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면역글로불린 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면역글로불린 G (IgG)는 혈액과 세포 외액에 존재하는 주요 항체로, 병원체와 결합하여 신체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IgG는 병원체 제거, 독소 중화, 세포 매개 면역 반응, 과민 반응 조절, 태아 및 신생아 면역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4가지 아형(IgG1, IgG2, IgG3, IgG4)으로 구분된다. IgG는 4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구성된 큰 단백질이며, Fab, Fc, 경첩 영역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IgG는 특정 질환의 진단 도구로 사용되며,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IVIG) 형태로 면역 결핍, 자가면역 질환, 감염 등의 치료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체 - 중화 항체
    중화 항체는 병원체의 세포 침투를 막아 감염성을 억제하는 항체로,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이나 세균 독소에 결합하여 작용하며, 수동 면역 치료나 백신 접종에 활용되지만, 일부 바이러스는 중화 항체를 회피하기도 하고, 광범위 중화 항체는 여러 바이러스 변종을 중화하는 능력이 있다.
  • 항체 - 면역글로불린 A
    면역글로불린 A는 척추동물의 점막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글로불린으로, IgA1과 IgA2 동형으로 존재하며 분비형은 병원균 부착을 막고 혈청형은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결핍 시 면역결핍 및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 당단백질 - 프로테오글리칸
    프로테오글리칸은 단백질에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라는 다당류가 결합된 복합체로, 동물과 식물에서 구조적 차이를 보이며 동물의 세포외기질에서 세포 간 공간을 채우고 조직의 수분 유지 및 분자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분해 능력에 문제가 생기면 뮤코다당증 같은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당단백질 - 인터페론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세포 방어에 중요한 단백질로, 1형, 2형, 3형으로 나뉘어 면역 수용체에 따라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 면역 체계 활성화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며, 유전자 조작을 통해 대량 생산되어 바이러스성 간염, 일부 종양 및 백혈병 치료에 활용된다.
면역글로불린 G

2. 기능

IgG체액 면역의 주요 구성 요소로, 혈액세포외액에서 가장 풍부하게 발견되는 항체 유형이다. 이를 통해 신체 조직의 감염을 제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IgG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 다양한 종류의 병원체에 결합하여 여러 방식으로 신체를 보호한다.

IgG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병원체에 결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고 서로 뭉치게 만들어 확산을 막는다(응집).
  • 병원체 표면을 감싸 표시함으로써(옵소닌화), 대식세포와 같은 식세포성 면역 세포가 병원체를 더 쉽게 인식하고 제거하도록 돕는다.[26]
  • 보체계의 고전적 경로를 활성화하여 병원체 파괴를 유도하는 면역 단백질 연쇄 반응을 일으킨다.
  • 병원체가 생산하는 독소에 결합하여 그 유해 효과를 중화시킨다.[27]
  • 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 세포독성(ADCC)을 유도하고, 세포 내로 침입한 바이러스 입자를 표적하여 프로테아좀에서 분해되도록 유도한다.[2][49][28]
  • 제II형 및 제III형 과민증 반응에도 관여한다.


IgG 항체는 일반적으로 클래스 스위칭 및 항체 반응의 성숙 과정을 거친 후에 생성되므로, 주로 기억 B 세포가 관여하는 2차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3][23] IgG는 단량체 형태로 분비되며 크기가 작아 조직 사이로 쉽게 확산될 수 있다.

특히 IgG는 인간 태반을 통과할 수 있는 유일한 항체 종류라는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이는 신생아 Fc 수용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자궁태아에게 모체의 면역력을 전달하여 보호한다.[2] 출생 후에는 모유로 분비되는 IgA와 함께, 태반을 통해 전달받은 IgG가 신생아가 스스로의 면역계를 발달시키기 전까지 초기 체액 면역을 제공한다. 병원체에 대한 면역이 이미 형성된 사람의 경우, 항원에 다시 노출되면 약 24~48시간 후에 IgG가 생성되기 시작한다.

2. 1. 병원체 제거

항체는 면역계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IgG는 혈액세포외액에 존재하는 주요 항체 유형이다. IgG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 다양한 병원체에 결합하여 신체 조직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한다.

IgG가 병원체를 제거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다.

  • '''결합 및 응집:''' IgG가 병원체에 결합하면 병원체의 이동 능력이 떨어지고 서로 엉겨 붙게 된다(응집). 이를 통해 병원체가 퍼지는 것을 막는다.
  • '''옵소닌화 및 식작용 촉진:''' IgG가 병원체 표면을 둘러싸는 것을 옵소닌화라고 한다. 이렇게 표지된 병원체는 포식성 면역 세포(예: 대식세포)가 더 쉽게 인지하고 제거(삼키는 것)할 수 있게 된다.
  • '''보체계 활성화:''' IgG는 보체계의 고전적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이는 연쇄적인 면역 단백질 생산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병원체를 파괴한다.
  • '''독소 중화:''' IgG는 병원체가 만들어내는 독소에 결합하여 그 독성을 중화시킨다. 이로써 독소가 인체 세포에 해를 끼치는 것을 막는다.
  • '''세포 독성 유도 및 세포 내 제거:''' IgG는 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 세포독성(ADCC)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 안으로 침투한 바이러스 제거에도 관여하는데, TRIM21이라는 수용체(IgG에 대한 친화력이 가장 높음)와 결합하여 바이러스 입자(비리온)를 세포 내 단백질 분해 공장인 프로테아좀으로 보내 파괴한다.[2][49]


또한 IgG는 제II형 및 제III형 과민 반응과도 관련이 있다.

2. 2. 독소 중화

면역글로불린 G(IgG)는 독소와 결합하여 이를 중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과정을 통해 독소가 인체 세포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을 억제한다.

2. 3. 세포 매개 면역 반응

IgG는 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 세포독성(ADCC)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세포 내부에서 항체를 매개로 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세포내 항체 매개 단백질분해)에도 관여한다. 이 과정에서 IgG가 높은 친화도를 가진 수용체인 TRIM21에 결합하면, 표지된 바이러스 입자(비리온)를 세포질의 프로테아솜으로 유도하여 분해시킨다.[2]

2. 4. 과민 반응

IgG는 제2형 및 제3형 과민증 반응과 관련이 있다.[49][2][28]

또한 IgG는 알레르기 반응 조절에도 관여한다.[5][4][30][29] 핀켈만(Finkelman) 등에 따르면, 전신 아나필락시스에는 두 가지 주요 경로가 있다.[5][4][30][29] 고전적 경로에서는 항원비만 세포의 수용체(FcεRI)에 결합된 IgE를 가교결합하여 히스타민과 혈소판 활성 인자(PAF)를 모두 방출시키고, 이는 전신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한다. 대체 경로에서는 항원이 IgG와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가 대식세포의 수용체(FcγRIII)를 가교결합하여 PAF만을 방출시킨다.[5][30]

IgG 항체는 특정 항원이 비만 세포에 결합된 IgE보다 먼저 결합하는 것을 막아 IgE 매개 아나필락시스를 예방할 수 있다.[5][30] 결과적으로 IgG 항체는 소량의 항원에 의해 유도되는 전신 아나필락시스는 억제할 수 있지만, 반대로 다량의 항원에 의해 유발되는 전신 아나필락시스는 매개할 수도 있다.[5][30]

2. 5. 태아 및 신생아 면역

IgG는 크기가 작아 조직으로 쉽게 확산될 수 있는 단량체 형태로 분비된다. 이는 인간 태반을 통과할 수 있는 유일한 항체 아이소타입으로, 신생아 Fc 수용체(FcRn)라는 특별한 수용체를 통해 태반을 통과한다.[2] 이 능력 덕분에 IgG는 자궁 안에 있는 태아에게 면역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출생 후에는 모유, 특히 초유를 통해 분비되는 IgA와 함께, 태반을 통해 미리 전달받은 IgG가 신생아의 초기 면역을 담당한다. 신생아는 아직 자신의 면역계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이러한 항체들이 체액 면역을 제공하여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초유에는 IgG가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소의 초유에는 그 함량이 더욱 높다.

어머니로부터 받은 IgG 항체 덕분에 신생아는 생후 약 6개월 동안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항체의 종류와 거의 동일한 항체를 보유하게 된다. 이 기간 동안 신생아는 어머니가 살아오면서 접했거나 예방 접종을 통해 면역력을 얻은 다양한 병원체에 대해 방어 능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수동 면역은 특히 호흡기계나 소화기계 감염에 취약한 신생아 시기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어머니에게서 받은 IgG는 점차 분해되어 사라지고, 신생아 스스로 IgG를 충분히 만들어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에서 1년 사이는 아기의 체내 IgG 농도가 가장 낮아지는 시기가 되며, 이 때문에 이 시기의 영아는 여러 감염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3. 구조

1. Fab 영역
2. Fc 영역
3. 중쇄
4. 경쇄
5. 항원결합자리
6. 경첩 영역
"-S-S-"는 이황화 결합을 가리킨다.]]

IgG는 네 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이루어진 분자량 약 150 kDa의 단백질이다.[51][52][6][32] 이 단백질은 동일한 두 개의 γ(감마) 중쇄(각각 약 50 kDa)와 동일한 두 개의 경쇄(각각 약 25 kDa)로 구성되며, 이들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Y자 모양의 4차 구조를 형성한다.[7][33] Y자 모양의 두 팔 끝에는 동일한 항원 결합 부위가 있으며,[5] 줄기 부분인 Fc 영역에는 특정 위치에 N-글리코실화 부위가 존재한다.[53][8][34]

3. 1. 구성 요소

전형적인 IgG의 다양한 영역과 도메인


IgG는 4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구성된 분자량 약 150 kDa의 큰 구형 단백질이다.[51][52][6][7][32][33] 여기에는 약 50 kDa의 동일한 γ(감마) 중쇄 두 개와 약 25 kDa의 동일한 경쇄 두 개가 포함되어 4차 구조를 이룬다.

두 개의 중쇄는 서로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중쇄는 경쇄와도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두 개의 동일한 절반으로 구성된 Y자 모양을 형성하며, Y자 모양의 양쪽 끝에는 동일한 항원 결합 부위가 존재한다.

IgG의 Fc 영역에는 중쇄의 불변 영역에 위치한 아스파라긴 297 잔기에 고도로 보존된 N-글리코실화 부위가 존재한다.[53][8][34] 이 부위에 부착된 N-글리칸은 주로 복합형 코어-푸코실화된 이분지 구조(core-fucosylated biantennary structures)이다.[9][35] 또한, 이들 N-글리칸 중 일부는 GlcNAc과 α-2,6 결합 시알산 잔기를 포함하기도 한다.[10][36] IgG의 N-글리칸 조성 변화는 일부 자가면역 질환, 감염증, 대사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37]

3. 2. 영역

1. Fab 영역
2. Fc 영역
3. 중쇄 (γ)
4. 경쇄
5. 항원결합자리
6. 경첩 영역
"-S-S-"는 이황결합을 가리킨다.]]

200px

면역글로불린 G(IgG)는 4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구성된 약 150 kDa의 분자량을 가진 크고 둥근 모양의 단백질이다.[51][52][6][32] 이 구조는 약 50 kDa의 동일한 감마(γ) 중쇄 2개와 약 25 kDa의 동일한 경쇄 2개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4차 구조를 형성한다.[7][33] 두 개의 중쇄는 서로 이황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중쇄는 또한 경쇄와 이황결합으로 연결된다. 이 결합을 통해 형성된 사량체는 두 개의 동일한 반쪽으로 나뉘며, 전체적으로 Y자 모양을 이룬다.

IgG 분자는 크게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 Fab 영역 (Fragment, antigen-binding): Y자 모양의 두 팔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각 Fab 영역은 하나의 경쇄 전체와 중쇄의 일부(가변 영역 VH와 첫 번째 불변 영역 CH1)로 구성된다. 이 영역의 끝에는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결합자리가 동일하게 존재한다.[5][6]

  • Fc 영역 (Fragment, crystallizable): Y자 모양의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두 개의 중쇄에서 경첩 영역 아래 부분(CH2, CH3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이 영역은 면역 세포 표면의 Fc 수용체와 결합하거나 보체계를 활성화하는 등 다양한 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Fc 영역의 중쇄 불변 영역에 있는 아스파라긴 297번 잔기에는 매우 잘 보존된 N-글라이코실화 부위가 존재한다.[53][8][34] 이 부위에 부착되는 N-글리칸은 주로 복합형 코어-푸코실화된 이중 안테나 구조이며,[9][35] 일부는 N-아세틸글루코사민(GlcNAc)과 α-2,6 결합 시알산 잔기를 포함하기도 한다.[10][36] 이러한 IgG의 N-글리칸 구성은 여러 자가면역 질환, 감염증, 대사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37]

  • 경첩 영역 (Hinge region): 두 개의 Fab 영역과 Fc 영역을 연결하는 유연한 부분이다.[6] 주로 중쇄의 CH1과 CH2 도메인 사이에 위치하며, 여러 개의 이황결합으로 중쇄들을 연결한다. 이 영역의 유연성 덕분에 두 개의 Fab 영역이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다양한 각도와 거리에서 항원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3. 3. N-글리코실화

IgG의 Fc 영역에는 중쇄의 불변 영역(상수 영역)에 위치한 아스파라긴 297 잔기에 고도로 보존된 N-글리코실화 부위가 존재한다.[53][8][34] 이 부위에 결합된 N-글리칸은 주로 복합형 코어-푸코실화된 이중 촉수(이분지) 구조를 가진다.[9][35] 또한, 일부 N-글리칸은 이분하는 GlcNAc과 α-2,6 결합 시알산 잔기를 포함하기도 한다.[10][36] IgG의 N-글리칸 조성은 여러 자가면역 질환, 감염증, 대사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37]

4. 아형

사람의 IgG는 혈청 내 함유량이 많은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IgG1, IgG2, IgG3, IgG4의 네 가지 subclass|아형영어으로 나눌 수 있다.[12][23][38] 각 아형은 태반 통과성, 보체 활성화 능력, 식세포의 Fc 수용체에 대한 결합성, 반감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아형함유율태반 통과성보체 활성화 정도식세포의 Fc 수용체에 대한 결합성반감기[13][39]
IgG166%예 (1.47)*두 번째로 높음높은 친화성21일
IgG223%아니오 (0.8)*세 번째로 높음매우 낮은 친화성21일
IgG37%예 (1.17)*가장 높음높은 친화성7일
IgG44%예 (1.15)*활성화하지 않음중간 친화성21일
* 탯줄 혈액/모체 혈액의 농도 비율. 일본인 임산부 22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데이터에 근거함.[54][14][40]



IgG의 Fc 영역 구조는 아형 간에 약 95% 일치하지만, 항체의 유연성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첩 부위(hinge region)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경첩 부위 구조의 차이가 각 아형의 고유한 생물학적 특성을 결정한다. 또한, 식세포의 Fc 수용체에 대한 IgG의 친화력은 항체 아형뿐만 아니라 항체가 유래한 생물 종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IgG 아형들은 서로 상반되는 특성(예: 보체 활성화 능력 유무, Fc 수용체 결합 능력 차이)을 가지며, 대부분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에는 네 아형이 모두 관여하기 때문에 이들이 어떻게 협력하여 방어 면역을 제공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2013년에 인간 IgE 및 IgG 기능에 대한 "시간적 모델"이 제안되었다.[55][15][41] 이 모델에 따르면, 면역 반응 초기에는 IgE와 함께 상대적으로 친화력이 낮은 IgG3가 나타나 IgM 매개 방어를 보강하며 외부 항원을 제거한다. 이후 친화력이 더 높은 IgG1과 IgG2가 생성되며, 이들의 상대적인 비율에 따라 염증 반응의 강도가 조절된다. 만약 항원이 계속 남아 있으면, 높은 친화력을 가진 IgG4가 생성되어 Fc 수용체를 통한 면역 반응 과정을 억제하고 염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기이식 후 이식된 장기에 손상을 주는 항체 매개 거부 반응이 일어나는 이유 중 하나로 IgG 아형 간 보체 활성화 능력의 차이가 제시되기도 한다.[56][16][42]

참고로, 를 이용한 자가면역성 빈혈 모델 연구에서는 마우스 IgG2a가 IgG1보다 보체 활성화 능력이 뛰어나고 Fc 감마 수용체(FcγR)와의 상호작용도 더 효율적이어서, 병리를 유발하는 데 IgG1이 IgG2a보다 20배 더 높은 농도로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17][43] 그러나 마우스 IgG1과 인간 IgG1의 기능이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으므로, 마우스 연구 결과를 인간에게 적용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그럼에도 인간과 마우스 항체 모두 아형에 따라 보체 고정 능력과 Fc 수용체 결합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5. 진단 및 치료에서의 역할

면역글로불린 G(IgG)는 특정 질병의 진단 과정과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57][58] 진단 측면에서는 특정 병원체에 대한 면역 상태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58] 치료 측면에서는 헌혈된 혈장에서 추출하여 면역결핍, 자가면역질환, 감염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다만, IgG는 알레르기 진단에는 사용되지 않는다.[59][60]

5. 1. 진단

면역글로불린 G(IgG)는 특정 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57][18][44] 임상적으로 IgG 항체 수치는 특정 병원체에 대한 개인의 면역 상태, 즉 혈청학적 면역을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풍진(이상 MMR 관련 질병), B형 간염 바이러스, 수두 등에 대한 면역력을 확인하기 위해 IgG 항체 검사를 시행한다.[58][19][45]

또한, IgG 측정은 특정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예를 들어 자가면역 간염과 같은 특정 질환의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18][44]

그러나 IgG 검사는 알레르기 여부를 나타내지는 않는다.[59][60][20][21][22] 특이적 IgG는 음식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에게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음식 알레르기 진단에서의 유용성은 확립되지 않았다.[46][47] 마찬가지로, IgG 검사는 음식 불내증 진단과는 관련이 없으며, 이를 진단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20][21][22]

5. 2. 치료

헌혈된 혈장에서 추출한 면역글로불린 G(IgG) 항체는 면역결핍증, 자가면역질환, 감염 등을 치료하는 데 이용된다. 이렇게 치료에 이용되는 IgG를 정맥내 면역글로불린(IVIG)이라고 한다.

참조

[1] 논문 IgG subclasses and allotypes: from structure to effector functions 2014
[2] 논문 Antibodies mediate intracellular immunity through tripartite motif-containing 21 (TRIM21)
[3] 논문 IgG subclasses and allotypes: from structure to effector functions 2014
[4] 논문 Identification of markers that distinguish IgE-from IgG mediated anaphylaxis
[5] 논문 Anaphylaxis: Lessons from mouse models 2007-09
[6] 서적 Immunobiology: The Immune System in Health and Disease Garland Science
[7] 웹사이트 Antibody Basics https://www.sigmaald[...] Sigma-Aldrich 2014-12-10
[8] 논문 The History of IgG Glycosylation and Where We Are Now 2019-08-27
[9] 논문 Association of rheumatoid arthritis and primary osteoarthritis with changes in the glycosylation pattern of total serum IgG 1985-08-01
[10] 논문 Analysis of immunoglobulin glycosylation by LC-ESI-MS of glycopeptides and oligosaccharides
[11] 논문 Monitoring of Immunoglobulin N- and O-glycosylation in Health and Disease 2019-07-08
[12] 논문 IgG subclasses and allotypes: from structure to effector functions 2014
[13] 간행물 Bonilla FA Immuno Allergy Clin N Am 2008; 803–819
[14] 논문 Placental transfer of IgG subclasses in a Japanese population 2000-08
[15] 논문 A temporal model of human IgE and IgG antibody function 2013-08-09
[16] 논문 Immunoglobulin-G subclass antidonor reactivity in transplant recipients
[17] 논문 Complement activation selectively potentiates the pathogenicity of the IgG2b and IgG3 isotypes of a high affinity anti-erythrocyte autoantibody 2002-03-18
[18] 논문 Anti-cyclic citrullinated peptide antibody isotypes in rheumatoid arthritis: association with disease duration, rheumatoid factor production and the presence of shared epitope http://www.clinexprh[...] 2014-02-26
[19] 서적 Understanding Viruses https://archive.org/[...]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08
[20] 웹사이트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choosingwisel[...]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2012-08-14
[21] 논문 Pearls and pitfalls of allergy diagnostic testing: repor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Specific IgE Test Task Force
[22] 논문 Testing for IgG4 against foods is not recommended as a diagnostic tool: EAACI Task Force Report https://pubmed.ncbi.[...] 2008-07
[23] 논문 IgG subclasses and allotypes: from structure to effector functions 2014
[24] 서적 Basic Histology McGraw-Hill
[25] 웹사이트 Antibodies https://www.sigmaald[...] 2021-08-02
[26] 서적 宮坂昌之ほか『標準免疫学』、医学書院、第3版、2016年2月1日 第3版 第2刷、253ページ
[27] 서적 宮坂昌之ほか『標準免疫学』、医学書院、第3版、2016年2月1日 第3版 第2刷、253ページ
[28] 논문 Antibodies mediate intracellular immunity through tripartite motif-containing 21 (TRIM21) http://www.pnas.org/[...]
[29] 논문 Identification of markers that distinguish IgE-from IgG mediated anaphylaxis
[30] 논문 Anaphylaxis: Lessons from mouse models 2007-09
[31] 서적 宮坂昌之ほか『標準免疫学』、医学書院、第3版、2016年2月1日 第3版 第2刷、253ページ
[32] 서적 Immunobiology: The Immune System in Health and Disease Garland Science
[33] 웹사이트 Antibody Basics http://www.sigmaaldr[...] Sigma-Aldrich 2014-12-10
[34] 논문 The History of IgG Glycosylation and Where We Are Now 2019-08-27
[35] 논문 Association of rheumatoid arthritis and primary osteoarthritis with changes in the glycosylation pattern of total serum IgG 1985-08-01
[36] 논문 Analysis of immunoglobulin glycosylation by LC-ESI-MS of glycopeptides and oligosaccharides
[37] 논문 Monitoring of Immunoglobulin N- and O-glycosylation in Health and Disease 2019-07-08
[38] 서적 標準免疫学 医学書院 2016-02-01
[39] 간행물
[40] 논문 Placental transfer of IgG subclasses in a Japanese population 2000-08
[41] 논문 A temporal model of human IgE and IgG antibody function 2013-08-09
[42] 논문 Immunoglobulin-G subclass antidonor reactivity in transplant recipients
[43] 논문 Complement activation selectively potentiates the pathogenicity of the IgG2b and IgG3 isotypes of a high affinity anti-erythrocyte autoantibody 2002-03-18
[44] 논문 Anti-cyclic citrullinated peptide antibody isotypes in rheumatoid arthritis: association with disease duration, rheumatoid factor production and the presence of shared epitope http://www.clinexprh[...] 2014-02-26
[45] 서적 Understanding Viruses https://archive.org/[...]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08
[46] 웹사이트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choosingwisel[...]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2012-08-14
[47] 논문 Pearls and pitfalls of allergy diagnostic testing: repor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Specific IgE Test Task Force
[48] 서적 Basic Hist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49] 저널 Antibodies mediate intracellular immunity through tripartite motif-containing 21 (TRIM21) http://www.pnas.org/[...] 2014-12-11
[50] 서적 Human IgG Subclasses: useful diagnostic markers for immunocompetence http://www.sanquin.n[...] SanquinLaboratory for Experimental and Clinical Immunology University of Amsterdam, the Netherlands 2014-02-26
[51] 웹인용 Antibody Basics http://www.sigmaaldr[...] Sigma-Aldrich 2014-12-10
[52] 서적 면역생물학 E PUBLIC 2008-08-25
[53] 저널 Glycosylation profiling of immunoglobulin G (IgG) subclasses from human serum
[54] 저널 Placental transfer of IgG subclasses in a Japanese population 2000-08
[55] 저널 A temporal model of human IgE and IgG antibody function 2013-08-09
[56] 저널 Immunoglobulin-G subclass antidonor reactivity in transplant recipients
[57] 저널 Anti-cyclic citrullinated peptide antibody isotypes in rheumatoid arthritis: association with disease duration, rheumatoid factor production and the presence of shared epitope http://www.clinexprh[...] 2014-12-11
[58] 서적 Understanding Viruses http://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08
[59] 웹인용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choosingwisel[...]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2012-08-14
[60] 저널 Pearls and pitfalls of allergy diagnostic testing: repor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Specific IgE Test Task Force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