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보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보든은 1854년에 태어나 1937년에 사망한 캐나다의 정치인이자 변호사이다. 그는 1911년부터 1920년까지 캐나다의 총리를 역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캐나다를 이끌었다. 보든은 징병제 도입, 소득세 도입, 캐나다 국립 철도 설립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평화 회담에 캐나다 대표로 참석하여 캐나다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총리 퇴임 후에는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 참여하고, 퀸스 대학교 총장을 지내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외무장관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은 캐나다의 최장수 총리로서 세 차례에 걸쳐 총리직을 역임하며 관세 인하, 자치권 확대, 노인 연금 도입,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캐나다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 캐나다의 외무장관 - 존 디펜베이커
존 디펜베이커는 변호사 출신으로 캐나다 하원 의원, 진보보수당 대표를 거쳐 1957년 캐나다 총리에 취임하여 캐나다 권리장전을 제정하고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캐나다의 성공회교도 - 킴 캠벨
킴 캠벨은 캐나다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1993년 캐나다의 제19대 총리를 역임했으며, 법무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을 거쳐 총리 퇴임 후 외교관, 학자, 국제 기구 리더로 활동했다. - 캐나다의 성공회교도 - 고든 핀센트
캐나다의 배우, 작가, 감독인 고든 핀센트는 1957년 연극 배우로 시작해 텔레비전과 영화에서 활약하며 캐나다를 대표하는 배우가 되었고, 다양한 수상 경력을 통해 업적을 인정받았다. - 캐나다의 변호사 - 폴 마틴
캐나다의 제21대 총리인 폴 마틴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재임하며 재정 적자 감소에 기여하고 동성 결혼 합법화를 이끌었으나, 후원금 스캔들과 소수 정부 운영의 어려움, 그리고 미국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 참여 거부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캐나다의 변호사 - 장 크레티앵
장 크레티앵은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캐나다의 20대 총리를 역임했으며, 퀘벡 분리주의에 맞서 연방주의를 옹호하고 경제 개혁을 추진했다.
로버트 보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로버트 레어드 보든 |
출생일 | 1854년 6월 26일 |
출생지 | 노바스코샤주 그랑프레 |
사망일 | 1937년 6월 10일 |
사망지 | 온타리오주 오타와 |
안장지 | 온타리오주 오타와, 비치우드 묘지 |
서명 | RL Borden Signature.svg |
공직 | |
직위명 | 캐나다 수상 |
순서 | 제8대 |
임기 시작 | 1911년 10월 10일 |
임기 종료 | 1920년 7월 10일 |
군주 | 조지 5세 |
총독 | 그레이 백작 코넛 공 데번셔 공작 |
이전 수상 | 윌프리드 로리에 |
다음 수상 | 아서 미건 |
정당 | |
소속 정당 (초기) | 자유당 (1886년 이전) |
소속 정당 (이후) | 보수당 (1886년-1917년, 1922년-1937년) 유니언당 (1917년-1922년) |
의회 경력 | |
선거구 (킹스) | 킹스 |
의회 | 캐나다 |
임기 시작 (킹스) | 1917년 12월 17일 |
임기 종료 (킹스) | 1920년 7월 |
이전 의원 (킹스) | 아서 드 위트 포스터 |
다음 의원 (킹스) | 어니스트 윌리엄 로빈슨 |
선거구 (칼턴) | 칼턴 |
임기 시작 (칼턴) | 1905년 2월 4일 |
임기 종료 (칼턴) | 1909년 1월 25일 |
이전 의원 (칼턴) | 에드워드 키드 |
다음 의원 (칼턴) | 에드워드 키드 |
선거구 (핼리팩스) | 핼리팩스 |
임기 시작 (핼리팩스) | 1908년 10월 26일 |
임기 종료 (핼리팩스) | 1917년 12월 16일 |
이전 의원 (핼리팩스) | 마이클 카니 |
다음 의원 (핼리팩스) | 피터 프랜시스 마틴 |
임기 시작 (핼리팩스, 초기) | 1896년 6월 23일 |
임기 종료 (핼리팩스, 초기) | 1904년 11월 2일 |
이전 의원 (핼리팩스, 초기) | 존 피츠윌리엄 스테어스 |
다음 의원 (핼리팩스, 초기) | 마이클 카니 |
당대표 | |
직위 | 보수당 대표 |
이전 대표 | 찰스 투퍼 |
다음 대표 | 아서 미건 |
임기 시작 | 1901년 2월 6일 |
임기 종료 | 1920년 7월 10일 |
2. 초기 생애와 경력 (1854–1896)
로버트 보든은 노바스코샤주 그랑프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영국계 성공회 신자였고, 어머니는 스코틀랜드계 장로교도였다. 라틴어, 그리스어, 수학에 뛰어난 보든은 14세에 학교 교사가 되었다. 변호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핼리팩스에 있는 법률회사에서 법학을 공부하였다.
1880년, 보든은 프리메이슨의 세인트 앤드루스 로지 No. 1에 입회했다.[2][4] 1894년, 퀸풀 로드 남쪽에 큰 부동산과 집을 구매하여 '파인허스트'라고 불렀다.[2] 노바스코샤 은행과 크라운 생명 보험 회사를 포함한 노바스코샤 기업의 이사회에서 활동했으며, 1890년대 중반에는 그의 로펌이 노바스코샤 은행, 캐나다 애틀랜틱 증기선, 노바스코샤 전화 회사 등 주요 고객을 유치할 정도로 유명해졌다. 오타와에서 여러 건의 재판을 진행하면서 존 스패로우 데이비드 톰슨 총리와 자주 만났다.[2]
1896년 4월 27일, 찰스 터퍼의 저택에서 열린 만찬에서 터퍼는 보든에게 핼리팩스 연방 선거구에 출마해 달라고 요청했고, 보든은 이를 수락했다.[2]
2. 1. 출생과 가족 배경 (1854-1874)
로버트 보든은 1854년 6월 26일 노바스코샤주 그랑프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17세기에 잉글랜드 헤드콘, 켄트에서 뉴잉글랜드로 이주한 이민자들의 후손이었다.[1][2] 그의 증조부인 로데일랜드의 페리 보든 1세는 1760년 이 지역의 아카디아 땅을 뉴잉글랜드 플랜터 중 한 명으로 차지했다. 보든은 부계 조상인 리처드 보든이 이노센트 코넬과 결혼하여 로드아일랜드 포츠머스, 로드아일랜드의 토머스 코넬의 후손이다.[1][2]보든의 아버지 앤드루 보든은 "뛰어난 능력과 훌륭한 판단력"을 가졌지만, "활력이 부족했고 일에 대한 적성이 부족했다." 반면, 어머니 유니스 제인 레어드는 "매우 강한 성격, 놀라운 에너지, 높은 야망, 그리고 비범한 능력"을 소유했다.[2][3]
보든은 9살 때 지역 사립 학교인 아카시아 빌라 스쿨에 입학하여 그리스어, 라틴어, 히브리어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4세에 고전 연구 조교가 되었으며, 1873년 말 뉴저지주 마타완, 뉴저지의 글렌우드 연구소에서 고전 및 수학 교수로 일했다. 1874년 교직에 미래가 없다고 보고 노바스코샤로 돌아왔다.[2]
2. 2. 법조인 경력 (1874-1896)
정규 대학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보든은 4년 동안 핼리팩스의 한 로펌에서 변호사 연수를 받았다. 1878년 8월, 노바스코샤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여 1등으로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2] 이후 켄트빌, 노바스코샤에서 보수당 변호사 존 P. 치프먼의 주니어 파트너로 활동했다. 1882년, 월리스 그레이엄의 요청으로 핼리팩스로 이주하여 그레이엄과 찰스 히버트 터퍼가 이끄는 보수당 로펌에 합류했다. 1886년, 윌리엄 스티븐스 필딩 총리의 노바스코샤 캐나다 연방 탈퇴 캠페인에 반대하며 자유당과 결별했다. 1889년 가을, 35세의 나이로 그레이엄과 터퍼가 각각 법원과 정치계로 떠나면서 수석 파트너가 되었다.[2]1889년 9월 25일, 핼리팩스 철물 상인의 딸인 로라 본드와 결혼했다.[5] 1893년, 추밀원 사법 위원회에서 두 건의 소송 중 첫 번째 소송에서 승소했다. 1896년, 노바스코샤 변호사 협회 회장이 되었고, 몬트리올에서 캐나다 변호사 협회 창립 회의를 조직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2]
3. 정치 경력 (1896-1920)
1896년 하원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정치 경력을 시작한 로버트 보든은 1901년 보수당 당수로 선출되어 9년 동안 당을 이끌었다. 그는 분열되고 침체된 보수당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1904년 선거에서 패배했다. 1905년 변호사직을 내려놓고 오타와로 이주한 보든은 1907년 통신, 철도, 곡물창고의 소유권을 요구하고, 이민 관리를 강화하며, 캐나다 제품 보호를 위한 관세를 지지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다.[2]
윌프리드 로리에 총리가 영국, 미국과의 관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면서 보든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보든은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가 캐나다의 독립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고, 해군 선언과 무역 협정은 1911년 총선의 주요 쟁점이 되었다. 결국 보수당은 1911년 총선에서 "캐나다주의냐 대륙주의냐"라는 구호를 내걸고 승리하여 15년이 넘는 자유당 통치를 종식시켰다.[2][6][7]
3. 1. 정계 입문 (1896-1901)
1896년 연방 선거에서 터퍼의 요청으로 핼리팩스 연방 선거구에 출마하여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 캐나다 국민 정책을 지지하며 선거 운동을 벌였으나, 보수당은 윌프리드 로리에가 이끄는 자유당에 패배했다.[2]보든은 오타와에서 국회의원 생활을 하면서도 핼리팩스에서 변호사 업무를 계속했다. 그는 터퍼에게 충성을 다했으며, 많은 하원 위원회에 참여하여 당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2]
3. 2. 야당 대표 (1901-1911)
1901년 보수당 당수로 선출된 보든은 이후 9년 동안 당을 이끌었다. 분열되고 침체된 보수당을 재건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으나, 그의 노력은 더디고 힘겨웠기 때문에 1904년 선거에서 패배하였다. 1905년 변호사 생활을 그만두고 오타와로 이주하였다.[2]1907년 보든은 통신, 철도, 곡물 창고의 소유권을 요구하고, 더 엄격한 이민 관리와 캐나다 제품 보호를 위한 수입품에 대한 보호 관세를 지지하는 등 보수당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윌프리드 로리에가 캐나다와 영국, 미국과의 관계에 문제를 일으키면서 보든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보든은 캐나다와 미국 간의 긴밀한 관계가 캐나다의 독립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해군 선언과 무역 협정은 1911년 총선의 주요 쟁점이었다.[2]
1900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패배하자, 찰스 터퍼는 당 대표직 사임을 발표했다. 터퍼와 그의 아들 찰스 히버트 터퍼(보든의 전 핼리팩스 로펌 동료)는 보든에게 의회 경험과 보수당 의원들 사이에서 적이 없다는 점을 들어 대표직을 맡아달라고 요청했다. 보든은 처음에는 "나는 당을 성공적으로 이끌 경험이나 자질이 없다... 당에게는 터무니없는 일이고, 나에게는 미친 짓이다."라며 주저했지만, 결국 마음을 바꾸어 1901년 2월 6일 보수당 의원총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2]

자유당 총리 윌프리드 로리에는 캐나다 노던과 그랜드 트렁크 철도 건설을 제안했다. 보든은 철도를 정부 소유 및 운영 방식으로 제안하며, 국민은 "정부 소유 철도 또는 철도 소유 정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1904년 총선에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자유당은 의석을 늘리며 과반수를 확보했고, 보수당은 몇 석을 잃었다. 보든 자신도 핼리팩스 지역구에서 패배했지만, 이듬해 칼턴 (온타리오)에서 치러진 보궐 선거를 통해 하원에 다시 입성했다.
1907년, 보든은 핼리팩스 강령을 발표했다. 보수당의 새로운 정책은 상원과 공무원 개혁, 더 선별적인 이민 정책, 무료 농촌 우편 배달, 전신, 전화, 철도에 대한 정부 규제, 그리고 궁극적으로 전신과 전화의 국유화를 요구했다. 1908년 총선에서 로리에의 자유당은 4회 연속 승리했지만, 지지율 하락으로 과반수가 약간 줄었다. 보수당은 10석을 얻으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2]
1910년과 1911년, 로리에는 미국과의 상호주의 자유 무역 협정을 제안했다. 보든은 이 조약이 영국과의 유대 관계를 약화시키고, 미국의 캐나다 합병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반대했다. 1911년 총선에서 보수당은 존 A. 맥도널드의 국가 정책을 수정하여, 미국이 캐나다에 미칠 영향과 영국에 대한 불충성에 대한 두려움을 이용해 "캐나다주의냐 대륙주의냐"라는 구호를 내걸고 선거 운동을 벌였다. 보수당은 승리하여 15년이 넘는 자유당 통치를 종식시켰다.[2][6][7]
3. 3. 총리 재임 (1911-1920)
1911년 총선에서 보수당은 "캐나다주의냐 대륙주의냐"라는 구호를 내걸고 승리하여 15년이 넘는 자유당 통치를 종식시켰다.보든 정부는 농업인들을 위해 ''1912년 캐나다 곡물법''을 통과시켜 곡물 위원회를 설립, 곡물 검사를 감독하고 곡물 거래를 규제했다.[2] 이 법은 연방 정부가 곡물 유통 및 수출 시스템의 주요 지점에서 곡물 엘리베이터를 건설하거나 인수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2]
1912년에는 ''매니토바 경계 확장법'', ''온타리오 경계 확장법'', ''1912년 퀘벡 경계 확장법''을 통해 매니토바, 온타리오, 퀘벡 주가 확장되었다.[8][9][10] 이 세 주는 노스웨스트 준주의 남쪽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1914년 6월 22일, 보든 경은 기사작위를 받았고, 조지 5세 국왕은 그에게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을 수여했다.[2]
1914년 8월 22일, 의회는 ''전시 조치법''(보수당과 자유당 모두의 지지)을 통과시켰다.[2][12][13]
1916년, 보든 정부는 과학 및 산업 연구를 위해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를 설립했다.[15] 1918년, 캐나다의 인구, 사회 구조 및 경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정부는 ''통계법''을 통해 도미니언 통계국을 설립했다. 이 기구는 1971년 캐나다 통계청으로 개칭되었다.[2]
보든 정부는 캐나다 해외 파병군(CEF)을 창설했다.[16] 1914년 12월, 보든은 "강제 징병은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지만, 전쟁이 길어지면서 1916년 중반까지 자원 입대율이 둔화되었다.[2]
1919년 6월 6일, 추밀원 칙령을 통해[41] 보든 정부는 캐나다 국립 철도(CN)를 국영 기업으로 설립했다.[2][42]
1918년 5월 24일, 21세 이상 여성 시민에게 연방 선거 투표권이 부여되었다. 1920년, 보든 정부는 여성의 캐나다 의회 출마를 허용하는 ''도미니언 선거법''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 두 법은 아시아계 캐나다인과 원주민 캐나다인 여성과 남성의 투표를 막거나 억제했다.[38][39]
3. 3. 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1911-1914)
1911년 10월 10일, 57세의 나이로 총리에 취임하였다. 취임 직후, 영국에 캐나다의 군사적 도움이 될 만한 논점을 처리하였다. 캐나다가 주요 전쟁에 영국을 돕겠다고 했지만, 영국 정부는 거부하였다.1912년 하원에 해군 선언서를 제출하였다. 이 문서는 영국 해군을 위한 군함을 만드는 데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열띤 토론 끝에 통과시켰지만, 자유당이 다수인 상원에서는 이 문서를 반대하였다.[2]
3. 3. 2.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캐나다는 대영 제국의 일원으로서 자동적으로 참전하게 되었다. 보든 정부는 전시 조치법을 통과시켜 정부에 통신 검열 및 억압, 체포, 구금 및 추방, 운송, 무역 및 제조업 통제, 사유 재산 몰수 등 비상 권한을 부여했다.[2] 군인 가족에게 재정적 및 사회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캐나다 애국 기금이 만들어졌다.전쟁 자금 마련을 위해, 보든 정부는 일부 소비재에 대한 관세를 인상했다. 또한 담배와 술에 대한 사치세와 운송 티켓, 전보 등에 대한 세금을 도입했다.[2] 1916년에는 사업 이윤 전쟁세를 도입했고(1920년 만료),[2][19] 1917년에는 소득세를 도입했다.[20][21] 1915년과 1916년, 1917년에는 뉴욕에서 차관을 도입하고, 승리 채권을 발행하여 전쟁 자금을 마련했다.[2][18]
1916년 과학 및 산업 연구를 위해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를 설립했다. 1918년에는 도미니언 통계국을 설립했다 (1971년 캐나다 통계청으로 개칭).
1917년 봄, 보든은 유럽을 방문하여 제국 회의에 참석했다. 그는 종전 후 헌법 회의를 소집하여 "제국 전체의 중요한 공통 관심사에 대한 지속적인 협의를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제공하고, 여러 정부가 결정할 수 있는 그러한 필요한 협력 조치를 협의를 통해 마련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 IX''의 통과를 주도했다.[2] 또한 연합국 지도자들에게 캐나다가 전쟁에 헌신하고 있음을 확신시켰다. 보든은 병원을 방문하여 부상당하고 전투 신경증을 앓는 군인들을 만났으며, 군인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전쟁이 끝나야 한다는 결심을 굳혔다.
캐나다 해외 파병군(CEF)을 창설하여 프랑스에 파견하였다. 1917년에는 군사력이 증강되었고, 2월부터 5월까지 런던에서 제국전쟁내각을 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17년 귀국한 보든은 자원 입대가 둔화되면서 징병제가 필요하다고 판단, ''군 복무법''을 통과시켜 징병제를 도입했다.[23] 이는 1917년 징병 위기를 촉발시켰는데, 대부분의 영국계 캐나다인들은 이 정책을 지지했지만 대부분의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이에 반대했다.


보든은 징병제에 대한 퀘벡의 반대를 잠재우기 위해 보수당과 친징병 자유당(일명 자유-연합당)의 연합인 연합당을 결성했다.[25] 1917년 연방 선거에서 연합당이 압승을 거두었지만, 이 선거는 국가의 민족적 분열을 드러냈다.[2][17]
군인 징병 절차는 1918년 1월에 시작되었고,[24] 1918년 봄, 정부는 특정 면제를 철회했다.[28] 보든 정부는 1918년 3월 28일부터 4월 1일까지 퀘벡 시에서 발생한 반징병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전시 조치법''을 발동하고 계엄령을 선포했다.[28]
1917년, 치솟는 물가에 직면한 보든 정부는 1917년과 1918년에 수확된 작물의 마케팅을 민간 곡물 회사에서 분리하기 위해 캐나다 곡물 감독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위원회는 1919년 작물을 위해 캐나다 밀 위원회로 대체되었다.[2]
1914년에서 1920년 사이, 8,500명 이상의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이 ''전시 조치법''에 따라 억류되었다.[29] 이들은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 등 중앙 열강 국가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었다. 억류자들은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고, 개인 재산이 몰수되어 돌려받지 못했다. 총 107명의 억류자가 사망했다.[29]
3. 3. 3. 전후 정책 (1918-1920)
보든은 1918년 11월 유럽으로 건너가 베르사유에서 열린 평화 회담에 캐나다 사절단의 지도자로 참석하여, 세계 정세에서 캐나다의 새로운 지위를 인정받고자 했다. 회담에서 영국 사절단은 대영제국으로서 단일로 참석하길 원했지만, 캐나다와 다른 자치령 국가들은 별도로 대표를 보냈다.[2] 국제 연합의 전신인 국제 연맹이 창설될 때, 보든은 캐나다가 회원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 캐나다는 독자적으로 국제 연맹과 국제 노동 기구의 회원국이 되었다.[2]1917년 핼리팩스 폭발 이후, 보든은 핼리팩스 구호 위원회 설립을 지원했다. 이 위원회는 부상자 생존자들을 위한 의료 지원, 인프라 수리, 연금 설립에 3000만달러를 지출했다.[36][37]

1918년 5월 24일, 21세 이상 여성 시민에게 연방 선거 투표권이 부여되었다. 1920년, 보든 정부는 여성의 캐나다 의회 출마를 허용하는 ''도미니언 선거법''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 두 법은 아시아계 캐나다인과 원주민 캐나다인 여성과 남성의 투표를 막거나 억제했다.[38][39]
보든은 캐나다에서 세습 작위를 폐지하는 윌리엄 폴저 니클의 제안을 지지했다. 1919년 6월 6일, 추밀원 칙령을 통해[41] 보든 정부는 캐나다 국립 철도(CN)를 국영 기업으로 설립했다.[2][42]
전쟁 후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매니토바 주 위니펙의 건설 및 금속 노동자들은 더 나은 임금과 근로 조건을 위해 고용주들과 협상했지만, 1919년 5월 협상이 결렬되면서 여러 차례의 파업이 시작되었다. 5월 15일 위니펙 노동 조합 회의(WTLC)는 총파업을 촉구했고, 위니펙 총파업이 발생한 지 몇 시간 만에 거의 3만 명의 노동자가 직장을 떠났다.[43] 파업 확산을 우려한 보든 정부는 아서 메이언과 기디언 로버트슨을 보내 반파업 시민 위원회와 만나게 했지만, 파업 지지 중앙 파업 위원회와의 면담은 거부했다. 보든 정부는 연방 공무원들에게 즉시 업무에 복귀하지 않으면 해고하겠다고 위협했고, 이민법을 개정하여 영국 출생 이민자의 추방을 허용했다. 6월 17일, 정부는 중앙 파업 위원회 지도자 10명과 노동 조합인 하나의 거대한 노동조합의 구성원 2명을 체포했다. 6월 21일, 보든 정부는 노스웨스트 기마 경찰(NWMP) 부대를 투입했고,[44][45] 시위대가 폭동을 일으키자,[46] NWMP는 시위대를 향해 돌진하여 곤봉으로 구타하고 총격을 가했다. 두 명이 사망한 이 사건은 "피의 토요일"로 알려지게 되었다.[2][47]
3. 4. 은퇴 (1920)
의사들의 권고로 보든은 1919년 12월 16일 내각에 사임 의사를 밝혔으나, 일부 각료들의 간청으로 휴가를 보냈다.[2] 1920년 5월 오타와로 돌아온 보든은 1920년 캐나다 국경일인 7월 1일 연합당 간부 회의에서 은퇴를 발표했다. 그는 후임으로 윌리엄 토마스 화이트를 선호했지만, 화이트가 거절하자 아서 메이언을 설득하여 총리직을 맡도록 했다.[2] 메이언은 1920년 7월 10일 보든의 뒤를 이어 총리직을 승계했으며, 보든은 같은 달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했다.[2]4. 은퇴 이후 (1920-1937)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열린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 대표 자격으로 참석했다.[30] 1924년부터 1930년까지 퀸스 대학교 총장을 지냈다.[48] 1928년에는 캐나다 바클레이스 은행과 크라운 생명 보험 회사의 회장이 되었다. 1932년에는 캐나다 최초의 뮤추얼 펀드인 캐나다 투자 펀드의 회장이 되었다.
1937년 6월 10일 오타와에서 사망했으며, 비치우드 묘지에 묻혔다.[51] 그의 조카 헨리는 1938년에 그의 《회고록》을 출간하였다.
5. 유산
보든 정부는 징병제, 새로운 세금, 1919년 위니펙 총파업 진압을 위한 노스웨스트 마운티드 경찰(현 캐나다 기마경찰) 활용 등 정부 개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기 때문에 레드 토리로 기억된다.[52] 캐나다 전쟁 박물관은 "전쟁의 압박은 보든 정부를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전례 없는 수준으로 개입하도록 만들었다"고 평가했다.[53]
전쟁 중 징병제 실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역사학자 J. L. 그라나스타인은 "논란의 정책 없이는 캐나다 군대가 지속될 수 없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는 거의 국가를 파괴했다"고 비판했다.[54] 1917년 연방 선거에서 퀘벡은 보든과 연합당의 징병 옹호 입장에 반발하여 압도적으로 반징병주의자인 윌프리드 로리에의 자유당을 지지했고, 연합당은 단 3석만을 얻었다. 역사학자 로버트 크레이그 브라운은 "징병제의 정치적 대가는 엄청났다. 퀘벡에서 보수당의 지지는 파괴되었고, 수십 년 동안 회복되지 못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2]
보든의 자유 무역 반대와 농부의 아들을 징병에서 면제하겠다는 1917년 선거 공약 파기는 농업주의 캐나다 진보당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55] 진보당은 보든의 캐나다 농업부 장관이었던 토마스 크레러가 높은 관세에 반대하고 정부 예산이 농민 문제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1919년에 사임하면서 창당되었다.[56][57] 1921년 캐나다 연방 선거에서 보수당이 3위로 추락한 가운데, 진보당은 제2당이 되었고, 4년 전 선거에서 보든의 연합당이 승리했던 서부 캐나다 지역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역사학자 로버트 크레이그 브라운은 "서부 캐나다에서 연합주의자들의 지지는 일시적이었고 평화의 조짐이 보이자 사라졌다"고 지적한다.[2]
J. L. 그라나스타인과 노먼 힐머는 저서 ''수상: 캐나다 지도자 순위''에서 장 크레티앵까지 모든 총리에 대한 캐나다 역사학자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포함시켰는데, 보든은 7위를 차지했다.
6. 서훈
1915년 세인트마이클앤드세인트조지 훈장 1등급(GCMG, 작위급 훈장)[40]
참조
[1]
웹사이트
Notable Kin - New England in Hollywood, Part Three: The Possible Rhode Island Ancestry of Marilyn Monroe
https://web2.america[...]
[2]
웹사이트
Robert Borden
http://www.biographi[...]
2022-01-19
[3]
서적
Robert Laird Borden: His Memoirs, Volume 1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22-01-27
[4]
웹사이트
Sir Robert Laird Borden
http://www.freemason[...]
[5]
서적
Types of Canadian Women and of Women who are or have been Connected with Canada
https://archive.org/[...]
Williams Briggs
1903
[6]
웹사이트
Wilfrid Laurier
http://www.biographi[...]
2022-01-31
[7]
백과사전
Wilfrid Laurier
https://www.thecanad[...]
2022-01-31
[8]
웹사이트
Manitoba History: Manitoba Expands Northward: A Special Edition of Manitoba History
http://www.mhs.mb.ca[...]
2022-02-01
[9]
웹사이트
Ontario Boundaries Extension Act (Can., 1912)
https://digitalcommo[...]
2022-02-01
[10]
웹사이트
An Act to amend The Manitoba Boundaries Extension Act, 1912, and The Ontario Boundaries Extension Act (Can., 1950)
https://digitalcommo[...]
2022-02-01
[11]
서적
The home front encyclopedia: United States, Britain, and Canada in World Wars I and II
https://books.google[...]
ABC-CLIO
[12]
웹사이트
War Measures Act
https://www.thecanad[...]
2013-07-25
[13]
법률
https://www.canadian[...]
[14]
웹사이트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fonds [multiple media (some microform)].
https://web.archive.[...]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22-02-11
[15]
웹사이트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https://www.thecanad[...]
2006-02-07
[16]
웹사이트
Military Structure - the Canadian Expeditionary Force
https://www.warmuseu[...]
[17]
웹사이트
After the fighting, a nation changed
https://www.macleans[...]
2022-02-12
[18]
웹사이트
Canada Financially Comes of Age
https://www.bankofca[...]
2018-10-02
[19]
웹사이트
If some things never change, when did they begin?
https://www.bac-lac.[...]
2022-02-13
[20]
웹사이트
Income Tax in Canada
https://www.thecanad[...]
2022-01-28
[21]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CANADA'S PERSONAL INCOME TAX
https://www.fraserin[...]
2023-04-03
[22]
웹사이트
Canadian Wheat Board
https://web.archive.[...]
2022-02-13
[23]
웹사이트
Election of 1917
https://www.thecanad[...]
2015-08-12
[24]
웹사이트
Military Service Act
https://www.thecanad[...]
2006-02-07
[25]
웹사이트
Election of 1917
https://www.thecanad[...]
2015-08-12
[26]
웹사이트
British North America Act, 1916 - Enactment No. 4
https://www.justice.[...]
2022-02-14
[27]
웹사이트
Election of 1917
https://www.thecanad[...]
2015-08-12
[28]
웹사이트
Conscription in Canada
https://www.thecanad[...]
2006-02-06
[29]
웹사이트
Ukrainian Internment in Canada
https://www.thecanad[...]
2018-06-05
[30]
웹사이트
Sir Robert Borden
https://www.britanni[...]
2022-02-20
[31]
서적
World War I: A Student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02-21
[32]
문서
MacMillan p.71
[33]
문서
MacMillan p.107–114
[34]
웹사이트
CANADA HEARS SIREN CALL OF ISLANDS IN THE SUN
https://www.washingt[...]
1987-05-29
[35]
서적
The Halifax Explosion and the Royal Canadian Navy
UBC Press
2002
[36]
웹사이트
The silence after the blast: How the Halifax Explosion was nearly forgotten
https://www.ctvnews.[...]
2022-02-18
[37]
논문
The Halifax Relief Commission (1918-1976): Its History, Historiography, and Place in Halifax Disaster Scholarship
https://journals.lib[...]
2022-02-18
[38]
웹사이트
Extending the Vote
https://www.cbc.ca/h[...]
2022-02-17
[39]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in Canada
https://www.thecanad[...]
2022-02-17
[40]
서적
The Order of Canada: Its Origins, History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5-01-01
[41]
웹사이트
OIC 1918-3122: Canadian National Railways - Board of Directors of the Canadian Northern Railway to use this collection designation as description of the Canadian Northern and Canadian Government Railway systems without prejudice
https://www.bac-lac.[...]
Privy Council of Canada
2018-12-20
[42]
웹사이트
Canadian National Railway (CN)
https://www.thecanad[...]
2022-02-22
[43]
웹사이트
Winnipeg General Strike of 1919
https://www.thecanad[...]
2022-02-19
[44]
웹사이트
Winnipeg General Strike of 1919
https://www.thecanad[...]
2022-02-19
[45]
서적
Confrontation at Winnipeg: Labour, Industrial Relations, and the General Strik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90-01-01
[46]
서적
On Strike: Six Key Labour Struggles in Canada 1919–1949
https://archive.org/[...]
James Lorimer and Company
[47]
웹사이트
Winnipeg General Strike of 1919
https://www.thecanad[...]
2022-02-19
[48]
웹사이트
Borden, Sir Robert Laird {{!}} Queen's Encyclopedia
https://www.queensu.[...]
2021-04-19
[49]
웹사이트
Former Officers of the Champlain Society (1905–2012)
http://www.champlain[...]
2014-10-19
[50]
웹사이트
CHA Presidents and Presidential Addresses
https://cha-shc.ca/e[...]
2020-07-23
[51]
웹사이트
The Right Honourable Sir Robert Laird Borden
http://www.pc.gc.ca/[...]
Parks Canada
2015-01-01
[52]
서적
Parties, Leaders and Ideologies in Canada
[53]
웹사이트
Sir Robert Borden
https://www.warmuseu[...]
2022-02-20
[54]
웹사이트
Conscription divided Canada. It also helped win the First World War.
https://www.macleans[...]
2022-02-20
[55]
웹사이트
Canada's first female MP and the federal election that changed Ontario
https://www.tvo.org/[...]
2022-02-20
[56]
웹사이트
Progressive Party of Canada
http://faculty.maria[...]
2022-02-20
[57]
웹사이트
Progressive Party
https://www.thecanad[...]
2022-02-20
[58]
웹사이트
Albany Gateway - Borden
http://www.albanygat[...]
2008-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