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화관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화관제는 적의 야간 공습으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빛을 통제하는 조치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 처음 시행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코소보 전쟁 등 여러 전쟁과 분쟁에서 사용되었다. 등화관제는 창문을 가리고 가로등을 끄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초기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레이더, 야간 투시 장비 등 기술 발달로 인해 효용성이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어전 전술 - 교차사격
교차 사격은 여러 지점에서 화력을 집중하여 특정 지점을 공격하는 군사 전술로, 참호전 방어의 핵심이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피해 상황을 비유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지만, 아군 오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전격폭격 - 영국 대공습
영국 대공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이 영국 본토를 폭격한 사건으로, 독일은 공군력으로 전쟁에서 승리하려 했지만, 영국의 방공 능력 향상과 전략적 실패로 인해 동부 전선으로 주 공격 목표를 전환하게 된다. - 민방위 - 방공호
방공호는 공습이나 폭격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시설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건설 및 유지되고 있으며, 지상 벙커, 가정용 대피호, 기존 시설 활용 대피소 등으로 분류된다. - 민방위 - 국민보호
국민 보호는 국제 민간 방위 조약에 따라 유사시 국민을 보호하는 조치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국민 보호법에 근거하여 중앙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가 북한 위협, 테러, 재난 등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평상시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을 실시한다.
등화관제 | |
---|---|
개요 | |
정의 | 등화관제는 항공기가 목표물을 식별하는 것을 막기 위해 빛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
목적 | 야간에 적의 공격으로부터 민간인과 군사 시설을 보호 |
역사 | |
기원 | 제1차 세계 대전 중 공습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 |
발전 | 제2차 세계 대전 중 더욱 광범위하게 시행 |
배경 | 독일 공군의 영국 본토 공습과 같은 야간 공습의 위협 증가 |
관련 사건 | 배데커 폭격과 같은 무차별 폭격 |
시행 방법 | |
일반적인 조치 | 모든 창문과 문을 가림 실외 조명 제한 또는 금지 자동차 전조등 가림 주요 시설 (공장, 항구 등) 위장 |
기술적 방법 | 빛의 파장을 조절하여 특정 장비로만 보이게 하는 기술 사용 |
효과 | |
긍정적 효과 | 적 항공기의 목표 식별 방해, 공습 피해 감소 |
부정적 효과 | 교통사고 증가, 범죄 증가, 심리적 불안감 조성 |
관련된 것 | |
관련 용어 | 빛줄기 전투 영국 대공습 공습경보 소등 명령 |
관련 조직 | 공습예방대(ARP), 민방위대(CDS) |
기타 | 방공호, 등화관제구역 |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1914년 8월 12일 영국은 윈스턴 처칠 해군 장관이 수립한 해안 도시 암흑 계획을 시행하며 등화관제를 시작했다.[1] 1914년 10월 1일 런던 경찰청장은 런던 지역의 밝은 외부 조명을 끄거나 어둡게 하고 가로등을 검은 페인트로 부분적으로 칠하도록 명령했다.[2] 1916년 2월에는 정전 제한이 잉글랜드 전역으로 확대되었다.[4] 프랑스에서는 1915년 봄 파리에 등화관제가 실시되었지만, 이후 완화되었다가 1918년 봄에 다시 도입되었다.[5] 독일 제국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으로부터 150km 후방 지역에서만 등화관제가 시행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은 1939년 9월 1일 전쟁 선포 전에 등화관제 규정을 시행했다. 모든 창문과 문을 밤에 두꺼운 커튼, 판지 또는 페인트와 같은 적절한 재료로 덮어야 했다.[7] 가로등과 같은 외부 조명은 소등되거나 빛을 아래로 반사하도록 조도가 낮춰지고 차폐되었다. 신호등 및 차량 전조등과 같은 필수 조명에는 빔을 지면으로 아래로 반사하도록 슬롯형 덮개가 장착되었다.[8]
등화관제는 민간 활동을 방해하고 사기를 저하시켰으며,[9] 야간 운전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켰다.[11] 1945년 4월, 거리의 완전한 조명이 허용되었고, 히틀러가 자살한 날인 4월 30일, 등화관제가 처음 시행된 지 5년 123일 만에 빅 벤에 불이 켜졌다.[7]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국 본토는 공습에 노출되었지만, 이는 미미하거나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다. 대서양 연안에서는 연안 등화 관제의 부재로 인해 연합군 선박의 윤곽이 드러나 독일 잠수함의 공격에 취약해졌다.[12]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등화관제는 효과가 낮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고성능 레이더를 탑재한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도시나 목표물을 폭격할 수 있었고, 레이더가 발달하지 않은 시기부터 무선 방위 측정 장비를 사용한 야간 폭격이 실시되었다.
일본에서는 방공법에 근거하여, 1938년 4월 10일 등화관제 규칙이 실시되었으며,[20][21] 1945년 8월 20일 전국적인 등화관제가 해제되었다.
6.25 전쟁 발발 이후, 1950년 6월 29일,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모지시, 고쿠라시, 토바타시, 야하타시(이 4시는 후에 합병하여 현재의 기타큐슈시) 그리고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의 6개 시에서 이타즈케 비행장을 중심으로 등화관제가 실시되었다.[22]
걸프 전쟁 당시 1992년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에서 엄격한 등화 관제가 실시되었으나, 미국군의 야간 투시 장비나 GPS 유도 기술 등 정밀 폭격의 정확도가 매우 높아 거의 무의미했다. 코소보 분쟁 시기인 1999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현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에서 등화관제가 실시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8월 12일, 영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8일 만에 윈스턴 처칠 당시 해군 장관이 수립한 해안 도시 암흑 계획을 시행했다.[1] 1914년 10월 1일, 런던 경찰청장은 런던 지역의 밝은 외부 조명을 끄거나 어둡게 하고 가로등을 검은 페인트로 부분적으로 칠하도록 명령했다.[2] 다른 지역에서는 지방 당국이 이 문제를 담당했다. 1915년 초 독일의 전략 폭격이 시작된 후, 정전 조치가 없던 마을의 일반 시민들은 공습을 유인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가로등을 부수는 등 자율적으로 법을 집행하기도 했다.[3] 1916년 2월에는 정전 제한이 잉글랜드 전역으로 확대되었다.[4]프랑스에서는 1915년 봄 제플린 공습이 시작되면서 파리에 대해 등화관제가 실시되었지만, 이후 완화되었다가 독일군이 이 도시에 중폭격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1918년 봄에 다시 도입되었다.[5]
독일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으로부터 150km 후방 지역에서만 등화관제가 시행되었다.[6]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비행선이 야간에 영국 상공에 침입하여 런던을 폭격했다. 영국은 대책으로 등화관제를 실시했지만, 처음에는 효과가 없었다. 야간에 직접 정찰을 실시한 결과, 주변 마을의 등불 속에서 암흑의 런던이 떠오르는 것을 발견했고, 등화관제 범위를 확대하여 비로소 효과가 나타났다. 등화관제의 결과, 폭탄의 절반이 도시 외곽에 투하되어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게 되었다.[19]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공군성은 영국이 야간 공습으로 인해 많은 수의 민간인 사상자와 대량 파괴를 겪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지상에서 인공적인 불빛을 소등하면 항해와 목표 지점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데 널리 동의했다. 1939년 7월 초, 공공 정보 팜플렛은 등화관제 기간 동안 등화관제 규정을 완전히 시행하기 위해 대중의 규율이 필요함을 경고했다.[7]등화관제 규정은 전쟁 선포 전인 1939년 9월 1일에 시행되었다. 이 규정은 적 항공기를 도울 수 있는 약간의 빛이라도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든 창문과 문을 밤에 두꺼운 커튼, 판지 또는 페인트와 같은 적절한 재료로 덮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정부는 필요한 재료를 확보했다.[7] 가로등과 같은 외부 조명은 소등되거나 빛을 아래로 반사하도록 조도가 낮춰지고 차폐되었다. 신호등 및 차량 전조등과 같은 필수 조명에는 빔을 지면으로 아래로 반사하도록 슬롯형 덮개가 장착되었다.[8]
상점과 공장은 특히 문제가 많았다. 대규모 유리 지붕이 있는 공장은 임시 등화관제 패널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영구적인 방법(예: 페인트)은 일광 중 자연광을 잃었다. 상점은 고객이 들어오고 나갈 때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 "에어록" 문을 설치해야 했다.[7]
등화관제는 전쟁의 가장 불쾌한 측면 중 하나로 입증되어 많은 민간 활동을 방해하고 광범위한 불만과 사기를 저하시켰다.[9] 등화관제는 민간 ARP 감시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이들은 건물에서 빛이 조금이라도 새어 나오지 않도록 했다.[10] 위반자는 엄격한 법적 처벌을 받았다.[7]
등화관제 제한은 야간 운전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켰고 그 결과 사망자가 증가했다. 그 결과, 일부 측면은 완화되었고 속도 제한이 낮아졌다. 등화관제 기간 동안 밤에 부두에 빠져 익사한 상선 선원들의 사망자도 기록되었다. 어둠 속에서 범죄도 증가했다.[11]
독일의 전쟁 수행 능력이 감소함에 따라 1944년 9월에 달빛에 해당하는 조명을 허용하는 "조도 제한"이 도입되었다. 경보가 울리면 완전한 등화관제가 시행되었다. 1945년 4월에는 거리의 완전한 조명이 허용되었고, 히틀러가 자살한 날인 4월 30일, 등화관제가 처음 시행된 지 5년 123일 만에 빅 벤에 불이 켜졌다.[7]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국 본토는 더치 하버 폭격, 룩아웃 공습, Fu-Go 풍선 폭탄 등 일본과의 전쟁 중에 공습에 노출되었지만, 이는 미미하거나 무시할 만한 수준으로 간주되었고 미국의 사기와 전쟁 노력에 아무런 피해를 주지 못했다. 대서양 연안에서는 연안 등화 관제의 부재로 인해 연합군 선박의 윤곽이 드러나 독일 잠수함의 공격에 취약해졌다. 연안 지역 사회는 관광 산업에 대한 잠재적 피해를 언급하며 편의상 등화 관제 시행에 저항했다. 그 결과, 독일 잠수함 부대원들이 "두 번째 행복한 시절"이라고 칭한 비참한 선박 손실이 발생했다.[12]
민간 시설에서의 등화관제는 특히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영국,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등의 예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등화관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미 효과가 낮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일본을 폭격한 미국의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는 고성능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도시의 시가지나 목표물을 폭격할 수 있었고, 영국을 폭격한 독일의 He 111 폭격기나 독일을 폭격한 영국의 랭커스터 폭격기는 레이더가 발달하지 않은 시기부터 무선 방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야간 폭격을 실시했다. 이들은 정밀도가 부족했기 때문에, 미국은 P-51 머스탱 전투기나 B-29가 정찰기로서 선도했고, 영국은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전투기를 유도기(패스파인더)로 운용했다.
일본에서는 방공법에 근거하여, 중일 전쟁 시기인 1938년(쇼와 13년) 4월 10일자로 등화관제 규칙이 실시되었으며[20][21],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여 대동아 전쟁에서의 조직적인 전투가 거의 종결된 후인 1945년(쇼와 20년) 8월 20일자로 전국적인 등화관제가 해제되었다. 다만, 이 근거법인 방공법의 폐지는 이듬해 1946년(쇼와 21년) 1월 31일까지 늦어졌다.
2. 3. 6.25 전쟁
1950년 6월 29일,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모지시, 고쿠라시, 토바타시, 야하타시(이 4시는 후에 합병하여 현재의 기타큐슈시) 그리고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의 6개 시에서 이타즈케 비행장을 중심으로 등화관제가 실시되었다(동시에 공습 경보도 발령).[22] 이는 한국 전쟁에서 미군의 군사 작전을 지원하고, 북한군의 공습으로부터 주요 도시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2. 4. 걸프 전쟁
1992년, 걸프 전쟁 당시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에서 엄격한 등화 관제가 실시되었으나, 미국군의 야간 투시 장비나 GPS 유도 기술 등 정밀 폭격의 정확도가 매우 높아 거의 무의미했다. 이 교훈 때문인지, 2003년의 이라크 전쟁 당시에는 적극적인 등화 관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2. 5. 코소보 분쟁
199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코소보 전쟁에 대한 군사 개입인 연합군 작전을 수행했을 때,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현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에서 등화관제가 실시되었다.3. 방법
등화관제는 각 가정에서 등화를 각자 처리하는 '''개별 관제'''와, 발전소 및 변전소에서 통일적으로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통일 관제'''로 나뉜다.[17] 통일 관제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일반 방공 업무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으며, 전등을 소등해도 전등 이외의 등화 관제가 별도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17] 가로등이나 공장 등 특정 종류의 등화를 대상으로 통일적으로 관제를 실시하는 등화 관제는 종별 통일 관제(선택 관제)라고 한다.[17]
등화 관제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17]
- 소등
- 은폐: 빛이 새는 개구부를 빛이 투과하기 어려운 재료로 덮어 외부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17]
- 감광: 전압을 낮추거나 광원을 덮어 등화의 밝기를 정해진 값까지 낮추는 것.[17]
- 감광 차광: 등화를 어느 정도 감광한 후, 직사광이 향하는 범위를 제한하거나, 광원을 상공에서 투시할 수 없도록 하는 것.[17]
- 누광 제한: 개구부에서 새는 빛을 제한하는 것.[17]

조명을 끄거나 대형 공공 구조물의 창문에 타르를 칠하여 빛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실내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 어두운 암막 커튼이 사용되었다. 창문에 타르를 칠하는 것은 반영구적인 등화관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디트로이트와 같은 도시에서 등화관제 공습 훈련을 실시했다. 이 기간 동안 도시의 민방위 요원들은 즉시 인근의 공습 경보를 울렸고, 가족들은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했다.
# 스토브, 오븐, 난방기와 같은 모든 기기의 전원을 끈다.
# 물과 천연 가스 또는 프로판 밸브를 잠그고, 전기를 차단한다.
# 암막 커튼을 닫는다(빛이 들어오거나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검은색 커튼). 이 단계는 원자 시대가 시작된 후 변경되었다. 흰색 커튼은 폭탄의 열 섬광을 반사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공중의 적이 창문에서 나오는 빛을 보지 못하도록 검은색 커튼이 사용되었다.
# 공공 대피소, 방사능 대피소 또는 지하실로 이동하여 지역 경찰이나 블록 감시원이 등화관제를 해제할 때까지 그곳에 머무른다.[14][15]
군 작전 부대가 등화관제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으며, 포클랜드 전쟁에서는 영국의 수륙 양용전 부대와 그 호위 부대가 실시했다.[18]
4. 현대 기술과 등화관제
현대에는 레이더, 야간 투시경, 위성 기반 및 관성 항법 시스템과 같은 첨단 기술이 발달하면서, 항공기와 유도 미사일이 정적인 표적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어 항공 공격에 대한 등화관제의 이점은 대부분 무효화되었다.[14][15]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도 항공기는 무선 빔 항법(빔 전투 참조)을 사용했고, 지상 항공 레이더 (예: H2X)에 의해 표적이 감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1년 걸프 전쟁 동안 바그다드 당국은 걸프 전쟁 공습이 도시를 공격하기 전에 다른 시민 방위 절차와 함께 등화관제를 실시했다.[16]
참조
[1]
웹사이트
The Blackout in Britain and German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ore.exeter.a[...]
University of Exeter
2011-03
[2]
서적
The First Blitz: Bombing London in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5
[3]
문서
Wiggam p. 54
[4]
문서
Wiggam p. 52
[5]
웹사이트
Is Paris Burning?
https://geographical[...]
Peter Wall
2012-10-20
[6]
문서
Wiggam p. 53
[7]
웹사이트
New restrictions on the home front – Britain is blacked out!
http://www.homesweet[...]
2006-07-02
[8]
웹사이트
The Blackout
http://www.woodlands[...]
[9]
서적
Half the Battle: Civilian Morale in Britai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0]
문서
The activities of ARP Wardens led to ambivalent public attitudes and the catch-phrase ''put that light out!''. The BBC sitcom "''Dad's Army''" includes an officious and disliked Warden.
[11]
웹사이트
10 facts about crime on the home front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www.historye[...]
[12]
서적
Operation Drumbeat: The Dramatic True Story of Germany's First U-Boat Attacks Along the American Coast in World War II
Harper and Row
[1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4]
웹사이트
The Arsenal of Democracy
http://www.hal.state[...]
Michigan Historical Museum
[15]
웹사이트
MICHIGAN CIVIL DEFENSE MUSEUM, online historical museum
http://www.michiganc[...]
[16]
서적
Strategic Air Power in Desert Stor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17]
간행물
null
https://doi.org/10.2[...]
一般社団法人 照明学会
1940
[18]
웹사이트
第8章 海上作戦の観点から見たフォークランド戦争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null
[19]
문서
null
https://dl.ndl.go.jp[...]
null
[20]
문서
官報
[21]
뉴스
東京朝日新聞
[22]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