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초 정책연구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초 정책연구소는 일본 자유민주당 내 파벌 중 하나로, 입헌민주당과 국민협동당의 흐름을 잇는 개진당을 기원으로 한다. 1955년 자민당 창당 이후 요시다 시게루의 보수 본류에 맞서 하토야마 이치로를 지지하는 보수 방류 세력의 일부였다. 마쓰무라 겐조와 미키 다케오가 정책연구회를 결성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미키는 록히드 사건으로 총재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고모토 도시오, 고무라 마사히코, 오시마 다다모리를 거쳐 산토 아키코가 파벌을 이끌었으며, 2017년 위공회와 통합하여 지공회로 재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민주당의 사라진 파벌 - 신재정연구회
신재정연구회는 일본 자유민주당 내 파벌로, 1957년 이케다 하야토에 의해 굉지회로 창립되어 여러 총리를 배출하며 자민당 내 주요 파벌로 성장하다가 분열과 재통합을 거쳐 2012년 재분열되었다. - 자유민주당의 사라진 파벌 - 창정회
다케시타 노보루가 주도한 창정회는 다나카 가쿠에이 파벌 내 정책 연구 모임으로, 다케시타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으나 다나카의 반발로 해산 후 경세회로 이어졌으며 일본 정치 파벌 형성과 권력 투쟁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 미키 다케오 - 가이후 도시키
가이후 도시키는 1960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어 48년간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자유민주당 총재를 거쳐 제76대, 77대 총리를 역임했고, 2022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 미키 다케오 - 록히드 사건
록히드 사건은 1970년대 록히드사가 항공기 판매를 위해 세계 각국 정치인과 군 관계자에게 거액의 뇌물을 제공한 사건으로, 미국 해외 부패 방지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으며, 서독,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등 각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반초 정책연구소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반초 정책연구소 |
로마자 표기 | Banchō Seisaku Kenkyūjo |
주요 인물 | 해체, 현재는 아소 다로 파벌의 일부 |
창립자 | 미키 다케오, 마쓰무라 겐조 |
설립 | 1956년 |
해산 | 2017년 |
이전 정당 | 개진당 |
계승 정당 | 지공회 |
정치적 성향 | 중도주의에서 중도우파 |
종류 | 자유민주당 파벌 |
조직 정보 | |
종류 | 자유민주당의 파벌 |
본부 | 나가타초 호소 빌딩 |
위치 | 일본도쿄도미나토구아카사카 |
사무총장 | (알 수 없음) |
회장 | 산토 아키코 |
설립자 | 마쓰무라 겐조, 미키 다케오 |
이전 이름 | 정책연구회, 신정책연구회 |
재정 정보 | |
예산 | 126,395,480엔 |
2. 역사
반초 정책연구소는 일본 제국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인 입헌민정당과 전후 일본에서 중도 정당을 표방했던 국민협동당의 흐름을 이은 개진당을 기원으로 한다.[1] 1953년 9월 하토야마 이치로를 중심으로 요시다 시게루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었고, 11월 24일 일본민주당이 창당되었다.[1] 1955년 자유당과의 보수합당을 통해 자민당이 창당되면서, 미키 다케오 등 개진당 출신들은 요시다 시게루의 파벌을 잇는 보수본류와는 다른 보수방류를 구성했다.[1]
2. 1. 결성 (1953년 ~ 1955년)
일본 제국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인 입헌민정당과 전후 일본에서 중도 정당을 표방했던 국민협동당의 흐름을 이은 개진당을 기원으로 한다. 1953년 9월 하토야마 이치로를 중심으로 요시다 시게루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었고, 11월 24일 일본민주당이 창당되었다.[1] 1955년 자유당과의 보수합당을 통해 자민당이 창당되었다. 미키 다케오 등 개진당 출신들은 요시다에 대한 반감이 강했기에 요시다의 파벌을 잇는 보수본류와는 다른 보수방류를 구성했다.[1]

2. 2. 미키·마쓰무라파와 미키파 (1955년 ~ 1980년)
마쓰무라 겐조와 미키 다케오는 공동 대표 형태로 정책연구회를 결성하여, 옛 개진당 출신 중도파 의원들을 포섭해 세력을 확장했다. 1959년 총재 선거에서 마쓰무라가 기시 노부스케에게 대항했지만 패배했다.[1]1964년 총재 선거에서 이케다 하야토가 3선에 성공했지만 건강 문제로 퇴진하면서, 후임 문제로 마쓰무라와 미키가 대립했다. 마쓰무라는 고노 이치로를 지지했지만, 간사장이던 미키는 사토 에이사쿠를 지지했다. 이 갈등으로 마쓰무라와 지지자들이 파벌을 이탈했고, 미키는 단독 대표가 되어 이때부터 미키파로 불리게 되었다. 1971년에는 이시다 히로히데가 이끄는 이일회와 통합하여 세력을 넓혔다.[1]
미키는 1972년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다나카 가쿠에이와 후쿠다 다케오 사이의 각복전쟁에서 최하위에 머물렀다. 하지만 결선투표에서 미키가 지지한 다나카가 승리하여 미키파는 주류파가 되었다. 다나카 내각 때 중일국교정상화에 협력했다.
1974년 참의원 의원 선거 때 미키의 측근 대신 다나카가 지지하는 후보가 공천을 받으면서 갈등이 생겼다. 미키는 자유민주당 부총재직에서 사임하고 후쿠다와 가까워졌다. 그해 다나카가 총리대신직에서 물러나자, 시나 에쓰사부로는 시나 재정을 통해 미키를 총재로 옹립했다.[2]
록히드 사건으로 다나카가 체포되자, 미키와 법무대신 이나바 오사무가 적극적으로 움직인 것이 드러나 당내 반발을 샀다. 미키 끌어내리기가 시도되었고, 미키는 중의원 해산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76년 총선에서 자민당은 의석수가 줄었고, 미키는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다이후쿠 밀약으로 후쿠다가 총리대신이 되었고, 미키파는 비주류파가 되었다.[3][4]
1978년 총재 선거에서 미키 대신 고모토 도시오가 출마했지만, 다나카파의 지지로 오히라 마사요시가 당선되어 미키파는 비주류파가 되었다.
1979년 총선에서 의석수가 줄자 후쿠다파와 미키파는 오히라에게 퇴진을 요구했다. 하지만 오히라는 받아들이지 않았고,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에서 오히라와 후쿠다가 맞붙는 40일 항쟁이 벌어졌다. 미키파는 후쿠다를 지지했지만, 일부는 우익 성향인 후쿠다 대신 오히라를 지지했다.
1980년, 일본사회당이 제출한 내각불신임안 표결 때 후쿠다파, 나카가와 이치로 그룹과 함께 불참하여 불신임안이 통과되었다. 오히라는 중의원을 해산했으나, 총선 직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이에 대한 동정표로 자민당은 압승했다.[6][7]
2. 3. 고모토파 (1980년 ~ 1995년)
1980년 7월 스즈키 젠코가 총리대신에 취임할 무렵 미키는 파벌 회장직을 고모토 도시오에게 넘겨줬다. 이때 미키파는 해산했다가 다시 그들을 결집해 새 파벌을 만드는 형태를 띠었는데 파벌 이름이 신정책연구회로 바뀌었다. 이는 고모토가 미키의 후계자로 여겨지는 것이 고모토가 총리대신이 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미키는 고모토파에 참여하지도 않았다. 미키는 다나카 가쿠에이와 극한 대립을 이어갔지만 고모토는 다나카와의 관계 개선에 집중했다. 고모토는 재계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적극 재정을 주창했기에 미키 시절의 보수방류 색채가 많이 엷어졌다.[7]스즈키가 총재 재선 불출마를 표명한 가운데 진행된 1982년 총재 선거에 고모토가 출마했다. 고모토는 1차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한 뒤 하위권인 다른 후보들의 도움을 받아 결선투표에서 역전하겠다는 전략을 세웠지만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득표하면서 싱겁게 끝나 버렸다.[6] 이후 고모토는 자신이 실질적인 오너로 있는 해운 회사가 도산하자 이를 수습하는 데 진력하여 고령인 점과 겹쳐 두 번 다시 총재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다.
리크루트 사건과 총리대신 우노 소스케의 게이샤 스캔들의 영향으로 1989년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은 과반수를 밑도는 결과를 받아 우노가 책임을 지고 총리대신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진행된 총재 선거에서 헤이세이 연구회·정책과학연구소·세이와 정책연구회의 지지를 받은 가이후 도시키가 굉지회의 지지를 받은 하야시 요시로와 당내 부동표에 의존한 이시하라 신타로를 꺾고 승리했다. 이로써 우노에 이어 두 번 연속 파벌 영수가 아닌 사람이 총재가 되는 이변이 일어났다.[8]
가이후는 1990년 총선에서 승리하고 걸프 전쟁에 적절히 대응하는 등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았지만 정치 개혁을 강하게 밀어붙여 당의 주류파와 대립했다. 1991년에는 정치 개혁에 대해 미야자와 기이치파의 가토 고이치, 아베 신타로파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와타나베 미치오파의 야마자키 다쿠 등의 YKK가 반발하는 등 당내 여론이 양분되었다. 가이후는 중의원 해산도 검토했지만 당내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헤이세이 연구회의 회장 가네마루 신의 반대로 실패했고 결국 가이후는 총재직을 내려놓았다. 후임 총재로 미야자와 기이치가 선출됐다.
1993년 야당이 제출한 내각불신임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자 이데 쇼이치·야나세 스스무가 탈당하여 신당 사키가케 결성에 참여했다. 그 해에 진행된 총선 결과 야당 연립 정권이 출범해 자민당은 창당 이래 처음으로 정권을 잃었다. 하지만 오자와 이치로의 독단에 반발한 사회당과 사키가케와 손을 잡고 자민당은 1994년 6월 다시 정권을 되찾았다. 가이후·노로 아키히코·이마즈 히로시는 자사사 연립 정권에 반대하며 자민당을 탈당해 자유개혁연합 혹은 신진당 결성에 참여했다.[9]
2. 4. 고무라파 (1995년 ~ 2012년)
1995년 5월, 파벌 명칭을 '''반초 정책 연구소'''로 변경했다. "반초"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은 사무국이 기오이 정에 있었기 때문이다.1996년 10월에 고모토 도시오가 정계를 은퇴하고, 이듬해 2월에 파벌 회장을 퇴임하고 명예 회장이 되었다. 이후에는 다니카와 가즈오, 사카모토 미소지 등에 의한 집단 지도 체제를 거쳐 고무라 마사히코가 회장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고모토가 사망한 2001년까지 "구 고모토 파"로 불렸다.
미키 다케오와 가이후 도시키 두 사람이 내각총리대신으로 선출되었지만, 당3역 (간사장, 총무회장, 정조회장)에는 오히라 마사요시 총재 아래에서 고모토 도시오가 정무조사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지명되지 않았고, 국회대책위원장의 자리도 가이후 도시키에서 오시마 다다모리가 취임하기까지 24년 동안 지명되지 않았다. 노다 세이코는 1998년 7월에 당시 최연소인 37세 10개월로 우정상으로 입각했지만, 2003년에 파벌을 탈퇴했다.
2006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는 아베 신조를 지지하여 압승에 기여했다. 아베를 지지하는 "재도전 지원 의원 연맹" 회장으로 중견·젊은 의원들을 규합했던 야마모토 유지가 금융상으로 첫 입각했다. 이듬해 마쓰오카 도시카쓰의 사망으로 아카기 노리히코가 농림수산상으로 첫 입각했지만, 정치 자금 의혹으로 2007년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대패하는 원인이 되어 경질되었다.
2007년 8월, 산토 아키코가 참의원 부의장으로 취임하고 당적과 파벌을 이탈했다. 같은 해 8월 27일 내각 개조에서는 고무라가 방위상으로 입각하고, 오시마 다다모리가 국대위원장으로 집행부에 들어갔다. 개조 직후 아베 정권은 총사직했지만, 후쿠다 야스오 내각에서 고무라가 외무상으로 자리를 옮겼고, 오시마는 국대위원장으로 재임했다. 아소 내각에서는 입각자가 나오지 않았지만, 오시마는 국대위원장을 맡아 자민당 국대위원장 통산 재임 일수 기록을 갱신했다.
2009년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대패하고 야당으로 전락하자, 다니가키 사다카즈 총재 체제하에서 2009년 9월 29일에 오시마가 당 간사장에 취임하여 파벌을 일시적으로 이탈했다. 같은 해 경비 절감을 위해 파벌 사무소를 이전했다.
2010년 1월, 무라카미 세이이치로가 이탈[39]했다. 같은 달, 야마모토 유지가 "노조미"를 결성하고 탈퇴[39]했다. 같은 해 7월, 산토가 참의원 부의장 퇴임에 따라 고무라 파에 복귀했다.
2012년 봄, 아소 다로가 이끄는 위공회(아소 파)와의 합류를 염두에 두고 스터디 그룹을 발족했다.[40] 합류하면 개진당 이래의 특색이 상실되어 역사에 흠집이 생길 우려가 있어, 그러한 우려를 제거한 후에 합류가 신중하게 준비되었다.[41]
같은 해 9월의 총재 선거에서는 위공회와 손을 잡고 아베 신조를 지지했고, 당초 열세로 보였던 아베의 당선에 기여했다.
2. 5. 오시마파 (2012년 ~ 2015년)

2012년 10월, 아베 신조는 고무라 마사히코를 자유민주당 부총재에 임명했다. 당시 부총재였던 오시마 다다모리는 자연스럽게 파벌에 복귀했는데, 당 3역 이상의 당직은 파벌을 이탈한다는 관례에 따라 고무라가 파벌을 이탈하면서 회장직도 내려놓았다. 후임 회장으로는 오시마가 선출되었다.[42]
2015년 3월, 사토 유카리가 파벌을 이탈했다. 사토는 원래 참의원 의원이었는데 이를 사직하고 중의원 총선에 출마해 당선되자 파벌을 이탈한 것이어서 비판을 받았다.[43]
2015년 4월, 오시마가 중의원 의장에 취임하면서 파벌을 이탈했다. 이후 오시마는 2021년 10월까지 의장직을 수행한 뒤 정계를 은퇴했기에 파벌에 복귀하지 않았다.[44]
2. 6. 산토파 (2015년 ~ 2017년)

오시마 다다모리의 후임 회장으로 산토 아키코가 취임했다. 자민당 역사상 파벌 영수로 여성이 취임한 것은 이 때가 처음이며 참의원 의원이 파벌 영수가 된 것은 지수회의 무라카미 마사쿠니 이래 두 번째였다.
2015년 총재 선거 때 아베 신조의 재선을 지지했다. 특히 산토는 출마를 저울질하는 노다 세이코에게 "세간에서 여성의 시대라 하는데 노다 씨가 의욕을 불태우는 건 대단히 믿음직스럽다"라면서도 평화안전법제 심의가 마무리되어가는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당내에서 싸우는 것은 시기가 적절치 못하다고 비판한 뒤 아베의 무투표 재선을 주장했다.[45][46] 아베는 무난히 재선에 성공했고 이후 진행된 개각에서 입각자를 배출하지는 못했지만 고무라 마사히코가 부총재직에 유임될 수 있었다.[47] 2015년 11월 13일 산토가 아소 다로와 만나 합병을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48]
2016년 보컬 그룹 SPEED의 이마이 에리코를 영입해 당선시켰다. 청각장애인 교육복지협의회장이던 산토가 청각장애인 아들을 둔 이마이를 직접 영입했다고 한다.[49]
2017년 5월 15일 위공회와 통합하여 새로운 파벌을 결성하기로 했다. 또한 유린회를 이탈한 중의원 운영위원장 사토 쓰토무가 이끄는 의원 그룹인 천원회 일부가 새 파벌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헤이세이 연구회를 제치고 세이와 정책연구회 다음가는 파벌로 세력을 넓히는 데 성공했다.[50] 7월 3일 정식으로 파벌 통합이 이루어졌는데 파벌 이름은 지공회라 했다.[51] 남은 사무를 모두 처리한 뒤 정치 단체 해산을 총무성에 신청했고 12월 29일 수리됐다.[52]
3. 역대 파벌 대표
직책 | 이름 | 비고 |
---|---|---|
회장 | 산토 아키코 | |
부회장 | 이토 신타로 | |
사무총장 | 에토 아키노리 |
4. 구성원
구분 | 의원명 | 선거구 | 비고 |
---|---|---|---|
중의원 (8명) | 다카무라 마사히코 (12회) | 야마구치 1구 | |
오시마 리모리 (11회) | 아오모리 3구 | ||
에도 사토노리 (6회) | 아오모리 2구 | ||
이토 신타로 (5회) | 미야기 4구 | ||
키타가와 도모카츠 (5회) | 오사카 12구 | ||
니와 히데키 (4회) | 아이치 6구 | ||
쿠마다 히로미치 (2회) | 아이치 1구 | ||
타카하시 히나코 (2회) | 비례 도호쿠 | ||
참의원 (4명) | 산토 아키코 (7회) | 비례대표 | |
아리무라 하루코 (3회) | 비례대표 | ||
타키자와 모토무 (1회) | 아오모리현 | ||
이마이 에리코 (1회) | 비례대표 |
의원명 | 구분 | 비고 |
---|---|---|
마츠무라 켄조 가와사키 슈지 사에키 무네요시 사사야마 시게타로 타케야마 유타로 후루이 요시미 | 중의원 | 1964년 총재 선거를 둘러싸고 이탈, 마츠무라 파 결성 |
스게노 카즈타로 나카무라 토라타 하야카와 타카시 | 중의원 | 1972년 총재 선거를 둘러싸고 이탈 |
이시다 히로히데 | 중의원 | 1974년, 삼각 대리 전쟁을 둘러싸고 이탈. 미키 개조 내각에서 운수 대신으로 복귀 |
니시오카 타케오 야마구치 토시오 | 중의원 | 1976년, 자민당 탈당. 신자유 클럽 창당 참여 |
우츠노미야 토쿠마 | 중의원 | 1976년, 자민당 탈당 |
아리마 모토하루 시오야 카즈오 치자키 우사부로 | 중의원 | 1979년, 40일 항쟁을 둘러싸고 이탈 |
타나카 이치지 | 중의원 | 1980년, 자민당 탈당 |
쿠도 이와오 | 중의원 | 1991년, 의원 사직 |
이시하라 켄타로 | 중의원 | 1992년, PKO 법안을 둘러싸고 자민당 탈당 |
야나세 스스무 이데 쇼이치 | 중의원 | 1993년, 자민당 탈당. 신당 사키가케 창당 참여 |
이시이 카즈지 | 중의원 | 1993년, 자민당 탈당. 신생당 참여 |
코노이케 요시야스 | 중의원 |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낙선으로 이탈. 참의원 의석 변경 후 무파벌을 거쳐 위공회 참여 |
마에다 타다시 | 중의원 |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낙선으로 이탈 |
이마즈 히로시 가이후 토시키 노로 아키히코 | 중의원 | 1994년 6월 29일, 수반 지명 선거를 둘러싸고 자민당의 방침에 반대하여 탈당. 고시회 참여 |
쿠지라오카 헤이스케 | 중의원 | 1998년 1월, 대용회 최고 고문 |
모테기 도시미츠 | 중의원 | 헤이세이 연구회로 이적 |
노다 세이코 | 중의원 | 2003년 12월에 퇴회 |
스나다 케이스케 |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 |
야마모토 유지 | 중의원 | 2010년 1월에 퇴회 |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 중의원 | 2010년 1월 21일에 퇴회 |
사토 유카리 | 중의원 | 2015년 3월 퇴회, 2017년 9월 시스이회 입회 |
마츠우라 슈타로◆ 혼나 타케시※ 쿠마가이 요시오※ 노하라 마사카츠◆ 시가 켄지로※ 시가 세츠※ 콘도 테츠오※ 호즈미 요시유키※ 아카기 토쿠히코※ 후쿠다 아츠야스※ 니와 히사아키※ 카와사키 스에요시※ 키타가와 이시마츠※ 카와모토 사부로※ 우에스기 미츠히로※ 시치죠 아키라※ 니시모토 카츠코※ 마츠다 쿠로※ 와타세 노리아키※ 하시구치 타카시※ 츠루미 유스케※ 이리사와 하지메※ | 중의원 | |
이토 소이치로● 아와야마 히로시● 시부야 나오조● 스가나미 시게루● 모리야마 킨지● 모리 미히데● 니와 헤이스케● 나카무라 산노조● 키요세 이치로● 미키 타케오● 우다 코이치● 오니시 마사오● 나베시마 나오츠구● 타케우치 키요시● | 중의원 | |
키타 슈지◆ 이와사키 준조◆ 코야마 쿠니타로◆ 사카모토 미토지◆ 노로 쿄이치◆ 카와모토 토시오◆ 아카자와 마사미치◆ 후지이 카츠시◆ 타니가와 카즈호◆ 카토 츠네타로◆ 후지모토 타카오◆ 쿠지메 켄타로● 모리 마츠다이라◆ 츠지 히데오◆ 사카모토 치카오◆ 야마시타 토쿠오◆ | 참의원 | |
아카기 무네노리◆ 모리야마 마유미◆ 우스이 히데오◆ 이데 이치타로◆ | 중의원 |
- ※는 국정 선거 낙선자, ◆는 정계를 은퇴한 자, ●는 고인.
- 괄호 안은 의원이 아니게 된 시점에서의 의회 소속.
참조
[1]
논문
Challenges to Factionalism on Japan's Liberal Democratic Party
https://www.jstor.or[...]
1966
[2]
논문
Faction Behavior and Cultural Codes: India and Japan
1981
[3]
논문
Factionalism and Reform of Japan's Liberal Democratic Party
https://www.jstor.or[...]
1979
[4]
논문
The 1976 General Election in Japan
https://www.jstor.or[...]
1977
[5]
논문
The House of Councillors Election in Japan: The LDP Hangs in There
https://www.jstor.or[...]
1978
[6]
논문
Japan in 1982: Doing Nothing is Best?
https://www.jstor.or[...]
1983
[7]
논문
Japan's "Double" Elections
https://www.jstor.or[...]
1980
[8]
논문
Japan in 1989: Changing Times
https://www.jstor.or[...]
1990
[9]
논문
Japan in 1996: Between Hope and Uncertainty
https://www.jstor.or[...]
1997
[10]
뉴스
自民:麻生派と高村派 合併を視野に勉強会発足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2-05-05
[11]
뉴스
自民の麻生・大島派の合流進まぬワケ ハト派とタカ派のねじれクッキリ (1/2ページ)
http://www.zakzak.co[...]
産経デジタル
2017-02-15
[12]
뉴스
自民の麻生・大島派の合流進まぬワケ ハト派とタカ派のねじれクッキリ (2/2ページ)
http://www.zakzak.co[...]
産経デジタル
2017-02-15
[13]
뉴스
山東昭子氏「野田聖子氏の出馬は時期が悪い…」
http://www.gov-onlin[...]
産経新聞社
2015-09-16
[14]
뉴스
自民各派「無投票再選を」=野田氏に自重求める声-総裁選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2-01-21
[15]
뉴스
自民の麻生・山東派、合併視野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11-14
[16]
뉴스
新・麻生派、59人で発足 自民党第2派閥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7-07-03
[17]
간행물
政治資金収支報告書 平成30年5月31日公表(平成24・29年分 解散分)
http://www.soumu.go.[...]
総務省
2018-05-31
[18]
문서
平成22年分政治資金収支報告書
https://web.archive.[...]
[19]
뉴스
村上・山本両氏が高村派を離脱 残り3人に、派閥衰退象徴
http://www.47news.jp[...]
全国新聞ネット
2012-11-04
[20]
뉴스
自民:麻生派と高村派 合併を視野に勉強会発足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2-05-05
[21]
웹사이트
自民の麻生・大島派の合流進まぬワケ ハト派とタカ派のねじれクッキリ
https://www.zakzak.c[...]
2014-07-29
[22]
뉴스
高村派、「大島派」に衣替え 「岸田派」も正式発足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2-11-03
[23]
간행물
衆院に鞍替え成功したら「大島派」を捨てた「佐藤ゆかり」代議士
https://www.shinchos[...]
新潮社
2015-04-09
[24]
뉴스
大島理森衆院議長、引退に思う 「ねじれ」ても国民の負託に応えよ
https://mainichi.jp/[...]
2022-07-11
[25]
뉴스
山東昭子氏「野田聖子氏の出馬は時期が悪い…」
http://www.gov-onlin[...]
産経新聞社
2015-09-16
[26]
뉴스
自民各派「無投票再選を」=野田氏に自重求める声-総裁選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5-09-03
[27]
뉴스
山東派入閣ゼロ 「残念だが、堅実で清新」と評価
http://news.tv-asahi[...]
テレビ朝日
2017-02-15
[28]
뉴스
自民の麻生・山東派、合併視野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11-14
[29]
웹사이트
SPEED「今井」獲得に領袖「山東昭子」は得意絶頂 (週刊新潮2016年2月25日号 掲載)
http://www.dailyshin[...]
新潮社
2017-02-15
[30]
뉴스
自民派閥3派の合流決定 会長は麻生氏、党内第2勢力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7-05-15
[31]
뉴스
新・麻生派、59人で発足 自民党第2派閥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7-07-03
[32]
간행물
政治資金収支報告書 平成30年5月31日公表(平成24・29年分 解散分)
https://web.archive.[...]
総務省
2018-05-31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간행물
平成12年分政治資金収支報告書の要旨(平成13年9月14日付け官報)
https://www.soumu.go[...]
総務省
2001-09-14
[37]
간행물
平成13年分政治資金収支報告書の要旨(平成14年9月13日付け官報)
https://www.soumu.go[...]
総務省
2002-09-13
[38]
간행물
平成14年分政治資金収支報告書の要旨(平成15年9月12日付け官報)
https://www.soumu.go[...]
総務省
2003-09-12
[39]
뉴스
村上・山本両氏が高村派を離脱 残り3人に、派閥衰退象徴
http://www.47news.jp[...]
全国新聞ネット
2010-01-21
[40]
뉴스
自民:麻生派と高村派 合併を視野に勉強会発足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2-05-03
[41]
웹인용
自民の麻生・大島派の合流進まぬワケ ハト派とタカ派のねじれクッキリ
https://www.zakzak.c[...]
2024-02-08
[42]
뉴스
高村派、「大島派」に衣替え 「岸田派」も正式発足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2-10-04
[43]
저널
衆院に鞍替え成功したら「大島派」を捨てた「佐藤ゆかり」代議士
http://www.shinchosh[...]
新潮社
2015-04-09
[44]
뉴스
大島理森衆院議長、引退に思う 「ねじれ」ても国民の負託に応えよ
https://mainichi.jp/[...]
2021-10-13
[45]
뉴스
山東昭子氏「野田聖子氏の出馬は時期が悪い…」
http://www.gov-onlin[...]
産経新聞社
2015-09-03
[46]
뉴스
自民各派「無投票再選を」=野田氏に自重求める声-総裁選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5-09-03
[47]
뉴스
山東派入閣ゼロ 「残念だが、堅実で清新」と評価
http://news.tv-asahi[...]
テレビ朝日
2015-10-08
[48]
뉴스
自民の麻生・山東派、合併視野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5-11-14
[49]
웹인용
SPEED「今井」獲得に領袖「山東昭子」は得意絶頂 (週刊新潮2016年2月25日号 掲載)
http://www.dailyshin[...]
新潮社
2024-02-08
[50]
뉴스
自民派閥3派の合流決定 会長は麻生氏、党内第2勢力に
朝日新聞社
2024-02-08
[51]
뉴스
新・麻生派、59人で発足 自民党第2派閥に
朝日新聞社
2024-02-08
[52]
보도자료
政治資金収支報告書 平成30年5月31日公表(平成24・29年分 解散分)
http://www.soumu.go.[...]
総務省
2018-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