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굉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굉지회는 1957년 이케다 하야토에 의해 결성된 일본 자유민주당 내 파벌이다. 정책 연구 조직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분열과 통합을 거치며 일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케다, 오히라, 스즈키, 미야자와, 기시다 등 여러 총리를 배출했으며, 온건한 외교 및 수정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특징을 보였다. 2023년 비자금 사건으로 기시다 후미오 회장이 사임하고, 2024년 1월 23일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야자와 기이치 - 미야자와 내각 (개조)
    미야자와 내각 (개조)는 정치 개혁을 추진했으나, 자민당 내 갈등과 사건으로 인해 법안 통과에 실패하고,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과 총선거 패배로 자민당의 장기 집권을 종식시켰다.
  • 미야자와 기이치 - 미야자와 내각
    미야자와 내각은 미야자와 기이치 총리와 와타나베 미치오 부총리 겸 외무대신을 중심으로 1991년 11월 6일부터 1993년 8월 8일까지 존속했던 자유민주당 중심의 일본 내각이며, 1992년 12월 12일 개각을 통해 일부 구성원이 변경되었다.
  • 스즈키 젠코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 스즈키 젠코 - 스즈키 젠코 내각
    스즈키 젠코 내각은 스즈키 젠코가 총리대신을 맡아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1980년 7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존속한 일본 내각으로, 세 차례의 개각을 거쳤다.
  • 오히라 마사요시 - 제2차 오히라 내각
    제2차 오히라 내각은 1979년 총선 후 '사십일 항쟁'을 거쳐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 하에 출범했으나, 신자유 클럽과의 연립 구성 난항, 중국과의 관계 강화 추진, 내각 불신임 결의 가결, 오히라 총리의 급사로 이토 마사요시 내각관방장관 대리 체제를 거쳐 스즈키 젠코 총리 임명까지 직무 집행 내각으로 운영되었다.
  • 오히라 마사요시 - 중국 잔류 일본인
    중국 잔류 일본인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에 남겨진 일본인으로, 잔류 고아와 잔류 부인 등이 대표적이며, 귀국 후 일본 사회 적응의 어려움, 경제적 빈곤, 고령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굉지회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고치카이 (굉지회)
일본어 명칭宏池会 (こうちかい)
로마자 표기Kōchikai
별칭이케다파
마에오파
오히라파
스즈키파
미야자와파
가토파
호리우치파
고가파
기시다파
존속 기간1957년 6월 ~ 2024년 1월 23일
해산일2024년 1월 23일
조직
유형자유민주당 파벌
본부전국정촌회관 서관 6층
위치도쿄도지요다구나가타초 1-11-32
설립자이케다 하야토
후신굉지정책연구회
이전 명칭자유당 (요시다파)
웹사이트굉지회 공식 웹사이트
정치 성향
정치적 위치중도우파
이념온건 보수주의
주요 인물
마지막 대표기시다 후미오
관련 정보
관련 단체유린회
신재정연구회
굉지정책연구회

2. 역사

굉지회는 1957년 이케다 하야토자유민주당 총재 및 총리대신 선거를 위한 후원회로 결성하였다.[35] 요시다 시게루의 직계 제자였던 이케다는 자유당 내 요시다 파벌을 사토 에이사쿠와 분리하는 형태로 굉지회를 만들었다. 초기에는 '굉지회 정책 연구회'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싱크탱크를 모델로 한 정책 연구 조직의 성격을 띠었다. 굉지회라는 명칭은 우익 실력가이자 양명학자인 야스오카 마사히로가 지었으며, 후한 시대 학자 마융의 글에서 유래했다. 이케다의 성에 '池'(못 지) 자가 들어가는 것과 이케다의 출신지인 히로시마현의 '히로'가 '宏'(넓을 굉)과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도 고려되었다.[35]

초기 구성원들은 주로 관료 출신으로, 이케다 하야토 외에 오히라 마사요시, 마에오 시게사부로, 미야자와 기이치 등이 참여했다.

1964년 11월 9일 이케다 하야토가 총리에서 물러난 후, 1965년 8월 13일 이케다가 사망하면서 마에오 시게사부로가 2대 회장으로 취임했다.[23] 1971년, 사토 에이사쿠의 연임을 용인한 마에오에게 불만을 품은 다나카 로쿠스케 등 젊은 의원들은 오히라 마사요시를 내세워 마에오를 축출했다(오히라 쿠데타).[23]

1980년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기간 중 오히라 마사요시가 급사하자 스즈키 젠코가 굉지회를 대표하여 내각총리대신이 되었고, 이후 회장 자리에도 올랐다.[23] 오히라 사후 굉지회 후계 자리를 두고 미야자와 기이치다나카 로쿠스케 간의 이치로쿠 전쟁이 벌어졌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집권 이후 굉지회는 반(半)주류파라는 조소를 들으며 영향력이 줄었고, 1986년 미야자와가 정식으로 회장직을 승계받았다.[24]

1991년 미야자와는 총리총재가 되었지만, 1993년 자민당은 창당 이래 처음으로 야당이 되었다. 미야자와는 파벌 회장직은 유지했지만 총재직에선 물러났고, 후임으로 같은 파벌의 고노 요헤이가 선출됐다. 1994년 자민당은 일본사회당·신당 사키가케와 연립 정권을 꾸려 여당으로 복귀했다. 미야자와의 후계 구도를 둘러싸고 고노와 가토 고이치의 대립(KK 전쟁)이 격화되었고, 1998년 12월 고노는 굉지회를 이탈하여 반(反)가토 세력을 모아 대용회를 결성하며 굉지회는 처음으로 분열했다.

1998년 12월 22일, 가토 고이치가 제6대 굉지회 회장으로 취임했다.[23] 2000년 11월, 모리 요시로 내각 불신임안에 가토가 동조했지만, 자민당 집행부의 방해로 불신임안은 통과되지 못했다(가토의 난). 굉지회는 가토파와 반(反) 가토파(호리우치파)로 분열되었고, 양측 모두 스스로를 굉지회라 칭했기에 자민당 내에 두 개의 굉지회가 존재했다.

2년 뒤 가토가 비서 스캔들로 의원직과 파벌 회장직을 사퇴하자, 오자토 사다토시가 회장직을 계승했다. 2005년 9월 26일 다니가키 사다카즈가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고이즈미 정권에서 다니가키파는 주류파였지만, 호리우치파는 뚜렷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6] 2006년, 고노 그룹을 포함한 구 미야자와파 계열 세 파벌의 재결집을 목표로 대굉지회 구상이 구체화되었다.[23]

고이즈미 준이치로 퇴임 후, 다니가키파고가파는 관계가 긴밀해졌고, 2008년 5월 두 파벌의 통합이 의결되어 7년 만에 굉지회라는 이름 아래 두 파벌이 병립하는 상태가 해소되었다.[25][26][27] 통합 후 고가 마코토가 회장, 다니가키 사다카즈가 파벌 내 실무를 담당, 호리우치 미쓰오는 명예회장이 되었다.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 참패 후, 굉지회는 당내 최대 파벌이 되었다.[1] 아소 다로 총재 퇴임 후, 다니가키 사다카즈가 새 총재로 선출되었다.

2012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굉지회 내분으로 고가 마코토가 회장직을 사임하고, 기시다 후미오가 회장으로 취임하며 '기시다파'로 불리기 시작했다.[36] 고가 마코토는 정계 은퇴했다. 2020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스가 요시히데에게 패배했지만,[38][39] 2021년 총재 선거에서 고노 다로를 꺾고 자민당 총재가 되었다.[40][41] 이후 제100대 총리대신으로 선출되어, 굉지회 출신으로는 미야자와 기이치 이후 처음으로 총리가 되었다.

총리 취임 후에도 기시다 후미오는 파벌 회장직을 유지했으나,[42] 2023년 정치 자금 문제로 총리 재직 중에는 파벌에서 일시 이탈했다.[43] 2023년, 정치 자금 파티 수입 기재 누락 문제(비자금 사건)로 기시다 후미오는 굉지회 회장직을 사임하고 파벌에서 일시 이탈했다.[8] 2024년 1월 23일, 굉지회는 공식 해산되었다.[9]

2. 1. 결성 (1957년)

1957년 6월, 이케다 하야토는 자신의 후원회로서 굉지회를 결성했다.[35] 이는 이케다가 자유민주당 총재 및 총리대신 자리를 놓고 경쟁하기 위한 준비 과정이었다. 이케다는 요시다 시게루의 직계 제자였으며, 자유당 내 요시다 파벌을 사토 에이사쿠와 분리하는 형태로 굉지회를 만들었다. 초기 굉지회는 '굉지회 정책 연구회'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싱크탱크를 모델로 한 정책 연구 조직의 성격을 띠었다. 굉지회라는 명칭은 우익 실력가이자 양명학자인 야스오카 마사히로가 지었으며, 후한 시대 학자 마융의 글에서 유래했다. 이케다의 성에 '池'(못 지) 자가 들어가는 것과 이케다의 출신지인 히로시마현의 '히로'가 '宏'(넓을 굉)과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도 고려되었다.[35]

초기 구성원들은 주로 관료 출신으로, 이케다 하야토 외에 오히라 마사요시, 마에오 시게사부로, 미야자와 기이치 등이 참여했다.

2. 2. 마에오파·오히라파 시대 (1965년 ~ 1980년)

1964년 11월 9일, 이케다 하야토가 총리에서 물러났다.

1965년 8월 13일, 이케다가 사망하면서 같은 날 마에오 시게사부로가 굉지회의 2대 회장으로 취임했다.[23]

1971년, 사토 에이사쿠의 연임을 용인한 마에오에게 불만을 품은 다나카 로쿠스케, 다자와 기치로, 시오자키 준 등 젊은 의원들은 오히라 마사요시를 내세워 마에오를 회장에서 끌어내렸다. 이를 오히라 쿠데타라고 부른다. 같은 해 4월 16일, 오히라가 3대 회장으로 취임했다.[23]

오히라 파벌에서는 이토 마사요시, 사이토 구니키치, 사사키 요시타케가 "오히라 파벌 삼우(三羽)"라고 불렸다. 오히라는 1978년 총리총재로 취임하자 시이나 재정 이래의 총간 분리 관례를 깨고, 총재 파벌인 사이토 구니키치간사장에 기용하여 오히라-사이토 라인으로 1979년 중의원 선거를 치렀고, 자신의 파벌 중의원 의원을 50명으로 늘렸다.

2. 3. 스즈키파·미야자와파 시대 (1980년 ~ 1998년)

스즈키 젠코


미야자와 기이치


1980년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기간 중 오히라 마사요시가 급사하자 스즈키 젠코가 굉지회를 대표하여 내각총리대신이 되었고, 이후 굉지회 회장 자리에도 올랐다.[23] 본래 스즈키는 오히라를 총재로 만들기 위해 물밑에서 활약하던 인물이었으나, 다나카·오히라 연합과 비주류의 항쟁 속에서 오히라가 사망하면서 당내 융화를 꾀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당내 최대 파벌을 이끌던 다나카 가쿠에이와도 관계가 무난했던 스즈키가 회장 후보로 부상한 것이다.

오히라의 사망 이후 굉지회 후계자 자리를 두고 미야자와 기이치다나카 로쿠스케 간의 치열한 경쟁(이치로쿠 전쟁)이 벌어졌다. 스즈키의 회장 취임은 두 사람의 경쟁이 끝날 때까지의 임시방편 같은 성격도 있었다. 미야자와는 정치적 야망이 컸지만 인망과 정치적 수완이 부족했고, 다나카 로쿠스케는 스즈키 옹립에 공을 세우고 신자유 클럽과의 연립 공작을 추진하는 등 존재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다나카 가쿠에이가 미야자와를 싫어한 반면, 후쿠다 다케오가 미야자와를 지지하여 각복전쟁도 굉지회의 후계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스즈키로부터 총리총재직을 물려받은 뒤, 굉지회는 반(半)주류파라는 조소를 들을 만큼 당내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특히 나카소네가 다나카 가쿠에이의 지지를 바탕으로 정권을 이끌면서 굉지회를 비롯한 소외된 파벌의 불만이 쌓였고, 이는 1984년 니카이도 옹립 구상으로 이어졌지만 실패했다. 이 무렵 다나카 로쿠스케가 사망하면서 이치로쿠 전쟁은 미야자와의 승리로 끝났고, 미야자와는 1986년 정식으로 회장직을 승계받았다.[24] 이후 미야자와는 다케시타 노보루, 아베 신타로와 함께 포스트 나카소네의 한 명으로 부상했다.

1991년 미야자와는 다케시타파의 지지를 받아 총리총재가 되었지만, 다케시타파가 분열하면서 1993년 자민당은 창당 이래 처음으로 야당이 되는 수모를 겪었다. 미야자와는 파벌 회장직은 유지했지만 총재직에선 물러나야 했고, 후임으로 같은 파벌의 고노 요헤이가 선출됐다. 1994년 자민당은 일본사회당·신당 사키가케와 손을 잡고 연립 정권을 꾸려 1년 만에 여당으로 복귀했다. 그 대신 일본사회당 위원장 무라야마 도미이치에게 총리직을 양보했기에 고노는 원내 1당의 대표였음에도 총리가 되지는 못했다.

이 무렵 미야자와의 후계 구도를 둘러싸고 고노와 가토 고이치의 대립(KK 전쟁)이 격화되었다. 가토가 1995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하시모토 류타로를 지지하자 고노는 총재 재선을 단념했다. 이후 가토가 미야자와의 후계자가 되는 것이 거의 확실시되자, 1998년 12월 고노는 굉지회를 이탈하여 파벌 내 반(反)가토 세력을 모아 대용회를 결성했다. 이는 굉지회의 첫 분열이었다.

2. 4. 가토의 난과 굉지회 분열 (1998년 ~ 2001년)

1998년 12월 22일, 가토 고이치가 제6대 굉지회 회장으로 취임했다.[23] 같은 달, 고노 요헤이는 굉지회를 탈퇴하여 파벌 내 반(反) 가토 의원들을 모아 1999년 1월에 대용회를 결성했다. 이는 오랫동안 결속을 유지해온 굉지회에게는 최초의 분열이었다.

2000년 11월, 모리 요시로 내각 불신임안에 가토는 동조했지만, 자민당 집행부의 방해 공작으로 불신임안은 통과되지 못했다. 이 사건은 가토의 난으로 불리며, 굉지회는 가토파와 반(反) 가토파(호리우치파)로 분열되었다. 양측 모두 스스로를 굉지회라 칭했기에 자민당 내에 두 개의 굉지회가 존재하는 상황이 되었다.

2년 뒤 가토가 비서의 스캔들 문제로 의원직을 사퇴하고 파벌 회장직도 포기하자, 오자토 사다토시가 회장직을 계승했다. 이후 오자토가 정계 은퇴를 선언하고, 2005년 9월 26일 파벌 총회에서 다니가키 사다카즈가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굉지회 분열 당시 각 파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항목을 참조할 수 있다.

2. 5. 고이즈미 정권 시기 (2001년 ~ 2006년)

5년 반에 걸친 고이즈미 정권에서 다니가키파는 다니가키가 국무대신으로 입각하면서 주류파의 일원이 되었지만, 호리우치파는 뚜렷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6] 2003년 총재 선거 때는 파벌 내 다툼을 겪었고, 2005년 우정 해산 때는 우정민영화에 반대한 호리우치가 파벌 회장직을 내려놓고 반대표를 던졌다가 공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6] 호리우치파의 중진이었던 고가 마코토도 우정민영화 법안 표결 때 기권했다가 서약서를 제출하고서야 공천을 받았고, 이후 호리우치파의 영향력은 크게 줄어들었다.[6]

고이즈미는 집권 내내 파벌 약화를 추진했지만, 자신이 속했던 세이와 정책연구회의 영향력은 강해졌다. 이는 세이와 정책연구회를 견제하는 목소리를 불러일으켰고, 분열 상태였던 굉지회도 재결집 논의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6]

2. 6. 굉지회 재결집 구상과 좌절 (2006년 ~ 2008년)

2006년, 고노 그룹을 포함한 구 미야자와파 계열의 세 파벌이 재결집을 목표로 하는 대굉지회 구상이 구체화되었다.[23] 다니가키 사다카즈와 고노 그룹의 아소 다로고이즈미의 후임 총재로 거론되었는데, 2006년 9월 아베 신조가 총재가 되면서 세 파벌의 통합 논의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니와 유야·고가파는 총재 후보가 없었기 때문에 소속 의원들은 물론 파벌 회장인 니와와 고가 마코토조차 아베를 지지했다. 심지어 야나기사와 하쿠오는 아베의 총재 선거 당선을 위해 선거대책본부장에 취임하기까지 했다. 아베가 당선된 후 니와·고가파를 배려하여 니와가 자유민주당 총무회장이 되었고 그 외 4명이 입각했다. 고노 그룹(2006년 12월 이후부터 아소파)에서 아소가 외무상에 유임하긴 했으나 주류파와는 거리가 멀었고, 다니가키파는 내각과 당직에서 완전히 배제됐다. 니와·고가파는 고가 계파에 속하는 의원들이 니와를 쫓아내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2007년 아베가 퇴진하자 다니가키와 고가는 후임 총재로 후쿠다 야스오를 지지했다. 당시 아소에 대한 반발감이 컸던 자민당은 이른바 아소 포위망을 구성했는데 다니가키와 고가도 여기에 동조했던 것이다. 결국 후쿠다가 당선됐고 다니가키는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이, 고가는 자민당 선거대책위원장이 되어 당4역이 되었다. 반면 아소는 후쿠다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입각을 거절하여 반주류파로 돌아섰다. 한때 맹우였던 아소와 고가의 관계가 소원해진 것도 이때부터였다.

이처럼 세 파벌의 관계 및 각 파벌 내부에서도 갈등이 생겨, 총재 선거가 지난 후에는 대굉지회로서의 합류는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2. 7. 고가파와 다니가키파의 통합 (2008년)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두 차례의 총재 선거를 거치면서 다니가키파고가파는 관계가 긴밀해졌다. 2007년 말부터 아소파를 제외한 두 파벌의 통합 논의가 시작되었는데, 이를 '중(中)굉지회' 구상이라고 한다. 2008년 5월, 두 파벌의 통합이 정식으로 의결되어 7년 만에 굉지회라는 이름 아래 두 파벌이 병립하는 상태가 해소되었다.[25][26][27]

통합 후 파벌 회장에는 고가 마코토가 취임하고, 다니가키 사다카즈가 파벌 내 실무를 담당했으며, 호리우치 미쓰오는 명예회장이 되었다. 사무총장에는 아이사와 이치로가 임명되었다.

중굉지회 통합을 계기로 굉지회는 청화정책연구회헤이세이 연구회에 이어 제3파벌이 되었으며, 비둘기파로서는 당내 최대 파벌이 되었다.

2. 8. 다니가키 총재 시대와 두 번째 분열 (2009년 ~ 2012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참패하여 야당으로 전락한 후, 굉지회 소속 중의원 의원 수는 절반으로 줄었다. 그러나 경쟁 파벌인 세이와 정책연구회헤이세이 연구회는 의석수가 1/3로 감소하여, 굉지회는 당내 최대 파벌이 되었다.[1]

아소 다로 총재가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퇴임하자, 다니가키 사다카즈가 새로운 총재로 선출되었다. 다니가키는 여러 파벌의 지지를 받아 총재 선거에서 압승했지만, 오노데라 이쓰노리스가 요시히데는 아소파의 고노 다로를 지지했고, 스가는 결국 굉지회를 탈퇴하는 등 파벌 단위의 움직임보다는 세대 간의 갈등 양상을 보였다.[1]

굉지회 출신 총재는 고노 요헤이 이후 14년 만에 선출된 것이었으며, 고노 요헤이도 야당 시절에 총재를 역임했었다. 한편, 총선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은 민주당의 기세가 강했기 때문에 자민당을 탈당하는 의원들이 많아 굉지회는 당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1]

2. 9. 기시다파 시대 (2012년 ~ 2023년)

2012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굉지회 내분으로 고가 마코토가 회장직을 사임하고, 그의 측근인 기시다 후미오가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굉지회는 '기시다파'로 불리기 시작했다.[36] 고가 마코토는 정계를 은퇴했다.

기시다 후미오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에서 굉지회 소속 기시다 후미오가 외무상, 하야시 요시마사가 농림수산상, 오노데라 이쓰노리가 방위상, 네모토 다쿠미가 부흥상으로 입각했다.[36] 이후 개조내각에서 굉지회 출신 국무대신은 6명까지 늘어났다.[36] 제3차 아베 신조 제1차 개조내각에서는 기시다 후미오만 외무상으로 유임되었다.[36]

2017년 제3차 아베 신조 제3차 개조내각에서 가와카미 요코가 법무상, 오노데라 이쓰노리가 방위상, 하야시 요시마사가 문부과학상, 마쓰야마 마사지가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입각했다.[36] 기시다 후미오는 외무상에서 물러나 자민당 정조회장에 취임했다.

2020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스가 요시히데에게 패배했지만,[38][39] 2021년 총재 선거에서 고노 다로를 꺾고 승리하여 자민당 총재가 되었다.[40][41] 이후 제100대 총리대신으로 선출되어, 굉지회 출신으로는 미야자와 기이치 이후 처음으로 총리가 되었다.

총리 취임 후에도 기시다 후미오는 관례와 달리 파벌 회장직을 유지했으나,[42] 2023년 정치 자금 문제로 인해 총리 재직 중에는 파벌에서 일시적으로 이탈하겠다고 밝혔다.[43] 기시다 후미오 사임 이후에도 회장직은 공석이며, 파벌 명칭은 '기시다파'를 유지하고 있다.[44]

2. 10. 비자금 사건과 해산 (2023년 ~ 2024년)

2023년, 정치 자금 파티 수입 기재 누락 문제(비자금 사건)가 발생하면서 기시다 후미오는 굉지회 회장직을 사임하고 파벌에서 일시적으로 이탈했다.[8] 2024년 1월 23일, 굉지회는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9]

3. 정책

굉지회는 전통적으로 온건한 외교 및 안보 정책을 추구해 왔다. 미일 관계를 중시하면서도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쓰는 '비둘기파'적인 성향을 보였다.[13][14][15] 굉지회는 일본국 헌법, 특히 평화주의를 명시한 일본국 헌법 제9조를 존중하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경제 정책에 있어서 굉지회는 '수정 자본주의'를 지지하며, 복지 친화적인 정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경제적 자유주의를 강조하는 다른 자민당 파벌과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사회적 문제에 있어서 굉지회는 비교적 온건한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러나 일본의 LGBT 권리와 같은 일부 문제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하기도 했다.[12]

굉지회는 정부 관료, 대기업, 화이트칼라 노동자, 도시 전문직, 소규모 사업주 등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4. 역대 회장

호리우치파→니와·고가파→고가파2001년7대호리우치 미쓰오호리우치파2001년~2006년8대고가 마코토※2고가파2006년~2012년9대기시다 후미오기시다파2012년~2023년-공석※32023년~



:※1 가토의 난을 계기로 가토파와 호리우치파로 분열[43]

:※2 다니가키파가 고가파에 합류[44]

:※3 기시다의 파벌 이탈에 의한 것이며, 후임은 따로 두지 않음[43][44]

참조

[1] 웹사이트 安倍元首相急死、政界一変 自民、中道系3派主導へ https://mainichi.jp/[...] 2022-07-12
[2] 웹사이트 岸田派 解散を正式に決定 政治資金事件受け 67年の歴史に幕 https://www3.nhk.or.[...] 2024-01-23
[3] 뉴스 A Dove From Hiroshima: Is Fumio Kishida Tough Enough To Lead Japan? https://worldcrunch.[...] 2021-10-10
[4] 웹사이트 自民党岸田派、解散方針を正式決定 66年の歴史に幕 https://www.nikkei.c[...] 2024-01-23
[5] 웹사이트 Japan's LDP faction previously led by Kishida officially breaks up amid scandal-Xinhua https://english.news[...]
[6] 웹사이트 岸田首相、在職日数戦後10位に 宏池会出身の鈴木善幸氏に並ぶ https://mainichi.jp/[...] 2024-03-14
[7] 웹사이트 首相在任645日、宮沢氏超す 宏池会出身で3番目 https://www.nikkei.c[...] 2023-07-11
[8] 뉴스 Japan PM Kishida resigns as ruling party faction head amid funds scandal https://english.kyod[...] 2023-12-07
[9] 웹사이트 岸田派 解散を正式に決定 政治資金事件受け 67年の歴史に幕 {{!}} NHK https://www3.nhk.or.[...] 2024-01-23
[10] 서적 How Policies Chang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Aging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1] 웹사이트 今さら聞けない?! 「保守」「リベラル」ってなんだ? https://asahi.gakujo[...]
[12] 뉴스 Japan PM: Ban on same-sex marriage not discrimination https://apnews.com/a[...] 2023-03-01
[13] 웹사이트 特集ワイド:この国はどこへ これだけは言いたい ハト派大先輩の憂慮 河野洋平さん 85歳 岸田さん、国民の「実感」に耳を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2-18
[14] 웹사이트 岸田首相の「新時代のリアリズム外交」とは何か 「宏池会」が目指す、「清和会」とは異なる政策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2-01-29
[15] 웹사이트 宏池会、遠のく「軽武装」 岸田政権、歴代4首相と比べ防衛費増突出 https://www.chugoku-[...] 中国新聞 2023-01-14
[16] 웹사이트 【識者コラム】利益差配でなく方向提示を 自民党とは何か https://www.at-s.com[...] 静岡新聞 2024-01-19
[17] 웹사이트 自民を飛び出し新党結成 いま岸田首相に伝えたい「保守本流の精神」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10-16
[18] 뉴스 「大宏池会」構想、またも浮上 岸田派、麻生派、谷垣G…三者三様に思惑交錯、遺恨残り実現見通せず https://www.sankei.c[...] 2017-02-01
[19] 뉴스 お公家集団・宏池会(岸田派)で内紛の兆し 林芳正前農水相が衆院鞍替え&総裁選に意欲 岸田外相との距離もジワリ…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5-18
[20] 웹사이트 宏池会 http://www.kogamakot[...]
[21] 문서 小選挙区制の弊害・中選挙区連記制の提唱 p141~143
[22] 웹사이트 宏池会60年 外交政策 核廃絶 試される実行力 https://www.hiroshim[...] 中国新聞社 2017-04-28
[23] 웹사이트 宏池会年表 https://kouchikai195[...] 宏池会 null
[24] 논문 宮澤喜一の政権構想と財政政策―資産倍増計画から生活大国構想へ― 東洋大学 2018-03
[25] 뉴스 田中直紀氏の離党了承 自民党党紀委(産経新聞 2008/10/15 13:34) https://megalodon.jp[...]
[26] 뉴스 入籍の次は入会 大塚拓、丸川珠代両氏、町村派入り(産経新聞2008年6月20日19時38分) https://megalodon.jp[...]
[27] 뉴스 自民党津島派に平口洋氏が入会(日本経済新聞2008年2月14日7時3分)
[28] 뉴스 首相、岸田派を離脱 裏金疑惑、信頼回復へ派閥と距離―対応後手、批判強く https://www.jiji.com[...] 2023-12-07
[29] 웹사이트 首相、在任中は岸田派離脱の意向 会長空席、今夕表明首相、在任中は岸田派離脱の意向 会長空席、今夕表明へ https://www.47news.j[...] 共同通信社
[30] 뉴스 田中氏離党“角栄血脈”自民から絶える(日刊スポーツ2008年9月27日9時31分) https://megalodon.jp[...]
[31] 뉴스 田中直紀参議院議員 自民離党届を提出(スポニチ2008年09月27日) https://megalodon.jp[...]
[32] 뉴스 「大宏池会」構想、またも浮上 岸田派、麻生派、谷垣G…三者三様に思惑交錯、遺恨残り実現見通せず https://www.sankei.c[...] 2017-02-01
[33] 뉴스 お公家集団・宏池会(岸田派)で内紛の兆し 林芳正前農水相が衆院鞍替え&総裁選に意欲 岸田外相との距離もジワリ…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5-18
[34] 웹사이트 宏池会 http://www.kogamakot[...]
[35] 뉴스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05-28
[36] 웹인용 【政界徒然草】内閣改造で宏池会に渦巻く不満 岸田氏はエルメスのネクタイで古賀誠氏と関係修復か? https://www.sankei.c[...] 2021-09-01
[37] 뉴스 自民・岸田派、現職4人敗れる “惨敗”に力なく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7-22
[38] 뉴스 岸田政調会長が総裁選立候補を表明 https://www.nhk.or.j[...] NHK政治マガジン 2020-09-01
[39] 뉴스 岸田氏「首相を目指して歩む」次期総裁選へ再挑戦の意欲示す https://this.kiji.is[...] 공동통신 2020-09-14
[40] 웹인용 岸田氏、出馬表明「幅広い選択肢示す」 自民総裁選 https://www.nikkei.c[...] 2021-09-09
[41] 웹인용 自民新総裁に岸田氏、決選投票で河野氏に大差 https://jp.reuters.c[...] 로이터 2021-09-29
[42] 웹인용 岸田首相 自民党岸田派の会長職に今後もとどまる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1-12-19
[43] 뉴스 首相、岸田派を離脱 裏金疑惑、信頼回復へ派閥と距離―対応後手、批判強く https://www.jiji.com[...] 2023-12-07
[44] 웹인용 首相、在任中は岸田派離脱の意向 会長空席、今夕表明首相、在任中は岸田派離脱の意向 会長空席、今夕表明へ https://www.47news.j[...] 교도 통신사 2023-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