et sepultus est. Et resurrexit tertia die, secundum Scripturas. Et ascendit in caelum, sedet ad dexteram Patris. Et iterum venturus est cum gloria iudicare vivos et mortuos; cuius regni non erit finis. Et in Spiritum Sanctum, Dominum et vivificantem; qui ex Patre [Filioque] procedit. Qui cum Patre et Filio simul adoratur et conglorificatur: qui locutus est per prophetas. Et unam, sanctam, catholicam et apostolicam Ecclesiam. Confiteor unum baptisma in remissionem peccatorum. Et exspecto resurrectionem mortuorum, et vitam venturi saeculi. Amen. (나는 하늘과 땅,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모든 것을 만드신 전능하신 아버지, 유일하신 하느님을 믿습니다. 그리고 한 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외아들이시며, 모든 시대에 앞서 아버지에게서 나신 분을 믿습니다. 하느님으로부터 나신 하느님, 빛으로부터 나신 빛, 참 하느님으로부터 나신 참 하느님, 창조되지 않고 나셨으며, 아버지와 같은 본질이신 분, 그분을 통하여 모든 것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 인간을 위하여,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셨습니다. 그리고 성령으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육신을 입으셨고 사람이 되셨습니다. 또한 본시오 빌라도 아래에서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셨고 고통을 받으시고 묻히셨습니다. 그리고 성경대로 사흘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그리고 하늘에 오르시어 아버지 오른편에 앉으셨습니다. 그리고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영광 중에 다시 오실 것이며, 그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습니다. 그분은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나오십니다. 그분은 아버지와 아들과 함께 경배받고 영광을 받으시며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 나는 죄 사함을 위한 하나의 세례를 고백합니다. 그리고 죽은 자의 부활과 오는 세상의 삶을 기다립니다. 아멘.) |
한국어 | 우리는 한 분이신 하느님, 전능하신 아버지, 하늘과 땅과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만드신 분을 믿습니다. 우리는 또한 한 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외아들, 만세 전에 아버지에게서 나신 분을 믿습니다. 하느님으로부터 나신 하느님, 빛으로부터 나신 빛, 참 하느님으로부터 나신 참 하느님, 창조되지 않고 나셨으며, 아버지와 같은 본질이신 분, 그분을 통하여 모든 것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 인간을 위하여,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셨습니다. 그리고 성령으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육신을 입으셨고 사람이 되셨습니다. 또한 본시오 빌라도 아래에서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셨고 고통을 받으시고 묻히셨습니다. 그리고 성경대로 사흘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그리고 하늘에 오르시어 아버지 오른편에 앉으셨습니다. 그리고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영광 중에 다시 오실 것이며, 그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또한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습니다. 그분은 아버지에게서 나오시며 아버지와 아들과 함께 경배받고 영광을 받으시며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 우리는 죄 사함을 위한 하나의 세례를 고백합니다. 우리는 죽은 자의 부활과 오는 세상의 삶을 기다립니다. 아멘. |
2. 역사와 내용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낭독되었다. 이 신경은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승인된 것으로 전해지며,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제정된 '니케아 신경'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이다.[1] 이 때문에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약칭하여 '니케아 신경'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325년에 제정된 본래의 니케아 신경과는 구별해야 한다.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기존 니케아 신경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고 보강하였으며, 특히 전례 사용에 적합하도록 변경되었다.
신약성경의 언어인 헬레니즘 그리스어로 작성된 이 신경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5세기 시리아에서 성찬 전례에 처음 도입된 후, 스페인을 거쳐 서방 교회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동방교회와 서방교회 지역 모두에서 신앙고백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신경이다. 동방 정교회, 천주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등 여러 교파에서 전례용 신앙고백문으로 사용하며, 침례교, 재림교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개신교회에서도 사도신경과 함께 예배 신앙고백문으로 활용한다.[2] 서방교회 전통에서는 성경 강독 후 신앙고백으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나 사도신경 중 하나를 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성공회에서는 감사성찬례에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만도(저녁기도)에는 사도신경을 사용한다.
정식 명칭은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지만, 명칭이 길고 원 니케아 신경을 사용하는 교파가 거의 없어 교회에 따라서는 '니케아 신조' 또는 '니케아 신경', 단순히 '신경'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2. 1. 니케아 신경과의 비교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승인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제정된 니케아 신경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약칭하여 '니케아 신경'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325년에 제정된 본래의 니케아 신경과는 구별해야 한다.[1][2] 이 신경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라는 이름으로 낭독되기도 했다.다만 이 신경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도 존재한다. 325년의 니케아 신경과는 본질과 정신만 같을 뿐, 실제로는 374년 성 에피파니오가 작성한 신경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채택했다는 주장도 유력하게 제기된다.
내용상으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기존 니케아 신경에서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보인다.
- 성자: 니케아 신경이 성자를 성부와 '본질에서 같다[同質]'고 표현한 데서 더 나아가, '성부와 일체'라고 고백하여 성자의 신성을 더욱 강조했다.
- 성령: 성령의 위치와 존재에 대한 설명을 확대하여 삼위일체 교리를 보강했다.
- 추가된 신앙 고백: 교회와 성사, 육신의 부활, 영생에 대한 믿음을 새롭게 강조하여 포함시켰다.
- 이단 파문 선언 삭제: 니케아 신경 말미에 있던 이단 파문 선언을 생략하여, 전례에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3. 원문과 번역
신약성경의 언어인 헬레니즘 그리스어로 작성된 신경 원문은 다음과 같다.[3]
Πιστεύω είς ενα Θεόν, Πατέρα, παντοκράτορα, ποιητήν ουρανού καί γής, ορατών τε πάντων καί αοράτων.
Καί είς ενα Κύριον, Ίησούν Χριστόν, τόν Υιόν του Θεού τόν μονογενή, τόν εκ του Πατρός γεννηθέντα πρό πάντων τών αιώνων. Φώς εκ φωτός, Θεόν αληθινόν εκ Θεού αληθινού γεννηθέντα, ού ποιηθέντα, ομοούσιον τώ Πατρί, δι’ ού τά πάντα εγένετο. Τόν δι’ ημάς τούς ανθρώπους καί διά τήν ημετέραν σωτηρίαν κατελθόντα εκ τών ουρανών καί σαρκωθέντα εκ Πνεύματος ‘Αγίου καί Μαρίας τής Παρθένου καί ενανθρωπήσαντα. Σταυρωθέντα τε υπέρ ημών επί Ποντίου Πιλάτου καί παθόντα καί ταφέντα.
Καί αναστάντα τή τρίτη ημέρα κατά τάς Γραφάς.
Καί ανελθόντα είς τούς ουρανούς καί καθεζόμενον εκ δεξιών τού Πατρός.
Καί πάλιν ερχόμενον μετά δόξης κρίναι ζώντας καί νεκρούς, ού τής βασιλείας ουκ εσται τέλος.
Καί είς τό Πνεύμα τό ¨Αγιον, τό Κύριον, τό ζωοποιόν, τό εκ τού Πατρός εκπορευόμενον, τό σύν Πατρί καί Υιώ συμπροσκυνούμενον καί συνδοξαζόμενον, τό λαλήσαν διά τών Προφητών.
Είς μίαν, αγίαν, καθολικήν καί αποστολικήν Έκκλησίαν. ‘Ομολογώ εν βάπτισμα είς άφεσιν αμαρτιών. Προσδοκώ ανάστασιν νεκρών. Καί ζωήν τού μέλλοντος αιώνος.
Άμήν.gre
이 신경은 각국 언어로 번역되었는데, 초기 번역 중 하나인 시리아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5세기 시리아에서 성찬 전례에 도입된 후 스페인을 통하여 서방 교회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ܡܗܝܡܢܝܢܢ ܒܚܕ ܐܠܗܐ. ܐܒܐ ܐܚܝܕ ܟܠ
ܥܒܘܕܐ ܕܫܡܝܐ ܘܕܐܪܥܐ.
ܘܕܟܠܗܝܢ ܐܝܠܝܢ ܕܡܬܚܙ̈ܝܢ ܘܕܠܐ ܡܬܚܙܝ̈ܢ
.ܘܒܚܕ ܡܪܝܐ ܝܫܘܥ ܡܫܝܚܐ
ܝܚܝܕܝܐ ܒܪܐ ܕܐܠܗܐ
ܗܘ ܕܡܢ ܐܒܐ ܐܬܝܠܕ
ܩܕܡ ܟܠܗܘܢ ܥܠܡ̈ܐ
ܢܘܗܪܐ ܕܡܢ ܢܘܗܪܐ
ܐܠܗܐ ܫܪܝܪܐ ܕܡܢ ܐܠܗܐ ܫܪܝܪܐ
ܝܠܝܕܐ ܘܠܐ ܥܒܝܕܐ
ܘܫܘܸܐ ܒܐܘܣܝܐ ܠܐܒܘܗܝ
ܕܒܐܝܕܗ ܗܘܐ ܟܠ
ܗܘ ܕܡܛܠܬܢ ܒܢܝ̈ܢܫܐ ܘܡܛܠ ܦܘܪܩܢܢ
ܢܚܬ ܡܢ ܫܡܝܐ
ܘܐܬܓܫܡ ܡܢ ܪܘܚܐ ܩܕܝܫܐ
ܘܡܢ ܡܪܝܡ ܒܬܘܠܬܐ ܝܠܕܬ ܐܠܗܐ
ܘܗܘܐ ܒܪܢܫܐ
ܘܐܨܛܠܒ ܚܠܦܝܢ ܒܝܘ̈ܡܝ ܦܝܢܛܝܘܣ ܦܝܠܛܘܣ
ܘܚܫ ܘܡܝܬ ܘܐܬܩܒܪ
ܘܩܡ ܠܬܠܬܐ ܝܘ̈ܡܝܢ ܐܝܟ ܕܨܒܐ
ܘܣܠܩ ܠܫܡܝܐ ܘܝܬܒ ܡܢ ܝܡܝܢܐ ܕܐܒܘܗܝ
ܘܬܘܒ ܐ̇ܬܐ ܒܫܘܒܚܐ ܪܒܐ
ܠܡܕܢ ܠܚܝ̈ܐ ܘܠܡܝ̈ܬܐ
ܗܘ ܕܠܡܠܟܘܬܗ ܫܘܠܡܐ ܠܐ ܐܝܬ.
ܘܒܚܕ ܪܘܚܐ ܩܕܝܫܐ
ܕܐܝܬܘܗܝ ܡܪܝܐ ܡܚܝܢܐ ܕܟܠ.
ܗܘ ܕܡܢ ܐܒܐ ܢܦܩ
ܘܥܡ ܐܒܐ ܘܥܡ ܒܪܐ ܡܣܬܓܕ ܘܡܫܬܒܚ.
ܗܘ ܕܡܠܠ ܒܢܒܝ̈ܐ ܘܒܫܠܝ̈ܚܐ
ܘܒܚܕܐ ܥܕܬܐ ܩܕܝܫܬܐ ܩܬܘܠܝܩܝ ܘܫܠܝܚܝܬܐ.
ܘܡܘܕܝܢܢ ܕܚܕܐ ܗܝ ܡܥܡܘܕܝܬܐ ܠܫܘܒܩܢܐ ܕܚܛܗ̈ܐ.
ܘܡܣܟܝܢܢ ܠܩܝܡܬܐ ܕܡܝ̈ܬܐ
ܘܠܚܝ̈ܐ ܚܕ̈ܬܐ ܕܒܥܠܡܐ ܕܥܬܝܕ. ܐܡܝܢ.syr
3. 1. 라틴어 번역과 필리오케 논쟁
라틴어 번역본은 그리스어 원문과 비교했을 때 두 가지 주요 차이점을 보인다. 하나는 'Deum de Deo|데움 데 데오la'(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 구절이고, 다른 하나는 'Filióque|필리오케la'(그리고 아들로부터) 구절이다.'Deum de Deo|데움 데 데오la'는 본래 325년의 니케아 신경에 포함되었던 구절을 되살린 것으로, 바로 뒤에 나오는 'Deum verum de Deo vero|데움 베룸 데 데오 베로la'(참 하느님에게서 나신 참 하느님)와 의미가 중복된다는 이유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채택된 그리스어 원문에서는 생략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구절의 복원은 신학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키지는 않았다.
반면 'Filióque|필리오케la'는 '성자에게서도'라는 의미를 추가하여, 성령이 성부뿐만 아니라 성자에게서도 발현한다는 내용을 담게 된다. 이 구절은 589년 제3차 톨레도 시노드에서 처음 삽입된 이후 서방 교회에 점차 확산되었으나, 동방 교회와의 신학적 견해 차이로 인해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른바 필리오케 문제는 동·서방 교회가 갈라서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11세기에 로마교회는 서방교회의 우위성을 강조하며 필리오케가 포함된 신경을 공식적으로 채택하였다.
아래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의 라틴어 번역 전문과 한국어 번역이다. 이탤릭체로 표시된 부분은 그리스어 원문에는 없는, 라틴어 번역 과정에서 추가된 부분이다.
Credo in unum Deum, Patrem omnipoténtem, factórem cæli et terræ, visibílium ómnium et invisibílium.
Et in unum Dóminum Iesum Christum, Fílium Dei Unigénitum, et ex Patre natum ante ómnia sæcula. ''Deum de Deo'', lumen de lúmine, Deum verum de Deo vero, génitum, non factum, consubstantiálem Patri: per quem ómnia facta sunt. Qui propter nos hómines et propter nostram salútem descéndit de cælis. Et incarnátus est de Spíritu Sancto ex María Vírgine, et homo factus est. Crucifíxus étiam pro nobis sub Póntio Piláto; Passus, et sepúltus est, et resurréxit tértia die, secúndum Scriptúras, et ascéndit in cælum, sedet ad déxteram Patris. Et íterum ventúrus est cum glória, iudicáre vivos et mórtuos, cuius regni non erit finis.
Et in Spíritum Sanctum, Dóminum et vivificántem: qui ex Patre ''Filióque'' procédit. Qui cum Patre et Fílio simul adorátur et conglorificátur: qui locútus est per prophétas. Et unam, sanctam, cathólicam et apostólicam Ecclésiam. Confíteor unum baptísma in remissiónem peccatorum. Et exspecto resurrectionem mortuorum, et vitam ventúri sæculi.
Amen.la
전능하신 아버지, 하늘과 땅, 유형적인 것과 무형적인 모든 것의 창조주이신 한 분 하느님을 믿습니다.
또한 하느님의 외아들이시며, 모든 시대 전에 아버지에게서 나신 한 분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 빛에서 나신 빛, 참 하느님에게서 나신 참 하느님, 나시어 만들어지지 않으시고, 아버지와 한 본체이시며; 그분을 통하여 만물이 생겨났습니다. 그분은 우리 인간을 위하여, 그리고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셨습니다. 성령으로 말미암아 동정 마리아에게서 육신이 되시어 사람이 되셨습니다. 본시오 빌라도 치하에서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고난을 받으시고 묻히셨으며, 성서대로 사흘 만에 부활하시어 하늘로 올라가 아버지 오른편에 앉아 계십니다. 그분은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시러 영광 속에 다시 오시리니, 그분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입니다.
또한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습니다.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나오시며, 아버지와 아들과 더불어 영광을 받으시며 흠숭을 받으시고, 예언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 죄를 용서하는 한 세례를 고백하며, 죽은 자들의 부활과 내세의 삶을 기다립니다. 아멘.
3. 1. 1. 데움 데 데오 (Deum de Deo)
라틴어 번역에서는 그리스어 원문에 없는 두 가지 부분이 추가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Deum de Deo|데움 데 데오lat'이다.'Deum de Deo|데움 데 데오lat'는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이라는 뜻이다. 이 구절은 본래 325년 니케아 신경에 포함되어 있던 것을 되살린 것이므로, 신학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리스어 원문에서 해당 부분이 빠진 이유는, 바로 뒤에 이어지는 'Deum verum de Deo vero|데움 베룸 데 데오 베로lat'(참 하느님에게서 나신 참 하느님) 구절과 의미상 중복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 1. 2. 필리오케 (Filióque)
라틴어 번역 과정에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의 그리스어 원문에는 없는 두 가지 문구가 추가되었다. 하나는 'Deum de Deo'(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이며, 다른 하나는 Filióque|필리오케la이다.'필리오케'는 '성자에게서'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단어로, 이 단어가 삽입되면서 신경의 내용은 '성령이 성부뿐만 아니라 성자에게서도 발하신다'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필리오케는 589년 제3차 톨레도 시노드에서 처음 신경에 포함되었고, 이후 서방교회 전반으로 퍼져나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삽입은 서방교회 일부와 동방 교회 사이에서 교리적 문제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후에 필리오케 논쟁으로 알려진 신학적 갈등의 시작점이 되었다. 809년, 교황 레오 3세는 서방교회 내에서 필리오케 사용을 공식적으로 금지하고,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베드로의 무덤 앞에 필리오케가 빠진, 그리스어 원문에 충실한 라틴어 번역본을 게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11세기에 이르러, 당시 5개 주요 지역 교회의 연합체였던 공교회로부터 분리하여 독자적인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던 로마교회는 필리오케 문제를 다시 제기했다. 1013년, 교황 베네딕토 8세는 필리오케가 포함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의 라틴어 번역본을 재승인하며, 이를 통해 서방교회의 우위성을 주장하려 했다. 이러한 결정은 하나였던 교회가 동방과 서방으로 갈라서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양측이 서로를 파문하는 상황으로 이어지는 한 요인이 되었다.
현재 서방교회 전통을 따르는 천주교회와 성공회는 필리오케가 포함된 신경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동방 교회와 개신교회의 여러 종파들은 WCC의 공동 신경처럼 그리스어 원문을 따라 필리오케를 사용하지 않는다.
필리오케 문제는 단순히 성령의 발현에 대한 교리적 차이를 넘어, 교황의 성사권(聖事權)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신학적 쟁점으로 다루어진다.
- 천주교회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베드로에게 천국의 열쇠를 주며 교회를 맡겼다고 보며, 성령이 성자로부터도 발현해야만 그 권위가 교황에게 이어져 성사를 집전할 권한이 유효하다고 해석한다. 따라서 필리오케는 교황권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로 여겨진다.
- 반면 개신교회를 포함한 일부에서는 천주교회가 성경에 없는 필리오케 구절을 임의로 추가했기 때문에, 교황에게는 성부로부터 오는 성령의 은사가 없으며 성사의 권한 역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또한, 베드로에게 천국의 열쇠를 약속한 성경 구절(마태 16:18-19)의 해석 자체에도 논쟁이 존재한다. 해당 구절의 '페트로스'(베드로, 작은 돌)와 '페트라'(반석)의 의미를 두고 교파 간 해석이 다르다.
이처럼 동방 교회와 서방교회는 성령이 성부에게서만 발현하는지, 아니면 성자에게서도 발현하는지에 대한 해석 차이(필리오케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부분을 제외하면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의 내용은 대부분의 교파에서 동일하게 받아들여진다.
한편, 교리적 문제로 크게 부각되지는 않지만, 라틴어 번역본 및 이를 따르는 서방 교회 계열의 신경에는 그리스어 원문에 없는 "Deum de Deo"(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 구절이 추가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교회가 각자의 언어로 번역된 신경을 사용하기 때문에, 번역 과정에서 특정 교파의 고유한 신학적 해석이 반영되는 경우도 있다.
3. 2. 한국어 번역
기독교의 모든 교파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의 한국어 번역본은 없다. 여러 번역본이 존재하며, 로마 가톨릭교회, 대한성공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등 주요 교단들은 각자 자체적으로 번역한 신경을 사용하고 있다.
다음은 한국어 번역의 한 예시이다.
우리는 한 분이신 성부 하나님을 믿습니다. 그분은 전능하셔서, 하늘과 땅과, 이 세상의 보이고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지으셨습니다.
우리는 한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그분은 모든 시간 이전에 성부에게서 나신, 하나님의 독생자이십니다.
그분은 하나님에게서 나신 참 하나님이시요, 빛에서 나신 빛이시요, 참 하나님에게서 나신 참 하나님이시며,
성부와 같은 분으로, 낳음과 지음 받은 분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분을 통해서 만물이 지음 받았습니다.
그분은 우리와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늘로부터 내려오시어, 성령의 능력으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나, 참 인간이 되셨습니다.
우리 때문에 본디오 빌라도 치하에서 십자가 형을 받아, 죽임을 당하고 묻히셨으나, 성서의 말씀대로 사흘만에 부활하셨습니다.
그분은 하늘에 올라 성부 오른편에 앉아 계십니다. 그분은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영광 가운데 다시 오실 것입니다.
그리고 그분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습니다. 성령은 성부로부터 나오시어,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예배와 영광을 받으시고,
예언자들을 통하여 말씀하고 계십니다.
우리는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적이고,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 우리는 죄를 용서하는 한 세례를 믿습니다.
우리는 죽은이들의 부활과, 오고 있는 세계에서 살게 될 것을 믿습니다.
아멘.
다른 한국어 번역 예시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한 분 하나님을 믿습니다. 그분은 전능하사 천지를 창조하시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지으신 아버지이십니다.우리는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그분은 영원히 아버지로부터 나신 하나님의 독생자로서 빛으로부터 오신 빛이시요, 참하나님으로부터 오신 참하나님이십니다. 그분은 피조된 것이 아니라 나셨기 때문에 아버지와 본질이 동일하십니다. 만물은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습니다. 그분은 우리 인류와 우리의 구원을 위해서 하늘로부터 내려오사, 성령과 동정녀 마리아를 통하여 성육신하셔서 인간이 되셨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위하여 본디오 빌라도에 의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시사, 고난을 받으시며 장사지낸 바 되셨습니다. 그리고 그분은 성경대로 사흘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사 하늘에 오르시고, 하나님 우편에 앉으셨습니다. 그분은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기 위하여 영광 가운데 재림하시고 그의 나라는 영원무궁할 것입니다.우리는 주님이시고, 생명의 부여자이신 성령님을 믿습니다. 그분은 아버지로부터 나오시고, 아버지와 아들과 더불어 동일한 예배와 영광을 받으십니다. 이 성령님은 예언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또한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 우리는 죄 사함을 위한 하나의 세례만을 인정합니다. 우리는 죽은 자들의 부활과 장차 임할 세상에서의 영생을 바라봅니다.[12]
4. 교회 음악
서양 고전 음악의 한 장르인 미사곡(Missa)에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정형적인 한 부분으로 노래된다. 서방교회 전통을 따르는 예식을 바탕으로 한 서유럽의 미사곡과 예배곡에서는 대부분 라틴어 신경을 사용하며, 이 신경 부분은 첫 구절을 따서 '''크레도(Credo)'''라고 부른다.
참조
[1]
웹사이트
ニカエア・コンスタンティノポリス信条(読み)ニカエアコンスタンティノポリスしんじょう(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
웹사이트
原ニケア信条(325年)およびニケア・コンスタンチノープル信条(381年)について(by E.ケアンズ)
http://japanesebible[...]
[3]
웹사이트
Σύμβολο της Πίστης (Νίκαια-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 - OrthodoxWiki
https://el.orthodoxw[...]
2019-09-15
[4]
Wikisource
Nicene Creed (ECUSA Book of Common Prayer, 1979) - Wikisource
https://en.wikisourc[...]
[5]
서적
『救主降生1959年改定 日本聖公会祈祷書』
日本聖公会管区事務所
1959-11-30
[6]
웹사이트
正教会の聖歌 7.信経: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s://www.orthodox[...]
[7]
웹사이트
Holy Trinity Orthodox Church - The Creed of the Church as Supported in Holy Scripture
http://www.holy-trin[...]
[8]
문서
최초의 니케아 신경과는 다르지만, 오늘날에 니케아 신경은 보통 이 신조를 가리키는 말이다.
[9]
서적
“가톨릭기도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7
[10]
서적
“성공회기도서”
대한성공회
2004
[11]
서적
정교회 소 기도서
정교회출판사
2017-07-20
[12]
웹인용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https://new.pck.or.k[...]
2024-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