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해중부선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해중부선 (일제강점기)은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가 부설한 사설 경편철도 노선에서 시작되었다. 1916년 부설 면허를 받아 대구에서 포항, 서악에서 울산을 거쳐 동래, 울산에서 장생포로 이어지는 노선을 계획했다. 1917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1921년에는 불국사~울산 구간까지 운행되었고, 이후 조선중앙철도, 조선철도를 거쳐 1928년 조선총독부 철도에 인수되어 동해중부선으로 개칭되었다. 1930년 기준으로 대구에서 학산까지의 본선과 경주에서 울산으로 향하는 지선이 운영되었으며, 1936년부터 표준궤로 개량되면서 일부 구간은 대구선, 중앙선, 동해남부선으로 편입되고 포항~학산 구간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해중부선 - 학산역
    학산역은 1919년 경동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남부선 역으로 운영되다가 1945년에 폐역되었으며, 현재는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 조선철도의 철도 노선 - 학산역
    학산역은 1919년 경동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남부선 역으로 운영되다가 1945년에 폐역되었으며, 현재는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 19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대구선
    대구선은 영천역과 동대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동선의 일부로 개통되어 확장과 개량을 거쳐 복선 전철화되었으며, 중앙선 및 경부선과의 연계로 대구와 경북 지역 철도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ITX-마음이 운행 중이다.
동해중부선 (일제강점기)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이름경동선
원어 이름경동선 (慶東線)
원어 이름 (언어)ko
노선 종류여객/화물 철도
철도 시스템해당 없음
상태분할됨 (본문 참조)
위치경상북도
기점대구역
종점학산역
장생포역
역 수27
개통1917–1921년
소유주조선경편철도 (1917–1919년)
조선중앙철도 (1919–1923년)
조선철도 (1923–1928년)
운영자조선경편철도;
조선중앙철도;
조선철도
특징해당 없음
차량해당 없음
노선 길이 (km)152.4
선로 수단선
궤간 (mm)762
최소 곡선 반지름해당 없음
최대 경사해당 없음
노선 번호해당 없음
노선 기호해당 없음
전철화 여부해당 없음
속도 (km/h)해당 없음
노선도
기타 정보 (철도 노선 정보 템플릿)
노선 종류경편철도
국가일본령 조선
상태폐지 (대구선, 중앙본선, 동해본선의 각 일부로 편입)
기점대구역
(경상북도 대구부 칠성정2가)
종점학산역
(경상북도 영일군 포항읍 학산동)
울산역
(경상남도 울산군 울산읍 성남동)
역 수27
개통일1917년 12월 24일: 조선경편철도 개업
1928년 7월 1일: 국유화
폐지일1945년 7월 10일
소유자조선경편철도 → 조선중앙철도 → 조선철도조선총독부
운영자조선경편철도 → 조선중앙철도 → 조선철도조선총독부 철도국 → 조선총독부 교통국
영업 거리148.8km (1930년 4월 1일 기준)
궤간762mm (협궤)
선로단선
전철화X

2. 역사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가 부설한 사설 경편철도 노선이었던 동해중부선은 1928년 7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에 인수되어 동해중부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6]

조선총독부는 '조선철도12년계획'에 따라 동해중부선을 국유철도 노선으로 편입시키고 표준궤로 개량하는 공사를 진행했다. 1936년 경주~울산 구간이 동해남부선에 편입되었고,[29] 1938년에는 대구~영천 구간이 대구선으로, 영천~경주 구간이 경경남부선으로 분리되었다.[31] 1939년 영천~경주 구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었으며,[32] 1945년 경주~포항 구간이 동해남부선에 편입되고 포항~학산 구간은 폐선되면서 동해중부선은 완전히 폐지되었다.[33]

자세한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28년 7월 1일조선총독부가 경동선을 매수하여 동해중부선으로 명명하고 영업 개시, 영업거리 개정 (대구 ~ 학산 간 약 106.38km → 약 107.34km)[26]
1930년 4월 1일영업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킬로미터로 개정 (대구 ~ 학산 간 약 107.34km → 107.4km, 경주 ~ 울산 간 약 41.52km → 41.4km)[27]
1935년 12월 16일울산역 위치 변경에 따른 영업거리 개정 (경주 ~ 울산 간 41.4km → 40.4km)[28]
1936년 12월 1일경주 ~ 울산 간을 동해남부선에 편입[29]
1938년 7월 1일대구 ~ 영천 간을 표준궤로 개궤 및 영업거리 개정 (107.4km → 111.7km)[30]
1938년 12월 1일대구 ~ 영천 간을 경부선의 지선인 대구선으로, 영천 ~ 경주 간을 경경남부선(京慶南部線)으로 분리[31]
1939년 6월 1일경주 ~ 영천 간을 표준궤로 개궤[32]
1945년 7월 10일경주 ~ 포항 간을 동해남부선에 편입하고 포항 ~ 학산 간은 폐선하여 동해중부선 폐지[33]


2. 1. 조선경편철도 시대

1916년 1월, 조선경편철도는 경부선 대구역에서 동해안의 포항에 이르는 구간과, 도중의 서악역에서 분기하여 울산을 거쳐 동래에 이르는 구간, 그리고 울산에서 분기하여 장생포에 이르는 구간의 총 185.1km 부설 면허를 신청하여 2월 15일에 허가받았다.[20] 1917년 2월에 대구에서부터 착공하여 12월에 대구 ~ 하양 구간이 개통되었고,[20] 1918년에는 하양 ~ 포항 구간이,[21][22][23] 1919년에는 포항 ~ 학산 구간이 개통되었다.[25] 동래 방면으로는 1918년에 서악 ~ 경주 구간이,[23] 1919년에 경주 ~ 불국사 구간이,[24] 1921년에 불국사 ~ 울산 구간이 개통되어[25] 면허 구간 중 총 148.1km이 개통되었다.

1919년 9월 27일, 조선경편철도는 조선중앙철도로 사명을 변경했다. 1921년 11월 1일에는 노선 명칭이 부여되어 대구 ~ 학산 구간은 구포선(邱浦線), 서악 ~ 울산 구간은 울산선(蔚山線)이 되었다. 1923년 9월 1일, 조선중앙철도는 조선철도에 합병되었고, 조선철도는 이 노선을 '''경동선'''(慶東線)이라고 불렀다.

1927년에는 경주읍내 구간이 이설되어 포항 방면과 울산 방면의 분기역이 경주역으로 변경되었다.

2. 2. 조선철도 시대

조선경편철도는 1916년 1월 경부선 대구역에서 동해안의 포항에 이르는 구간과, 도중의 서악역에서 분기하여 울산을 거쳐 동래에 이르는 구간, 그리고 울산에서 분기하여 장생포에 이르는 구간 등 총 185.1km의 부설 면허를 신청하여 2월 15일에 허가받았다.[20] 1917년 2월 대구에서부터 착공하여, 1917년 12월 대구-하양 구간,[20] 1918년 하양-포항 구간, 1919년 포항-학산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동래 방면으로는 1918년 서악-경주 구간, 1919년 경주-불국사 구간, 1921년 불국사-울산 구간이 개통되어, 면허 구간 중 총 148.1km이 개통되었다.

1923년, 조선중앙철도는 조선철도에 합병되었고, 조선철도는 이 노선을 '''경동선'''(慶東線)이라 불렀다. 1927년, 경주읍내 구간이 이설되면서 포항 방면과 울산 방면의 분기역이 경주역으로 변경되었다.

울산-동래 구간 및 울산-장생포 구간은 결국 개통되지 못하고, 조선총독부의 '조선철도12년계획'에 따라 매수되어 '''동해중부선'''으로 개칭, 국유철도 노선이 되었다.

조선철도 시대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17년 12월 24일조선경편철도에 의해 대구 ~ 하양간 23km 개통, 대구역, 동촌역, 반야월역, 청천역, 하양역 개업.[20]
1918년 7월 18일하양 ~ 금호간 5.5km 개통, 금호역 개업.[21]
1918년 11월 1일금호 ~ 서악간 38.7km 개통, 영천역, 임포역, 아화역, 건천역, 서악역 개업.[22]
1918년 12월 28일서악 ~ 포항간 38.2km 및 서악 ~ 경주간 1.9km 개통, 사방역, 안강역, 부조역, 효자역, 포항역, 경주역 개업.[23]
1919년 1월 14일경주 ~ 불국사간 11.5km 개통, 도지역, 불국사역 개업.[24]
1919년 6월 25일포항 ~ 학산간 2km 개통, 학산역, 금장역 개업.[25]
1919년 9월 27일조선경편철도가 조선중앙철도로 사명 변경.
1921년 10월 25일불국사 ~ 울산간 29.9km 개통, 입실역, 모화역, 호계역, 병영역, 울산역 개업.
1921년 11월 1일대구 ~ 학산간은 구포선(邱浦線), 서악 ~ 울산간은 울산선(蔚山線)으로 노선 명칭 부여.
1922년 12월 25일광명역 개업 및 울산선 영업거리 개정(43.5km → 43.3km).
1923년 9월 1일조선중앙철도가 조선철도에 합병, 구포선과 울산선을 합쳐 경동선(慶東線)으로 명명.
1927년 7월 15일도지역을 개량하고 동방역으로 개칭.
1927년 8월 1일서악역 ~ 금장역간이 경주역 ~ 금장역으로 이설됨에 따라 본선과 지선의 분기역이 경주역으로 변경, 영업거리 개정(대구 ~ 학산간 104.8km → 107.7km, 경주 ~ 울산간 43.3km → 41.5km).


2. 3. 조선총독부 철도 시대

동해중부선은 본래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가 부설한 사설 경편철도 노선이었다. 1916년 1월, 경부본선 대구역에서 포항에 이르는 구간과, 서악역에서 분기하여 울산을 거쳐 동래에 이르는 구간, 울산에서 분기하여 장생포에 이르는 구간 등 총 185.1km의 부설 면허를 신청하여 2월 15일에 허가받았다. 1917년 2월 대구에서부터 착공하여, 1918년에 하양~포항 구간이 개통되고, 1919년에 포항~학산 구간이 개통되었다. 동래 방면으로는 1918년에 서악~경주 구간, 1919년에 경주~불국사 구간, 1921년에 불국사~울산 구간이 개통되어 면허 구간 중 총 148.1km이 개통되었다.

1923년, 조선중앙철도는 조선철도주식회사에 합병되었고, 조선철도는 이 노선을 '''경동선'''(慶東線)이라고 불렀다. 1927년에는 경주읍내 구간이 이설되어 포항 방면과 울산 방면의 분기역이 경주역으로 변경되었다.

울산~동래 구간 및 울산~장생포 구간은 결국 개통되지 못하고, 조선총독부의 「조선철도12년계획」에 따라 매수되어 '''동해중부선'''으로 개칭되어 국유철도 노선이 되었다. 이후 표준궤로 개량하는 공사가 진행되어 1936년에 경주~울산 구간, 1938년에 대구~영천 구간, 1939년에 영천~경주 구간, 1945년에 경주~포항 구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이 과정에서 대구~영천 구간은 대구선에, 영천~경주 구간은 경경남부선에, 경주~울산 및 경주~포항 구간은 동해남부선에 각각 편입되었고, 잔여 구간인 포항~학산 구간은 폐지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17년 12월 24일조선경편철도에 의해 대구 ~ 하양 간 개통[20]
1918년 7월 18일하양 ~ 금호 간 개통[21]
1918년 11월 1일금호 ~ 서악 간 개통[22]
1918년 12월 28일서악 ~ 포항 간 및 서악 ~ 경주 간 개통[23]
1919년 1월 14일경주 ~ 불국사 간 개통[24]
1919년 6월 25일포항 ~ 학산 간 개통[25]
1919년 9월 27일조선경편철도가 조선중앙철도로 사명 변경
1921년 10월 25일불국사 ~ 울산 간 개통
1921년 11월 1일대구 ~ 학산 간은 구포선(邱浦線), 서악 ~ 울산 간은 울산선(蔚山線)으로 노선 명칭 부여
1922년 12월 25일광명역 개업 및 울산선 영업거리 개정 (약 43.45km → 약 43.29km)
1923년 9월 1일조선중앙철도가 조선철도에 합병, 구포선과 울산선을 합쳐 경동선(慶東線)으로 명명
1927년 7월 15일도지역을 개량하고 동방역으로 개칭
1927년 8월 1일서악역 ~ 금장역 간이 경주역 ~ 금장역으로 이설됨에 따라 본선과 지선의 분기역이 경주역으로 변경, 영업거리 개정 (대구 ~ 학산 간 약 104.77km → 약 107.66km, 경주 ~ 울산 간 약 43.29km → 약 41.52km)
1928년 7월 1일경동선을 조선총독부가 매수하여 동해중부선(東海中部線)이라 명명하고 영업 개시, 영업거리 개정 (대구 ~ 학산 간 약 106.38km → 약 107.34km)[26]
1930년 4월 1일영업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킬로미터로 개정 (대구 ~ 학산 간 약 107.34km → 107.4km, 경주 ~ 울산 간 약 41.52km → 41.4km)[27]
1935년 12월 16일울산역 위치 변경에 따른 영업거리 개정 (경주 ~ 울산 간 41.4km → 40.4km)[28]
1936년 12월 1일경주 ~ 울산 간을 동해남부선에 편입[29]
1938년 7월 1일대구 ~ 영천 간을 표준궤로 개궤 및 영업거리 개정 (107.4km → 111.7km)[30]
1938년 12월 1일대구 ~ 영천 간을 경부선의 지선인 대구선으로, 영천 ~ 경주 간을 경경남부선(京慶南部線)으로 분리[31]
1939년 6월 1일경주 ~ 영천 간을 표준궤로 개궤[32]
1945년 7월 10일경주 ~ 포항 간을 동해남부선에 편입하고 포항 ~ 학산 간은 폐선하여 동해중부선 폐지[33]


3. 운영

동해중부선은 초기에 여객과 화물을 함께 운송하는 혼합 열차 형태로 운영되었다. 1922년 당시 운행 횟수는 대구-영천 간 5왕복, 영천-포항 간 4왕복, 포항-학산 간 4왕복, 서악-경주 간 8왕복, 경주-울산 간 3왕복이었다. 이후 조선철도에 합병되면서 대구-포항 간 여객열차가 1일 1왕복 추가되었고, 1926년에는 울산선 운행 횟수가 4왕복으로 늘어났다. 국유화 이후에는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가 도입되어 여객 운송을 담당하면서 혼합 열차는 점차 사라졌다.

1927년 당시 경동선은 대구역을 통해 조선총독부 철도국 노선, 일본 철도성 노선, 남만주철도 노선(화물) 등과 연결되었다. 또한 택산기선, 조선우선 등의 해상 운송, 대구, 경주, 영천, 포항, 울산 등지에서 버스 노선과도 연락운송을 시행하여 여객과 화물 운송을 원활하게 했다.[1] 국유화 이후에는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연락운송규칙에 따라 전국적인 교통망과 연결되었다.[1]

조선철도는 탱크식 증기 기관차, 보기 객차, 유개화차, 무개화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보유했다. 국유화 이후에도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 도입 외에는 기존 차량을 계속 사용했다.

3. 1. 운행

열차는 기본적으로 증기기관차가 견인하는 여객/화물 혼합열차로 편성되었고, 급행열차 없이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였다. 부정기 화물열차를 제외하면 울산에서 대구 방면으로 직결 운행하는 열차는 단 한 번도 없었으며, 대구 ~ 학산 구간(구포선)과 서악 ~ 울산 구간(울산선)은 별개의 노선처럼 운영되었다. 조선중앙철도가 운영하던 1922년 당시 1일 정기열차 운행 횟수는 다음과 같았다.

구간운행 횟수
대구 ~ 영천5왕복
영천 ~ 포항4왕복
포항 ~ 학산4왕복
서악 ~ 경주8왕복
경주 ~ 울산3왕복



본래 구포선이 경주역을 경유하지 않은 이유는 대구에서 포항으로 가면서 경주읍내를 경유하면 형산강을 두 번 건너야 했기 때문에 건설비를 절감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경주 지역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서악 ~ 경주 간 1개 역을 왕복하는 구간 열차를 편성해야 했고, 결국 1927년에 경주역에서 분기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조선중앙철도가 조선철도에 합병된 후, 처음으로 여객열차가 편성되어 대구 ~ 포항 간을 1일 1왕복 운행하였다. 1926년에는 울산선 운행 횟수가 4왕복으로 증편되었다.

국유화된 후 조선총독부 철도국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도입하면서 여객 운송은 점차 동차로 교체되었고, 여객/화물 혼합열차 편성은 사라졌다. 1923년에는 대구-포항 간 1일 1왕복 운행이 추가되었고, 1926년에는 대구-울산 간 1일 4왕복 운행이 추가되었다.

3. 2. 연락 운송

1927년 당시 경동선은 다음의 운송사업자와 연락운송을 시행하였다.[1]

국유화된 후에는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연락운송규칙에 따라 전국의 교통사업자와 연락운송을 시행하였다.[1]

3. 3. 차량

조선철도가 보유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국유화된 후에도 나게하형 가솔린 동차를 도입한 것 외에는 기존의 차량을 계속 사용하였다.

종류상세 내역
기관차
객차
화차



처음에는 여객차와 화물차를 모두 연결한 혼합 열차가 운행되었다. 1922년에는 대구-영천 간 1일 왕복 1회, 영천-포항 간 1일 왕복 4회, 포항-학산 간 1일 왕복 4회, 서악-경주 간 1일 왕복 8회, 경주-울산 간 1일 왕복 3회가 운행되었다. 전용 여객 열차는 조선총독부 철도가 설립된 후 도입되었으며, 1923년에는 대구-포항 간 1일 왕복 1회 운행이 추가되었고, 1926년에는 대구-울산 간 1일 왕복 4회 운행이 추가되었다.

4. 역 목록

1930년 4월 1일 기준으로 조선국유철도의 영업거리 단위가 마일에서 킬로미터로 개정되었다. 당시 동해중부선은 본선과 지선을 포함하여 여러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30년 기준 동해중부선의 본선은 대구역에서 시작하여 포항역을 거쳐 학산역까지 이어졌으며, 전 구간이 경상북도에 위치하였다.

한글 역명한자 역명가나 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대구大邱たいきう0.00.0경부선대구부 칠성정2가
동촌東村とうそん5.45.4달성군 해안면 검사동
반야월半夜月はんやげつ5.210.6경산군 안심면 율하동
청천淸泉せいせん6.116.7경산군 하양면 청천동
하양河陽かよう6.323.0경산군 하양면 금락동
금호琴湖きんこ5.528.5영천군 금호면 교대동
영천永川えいせん5.634.1영천군 영천면 도동
임포林浦りんぽ9.343.4영천군 북안면 임포동
아화阿火あくわ5.649.0경주군 서면 아화리
건천乾川かんせん6.555.5경주군 서면 천포리
광명光明くわうみやう4.860.3경주군 경주면 광명리간이정거장
서악西岳せいがく6.967.2경주군 경주면 서악리간이정거장
경주慶州けいしう1.869.0울산 방면경주군 경주면 사정리
금장金丈きんじよう6.775.7경주군 현곡면 금장리
사방士方しほう8.484.1경주군 강서면 사방리
안강安康あんこう6.390.4경주군 강서면 안강리
부조扶助ふじよ6.496.8경주군 강동면 유금리
효자孝子こうし4.6101.4영일군 연일면 효자동간이정거장
포항浦項ほこう4.0105.4영일군 포항면 포항동
학산鶴山かくさん2.0107.4영일군 포항면 학산동



1930년대 당시 동해중부선에는 구포선(대구 - 포항, 학산)과 울산선(경주 - 장생포) 등의 지선 노선이 있었다.

한글 역명한자 역명가나 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경주慶州けいしう0.00.0대구/학산 방면경상북도 경주군 경주면 사정리
동방東方とふほう6.26.2경상북도 경주군 내동면 동방리간이정거장
불국사佛國寺ぶつこくじ5.311.5경상북도 경주군 내동면 구정리
입실入室にうしつ8.419.9경상북도 경주군 외동면 입실리
모화毛火もうか3.823.7경상북도 경주군 외동면 모화리
호계虎溪こけい7.230.9경상남도 울산군 농소면 호계리
병영兵營へいゑひ7.138.0경상남도 울산군 하상면 남외리간이정거장
울산蔚山うるさん3.441.4경상남도 울산군 울산면 성남동


4. 1. 본선 (1930년 기준)

1930년 당시 동해중부선의 본선은 전 구간이 경상북도에 위치하였다. 노선은 대구역에서 시작하여 포항역을 거쳐 학산역까지 이어졌다.

한글 역명한자 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
대구역大邱0.00.0경부선대구부 칠성정2가
동촌東村5.45.4달성군 해안면 검사동
반야월半夜月5.210.6경산군 안심면 율하동
청천淸泉6.116.7경산군 하양면 청천동
하양河陽6.323.0경산군 하양면 금락동
금호琴湖5.528.5영천군 금호면 교대동
영천永川5.634.1영천군 영천면 도동
임포林浦9.343.4영천군 북안면 임포동
아화阿火5.649.0경주군 서면 아화리
건천乾川6.555.5경주군 서면 천포리
광명光明4.860.3경주군 경주면 광명리
서악西岳6.967.2경주군 경주면 서악리
경주慶州1.869.0울산 방면경주군 경주면 사정리
금장金丈6.775.7경주군 현곡면 금장리
사방士方8.484.1경주군 강서면 사방리
안강安康6.390.4경주군 강서면 안강리
부조扶助6.496.8경주군 강동면 유금리
효자孝子4.6101.4영일군 연일면 효자동
포항浦項4.0105.4영일군 포항면 포항동
학산鶴山2.0107.4영일군 포항면 학산동


4. 2. 지선 (1930년 기준)

1930년대 당시 동해중부선에는 여러 지선 노선이 있었다.

1930년 기준 동해중부선 지선 목록
노선명구간비고
구포선대구 - 포항, 학산현재의 동해선대구선 일부 구간
울산선경주 - 장생포현재의 동해선 일부 및 장생포선 구간
서악 - 장생포|


참조

[1] 서적 South Manchuria Railway, 朝鮮の私設鐵道 (Chōsen no Shisetsutetsudō) 1925
[2] 뉴스 Establishment of the Chosen Railway http://newslibrary.n[...] Dong-A Ilbo 1923-09-03
[3]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1938-05-03
[4] 문서
[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認可 1917-12-28
[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認可 1918-07-22
[7]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認可 1918-11-04
[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認可 1919-01-09
[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認可 1919-01-18
[1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認可 1919-07-04
[1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会社名称変更許可 1919-10-06
[1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彙報 私設鉄道営業哩程改正 1927-07-18
[1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230号 1928-06-19
[1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709号 1935-12-04
[15]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640号 1936-11-18
[16]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514号 1938-06-24
[17]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935号 1938-11-28
[18]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453号 1939-05-25
[19]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431・434号 1945-07-06
[2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7-12-28
[2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07-22
[2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11-04
[2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9-01-09
[2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9-01-18
[2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9-07-04
[26]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224호 및 제230호 http://www.dlibrary.[...]
[27] 웹인용 조선총독부 고시 제70호 https://www.nl.go.kr[...] 1930-02-26
[28]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709호 1935-12-04
[29]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640호 1936-11-18
[30]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514호 1938-06-24
[31]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935호 1938-11-28
[32]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453호 1939-05-25
[33]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431호 및 제434호 1945-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