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달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달레이는 미얀마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1859년 민돈 왕에 의해 건설되어 1885년 영국에 병합되기 전까지 꼰바웅 왕조의 마지막 수도였다. 부처의 예언에 따라 만달레이 언덕 기슭에 건설되었으며, 왕궁, 사원, 도서관 등 다양한 건축물이 조성되었다.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으로 영국에 점령된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어 피해를 입었지만, 미얀마 독립 이후 상업, 교육, 의료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계 이민자가 급증하면서 인구 구성과 경제에 큰 변화가 생겼으며, 미얀마의 주요 교통,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달레이 - 만달레 왕궁
    만달레이 왕궁은 콘바웅 왕조의 시바웅 마민 왕이 건설한 왕궁으로, 2km x 2km 크기의 성벽과 해자, 12개의 문, 황금 궁전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미얀마의 역사적 유적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 미얀마의 도시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미얀마의 도시 - 네피도
    네피도는 2005년 미얀마의 새로운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군부의 전략적 목적과 행정 수행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낮은 인구 밀도와 사회·경제적 과제를 안고 있다.
만달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만달레이 - 부처 숭배
마하무니 불상
쿠토도 파고다 & 산다르무니 파고다, 만달레이
쿠토도 파고다 및 산다르무니 파고다
우베인 다리, 만달레이
우베인 다리
제초 타임 타워
제초 시장
만달라 티리 스포츠 경기장 (만달레이)
만달라티리 경기장
만달레이 궁전
만달레이 왕궁
공식 명칭만달레이
로마자 표기Mandalay
지리
좌표북위 21° 58′ 59″, 동경 96° 05′ 04″
면적163.84 제곱킬로미터
해발 고도22 미터
행정
국가미얀마
지역만달레이 지방
만달레이 구
설립1857년
시장짜우 산
인구
총 인구 (2014년)1,726,889명
도시 인구 비율76%
농촌 인구 비율24%
민족 구성버마족, 중국계, 샨족 및 기타 소수 민족
종교상좌부 불교, 기독교, 힌두교, 이슬람교
인구 통계만달레이 사람
경제
실업률(정보 없음)
기타 정보
지역 코드02
차량 등록 번호MDY
시간대미얀마 표준시 (MMT)
UTC 오프셋+6:30

2. 역사

1859년 5월 23일 민돈 왕에 의해 건설된 만달레이는[88] 1885년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을 거쳐 대영 제국에 병합되기 전까지 미얀마의 마지막 왕조 수도(1860년-1885년)였다.

만달레이는 불교 2400주년 축제를 맞아 바로 이 장소에 위대한 도시(불교의 도시)가 나타날 것이라는 부처의 예언에 따라 해발 236미터의 만달레이 언덕 기슭에 건설되었다. 민돈 왕은 아마라푸라 왕국을 통치하던 1857년 1월 13일에 새로운 왕국을 창설하는 칙령을 발했고, 1858년 1월에 등극 기념식을 거행했다. 이전의 왕도 아마라푸라는 해체되어 코끼리에 의해 만달레이 언덕 기슭의 새로운 부지로 옮겨졌다. 왕은 동시에 성벽으로 둘러싸인 왕도, 해자, 'Maha Lawka Marazein' 불탑(쿠토도 파고다), 'Pahtan-haw Shwe Thein'이라는 이름의 고위 서임식장, 'Atumashi'(비할 데 없는) 사원, 투다마 자야트(သုဓမ္မာဇရပ်my; 설교를 위한 강당), 불전을 수납한 도서관 등 7개의 건축물 기초도 정했다.

왕도 전체는 "레쭝아웅미에"(လေးကျွန်းအောင်မြေmy)〈사도 위에 서 있는 영광의 땅〉이라고 불렸으며, 왕궁은 'Mya Nan San Kyaw'(명 높은 에메랄드 왕궁)라고 불렸다. 왕국의 새로운 수도는 "야다나본 네피도"(ရတနာပုံနေပြည်တော်my; 그 팔리어 이름인 Ratanapurapi〈보석의 도시〉의 미얀마어 번역)라고 불렸다. 이후, 지명이 언덕을 따라 만달레이가 되었다.

만달레이는 29년 후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동안 점령되었다. 당시 왕이었던 티보 민과 왕비 수파야라트는 왕궁에서 퇴거해야 했고, 결국 인도에 망명했다. 왕궁은 더프린 백작을 기려 더프린 요새로 개명되었고, 영국과 인도의 군대가 주둔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많은 보물이 약탈되었다. 그 중 일부는 대영 제국으로 반환되었으며,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89]. 단, 사자 옥좌와 같은 일부 레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반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일본군은 중국의 보급선을 끊기 위해 인도차이나를 점령했다. 버마루트로 알려진 양곤에서 만달레이, 라시오, 바오산 시, 쿤밍 시를 경유하여 충칭 시에 이르는 새로운 보급선이 개통되었다.[90] 일본군은 이 보급선을 끊으려고 ရဲဘော်သုံးကျိပ်|Thirty Comradesmy가 이끄는 미얀마 독립 의용군 (BIA)의 설립을 지원했다. 일본군은 1942년 5월 2일에 만달레이를 점령했고, 왕궁을 포함한 요새는 일본군의 병참 부대로 전용되었다. 이후 영국군이 1945년 3월에 만달레이를 해방하기 전에 심한 폭격을 받았다. 왕궁은 완전히 소실되었고, 왕립 조폐국과 시계탑과 같이 한 쌍의 석조 건물을 결합한 왕궁은 석조대좌만 남게 되었다. 이후 네 윈이 1980년대에 충실한 복제품을 건설했다.

1948년, 미얀마는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만달레이는 만달레이 지방 구의 구도가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 많은 중국인 이민자들이 이주해 오면서 기존 주민들이 쫓겨나는 사례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91]

2. 1. 초기 역사

민돈 왕은 만달레이 왕국의 수도를 건설했다.


만달레이는 1857년 민돈 왕이 만달레이 언덕 기슭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면서 세워졌다. 이는 부처님 오신 날 2400주년을 기념하여 그곳에 불교 대도시를 건설하라는 예언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8]

민돈 왕의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투다마'' 자야트
]

새로운 수도 부지는 약 66.04km2의 면적이었으며, 4개의 강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계획은 만달레이 언덕 중심부에 16개 블록 규모의 왕궁 단지를 둔 144개 블록의 격자형 성채를 요구했다.[9] 1,020에이커(413헥타르) 규모의 성채는 약 2031.80m 길이의 4개의 벽과 약 64.01m 너비, 약 4.57m 깊이의 해자로 둘러싸여 있었다. 벽을 따라 약 169.16m 간격으로 망루가 있었고, 망루에는 감시병을 위한 금색 첨탑이 있었다.[10] 벽에는 각 면에 3개의 문이 있었고 해자를 건너는 5개의 다리가 있었다.[9]

만달레이 궁전 부지


1857년 6월, 아마라푸라의 이전 왕궁이 해체되어 코끼리에 의해 만달레이 언덕 기슭의 새로운 위치로 옮겨졌지만, 궁전 단지의 건설은 2년 후인 1859년 5월 23일에 공식적으로 완료되었다.[8]

또한, 왕은 쿠토도 파고다, ''파탄호 슈웨 테인'' 수계원, 불교 설법을 위한 ''투다마'' 자야트, 팔리어 경전을 위한 도서관도 의뢰했다.

1857년에 건립되었을 때, 이 왕실 도시는 공식적으로 '''야다나본'''(ရတနာပုံ|야다나본my)으로 명명되었는데, 이는 팔리어 이름인 '''라타나푸라'''(ရတနပူရ|라타나푸라my) "보석의 도시"에서 차용된 것이다.[6][7] 또한 ''레이 툽 아웅 메이''(လေးကျွန်းအောင်မြေ|레이 쭁 아웅 몌my, "네 개의 섬을 이긴 승리의 땅") 및 만달레이 궁전(မြနန်းစံကျော်|먀 난 산 쩌my, "유명한 왕실 에메랄드 궁전")이라고도 불렸다.

2. 2. 꼰바웅 왕조의 마지막 수도 (1859-1885)

민돈 왕은 1857년 2월 13일 만달레이 언덕 기슭에 새로운 왕도를 건설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부처님 오신 날 2400주년을 기념하여 그곳에 불교 대도시를 건설하라는 예언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8] 새로운 수도 부지는 약 66.04km2의 면적이었으며, 4개의 강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계획은 만달레이 언덕을 중심으로 16개 블록 규모의 왕궁 단지를 둔 144개 블록의 격자형 성채를 요구했다.[9] 1020acre 규모의 성채는 약 2031.80m 길이의 벽 4개와 약 64.01m 너비, 약 4.57m 깊이의 해자로 둘러싸여 있었다. 벽을 따라 약 169.16m 간격으로 망루가 있었고, 망루에는 감시병을 위한 금색 첨탑이 있었다.[10] 벽에는 각 면에 3개의 문이 있었고 해자를 건너는 5개의 다리가 있었다.[9] 또한, 민돈 왕은 쿠토도 파고다, '파탄호 슈웨 테인' 수계원, 불교 설법을 위한 '투다마' 자야트 또는 공공 주택, 팔리어 경전을 위한 도서관도 의뢰했다.

1857년 6월, 아마라푸라의 이전 왕궁이 해체되어 코끼리를 통해 만달레이 언덕 기슭의 새로운 위치로 옮겨졌지만, 궁전 단지의 건설은 2년 후인 1859년 5월 23일에 공식적으로 완료되었다.[8]

이후 26년 동안 만달레이는 꼰바웅 왕조의 마지막 왕도이자 마지막 독립 버마 왕국이었으며, 1885년 11월 28일 영국이 도시를 정복하고 티보 민과 그의 왕비 수파얄랏을 인도로 추방하면서 영국 제국에 병합되었다. 영국군에 의해 왕의 족보와 왕국의 공식 기록이 보관되어 있던 피타카타이크(왕립 도서관)가 불타는 등 만달레이는 파괴되었으나, 궁전, 구조물, 도시 벽은 파괴를 면했다.[11]

2. 3. 식민지 시대 (1885-1948)

만덜레 중심가


만달레이 궁전의 요새


영국 식민지 시대 만달레이 차이나타운의 오래된 거리 풍경


영국 식민 통치 하에서도 만달레이는 상부 미얀마의 주요 도시로 남았지만, 상업적 및 정치적 중요성은 점차 양곤으로 옮겨갔다. 만달레이 개발에 대한 영국의 의도는 주로 상업적인 것이었다. 병합 후 불과 4년만인 1889년에 만달레에 철도가 개통되었으나,[12] 최초의 대학인 만달레이 칼리지는 40년 후인 1925년에야 세워졌다.[13] 더퍼린 요새로 개칭된 궁전은 영국군 주둔지로 사용되었다. 영국군은 궁전을 약탈했고, 보물 중 일부는 빅토리아 앤 알버트 박물관에 전시되었다가 1964년 선의의 표시로 버마에 반환되었다.[14][15]

식민지 시대 만달레이는 미얀마 문화와 불교의 중심지였고, 마지막 왕조의 수도로서 버마인들에게 왕권과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에 만달레이는 영국 통치에 대한 전국적인 저항의 중심지였다. 영국 통치는 많은 인도 이민자들을 도시로 유입시켰다. 1904년~1905년에는 역병으로 인구의 3분의 1이 도시를 떠났다.[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만달레이는 파괴적인 공습을 겪었다. 1942년 5월부터 1945년 3월까지 일본 제국 육군에 점령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떠났다. 1942년 4월 3일, 버마 공략전 중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의 대규모 공격으로 도시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였다. 만달레이 가옥의 5분의 3이 파괴되었고 민간인 2,000명이 사망했다.[16][17][18] 일본군에 의해 보급창이 된 궁전은 연합군의 폭격으로 불에 타 왕실 조폐소와 감시탑만이 남게 되었다.

제19 인도 보병 사단의 군인들과 리 전차가 1945년 3월 9일부터 10일까지 만달레이 시가전에서 전투 중이다.

2. 4. 독립 이후 (1948-현재)

네윈의 고립주의 통치(1962년~1988년) 기간 동안 만달레이의 기반 시설은 악화되었다. 1980년대 초까지 미얀마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음에도 낮은 건물과 대부분 자전거로 채워진 먼지 많은 길이 있는 읍내와 비슷한 모습이었다. 1980년대에 만달레이에는 두 차례의 큰 화재가 발생했다. 1981년 5월 화재로 6,000채 이상의 주택과 공공 건물이 전소되어 9만 명 이상이 집을 잃었고, 1984년 3월 24일 화재로 2,700채의 건물이 파괴되고 23,000명이 집을 잃었다. 이 화재로 9,600만 달러(9600만달러)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25] 이후에도 화재는 계속되어, 2008년 2월에는 만달레이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인 야다나본 시장이 파괴되었고, 2009년 2월에는 320채의 집이 파괴되고 1,6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집을 잃었다.

1980년대의 화재는 도시의 모습과 민족 구성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화마가 휩쓸고 간 자리에는 윈난성에서 이주한 중국인들이 자리 잡았다. 중국인의 유입은 1988년 국가 평화 개발 위원회가 권력을 잡은 후 가속화되었다. 1990년대에만 25~30만 명의 윈난성 출신 중국인들이 만달레이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27] 오늘날 중국인은 만달레이 인구의 30~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27] 이는 원주민과 거의 같은 수준이며, 1980년 약 50만 명에서 2008년 100만 명으로 인구가 두 배로 증가하는 데 주요 요인이 되었다. 중국 축제는 이제 만달레이의 문화 일정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25] 도시 중심부의 중국인 지배는 나머지 주민들을 교외로 밀어냈다.

194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만달레이는 상부 미얀마의 주요 문화, 교육 및 경제 중심지 역할을 계속했다. 1990년대 초까지 상부 미얀마 출신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대학 교육을 위해 만달레이로 갔다. 1991년까지 만달레이 대학교, 만달레이 의과대학, 국방군사학교는 상부 미얀마의 유일한 3개 대학교였다.

1959년 11월, 만달레이는 만달레이 언덕 기슭에서 축제를 열어 개도 100주년을 기념했고, 특별 기념 우표가 발행되었다.

2006년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만달레이는 여전히 상부 미얀마의 주요 상업, 교육 및 의료 중심지로 남아 있다. 2018년 10월, 만달레이는 ASEAN 스마트 시티 네트워크를 위한 스마트 시티가 되는 과정에서 동남아시아 10대 도시 중 5위로 선정되었다.[28]

3. 지리

만달레는 미얀마 중부 건조 지대에 위치하며, 도시 서쪽으로 에야워디강이 흐르고, 만달레이 칸타우지라는 작은 호수가 있다. 사개잉 단층을 따라 위치해 있어 역사적으로 큰 지진 피해를 입기도 했다. 1839년에는 추정 규모 8.2의 지진이 발생하여 당시 수도였던 아바를 파괴하고 인근 도시에 극심한 피해를 입혔으며, 1956년에는 규모 7의 지진이 발생하여 인근 사개잉에 큰 피해를 입혔다.[29]

3. 1. 위치

만달레이는 미얀마 중부 건조 지대의 에야워디강가에 있으며, 해발 고도는 64m이다.[29] 사개잉 단층을 따라 위치해 있어 지진 발생 위험이 있다. 1839년 3월 23일에는 추정 규모 8.2의 지진이 발생하여 당시 수도였던 아바를 파괴하고 인근 도시에 극심한 피해를 입혔다.[29]

3. 2.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만달레는 열대 사바나 기후(Aw)와 온대 하우 기후(Cw)의 경계에 속한다. 1월(최한월)의 평균 기온은 18°C 정도이고, 7월(최난월) 평균 기온은 28°C에 이르며, 연평균 강수량은 약 894mm이다.[97][98][99] 4월이 가장 더우며, 40°C 안팎까지 올라가는 날도 있다. 우기는 대략 5월~10월까지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9.8°C33.2°C37°C39.1°C37.1°C35.6°C35.4°C34.3°C34.2°C33.4°C31.7°C29.3°C34.2°C
평균 기온 (℃)22°C24.8°C29°C32°C31.6°C30.9°C30.8°C30.1°C29.9°C28.8°C26°C22.6°C28.2°C
평균 최저 기온 (℃)14.2°C16.3°C20.9°C25°C26°C26.3°C26.3°C25.9°C25.6°C24.2°C20.3°C15.8°C22.2°C
강수량 (mm)5.3mm3.1mm7.2mm42.1mm151.8mm90.8mm73.2mm159.5mm176.7mm142.8mm36.3mm5.5mm894.3mm


4. 행정

만달레이 시청 및 만달레이시 개발 위원회 본부


만달레이 지역 정부는 만달레이 시를 포함한 만달레이 지역의 정부이다. 만달레이시 개발 위원회(MCDC)는 만달레이 시의 시립 기구이다. 만달레이 시는 다음 7개의 타운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마라푸라
  • 아웅미야타잔
  • 찬예타잔 (시 중심지)
  • 찬미아타지
  • 마하 아웅메
  • 파테잉기
  • 피이지이다군

5. 인구

2011년 기준 만달레의 도시 인구는 952,570명이며, 2025년에는 1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만달레는 전통적으로 버마족의 근거지였지만, 지난 20년간 중국계 이민자가 급증하였다. 오늘날 중국인은 도시 전체 인구의 30~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계 주민들 또한 만달레에 상당수 거주한다.

주요 언어는 버마어이며, 중국어는 상업 중심지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영어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세 번째 언어이다.

6. 경제

미얀마 북부와 중부의 교역 및 교통 중심지인 만달레이는, 중국인도와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62] 주요 전통 산업으로는 견직, 태피스트리, 세공, 불상 제작, 금은 세공 등이 있다.[62]

1990년대 이후 미국유럽 연합의 경제 제재와 미얀마의 개방 정책은 만달레이 경제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67] 특히, 경제적 기회를 찾아 만달레이로 유입된 중국계 이민자들은 재능, 기술, 상품, 서비스, 자본을 가져와 만달레이 중심부의 상점과 부동산 대부분을 구매하며 도시 경제 역학을 변화시켰다.[63] 이들은 대부분 윈난성 출신으로, 암시장에서 불법적으로 신분증을 획득하여 미얀마 시민이 되기도 했다.[48][64]

외국인 직접 투자가 증가하면서, 중국 본토 자본이 만달레이의 부동산 부문에 대거 투자되었다.[64] 시멘트 혼합에서 금융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중국 사업가들이 운영하는 소매점이 개설되어 만달레이를 번영하는 비즈니스 센터로 만들었다.[68]

만달레이의 중국계는 사실상 모든 소매 금 상점, 광산 채굴권, 외국 기업 및 목재 무역 회사를 소유하고 있다.[71] 만달레이 중심부에서 금 및 보석 상점의 약 80%가 중국 소유이며,[72] 무역 협동조합, 시장 노점, 음식점, 전통 중국 의학 클리닉, 호텔, 보석 채굴권,[64] 도매 마케팅, 부동산 등 다양한 사업체가 중국계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72] 옥과 보석의 외국 구매자들이 만달레이로 몰려들고, 홍콩 고객이 주요 고객이다.[63]

만달레이 중심부의 주요 주거 및 상업 부동산은 부유한 중국 사업가와 투자자들이 매입했다.[74] 도시 주민의 절반이 중국계일 수 있으며, 만달레이의 상위 10대 기업가 중 7명이 중국계로, 전체 경제의 60%를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63] 다운타운 만달레이의 토지 필지 중 약 50%가 중국인이 통제하고 있다.[67]

이러한 변화는 현지인들의 반감을 사기도 하며, 만달레이는 경제적, 문화적으로 사실상 중국화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63][73] 현지 주민들은 만달레이를 국제적인 본토 및 해외 중국 자본의 유입에 의해 지배되는 "중국 도시"라고 언급하기도 한다.[76]

최근 중국에서 온 새로운 이민자들은 대부분 사업을 위해 만달레이로 이주하며, 만달레이 외곽에 정착하는 경향이 있다.[64][70]

만달레이의 다른 주요 산업으로는 스포츠가 있으며, 야다나본 FC는 미얀마 내셔널 리그에서 이 도시를 대표한다.[64] 미얀마 철도의 만달레이 중앙역은 양곤 중앙역에서 출발하는 간선 철도의 종착역이며, 여러 지선들의 기점이기도 하다. 1999년에는 중국의 지원으로 만달레이 국제공항이 완성되었다.

현재 만달레이는 미얀마 최대의 중국 자본 거점이며, "리틀 차이나"라고 불리기도 한다.[92] 또한, 만달레이에서 생산한 의류에 "중국산" 태그를 붙여 홍콩을 경유하여 서방 국가에 수출하는 중국인 경영의 공장도 존재한다고 한다.[92]

7. 교통

만달레이는 미얀마 중부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어 사람과 물자 수송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이 도시는 여러 교통 수단을 통해 미얀마의 다른 지역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와도 연결되어 있다. 에야와디 강은 "만달레이로 가는 길"로서, 쌀, 요리용 기름, 곡물, 대나무, 티크재 등 농산물을 비롯한 물류의 대동맥이다.[92]

7. 1. 공항

만달레이 국제공항미얀마에서 가장 큰 공항 중 하나이다. 2000년에 1.5억달러를 들여 건설되었지만, 활용도가 매우 낮다. 주로 국내선 항공편이 운항되며, 쿤밍, 방콕, 치앙마이 왕복 항공편을 제외하면 에어 아시아(Air Asia)와 방콕 항공(Bangkok Airways)에서 매일 운항한다.[38] 이 공항은 군사 정권의 잘못된 계획과 백색 코끼리 프로젝트에 대한 성향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다.[39]

만달레이 국제공항


공항은 도시에서 45km 떨어진 현대식 고속도로에 있다. 이 공항 건설 전에는 만달레이 찬미아타지 공항이 이 도시의 주요 공항이었다. 만달레이 찬미아타지 공항은 미얀마 내 일부 도시로 운항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1999년에는 중국의 지원으로 새로운 국제 공항인 만달레이 국제공항이 완성되었다.

7. 2. 철도

만달레이 중앙역은 미얀마 철도의 주요 노선인 양곤-만달레이 철도의 종착역이며, 핀우린, 라쇼 (만달레이-라쇼 철도), 모니와, 파콕쿠, 칼레이묘, 간가우 등과 북쪽으로는 쉐보, 카울린, 나바, 칸발루, 모힌, 호핀, 모가웅, 미치나 (만달레이-미치나 철도)로 가는 지선의 출발점이다.[92]

78번가와 30번가에 위치한 중앙 기차역

7. 3. 도로

만달레이는 미얀마 도로망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고속도로망은 다음 방향으로의 도로를 포함한다.[40]

  • 상부 미얀마 및 중국: 만달레이-따궁-바모-미치나 도로, 만달레이-모곡-싱구-바모 도로, 만달레이-라쇼-무세 도로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14 또는 AH14의 일부)[41]
  • 서부 미얀마 및 인도: 만달레이-사가잉-모니와-칼레와-타무 도로[41]
  • 하부 미얀마: 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 및 AH1[41]


이 고속도로의 대부분 구간은 상태가 좋지 않은 1차선 도로이다.

7. 4. 대중교통

만달레이는 미얀마 중부에 위치하여 사람과 물자 수송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한다. 미얀마에서 자동차 운송은 매우 비싸기 때문에[42]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전거, 오토바이 및 버스에 의존한다. 2008년 3월, 만달레이에는 약 81,000대의 등록된 차량과[45] 미등록 차량이 있었다.

만달레이의 교통은 매우 혼잡한데, 수천 대의 자전거와 오토바이가 거리의 모든 차선을 자유롭게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사이클 릭샤와 자전거의 도심 진입이 금지된 양곤과는 달리, 만달레이에서는 모든 것이 허용된다. 2018년, 만달레이 스마트 시티 계획의 일환으로 만달레이 시 개발 위원회는 교차로의 교통 관리를 위해 인터넷 연결 센서가 장착된 새로운 신호등을 설치했다.[46]

8. 문화

만달레이는 미얀마의 문화적, 종교적 중심지로, 수많은 사찰과 700개 이상의 파고다가 있다.[91] 만달레이 언덕 기슭에는 쿠토도 파고다가 있는데, 이곳에는 세계 최대의 책으로도 알려진 세계 공식 "불교 성경"이 있다.[91] 민돈 왕은 독실한 불교 신자로 만달레이에 불상과 파고다를 세웠고, 시간이 지나면서 만달레이 불교 미술은 미얀마 순수 예술로 자리 잡았다. 팔리 경전 전체가 새겨진 729개의 돌판은 각각 하얀 안에 보관되어 있다.[91]

만달레이 궁전


호수로 둘러싸인 옛 만달레이 성벽 안의 건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대부분 파괴된 만달레이 궁전으로,[91] 최근 죄수 노동력을 사용하여 복원되었다.[91] 현재는 복제품, 군사 교도소, 중앙 군사 사령부 본부인 군사 주둔지로 대체되었다.[91]

  • 아투마시 사원: 문자 그대로 "비길 데 없는 사원"을 의미하는 "아투마시 카웅"은 잘 알려진 명소 중 하나이다. 원래 구조는 1890년 화재로 파괴되었지만 석조 받침대는 살아남았다. 재건 사업은 1995년 5월 2일에 시작되어 1996년 6월에 완료되었다.

아투마시 사원은 화재로 파괴된 원본을 충실하게 복제하여 재건되었다.

  • 부처님의 치아 사리 사본 파고다: 부처님의 신성한 치아 사리 사본 중 하나는 아마라푸라 타운십의 마하 담마얀티 언덕에 있는 만달레이 스웨다우 파고다에 안치되었다. 이 파고다는 미얀마 국민과 전 세계의 불교 신자들이 기부한 현금으로 지어졌다. 1996년 12월 13일, 부처님의 치아 사리 사본 파고다 만달레이의 ''슈웨 티도''(신성한 황금 우산), ''응에트미야트나도''(신성한 새 깃털 풍향계) 및 ''세인푸도''(신성한 다이아몬드 봉오리)가 게양되었다.
  • 쿠토도 파고다 (세계에서 가장 큰 책): 1857년 민돈 왕이 지었으며, 냐웅우의 쉐지곤 파고다를 본뜬 이 파고다는 제5차 불교 회의에서 편집 및 승인된 전체 ''티피타카''가 새겨진 729개의 직립 석판으로 둘러싸여 있다. 석판 경전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큰 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쿠토도 파고다 – 세계에서 가장 큰 책으로 알려진 729개의 중 일부

  • 교크타지 파고다: 만달레이 언덕 남쪽 입구 근처에 1853~78년에 민돈 왕이 지은 교크타지 부처상이 있다. 이 이미지는 거대한 단일 대리석 덩어리에서 조각되었다. 80명의 아라한 조각상이 이미지 주변에 있으며, 각 측면에 20개씩 있다. 조각은 1865년에 완성되었다.
  • 마하무니 부처 사원: 마하무니 부처 사원의 고타마 부처 이미지는 고타마 부처의 생애에 주조되었으며 부처가 일곱 번 포옹하여 생명을 불어넣었다고 한다. 독실한 불교 신자들은 그것을 살아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마하무니 성스러운 살아있는 이미지라고 부른다. 만달레이에서 가장 신성한 파고다로 존경받는 이 사원은 1784년 보도파야 왕이 지었다. 앉은 자세의 이미지는 높이가 12피트 7인치(3.8m)이다. 이미지가 라카인 주에서 가져온 것이므로 대 라카인 부처라고도 불렸다. 매일 아침 부처님의 얼굴을 씻는 의식은 많은 신자들을 끌어들입니다.
  • 만달레이 언덕: 이 언덕은 오랫동안 신성한 산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부처는 방문했을 때 그 기슭에 위대한 도시가 세워질 것이라고 예언했다. 높이 230미터의 만달레이 언덕에서는 도시와 주변 시골을 조망할 수 있다. 언덕 꼭대기에 도달하는 자동차 도로 건설이 이미 완료되었다.

만달레이 언덕은 790피트(240m) 높이로 만달레이의 많은 종교 유적지가 있습니다.

  • 슈웨난도 수도원: 나무 조각으로 유명하며 옛 궁전의 일부였다. 1880년 티보 왕은 아투마시 수도원 근처 현재 위치로 옮겼다.

슈웨난도 수도원

  • 우 베인 다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한때) 가장 긴 티크나무 다리로 알려져 있다. 아바 왕국의 수도가 아마라푸라로 옮겨졌을 때 건설되었다.

우 베인 다리

  • 야다본 동물원: 만달레이 궁전과 만달레이 언덕 사이의 작은 동물원이다. 300종 이상의 종이 있으며 특히 미얀마 지붕 거북이 있는 유일한 동물원이다.

9. 교육

1925년에 설립된 만덜레 대학교가 있으며, 만덜레 치과대학, 만덜레 기술대학, 만덜레 컴퓨터대학 등도 있다.

만달레이는 양곤 다음으로 미얀마에서 교육 시설과 기관이 잘 갖춰져 있는 도시이지만, 교육에 대한 정부 지출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78] 가난한 지역의 학생들은 학교 유지 관리부터 교사 급여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비용을 부모의 강제적인 "기부"와 다양한 수수료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중학교에서 중퇴하는 경우가 많다.[79]

유학을 갈 형편이 안 되는 학생들을 위해 만달레이는 미얀마 북부 최고의 고등 교육 기관을 제공한다. 시내에는 15개 이상의 대학교가 있다. 만달레이 대학교, 만달레이 의과대학, 만달레이 치과대학, 만달레이 기술 대학교, 만달레이 컴퓨터학 대학교는 미얀마에서 가장 선별적인 대학교에 속한다.

10. 스포츠

만달라티리 스포츠 단지


만달레이의 스포츠 시설은 국제적인 기준으로는 매우 열악하지만, 상부 미얀마에서는 최고 수준이다. 17,000석 규모의 바투 스타디움은 만달라티리 경기장 건설 이전까지 상부 미얀마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었으며, 주로 지역 축구 협회와 육상 경기가 열린다. 2009년 5월부터 야다나본 FC미얀마 내셔널리그 (미얀마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에서 만달레이를 대표하면서 프로 축구가 등장했다.[58]

2013년, 제27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의 여자 축구 경기를 유치하기 위해 새로운 경기장인 만달라티리 경기장이 건설되었고, 만달레이와 상부 미얀마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 되었다.

11. 자매 도시

만달레이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2. 대중문화 속 만달레이

러디어드 키플링은 "만달레이"(1890)라는 시를 썼으며, 이 시는 "만달레이로 가는 길"이라는 구절의 기원이다.[84] 1907년, 이 시는 올리 스피크스에 의해 곡으로 만들어져 ''만달레이로 가는 길''이 되었다. 프랭크 시나트라가 부른 ''나와 함께 날아가요''에 수록된 버전은 스피크스 버전의 가장 잘 알려진 곡 중 하나이다.

비시아 메리 크로커는 1917년에 소설 ''만달레이로 가는 길''을 썼으며, 이 소설은 1926년 미국 무성 영화 만달레이로 가는 길의 원작으로 크레딧에 표기되지 않았다. 이 영화는 발췌본만 남아있다. 2016년에는 미디 지가 감독한 동일 제목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대형 호텔/카지노/컨벤션 센터인 만달레이 베이는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이 도시는 가장 가까운 만에서 500km 떨어져 있으며, 아마도 키플링의 시에 나오는 "그리고 새벽은 천둥처럼 중국 밖에서 만을 가로질러 떠오른다!"라는 구절을 참조한 것일 수 있다.

조지 오웰은 버마에서 인도 제국 경찰에서 근무하면서 한동안 만달레이에 주둔했으며, 그의 첫 번째 소설인 ''버마의 나날''(1934)는 버마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였다. 그는 또한 "교수형"(1931)과 "코끼리 사살"(1936)과 같은 버마에 관한 여러 단편 논픽션 에세이와 단편 소설을 썼다.

존 마스터스는 버마에서의 전쟁 경험에 대한 책 ''만달레이를 지나가는 길''(1961)을 썼다.

1956년 어린이 노래 "넬리 더 엘리펀트"에서 만달레이로 가는 길은 코끼리 떼가 만나는 장소로 묘사된다.



:무리 우두머리가 멀리서 외치고 있었네.

:은은한 달빛 아래 어느 밤,

:만달레이로 가는 길에서 만났네.



미국의 영화 제작사 ''만달레이 픽처스''는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로고에는 또한 도시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호랑이가 등장한다.

영국의 팝 가수 로비 윌리엄스는 2001년에 이터니티/만달레이로 가는 길이라는 노래를 싱글로 발매했다.

참조

[1] 간행물 Water Purification Plant No. 8 in Aungmyethazan Township 60% Complete Eleven Media Group 2011-04-28
[2] 서적 Census Report https://drive.google[...] Ministry of Immigration and Population 2017-04-26
[3] 웹사이트 Myanmar Area Codes https://web.archive.[...] 2009-04-10
[4] 간행물 Mandalay marks 150th birthday https://web.archive.[...] 2009-05-23
[5] 서적 Names and Their Histories: A Handbook of Historical Geography and Topographical Nomenclature https://archive.org/[...] Rivingtons
[6] 웹사이트 Entry for ratana http://dictionary.su[...] 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2015-02-15
[7] 웹사이트 Entry for pūra http://dictionary.su[...] Pali Canon E-Dictionary Version 1.94 2015-02-15
[8] 웹사이트 Mandalay Palace http://www.lib.washi[...] Directorate of Archaeological Survey, Burma 2006-08-22
[9] 서적 The Management of Secondary Cities in south-east Asia. Case Study: Mandalay UN-Habitat
[10] 서적 Mandalay: And Other Cities of the Past in Burma https://archive.org/[...] Hutchinson & Co.
[11] 서적 The Hidden History of Burma: A Crisis of Race and Capitalism https://books.google[...] Atlantic Books 2020-01-16
[12] 서적 A Civil Servant in Burma https://archive.org/[...] E. Arnold
[13] 뉴스 Prospects of Education in Myanmar http://www.burmalibr[...] 1999-12-23
[14] 문서 Burmese Art London
[15] 서적 Wanderings in Burma http://dlxs.library.[...] F J Bright & Son
[16] 웹사이트 The Axis Conquers the Philippines: January 1942 – July 1942 http://history.howst[...] 2021-03-21
[17] 웹사이트 World War II net http://www.worldwar-[...] 2021-03-21
[18] 서적 The British Empire and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6-05-10
[19] 웹사이트 Mandalay Centenary Stamps http://cgi.ebay.com/[...] eBay 2009-01-25
[20] 웹사이트 BURMA - Fire https://pdf.usaid.go[...] 1984-03-24
[21] 뉴스 23,000 Homeless in Burma Fire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via Reuters 2009-01-25
[22] 웹사이트 Myanmar Fire Mar 1984 UNDRO Information Reports 1 – 2 https://web.archive.[...] ReliefWeb 2009-01-25
[23] 뉴스 Huge fire rages major market in Myanmar second largest city https://web.archive.[...] China View via Xinhua 2009-01-25
[24] 뉴스 Dry weather brings upsurge in outbreaks of fire in Myanmar https://web.archive.[...] 2009-03-11
[25] 잡지 The Chinese Road to Mandalay http://www.irrawaddy[...] 2009-04
[26] 서적 Beyond borders : stories of Yunnanese Chinese migrants of Burma https://www.worldcat[...] 2014
[27] 간행물 The Political Economy of China–Myanmar Relations: Strategic and Economic Dimensions https://web.archive.[...] Ritsumeikan University 2009-04-11
[28] 웹사이트 Top 10 Smart Cities in Southeast Asia https://web.archive.[...] 2018-11-23
[29] 웹사이트 Present-day crustal deformation around Sagaing fault, Myanmar http://www.geologi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8, 19 November 2003 2009-01-25
[30]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Mandalay-48042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02
[31] 웹사이트 Myanmar – Mandalay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3-02-23
[32] 웹사이트 Station Mandalay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1
[33] 웹사이트 Myanmar Climate Report http://met-xpprod.cu[...] 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 2018-10-08
[34]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Mandalay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3-02-23
[35] 웹사이트 Klimatafel von Mandale (Mandalay) / Myanmar (Birma)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18-11-06
[36] 웹사이트 Myanmar – Mandalay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3-02-23
[37] 웹사이트 Station Mandalay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1
[38] 웹사이트 Flight Schedule https://web.archive.[...] 2015-05-05
[39] 잡지 Junta's New White Elephant Project is Paying Off https://web.archive.[...] 2001-11-26
[40] 뉴스 Mandalay Division marching to new golden land of unity and amity http://www.myanmar.g[...] 2005-02-13
[41] 웹사이트 Asian Highway in Myanmar https://web.archive.[...] 2009-01-12
[42] 뉴스 Burmese Economy Is an Obstacle to Aid https://www.nytimes.[...] 2008-05-29
[43] 뉴스 Sunny pick-ups turn back the clock on Mandalay's roads https://web.archive.[...] 2008-06-02
[44] 뉴스 Domestic autos take over Mandalay streets https://web.archive.[...] 2007-07-30
[45] 뉴스 Motor vehicles in Myanmar https://web.archive.[...] 2008-06-02
[46] 웹사이트 Mandalay's challenging road to becoming a smart city https://www.mmtimes.[...] 2018-11-19
[4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2007 revision https://web.archive.[...]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2009-01-24
[48] 뉴스 China's Ambitions in Myanmar http://www.asiapacif[...] IISS Strategic Comments 2000-07
[49] 뉴스 Myanmar's Chinese connection https://web.archive.[...] 1999-05-13
[50] 서적 Traders of the Golden Triangle Cognoscenti Books
[51] 웹사이트 Ludu Daw Amar: Speaking Truth to Power by Min Zin https://web.archive.[...] The Irrawaddy, October 2002 2009-01-12
[52] 서적 Myanmar/Burma: inside challenges, outside interest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53] 뉴스 Myanmar to launch 2nd FM radio station in northern city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via Xinhua 2008-03-20
[54] 뉴스 Mandalay gets FM station https://web.archive.[...] 2008-03-24
[55] 웹사이트 Mandalay Media https://web.archive.[...] Myanmar's Net 2008-12-24
[56] 잡지 Naypyidaw to Launch New Daily http://www.irrawaddy[...] 2008-12-23
[57] 뉴스 Mandalay Daily Newspaper https://web.archive.[...] Mandalay City Development Committee 1997-11-30
[58] 간행물 New era for football https://web.archive.[...] 2009-03-09
[59] 웹사이트 Technical Climbing Club of Myanmar https://www.facebook[...] 2021-03-15
[60] 웹사이트 golden land project http://goldenlandpro[...] 2021-03-15
[61] 웹사이트 Mandalay Area Rock Climbing https://www.mountain[...] 2021-03-15
[62] 서적 The Dragon Looks South: China and Southeast Asia in the New Century Praeger
[63] 서적 Under Beijing's Shadow: Southeast Asia's China Challenge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64] 서적 China's Asian Dream: Empire Building Along the New Silk Road Zed Books
[65]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66] 서적 Southeast Asia and the Rise of China: The Search for Security Routledge
[67] 서적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Cultures and Practices Palgrave Macmillan
[68]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69] 간행물 Ethnic Chinese in the Midst of Myanmar's Transition https://www.iseas.ed[...] 2014-04-01
[70] 서적 China's Rise and the Chinese Overseas Routledge
[71] 서적 Dragon Rising: An Inside Look at China Today https://archive.org/[...] National Geographic Press
[72] 서적 Impact of China's Rise on the Mekong Region Palgrave Macmillan
[73] 서적 World On Fire Knopf Doubleday Publishing
[74] 서적 Identity and Ethnic Relations in Southeast Asia: Racializing Chineseness Springer
[75]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6] 서적 Charm Offensive: How China's Soft Power Is Transforming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77] 뉴스 Animosity in a Burmese Hub Deepens as Chinese Get Richer https://www.nytimes.[...] 2016-11-28
[78] 웹사이트 HRDU Yearbook 2006 Chapter 9: Rights to Education and Health http://burmalibrary.[...] Human Rights Documentation Unit 2008-09-14
[79] 뉴스 Educationalists concerned by Burmese literacy rate http://english.dvb.n[...] Democratic Voice of Burma 2008-09-10
[80] 뉴스 PPI: Almost Half of All World Health Spending i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ppionline[...] 2007-01-17
[81] 뉴스 Burma junta faulted for rampant diseases http://www.berkeley.[...] UC Berkeley News 2007-06-28
[82] 뉴스 Mandalay continues to play vital role as healthcare centre for the upper north http://www.mmtimes.c[...] 2009-01-24
[83] 뉴스 Medical tourism gives patients options http://www.mmtimes.c[...] 2007-06-11
[84] 웹사이트 Mandalay Rudyard Kipling http://raysweb.net/p[...] 2008-10-25
[85] 간행물 大和総研 http://www.dir.co.jp[...]
[86] 서적 ビルマ(ミャンマー)語辞典 大学書林
[87] 웹사이트 ミャンマー第2の都市、国軍に抗議の市民30人逮捕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2-05
[88] 문서 マンダレー王宮 http://www.lib.washi[...] ビルマ政府考古学調査局
[89] 서적 Wanderings in Burma http://dlxs.library.[...] F J Bright & Son
[90] 웹사이트 The Old Burma Road re-opened with a Willys MB by Alain Henry de Frahan http://www.656squadr[...]
[91] 뉴스 アジア諸国で高まる反中国感情 http://jp.wsj.com/ar[...] 2013-01-15
[92] 뉴스 読売新聞2012年1月28日 国際8面 読売新聞 2012-01-28
[93]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Mandalay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3-02-23
[94]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Mandalay, Myanmar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3-02-23
[95] 웹사이트 Myanmar – Mandalay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3-02-23
[96] 서적 The Judson Burmese-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97]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Mandalay-48042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8-02
[98] 웹인용 Myanmar – Mandalay http://www.dmi.dk/dm[...] 덴마크 기상학회 2013-02-23
[99] 웹인용 Station Mandalay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06-11
[100] 웹인용 United Nations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2007 revision http://esa.un.org/un[...]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2009-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