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코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코타족은 수어 사용 부족으로, 9~12세기 농경 사회를 이루었고, 17세기 중반부터 대평원으로 이동하여 아메리카들소 사냥을 중심으로 생활했다. 미국과의 관계에서 라라미 조약 체결, 수 전쟁, 리틀빅혼 전투 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보호 구역에서 거주하며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다. 라코타족은 7개의 지파로 나뉘며, '라코타'는 "친구, 동맹자"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다코타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수 연맹
    수 연맹은 미시시피강 수원지에서 시작하여 사우스다코타주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연맹으로, 유목 생활과 들소 사냥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미국 정부와의 충돌과 학살을 겪은 후 현재는 보호구역에 거주하며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사우스다코타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수 연맹
    수 연맹은 미시시피강 수원지에서 시작하여 사우스다코타주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연맹으로, 유목 생활과 들소 사냥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미국 정부와의 충돌과 학살을 겪은 후 현재는 보호구역에 거주하며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사우스다코타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다코타인
    다코타인은 "친구" 또는 "동맹"을 의미하는 라코타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북아메리카 원주민인 수족의 한 갈래로, 역사적으로 북아메리카 광범위한 지역에 7개의 부족으로 나뉘어 살았고, 다코타어를 사용하며, 미국과 캐나다에 흩어져 살고 있다.
  • 사우스다코타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운디드니 학살
    운디드니 학살은 1890년 12월 29일 미국 제7기병대가 라코타족을 상대로 자행한 사건으로, 유령 춤을 추며 저항하던 라코타족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300명에 달하는 라코타족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 사우스다코타주의 미국 원주민 역사 - 타슈카 위트코
    타슈카 위트코, 영어 이름 크레이지 호스는 19세기 미국 서부 개척 시대 라코타족 수우족의 용맹한 전사로, 백인 침략에 맞서 싸웠으며 리틀 빅혼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으나 미군에 항복 후 저항하다 최후를 맞이했고 현재 블랙힐스에 기념비가 건설 중이다.
라코타족
개요
시팅 불, 훈크파파 라코타 추장
시팅 불, 훈크파파 라코타 추장 및 성스러운 사람 (1831년경 – 1890년 12월 15일)
총 인구115,000명 이상 (등록된 구성원, 2015년 기준)
거주 지역미국 (노스다코타주, 사우스다코타주)
캐나다 (매니토바주, サスカチュワン州)
언어영어, 라코타어
종교워체키예, 라코타 종교
관련 민족다른 수족 (산티, 시세톤 와페톤 오야테, 얀크톤, 얀크토나이)
어원라코타 (동맹 또는 친구)
민족 명칭라코타 오야테
언어 명칭라코티야피, 위유트타피(평원 인디언 수화)
거주 지역 명칭라코타 마코체, 오체티 샤코윙(수족)
언어 정보
라코타어 발음IPA: /laˈkˣota/
라코타어 표기Lakȟóta/Lakhóta

2. 역사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 옥양목 티피에 그려진 라코타족의 전투 장면


라코타족의 역사는 그들의 겨울 샘 달력(waníyetu wówapilkt, 와니예투 워와피)에 기록되어 있다. 동물의 가죽에 그림으로 된 이 달력에는 라코타족의 역사에서 중요한 일들이 기록되어 있다.

1730년 무렵 샤이엔족이 라코타 사람들에게 "힘센 개"(šuŋkawakaŋlkt, 숭카와캉)라고 부르던 타는 법을 알려주었다.[46] 말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라코타족 문화의 중심은 아메리카들소 사냥이 되었다. 1660년 무렵 프랑스 탐험대는 수족 전체의 인구를 라코타와 다코타를 합하여 2만 8천여 명 정도로 파악하였다. 1805년 조사에서 라코타 사람들의 인구는 8천 5백 명으로 집계되었고 1881년에는 1만 6천 110명으로 늘어났다. 19세기 상황에서 인구가 늘어난 아메리카 원주민 그룹은 극히 드물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 라코타족은 약 17만 명이었고,[47] 여전히 일상어로 라코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2천 명 정도였다.[48]

1765년 라코타족은 샤이엔족이 살던 블랙힐스에 부족 사람들을 이끌고 들어가 정착하였고,[49] 10년 뒤 오글랄라와 시창구 사람들이 뒤따라 강을 건너 블랙힐스 부근에 모이게 되면서 샤이엔족은 보다 서쪽의 파우더강 유역으로 이주하였다.[46] 이로서 블랙힐스는 라코타 사람들의 고향이 되었다.

오늘날 라코타족은 주로 사우스다코타주 서부의 다섯 개 보호 구역에 거주한다.

보호구역부족
로즈버드 인디언 보호 구역시창구족
파인리지 인디언 보호 구역오글랄라족
로어브룰레 인디언 보호 구역시창구족
샤이엔강 인디언 보호 구역므니코워주족, 이타지프초족, 시하사파족, 오오헤눙파족
스탠딩락 인디언 보호 구역훙크파파족을 비롯한 여러 집단에서 이주한 라코타족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은 아메리카 원주민을 통신 보안을 위한 암호 통신병으로 활용하였다. 태평양 전쟁에서 나바호족의 참전이 널리 알려져 있다.[64] 라코타족 역시 이러한 통신병으로 복무하였으며 유럽 전선에 참전하였다.[65]

아메리카 원주민을 "인디언"(Indians영어, 인도인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인도로 착각하여 붙인 이름)이라 부르며 "야만인"으로 취급하던 유럽계 미국인의 편견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은 채 인종 차별이 일어나고 있다.[66]

라코타족이 거주하는 보호 구역 내에는 매우 높은 실업률과 이에 따른 알콜 중독과 같은 사회 문제 때문에 자녀들의 취학률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사우스다코타주 챔버레인에 있는 악타 라코타 박물관

2. 1. 기원과 정착

라코타족은 원래 오대호 주변에 살았다고 전해진다. 이들은 1600년 무렵 슈피리어호 인근에서 사냥과 낚시, 야생 곡물 채집을 하며 생활했다. 옥수수도 재배했지만, 토양 때문에 생산량에는 제한이 있었다.[44]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 라코타족은 미시시피강 상류 지역인 오늘날의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아이오와주, 다코타 준주 지역에 걸쳐 살았다.[43]

17세기 후반, 라코타족은 경쟁 관계에 있던 아니시나아베족과 크리족에 밀려 미국 중서부의 대평원으로 이동했다.[43] 1730년경 샤이엔족에게서 을 도입하면서, 라코타족의 문화는 아메리카들소 사냥을 중심으로 변화했다.[46]

라코타족의 역사는 '겨울 샘 달력'(waníyetu wówapilkt)에 기록되어 있다. 동물의 가죽에 그림으로 표현된 이 달력에는 900년경 라코타족의 예언자 프테상윙(흰 들소 송아지 여인)이 라코타 사람들에게 흰 들소 송아지 파이프를 건네준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45]

1720년 이후, 라코타족은 사오네와 오글랄라-시창구 두 집단으로 나뉘었다. 사오네는 트레버스호 주변으로, 오글랄라-시창구는 제임스강 유역에 정착했다. 1750년경 사오네는 다시 미주리강 유역으로 이동했고, 오글랄라-시창구도 뒤따랐다. 18세기 무렵 아리카라족, 만단족, 히다차족이 라코타족의 이동을 막았으나, 1772년에서 1780년 사이 천연두 유행병으로 이들 부족의 인구가 크게 줄면서 라코타족은 미주리강을 넘어 대평원에 정착하게 되었다.[49]

2. 2. 미국과의 관계

미합중국이 라코타족과 처음 만나게 된 것은 1804년에서 1806년에 이루어진 루이스 클라크 탐험이었다. 라코타족은 무장 탐험대가 자신들의 영토를 지나 상류로 향하는 것을 거부하고 전투를 준비하였으나, 탐험대가 라코타 영토에서 물러나 무력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50] 1823년 미군과 아리카라족 사이에 아리카라 전쟁이 일어나자 라코타족의 일부는 미군을 도와 자신들의 경쟁자였던 아리카라족을 공격하였다.[51]

1843년 남부 라코타족은 푸른 외투 추장이 이끌던 루프강 유역의 포니족 마을을 공격하여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마을을 불태웠다.[52] 30년 뒤인 1873년 라코타족은 미주리강의 또 다른 지류인 리퍼블리컨강에서 협곡 학살로 포니족을 완전히 무너뜨렸다.[53]

1851년 라라미 조약 당시 라코타족의 영토로 인정된 지역(지도의 408, 516, 584, 597, 598, 632 지역).


1868년 라라미 조약의 채결을 촬영한 사진. 윌리엄 테쿰세 셔먼(왼쪽에서 세번째)이 여러 부족의 추장들과 조약에 서명하고 있다.


라라미 요새는 1834년 가죽 무역의 거점으로 설치된 요새로, 라코타족은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갈등이 일어나기 전까지 이곳을 통해 아메리카들소의 가죽을 팔고 필요한 물품을 샀다.[54] 미국 정부는 인디언 이주법을 만들어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이주시키고 유럽계 이주민을 정착시키는 식민정책을 실시하였고, 이 과정에서 많은 무력 충돌이 일어났다.[55] 1830년대 이후 골드 러시로 많은 사람들이 서부로 몰려들자 미국 정부는 통행의 안전을 이유로 미시시피강 경계를 파기하고 서부에서도 인디언 보호 구역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1851년 라라미 조약은 대평원에 살던 여러 부족들에게 미국 정부가 그들의 영토를 인정하는 대신 서부로 향하는 여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로 한 조약이다. 그러나 이 조약은 명목상 원주민의 영토만을 인정했을 뿐, 늘어나는 유럽계 이주민의 정착지의 제한이나 원주민의 권리에 대해서는 어떠한 보장도 없었기 때문에 원주민의 입장에서는 미국 정부가 약속을 어긴 것으로 비춰졌다. 결국 조약 이후에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게 되었다.

1855년 윌리엄 S. 하니가 이끄는 미군이 네브라스카의 라코타족 마을을 공격하여 어린이를 포함한 100여 명의 사람을 죽였고, 이에 라코타 사람들도 미군을 공격해 보복하는 그래턴 학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군과 수족 사이의 수 전쟁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라코타족과의 간헐적인 전투만 일어났으나 미국의 강요로 원래 살던 고향을 떠나 척박한 땅에서 허덕이던 다코타족들이 1862년 전투에 합류하면서 다코타 전쟁이 일어나 결국 수족 전체와 미군 사이의 무력 충돌로 확대되었다. 1865년 남북 전쟁이 끝나자 미군은 남부로 향했던 병력을 서부 원주민들에게 돌렸다.

1865년 보스먼 가도를 따라 몰려 오는 "백인"들의 마차 행렬이 라코타족과 충돌을 일으켰다. 마흐피야 루타는 영토를 침범한 미군을 상대로 붉은 구름 전쟁을 벌였다. 사태가 장기화되자 미군은 요새의 철수를 약속하고 1868년 라라미 조약을 채결하였다.[57] 그러나 블랙힐스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백인은 영원히 블랙힐스에 정착하지 않는다"는 조약은 다시 파기되었다.[58]

남북 전쟁에서 로버트 E. 리의 항복 서명을 받아 유명해진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가 블랙힐스 지역 제7기병연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한편 이 지역 미군 사령관 필립 셰리든은 "인디언 말살"을 위해 아메리카 원주민의 주요 자원이었던 아메리카들소를 마구 사냥하여 죽였다.[59]

1868년 라라미 조약 이후에도 블랙힐스 인근에서 미군과 아메리카 원주민 사이의 크고 작은 무력 충돌은 끊임 없이 이어졌다. 라코타의 타탕카 이오타케는 성스러운 고향을 팔 수 없다는 이유로 조약을 거부하고 보호 구역으로 이주를 거부하였다.

1876년 6월 25일 커스터가 이끄는 제7기병연대는 타탕카 이오타케의 마을을 공격하여 리틀빅혼 전투가 벌어졌다. 그러나 타탕카 이오타케의 마을은 이미 1만명이 넘게 거주하고 있었고, 전사만 2천명이 넘게 모여 있던 상태였다. 이들은 마을로 돌격해 오는 기병대를 궤멸시켰고 커스터 역시 전사하게 되었다. 미국 인디언 전쟁 기간 동안 미국 기병대의 연대 전체가 궤멸하여 패퇴한 전투는 극히 드문 사건이었다.[61] 전투 이후 미국 의회는 2천5백 명의 병력 파병을 의결하였고 타탕카 이오타케는 미군의 추격을 피해 캐나다로 피신하였다. 타탕카 이오타케는 굶주림과 추위때문에 결국 항복하였고 인디언 당국의 감시 속에 살다가 1890년 그를 체포하려는 인디언 당국 요원과 총격전이 일어나 사망하였다. 같은 해 말 운디드니 학살이 일어나 어린이를 포함한 200여 명의 라코타 사람들이 제7기병연대에게 죽임을 당했다.[62]

1804년부터 1806년까지 이루어진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 당시 미국과 라코타족의 최초 접촉은 대치 상황으로 시작되었다. 라코타 부족들은 탐험대가 상류로 계속 진행하는 것을 거부했고, 탐험대는 전투 준비를 했으나 실제 전투는 일어나지 않았다.[14]

라코타족 일부 부족들은 1823년 아리카라 전쟁 당시 미주리 강 서쪽에서 부족 간 전쟁에서 미국 육군을 도운 최초의 원주민이 되었다.[15] 1843년, 남부 라코타족은 네브래스카주 루프 근처 파우니족 추장 블루 코트의 마을을 공격하여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움집의 절반을 불태웠다.[16] 라코타족이 파우니족에게 이처럼 큰 타격을 입힌 다음 사건은 1873년 리퍼블리컨 강 근처에서 벌어진 매서커 캐니언 전투였다.[17]

거의 반세기 후, 미국이 라코타족과 아라파호족의 땅에 허가 없이 포트 라라미를 건설한 후, 유럽계 미국인 여행객들을 오리건 트레일에서 보호하기 위해 1851년 포트 라라미 조약을 체결했다.[18] 이전에 샤이앤족과 라코타족은 자원 경쟁과 일부 정착민들의 토지 침범으로 인해 이민자들을 공격한 적이 있었다.[19] 포트 라라미 조약은 "강이 흐르고 독수리가 나는 한" 유럽계 미국인들이 오리건 트레일을 자유롭게 통과하는 대가로 대평원에 대한 라코타족의 주권을 인정했다.[20] 미국 정부는 무단 정착 금지 조항을 시행하지 않았고, 라코타족과 다른 부족들은 이러한 침범에 대한 저항의 일환으로 정착민들과 이민자 행렬을 공격했다. 이에 대한 미군의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1855년 9월 3일, 미국 육군 준장 윌리엄 S. 하니휘하 700명의 병사들이 그래튼 학살에 대한 보복으로 네브라스카주에 있는 라코타족 마을을 공격하여 약 100명의 남녀노소를 살해했다. 일련의 단기 "전쟁"이 이어졌고, 1862년부터 1864년까지 미네소타주 "1862년 다코타 전쟁"의 원주민 난민들이 서쪽으로 피난하여 몬태나주와 다코타 준주에 있는 동맹 부족들에게로 도망쳤다. 미국 남북 전쟁 이후 평원 지역의 백인 불법 정착이 증가하면서 라코타족과 다시 전쟁이 일어났다.

블랙힐스는 라코타족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졌고, 그들은 광산 개발에 반대했다. 1866년부터 1868년까지 미국 육군은 보즈먼 트레일을 따라 광부들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된 미군 요새를 둘러싸고 라코타족과 그 동맹 부족들과 싸웠다. 오글랄라족 추장 레드 클라우드는 그의 백성을 이끌고 레드 클라우드 전쟁에서 승리했다. 1868년, 미국은 1868년 포트 라라미 조약을 체결하여 블랙힐스를 영원히 모든 백인 정착민으로부터 제외했다. 그러나 4년 후 그곳에서 이 발견되었고, 광부들이 그 지역으로 몰려들었다. 라코타족의 정착민과 광부에 대한 공격은 중령 조지 아머스트 커스터와 같은 육군 지휘관들이 이끄는 군사력으로 맞섰다. 필립 셰리던 장군은 부대원들에게 "인디언의 식량을 파괴하는" 수단으로 들소를 사냥하고 죽이도록 독려했다.[21]

1860년 이후 많은 전쟁에서 라코타족과 아라파호족 연합 부족과 통합된 북부 샤이앤족이 참여했다. 그들은 조지 크룩 장군의 군대를 상대로 로즈버드 전투에서 성공적인 지연 작전을 수행하여 크룩 장군이 그들의 진영을 찾아 공격하는 것을 막았다. 일주일 후, 그들은 1876년 크로 인디언 보호구역(1868년 경계)에서 미국 제7기병대를 리틀 빅혼 전투에서 패퇴시켰다.[22] 커스터는 여러 부족의 야영지를 공격했는데, 그 규모는 그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컸다. 크레이지 호스 추장이 이끄는 그들의 연합군은 258명의 병사를 사살하여 커스터 대대 전체를 전멸시키고 연대의 50% 이상의 사상자를 냈다. 라코타족이 커스터의 군대를 물리쳤지만, 라코타족과 그 동맹 부족들은 미국 육군에 대한 승리를 오래 누리지 못했다. 미국 의회는 2,500명의 병력을 증강하기 위한 자금을 승인했다. 증강된 미국 육군은 일련의 전투에서 라코타족 부족들을 패퇴시켜 마침내 1877년 대수 전쟁을 끝냈다. 라코타족은 결국 보호구역에 갇히게 되었고, 그 지역 너머에서 들소 사냥을 할 수 없었으며, 정부의 식량 배급을 받아들여야 했다. 그들은 주로 노스다코타주와 사우스다코타주, 그리고 미국 전역의 다른 지역에 분산되었다.[23]

1877년, 일부 라코타 부족은 블랙힐스를 미국에 할양하는 조약에 서명했지만, 이 조약의 성격과 통과 과정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조약을 지지한 라코타 지도자의 수는 크게 논쟁의 여지가 있다. 블랙힐스에서는 저강도 충돌이 계속되었다. 14년 후인 1890년 12월 15일, 시팅 불이 스탠딩 록 보호구역에서 사망했다. 미국 육군은 1890년 12월 29일 파인리지에서 라코타족 미니쿠주 부족의 스포티드 엘크(빅풋으로도 알려짐)를 공격하여 수많은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153명의 라코타족을 사살했는데, (부족 추산은 더 높다) 이것이 바로 운디드니 학살이다.

2007년 12월, 라코타 여러 부족은 “미합중국 정부가 독립 지역임을 보장하는 조약을 체결한 이후 150년 동안 준수하지 않았으며, 더 이상 한계이다”라고 하며 조약 파기를 선언하고 라코타 공화국으로서 미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했다. 오글랄라족은 1973년 “운디드 니 점거 시위” 당시에도 독립 선언을 한 바 있다. 2009년 현재, 공식적인 조약 파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 3. 보호구역 시대와 현대

라코타족은 리틀빅혼 전투운디드니 학살 이후 그레이트 수 보호 구역에 설정된 부족별 보호 구역에서 살게 되었다. 1868년 설정된 그레이트 수 보호 구역은 1887년 도우스 법에 의해 현재의 구역이 되었다. 도우스 법은 아메리카 원주민 각 "가족"에게 일정한 크기의 토지를 할양하여 정착시키고자 한 법이었다.[63] 오늘날 라코타족이 거주하는 주요 보호 구역은 다음과 같다.

보호구역부족
로즈버드 인디언 보호 구역시창구족
파인리지 인디언 보호 구역오글랄라족
로어브룰레 인디언 보호 구역시창구족
샤이엔강 인디언 보호 구역므니코워주족, 이타지프초족, 시하사파족, 오오헤눙파족
스탠딩락 인디언 보호 구역훙크파파족을 비롯한 여러 집단에서 이주한 라코타족



라코타족은 그레이트 수 보호 구역 이외에도 몬테나의 포트펙 인디언 보호 구역, 노스다코타의 포트베솔드 인디언 보호 구역과 같은 곳에도 흩어져 살고 있으며 블랙힐스 전쟁 이후 캐나다로 넘어가 할머니(빅토리아 여왕) 땅에 정착한 그룹도 있다. 라코타 족의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여전히 블랙힐스이며 그 외로는 사우스다코타의 래피드시티, 콜로라도의 덴버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은 아메리카 원주민을 통신 보안을 위한 암호 통신병으로 활용하였다. 태평양 전쟁에서 나바호족의 참전이 널리 알려져 있다.[64] 라코타족 역시 이러한 통신병으로 복무하였으며 유럽 전선에 참전하였다.[65]

아메리카 원주민을 "인디언"(Indians영어, 인도인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인도로 착각하여 붙인 이름)이라 부르며 "야만인"으로 취급하던 유럽계 미국인의 편견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은 채 인종 차별이 일어나고 있다.[66] 2010년 라코타족 출신의 세르딕 굿맨은 자신이 원주민이라는 이유로 사회복지사 채용에서 불이익을 받았다고 소송을 제기하였다.[67]

라코타족이 거주하는 보호 구역 내에는 매우 높은 실업률과 이에 따른 알콜 중독과 같은 사회 문제 때문에 자녀들의 취학률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2015년 기준 오글랄라족의 거주지인 파인리지 인디언 보호 구역의 인구는 18,834 명으로 이 가운데 80%의 가정이 알콜 문제를 겪고 있으며, 적절한 산업이 없어 실업율은 90%에 달하고, 자녀의 70%는 고등학교 이전에 학업을 포기하여 청소년 자살율 역시 매우 높다. 주택의 33%는 전기와 수도를 비롯한 현대적 설비가 없다.[68]

1980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미국 정부가 라라미 조약을 일방적으로 어기고 블랙힐스를 보호 구역에서 해제하여 백인 정착촌을 건설한 1877년부터의 토지 사용에 대한 보상으로 원금 1.06억달러와 이자율 5%에 해당하는 이자 1750만달러를 수족 공동체에 지급하도록 판결하였으나 수족은 이 돈의 수령을 거부하고 대신 워싱턴에 수족 기금을 마련하였다.[69] 수족 공동체가 이러한 결정을 내린 이유는 그들의 고향 블랙힐스를 결과적으로 매각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으며 보호 구역으로 반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수족의 원주민으로서 자존심에 의해 나온 것이었지만, 낙후한 경제 사정 때문에 부족 사이에서도 이견이 있다.[70] 워싱턴의 수족 기금은 2011년 1억달러가 되었다.[71] 1991년 라코타 기금이 마련되어 1인당 1천달러에서 1.4만달러의 소액 대출로 창업을 장려하고 있으나 여전히 경제적 성과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72]

1994년 라코타족은 부족의 문화를 지키고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표 없는 국가 민족 기구에 가입하였으나 2007년 탈퇴하였다.[73]

오늘날 라코타족은 주로 사우스다코타주 서부의 다섯 개 보호구역에 거주한다.


  • 파인리지 인디언 보호구역(Pine Ridge Indian Reservation): 가장 많은 수의 라코타 부족인 오글랄라족의 거주지이다.
  • 로즈버드 인디언 보호구역(Rosebud Indian Reservation): 상시찬주 또는 브륀레족의 거주지이다.
  • 로워 브륀 인디언 보호구역(Lower Brule Indian Reservation): 하시찬주족의 거주지이다.
  • 샤이앤 강 인디언 보호구역(Cheyenne River Indian Reservation): 므니코우주, 이타집초, 시하사파, 오헤눔파 등 다른 여러 라코타 부족들이 거주한다.
  • 스탠딩 록 인디언 보호구역(Standing Rock Indian Reservation): 훙크파파족과 다른 많은 부족 사람들이 거주한다.


라코타족은 또한 몬태나주 북동부의 포트 펙 인디언 보호구역(Fort Peck Indian Reservation), 노스다코타주 북서부의 포트 버솔드 인디언 보호구역(Fort Berthold Indian Reservation), 그리고 캐나다 사스캐처원주와 매니토바주에 있는 여러 작은 보호구역에도 거주한다. 미네소타 전쟁과 블랙힐스 전쟁 당시, 그들의 조상들은 "할머니의 땅"(즉, 빅토리아 여왕의 땅)으로 피신했다.

많은 수의 라코타족이 래피드시티와 블랙힐스의 다른 마을들, 그리고 덴버 대도시권에 거주한다. 라코타족 원로들은 그들의 문화 및 토지 권리를 보호하고 인정받기 위해 대표되지 않는 국가 및 민족 기구(UNPO)에 가입했다.

라코타족은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NPR)의 탐사 보도 “잃어버린 아이들, 산산조각난 가족들”이 방영되면서 전국적인 뉴스의 주목을 받았다.[40] 이 보도는 사우스다코타 주 사회복지부(D.S.S.)가 라코타족 아이들을 가정에서 “납치”하는 것으로 많은 비평가들이 간주하는 문제를 폭로했다. NPR은 사우스다코타 주의 위탁 양육 아동 중 절반 이상이 원주민 출신이라고 지적했다. 마돈나 선더 호크(Madonna Thunder Hawk)와 체이스 아이언 아이(Chase Iron Eye)를 비롯한 라코타족 활동가들과 '라코타 족 법률 프로젝트'(Lakota People’s Law Project)는 라코타족 할머니들이 자신의 손주들을 위탁 양육할 권리를 불법적으로 박탈당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사우스다코타 주 D.S.S.로부터 연방 자금을 새로운 부족 위탁 양육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는 라코타족 위탁 아동에 대한 주 정부의 전통적인 통제에서 역사적인 전환을 의미할 것이다.

Square가 제작한 단편 영화 "미국의 라코타족(Lakota in America)"은 미국에서 가장 빈곤한 지역 중 하나인 샤이앤 강 인디언 보호구역(Cheyenne River Indian Reservation)에 사는 젊은 라코타족 무용수 제너비브 아이언 라이트닝(Genevieve Iron Lightning)을 소개한다. 보호구역 내 라코타족에게는 실업, 중독, 알코올 중독, 자살과 같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오늘날, 등록된 수우족의 절반은 인디언 보호구역 외부에서 생활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인정하는 라코타 보호구역은 다음과 같다.

  • 오글랄라족 (사우스다코타주와 네브래스카주 파인리지 인디언 보호구역)
  • 시캉구족 (사우스다코타주 로즈버드 인디언 보호구역) & (사우스다코타주 로워 브륀 인디언 보호구역)
  • 헝크파파족 (노스다코타주와 사우스다코타주 스탠딩 록 보호구역)
  • 미니콩주족 (사우스다코타주 샤이앤 강 수우족 보호구역)
  • 산스 아크/이타집코족 (사우스다코타주 샤이앤 강 수우족 보호구역)
  • 시하사파족 (사우스다코타주 샤이앤 강 수우족 보호구역)
  • 투 케틀즈/오이눈파족 (사우스다코타주 샤이앤 강 수우족 보호구역)


일부 라코타족은 사우스다코타주 동부, 미네소타주, 네브래스카주에 있는 다른 수우족 보호구역에도 거주한다.

  • 네브래스카주 산티 인디언 보호구역
  • 사우스다코타주 중부 크로우 크릭 인디언 보호구역
  • 사우스다코타주 중부 얀크턴 인디언 보호구역
  • 사우스다코타주 동부 플랜드로 인디언 보호구역
  • 노스다코타주 남동부와 사우스다코타주 북동부 레이크 트래버스 인디언 보호구역
  • 미네소타주 로워 수우 인디언 보호구역
  • 미네소타주 어퍼 수우 인디언 보호구역
  • 미네소타주 샤코피-메데와칸톤 인디언 보호구역
  • 미네소타주 프레리 아일랜드 인디언 보호구역


또한, 여러 라코타족은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우드 마운틴 지역공원 근처에 있는 우드 마운틴 제1국 보호구역에 거주한다.

2007년 12월, 라코타 여러 부족은 “미합중국 정부가 독립 지역임을 보장하는 조약을 체결한 이후 150년 동안 준수하지 않았으며, 더 이상 한계이다”라고 하며 조약 파기를 선언하고 라코타 공화국으로서 미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했다. 독립국임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칠레,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 보내는 동시에 미국 국무부에도 선언서를 제출했다. 오글랄라족은 1973년 운디드 니 점거 시위 당시에도 독립 선언을 한 바 있다. 2009년 현재, 공식적인 조약 파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라코타 공화국”의 청사진 자체는 미국 연방 정부가 1868년 제2차 라라미 요새 조약에서 사우스다코타의 거의 전역을 “위대한 수족의 나라(그레이트 수 네이션)”로서 수족에게 연방 조약으로 보장한 것이다. 즉, 라코타족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무효로 한 이 조약 조항을 “실행한다”고 선언한 것이다.

3. 대정부 관계

라코타족은 미국 및 캐나다 정부와 각각 다른 관계를 맺고 있다.

미국 연방 정부는 라코타족을 "국내 의존 국가"로 인정하며,[24] 이 관계는 양측 간 조약에 기반한다. 각 보호구역은 자치 정부를 운영하고, 미국 내무부 인디언 사무국과 협력하여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25] 라코타족은 인디언 게임 규제법에 따라 보호구역 내에서 인디언 게임을 운영할 권리가 있다. 라코타 부족 구성원들은 미국 시민으로서 투표권을 가지며, 각 주와 의회 선거구를 통해 대표된다.[26] 각 부족은 자체 헌법, 규정, 선거를 통해[27][28] 의장 또는 대통령을 선출하는 부족 의회 모델을 따른다.

2007년, 여러 라코타 부족은 미국 정부의 조약 위반을 주장하며 조약 파기와 라코타 공화국 독립을 선포했다. 이들은 여러 국가에 독립 인정을 요청하고 미국 국무부에 선언서를 제출했지만, 2009년 현재 공식적인 조약 파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캐나다에는 라코타족과 다코타족을 합쳐 약 6천 명이 매니토바주서스캐처원주 남부에 거주한다. 이들은 퍼스트 네이션으로 인정되지만, "협약 인디언"에는 포함되지 않아 독자적인 토지 정착권이나 자연 자원 이용권을 주장할 수 없다.[79] 2008년 다코타족의 6000만달러 규모 토지 정착 원조금 지급 요청은 캐나다 정부에 의해 거절되었다.[80]

2007년 UN의 원주민 권리 선언캐나다,[81] 미국 등의 반대로 비준되지 않았다.[82]

라코타족은 정치적 독립보다는 정체성 회복, 교육, 사회 문제 해결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 미국 정부의 동화 정책과 자체 침체로 인해 부족 정체성에 큰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다.[88] 2020년 발표된 보고서는 사우스다코타 사회복지국이 라코타 어린이들을 강제로 가정에서 분리하고 있다고 고발했으며, 이후 라코타 어린이를 위한 기금이 조성되었다.[89]

라코타족은 대표되지 않는 국가 및 민족 기구(UNPO)에 가입하여 문화 및 토지 권리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1. 미국

라코타족은 미국 연방 정부에 의해 "국내 의존 국가"로 인정받으며,[24] 이는 연방 정부와 라코타 부족 간의 조약에 따른 것이다. 각 보호구역은 자치 정부를 구성하여 운영되며, 주로 미국 내무부 인디언 사무국과 협력 관계를 맺고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25]

라코타족은 자치권을 행사하여 1988년 인디언 게임 규제법에 따라 보호구역 내에서 인디언 게임을 운영할 수 있다.

라코타 부족 구성원들은 미국 시민으로서 지방, 주, 연방 선거에서 투표권을 가지며, 각 주와 의회 선거구를 통해 주 및 국가 차원에서 대표된다.[26] 각 부족은 자체적인 헌법, 규정, 선거를 가지며,[27][28] 대부분 부족 의회 모델을 따르고 의장 또는 대통령을 직접 선출한다.

부족현직 대표
오글랄라 수족케빈 킬러
로즈버드 보호구역의 시창주 라코타로드니 M. 보르도
스탠딩 록 보호구역자넷 알키어
샤이엔 강 수족해롤드 프레이저
로어 브룰 수족보이드 I. 구르노



2007년, 라코타 여러 부족은 미국 정부가 조약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조약 파기를 선언하고 라코타 공화국으로서 독립을 선포했다. 이들은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칠레,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 독립 인정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고, 미국 국무부에도 선언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2009년 현재, 공식적인 조약 파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3. 2. 캐나다

캐나다에는 라코타족과 다코타족을 합하여 9개의 그룹이 매니토바주서스캐처원주 남부에 살고 있으며 인구는 약 6천 명 정도이다. 이들은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는 원주민인 퍼스트 네이션으로 인정되지만, 정부와 협약을 체결하여 캐나다 크라운-원주민 관계와 북부 발전 기구를 통해 권리를 보장받는 "협약 인디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캐나다에 거주하는 라코타와 다코타 사람들은 독자적인 토지 정착권이나 자연 자원 이용권을 주장할 수 없다.[79] 2008년 다코타족이 캐나다 정부에 6000만달러 규모의 토지 정착 원조금 지급을 요청했으나 거절되었다.[80]

3. 3. 원주민 운동

2007년 9월 UN은 원주민 권리 선언을 결의하였지만, 캐나다,[81]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같이 정작 원주민의 권리 보호가 절실한 나라들은 비준을 거부하였다.[82]

라코타족은 정치적 독립과 같은 요구보다는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한 자존감과 교육, 사회 문제 해결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미국 정부의 강압적인 동화 정책과 라코타족 스스로의 침체로 인해 부족 정체성에 많은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다.[88] 2020년 발표된 원주민 보호 단체의 《잃어버린 아이들, 부서진 가족들》은 사우스다코타의 사회복지국이 "납치"를 하다시피 라코타의 어린이들을 가정에서 분리시키고 있다고 고발한 바 있다. 이 영상 이후 라코타 어린이를 위한 기금이 조성되었다.[89]

라코타족은 대표되지 않는 국가 및 민족 기구(UNPO)에 가입하여 그들의 문화 및 토지 권리를 보호하고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언어와 문화

라코타족의 초기 역사는 가죽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린 캘린더인 겨울 기록(''waníyetu wówapi'')에 기록되어 있다. '바티스트 굿 겨울 기록'은 흰 들소 송아지 여인이 라코타족에게 흰 들소 송아지 파이프를 준 900년경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다.[7]

라코타족은 수어족에 속하며, 라코타어(''Lakȟótiyapi'')를 사용한다.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 라코타족은 미시시피강 상류 지역에 살았으나, 아니시나베족과 크리족과의 갈등으로 17세기 중후반에 대평원으로 이동했다.[8] 1730년경 샤이앤족에게서 말을 소개받아(''šuŋkawakaŋ'', "힘/신비/경이로움의 개")[10], 말 문화를 받아들여 아메리카들소 사냥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를 이루었다.

1805년 라코타족 인구는 8,500명으로 추산되었고, 1881년에는 16,110명으로 증가했다. 2010년에는 17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지만,[11] 라코타어 사용자는 약 2,000명에 불과하다.[12]

1720년 이후 라코타족은 사오네와 오글랄라-시찬주 두 분파로 나뉘었다. 사오네는 레이크 트래버스 지역으로, 오글랄라-시찬주는 제임스 강 계곡으로 이동했다. 1750년경 사오네는 미주리강 동쪽으로 이동했고, 오글랄라와 브룰레족(Sičháŋǧu)이 뒤따랐다. 1772년~1780년 천연두 유행으로 아리카라족, 만단족, 히다차족 인구의 4분의 3이 사망하자, 라코타족은 미주리 강을 건너 블랙힐스(''Paha Sapa'')로 이동했다.[13]

'라코타(Lakota)'는 "애정을 느끼는, 친절한, 단결된, 동맹된"이라는 뜻이다. '테톤(Teton)', '테투완(Tetuwan)'은 라코타어 'thítȟuŋwaŋ'에서 유래했으며, 그 의미는 불분명하다. 오늘날 많은 부족들이 공식적으로 '수(Sioux)'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일부는 'Sičháŋǧu Oyáte'(브룰레족), 'Oglála Lakȟóta Oyáte'(오글랄라족) 등 전통적인 이름을 사용한다.

라코타의 기도 노래를 부르는 청소년. 2013년 촬영


약 1850년에 제작된 라코타족 구슬 장식 안장 띠


라코타족은 전통적으로 아메리카들소 사냥을 주된 생계 수단으로 삼았으며, 티피라는 이동식 천막을 사용했다. 와칸 탄카(Wakȟáŋ Tȟáŋka, 위대한 혼)를 숭배하며, 태양 춤은 라코타족의 중요한 종교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4. 1. 언어

라코타어수어족에 속하는 수어의 하위 갈래이다. 라코타어를 일상 생활 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약 2천 명 정도로, 주로 노스다코타와 사우스다코타에 살고 있다.[90] 라코타어는 사멸 위기에 처해 있어, 언어 되살리기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91]

라코타어는 아, 에, 이, 오, 우의 다섯 모음과 연구개 비음 ŋ이 결합한 모음을 사용한다. 높낮이에 따른 성조가 있어 양음부호로 이를 구분하는데, 예를 들어 e는 평성을, é는 고성을 나타낸다. 로마자로 표기하기 어려운 자음을 위해 반대 곡절 부호 ˇ가 쓰인다. 예를 들어 Č는 [tʃ]를, Čh는 [tʃʰ]를 표기한다.

어순은 SOV형으로 주어-목적어-술어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종 술어나 주어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 설명을 위해 꾸미는 말이 어근의 앞뒤에 붙거나, 여러 동사를 함께 사용하여 서술할 수도 있다. 같은 어근을 갖는 말이라도 꾸미는 어미와 동사의 변화에 따라 더 복잡한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92]

4. 2. 문화

전통적으로 라코타족은 유목 생활을 하며 아메리카들소 사냥을 주된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46] 티피라는 이동식 천막을 사용하며, 와파하(en)라는 깃털 장식을 쓴다. 와칸 탄카(Wakȟáŋ Tȟáŋka, 위대한 혼)를 숭배하며, 다신교적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다. 와칸 탄카는 천상에 거주하는 대자연의 주인으로 여겨지며, "흰 버펄로"는 대정령의 사자로 여겨진다.[93]

이타집초족 전사 블랙호크가 그린 "대정령 와칸 탄카"


라코타 신화는 와캉 탕카(Wakȟáŋ Tȟáŋkalkt, 위대한 혼)가 지구의 모든 것에 힘이 깃들게 하고 생명의 원을 돌도록 하였다고 설명한다. 들소, 독수리, 사슴을 비롯한 여러 동물에 깃든 힘은 전사들에게 풀어야 할 과제를 준다. 열두 살이 되면 첫 번째 과제를 받고 이를 해결하여 마을의 어엿한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와캉 탕카가 전하는 과제와 비전은 치료사에게 전해지기 때문에 치료사는 종교적인 권위를 지녔다. 치료사는 들소 춤, 초원 춤, 뱀 춤과 같은 의식을 주도하며 부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였다. 라코타족은 생명을 비롯한 가족, 식량, 세계가 모두 원을 그리며 늘어서 있다고 여겼다.[93] 치료사는 사방을 뜻하는 검정(서쪽), 흰색(북쪽), 노랑(동쪽), 빨강(남쪽)의 4색으로 된 치료의 원을 그리고 기원의 춤을 추었다.[94]

태양 춤은 라코타족의 중요한 종교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95]

5. 분파

라코타족은 크게 7개의 지파로 나뉜다.


  • 오글랄라: 파인리지 보호구역에 거주한다. “스스로 흩어지는”이라는 의미이다.
  • 파야부야 - “앞으로 나아갈 이유”라는 의미. 크레이지 호스의 출신 부족.
  • 타피슬레카 - “정신의 강”이라는 의미. 옐로우 베어, 화이트 버드의 출신 부족.
  • 키야크사 - “끊는다”라는 의미.
  • 와자제 - “뱀의 사람들”이라는 의미.
  • 이테시카 - “나쁜 얼굴”이라는 의미. 레드 클라우드의 출신 부족.
  • 오유우페 - “내던지는”이라는 의미.
  • 와구르헤 - “게으름뱅이”이라는 의미.
  • 한크파파: 스탠딩록 보호구역에 거주한다. “원형으로 티피를 치는”이라는 의미. 시팅 불의 출신 부족.
  • 미니콩주: 샤이앤 강 보호구역에 거주한다. “물가에 옥수수를 심는 자들”이라는 의미. 빅풋의 출신 부족. (→운디드 니 학살)
  • 시하사파(블랙풋) - “검은 발”이라는 의미.
  • '''※영어로 하면 같지만, 캐나다와 몬태나에 거주하는 “블랙풋족(시크시카족)”과는 무관하다.'''
  • 오헤눈파(투케틀) - “두 개의 주전자”라는 의미.
  • 시창구(블루레)(:en:Brulé) - “그을린 정강이”라는 의미. 사우스다코타 주 남서부의 로즈버드 보호구역(:en:Rosebud Indian Reservation)에 대부분 거주한다. 시캉 오야테(Sicangu Oyate)라고도 불린다. 레오나르도 클라우드독의 출신 부족.
  • 이타지프초(썬 아크) - “화살을 가지지 않은 자들”이라는 의미.

6. 주요 인물


  • 탄칸카 이요타케(앉은 소) 헝크파파
  • 뛰는 소 (앉은 소의 아버지) 헝크파파
  • 타 슌카 위트코(광적인 말) 오글랄라
  • 마아피야 루타(붉은 구름) 오글랄라
  • 빌리 밀스 오글랄라
  • 러셀 민스 오글랄라
  • 레오나르도 클라우드독 시창

7. 한국과의 관계

1990년대 이후 한국 내에서 라코타족을 비롯한 북미 원주민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 서적 출간, 영화 상영, 문화 교류 행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라코타족의 독립 운동과 전통문화 보존 노력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부 시민단체들은 라코타족과의 연대를 통해 한국 사회의 소수자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ine Ridge Agency https://www.bia.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Indian Affairs 2019-04-07
[2] 웹사이트 Rosebud Agency https://www.bia.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Indian Affairs 2019-04-07
[3] 웹사이트 Cheyenne River Agency https://www.bia.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Indian Affairs 2019-04-07
[4] 웹사이트 Standing Rock Agency https://www.bia.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Indian Affairs 2019-04-07
[5] 웹사이트 Lower Brule Agency https://www.bia.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Indian Affairs 2019-04-07
[6] 서적 Pritzker, 328
[7] 웹사이트 Lakota Winter Counts http://wintercounts.[...] 2012-05-28
[8] 서적 Pritzker 329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akota Tribes https://www.sjsu.edu[...] 2020-12-10
[10] 웹사이트 Cheyenne Primacy: The Tribes' Perspective As Opposed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Army;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Great Sioux War Of 1876' http://www.friendsli[...] Friends of the Little Bighorn 2008-01-13
[11] 웹사이트 https://www.census.g[...] 2016-05-04
[12] 웹사이트 Lakota language critically endangered http://lakhota.org/l[...] 2016-05-04
[13] 백과사전 Kiowas http://plainshumanit[...] 2013-06-23
[14] 서적 The Journals of the Lewis and Clark Expedition University of Nebraska
[15] 서적 The Village Indians of the Upper Missouri. The Mandans, Hidatsas, and Arikaras Lincoln and London 1977
[16] 간행물 The Pawnee Mission, 1834–1846 1994
[17] 간행물 The Battle of Massacre Canyon 1973
[18] 웹사이트 In 1868, Two Nations Made a Treaty. The U.S. Broke It, and Plains Indian Tribes Are Still Seeking Justice https://www.smithson[...] 2018-11-07
[19] 서적 Bury My Heart at Wounded Knee Macmillan 1950
[20] 웹사이트 Treaty of Fort Laramie (1868) https://www.archives[...] 2024-02-02
[21] 서적 All Our Relations: Native Struggles for Land and Life South End Press 1999
[22] 서적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Washington 1904
[2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akota Tribes https://www.sjsu.edu[...] 2024-04-30
[24] 웹사이트 The Indian Reorganization Act http://www.infca.org[...]
[25] 웹사이트 Indian Country Diaries . History https://www.pbs.org/[...] PBS 2012-01-26
[26] 웹사이트 News > Oglala Sioux Tribe inaugurates Cecilia Fire Thunder http://www.indianz.c[...] Indianz.Com 2004-12-13
[27]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Rosebud Sioux Tribe http://www.rosebudsi[...]
[28] 웹사이트 Our Constitution & By-Laws http://www.sioux.org[...]
[29] 뉴스 Ottawa rejects claims by Dakota, Lakota First Nations https://www.cbc.ca/n[...] CBC News 2007-08-01
[30] 뉴스 Dakota Nations reject $60.3 M settlement offer from Ottawa http://findarticles.[...] The Brandon Sun 2008-06-26
[31] 뉴스 Race: The Price of Penance http://www.time.com/[...] 1989-05-08
[32] 뉴스 Saying No to $1 Billion https://www.theatlan[...] 2011-03
[33] 뉴스 Canada votes 'no' as UN native rights declaration passes https://www.cbc.ca/n[...] CBCNews 2007-09-13
[34] 웹사이트 UBB Message – ReaderRant http://readerrant.ca[...] 2008-01-01
[35] 뉴스 Descendants of Sitting Bull, Crazy Horse break away from US http://afp.google.co[...] Agence France-Presse
[36] 뉴스 Withdrawal from US treaties enjoys little support from tribal leaders http://indiancountry[...] Indian Country Today 2008-01-04
[37] 웹사이트 Lakota Sioux Have NOT Withdrawn From the US http://www.dailykos.[...] 2007-12-23
[38] 웹사이트 Lakota group secedes from U.S. http://www.rapidcity[...] Rapid City Journal 2007-12-20
[39] 웹사이트 Lakota group pushes for new nation http://webarchive.lo[...] Argus Leader 2007-12-20
[40] 웹사이트 Native Foster Care: Lost Children, Shattered Families https://www.npr.org/[...] 2020-12-10
[41] 서적 New Lakota Dictionary Lakota Language Consortium 2008
[42] 문서 Ullrich 3
[43] 문서 Pritzker 329
[44] 웹인용 History of the Dakota Tribes https://www.sjsu.edu[...] 2020-12-10
[45] 웹사이트 Lakota Winter Counts http://wintercounts.[...]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2-05-28
[46] 웹인용 Cheyenne Primacy: The Tribes' Perspective As Opposed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Army;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Great Sioux War Of 1876' http://www.friendsli[...] Friends of the Little Bighorn 2008-01-13
[47] 웹사이트 https://www.census.g[...] 2016-05-04
[48] 웹사이트 http://lakhota.org/l[...] 2016-05-04
[49] 백과사전 Kiowas http://plainshumanit[...] 2013-06-23
[50] 서적 The Journals of the Lewis and Clark Expedition University of Nebraska
[51] 서적 The Village Indians of the Upper Missouri. The Mandans, Hidatsas, and Arikaras. Lincoln and London 1977
[52] 간행물 The Pawnee Mission, 1834–1846 Nebraska History 1994
[53] 간행물 The Battle of Massacre Canyon Nebraska History 1973
[54] 웹사이트 Fort Laramie: Crossroads of a Nation Moving West https://www.nps.gov/[...]
[55] 웹사이트 Indian Removal Act: Primary Documents in American History https://guides.loc.g[...]
[56] 서적 Bury My Heart at Wounded Knee Macmillan 1950
[57] 서적 The Lance and the Shield: The Life and Times of Sitting Bull Henry Holt and Company 1993
[58] 서적 Pacifying the Plains: General Alfred Terry and the Decline of the Sioux, 1866–1890 Greenwood Press 1979
[59] 서적 All Our Relations: Native Struggles for Land and Life South End Press 1999
[60] 서적 The Adventures of Buffalo Bill Cody Harper & Brothers 1904
[61] 웹인용 How the Battle of Little Bighorn Was Won http://www.smithsoni[...] 2021-03-06
[62] 웹사이트 WOUNDED KNEE MASSACRE http://plainshumanit[...]
[63] 웹사이트 Dawes Act (1887) https://www.ourdocum[...]
[64] 서적 암호의 과학 영림카디널
[65] 웹사이트 The Last Lakota Code Talker https://www.southdak[...] 2007-05-06
[66] 웹사이트 Racism in the Use of Native American Images https://www.pbs.org/[...] 2020-08-31
[67] 웹사이트 Lakota Country Times: State sued for discrimination in hiring https://www.indianz.[...] 2015-11-12
[68] 웹사이트 THE LAKOTA SIOUX TRIBE: A LOOK AT THE STATISTIC https://www.truesiou[...] 2015-02-10
[69] 웹사이트 Lakota, Dakota, Nakota – The Great Sioux Nation https://www.legendso[...]
[70] 뉴스 Race: The Price of Penance http://www.time.com/[...] 1989-05-08
[71] 뉴스 Saying No to $1 Billion https://www.theatlan[...] 2017-11-25
[72] 웹사이트 Economic development in Indian Country: Lessons learned by The Lakota Fund https://www.minneapo[...]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73] 웹사이트 Lakota Nation https://unpo.org/mem[...] UNPO
[74] 웹사이트 The Indian Reorganization Act https://archive.toda[...]
[75] 웹인용 News > Oglala Sioux Tribe inaugurates Cecilia Fire Thunder https://web.archive.[...] Indianz.Com 2012-01-26
[76]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Rosebud Sioux Tribe https://web.archive.[...]
[77] 웹사이트 Our Constitution & By-Laws https://web.archive.[...]
[78] 웹인용 Indian Country Diaries . History https://www.pbs.org/[...] PBS 2012-01-26
[79] 뉴스 Ottawa rejects claims by Dakota, Lakota First Nations http://www.cbc.ca/ne[...] CBC News 2007-08-01
[80] 뉴스 Dakota Nations reject $60.3 M settlement offer from Ottawa https://web.archive.[...] The Brandon Sun 2008-06-26
[81] 웹인용 Canada votes 'no' as UN native rights declaration passes http://www.cbc.ca/ne[...] CBCNews 2007-09-13
[82] 웹인용 UBB Message – ReaderRant https://web.archive.[...] 2021-03-06
[83] 뉴스 Descendants of Sitting Bull, Crazy Horse break away from US https://web.archive.[...] Agence France-Presse
[84] 뉴스 Withdrawal from US treaties enjoys little support from tribal leaders https://web.archive.[...] Indian Country Today 2008-01-04
[85] 뉴스 Lakota Sioux Have NOT Withdrawn From the US http://www.dailykos.[...] The Daily Kos 2007-12-23
[86] 뉴스 Lakota group secedes from U.S. https://web.archive.[...] Rapid City Journal 2007-12-20
[87] 뉴스 Lakota group pushes for new nation http://webarchive.lo[...] Argus Leader 2007-12-20
[88] 논문 Lakota Struggles for Cultural Survival: History, Health, and Reservation Life https://digitalcommo[...] University of Nebraska
[89] 웹인용 Native Foster Care: Lost Children, Shattered Families https://www.npr.org/[...] 2020-12-10
[90] 웹인용 Lakota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9-05-16
[91]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Issue https://lakhota.org/[...] Lakota.org
[92] 논문 Modification, Secondary Predication and Multi-Verb Constructions in Lakota http://www.acsu.buff[...] Heinrich Heine University
[93] 웹사이트 Lakota sioux https://theschaeferc[...] The Kennedy Center
[94] 웹사이트 Lakota Beadwork and the Medicine Wheel https://sites.colora[...] Colorado College
[95] 웹사이트 STUDYING THE SUN DANCE https://www.lakotama[...] Lakota m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