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랄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랄리아》(Moralia)는 플루타르코스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 모음집으로, 1572년 스테파누스 판 이후 1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권은 아이 교육, 친구, 운, 미덕, 종교, 스파르타, 철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소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플루타르코스는 윤회, 지성, 스파르타, 종교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이 작품을 통해 제시하며, 특히 스파르타에 대한 그의 묘사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루타르코스의 작품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은 플루타르코스가 그리스와 로마 영웅들의 삶을 대비시켜 윤리적 교훈을 전달하고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는 전기 작품으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셰익스피어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 2세기 책 - 지리학 (프톨레마이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2세기경에 저술된 지리학 서적으로, 원추 도법을 제안하고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담았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지도 제작과 지리 탐험에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책 - 테트라비블로스
테트라비블로스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저술한 점성학 논문으로, 천문학과 점성술의 관계를 설명하고 점성술의 기본 원리와 철학적 주장을 제시한다. - 민족학 - 아미노 요시히코
아미노 요시히코는 중세 일본 사회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로 알려진 일본의 역사학자로, 농경 중심의 시각을 넘어 비농업민을 조명하고 '니혼진론'을 해체한 그의 연구는 일본 중세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학계뿐 아니라 일본 문화 전반에도 영향을 미쳤다. - 민족학 - 민족 형성
민족 형성은 공통된 문화, 역사, 언어, 종교 등을 공유하는 집단이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의도적인 노력을 통해 만들어지며, 민족주의 운동, 정치·경제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모랄리아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에세이 |
저자 | 플루타르코스 |
원래 제목 | Ἠθικά (Ēthiká) |
언어 | 고대 그리스어 |
국가 | 로마 |
시대 | 서기 1세기 |
구성 | |
작품 수 | 78편의 에세이 |
주제 | 윤리, 종교, 물리학, 정치, 역사 등 다양한 주제 |
2. 구성 및 내용
《모랄리아》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생애》에 대한 중요한 부록인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운명과 덕에 대하여》, 이집트 종교 의식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인 《이시스와 오시리스 숭배에 대하여》,[2]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편견을 비판하는 《헤로도토스의 악의에 대하여》,[3][4] 《신탁의 쇠퇴에 대하여》, 《신의 징벌의 지연에 대하여》, 《마음의 평정에 대하여》와 같은 철학적인 논문, 호메로스의 오디세우스와 키르케의 마법에 걸린 돼지 중 한 마리 사이의 유머러스한 대화인 《오디세우스와 그리로스》("짐승도 이성을 사용한다")와 같은 가벼운 내용을 포함한다. 《모랄리아》는 먼저 쓰였으며, 《생애》는 플루타르코스가 생애 마지막 20년 동안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썼다.
1572년 스테파누스 판 이후, 《모랄리아》는 전통적으로 1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7]
2. 1. 주요 작품
{권수 | 번호 | 한국어 제목 | 그리스어 제목 | 라틴어 제목 |
---|---|---|---|---|
I | 1 | 아이 교육에 관하여 | 페리 파이돈 아고게스/Περὶ παίδων ἀγωγῆςgrc | De liberis educandis |
I | 2 | 젊은이가 시를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 포스 데이 톤 네온 포이에마톤 아쿠에인/Πῶς δεῖ τὸν νέον ποιημάτων ἀκούεινgrc | Quomodo adolescens poetas audire debeat |
I | 3 | 듣는 것에 관하여 | 페리 투 아쿠에인/Περὶ τοῦ ἀκούεινgrc | De recta ratione audiendi |
I | 4 | 아첨꾼과 친구를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가 | 포스 안 티스 디아크리노이에 톤 콜라카 투 필루/Πῶς ἄν τις διακρίνοιε τὸν κόλακα τοῦ φίλουgrc | Quomodo adulator ab amico internoscatur |
I | 5 | 사람이 어떻게 자신의 미덕 발전을 알 수 있는가 | 포스 안 티스 아이스토이토 헤아우투 프로콥톤토스 에프 아레테/Πῶς ἄν τις αἴσθοιτο ἑαυτοῦ προκόπτοντος ἐπ᾿ ἀρετῇgrc | Quomodo quis suos in virtute sentiat profectus |
II | 6 | 적들을 통해 어떻게 이익을 얻을 수 있는가 | 포스 안 티스 힙 에크트론 오펠로이토/Πῶς ἄν τις ὑπ᾿ ἐχθρῶν ὠφελοῖτοgrc | De capienda ex inimicis utilitate |
II | 7 | 많은 친구를 갖는 것에 관하여 | 페리 폴리필리아스/Περὶ πολυφιλίαςgrc | De amicorum multitudine |
II | 8 | 운에 관하여 | 페리 티케스/Περὶ τύχηςgrc | De fortuna |
II | 9 | 미덕과 악덕에 관하여 | 페리 아레테스 카이 카키아스/Περὶ ἀρετῆς καὶ κακίαςgrc | De virtute et vitio |
II | 10 | 아폴로니우스에게 보내는 위로의 편지 | 파라미테티코스 프로스 아폴로니온/Παραμυθητικὸς πρὸς Ἀπολλώνιονgrc | Consolatio ad Apollonium |
II | 11 | 건강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조언 | 히기에이나 파랑겔마타/Ὑγιεινὰ παραγγέλματαgrc | De tuenda sanitate praecepta |
II | 12 | 신랑과 신부에게 주는 조언 | 가미카 파랑겔마타/Γαμικὰ παραγγέλματαgrc | Coniugalia praecepta |
II | 13 | 일곱 현인의 만찬 | 헵타 소폰 심포시온/Ἑπτά σοφῶν συμπόσιονgrc | Septem sapientium convivium |
II | 14 | 미신에 관하여 | 페리 데이시다이모니아스/Περὶ δεισιδαιμονίαςgrc | De superstitione |
III | 15 | 왕과 사령관의 격언 | 바실레온 아포프테그마타 카이 스트라테곤/Βασιλέων ἀποφθέγματα καὶ στρατηγώνgrc | Regum et imperatorum apophthegmata |
III | 16 | 스파르타인들의 격언 | 아포프테그마타 라코니카/Ἀποφθέγματα Λακωνικάgrc | Apophthegmata Laconica |
III | 17 | 스파르타의 제도 | 타 팔라이아 톤 라케다이모니온 에피테데우마타/Τὰ παλαιὰ τῶν Λακεδαιμονίων ἐπιτηδεύματαgrc | Instituta Laconica |
III | 18 | 스파르타 여성들의 격언 | 라카이논 아포프테그마타/Λακαινῶν ἀποφθέγματαgrc | Lacaenarum apophthegmata |
III | 19 | 여성의 미덕 | 기나이콘 아레타이/Γυναικῶν ἀρεταίgrc | Mulierum virtutes |
IV | 20 | 로마의 질문 | 아이티아 로마이카/Αἴτια Ῥωμαϊκάgrc | Quaestiones Romanae |
IV | 21 | 그리스의 질문 | 아이티아 헬레니카/Αἴτια Ἑλληνικάgrc | Quaestiones Graecae |
IV | 22 | 그리스와 로마의 평행 이야기 | 시나고게 히스토리온 파랄렐론 헬레니콘 카이 로마이콘/Συναγωγὴ ἱστοριῶν παραλλήλων Ἑλληνικῶν καὶ Ῥωμαϊκῶνgrc | Parallela minora |
IV | 23 | 로마인의 운에 관하여 | 페리 테스 로마이온 티케스/Περὶ τῆς Ῥωμαίων τύχηςgrc | De fortuna Romanorum |
IV | 24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운 또는 미덕에 관하여 | 페리 테스 알렉산드루 티케스 에 아레테스/Περὶ τῆς Ἀλεξάνδρου τύχης ἢ ἀρετῆςgrc | De Alexandri magni fortuna aut virtute |
IV | 25 | 아테네인의 영광에 관하여 | 포테론 아테나이오이 카타 폴레몬 에 카타 소피안 엔독소테로이/Πότερον Ἀθηναῖοι κατὰ πόλεμον ἢ κατὰ σοφίαν ἐνδοξότεροιgrc | De gloria Atheniensium |
V | 26 | 이시스와 오시리스에 관하여[8] | 페리 이시도스 카이 오시리도스/Περὶ Ἴσιδος καὶ Ὀσίριδοςgrc | De Iside et Osiride |
V | 27 | 델포이의 엡실론에 관하여 | 페리 투 에이 투 엔 델포이스/Περὶ τοῦ εἶ τοῦ έν Δελφοῖςgrc | De E apud Delphos |
V | 28 | 더 이상 시로 주어지지 않는 델포이의 신탁 | 페리 투 메 크란 엠메트라 닌 텐 피티안/Περὶ τοῦ μὴ χρᾶν ἔμμετρα νῦν τὴν Πυθίανgrc | De Pythiae oraculis |
V | 29 | 신탁의 쇠퇴에 관하여 | 페리 톤 에클렐로이포톤 크레스테리온/Περὶ τῶν ἐκλελοιπότων χρηστηρίωνgrc | De defectu oraculorum |
VI | 30 | 미덕은 가르칠 수 있는가? | 에이 디다크톤 헤 아레테/Εἰ διδακτὸν ἡ ἀρετήgrc | An virtus doceri possit |
VI | 31 | 도덕적 미덕에 관하여 | 페리 에티케스 아레테스/Περὶ ἠθικῆς ἀρετῆςgrc | De virtute morali |
VI | 32 | 분노 조절에 관하여 | 페리 아오르게시아스/Περὶ ἀοργησίαςgrc | De cohibenda ira |
VI | 33 | 마음의 평정에 관하여 | 페리 에우티미아스/Περὶ εὐθυμίαςgrc | De tranquillitate animi |
VI | 34 | 형제애에 관하여 | 페리 필라델피아스/Περὶ φιλαδελφίαςgrc | De fraterno amore |
VI | 35 | 자식에 대한 애정에 관하여 | 페리 테스 에이스 타 엥고나 필로스토르기아스/Περὶ τῆς εἰς τὰ ἔγγονα φιλοστοργίαςgrc | De amore prolis |
VI | 36 | 악덕이 불행을 초래하기에 충분한가 | 에이 아우타르케스 헤 카키아 프로스 카코다이모니안/Εἰ αὐτάρκης ἡ κακία πρὸς κακοδαιμονίανgrc | An vitiositas ad infelicitatem sufficiat |
VI | 37 | 영혼의 고통이 육체의 고통보다 더 심한가 | 페리 투 포테론 타 프시케스 에 타 소마토스 파테 케이로나/Περὶ τοῦ πότερον τὰ ψυχῆς ἢ τὰ σώματος πάθη χείροναgrc | Animine an corporis affectiones sint peiores |
VI | 38 | 수다스러움에 관하여 | 페리 아돌레스키아스/Περὶ ἀδολεσχίαςgrc | De garrulitate |
VI | 39 | 참견하기에 관하여 | 페리 폴리프라그모시네스/Περὶ πολυπραγμοσύνηςgrc | De curiositate |
VII | 40 | 부를 사랑하는 것에 관하여 | 페리 필로플루티아스/Περὶ φιλοπλουτίαςgrc | De cupiditate divitiarum |
VII | 41 | 아첨에 관하여 | 페리 디소피아스/Περὶ δυσωπίαςgrc | De vitioso pudore |
VII | 42 | 질투와 증오에 관하여 | 페리 프토누 카이 미수스/Περὶ φθόνου καὶ μίσουςgrc | De invidia et odio |
VII | 43 | 자신을 방해 없이 칭찬하는 것에 관하여 | 페리 투 헤아우톤 에파이네인 아네피프토노스/Περὶ τοῦ ἑαυτὸν ἐπαινεῖν ἀνεπιφθόνωςgrc | De laude ipsius |
VII | 44 | 신의 복수의 지연에 관하여 | 페리 톤 히포 투 테이우 브라데오스 티모루메논/Περὶ τῶν ὑπὸ τοῦ θείου βραδέως τιμωρουμένωνgrc | De sera numinis vindicta |
VII | 45 | 운명에 관하여 | 페리 에이마르메네스/Περὶ εἰμαρμένηςgrc | De fato |
VII | 46 | 소크라테스의 징조에 관하여 | 페리 투 소크라투스 다이모니우/Περὶ τοῦ Σωκράτους δαιμονίουgrc | De genio Socratis |
VII | 47 | 망명에 관하여 | 페리 피게스/Περὶ φυγῆςgrc | De exilio |
VII | 48 | 아내에게 보내는 위로 | 파라미테티코스 프로스 텐 기나이카/Παραμυθητικὸς πρὸς τὴν γυναῖκαgrc | Consolatio ad uxorem |
VIII | 49 | 식탁 대화 | 심포시아카/Συμποσιακάgrc | Quaestiones convivales |
IX | 50 | 사랑에 관한 대화 | 에로티코스/Ἐρωτικόςgrc | Amatorius |
X | 51 | 사랑 이야기 | 에로티카이 디에게세이스/Ἐρωτικαὶ διηγήσειςgrc | Amatoriae narrationes |
X | 52 | 철학자는 특히 권력자들과 대화해야 한다 | 페리 투 호티 말리스타 토이스 헤게모시 데이 톤 필로소폰 디알레게스타이/Περὶ τοῦ ὅτι μάλιστα τοῖς ἡγεμόσι δεῖ τὸν φιλόσοφον διαλέγεσθαιgrc | Maxime cum principibus philosopho esse disserendum |
X | 53 | 교육받지 못한 통치자에게 | 프로스 헤게모나 아파이데우톤/Πρὸς ἡγεμόνα ἀπαίδευτονgrc | Ad principem ineruditum |
X | 54 | 노인이 공공 업무에 참여해야 하는가 | 에이 프레스비테로이 폴리테우테온/Εἰ πρεσβυτέρῳι πολιτευτέονgrc | An seni respublica gerenda sit |
X | 55 | 통치술의 교훈 | 폴리티카 파랑겔마타/Πολιτικὰ παραγγέλματαgrc | Praecepta gerendae reipublicae |
X | 56 | 군주제, 민주주의 및 과두제에 관하여 | 페리 모나르키아스 카이 데모크라티아스 카이 올리가르키아스/Περὶ μοναρχίας καὶ δημοκρατίας καὶ ὀλιγαρχίαςgrc | De unius in republica dominatione, populari statu, et paucorum imperio |
X | 57 | 빌리지 말아야 한다 | 페리 투 메 데인 다네이체스타이/Περὶ τοῦ μὴ δεῖν δανείζεσθαιgrc | De vitando aere alieno |
X | 58 | 10명의 웅변가들의 생애 | 비오이 톤 데카 레토론/Βίοι τῶν δέκα ῥητόρωνgrc | Vitae decem oratorum |
X | 59 | 아리스토파네스와 메난드로스 비교 | 싱크리세오스 아리스토파누스 카이 메난드루 에피토메/Συγκρίσεως Ἀριστοφάνους καὶ Μενάνδρου ἐπιτομήgrc | Comparationis Aristophanis et Menandri compendium |
XI | 60 | 헤로도토스의 악의에 관하여 | 페리 테스 헤로도투 카코에테이아스/Περὶ τῆς Ἡροδότου κακοηθείαςgrc | De malignitate Herodoti |
XI | 61 | 철학자들의 견해에 관하여 | 페리 톤 아레스콘톤 필로소포이스 피시콘 도그마톤/Περὶ τῶν ἀρεσκόντων φιλοσόφοις φυσικῶν δογμάτωνgrc | De placitis philosophorum |
XI | 62 | 자연 현상의 원인 | 아이티아 피시카/Αἴτια φυσικάgrc | Quaestiones naturales |
XII | 63 | 달의 궤도에 나타나는 얼굴에 관하여[9] | 페리 투 엠파이노메누 프로소푸 토이 키클로이 테스 셀레네스/Περὶ τοῦ ἐμφαινομένου προσώπου τῷι κύκλῳι τῆς σελήνηςgrc | De facie in orbe lunae |
XII | 64 | 추위의 원리에 관하여 | 페리 투 프로토스 프시크루/Περὶ τοῦ πρώτως ψυχροῦgrc | De primo frigido |
XII | 65 | 불과 물 중 어느 것이 더 유용한가 | 페리 투 포테론 히도르 에 피르 크레시모테론/Περὶ τοῦ πότερον ὕδωρ ὴ πῦρ χρησιμώτερονgrc | Aquane an ignis sit utilior |
XII | 66 | 육상 동물과 바다 동물 중 어느 쪽이 더 영리한가 | 포테라 톤 조온 프로니모테라 타 케르사이아 에 타 엔히드라/Πότερα τῶν ζῴων φρονιμώτερα τὰ χερσαία ἢ τὰ ἔνυδραgrc | De sollertia animalium |
XII | 67 | 짐승은 이성적이다 | 페리 투 타 알로가 로고 크레스타이/Περὶ τοῦ τὰ ἄλογα λόγῳ χρῆσθαιgrc | Bruta animalia ratione uti |
XII | 68 | 육식에 관하여 | 페리 사르코파기아스/Περὶ σαρκοφαγίαςgrc | De esu carnium |
XIII | 69 | 플라톤의 질문 | 플라토니카 제테마타/Πλατωνικὰ ζητήματαgrc | Platonicae quaestiones |
XIII | 70 | 티마이오스에서 영혼의 탄생에 관하여 | 페리 테스 엔 티마이오 프시코고니아스/Περὶ τῆς ἐν Τιμαίῳ ψυχογονίαςgrc | De animae procreatione in Timaeo |
XIII | 71 | 영혼의 탄생 요약 | 에피토메 투 페리 테스 엔 토 티마이오 프시코고니아스/Ἐπιτομή τοῦ Περὶ τῆς ἐν τῷ Τιμαίῳ ψυχογονίαςgrc | Epitome libri de animae procreatione in Timaeo |
XIII | 72 | 스토아 철학의 자기 모순에 관하여 | 페리 스토이콘 에난티오마톤/Περὶ Στωϊκῶν ἐναντιωμάτωνgrc | De Stoicorum repugnantiis |
XIII | 73 | 스토아 철학자들은 시인들보다 더 역설적으로 말한다 | 호티 파라독소테라 호이 스토이코이 톤 포이에톤 레구신/Ὅτι παραδοξότερα οἱ Στωϊκοὶ τῶν ποιητῶν λέγουσινgrc | Stoicos absurdiora poetis dicere |
XIII | 74 | 스토아 학파에 반하는 일반적인 개념에 관하여 | 페리 톤 코이논 엔노이온 프로스 투스 스토이쿠스/Περὶ τῶν κοινῶν ἐννοιῶν πρὸς τοὺς Στωϊκούςgrc | De communibus notitiis adversus Stoicos |
XIV | 75 | 에피쿠로스 방식으로는 즐겁게 살 수 없다 | 호티 우데 헤데오스 젠 에스틴 카트 에피쿠론/Ὅτι οὐδὲ ἡδέως ζῆν ἔστιν κατ’ Ἐπίκουρονgrc | Non posse suaviter vivi secundum Epicurum |
XIV | 76 | 콜로테스에 반대하여 | 프로스 콜로텐/Πρὸς Κωλώτηνgrc | Adversus Colotem |
XIV | 77 | "은둔하여 살아라"라는 말이 옳은가? | 에이 칼로스 에이레타이 토 라테 비오사스/Εἰ καλῶς εἴρηται τὸ λάθε βιώσαςgrc | An recte dictum sit latenter esse vivendum |
XIV | 78 | 음악에 관하여 | 페리 무시케스/Περὶ μουσικῆςgrc | De musica |
2. 2. 위작 논란
《모랄리아》의 일부 판본에는 나중에 위작으로 밝혀진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는 아테네 웅변가들의 전기를 다룬 《10명의 웅변가들의 생애》(칼라케의 카이킬리우스를 기반으로 함), 《철학자들의 견해에 대하여》, 《운명에 대하여》, 《음악에 대하여》가 있다. 이 작품들은 "위플루타르코스"에게 귀속된다.[5] 기록된 생각과 의견이 플루타르코스의 것이 아니고 약간 더 늦은 시대에서 비롯되었지만, 모두 고전 시대에 기원하며 역사가에게 가치가 있다.[6]3. 플루타르코스의 관점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저서 《모랄리아》에서 다양한 철학적, 종교적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 윤회 사상을 언급하며, 영혼은 영원하며 죽음 이후 새처럼 자유로워진다고 믿었다. 그러나 영혼이 오랫동안 육체에 갇혀 있으면 다시 다른 몸을 찾아 세상의 고통에 얽매이게 된다고 보았다.[18] 반면, 몸에 잠시 머물렀던 영혼은 더 높은 존재에 의해 해방되어 빠르게 활력을 되찾는다고 하였다.[18]
플루타르코스는 플라톤[21]처럼 영혼이 육체보다, 누스(nous|노우스영어, 고대 그리스어: νοῦςgrc) 또는 정신이라 불리는 지성은 영혼보다 더 신성하다고 생각했다. 영혼과 육체의 결합은 쾌락과 고통을, 정신과 영혼의 결합은 이성을 낳으며, 이는 덕과 악의 근원이 된다고 보았다.[22]
스파르타에 대한 플루타르코스의 기록은 중요한 사료이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는 스파르타 쇠퇴 이후 시대에 살았고, 직접 경험하지 못한 고대 관습을 기록했기 때문이다.[23] 역사가들은 플루타르코스가 스파르타 사회의 획일성을 과장하고 평등 이념에서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했다고 비판한다.[23] 따라서 스파르타의 평등주의와 고통에 대한 초인적인 면역력은 신화일 가능성이 있으며, 플루타르코스가 이를 주도적으로 만들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루타르코스의 저작은 스파르타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후대의 스파르타 관점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인정받는다.[23]
델포이의 사제였던 플루타르코스는 피티아 신탁에 대한 글을 남겼다.[25] 특히 "델포이의 'E'에 관하여"(Περὶ τοῦ Εἶ τοῦ ἐν Δελφοῖς|페리 투 에이 투 엔 델포이스grc)[27]라는 대화편에서는 델포이 아폴론 신전의 문자 'E'가 그리스 7현인에서 유래했으며, 그들의 격언이 신전 현관 벽에 새겨져 있다고 언급했다.
3. 1. 윤회 사상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 윤회에 대한 자신의 믿음을 표현했다.[18]그는 영혼은 영원하기 때문에 죽음 이후 마치 갇혀 있던 새가 풀려난 것과 같다고 하였다. 만약 영혼이 몸 안에 오래 머물렀고, 많은 일과 오랜 습관에 의해 길들여졌다면, 즉시 다른 몸을 취하여 다시 세상의 고통에 얽매이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노년기의 가장 나쁜 점은 영혼이 다른 세상에 대한 기억이 흐릿해지는 동시에 이 세상의 사물에 대한 애착이 너무 강해져서, 영혼이 몸 안에 있었던 형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몸 안에 잠시 머물다 더 높은 존재들에 의해 해방된 영혼은 재빨리 활력을 되찾아 더 높은 곳으로 나아간다고 하였다.[18]
3. 2. 지성(누스)에 대한 관점
정신 또는 누스(nous|노우스영어, 고대 그리스어: νοῦςgrc)는 지성을 뜻하는 철학 용어이다.[20] 플루타르코스는 《모랄리아》에서 플라톤[21]과 마찬가지로 영혼이 육체보다 더 신성하며, 누스는 영혼보다 더 신성하다고 주장한다. 영혼과 육체의 결합은 쾌락과 고통을 만들어내고, 정신과 영혼의 결합은 덕과 악의 원인 또는 근원인 이성을 만들어낸다.[22]3. 3. 스파르타에 대한 관점
스파르타인들은 헬레니즘 시대 이전에는 역사를 기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존하는 유일한 문학은 기원전 7세기의 가사 조각들뿐이다. 플루타르코스의 스파르타 5인 생애와 "스파르타인들의 격언" 및 "스파르타 여성들의 격언"은, 이후 사라진 자료에 근거하고 있지만, 라케다이몬의 역사가들에게 가장 풍부한 자료 중 하나이다.[23] 중요하기는 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 플루타르코스는 그가 글을 쓴 스파르타보다 수 세기 후에 살았고 (그가 기록한 가장 초기의 사건들과는 1천 년이나 차이가 난다). 비록 그가 스파르타를 방문하기는 했지만, 그가 보고한 많은 고대 관습들은 이미 오래전에 사라졌기 때문에, 그는 실제로 자신이 쓴 것을 본 적이 없었다.[23]플루타르코스의 자료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세라 포메로이, 스탠리 버스타인, 월터 돈란, 그리고 제니퍼 톨버트 로버츠와 같은 역사가들이 썼듯이, "플루타르코스는 스파르타의 쇠퇴 이후에 쓰여진, 실제든 상상이든 더 행복했던 과거에 대한 향수를 보이는 역사에 영향을 받았다."[23] 이들은 "플루타르코스와 크세노폰과 같은 작가들이 스파르타 사회에 대해 느꼈던 존경심은 그들이 스파르타 사회의 획일적인 본성을 과장하고, 평등이라는 이상에서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하며, 역사적 변화의 패턴을 모호하게 만들었다"고 썼다.[23] 따라서,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은 스파르타의 평등주의와 초인적인 고통에 대한 면역력은 신화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 주된 설계자는 플루타르코스이다. 플루타르코스는 결함이 있지만, 스파르타 생활에 대한 유일한 고대 정보 출처 중 하나로서 필수적이다. 포메로이 외 연구자들은 플루타르코스의 스파르타 관련 저작물은 회의적인 시각으로 다루어야 하지만, "많은 양의 정보"로 인해 여전히 가치가 있으며, 이들 역사가들은 "플루타르코스의 스파르타 관련 저작물은, 다른 어떤 고대 작가들의 저작물보다 스파르타에 대한 후대의 관점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정한다. 그는 또한 스파르타에 "짐승이 다시 먹이를 찾을 것이다"라고 말하는 데 인용되었다.[23]
3. 4. 종교에 대한 관점
플루타르코스는 사제로서 델포이의 피티아 신탁에 대한 글을 남겼다. 그 중 하나는 "왜 피티아가 현재는 운문으로 신탁을 내리지 않는가"[25](Περὶ τοῦ μὴ χρᾶν ἔμμετρα νῦν τὴν Πυθίαν|페리 투 메 크란 엠메트라 뉜 텐 퓌티안grc)[26]이다. 더 중요한 작품은 대화 "델포이의 'E'에 관하여"(Περὶ τοῦ Εἶ τοῦ ἐν Δελφοῖς|페리 투 에이 투 엔 델포이스grc)[27]이다. 이 대화에는 플루타르코스의 스승이자 플라톤 철학자인 암모니우스와 그의 형제 람브리아스가 등장한다. 암모니우스는 델포이 아폴론 신전의 문자 'E'가 그리스 7현인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들의 격언도 신전 현관 벽에 새겨져 있다고 했다. 원래 7현인은 킬론, 솔론, 탈레스, 비아스, 피타코스 5명이었으나, 폭군 클레오불로스와 페리안드로스가 정치 권력으로 목록에 추가되었다. 'E'는 숫자 5를 나타내는 문자로, 델포이 격언이 실제로 5명의 현자에게서 유래했음을 의미한다.4. 현대적 의의
(이전 출력이 없어 수정이 불가합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Brill's Companion to the Reception of Plutarch"
Brill
2019
[2]
서적
Theological Principles of Egyptian Religion
P. Lang
[3]
서적
Plutarch's Lives, Volume I (of 4)
http://www.gutenberg[...]
The Gutenberg Project
2007-01-03
[4]
웹사이트
Plutarch and the Issue of Character
http://www.newcriter[...]
The New Criterion Online
2006-12-11
[5]
서적
Fakes and Forgers of Classical Literature
Ediciones Clásicas
[6]
서적
Introduction to Ancien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M. E. Sharpe
[7]
문서
"Plutarch's Moralia"
https://ryanfb.githu[...]
[8]
문서
Isis and Osiris
https://webarchive.l[...]
Lacus Curtius online text
[9]
문서
On the Face in the Moon
https://penelope.uch[...]
Lacus Curtius online text
[10]
서적
"Brill's Companion to the Reception of Plutarch"
Brill
2019
[11]
간행물
The Manuscript Tradition of Plutarch Moralia
1949-07
[12]
웹사이트
Loeb Volumes
https://www.loebclas[...]
2024-04-21
[13]
문서
The Symposiacs
https://web.archive.[...]
[14]
서적
Space, Time and Language in Plutarch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7
[15]
서적
The Demiurge in Ancient Though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6]
문서
Metaphysics
https://www.perseus.[...]
[17]
서적
"Aristotle's 'Metaphysics': A Reader's Guide"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12
[18]
문서
Letter of Consolation
http://penelope.uchi[...]
[19]
문서
Afterlife and Reincarnation in Plutarch
http://torreys.org/s[...]
SBL Philo of Alexandria Seminar
2016
[20]
서적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서적
Plato's Timaeus
Focus Publishing
[22]
문서
On the Face in the Moon
https://penelope.uch[...]
LacusCurtius
[23]
서적
Ancient Greece: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4]
웹사이트
Plutarch • Roman Questions, 90‑113
https://penelope.uch[...]
[25]
서적
Moralia
[26]
웹사이트
Περί του μη χραν έμμετρα νυν την Πυθίαν (Πλούταρχος) - Βικιθήκη
https://el.wikisourc[...]
2018-03-17
[27]
서적
Moralia
https://el.wikisourc[...]
[28]
웹사이트
Plutarch & the issue of character
http://www.newcriter[...]
The New Criterion Online
2006-12-11
[29]
서적
A History of Greece: From the time of Solon to 403 B.C.
Routledge
2000-10-19
[30]
서적
Plutarch's Lives
George Bell & Sons
2007-01-03
[31]
서적
Plutarch and his Times
[32]
웹사이트
"Plutarch: Symposiacs, in ''The complete works of Plutarch: essays and miscellanies''"
http://ebooks.adelai[...]
[33]
간행물
Erasmus' Translations of Plutarch's Moralia and the Ascensian editio princeps of ca. 1513
https://www.jstor.or[...]
2019
[34]
문서
2019
[35]
문서
2019
[36]
서적
[3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