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멀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니멀 음악은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음악 양식으로, 단순한 화성 반복과 점진적인 변화, 그리고 간결성을 특징으로 한다. 테리 라일리, 라 몬테 영,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 등이 대표적인 작곡가이며, 유럽과 일본에서도 유사한 기법이 나타났다. 미니멀 음악은 대중음악, 특히 록과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으며,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니멀리즘 - 엘리펀트 (2003년 영화)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영화 엘리펀트는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을 모티브로 학교 내 총기 난사 사건을 앞둔 학생들의 일상을 보여주며 폭력의 원인과 결과를 탐구하고, 2003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과 감독상을 수상했으나 총기 난사 사건과 연관되어 논란이 되었으며, 제목은 앨런 클락 감독의 동명 영화에 대한 오마주이자 '맹인과 코끼리' 우화처럼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바라보는 영화의 특징을 반영한다. - 미니멀리즘 - 검은 사각형
검은 사각형은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1915년에 제작한 캔버스 중앙에 검은색 정사각형을 배치한 회화 작품으로, 절대주의 운동을 시작하며 20세기 미술과 추상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니멀 음악 | |
---|---|
기본 정보 | |
![]() | |
스타일 기원 | 실험 음악 세리얼 음악 과정 아방가르드 인도 고전 |
문화적 기원 | 1960년대 초, 미국 |
파생 장르 | 크라우트록 노이즈 록 스토너 록 포스트미니멀리즘 토탈리즘 |
하위 장르 | 드론 |
미니멀 음악 (일본어 표기) | |
로마자 표기 | Minimaru myūjikku |
미니멀 음악 (영어 표기) | |
영어 표기 | Minimal music |
2. 역사
1960년대 미국에서 미니멀 뮤직이 탄생했다.[55] 테리 라일리의 《''In C''(1964)》, 스티브 라이히의 《''It's Gonna Rain''(1965)》, 《''Come out''(1966)》 등의 작품이 이 시기에 작곡되었다.[46] 라 몬테 영의 《현악 삼중주 (1958)》는 거의 전적으로 긴 음색(musical tone)과 휴지(rest (music))로 이루어져 미니멀 음악의 시작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5][21]
같은 시기 유럽에서는 루치아노 베리오, 리게티 죄르지, 헨리크 그레트키들도 단순 반복에 의한 음악 어법을 시도하여 미국의 미니멀 음악과 유사성을 보였다. 1940년대와 50년대의 무둔독(Moondog)의 음악은 종종 특이한 박자표에서 꾸준한 맥박 위에 정적으로 발전하는 대위법(counterpoint)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필립 글래스와 스티브 라이히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다. 글래스는 자신과 라이히가 무둔독의 작품을 "주일리아드에서 접했던 것보다 훨씬 더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감상했다"고 적었다.[20]
에릭 사티의 후기 작품은 집요한 반복에 의해서 곡이 성립되고 있어 존 케이지의 초기 작품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으로, 케이지의 뒤에 이어진 미니멀 음악으로 이어지는 음악사의 맥락에 깊게 영향을 주고 있다.[49]
1968년 마이클 나이먼(Michael Nyman)은 샬롯 무어먼(Charlotte Moorman)과 백남준이 (ICA)에서 선보인 공연에서 "성공적인 '미니멀 음악' 이벤트를 위한 레시피"를 추론했는데, 여기에는 헤닝 크리스티안센(Henning Christiansen)의 ''Springen'' 공연과 여러 개의 신원 미상의 퍼포먼스 아트 작품이 포함되어 있었다.[13] 이후 나이만은 1974년 저서 ''실험 음악: 케이지와 그 너머''(Experimental Music: Cage and Beyond)에서 미니멀 음악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확장했다. 그는 라 몬테 영에 언급한 마디에서, 젊은 안톤 베베른의 의견을 채택해 미니멀 음악의 기원을 음렬주의로 보았다.[48] 영은 음렬이 형태를 바꾸어 제시되어도 동일 음높이가 동일 옥타브로 연주되는 경향을 '정적'이라고 해석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톰 존슨은 자신이 ''빌리지 보이스''(The Village Voice)의 신생 음악 평론가로서 "미니멀리즘"을 처음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미니멀리즘의 개념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위합니다. 정의상 제한적이거나 최소한의 재료로 작업하는 모든 음악을 포함합니다."라고 설명했다.[14]
가장 저명한 미니멀리스트 작곡가로는 라 몬테 영, 테리 라일리,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 존 애덤스(John Coolidge Adams), 그리고 루이스 안드리센이 있다.[16]
같은 시기에 유럽에서는 루치아노 베리오(Luciano Berio), 리게티 죄르지(György Ligeti), 헨리크 구레츠키/Henryk Mikołaj Góreckipl 등도 단순 반복을 이용한 음악 기법을 시도했는데, 이러한 작풍은 미국의 미니멀 뮤직과 유사하다.[47] 1968년 당시 음악 평론가였던 마이클 나이만(Michael Nyman)이 코르넬리우스 카르듀(Cornelius Cardew)의 「The Great Digest」를 평론하면서 당시 추상회화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되던 용어인 「미니멀리즘(Minimalism)」을 사용하여 음악 평론에서 처음으로 "미니멀"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47]
나이만은 1974년 저서 『실험 음악: 케이지와 그 이후 (Experimental Music: Cage and Beyond)』에서 라 몬테 영에 대해 언급하며, 영의 안톤 베베른(Anton Webern) 청취에 대해 다루고[48], 「미니멀한 과정의 음악」의 기원을 토탈 세리얼리즘(Total Serialism)이라고 주장했다. 영은 세리(series)가 형태를 바꿔 제시되더라도 동일한 음높이가 동일한 옥타브로 연주되는 경향을 "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에릭 사티(Erik Satie)의 후기 작품 일부(「Vexations(베크사시옹)」「Furniture Music(가구를 위한 음악)」 등)는 집요한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존 케이지(John Cage)의 초기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케이지 이후의 미니멀 뮤직으로 이어지는 음악사의 맥락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유럽에서는 톰 존슨(Tom Johnson), 리게티 죄르지, 존 맥거이어(John McGagh) 등이 미니멀 뮤직과 유사한 반복 기법을 자신의 기법으로 받아들였다.
일본에서는 요시 와다(Yoshi Wada), 콘도 조(Kondo Jo), 후지에다 마모루(Fujieda Mamoru) 등이 미니멀 음악과 유사한 반복 기법을 자신의 기법으로 받아들였다.[50] 작곡가 히사이시 조(久石譲)는 자신의 콘서트 일부에서 미니멀 뮤직 기법으로 작곡된 작품을 상연했다.[50] 또한, 반복을 기본으로 하는 오스티나토(ostinato) 기법으로 오랫동안 작곡을 해 온 이후베 아키라(伊福部昭)를 테리 라이리가 예방 방문했다.[50]
2. 1. 초기 미니멀 음악 (1960년대)
1960년대 미국에서 미니멀 뮤직이 탄생했다.[55] 텔리 라이리의 《''In C''(1964)》, 스티브 라이히의 《''It's Gonna Rain''(1965)》, 《''Come out''(1966)》 등의 작품이 이 시기에 작곡되었다.[46] 라 몬테 영의 《현악 삼중주 (1958)》는 거의 전적으로 긴 음색(musical tone)과 휴지(rest (music))로 이루어져 미니멀 음악의 시작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5][21]같은 시기 유럽에서는 루치아노 베리오, 리게티 죄르지, 헨리크 그레트키들도 단순 반복에 의한 음악 어법을 시도하여 미국의 미니멀 음악과 유사성을 보였다. 1940년대와 50년대의 무둔독(Moondog)의 음악은 종종 특이한 박자표에서 꾸준한 맥박 위에 정적으로 발전하는 대위법(counterpoint)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필립 글래스와 스티브 라이히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다. 글래스는 자신과 라이히가 무둔독의 작품을 "주일리아드에서 접했던 것보다 훨씬 더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감상했다"고 적었다.[20]
에릭 사티의 후기 작품은 집요한 반복에 의해서 곡이 성립되고 있어 존 케이지의 초기 작품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으로, 케이지의 뒤에 이어진 미니멀 음악으로 이어지는 음악사의 맥락에 깊게 영향을 주고 있다.[49]
1968년 마이클 나이먼(Michael Nyman)은 샬롯 무어먼(Charlotte Moorman)과 백남준이 (ICA)에서 선보인 공연에서 "성공적인 '미니멀 음악' 이벤트를 위한 레시피"를 추론했는데, 여기에는 헤닝 크리스티안센(Henning Christiansen)의 ''Springen'' 공연과 여러 개의 신원 미상의 퍼포먼스 아트 작품이 포함되어 있었다.[13] 이후 나이만은 1974년 저서 ''실험 음악: 케이지와 그 너머''(Experimental Music: Cage and Beyond)에서 미니멀 음악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확장했다. 그는 라 몬테 영에 언급한 마디에서, 젊은 안톤 베베른의 의견을 채택해 미니멀 음악의 기원을 음렬주의로 보았다.[48] 영은 음렬이 형태를 바꾸어 제시되어도 동일 음높이가 동일 옥타브로 연주되는 경향을 '정적'이라고 해석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톰 존슨은 자신이 ''빌리지 보이스''(The Village Voice)의 신생 음악 평론가로서 "미니멀리즘"을 처음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미니멀리즘의 개념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위합니다. 정의상 제한적이거나 최소한의 재료로 작업하는 모든 음악을 포함합니다."라고 설명했다.[14]
가장 저명한 미니멀리스트 작곡가로는 라 몬테 영, 테리 라일리,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 존 애덤스(John Coolidge Adams), 그리고 루이스 안드리센이 있다.[16]
2. 2. 유럽의 미니멀 음악
같은 시기에 유럽에서는 루치아노 베리오(Luciano Berio), 리게티 죄르지(György Ligeti), 헨리크 구레츠키/Henryk Mikołaj Góreckipl 등도 단순 반복을 이용한 음악 기법을 시도했는데, 이러한 작풍은 미국의 미니멀 뮤직과 유사하다.[47] 1968년 당시 음악 평론가였던 마이클 나이만(Michael Nyman)이 코르넬리우스 카르듀(Cornelius Cardew)의 「The Great Digest」를 평론하면서 당시 추상회화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되던 용어인 「미니멀리즘(Minimalism)」을 사용하여 음악 평론에서 처음으로 "미니멀"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47]나이만은 1974년 저서 『실험 음악: 케이지와 그 이후 (Experimental Music: Cage and Beyond)』에서 라 몬테 영에 대해 언급하며, 영의 안톤 베베른(Anton Webern) 청취에 대해 다루고[48], 「미니멀한 과정의 음악」의 기원을 토탈 세리얼리즘(Total Serialism)이라고 주장했다. 영은 세리(series)가 형태를 바꿔 제시되더라도 동일한 음높이가 동일한 옥타브로 연주되는 경향을 "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에릭 사티(Erik Satie)의 후기 작품 일부(「Vexations(베크사시옹)」「Furniture Music(가구를 위한 음악)」 등)는 집요한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존 케이지(John Cage)의 초기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49] 케이지 이후의 미니멀 뮤직으로 이어지는 음악사의 맥락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유럽에서는 톰 존슨(Tom Johnson), 리게티 죄르지, 존 맥거이어(John McGagh) 등이 미니멀 뮤직과 유사한 반복 기법을 자신의 기법으로 받아들였다.
2. 3. 에릭 사티와 존 케이지의 영향
에릭 사티(Erik Satie)의 후기 작품 일부(「Vexations(베크사시옹)」「Furniture Music(가구를 위한 음악)」 등)는 집요한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존 케이지(John Cage)의 초기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케이지 이후의 미니멀 음악으로 이어지는 음악사의 맥락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2. 4. 일본의 미니멀 음악
일본에서는 요시 와다(Yoshi Wada), 콘도 조(Kondo Jo), 후지에다 마모루(Fujieda Mamoru) 등이 미니멀 음악과 유사한 반복 기법을 자신의 기법으로 받아들였다.[50] 작곡가 히사이시 조(久石譲)는 자신의 콘서트 일부에서 미니멀 뮤직 기법으로 작곡된 작품을 상연했다.[50] 또한, 반복을 기본으로 하는 오스티나토(ostinato) 기법으로 오랫동안 작곡을 해 온 이후베 아키라(伊福部昭)를 테리 라이리가 예방 방문했다.[50]2. 5. 한국의 미니멀 음악 수용과 발전
한국에서는 미니멀 음악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용되고 발전해 왔다. 특히 영화, 드라마, 광고 등 대중 매체에서 미니멀 음악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면서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였다.일본에서는 요시 와다(Yoshi Wada), 콘도 조/近藤譲일본어, 후지에다 마모루/藤枝守일본어 등이 미니멀 뮤직과 유사한 반복 기법을 자신의 기법으로 받아들였다.[50] 작곡가 히사이시 조/久石譲일본어는 자신의 콘서트 일부에서 미니멀 뮤직 기법으로 작곡된 작품을 상연하기도 했다.[50] 또한, 반복을 기본으로 하는 오스티나토(ostinato) 기법으로 오랫동안 작곡을 해 온 이후베 아키라/伊福部昭일본어를 테리 라이리가 예방 방문했다.[50]
앞으로도 한국적인 특색을 담은 미니멀 음악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3. 주요 특징
리처드 E. 로다(Richard E. Rodda)에 따르면, 미니멀리즘 음악은 느리게 변화하는 화성 (공통화음 - 여러 조의 장음계에 속하는 화음 또는 3화음, 장음계 또는 장음계와 단음계 - 참조: 공통음)의 반복을 기반으로 하며, 흔히 길고 활처럼 휘어지는 멜로디 선율이 겹쳐진다.[25] 이는 반복적인 선율 패턴, 협화음, 모터릭 리듬, 그리고 의도적인 청각적 아름다움 추구를 활용한다.[25] 티모시 존슨(Timothy Johnson)은 미니멀리즘 음악이 스타일로서 주로 단절된 부분 없이 연속적인 형태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것의 직접적인 결과는 서로 얽힌 리듬 패턴과 맥박으로 이루어진 끊임없는 질감이다. 또한 밝은 음색과 활기찬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그 화성적 음향은 뚜렷하게 단순하며, 보통 장음계이고, 흔히 친숙한 3화음과 7화음으로 구성되며, 느린 화성 리듬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존슨은 미니멀리즘 음악의 가장 독특한 특징이 확장된 멜로디 라인의 완전한 부재라고 생각하며 로다와 의견을 달리한다. 대신 짧은 멜로디 단편만 존재하며, 짧고 반복적인 리듬 패턴의 구성, 결합 및 개별적인 특성을 전면에 내세운다.[26]
레너드 B. 마이어 (Leonard B. Meyer)는 1994년에 미니멀리즘 음악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목표 지향적인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미니멀리즘 음악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어떤 음악 부분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방향성이 있을 수 있지만, 종종 부분들이 서로 이어지거나 암시하지 못한다. 그들은 단순히 서로 뒤따른다.[27]
카일 갠 (Kyle Gann)이 말했듯이, 미니멀리즘 음악에 사용되는 음조는 "목표 지향적인 유럽적 연관성"이 부족하다.[28]
데이비드 코프 (David Cope)는 미니멀리즘 음악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제시한다.[29]
이 기법을 사용하는 유명한 작품으로는 글래스의 ''아인슈타인 온 더 비치 (Einstein on the Beach)''의 ''숫자'' 부분, 라이히의 테이프 루프 작품 ''컴 아웃''과 ''잇츠 고나 레인 (It's Gonna Rain)'', 그리고 애덤스의 ''셰이커 루프스 (Shaker Loops)''가 있다.
3. 1. 반복과 점진적 변화
미니멀 음악은 느리게 변화하는 화성의 반복을 기반으로 하며, 흔히 길고 활처럼 휘어지는 멜로디 선율이 겹쳐진다. 이는 반복적인 선율 패턴, 협화음, 모터릭 리듬, 그리고 의도적인 청각적 아름다움 추구를 활용한다.[25] 주로 단절된 부분 없이 연속적인 형태를 가지며, 서로 얽힌 리듬 패턴과 맥박으로 이루어진 끊임없는 질감, 밝은 음색과 활기찬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26] 화성적 음향은 뚜렷하게 단순하며, 보통 장음계이고, 흔히 친숙한 3화음과 7화음으로 구성되며, 느린 화성 리듬으로 제시된다.[26]레너드 B. 마이어 (Leonard B. Meyer)는 미니멀리즘 음악에 대해 목표 지향적인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음악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어떤 음악 부분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방향성이 있을 수 있지만, 종종 부분들이 서로 이어지거나 암시하지 못하고 단순히 서로 뒤따른다고 보았다.[27] 카일 갠 (Kyle Gann)은 미니멀리즘 음악에 사용되는 음조는 "목표 지향적인 유럽적 연관성"이 부족하다고 말했다.[28]
데이비드 코프 (David Cope)는 미니멀리즘 음악의 특징으로 침묵, 개념 음악, 간결성, 연속성, 그리고 위상 및 패턴 음악, 반복 등을 제시했다.[29] 이러한 기법을 사용한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글래스의 ''아인슈타인 온 더 비치 (Einstein on the Beach)''의 ''숫자'' 부분, 라이히의 테이프 루프 작품 ''컴 아웃''과 ''잇츠 고나 레인 (It's Gonna Rain)'', 그리고 애덤스의 ''셰이커 루프스 (Shaker Loops)''가 있다.
3. 2. 단순성과 정적인 화성
리처드 E. 로다(Richard E. Rodda)에 따르면, 미니멀리즘 음악은 느리게 변화하는 화성과 공통화음의 반복을 기반으로 하며, 길고 활처럼 휘어지는 멜로디 선율이 겹쳐진다. 이는 반복적인 선율 패턴, 협화음, 모터릭 리듬, 그리고 의도적인 청각적 아름다움 추구를 활용한다.[25] 티모시 존슨(Timothy Johnson)은 미니멀리즘 음악이 단절된 부분 없이 연속적인 형태를 가지며, 서로 얽힌 리듬 패턴과 맥박으로 이루어진 끊임없는 질감을 특징으로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밝은 음색과 활기찬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그 화성적 음향은 뚜렷하게 단순하며, 보통 장음계이고, 흔히 친숙한 3화음과 7화음으로 구성되며, 느린 화성 리듬으로 제시된다.[26]레너드 B. 마이어 (Leonard B. Meyer)는 1994년에 미니멀리즘 음악은 목표 지향적인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 않으며, 어떤 음악 부분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방향성이 있을 수 있지만, 종종 부분들이 서로 이어지거나 암시하지 못하고 단순히 서로 뒤따른다고 설명했다.[27] 카일 갠 (Kyle Gann)은 미니멀리즘 음악에 사용되는 음조는 "목표 지향적인 유럽적 연관성"이 부족하다고 말했다.[28]
데이비드 코프 (David Cope)는 미니멀리즘 음악의 특징으로 침묵, 개념 음악, 간결성, 연속성, 위상 및 패턴 음악, 반복 등을 제시한다.[29]
이 기법을 사용하는 유명한 작품으로는 글래스의 ''아인슈타인 온 더 비치 (Einstein on the Beach)''의 ''숫자'' 부분, 라이히의 테이프 루프 작품 ''컴 아웃''과 ''잇츠 고나 레인 (It's Gonna Rain)'', 그리고 애덤스의 ''셰이커 루프스 (Shaker Loops)''가 있다.
3. 3. 음향 공간과 울림
리처드 E. 로다(Richard E. Rodda)에 따르면, 미니멀리즘 음악은 느리게 변화하는 화성과 반복을 기반으로 하며, 길게 이어지는 멜로디 선율이 겹쳐진다.[25] 이는 반복적인 선율 패턴, 협화음, 그리고 의도적인 청각적 아름다움 추구를 활용한다. 티모시 존슨(Timothy Johnson)은 미니멀리즘 음악이 주로 단절된 부분 없이 연속적인 형태를 가지며, 서로 얽힌 리듬 패턴과 맥박으로 이루어진 끊임없는 질감을 특징으로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밝은 음색과 활기찬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26]레너드 B. 마이어 (Leonard B. Meyer)는 1994년에 미니멀리즘 음악은 목표 지향적인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 않으며, 어떤 음악 부분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방향성이 있을 수 있지만, 종종 부분들이 서로 이어지거나 암시하지 못하고 단순히 서로 뒤따른다고 설명했다.[27] 카일 갠 (Kyle Gann)은 미니멀리즘 음악에 사용되는 음조는 "목표 지향적인 유럽적 연관성"이 부족하다고 말했다.[28]
데이비드 코프 (David Cope)는 미니멀리즘 음악의 특징으로 침묵, 개념 음악, 간결성, 연속성, 위상 및 패턴 음악, 반복 등을 제시한다.[29] 이러한 기법을 사용한 유명한 작품으로는 글래스의 ''아인슈타인 온 더 비치 (Einstein on the Beach)'', 라이트의 테이프 루프 작품 ''컴 아웃''과 ''잇츠 고나 레인 (It's Gonna Rain)'', 그리고 애덤스의 ''셰이커 루프스 (Shaker Loops)''가 있다.
4. 주요 작곡가
테리 라일리, 라 몬테 영,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는 대표적인 미니멀 음악 작곡가로 꼽힌다. 이들은 모두 미국 출신이다.
테리 라일리, 라 몬테 영,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는 특히 대표적인 미니멀 음악 작곡가로 꼽힌다. 이들 외에도 다양한 국적의 작곡가들이 미니멀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미국의 대니얼 렌츠, 존 아담즈, 프레더릭 주스키, 톰 존슨, 글렌 브랜카 등이 있다.
유럽에서는 네델란드의 시메온 텐 홀트와 루이 안드리센, 영국의 코닐리어스 카듀, 마이클 나이먼, 개빈 브라이어스, 데이비드 베드퍼드, 존 화이트, 이탈리아의 조반니 솟리마, 벨기에의 빔 메르턴스, 에스토니아의 아르보 패르트 등이 미니멀 음악을 작곡했다.
일본에서는 곤도 유즈루, 사카모토 류이치, 히사이시 조, 히라이시 히로카즈 등이 미니멀 음악 작곡가로 활동했다.
4. 1. 미국의 4대 미니멀리스트
테리 라일리, 라 몬테 영,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는 대표적인 미니멀 음악 작곡가로 꼽힌다. 이들은 모두 미국 출신이다.4. 2. 그 외 주요 작곡가
테리 라일리, 라 몬테 영,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는 특히 대표적인 미니멀 음악 작곡가로 꼽힌다. 이들 외에도 다양한 국적의 작곡가들이 미니멀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미국의 대니얼 렌츠, 존 아담즈, 프레더릭 주스키, 톰 존슨, 글렌 브랜카, 존 맥가이어(John McGarrigle)[51], 토니 콘라드(Tony Conrad), 마이클 토키(Michael Torke) 등이 있다. 톰 존슨은 미국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요시 와다(Yoshi Wada)는 일본 출신으로 미국에서 거주하며 활동했다.[52]
유럽에서는 네델란드의 시메온 텐 홀트와 루이 안드리센, 영국의 코닐리어스 카듀, 마이클 나이먼, 개빈 브라이어스, 데이비드 베드퍼드, 존 화이트, 마크 펠(Mark Fell), 이탈리아의 조반니 솟리마, 벨기에의 빔 메르턴스, 에스토니아의 아르보 패르트, 독일의 페터 미하엘 하멜(Peter Michael Hamel), 러시아의 샨돌 카로시(Sándor Károlyi), 프랑스 출신의 엘로디 로텐(Élodie Rothen, 미국 거주) 등이 미니멀 음악을 작곡했다. 프레데리크 제프스키(Frédéric Devreese)는 미국 출신이나 벨기에에서 거주했다.
일본에서는 곤도 유즈루, 사카모토 류이치, 히사이시 조, 히라이시 히로카즈, 후지에다 마모루(藤枝守) 등이 미니멀 음악 작곡가로 활동했다.
5. 비판적 수용
로버트 핑크는 미니멀 음악에 대한 주목할 만한 비평적 반응을 요약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미니멀 음악은 미국 관객들이 원시적이고 무교양하다는 청각적 신호(피에르 불레즈)[30], 혹은 젊은이들이 마약에 취하고 싶어하는 현상(도널드 헤너핸, 해롤드 쇼넨버그)[30]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서구 문화적 가치가 1960년대 자유주의적 여파 속에서 침식된 결과(새뮤얼 립먼)[30]로, 반복은 히틀러의 연설, 광고와 같은 선전과 같다는 비판(엘리엇 카터)[30][31]도 있었다. 심지어 현대 자본주의의 상품-페티시즘이 미니멀리즘 나르시시즘 속에 자율적인 자아를 가두었다는 주장(크리스토퍼 라쉬)[30]도 제기되었다.
엘리엇 카터는 미니멀리즘에 대해 일관되게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1] 1982년에는 미니멀 음악을 파시즘에 비유하며 "히틀러의 연설과 광고에서도 끊임없는 반복을 듣는다. 그것은 위험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1] 2001년에는 "우리는 미니멀리즘의 세계에 둘러싸여 있다. 매일 받는 모든 정크 메일은 반복되고; 텔레비전을 보면 같은 광고가 나오고, 영화를 보려고 하지만 5분마다 고양이 사료 광고가 나온다. 그것이 미니멀리즘이다."라고 언급했다.[32] 핑크는 카터가 에드가르 바레즈와 찰스 아이브스의 음악에서 반복 사용을 비판하며, "문명화된 사회에서는 세 번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 것을 들어, 반복을 일반적으로 무시하는 음악적 속물근성을 보인다고 지적했다.[31]
이언 매코널드는 미니멀리즘을 "기계 시대의 열정적이지 않고, 성적으로 무감각하며, 감정적으로 공허한 사운드트랙으로, 그 유토피아적인 이기심은 대량 생산과 핵폭탄 앞에서 인간의 수동성을 표현하는 것 이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스티브 라이히는 그러한 비판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1987년 자신의 작곡 활동은 전후 미국 소비 사회의 대중 문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는데, 그 이유는 "엘리트 유럽식 렬주파 음악"이 단순히 그의 문화적 경험을 대표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라이히는 "슈토크하우젠, 베리오, 그리고 불레즈는 2차 세계 대전 후 잔해를 수습하는 것이 어떠한지를 매우 정직하게 묘사했다. 그러나 1948년이나 1958년 또는 1968년의 어떤 미국인에게 – 긴 뒷날개, 척 베리와 수백만 개의 버거 판매의 실제 상황에서 – 우리가 실제로 빈의 어두운 갈색 불안을 가질 것이라고 가장하는 것은 거짓말이며, 음악적 거짓말이다."라고 말했다.
미니멀리스트 작곡가인 카일 갠은 미니멀리즘이 이전 스타일의 발전이 극단적이고 극복할 수 없는 복잡성에 이른 후에 예측 가능한 단순성으로의 회귀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33] 이와 유사한 예로는 정교한 르네상스 다성 음악에 이은 단순한 바로크 콘티누오 스타일의 등장과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바로크 대위법의 기념비적인 발전에 이은 단순한 초기 고전 교향곡이 있다. 또한 비평가들은 초기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을 과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이클 나이만은 스티브 라이히의 초기 음악의 매력은 실제로 연주되지 않고 위상 이동 과정의 미묘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각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34] 다시 말해, 음악은 보이는 것만큼 단순하게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갠의 추가 분석에 따르면, 1980년대 미니멀리즘은 포스트미니멀리즘과 전체주의와 같은 덜 엄격하고 더 복잡한 스타일로 발전하여 초기 미니멀리즘의 강력하게 짜여진 반복과 정체성에서 벗어나 다른 리듬과 구조적 영향의 합류로 풍요로워졌다.
5. 1. 엘리엇 카터의 비판
엘리엇 카터는 미니멀리즘에 대해 일관되게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1] 1982년에는 미니멀 음악을 파시즘에 비유하며 "히틀러의 연설과 광고에서도 끊임없는 반복을 듣는다. 그것은 위험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1] 2001년에는 "우리는 미니멀리즘의 세계에 둘러싸여 있다. 매일 받는 모든 정크 메일은 반복되고; 텔레비전을 보면 같은 광고가 나오고, 영화를 보려고 하지만 5분마다 고양이 사료 광고가 나온다. 그것이 미니멀리즘이다."라고 언급했다.[32]로버트 핑크는 카터가 반복을 일반적으로 무시하는 음악적 속물근성을 보인다고 지적했다.[30] 카터는 에드가르 바레즈와 찰스 아이브스의 음악에서 반복의 사용을 비판하며, "문명화된 사회에서는 세 번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31]
5. 2. 기타 비판
로버트 핑크는 미니멀 음악에 대한 비판적인 반응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미니멀 음악은 미국 관객들이 원시적이고 무교양하다는 청각적 신호(피에르 불레즈)로, 혹은 젊은이들이 마약에 취하고 싶어하는 현상(도널드 헤너핸, 해롤드 쇼넨버그)으로 이해될 수 있다.[30] 또한 전통적인 서구 문화적 가치가 1960년대 자유주의적 여파 속에서 침식된 결과(새뮤얼 립먼)로, 반복은 히틀러의 연설, 광고와 같은 선전과 같다는 비판(엘리엇 카터)도 있었다.[30][31] 심지어 현대 자본주의의 상품-페티시즘이 미니멀리즘 나르시시즘 속에 자율적인 자아를 가두었다는 주장(크리스토퍼 라쉬)도 제기되었다.[30]엘리엇 카터는 미니멀리즘을 파시즘에 비유하며 "히틀러의 연설과 광고에서도 끊임없는 반복을 듣는다. 그것은 위험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1] 2001년에는 "매일 받는 모든 정크 메일은 반복되고, 텔레비전을 보면 같은 광고가 나오고, 영화를 보려고 하지만 5분마다 고양이 사료 광고가 나온다. 그것이 미니멀리즘이다."라고 답했다.[32] 핑크는 카터가 에드가르 바레즈와 찰스 아이브스의 음악에서 반복 사용을 비판하며, "문명화된 사회에서는 세 번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 것을 들어, 반복을 무시하는 음악적 속물근성을 보인다고 지적했다.[31]
이언 매코널드는 미니멀리즘을 "기계 시대의 열정적이지 않고, 성적으로 무감각하며, 감정적으로 공허한 사운드트랙"이라고 주장했다.
스티브 라이히는 이러한 비판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작곡 활동은 전후 미국 소비 사회의 대중 문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엘리트 유럽식 렬주파 음악"이 자신의 문화적 경험을 대표하지 못했으며, "1948년이나 1958년 또는 1968년의 어떤 미국인에게 – 긴 뒷날개, 척 베리와 수백만 개의 버거 판매의 실제 상황에서 – 우리가 실제로 빈의 어두운 갈색 불안을 가질 것이라고 가장하는 것은 거짓말이며, 음악적 거짓말이다."라고 말했다.
미니멀리스트 작곡가인 카일 갠은 미니멀리즘이 이전 스타일의 발전이 극단적이고 극복할 수 없는 복잡성에 이른 후에 예측 가능한 단순성으로의 회귀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33] 르네상스 다성 음악에 이은 바로크 콘티누오 스타일,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바로크 대위법에 이은 초기 고전 교향곡이 유사한 예시이다. 또한 비평가들이 초기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을 과장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마이클 나이만은 스티브 라이히의 초기 음악의 매력은 실제로 연주되지 않고 위상 이동 과정의 미묘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각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34]
갠의 추가 분석에 따르면, 1980년대 미니멀리즘은 포스트미니멀리즘과 전체주의와 같은 덜 엄격하고 더 복잡한 스타일로 발전했다.
5. 3. 옹호론
로버트 핑크는 미니멀 음악에 대한 비평적 반응들을 제시하였다.[30] 미니멀 음악은 미국 관객들이 원시적이고 무교양하다는 청각적 신호(피에르 불레즈)[30], 마약에 취한 결과물(도널드 헤너핸, 해롤드 쇼넨버그)[30], 1960년대 자유주의적 여파 속 전통적 서구 문화적 가치의 침식(새뮤얼 립먼)[30], 히틀러의 연설 및 광고와 같은 선전과 동일시 (엘리엇 카터)[30], 현대 자본주의의 상품-페티시즘 속에 자율적인 자아를 가둔 현상(크리스토퍼 라쉬)[30] 등으로 비판받았다.엘리엇 카터는 미니멀리즘을 파시즘에 비유하며 "히틀러의 연설과 광고에서도 끊임없는 반복을 듣는다. 그것은 위험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했다.[31] 또한 반복을 일반적으로 무시하는 음악적 속물근성을 드러내며, 에드가르 바레즈와 찰스 아이브스의 음악에서 반복의 사용을 비판했다.[31]
이언 매코널드는 미니멀리즘을 "기계 시대의 열정적이지 않고, 성적으로 무감각하며, 감정적으로 공허한 사운드트랙"이라고 주장했다.}}
스티브 라이히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자신의 작곡 활동은 전후 미국 소비 사회의 대중 문화를 반영한 것이며, 엘리트 유럽식 렬주파 음악은 그의 문화적 경험을 대표하지 못한다고 반박했다.[30]
카일 갠은 미니멀리즘이 이전 스타일의 발전이 극단적이고 극복할 수 없는 복잡성에 이른 후에 예측 가능한 단순성으로의 회귀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33] 르네상스 다성 음악에 이은 바로크 콘티누오 스타일,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바로크 대위법에 이은 초기 고전 교향곡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또한 비평가들은 초기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을 과장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마이클 나이만은 스티브 라이히의 초기 음악의 매력은 실제로 연주되지 않고 위상 이동 과정의 미묘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각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34]
6. 대중음악과의 영향 관계
미니멀 음악은 대중음악 발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36] 실험적 록 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미니멀 음악이 출현한 뉴욕 다운타운 신과 연관이 있었으며, 존 케일과 라 몬테 영의 긴밀한 협력 관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후자는 케일의 밴드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35] 테리 라일리의 앨범 ''커브드 에어의 무지개''(1969)는 사이키델리아와 히피 문화 시대에 발매되었으며, 록과 재즈 팬들에게 어필하여 크로스오버 성공을 거둔 최초의 미니멀리즘 작품이 되었다.[36] 음악 이론가 다니엘 해리슨은 비치 보이스의 ''스마일리 스마일''(1967)을 "프로토 미니멀 록"의 실험적인 작품이라고 명명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 앨범은] 거의 서양 고전 음악 전통의 예술 음악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록의 음악 언어에 대한 혁신은 무조성 및 기타 비전통적인 기법을 고전 음악 전통에 도입한 것과 비교될 수 있다." 크라우트록, 1980년대부터의 스페이스 록, 노이즈 록, 포스트 록과 같은 특정 실험적 록 장르의 발전은 미니멀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37][38][39][40]
필립 셔번은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미니멀한 형태와 미국 미니멀 음악 사이의 유사성은 우연일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했다. 댄스 음악에 사용되는 많은 음악 기술은 전통적으로 루프 기반 작곡 방식에 맞게 설계되었는데, 이것이 미니멀 테크노와 같은 스타일의 특정 스타일리시한 특징이 미니멀 예술 음악과 유사하게 들리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미국 미니멀 전통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던 그룹 중 하나는 영국의 앰비언트 뮤지션 더 오브이다. 그들의 1990년 작품 "리틀 플러피 클라우즈"는 스티브 라이히의 작품 ''일렉트릭 카운터포인트''(1987)의 샘플을 사용한다.[41]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에 대한 스티브 라이히의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언급은 1999년 라이히 리믹스드[42] 트리뷰트 앨범 발매와 함께 이루어졌는데, 이 앨범에는 DJ 스푸키, 만트로닉, 켄 이시이, 콜드컷 등의 아티스트들이 재해석한 작품이 수록되었다.[41]
6. 1. 록 음악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미니멀 음악이 출현한 뉴욕 다운타운 신과 연관이 있었으며, 존 케일과 라 몬테 영의 긴밀한 협력 관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후자는 케일의 밴드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35] 테리 라일리의 앨범 ''커브드 에어의 무지개''(1969)는 사이키델리아와 히피 문화 시대에 발매되었으며, 록과 재즈 팬들에게 어필하여 크로스오버 성공을 거둔 최초의 미니멀리즘 작품이 되었다.[36] 음악 이론가 다니엘 해리슨은 비치 보이스의 ''스마일리 스마일''(1967)을 "프로토 미니멀 록"의 실험적인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크라우트록, 1980년대부터의 스페이스 록, 노이즈 록, 포스트 록과 같은 특정 실험적 록 장르의 발전은 미니멀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37][38][39][40]6. 2. 전자 음악
미니멀 음악은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에 영향을 주었다.[41] 댄스 음악에 사용되는 많은 음악 기술은 루프 기반 작곡 방식에 맞게 설계되었는데, 이것이 미니멀 테크노와 같은 스타일의 특정 스타일리시한 특징이 미니멀 예술 음악과 유사하게 들리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41]영국의 앰비언트 뮤지션 더 오브는 미니멀 음악, 특히 스티브 라이히의 영향을 받은 그룹 중 하나이다. 더 오브의 1990년 작품 "리틀 플러피 클라우즈"는 스티브 라이히의 ''일렉트릭 카운터포인트''(1987)의 샘플을 사용한다.[41] 1999년에는 DJ 스푸키, 만트로닉, 켄 이시이, 콜드컷 등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라이히 리믹스드[42] 트리뷰트 앨범이 발매되면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에 대한 스티브 라이히의 영향이 다시 한번 주목받았다.[41]
6. 3. 한국 대중음악
한국 대중음악은 미니멀 음악으로부터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36] 특히 실험적 록 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는 미니멀 음악이 탄생한 뉴욕 다운타운 씬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존 케일과 라 몬테 영의 협업은 밴드의 음악적 방향에 큰 영향을 미쳤다.[35] 크라우트록, 스페이스 록, 노이즈 록, 포스트 록 등 1980년대 이후 등장한 여러 실험적인 록 장르들 또한 미니멀 음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받는다.[37][38][39][40]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미니멀한 형태는 미국 미니멀 음악과 유사성을 보이지만, 이는 우연의 결과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댄스 음악에 사용되는 많은 기술들은 전통적으로 루프 기반 작곡 방식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미니멀 테크노와 같은 스타일에서 미니멀 음악과 유사한 특징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한편, 영국의 앰비언트 그룹 더 오브는 스티브 라이히의 ''일렉트릭 카운터포인트''(1987)를 샘플링한 "리틀 플러피 클라우즈"(1990)를 발표하여 미니멀 음악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41] DJ 스푸키, 만트로닉, 켄 이시이, 콜드컷 등이 참여한 라이히 리믹스드(1999) 트리뷰트 앨범은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에 대한 스티브 라이히의 영향을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이다.[42][41]
7. 포스트미니멀리즘
참조
[1]
서적
Thankless Attempts at a Definition of Minimalism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
서적
[3]
웹사이트
A minimal guide to minimalism
https://www.bbc.co.u[...]
2016-09-01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Notes on The Theatre of Eternal Music and ''The Tortoise, His Dreams and Journeys''
http://www.melafound[...]
2000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뉴스
Gavin Bryars proves less is the new mor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3-01-24
[18]
서적
Visions of Jazz: The First Centu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
뉴스
Minimalist Composer Julius Eastman, Dead for 26 Years, Crashes the Can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10-28
[20]
서적
[21]
서적
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2]
서적
[23]
학술지
Terry Riley's In C (Review)
2011
[24]
웹사이트
Minimalism
http://public.wsu.ed[...]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웹사이트
John Cale
https://www.allmusic[...]
[36]
웹사이트
Classical Connections Minimalism meets Pop
http://www.sinfinimu[...]
Sinfini Music
2012-08-23
[37]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German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Press
2013
[38]
AllMusic
Space rock
[39]
서적
New York Rock: From the Rise of The Velvet Underground to the Fall of CBGB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40]
AllMusic
Post-Rock
[41]
문서
Emmerson 2007, 68.
[42]
웹사이트
Reich Remixed: album track listing at www.discogs.com
http://www.discogs.c[...]
2012-11-11
[43]
서적
Thankless Attempts at a Definition of Minimalism
https://books.google[...]
Cox & Warner
2004
[44]
웹사이트
https://global.oup.c[...]
[45]
서적
現代音楽を読み解く88のキーワード 12音技法からミクスト作品まで
音楽之友社
2008
[46]
서적
ミニマル・ミュージック その展開と思考
青土社
2008
[47]
서적
Experimental Music Cage and Beyond: Second edition
[48]
웹사이트
http://www.cambridge[...]
[49]
웹사이트
https://archive.is/A[...]
[50]
웹사이트
https://omisnuffs.fi[...]
[51]
문서
장기간 서독에 거주했으나 현재는 귀국했다.
[52]
문서
자녀 Tashi Wada와 함께 2대에 걸쳐 미니멀리즘을 하는 드문 사례이기도 하다.
[53]
문서
포스트 미니멀리즘이라는 표현은 논의가 어려운 일파에 대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54]
서적
아메리칸 최소한의 뮤직
동수사
1985
[55]
서적
최소 음악 그 전개와 사고
오즈치사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