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겐부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겐부르크는 이동식 요새의 일종으로, 마차를 활용하여 방어 진지를 구축하는 전술을 의미한다. 기원전 119년 한-흉노 전쟁에서 "무강거"라는 장갑 중장비가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15세기 후스 전쟁 시기 후스파가 바겐부르크 전술을 개발하여 널리 사용했다. 바겐부르크는 마차를 사각형으로 연결하여 방어력을 높이고, 석궁, 핸드 캐논 등의 무기를 활용한 전투를 수행했다. 이후 덴마크 농민 반란, 러시아 차르국 등에서도 유사한 전술이 사용되었으며, 라거, 타보르, 굴라이-고로드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형 - 인해전술
    인해전술은 수적 우위를 이용하여 적 방어선을 붕괴시키기 위해 밀집한 보병 대형이 정면 공격하는 전술로, 한국 전쟁, 러일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다양한 전쟁에서 활용되었으며, 현대전에서는 막대한 희생을 초래할 수 있어 위험성이 높지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진형 - 테스투도 대형
    테스투도 대형은 고대 군사 전술로서 병사들이 방패로 대형의 전면과 상단을 덮어 적의 투사 무기로부터 보호하는 방어 대형이지만, 속도와 기동성 감소, 백병전 취약성, 강력한 무기에 대한 무력함 등의 단점도 있다.
  • 유형별 방어시설 - 성채
    성채는 감시, 피난, 요새 등의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며 군사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공간으로 기능해 온 건축물이다.
  • 유형별 방어시설 - 해자
    해자는 성이나 요새와 같은 방어 시설의 바깥쪽에 굴착된 도랑 형태의 장애물로, 공성 무기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굴착을 방해하며 필요에 따라 물을 채워 사용하기도 한다.
바겐부르크
개요
유형군사 전술
용도방어
명칭
한국어거마진
영어Wagon fort
독일어Wagenburg
체코어vozová hradba
역사 및 전술
설명거마진(Wagenburg)은 군사 방어 대형의 일종이다.
차량, 주로 마차를 사용하여 형성된 요새화된 진지이다.
특징방어 전술로 사용됨.
십자군 전쟁, 후스 전쟁, 보어 전쟁 등에서 활용됨.
유사 전술라아거(laager):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사용된 유사한 전술.
굴랴이-고로드(Guliai-gorod): 16~17세기 모스크바 대공국과 동유럽에서 사용된 전술.
구성마차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치.
마차 사이 간격을 좁혀 방어선 형성.
píšťala(피슈찰라)와 같은 화기를 장착하여 방어력 강화.

2. 역사

헝가리인들이 유럽에 대한 헝가리의 침략 동안 바겐부르크를 사용했고[7],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코사크 군대는 ''tabors''를,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착민들은 ''laager''를 사용했다.

미국에서는 ''corrals''라고 불리는 임시변통 방어 대형이 사용되었다.[8][9][10][11] 이것들은 19세기 아메리카 대륙의 유럽 식민화 시기에 코네스토가 마차 호송대에 속해 서부로 이동하는 미국 정착민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다.[12][13]

2. 1. 초기 기록

원형으로 배치된 마차


4세기 로마 제국의 군 장교이자 역사가인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로마 군대가 고트족의 진영에 접근하면서 "ad carraginem"으로 진격하는 모습을 묘사했다.[5] 역사가들은 이를 마차 요새로 해석한다.[6]

가장 오래된 기록은 한서에 기재된 기원전 119년 한-흉노 전쟁의 모북 전투이다.[23] 한나라 장군 위청은 군대를 이끌고 고비 사막을 건너는 원정을 펼쳤는데, 이치사의 흉노 주력이 그들을 포위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었다. "무강거"(武剛車|무강거중국어)라고 알려진 장갑 중장비를 고리 형태로 사용하여 중국의 궁수, 쇠뇌 사수, 보병에게 흉노의 강력한 기병 돌격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했으며, 한나라 군대가 원거리 무기의 정밀성이라는 이점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위청은 흉노의 초기 기병 돌격을 무력화하여 교착 상태를 유발하고, 군대가 힘을 회복할 시간을 벌었으며, 모래 폭풍을 틈타 반격을 시작하여 유목민을 압도했다.[14]

기원전 1세기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도 마차에 의한 진지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4세기의 로마군 장교이자 역사가인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로마군의 진지 "AD carraginem"이 고트족 야영과 같은 형식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24] 역사가들은 이것을 Wagon Fort(마차 요새)로 해석한다.[25]

그 외, 칼카 강 전투 등, 많은 전투에서 마차에 의한 방어 진지를 구축 운용하는 전술이 보인다.

2. 2. 후스 전쟁과 바겐부르크

"게르만족의 여성들이 마차 요새를 방어하다" (1882) by 하인리히 로이테만.


15세기 후스 전쟁 동안 후스파는 이동식 요새인 ''vozová hradba''(체코어) 또는 ''Wagenburg''(독일어)라고 불리는 타보르의 전술을 개발했다. 이 전술은 네크미르 전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5] 후스파 군대는 수적으로 우세한 적과 맞서 싸울 때, 무장한 마차로 사각형을 만들고 쇠사슬로 연결하여 요새를 구축했다. 이러한 야영지는 설치가 쉬웠고 적의 기병대에게는 사실상 무적이었다. ''tabor''라는 단어는 후스파 요새이자 현대 체코의 도시 타보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성경의 예스라엘 산 타보르(히브리어 תבור)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각 마차에는 18~21명의 병사가 배치되었다. 마차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병종인원
석궁병4~8명
권총병2명
창 또는 도리깨를 든 병사6~8명
방패병2명
운전병2명



마차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을 이루었고, 그 안에는 보통 기병대가 위치했다. 마차 요새를 활용한 전투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었다. 첫 번째는 방어 단계로, 포병의 집중 공격으로 시작되었다. 후스파의 포병은 체코어로 ''houfnice''라 불리는 곡사포의 초기 형태로, 영어 단어 howitzer의 어원이 되었다. 또한, 그들은 총을 ''píšťala''(핸드 캐논)라고 불렀는데, 이는 파이프나 피리와 비슷하게 생겨서 권총이라는 단어가 유래했을 수 있다. 적이 충분히 가까워지면 석궁병과 핸드 캐논 사수들이 마차에서 나와 근거리에서 더 큰 피해를 입혔다. 병사들이 탄약을 다 쓰면 던질 수 있도록 마차 안에 돌멩이를 담은 주머니를 보관하기도 했다. 이 포격 이후 적의 사기는 저하되었다. 반후스파 십자군은 주로 중무장한 기사로 구성되었는데, 후스파의 전술은 기사의 말을 무력화시켜 낙마한 기사를 더 쉬운 표적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지휘관이 적절하다고 판단하면 두 번째 단계인 반격이 시작되었다. , 도리깨, 장병기를 든 병사들이 튀어나와 지친 적을 공격했고, 기병대도 사각형을 벗어나 공격에 가담했다. 적은 전멸하거나 거의 전멸했다.

마차 요새는 이후 타호프 전투(1427)에서 십자군 반후스파 군대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전술에 익숙하지 않았던 반후스파 독일군은 패배했다. 후스파 마차 요새 전술은 리파니 전투(1434)에서 실패했는데, 이 때 우트라키스트 후스파 분파가 타보르파 분파를 격파하면서 마차 요새가 체코 역사에 미치는 영향은 끝났다. 타호프 전투에서 마차 요새에 대한 첫 승리는 요새가 처음부터 세워지는 것을 막거나, 함정에 빠뜨려 병사들이 조기에 돌격하게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후스 전쟁 이후, 헝가리와 폴란드와 같이 후스파의 파괴적인 세력과 맞닥뜨린 외국 세력은 수천 명의 체코 용병을 고용했다(예: 헝가리의 흑군).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600명의 보헤미아 핸드 캐논 사수(초기 어깨 무기를 장비한 병사)가 마차 요새를 방어했다고 전해진다. 독일인도 요새화에 마차를 사용했는데, 그들은 후스파보다 훨씬 저렴한 재료를 사용했으며, 보병과 포병에 다른 마차를 사용했다. 러시아도 16세기에 ''굴라이-고로드''라고 불리는 일종의 이동식 요새를 사용했다.[15]

1441년 덴마크 농민 반란은 성 요르겐스베르크 전투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이때도 마차 요새가 사용되었다. 덴마크 농민의 지도자는 헨리크 레벤틀로였는데, 그는 후스 전쟁에 참여했고 알베르트 2세가 후스파 전쟁을 벌이는 것을 통해 마차 요새에 대해 알게 되었다. 요새는 처음에는 후스비를 방어했지만, 헨리크의 군대는 그의 군대 대부분이 떠난 후 패배했다. 농민군의 사상자는 6,000~25,000명으로 추정된다. 헨리크는 얼마 지나지 않아 크리스토퍼에 의해 처형되었다. [16]

이 전술의 또 다른 예는 웰링턴이 워털루 전투에서 배치한 매우 유사한 보병 사각형이다. 마찬가지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라거도 있다. 마차 요새는 서로를 지원하며 사각형을 형성했다. 두 요새 사이에서 공격이 가해지면, 양쪽의 저격수들이 쉽게 이점을 이용하여 적을 많이 죽일 수 있었다.

3. 다양한 형태

대이동의 낭만적인 묘사


로마니족 야영지의 유화 엽서


4세기 로마 제국의 군 장교이자 역사가인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로마 군대가 고트족의 진영에 접근하면서 "ad carraginem"으로 진격하는 모습을 묘사했다.[5] 역사가들은 이를 마차 요새로 해석한다.[6]

주목할 만한 역사적 사례로는 헝가리인들이 유럽에 대한 헝가리의 침략 동안 사용한 경우[7], 후스파들이 "마차 벽"을 의미하는 ''vozová hradba''로 불렀고 독일어 번역인 ''Wagenburg''("마차 요새/요새")로 알려진 경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코사크 군대의 ''tabors'', 그리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착민들의 ''laager''가 있다.

미국에서 사용된 ''임시변통'' 방어 대형은 ''corrals''라고 불렸다.[8][9][10][11] 이것들은 전통적으로 19세기 아메리카 대륙의 유럽 식민화 시기에 코네스토가 마차의 호송대에 속해 서부로 이동하는 미국 정착민들에 의해 사용되었다.[12][13]

3. 1. 라거 (Laager)



"라거(laager)"라는 영어 단어는 구식 아프리칸스어 단어 "lager"(현재는 "laer")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독일어 단어 "Lager"("캠프" 또는 "은신처")[3][2]와 네덜란드어 "leger"에서 유래되었다. 영어의 "leaguer"("군사 캠프")도 여기서 나왔다.[17] 이 단어는 위험한 상황에서 여행자들이 마차를 원형으로 배치하고 을 안에 두어 약탈자나 야행성 동물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했던 고대 방어 대형을 의미한다.

라거는 1830년대 대이동 동안 보어인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1838년 12월 16일, 약 10,000~15,000명의 줄루족 임피 군대가 약 460명의 보어인들에게 포위되어 패배한 피의 강 전투에서 궁극적인 시험을 거쳤다. 19세기 미국에서는 개척자들이 공격에 대비하여 "마차를 원으로" 만드는 같은 접근 방식이 사용되었다.[18][19]

"Leaguer"는 영국 육군에서 장갑 부대가 만든 임시 야간 캠프에 사용되었다.[20] 어원은 남아프리카의 라아거(laager), 라거(lager), 리거(leaguer), 라에르(laer, 독일어로 군대를 의미하는 leger에서 유래된 아프리칸스어)이며, 원래 그들은 침략자나 야행성 동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짐마차로 원형 진지를 만들어 안쪽으로 소나 말을 들여 보호했다. 19세기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로 마차로 원형 진지를 만들어 개척자를 습격으로부터 보호했다.[26][27]

3. 2. 타보르 (Tabor)

"타보르"는 말마차이 끄는 호송대 또는 야영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목 생활을 하는 로마니는 타보르 형태로 이동하며 야영하는 습관이 있었다.[21] 타보르는 13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유럽 군대를 지원했다. 타보르는 대개 군대를 따라다니며 야전 부엌, 갑옷 제작자 또는 구두 수선공과 같은 모든 필수 물품과 후방 부대를 운송했다.[22]

이 전술은 이후 중앙 유럽의 다양한 군대, 특히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군대에 의해 모방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이러한 전술이 코사크에게도 숙달되어 행군하는 병력을 보호하기 위한 타보르를 사용하기도 했다.

바겐부르크의 어원은 후스 전쟁의 군사 거점인 타보르(Tábor) 또는 후스 전쟁의 타보르파에서 유래되었다. 호송대나 캠프에 사용되는 마차이다. 집시 등의 이동 민족에게서 볼 수 있다. 13세기부터 20세기까지 유럽의 군대 지원에 사용되었으며, 야외 취사 도구·무기 장인·구두 수선공 등 후방 지원 인력과 모든 필요한 물자를 싣고 이동했다.

3. 3. 차영 (車營)

명나라의 명장 척계광손승종이 몽골 기병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하고 실행하였다. 화기를 탑재한 차량(우마차)과 거마기(바리케이드)로 원진 또는 지형에 맞춘 방진을 구성했으며, 중심에는 조총 등의 소형 화기병과 창병을 배치했다고 한다.

4. 마차가 아닌 유사 방어 시설

로마 시대의 공성 병기


굴랴이-고로트 재현


열공이 고안한 안신차 견인도(복제본, 홍도관 소장)


마차와 유사한 방어 시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테스투도 (로마군의 갤러리)
  • 굴랴이-고로트
  • 목만
  • 차 방패
  • 귀갑차
  • 안신차
  • 분온차

4. 1. 테스투도 (Testudo)

로마군의 갤러리라고 불리는 덮개로 장갑화된 공성퇴나 발리스타를 말한다. 베게티우스에 따르면, 공성퇴의 램이 육지거북(testudo)의 목을 집어넣는 동작과 비슷하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시라쿠사 포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목재와 두꺼운 판자뿐이었지만, 나중에는 전체를 생가죽으로 덮어 내화성을 얻었다.

4. 2. 굴라이-고로드 (Гуля́й-го́род)

굴랴이-고로트(Гуля́й-го́род|굴랴이 고로드ru)는 "방랑하는 도시"라는 뜻으로, 이동식 방패이다. 바퀴뿐만 아니라 썰매로도 이동했다.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러시아군이 진지 구축에 사용했다.[1]

4. 3. 목만 (木慢)

중국일본의 전국 시대에 사용된 수레와 방패를 조합한 공성 병기이다.[30]

4. 4. 차 방패 (車盾)

차 방패는 일본에서 사용된 조총 등을 능가하는 대차 부착 방패이다.[31][32][33] 로마 시대에는 비네아(vineae), 영어로는 만틀렛(Mantlet])이라고 불린다.

4. 5. 귀갑차 (龜甲車)

임진왜란에서 중국의 병법서를 바탕으로 가토 기요마사 등에 의해 제작되었다.[34][35]

4. 6. 안신차 (安神車)

미토번 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제작을 지시한 장갑 우차와 같은 것이다. 갑옷을 입힌 소가 끄는 대차에 철판으로 만든 차 상자를 얹은 것으로, 안에 병사가 들어가 사방에 설치된 총안에서 사격할 수 있도록 했다.[36]

4. 7. 분온차 (轒辒车)

기원전 6세기 손무는 소가죽으로 덮고 안에 10명 정도가 들어가 움직이는 4륜 나무 차인 분온차를 설명했다.[37] 분온차는 일본에도 전해져 훈온차(フンオン車일본어)라고 불리며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laager https://www.collinsd[...]
[3] 웹사이트 laager https://www.merriam-[...]
[4] 서적 Warfare in Eastern Europe, 1500-1800 Brill 2012-01-01
[5] 문서 Ammianus Marcellinus, book 31, chapter 7, in the Latin.
[6]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A.D. 354-378)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Limited
[7] 웹사이트 Magyar katolikus Lexikon https://lexikon.kato[...]
[8] 사전 Corral
[9] 서적 The Wagon Box Fight: An Episode of Red Cloud's War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10] 서적 Covered Wagon Days: A Journey Across the Plains in the Sixties and Pioneer Days in the Northwest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11] 서적 Where a Hundred Soldiers Were Killed: The Struggle for the Powder River Country in 1866 and the Making of the Fetterman Myth https://books.google[...] UNM Press
[12] 서적 The Wild Huntress; Or, Love in the Wilderness https://books.google[...] Carleton
[13] 서적 Improvement Era https://books.google[...] General Board, Y.M.M.I.A.
[14] 서적 The Book of Han
[15] 서적 Random House The Hussite Wars (1419–36) Osprey Publishing 2004-05-25
[16] 서적 Slaget på Sct. Jørgensbjerg 2016
[17] 간행물 laager, n.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9-20
[18] 웹사이트 5 Ridiculous Myths Everyone Believes About the Wild West http://www.cracked.c[...] Cracked 2014-08-18
[19] 서적 Circle the Wagons!: Attacks on Wagon Trains in History and Hollywood Film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8-11-24
[20] 간행물 TM 30-410 Handbook on the British army : with supplements on the Royal Air Force and civilian defense organizations 1942-09-30
[21] 웹사이트 Polish Romani (gypsy) surnames https://polishforums[...]
[22] 웹사이트 Building A Gypsy Wagon https://www.handiman[...] 2018-12-04
[23] 문서 漢書評林. 巻之55,56 班固 https://dl.ndl.go.jp[...]
[24] 문서 Ammianus Marcellinus, book 31, chapter 7, in the Latin.
[25]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Penguin Classics
[26] 웹사이트 5 Ridiculous Myths Everyone Believes About the Wild West http://www.cracked.c[...] Cracked 2014-08-18
[27] 웹사이트 Circle the Wagons!: Attacks on Wagon Trains in History and Hollywood Films https://books.google[...]
[28] 웹사이트 ローマ軍の攻城兵器(英語) http://www.tribunesa[...]
[29] 문서 Gilliver 1999: pp. 134-135
[30] 웹사이트 木慢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軍法極秘伝書. 1-7竹中半兵衛 36p 早稲田大学公開 https://www.wul.wase[...]
[32] 웹사이트 〔第8〕 異国叢書.シ-ボルト日本交通貿易史(シ-ボルト著 呉秀三訳註)252-254p 国立国会図書館公開 https://dl.ndl.go.jp[...]
[33] 문서 上泉信綱伝の『訓閲集』巻9「軍器」内の「車楯の図」及び「竹楯の作法」において、絵図と共に説明が記されている。『上泉信綱伝新陰流軍学「訓閲集」』(スキージャーナル株式会社、2008年)pp.254-255.また巻5「攻城・守城」でも車竹束の説明(6、7人で押し、そのまま竹束を立てる)が見られる(前同p.166)。
[34] 문서 頼山陽著 日本外史
[35] 웹사이트 日本外史全巻(「僕の雑記帖」より) http://8.health-life[...]
[36] 간행물 広報みと 2011-09-01
[37] Wikisource 十一家注孫子/謀攻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