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라트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라트 3세는 1574년부터 1595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재위했다. 그는 셀림 2세와 누르바누 술탄의 아들이며, 프랑스어와 아랍어를 배웠다. 즉위 후 권력 강화를 위해 다섯 명의 남동생을 처형했다. 하렘의 영향력, 특히 어머니와 총애하는 후궁 사피예 술탄의 영향으로 그의 권위는 약화되었다. 그의 통치 기간은 오스만-사파비 전쟁과 헝가리 전선에서의 전쟁으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잉글랜드와 외교 관계를 맺고, 예술을 후원했다. 무라트 3세는 1595년에 사망했으며, 100명이 넘는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5년 사망 - 토르콰토 타소
    토르콰토 타소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서사시 《리날도》, 목가극 《아민타》, 대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 등의 작품을 남기며 유럽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95년 사망 - 기무라 시게코레
    기무라 시게코레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겨 공을 세웠으나 도요토미 히데쓰구 사건에 연루되어 자결한 기무라 사다시게의 아들이다.
  • 1546년 출생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1546년 출생 - 다케다 가쓰요리
    다케다 신겐의 아들인 다케다 가쓰요리는 스와 가문의 가독을 잇고 다케다 가문의 당주가 되었으나, 나가시노 전투 패배 후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에 밀려 덴모쿠 산에서 자결하며 다케다 가문을 멸망시킨 인물로, 그의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판단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 오스만 제국의 군주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오스만 제국의 군주 - 무라트 1세
    무라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서 발칸 반도 정복, 영토 확장, 예니체리 군단 창설 등 제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코소보 전투 직후 암살당했다.
무라트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무라트 3세의 생애 크기 초상화, 스페인 화가 작품으로 추정, 17세기
무라트 3세의 생애 크기 초상화, 스페인 화가 작품으로 추정, 17세기
통치 기간1574년 12월 27일 ~ 1595년 1월 16일
선대 황제셀림 2세
후대 황제메흐메트 3세
왕조오스만 왕조
종교수니파
개인 정보
본명무라트 빈 셀림
출생일1546년 7월 4일
출생지마니사, 오스만 제국
사망일1595년 1월 16일
사망지톱카프 궁전, 콘스탄티노폴리스, 오스만 제국
매장지아야 소피아, 이스탄불
아버지셀림 2세
어머니누르바누 술탄
배우자
배우자사피예 술탄
기타
자녀
자녀휘마샤 술탄
아이셰 술탄
메흐메트 3세
셰흐자데 마흐무트
셰흐자데 셀림
파त्मा 술탄
미흐리마흐 술탄
파흐리예 술탄
셰프자데 야흐야
직위
직함오스만 칼리파
아미르 알무미닌
두 성지의 수호자
계승오스만 제국의 술탄 (파디샤)
서명
무라트 3세의 투그라
무라트 3세의 투그라

2. 생애

무라트 3세는 술탄 셀림 2세와 누르바누 술탄 사이에서 태어난 장자이다. 그의 어머니 누르바누 술탄은 베네치아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터키 해적들에게 납치되어 술탄하렘에 바쳐졌다.[59]

무라트 3세는 프랑스어아랍어 교육을 받았다. 1558년 아버지 셀림 2세카라만 총독으로 임명되자, 할아버지 쉴레이만 1세 곁으로 보내졌다. 이후 셀림 2세술탄이 되자 다시 마니사로 보내졌다가, 1574년 12월 22일 셀림 2세가 사망하자 이스탄불로 돌아와 즉위했다.[59] 즉위 후에는 대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와 사피예 술탄의 보좌를 받아 재상들이 정무를 처리하는 체제가 이어졌다.

2. 1. 초기 생애

1546년 7월 4일 마니사에서 셰흐자데(왕자) 셀림과 그의 아내 누르바누 술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그는 훌륭한 교육을 받았고 아랍어페르시아어를 배웠다.[2] 1557년 의례적인 할례 이후, 1558년 할아버지 술레이만 대제는 그를 아크셰히르의 산자크 베이(지사)로 임명했다. 18세에 사루한의 산자크 베이가 되었다.[2] 1566년 술레이만이 사망하고 아버지 셀림 2세가 술탄이 되자, 셀림 2세는 장남만을 궁궐에서 나와 를 통치하도록 하는 전통을 깨고 무라트를 마니사에 배정했다.[2] 1574년 아버지 셀림 2세의 갑작스러운 붕어 소식을 임지인 마니사에서 접했다.[59]

2. 2. 즉위 과정

셀림 2세가 1574년에 사망하자 무라트 3세가 뒤를 이었다. 무라트는 즉위 후 다섯 명의 남동생을 모두 살해하는 것으로 통치를 시작했다.[3]

1574년, 아버지 셀림 2세의 갑작스러운 붕어 소식을 임지인 마니사에서 접했다. 무라트의 다섯 동생들은 모두 어렸고, 아직 태수로 임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유일한 계승자로 여겨졌다. 대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로부터 보내진 소식에는 마르마라 해안에서 무라트를 맞이할 배가 준비될 것이라고 했지만, 달려온 무라트를 맞이하는 는 오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스스로 준비한 배로 무라트는 심한 폭풍에 시달리면서도 톱카프 궁전에 도착했다.

즉위 후에는 조부 술레이만 1세 (대제) 시대의 대재상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와 그 뒤를 이은 후궁 사피예 술탄의 보좌를 받아, 재상들이 정무를 처리해 주는 체제가 이어졌다.

3. 재위 시절

무라트 3세는 1574년 셀림 2세의 뒤를 이어 술탄이 되었다. 즉위 직후 권력 강화를 위해 다섯 남동생을 모두 살해했다.[3]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하렘의 영향력이 커졌는데, 특히 어머니 누르바누 술탄과 총애하는 후궁 사피예 술탄의 영향력이 컸다.[4]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와 같이 강력한 대재상을 원치 않았던 무라트 3세는 재위 기간 동안 10번 이상 대재상을 교체했고, 짧은 기간 동안 대재상을 임명하지 않기도 했다. 또한, 흑인 환관장 직책을 신설하고, 어머니에게 '바리데'(모후)라는 칭호를 부여하여 하렘을 중심으로 권력 기반을 다졌다.

1578년, 사파비 왕조의 혼란을 틈타 오스만-사파비 전쟁을 일으켰다.[2]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전쟁에 반대했지만, 무라트 3세는 주전파의 주장에 따라 전쟁을 시작했다. 오스만 제국은 크림 칸국과 함께 아제르바이잔 등 코카서스 지역을 목표로 전쟁을 벌여 초기에는 이란 서부를 점령했다. 1583년 횃불 전투에서 승리하여 코카서스와 이란 서부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했으며, 1585년 타브리즈, 1588년 카라바흐를 점령했다. 1590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을 통해 코카서스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사파비 왕조 내부의 혼란과 샤이바니 왕조의 침입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전쟁 중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가 암살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군사 국가에서 관료 국가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후 아바스 1세 치하에서 사파비 왕조가 세력을 회복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무라트 3세 시대에 획득한 영토를 모두 잃었다.

1591년에는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주지사가 왕령 헝가리를 침공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전쟁(장기 터키 전쟁)이 시작되었다.[3] 1592년 비하치 요새가 함락되고 5,000명의 기독교도가 살해되었다. 1593년 코자 시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는 으로 가는 요충지인 죄르를 점령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으나, 시사크 전투에서 패배하고 1595년에는 에스테르곰 요새를 잃었다. 트란실바니아, 왈라키아, 몰다비아가 합스부르크 측에 가담하고, 칼루가레니 전투에서 용감공 미하이에게 패배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이후 양측은 성을 점령하고 빼앗기는 공방전을 지속했으며, 이 전쟁은 아흐메트 1세 시대에 강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끝났다.

무라트 3세는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1세 사디를 지원하여 모로코를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 만들려고 했다.[5] 라마잔 파샤와 압드 알-말리크는 1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페스마라케시를 정복했다.[7][5][8] 이후 압드 알-말리크는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서 모로코를 통치했다.[7][5][8] 다만, 압드 알-말리크는 오스만 군에게 막대한 양의 금을 지불하고 돌려보내는 등 무라트 3세가 기대했던 것보다 느슨한 종속 관계를 유지했다.[5] 무라트 3세의 이름은 금요 예배와 주화에 새겨졌는데, 이는 이슬람 세계에서 주권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었다.[9]

동아프리카에서는 미르 알리 베그라는 오스만 제독이 모가디슈와 킬와 사이의 스와힐리 해안 여러 도시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권을 확립했다.[14] 1585년 모가디슈에서 오스만 종주권이 인정되었으며, 바라와, 몸바사, 킬리피, 파테, 라무, 파자 등 다른 도시에서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권이 확립되었다.[15][16]

무라트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은 재정 적자와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581년 처음으로 연간 수지가 적자를 기록했으며, 사파비 왕조 및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전쟁, 신기술 도입, 대규모 병력 고용 등으로 재정난이 심화되었다.[2] 신대륙에서 유입된 은 과잉 인구와 맞물려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야기했고, 이는 식량 가격 상승과 구매력 감소로 이어졌다.[2] 오스만 정부는 세수를 늘리기 위해 비무슬림에게 부과하는 인두세를 인상하고, 전시 특별세였던 아바르즈세를 상시 세금으로 전환했다. 또한, 징세 청부 제도를 확대하여 세수 증대를 꾀했다. 1589년에는 은화 가치를 낮춰 군대 급료를 지불했으나, 이는 이스탄불에서 폭동을 야기했고, 대재상 카니제리 시야브쉬 파샤가 해임되었다.

잉글랜드엘리자베스 1세와 무라트 3세는 외교 관계를 맺고 서신을 주고받았다.[17] 무라트는 이슬람과 개신교가 로마 가톨릭교보다 공통점이 많다고 생각하여 잉글랜드와의 동맹을 주장했다.[17] 잉글랜드는 오스만 제국에 주석, 납, 탄약 등을 수출했고, 프랜시스 월싱엄은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오스만 군의 개입을 요청하기도 했다.[17] 이러한 외교 관계는 메흐메트 3세 치하에서도 계속되었다.

무라트 3세는 미니어처와 책 등 예술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24] 그는 ''시예르-이 네비'', ''기술의 책'', ''축제의 책'', ''승리의 책'' 등 다양한 책을 제작하도록 지원했다. 페르가몬에서 가져온 두 개의 설화석고 항아리를 성 소피아 대성당에 배치했으며, 불가리아릴라 수도원에 주석으로 덮인 큰 왁스 양초를 기증했다.

술탄 무라트 3세 앞에서 두 명의 기병 '가지'(룸렐리아 출신 참전 용사)의 행렬을 묘사한 미니어처(16세기 수르네임-이 휘마윤에서)


무라트는 그의 정신적 조언자 쉭자 데데에게 ''키타부’엘-메나마트''(''꿈의 책'')의 내용을 제공했다. 이 책은 무라트의 영적 경험을 1인칭 시점으로 엮은 것으로, 무라트가 꿈에서 겪은 다양한 환상들을 묘사하고 있다.

3. 1. 하렘 정치의 심화

셀림 2세가 1574년에 사망하고 무라트 3세가 뒤를 이었다. 무라트 3세는 즉위 후 다섯 명의 남동생을 모두 살해하는 것으로 통치를 시작했다.[3] 그의 권위는 하렘의 영향, 특히 그의 어머니 누르바누 술탄과 나중에는 총애하는 후궁인 사피예 술탄의 영향으로 약화되었으며, 이는 종종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의 궁정 영향력을 저해했다.[4] 무라트 3세는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와 같이 강력한 권력을 가진 대재상의 존재를 원치 않았다. 그의 시대에는 10번 이상 대재상이 교체되었고, 짧은 기간 동안 대재상을 임명하지 않은 시기도 있었는데, 이는 제국 역사상 이례적인 일이었다. 또한 자신을 중심으로 권력을 확립하는 정책을 펼쳤다. 하렘을 통괄하는 흑인 환관장 직책이 창설되었고, 어머니 누르바누 술탄이 '바리데'(모후라는 의미)라는 칭호를 얻은 것이 궁정에 무라트 3세를 중심으로 한 당파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

3. 2. 오스만-사파비 전쟁 (1578-1590)

타흐마스프 1세 사후 사파비 왕조는 궁정이 혼란에 빠졌고, 귀족들 사이에서 파벌 싸움이 일어났다. 1578년 무라트 3세는 이 틈을 타 오스만-사파비 전쟁을 시작했다.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개전에 부정적이었지만, 무라트 3세는 주전파에 밀려 전쟁을 시작했다.[2]

오스만 제국은 아제르바이잔 등 코카서스 획득을 목적으로 크림 칸국과 함께 전쟁을 시작했다. 초기에 오스만 제국은 이란 서부를 획득했고, 크림 칸국 군대는 아제르바이잔을 공격했다. 1583년 횃불 전투에서 승리하여 코카서스와 이란 서부의 지배를 굳혔고, 1585년 타브리즈, 1588년 카라바흐를 공략했다.

1590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을 맺어 코카서스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사파비 왕조 측의 왕 교체, 1587년 샤이바니 왕조의 침입, 샤 직속 퀴즐바쉬 간의 내분 등 여러 조건이 겹친 덕분이었다.

전쟁 중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는 암살당했고, 제국의 정체는 군사 국가에서 관료 국가로 이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후에 아바스 1세 치하에서 사파비 왕조가 세력을 회복하여 반격에 나섰고, 1607년까지 오스만 제국은 무라트 3세 시대에 획득한 영토를 모두 잃었다.

3. 3. 헝가리 전선 (장기 터키 전쟁)

1591년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주지사가 왕령 헝가리를 침공, 1592년 비하치 요새가 함락되면서 5,000명의 기독교도가 살해되었다.[3] 1593년 코자 시난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는 본격적으로 왕령 헝가리를 침공하여 으로 가는 요충지인 죄르를 점령하는 등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시사크 전투에서 패배하고, 1595년에는 에스테르곰 요새를 상실했다. 트란실바니아, 왈라키아, 몰다비아 삼국이 합스부르크 측에 가담하고, 칼루가레니 전투에서 시난 파샤가 이끄는 군대가 용감공 미하이에게 패배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이후 양측은 성을 점령하고 빼앗기는 일진일퇴의 공방전을 벌였다. 이 장기적인 전쟁은 아흐메트 1세 시대에 강화 조약이 성립되면서 끝났다.

3. 4. 모로코 원정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1세 사디는 망명 중에 오스만 제국의 유력 인사가 되었다. 그는 무라트 3세의 지원을 받아 사디 왕위를 얻는 대가로 모로코를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5]

라마잔 파샤와 압드 알-말리크는 1만 명의 병력(대부분 투르크인)을 이끌고 알제에서 출발하여 압드 알-말리크를 오스만 제국의 모로코 종속 통치자로 앉혔다.[6] 라마잔 파샤는 페스를 정복했고, 사디 술탄은 마라케시로 도망쳤으나 마라케시 또한 정복되었다.[7][5][8] 이후 압드 알-말리크는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서 모로코를 통치했다.[7][5][8]

압드 알-말리크는 오스만 군에게 막대한 양의 금을 지불하고 알제로 돌려보내는 거래를 함으로써, 무라트 3세가 생각했던 것보다 느슨한 종속국 개념을 제시했다.[5] 무라트 3세의 이름은 금요 예배에서 낭송되었고, 주화에 새겨졌는데 이는 이슬람 세계에서 주권을 나타내는 두 가지 전통적인 징표였다.[9] 압드 알-말리크의 통치는 모로코가 오스만 제국에 종속된 시기로 이해된다.[10][11]

3. 5. 동아프리카 활동

미르 알리 베그라는 이름의 오스만 제독은 무라트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모가디슈와 킬와 사이의 스와힐리 해안 여러 도시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권을 확립하는 데 성공했다.[14] 1585년 모가디슈에서 오스만 종주권이 인정되었으며, 바라와, 몸바사, 킬리피, 파테, 라무, 파자 등 다른 도시에서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권이 확립되었다.[15][16]

3. 6. 재정 위기와 인플레이션

1580년대 무라트 3세 치세에 오스만 제국의 재정 적자가 심화되기 시작했다. 1581년 처음으로 연간 수지가 적자를 기록했으며, 사파비 왕조 및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전쟁, 신기술 도입, 대규모 병력 고용 등으로 재정난은 더욱 악화되었다. 무라트 3세는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해 트리폴리와 튀니지 총독으로부터 대재상을 통해 뇌물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

신대륙에서 유입된 16세기 이후 과잉 인구와 맞물려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이는 식량 가격 상승과 구매력 감소로 이어졌으며, 특히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심각하여 훗날 젤랄리 반란의 원인이 되었다.[2]

오스만 정부는 세수를 늘리기 위해 1590년대부터 비무슬림에게 부과하는 인두세를 인플레이션에 맞춰 증액하고, 전시 특별세였던 아바르즈세를 상시 세금으로 전환했다. 인두세와 아바르즈세 징수에는 중앙 정부 주변의 정규 기병들이 동원되었는데, 이는 국고 수입 확보와 기병들의 수입 보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징세 청부 제도를 확대하여 세수 증대를 꾀했다. 징세 청부 제도란 시파히에게 주어지던 티마르 토지를 몰수하고, 그 세수를 군 단위(무카타)로 묶어 선정된 징세 청부인에게 일정 기간 징세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티마르 토지에서는 원래 세수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이 제도를 통해 세수가 증가했다. 징세 청부인은 정부가 결정했으며, 높은 가격을 제시하고 보증인이 있는 인물에게 징세권이 부여되었다. 청부 기간은 보통 3~9년, 최대 12년이었으나,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청부인이 나타나면 계약이 중도 해지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1년 만에 징세 청부인이 교체되기도 했다. 무카타를 매입한 청부인은 선불로 납세액 일부를 국고에 납부했다. 징세 청부 제도는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16세기 말에 그 적용 범위가 크게 확대되어 오스만 제국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1589년에는 은화 가치를 낮춰 군대 급료를 지불했으나, 이는 정규 기병들의 불만을 야기하여 이스탄불에서 폭동을 일으켰고, 대재상 카니제리 시야브쉬 파샤가 해임되었다. 한편 티마르 토지를 몰수당한 기병들은 훗날 젤랄리 반란에 가담하게 된다.

3. 7. 잉글랜드와의 관계

엘리자베스 1세와 술탄 무라트 3세는 여러 외교 사절을 보내고 서신을 주고받았다.[17] 무라트는 한 서신에서 이슬람과 개신교가 로마 가톨릭교보다 "우상 숭배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훨씬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라고 생각하여, 잉글랜드오스만 제국 간의 동맹을 주장했다.[17] 잉글랜드는 가톨릭 유럽 국가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에 주석과 납(대포 주조용), 탄약을 수출했다. 프랜시스 월싱엄은 스페인과의 전쟁이 일어났을 때 공동의 적인 스페인에 맞서 오스만 군이 직접 개입하도록 로비했고, 엘리자베스는 무라트 3세와 공동 군사 작전을 진지하게 논의했다.[17] 이러한 외교 관계는 무라트의 후계자인 메흐메트 3세 치하에서도 술탄과 사피예 술탄에 의해 계속 이어졌다.

3. 8. 문화와 예술 후원

무라트 3세는 예술, 특히 미니어처와 책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는 미니어처 협회의 궁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삶에 대한 가장 많은 삽화가 곁들여진 전기 작품인 ''시예르-이 네비'', ''기술의 책'', ''축제의 책'', 그리고 ''승리의 책''을 포함한 여러 권의 책을 의뢰했다.[24] 페르가몬에서 가져온 두 개의 큰 설화석고 항아리를 콘스탄티노플의 성 소피아 대성당 본당 양쪽에 배치했으며, 불가리아릴라 수도원에 기증한 주석으로 덮인 큰 왁스 양초는 수도원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무라트는 또한 그의 정신적 조언자 쉭자 데데에게 보내는 ''키타부’엘-메나마트''(''꿈의 책'')의 내용을 제공했다. 이 책은 수피 제자인 무라트의 영적 경험을 1인칭 시점으로 엮은 모음집이다. 무라트가 자신의 꿈 환상을 묘사하며 쓴 수천 통의 편지에서 편집되었으며, 성인전적인 자화상을 제시한다. 무라트는 꿈에서 아버지에 의해 옷이 벗겨지고 무릎에 앉아야 하는 것,[2] 단신으로 전투에서 12,000명의 불신자를 죽이는 것,[2] 물 위를 걷고, 하늘로 올라가고, 손가락에서 우유를 짜내는 것[2]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쉭자 데데에게 보낸 또 다른 편지에서 무라트는 "영광스럽고 숭고하신 하느님께서 이 불쌍한 종을 오스만 가문의 후손으로 창조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저는 이리저리 소리를 듣지 않고 걱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제가 알려지지 않은 혈통 출신이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저는 단 하나의 임무만 가질 것이고, 온 세상을 무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썼다.[2]

4. 죽음

1595년 1월 16일 톱카프 궁전에서 자연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아야 소피아 옆에 있는 묘에 안장되었다.[2] 이 묘에는 술탄, 그의 부인, 자녀 등 54개의 석관이 안치되어 있다. 무라트 3세는 술탄 어머니들의 장례 관습을 바꾸는 데 기여했는데, 어머니 누르바누 술탄을 남편 셀림 2세 옆에 묻어 술탄의 묘를 공유한 최초의 왕비로 만들었다.[2]

1595년 1월, 4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인은 방광 또는 신장 질환으로 추정된다. 뒤를 이어 아들 메흐메트 3세가 즉위하였다.

5. 가족 관계

셀림 2세와 누르바누 술탄 사이에서 태어난 장자로, 프랑스어아랍어 교육을 받았다.[59] 메흐메트 3세는 사피예 술탄에게서 태어났다.[60][61][62][63][64][65][66][67][68][69] 무라트 3세는 백 명이 넘는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아들은 19명에서 20명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으로 전해지는 자녀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구분이름
아들메흐메트 3세, 셀림, 베야짓, 무스타파, 오스만, 지한기르, 압둘라, 압둘라흐만, 압둘라, 하산, 아흐멧, 야쿱, 알렘샤, 유슙, 후세인, 콜쿳, 알리, 이삭, 오메르, 알라딘, 다붓
아이쉐, 파트마, 미흐리마, 암리예


5. 1. 부인

사피예 술탄은 메흐메트 3세의 어머니로, 알바니아 출신이다.[26] 무라트 3세는 사피예 술탄 외에도 솀시루흐사르 하툰, 미흐리반 하툰, 나즈페르베르 하툰 등 다수의 후궁을 거느렸다.[27] 솀시루흐사르 하툰은 루키예 술탄의 어머니였으며, 메디나의 예언자 사원에서 코란 낭독 기도를 의뢰했고 1623년 이전에 사망했다.[27] 사흐후반 하툰은 파티흐에 학교를 세웠고 그곳에 묻혔다.[27] 나즈페르베르 하툰은 에위프에 모스크를 세웠다.[27]

5. 2. 자녀

이름출생-사망생모비고
메흐메트 3세1566년 5월 26일 - 1603년 12월 22일사피예 술탄무라트 3세의 뒤를 이은 술탄
세흐자데 셀림1567년 - 1577년 5월 25일사피예 술탄
세흐자데 마흐무트1568년 - 1580년 이전사피예 술탄
세흐자데 퓔란1582년 6월 - 1582년 6월불명사산됨
세흐자데 지한기르1585년 2월 - 1585년 8월불명세흐자데 쉴레이만의 쌍둥이
세흐자데 쉴레이만1585년 2월 - 1585년불명세흐자데 지한기르의 쌍둥이
세흐자데 압둘라1585년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무스타파1585년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압두르라흐만1585년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바예지드1586년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하산1586년 - 1591년불명
세흐자데 지한기르1587년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야쿠프1587년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아흐메드? - 1595년 이전불명
세흐자데 퓔란1591년 8월 - ?불명사산됨
세흐자데 알라에딘?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다우드?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알렘샤?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알리?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휘세인?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이스하크?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무라트?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오스만? - 1587년불명
세흐자데 유수프?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코르쿠드?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외메르?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세흐자데 셀림? - 1595년 1월 28일불명메흐메트 3세에 의해 처형됨
휘마샤 술탄- 1625년사피예 술탄니샤르 무스타파자데 메흐메드 파샤, 세르다르 페르하트 파샤, 나카쉬 하산 파샤와 결혼
아이셰 술탄- 1605년 5월 15일사피예 술탄이브라힘 파샤, 예미쉬치 하산 파샤, 구젤체 마흐무드 파샤와 결혼
파트마 술탄- 1620년사피예 술탄할릴 파샤, 자페르 파샤, 히지르 파샤, 무라트 파샤와 결혼
미흐리마 술탄1578/1579년 - 1625년 이후사피예 술탄 (추정)
파흐리예 술탄? - 1656년사피예 술탄 (추정)쿠하르 아흐메드 파샤, 소푸 바이라 파샤, 델리 딜라베르 파샤와 결혼
루키예 술탄? - ?솀시루흐사르 하툰
미흐리반 술탄? - ?불명1613년에 결혼[39]
하티제 술탄1583년 - 1648년불명소콜루자데 라라 메흐메드 파샤, 퀴르쉬치 메흐메드 파샤와 결혼
페티예 술탄? - ?불명
베이한 술탄? -불명퀴르슌주자데 무스타파 파샤와 결혼[52]
세히메 술탄? - ?불명토팔 메흐메드 파샤와 결혼[54]
이름 불명? - ?불명다우드 파샤와 결혼[55]
이름 불명? - ?불명1613년에 퀴취크 미라후르 메흐메드 아가와 결혼[40][56]
이름 불명? - ?불명1613년에 미라후르-이 에브벨 무슬루 아가와 결혼[40][56]
이름 불명? - ?불명1613년에 보스탄치바쉬 하산 아가와 결혼[40][56]
이름 불명? - ?불명1613년에 치갈라자데 유수프 시난 파샤와 사피예 하님술탄의 아들인 츠갈라자데 메흐메드 베이와 결혼[40][56]
이름 불명 (19명)? - 1598년불명1598년에 흑사병 (또는 천연두)으로 사망[33][34]
이름 불명? - 1585년 7월 29일불명어린 나이에 사망[57]



무라트 3세는 100명이 넘는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595년 무라트 3세가 사망했을 때, 그의 장남 메흐메트 3세는 형제 살해법에 따라 19명의 이복 형제들을 처형했다.[30]

참조

[1] 웹사이트 Murad III https://www.britanni[...] 2018-07-10
[2] 논문 "Re-creating image and identity: Dreams and visions as a means of Murad III's self-fashioning" University of Michigan 2010
[3] 서적 The Eastern Question Clarendon Press 1917
[4] 뉴스 Murad III {{!}} Ottoman sultan https://www.britanni[...] 2018-11-13
[5] 서적 Dictionary of African Biography https://books.google[...] OUP USA 2012-02-02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3 https://books.google[...]
[7] 간행물 هيسبريس تمودا‫ Volume 29, Issue 1 https://books.google[...] Editions techniques nord-africaines 1991
[8] 서적 The Forgotten Frontier : A History of the Sixteenth-Century Ibero-African Fronti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9] 서적 Ottoman Empire and Islam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03-15
[10] 서적 Death in Babylon: Alexander the Great and Iberian Empire in the Muslim Orient: Pages 82 and 10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5-15
[11] 웹사이트 Langues et littératures https://books.google[...] Faculté des lettres et des sciences humaines 1981-09-09
[12] 서적 Histoire du Maroc: de Moulay Idrîs à Mohammed VI Fayard 2012
[13] 문서 A Struggle for the Sahara:Idrīs ibn ‘Alī’s Embassy toAḥmad al-Manṣūr in the Context ofBorno-Morocco-Ottoman Relations, 1577-1583 https://www.academia[...] Université de Paris Panthéon Sorbonne
[14] 서적 The Portuguese Empire in Asia, 1500-1700: A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Longman 1993-09-09
[15] 서적 Muslim Societies in Africa: A Historic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07-17
[16] 서적 Historic Cities of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07-08-31
[17] 서적 The Jamestown project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On the Tranquility and Repose of the Sultan. The Ottoman World Routledge 2011
[19] 서적 Inventory of the Lettere E Scritture Turchesche in the Venetian State Archives BRILL
[20] 서적 Gardens in the Time of the Great Muslim Empires: Theory and Design E. J. Brill
[21] 뉴스 Salve Sold to the Turk https://timesmachine[...] 2011-01-19
[22] 웹사이트 The black eunuchs and the Ottoman dynasty http://www.hurriyetd[...] 2020-03-19
[23] 서적 Harem Histories: Envisioning Places and Living Space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0
[24] 서적 My Name is Red Alfred A. Knopf 2010
[25] 서적 The imperial harem : women and sovereignty in the Ottoman Empire 1993
[26] 서적 Padışahların kadınları ve kızları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27] 서적 Yüzyıl Dönümünde Bir Valide Sultan: Safiye Sultan'ın Hayatı ve Eserleri
[28] 문서 The structure of the Ottoman Dynasty
[29] 웹사이트 Tarih-i Selaniki 1-2 : Selânik Mustafa Efendi, d. 1600?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2024-02-09
[30] 서적 The Muslim Diaspora (Volume 2, 1500-1799): A Comprehensive Chronology of the Spread of Islam in Asia, Africa, Europe and the Americas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31] 간행물 A Comparison of Seyyid Lokman's Records of the Birth, Death and Wedding Dates of Members of Ottoman Dynasty (1566-1595) with the Records in Ottoman Chronicles Marmara University 2023-06-06
[32] 서적 Searching For Osman: A Reassessment Of The Deposition Of Ottoman Sultan Osman II (1618-1622)
[33] 서적 Disease and Empire: A History of Plague Epidemics in the Early Modern Ottoman Empire (1453–1600)
[34] 서적 Life after the Harem: Female Palace Slaves, Patronage and the Imperial Ottoman Cou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82 Numaralı Mühimme Defteri'nin (H.1026-1027/1617-1618) Transkripsiyonu ve Değerlendirilmesi T.C. Başbakanlık Devlet Arşivleri Genel Müdürlüğü
[36] 서적 Bu mülkün kadın sultanları: Vâlide sultanlar, hâtunlar, hasekiler, kadınefendiler, sultanefendiler Oğlak Yayıncılık
[37] 서적 Calendar of State Papers and Manuscripts Relating to English Affairs: Existing in the Archives and Collections of Venice, and in Other Libraries of Northern Italy H.M. Stationery Office
[38] 웹사이트 Nakkaş Hasan Paşa https://islamansiklo[...] 2024-02-22
[39] 서적 Peçevi Tarih, Volume 2 Başbakanlık Matbaası
[40] 서적 Searching For Osman: A Reassessment Of The Deposition Of Ottoman Sultan Osman II (1618-1622)
[41] 서적 Padişahların kadınları ve kızları Ötüken
[42] 서적 Hürrem ve Mihrümah sultanların Polonya Kralı II. Zigsmund'a Yazdıkları Mektuplar
[43] 서적 İstanbul mimarisi için kaynak olarak Evliya Çelebi Seyahatnamesi Vakıflar Genel Müdürlüğü
[44] 간행물 11 numaralı İstanbul Mahkemesi defteri (H.1073) : tahlil ve metin https://acikerisim.m[...] 2011
[45] 서적 Vefeyât-ı selâtîn ve meşâhı̂r-i ricâl Edebiyat Fakültesi Matbaası
[46] 서적 Les perles de nacre du sultanat: Les princesses ottomanes (mi-XVe – mi-XVIIIe siècle)
[47] 서적 Türkischer Biographischer Index De Gruyter
[4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02
[49] 서적 Dünden bugüne İstanbul ansiklopedisi Kültür Bakanlığı
[50] 문서 Bayrak 1998
[51] 문서 Öztuna Başlangıcından zamanımıza kadar Büyük Türkiye tarihi 1977
[52] 논문 Per favore della Soltana: moćne osmanske žene i dubrovački diplomati https://hrcak.srce.h[...] 2018-05-02
[53] 서적 Les perles de nacre du sultanat: Les princesses ottomanes (mi-XVe – mi-XVIIIe siècle)
[54] 간행물 11 numaralı İstanbul Mahkemesi defteri (H.1073) : tahlil ve metin https://acikerisim.m[...] 2011
[55] 서적 Peçevi Tarih, Volume 2 Başbakanlık Matbaası
[56] 서적 Topçular Katibi ʻAbdülkādir (Kadrı) Efendi Tarihi: metin ve tahlıl https://www.scribd.c[...]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57] 논문 A Comparison of Seyyid Lokman's Records of the Birth, Death and Wedding Dates of Members of Ottoman Dynasty (1566-1595) with the Records in Ottoman Chronicles Marmara University 2023-06-06
[58] 문서 愛妾だけでも40人、所生の皇子女は100人以上を数え、皇子は即位したメフメト皇子の他に、19人いたとされる。また、奴隷市場から1200人以上の美女を買い漁ったため、女奴隷の価格は2倍に高騰したという。
[59] 서적 Nur Banu (c. 1530-1583): A Venetian Sultana?
[60] 서적 The Aviary Gate http://books.google.[...] 2014-09-30
[6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books.google.[...] 2014-09-30
[62] 서적 Inside the Seraglio http://books.google.[...] 2014-09-30
[63] 서적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Micropedia -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 Google Books http://books.google.[...] 2014-09-30
[64] 서적 The Imperial Harem: Women and Sovereignty in the Ott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65] 서적 New Perspectives on Safavid Iran http://books.google.[...] 2014-09-30
[66] 서적 Mediterranean passages http://books.google.[...] 2014-09-30
[67] 서적 Transactions of the Royal Historical Society: Volume 14 http://books.google.[...] 2014-09-30
[68] 서적 A Monarchy of Letters http://books.google.[...] 2014-09-30
[69] 서적 Islamic Art and Visual Culture http://books.google.[...] 2014-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