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스벨트 스타디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미국 뉴저지주 저지 시티에 위치했던 다목적 경기장으로, 1937년에 개장하여 1981년에 폐쇄된 후 철거되었다. 이 경기장은 야구, 미식축구, 권투, 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의 장소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1946년 재키 로빈슨의 프로 데뷔 경기가 열린 역사적인 장소로 기억된다. 1970년대 시설 노후화로 폐쇄되었으며, 현재는 주택 단지로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지시티의 건축물 - 홀랜드 터널
홀랜드 터널은 뉴욕주와 뉴저지주를 연결하는 허드슨강 아래의 수저터널로, 기계 환기 방식을 세계 최초로 도입하여 양 지역의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하며, 수석 엔지니어의 이름을 딴 혁신적인 환기 시스템과 건설 기술로 역사적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 - 1937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스타드 벨로드롬
스타드 벨로드롬은 프랑스 마르세유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홈 경기장이며, 주요 국제 대회 리모델링 후 축구, 럭비, 콘서트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는 마르세유의 랜드마크이다. - 1937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마이애미 오렌지 볼
마이애미 오렌지 볼은 1937년부터 2008년까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를 개최했던 상징적인 경기장이었으나, 시설 노후화로 철거되어 현재는 론디포 파크가 들어서 있다.
루스벨트 스타디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저지시티 루스벨트 스타디움 |
별칭 | 해당 없음 |
위치 | 뉴저지주저지시티 댄포스 애비뉴 & 뉴저지 1번 국도(현재 뉴저지 440번 국도) |
건설 정보 | |
기공 | 1935년 12월 10일 |
건설 시작 | 1935년–1937년 |
개장 | 1937년 4월 23일 |
리모델링 | 1970년 |
폐쇄 | 1981년 |
철거 | 1985년 |
소유주 | 저지시티 |
운영자 | 저지시티 |
건축가 | 크리스티안 H. 지글러 |
건설 비용 | 150만 달러 |
사용 정보 | |
표면 | 잔디 |
주요 사용자 | 브루클린 다저스 (MLB) (1956년~1957년, 15경기) 저지시티 자이언츠 (IL) (1937년~1950년) 저지시티 자이언츠 (AA) (1938년~1950년) 저지시티 저지스 (IL) (1960년~1961년) 저지시티 주립 대학 (NCAA) (1966년~1976년) 저지 제이스 (ACFL) (1970년) 저지시티 인디언스 (EL) (1977년) 저지시티 에이스 (EL) (1978년) |
수용 인원 | 24,000명 |
크기 | 좌측: 100m 좌측 중앙: 114m 중앙: 125m 우측 중앙: 114m 우측: 100m 백스톱: 18m |
2. 역사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1929년 프랭크 헤이그 저지 시티 시장의 구상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전쟁 사망자를 기리는 대규모 다목적 경기장으로 계획되었으나,[1] 대공황 시기를 거치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의 일환인 WPA 프로젝트를 통해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는 지역 사회에 필요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중요한 목적도 있었다.[22][48]
건설 부지로는 옛 '''저지 시티 공항''' 자리가 선정되었고, 1935년 기공식을 가졌다. 헤이그 시장은 연방 정부의 지원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경기장 이름을 루스벨트 대통령의 이름을 따 "루스벨트 스타디움"으로 명명했다.[47] 건축가 크리스찬 H. 지글러가 설계를 맡아 아르 데코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완공 당시 24,000석 규모의 최신식 마이너 리그 야구장으로 평가받았다.[48][47]
1937년 4월 23일, 마이너 리그 역사상 최다 관중 기록(31,234명)을 세우며 개장했다. 개장식에는 헤이그 시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홈팀인 저지 시티 자이언츠와 로체스터 레드윙스의 경기가 열렸다.[5][22][47]
2. 1. 기획 및 건설
1929년 6월 5일, 프랭크 헤이그 저지 시티 시장은 도시에 새로운 시립 경기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경기장은 길이 약 152.40m, 너비 약 121.92m 규모의 구장을 둘러싸는 5만 석 규모로 계획되었으며, 도시의 전쟁 사망자들을 기리기 위한 목적을 가졌다. 초기 예상 건설 비용은 50만달러였고, 1930년 봄 완공을 목표로 했다. 헤이그 시장은 3만 5천 개의 영구 좌석과 1만 5천 명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상했으며, 야구, 미식축구, 육상 경기, 권투 등 다양한 종목을 위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활용될 예정이었다.[1]경기장 건설 부지로는 드로이어스 포인트에 위치했던 옛 '''저지 시티 공항''' 자리가 선정되었다. 이 공항은 1928년 유명 비행사 클래런스 D. 챔벌린이 처음 건설하여 운영했고, 1935년부터는 또 다른 비행사 에디 어거스트 슈나이더가 운영했다.[2][3]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저지 시티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자, 헤이그 시장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의 일환인 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WPA) 프로젝트를 통해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경기장 건설을 추진했다. 이는 허드슨 카운티의 노동자 계층에게 절실했던 건설 일자리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WPA 보조금은 토지 구매에는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저지 시티 시가 부지를 제공해야 했다. 헤이그 시장은 드로이어스 포인트가 시 소유의 유일한 가용 부지이며, 재정적 부담이 될 수 있는 공항보다는 스포츠 경기장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이 경기장이 자체적으로 운영될 것이며, 계절별로 250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22][48]
1935년 12월 10일, 헤이그 시장은 2,000여 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기공식을 열고 직접 삽을 뜨며 경기장 건설의 시작을 알렸다. 그는 이 자리에서 "루스벨트 대통령의 노력 덕분에 우리의 꿈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이 아름다운 경기장을 우리에게 제공함으로써 저지 시티를 배려했다. 경기장 건설을 통해 거의 1,00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수백 명의 시민들이 혜택을 받게 되어 기쁘다"고 연설하며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했다. 저지 시티는 경기장 건설을 위해 연방 WPA로부터 150만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았고, 이를 통해 2,4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헤이그 시장은 경기장 이름을 대통령을 기리는 의미에서 "루스벨트 스타디움"으로 명명했다.[47]
건축가 크리스찬 H. 지글러(Christian H. Ziegler)가 경기장 설계를 맡았다. 그는 이전에 저지 시 의료 센터 설계에도 참여했으며, 당시 저지 시의 힘과 영향력을 보여주기 위해 아르 데코 양식을 적용했다.[48] 완공 당시 최고의 마이너 리그 야구장 중 하나로 평가받았던 이 24,000석 규모의 경기장은 강철과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펜실베이니아와 테네시에서 공수한 대리석이 사용되었다. 경기장은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인 말굽 모양의 볼(bowl) 형태였고, 테라코타 파사드가 특징이었다. 1층과 연결 통로, 화장실, 라커룸, 샤워실, 복도 등에는 테라조 바닥이 깔렸다. 메인 스탠드는 높이 약 18.29m에 35열의 계단식 좌석과 관람석으로 구성되었으며, 여러 개의 경사로가 잘 배치되어 관람객들이 좌석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7]
2. 2. 개장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1937년 인터내셔널 리그 시즌 개막일인 4월 22일에 개장 경기를 열 예정이었다. 당시 저지 시티 시장이었던 프랭크 헤이그는 시의 학교와 직원들을 위해 반나절 휴가를 선포하기도 했다. 개막식에는 뉴욕 자이언츠 구단주 호레이스 스톤햄과 해리 무어 상원의원이 참석할 예정이었다.[4] 하지만 비로 인해 예정된 행사가 취소되었고, 개막 경기는 다음 날인 4월 23일로 연기되었다. 연기된 개장식에서는 헤이그 시장이 첫 공을 던졌고, 무어 상원의원과 스톤햄 구단주가 구장 헌정식에 참석했다.[5] 개막 경기에서는 홈팀인 저지 시티 자이언츠가 로체스터 레드윙스와 맞붙었으나, 31,234명이라는 당시 마이너 리그 최다 관중 기록 앞에서 4-3으로 패배했다.[22][47]3. 주요 행사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개장 이후 야구, 권투, 미식축구, 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콘서트, 종교 집회 등 문화 행사가 열렸던 다목적 시설이었다.
주요 행사로는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과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기가 있으며, 특히 1946년 재키 로빈슨이 프로 데뷔 경기를 치르며 인종 차별의 장벽을 넘은 역사적인 장소로 기록되었다.[6][7][8] 또한 브루클린 다저스가 1956년과 1957년에 정규 시즌 홈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14]
권투계에서는 슈가 레이 로빈슨, 마르셀 세르당, 맥스 베어 등 유명 선수들의 경기가 열렸으며,[22] 미식축구는 지역 고등학교 팀들의 주요 경기장이자 뉴욕 자이언츠의 팜 팀이었던 저지시티 자이언츠, 뉴저지 시티 대학교 미식축구팀 등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47][22][24]
축구의 경우,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아메리칸 사커 리그 산하의 인터내셔널 사커 리그(ISL) 및 북미 사커 리그(NASL) 경기가 개최되었고, 특히 펠레가 이끄는 산토스 FC가 두 차례 방문하여 큰 관심을 모았다.[25][29][30][31] 1975년에는 인터내셔널 레슬링 협회(IWA)의 프로레슬링 경기가 세 차례 열리기도 했다.[32][33]
1970년대에는 주요 야외 콘서트 장소로 각광받으며 그레이트풀 데드, 핑크 플로이드, 크로스비, 스틸스, 내시 & 영, 에릭 클랩튼 등 당대 최고의 뮤지션들이 공연했다.[34][35][36][37] 이 외에도 드럼 앤 버글 군단 경연, NASCAR 스톡 카 경주, 여호와의 증인 종교 대회 등 다양한 행사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38][41][43]
3. 1. 야구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개장 이후 주로 야구 경기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과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이곳은 1937년부터 1950년까지 뉴욕 자이언츠 산하 트리플 A 팀인 저지시티 자이언츠의 홈구장이었으며, 특히 1946년에는 재키 로빈슨이 이곳에서 프로 데뷔 경기를 치르며 인종 차별 장벽을 허무는 역사적인 장소가 되었다.[6][7][8] 이후에도 여러 마이너 리그 팀들이 이 구장을 거쳐갔다.
또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인 브루클린 다저스가 1956년과 1957년에 걸쳐 총 15번의 정규 시즌 홈 경기를 이곳에서 치렀다.[14] 이는 당시 홈구장이었던 이베츠 필드를 대체할 새로운 구장 건설을 뉴욕시 당국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일이었다.[15]
3. 1. 1.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1937년부터 1950년까지 뉴욕 자이언츠의 트리플 A 인터내셔널 리그 (IL) 팜 팀인 저지시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저지시티 자이언츠는 1939년과 1947년에 인터내셔널 리그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42년에는 시러큐스 치프스에게 거버너스 컵 플레이오프에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당시 헤이그 시장은 "리틀 자이언츠" 경기의 개막전 티켓을 경기장 수용 인원(24,000석)보다 훨씬 많은 40,000석을 팔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질문에 "남자 화장실에 엄청난 관중이 있다"고 답했다는 일화가 있다.1946년 4월 18일,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역사적인 경기를 개최했다. 이날 브루클린 다저스의 트리플 A IL 팜 팀인 몬트리올 로열스 소속의 재키 로빈슨이 저지시티 자이언츠와의 시즌 개막전에 출전하며 프로 야구의 인종 차별 장벽을 허물었다. 헤이그 시장은 이날을 기념하여 반나절 학교 휴일을 선포하고 시구를 했다. 51,872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로빈슨은 5타수 4안타(3점 홈런 포함), 4득점, 3타점, 2도루를 기록하며 팀의 14-1 대승을 이끌었다. 경기 후 로빈슨은 흑인과 백인 팬 모두에게 둘러싸여 축하를 받았다.[6][7][8] 로빈슨은 자서전 ''나의 이야기''에서 당시를 회상하며 "비록 내가 적의 유니폼을 입고 있었지만, 저지시티 팬들은 나에게 훌륭한 기립 박수를 보냈다"고 적었다.[9]
1949년과 1950년 사이에는 미래의 명예의 전당 헌액자 몬테 어빈이 뉴욕 자이언츠로 승격되기 전 저지시티 자이언츠 소속으로 뛰었다. 그는 저지시티에서 1949년 .373의 타율을 기록했고, 1950년에는 18경기에서 타율 .510과 10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어빈은 ''저지 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루스벨트 스타디움을 "정말 멋진 스타디움", "인터내셔널 리그 최고였고 많은 [메이저 리그] 스타디움보다 나았다"고 회상했다.[6]
그러나 1950년 시즌 이후, 뉴욕 자이언츠는 관중 수 감소를 이유로 팜 팀을 오타와로 이전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텔레비전 보급이 확대되면서 뉴저지 팬들이 지역 마이너 리그 경기 관람 대신 집에서 자이언츠, 다저스, 양키스의 메이저 리그 경기를 시청하는 것을 선호하게 된 현상과 관련이 있었다. 이는 인근의 라이벌이었던 뉴워크 베어스의 해체와 유사한 배경을 가졌다.[10]
10년 후인 1960년 7월 8일, 마이너 리그 야구가 루스벨트 스타디움으로 돌아왔다. 쿠바 아바나를 연고지로 했던 하바나 슈가 킹스가 저지시티 제지스로 팀명을 바꾸고 1960년과 1961년 시즌 동안 인터내셔널 리그에 참가하게 된 것이다. 슈가 킹스는 1959년 인터내셔널 리그 우승팀이었으나, 피델 카스트로가 쿠바 내 미국 소유 기업을 국유화하고 야구 커미셔너 포드 프리크가 미국 국무부로부터 선수단의 안전을 보호하라는 압력을 받으면서 팀 이전을 결정하게 되었다.[11][12] 7월 15일, 팀은 저지시티에 도착하여 콜럼버스 제츠와의 경기를 위해 경기장으로 향하는 약 32.19km 길이의 자동차 행렬에 참여하며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13]
이후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1977년 더블 A 이스턴 리그 (EL) 소속의 저지시티 인디언스, 그리고 1978년에는 같은 리그의 저지시티 A's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마지막 마이너 리그 시즌들을 보냈다. 특히 1978년 저지시티 A's에는 훗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리키 헨더슨이 소속되어 있었다.
3. 1.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3. 2. 권투
권투 경기도 이 경기장의 주요 흥행 요소 중 하나였다. 1940년에는 전 헤비급 챔피언 맥스 베어가 토니 갈렌토를 이곳에서 꺾었다. 1941년에는 저지 조 월콧이 당시 헤비급 챔피언이었던 에제드 찰스를 꺾었다. 1948년 9월 21일, 프랑스의 유럽 챔피언 마르셀 세르당은 이곳에서 열린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 경기에서 토니 자레를 꺾고 세계 미들급 챔피언 타이틀을 차지했다. 1950년 8월 9일에는 슈가 레이 로빈슨이 전 뉴저지 주 3회 챔피언이었던 찰리 푸사리를 상대로 자신의 웰터급 타이틀을 방어했다.[22]3. 3. 미식축구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원래 저지시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건설되었으나, 이후 저지시티의 여러 고등학교 미식축구 경기에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학교로는 윌리엄 L. 디킨슨 고등학교, 제임스 J. 페리스 고등학교, 에이브러햄 링컨 고등학교, 헨리 스나이더 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주요 교구 학교인 허드슨 가톨릭 고등학교와 세인트 피터스 프레퍼러토리 학교도 이곳에서 경기를 치렀다. 특히 추수감사절에는 디킨슨 고등학교와 세인트 피터스 고등학교의 경기가 매진된 관중 앞에서 열리기도 했다.[47] 1974년 9월 28일, 이곳에서는 디킨슨 고등학교가 허드슨 가톨릭 고등학교에 22–0으로 패배하며 당시 고등학교 미식축구 팀 최다 연패 기록인 42연패를 기록한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허드슨 가톨릭 고등학교의 공격은 쿼터백 스티븐 네리와 하프백 토니 카발로가 이끌었으며, 디킨슨 고등학교는 스티브 쿠치넬리, 레이 파렌테, 브루스 보크가 주축이 된 허드슨 가톨릭 고등학교 수비에 막혀 러싱 -2야드, 패싱 18야드에 그쳤다. 네리, 보크, 파렌테, 쿠치넬리는 모두 허드슨 가톨릭 고등학교 미식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3]
1938년부터 1950년까지는 아메리칸 미식축구 협회(AA) 소속의 저지시티 자이언츠가 이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했다. 이 팀은 뉴욕 자이언츠의 팜 팀이었으며, 팀 마라가 팀을 인수하여 1938년 저지시티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프로 미식축구 최초의 마이너 리그 미식축구 팀이 되었다. 저지시티 자이언츠는 AA에서 세 차례(1938년, 1940년, 1946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47]
1966년부터 1976년까지는 저지시티 주립 대학교(현 뉴저지 시티 대학교) 미식축구팀이 금요일 밤 홈 경기를 이곳에서 치렀다. 이는 인근 갯벌에 토마스 M. 게리티 스포츠 컴플렉스가 개장하기 전까지였다.[22][24]
1970년에는 애틀랜틱 코스트 미식축구 리그(ACFL) 소속의 저지 제이스가 이곳에서 경기를 치렀다. 저지 제이스는 클리블랜드 브라운스의 팜 팀이었다.
1973년 NFL 시즌 동안 뉴욕 자이언츠는 예일 볼에서 홈 경기를 치르면서 루스벨트 스타디움에서 훈련을 진행했다. 당시 자이언츠 스타디움은 메도우랜즈 스포츠 컴플렉스에 건설 중이었다.[47]
3. 4. 축구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여러 국내 및 국제 축구 경기의 주요 장소로 사용되었다.
1960년, 이 경기장은 아메리칸 사커 리그 산하의 인터내셔널 사커 리그(ISL) 경기를 다수 개최했다. 리그 데뷔 경기는 폴로 그라운드와 공동으로 열렸다.[25]
1960년 6월 19일에는 ISL 첫 번째 섹션 타이틀을 결정하는 더블 헤더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에서는 번리 FC가 OGC 니스를 4-0으로 이겼고, 두 번째 경기에서는 킬마녹 FC가 11,704명의 관중 앞에서 뉴욕 아메리칸스를 3-1로 꺾었다. 이 승리로 킬마녹 FC는 4승 1무의 기록으로 첫 섹션 우승을 차지했고, 번리 FC는 준우승에 머물렀다.[26]
1971년 6월 20일에는 북미 사커 리그(NASL) 경기와 국제 축구 경기가 더블 헤더로 열렸다. 개막전에서는 뉴욕 코스모스가 댈러스 토네이도를 3-1로 이겼고, 이어진 경기에서는 볼로냐가 9,000명의 관중 앞에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를 2-1로 이겼다.[27] 원래 이 더블 헤더의 첫 경기는 브롱스의 양키 스타디움(1923)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스모스와 양키스 간의 계약에 포함된 "기상 조항" 때문에 변경되었다. 이 조항은 악천후 시 야구팀이 경기장에 잠재적 위협이 될 경우 경기를 취소할 수 있도록 했다.[28]
일주일 뒤인 1971년 6월 27일, 전설적인 펠레가 이끄는 산토스 FC는 볼로냐와 친선 경기를 가졌고, 21,414명의 열광적인 팬들이 경기장을 찾았다. 펠레가 경기장에 들어서자 수백 명의 팬들이 사진과 사인을 받기 위해 경기장으로 몰려들었다. 저지시티 경찰서 기마경찰이 투입되어 군중을 통제했지만, 이로 인해 킥오프가 35분이나 지연되었다.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29][30]
1973년 5월 25일, 산토스 FC와 펠레는 다시 루스벨트 스타디움을 찾아 라치오와 경기를 치렀다. 이날 경기는 26,145명의 관중이 들어차 매진되었다. 펠레는 경기장으로 들어가는 길에 사인을 받고 사진을 찍으려는 팬들에게 둘러싸였다. 경기는 팬들이 맥주 캔, 병, 심지어 의자까지 경기장 안으로 던지는 등 소란으로 여러 차례 중단되었다. 경기 시작 9분 만에 펠레는 7명의 수비벽을 넘기는 프리킥으로 골을 성공시켰다. 경기가 끝나기 2분을 남기고 라치오가 페널티킥을 준비하는 순간, 팬들이 또다시 경기장으로 난입했다. 결국 심판은 라치오가 페널티킥을 차지 못한 채 경기를 종료시켰고, 산토스 FC가 3-0으로 승리했다.[31]
3. 5. 프로레슬링
1975년, 이 경기장에서는 인터내셔널 레슬링 협회(IWA)가 주최한 세 번의 프로레슬링 경기가 열렸다.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경기는 1975년 10월 7일에 열린 것으로, 전 WWWF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었던 이반 콜로프와 밀 마스카라스가 I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놓고 맞붙었다. 이 경기는 14,000명의 관중 앞에서 열렸으며, 더블 카운트 아웃으로 마스카라스가 승리했다.[32][33]3. 6. 콘서트
1972년부터 1976년까지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전국 투어 공연을 위한 최고의 야외 콘서트 장소로서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 경기장에서는 에릭 클랩튼, 로드 스튜어트, 앨리스 쿠퍼, J. 가일스 밴드, 플래시, 시카고, 비치 보이스, 더 킹크스, 루킹 글래스, 조 코커, 마크 아몬드 밴드, 패토, 레온 러셀, 뉴 라이더스 오브 더 퍼플 세이지, 쓰리 도그 나이트, T.렉스, 더 밴드, 산타나, 타워 오브 파워, 그랜드 펑크 레일로드, 블루 오이스터 컬트, 리 마이클스, 포코, 올맨 브라더스 밴드, 마셜 터커 밴드, 에머슨, 레이크 & 파머, 실스 앤 크로프츠, 아메리카, 이글스, 예스, 린 이너 스키너드, 두비 브라더스, 키스, 밥 세거 앤 더 실버 불릿 밴드, 보즈 스섐프스, 랜디 메이스너 등 당대 유명 뮤지션들의 콘서트가 여러 차례 열렸다.[34]특히 1974년 8월 8일, 크로스비, 스틸스, 내시 & 영은 4년 만에 뉴욕 지역에서 처음으로 콘서트를 열어 약 5만 명의 관객을 모았다. 공연 중간 휴식 시간에 당시 대통령 리처드 닉슨이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인해 사임을 발표했다. 이 소식을 그레이엄 내시가 무대에서 만원 관중에게 전하자, 관객들은 환호하며 축하 불꽃을 터뜨렸다. 발표 후 밴드는 이 날을 기념하며 데이비드 크로스비의 ''“Long Time Gone”''을 첫 곡으로 연주했다.[35][36]
핑크 플로이드는 루스벨트 스타디움에서 총 4차례 콘서트를 개최했다. 공연 날짜는 1973년 6월 14일과 16일, 1974년 7월 18일, 1975년 6월 14일이었다.[34]
루스벨트 스타디움에서 가장 많은 콘서트를 연 아티스트는 그레이트풀 데드로, 총 8차례 공연했다. 공연 날짜는 1972년 7월 18일, 1972년 9월 19일, 1973년 7월 30일, 1973년 7월 31일, 1973년 8월 1일, 1974년 7월 31일, 1974년 8월 6일, 1976년 8월 4일이었다.[37][34]
3. 7. 기타 행사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역사적으로 드럼 앤 버글 군단 경연의 인기 있는 장소였다. 1946년부터 1983년까지 이 경기장은 드럼 앤 버글 군단 단체들에게 '꿈'으로 여겨지던 전국 드림 경연(National Dream Contest)을 주최했다.[38] 1957년 9월 8일에는 뉴저지주 베이욘 연합 단체가 주최한 제9회 연례 '전국 드럼 경연(National Drum Contest)'이 열렸으며, 8개의 챔피언 드럼 군단이 경쟁했다.[39] 또한 1963년 9월 15일에는 미국과 캐나다의 주니어 드럼 앤 버글 군단을 위한 제1회 연례 월드 오픈 챔피언십(World Open Championship)이 Drum Corps News의 후원으로 개최되었다.[40]
1950년대 초, NASCAR는 경기장 필드와 경고 트랙 주변에서 여러 차례 스톡 카 경주를 개최했다.[41] 1954년 6월 5일에는 100바퀴짜리 NASCAR 챔피언십 이벤트가 경기장에서 열렸다.[42]
1970년대부터 이 경기장은 여호와의 증인을 위한 종교 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1971년 7월 4일에는 16,000명이 경기장에 모여 네이선 H. 노어가 양키 스타디움에서 진행한 연설을 폐쇄 회로 라디오를 통해 들었다.[43] 1974년 7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 동안 10,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지방 대회를 위해 경기장을 가득 채웠으며, 같은 해 7월 25일부터 28일까지는 18,000명을 위한 스페인어 집회가 열렸다.[44]
1970년대 초, 시 당국은 겨울철에 길이 약 60.96m, 폭 약 30.48m의 야외 아이스 스케이팅 링크를 설치하여 인기 있는 장소가 되었다.[45]
4. 폐장 및 철거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경기장은 점차 노후화되었다. 1970년, 저지 시는 잔디 교체, 배수 시설 정비, 지붕 및 증기 난방 시스템 보수 등 여러 개보수를 진행하며 경기장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석면 문제와 전반적인 노후화로 인해 추가적인 구조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 1972년에는 경기장 운영으로 6.8만달러의 손실을 보기도 했다.
시설 노후화는 안전 문제로 이어졌다. 1978년에는 약 9.14m 높이의 조명탑이 관중석 지붕 위로 떨어지면서 경기장 외벽과 다른 조명탑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생겼다. 결국 1981년, 추가로 조명탑 두 개가 더 붕괴되자 시는 경기장 수리를 위해 임시 폐쇄했다가 영구 폐쇄를 결정했다.[22]
같은 해, 저지 시의 도시 연구 및 디자인 부서는 경기장 수리에 약 400만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며, 대신 경기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주택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저지 시는 1970년부터 1980년까지 인구가 14.1%(약 37,000명) 감소한 상황이었다. 시 관계자들은 새로운 주택 건설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400만달러의 세수를 확보하여 인구 감소 추세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46]
1982년 11월, 저지 시 의회는 경기장 철거를 최종 결정하고, 해당 부지에 2억달러 규모의 중산층 주택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46][47] 경기장은 1985년에 철거되었고, 이후 부지에는 1996년 '소사이어티 힐'(Society Hill)이라는 이름의 게이티드 커뮤니티가 들어섰다. 2004년부터는 '드로이어스 포인트'(Droyer's Point)라는 이름으로 후속 개발이 진행되었다.[48][49]
루스벨트 스타디움은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되었으나, 결국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다른 뉴욕 지역의 역사적인 야구장들과 유사한 길을 걷게 되었다. 브루클린의 에베츠 필드는 1960년에 철거되어 1962년 에베츠 필드 아파트라는 중산층 주택 단지로 바뀌었고, 어퍼 맨해튼의 폴로 그라운드는 1964년 철거 후 1968년 폴로 그라운드 타워라는 공공 주택 단지로 대체되었다.
4. 1. 대체 시설
1983년 10월, 저지 시티는 시의 캐번 포인트 지역 주민들과 지역 학교들을 위해 보다 현대적이고 소규모인 4,000석 규모의 시립 경기장 코크란 스타디움을 개장하여 기존 시설을 대체했다.[50]5. 유산
루스벨트 스타디움과 이곳에서 개최된 행사들은 여러 방식으로 기념되었다. 스타디움 좌석의 일부는 쿠퍼스타운의 국립 야구 명예의 전당 및 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협회에 기증되어 전시되고 있다.[51] 또한, 야구의 인종 차별 장벽을 깬 재키 로빈슨의 역사적인 데뷔를 기리기 위해 기념패와 동상이 세워졌으며,[49][52] 여러 영화와 다큐멘터리에서 스타디움과 관련된 이야기가 다루어졌다. 최근에는 스타디움과 저지시티를 기념하는 패션 아이템이 출시되기도 했다.[54]
5. 1. 기념물
1985년 철거 전, 루스벨트 스타디움의 좌석 중 하나는 쿠퍼스타운의 국립 야구 명예의 전당 및 박물관에 기증되었으며, 다른 좌석은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협회에 기증되어 두 박물관에 전시되었다.[51]1996년 4월 17일, 루스벨트 스타디움 부지를 기념하고 야구의 인종 차별 장벽을 깬 재키 로빈슨의 역사적인 데뷔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소사이어티힐의 가제보에 기념패가 헌정되었다.[49]
1998년 2월 25일, 저널 스퀘어 교통 센터 광장에 재키 로빈슨 동상이 세워졌다. 조각가 수잔 와그너가 조각한 약 4.27m 높이의 이 동상은 양팔을 뻗어 글러브를 낀 손으로 공을 잡는 로빈슨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 동상은 로빈슨이 몬트리올 로열스 소속으로 루스벨트 스타디움에서 처음으로 마이너 리그 경기에 출전하며 야구의 인종 차별 장벽을 깬 것을 기념한다.[52]
5. 2. 미디어
- 1950년 영화 재키 로빈슨 스토리(The Jackie Robinson Story)는 로빈슨의 자서전인 ''My Own Story|나의 이야기eng''를 부분적으로 바탕으로 하며, 몬트리올 로열스에서의 그의 역사적인 프로 데뷔 장면은 처음에 길모어 필드(Gilmore Field)를 루스벨트 스타디움으로 대체하여 묘사된다. 이 스타디움은 영화에서 여러 번 언급되기도 한다.
- 2007년 HBO 다큐멘터리 ''브루클린 다저스: 플랫부시의 유령''(Brooklyn Dodgers: Ghosts of Flatbusheng)에서는 브루클린 다저스가 브루클린에 있던 마지막 10년을 기록한다. 이 영화는 특히 다저스 구단주 월터 오말리(Walter O'Malley)가 뉴욕시 건설 조정관 로버트 모세(Robert Moses)에게 에베츠 필드(Ebbets Field)를 대체할 새로운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 스타디움을 브루클린 다운타운(Downtown Brooklyn)에 건설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하면서 1956년과 1957년에 루스벨트 스타디움을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한 점을 강조한다.
- 2013년 영화 42는 재키 로빈슨에 관한 전기 영화이자 스포츠 영화로서, 몬트리올 로열스에서의 그의 역사적인 프로 데뷔 장면은 조지아주 메이컨의 루터 윌리엄스 필드(Luther Williams Field)를 루스벨트 스타디움으로 사용하여 묘사했다.[53]
5. 3. 패션
2023년 7월, 루스벨트 스타디움과 뉴저지 시티를 모델로 한 한정판 뉴발란스 440 스니커즈가 출시되었다. 이 스니커즈는 NJ 스케이트샵과 뉴발란스의 스케이트보드 브랜드인 뉴메릭(Numeric)과의 협업으로 개발되었으며, 루스벨트 스타디움의 역사, 뉴저지 시티의 이전 위치, 뉴저지 440번 국도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또한, 스타디움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해 NJ 스케이트샵은 저지 시티의 연필 제조업체인 제너럴 펜슬 컴퍼니(General Pencil Company)와 협력하여 루스벨트 스타디움, 1946년 4월 18일이라고 새겨진 맞춤형 연필 1,000개를 제작했다. 이는 야구 스코어 기록에 사용된 연필을 기념하고, 저지 시티 자이언츠 경기와 재키 로빈슨의 역사적인 데뷔를 기리기 위함이었다.[54]참조
[1]
뉴스
Jersey City Plans Stadium to Seat 50,000 As $500,000 Memorial to Her Soldier Dead.
https://www.nytimes.[...]
1929-06-06
[2]
뉴스
Jersey City to Get WPA Stadium Fund. Mayor Hague Reports Application for $800,000 Approved for Arena at Airpor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5-09-26
[3]
뉴스
Two In Plane Escape In Newark Bay Crash. Schneider, Ex-Transcontinental Record-Holder, And Student Pilot Rescued By Polic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5-05-16
[4]
뉴스
International League to Begin Fifty-Fourth Season Today; JERSEY CITY READY FOR GALA OPENING
https://select.nytim[...]
1937-04-22
[5]
뉴스
JERSEY CITY EAGER TO SEE NEW CLUB; Opener, Put Back Because of Rain, Is Expected to Draw 30,000 Fans Today
https://select.nytim[...]
1937-04-23
[6]
웹사이트
Roosevelt Stadium key in baseball history - Robinson broke color barrier, Irvin starred in Jersey City
https://www.milb.com[...]
2009-02-02
[7]
웹사이트
Jackie Robinson, Jersey City, and His First Game in Organized Baseball
https://sabr.org/jou[...]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8]
웹사이트
Robinson stepped to the plate in Jersey City and into the history books 75 years ago
https://www.nj.com/h[...]
The Jersey Journal
2021-04-16
[9]
웹사이트
Remembering Jackie Robinson's 1946 season
https://www.milb.com[...]
[10]
웹사이트
April 26, 1951: Ottawa Giants bring Triple-A baseball back to Canada's capital
https://sabr.org/gam[...]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1951-04-26
[11]
뉴스
Jersey City to get Havana, Castro 'speaks'
https://news.google.[...]
Free Lance-Star
1960-07-09
[12]
웹사이트
The Short but Exciting Life of the Havana Sugar Kings
https://sabr.org/jou[...]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13]
웹사이트
Ex-Sugar Kings Get a Noisy Welcome in New Hom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0-07-16
[14]
웹사이트
Ballparks: 1862 - Present
https://www.mlb.com/[...]
[15]
뉴스
Doby Hits 500 Foot Homer for Griffith Stadium Record
https://news.google.[...]
1949-05-26
[16]
웹사이트
The Brooklyn Dodgers in Jersey City
https://sabr.org/jou[...]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17]
서적
The Dodgers: 120 years of Dodgers baseball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18]
웹사이트
April 19, 1956: Dodgers defeat Phillies in Jersey City opener
https://sabr.org/gam[...]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19]
웹사이트
July 25, 1956: Dodgers win on Snider walkoff home run in Jersey City
https://sabr.org/gam[...]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1956-07-25
[20]
웹사이트
August 15, 1956: Giants' Antonelli outduels Dodgers' Newcombe in Jersey City
https://sabr.org/gam[...]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1956-08-15
[21]
웹사이트
Chicago Cubs vs Brooklyn Dodgers Box Score: June 5, 1957
https://www.baseball[...]
1957-06-05
[22]
웹사이트
Roosevelt Stadium
https://njcu.libguid[...]
New Jersey City University
[23]
웹사이트
Dickinson Loss Streak Extended to 42 Gam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4-09-29
[24]
웹사이트
The Thomas M. Gerrity Athletic Complex
https://njcugothickn[...]
2015-06-23
[25]
웹사이트
A ROUNDUP OF THE SPORTS INFORMATION OF THE WEEK - SOCCER—INTERNATIONAL SOCCER LEAGUE
https://vault.si.com[...]
Sports Illustrated
1960-06-06
[26]
웹사이트
KILMARNOCK TOPS AMERICANS, 3 TO 1; Earns First Section Title in Soccer Play -- Burnley Wins Opener, 4 to 0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0-06-20
[27]
웹사이트
Bologna Triumphs Over WestHam,2–1; Cosmos 3–1 Victo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1-06-21
[28]
간행물
The Ukrainian Weekly
1971-06-05
[29]
웹사이트
Pele Leads Santos of Brazil Against Bologna of Italy in Jersey City Toda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1-06-27
[30]
웹사이트
Pele Draws Cheers, Boos in Tie Game Before 21,414 Fa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1-06-28
[31]
웹사이트
PELE AND SANTOS WIN; FANS ERUP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3-03-26
[32]
웹사이트
International Wrestling Association (IWA)
https://www.cagematc[...]
[33]
웹사이트
IWA Event 10.07.1975 Jersey City, New Jersey USA Roosevelt Stadium
https://www.cagematc[...]
1975-10-07
[34]
웹사이트
Roosevelt Stadium Concert History
https://www.concerta[...]
[35]
웹사이트
Pop Music: Crosby, Still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4-08-10
[36]
웹사이트
Graham Nash on 'CSNY 74,' summer tour
https://www.app.com/[...]
Asbury Park Press
2014-07-04
[37]
웹사이트
The SetList Program - Grateful Dead Setlists, Listener Experiences, and Statistics
http://www.setlists.[...]
[38]
웹사이트
Drum and Bugle Corps Report
https://www.newspape[...]
The Herald News
1967-07-20
[39]
웹사이트
The Blare And the Beat
https://www.nytimes.[...]
1957-09-08
[40]
웹사이트
Cavaliers in 8th Place In World Corps Contest
https://www.newspape[...]
The Berkshire Eagle
1963-09-16
[41]
웹사이트
Overview of New Jersey Racing History
https://www.jerseysh[...]
[42]
웹사이트
100-LAP EVENT SET TOMORROW - Postponed Race To Open Jersey City Card
https://www.newspape[...]
The Record
1954-06-04
[43]
웹사이트
Jehovah's Witnesses Told Nations Face 'Collision' With God
https://www.nytimes.[...]
1971-07-05
[44]
웹사이트
Jehovah Witnesses Open 4-Day Meeting
https://www.nytimes.[...]
1974-07-19
[45]
웹사이트
The Stadium's a Burden To a Hard-Pressed City
https://www.nytimes.[...]
1972-02-20
[46]
뉴스
ROOSEVELT STADIUM: GLORY FADING FAST
https://www.nytimes.[...]
1982-11-28
[47]
웹사이트
PART OF AN ERA WILL FALL WITH ROOSEVELT STADIUM
https://www.nytimes.[...]
1984-07-01
[48]
웹사이트
Roosevelt Stadium: The Forgotten Ballpark
https://sabr.org/jou[...]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SABR)
[49]
웹사이트
Society Hill at Jersey City
https://njcu.libguid[...]
New Jersey City University
[50]
웹사이트
SPORTS PEOPLE; Empty Seats in Jersey
https://www.nytimes.[...]
1983-08-26
[51]
웹사이트
When the Dodgers and Jackie Robinson Made History in New Jersey
https://www.njspotli[...]
2012-03-29
[52]
웹사이트
In Jersey City, statue marks Jackie's triumph - Robinson landmark honors site of legend's first game in Minors
https://www.milb.com[...]
2009-02-02
[53]
웹사이트
42 FILM TOUR
https://www.exploreg[...]
[54]
웹사이트
Skate shop to release sneaker that celebrates historic Roosevelt Stadium and Jersey City
https://www.nj.com/h[...]
The Jersey Journal
2023-07-14
[55]
뉴스
When the Dodgers and Jackie Robinson Made History in New Jersey
https://www.njspotli[...]
NJ Spotlight News
2012-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