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다오스타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레다오스타주는 이탈리아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주로, 알프스 산맥에 속하는 몽블랑, 몬테로사, 마테호른 등을 포함한다. 서쪽으로는 프랑스, 북쪽으로는 스위스, 남쪽으로는 피에몬테주와 접하며, 주도는 아오스타이다. 1,600m 이상의 고지대는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2,000m 이상은 툰드라 기후를 나타낸다. 주요 도시로는 아오스타, 샤티용, 생뱅상 등이 있다.
과거 켈트족과 로마인의 지배를 받았으며, 사보이아 가문의 통치를 거쳐 1948년 특별 자치주가 되었다.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프랑코-프로방스어 방언인 파투에 발도탱도 사용된다. 요리에는 폰티나 치즈, 호밀빵, 폴렌타 등이 사용되며, 와인 생산으로도 유명하다.
발레다오스타주는 74개의 코무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치 지역 정당이 오랫동안 지배해 왔다. 고속도로와 몽블랑 터널을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되며, 축구 클럽 SC 발레 다오스테가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레다오스타주 - 아오스타
아오스타는 이탈리아 발레다오스타주의 중앙 도시이자 코무네로, 로마 시대 식민 도시로 번성했으며 사보이아 가문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고대 로마 유적과 중세 건축물이 보존된 관광 도시이자 교통의 요충지이다. - 발레다오스타주 - 라살 (이탈리아)
이탈리아 북서부 발레다오스타주에 위치한 라살은 프랑스, 스위스와 접경한 작은 코뮌으로 도란트 강과 베니 강 합류 지점에 있으며 몽블랑 산군에 둘러싸여 농업과 관광업이 활발하고 사과와 포도 생산으로 유명하다. - 프랑스어권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프랑스어권 - 왈리스 푸투나
왈리스 푸투나는 남태평양의 프랑스 해외 준주로, 왈리스 제도와 푸투나 제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폴리네시아 문화권에 속하고, 전통적인 세 왕국이 존재하며 프랑스 법과 관습법이 함께 적용된다.
발레다오스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이탈리아어) | Valle d'Aosta |
공식 명칭 (프랑스어) | Vallée d'Aoste |
공식 명칭 (프랑코프로방스어) | Val d'Aoûta |
기타 명칭 (발저 독일어) | Augschtalann 또는 Ougstalland |
기타 명칭 (피에몬트어) | Val d'Osta |
위치 | 이탈리아 북서부 |
유형 | 자치주 및 도 |
별칭 | 없음 |
표어 | 없음 |
수도 | 아오스타 |
정부 형태 | 없음 |
발도스탄 연합 | 렌초 테스톨린 |
상징 | |
![]() | |
![]() | |
면적 | |
총 면적 | 3,263 km² |
인구 | |
총 인구 | 126,933명 (2012년 10월 30일 기준)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구성 | 이탈리아 시민권자 95% |
공식 언어 |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
경제 | |
GDP (총액) | 47억 3,700만 유로 (2021년) |
GDP (1인당) | 정보 없음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1 |
일광 절약 시간 | CES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일광 절약 시간) | +2 |
행정 구역 | |
코무네 수 | 74개 |
기타 정보 | |
ISO 3166-2 코드 | IT-23 |
NUTS 지역 | ITC |
HDI (2021년) | 0.889 (매우 높음, 이탈리아 21개 지역 중 14위) |
우편 번호 | 110xx-11100 |
지역 번호 | 0165-0166 |
ISTAT 코드 | 007 |
자동차 번호판 | AO |
웹사이트 | Regione.vda.it |
2. 지리
아오스타 계곡은 몽블랑, 몬테로사, 그란파라디조, 마터호른의 이탈리아쪽 경사면을 포함하는 알프스 계곡과 그 지류 계곡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몽블랑(4810m)이다.[44] 이는 이탈리아 지역의 최고점 목록에 따라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 된다.
발레다오스타주는 이탈리아 북서부 알프스 산맥 산중에 위치하며, 서쪽은 프랑스, 북쪽은 스위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44] 남쪽과 동쪽은 피에몬테주와 인접해 있다.
인접한 주 및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방향 | 국가/주 | 행정 구역 |
---|---|---|
북쪽 | 스위스 발레주 | Entremont (district)|엔트레몽영어 |
북동쪽 | 스위스 발레주 | Hérens (district)|에렌영어, Visp (district)|비스프영어 |
동쪽 | 피에몬테주 | 베르바노-쿠시오-오소라 현 |
남동쪽 | 피에몬테주 | 비엘라 현 |
남쪽 | 피에몬테주 | 토리노 현 |
서쪽 |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 | 사부아 현 |
북서쪽 |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 | 오트사부아 현 |
발레다오스타주의 산악 지형은 알프스 산맥(서알프스산맥) 중 그라이에알프스산맥 및 페나인알프스산맥에 속한다. 북서쪽의 프랑스 국경에는 몽블랑, 북쪽에서 북동쪽의 스위스 국경에는 마터호른, 몬테로사가 이어진다. 남쪽에는 그란파라디소가 솟아 있다.
발레다오스타주(아오스타 계곡)에서 가장 큰 강은 Dora Baltea|도라 발테아강영어(포강 수계)이다. 몽블랑을 비롯한 산들과 빙하의 물을 모아 쿠르마유르에서 흘러내리는 이 강은 아오스타, 샤티용, 생뱅상, 퐁생마르탱과 같은 주의 주요 도시를 지나 피에몬테주로 들어간다.
북쪽에는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가 스위스 발레주와 연결되고, 서쪽에는 프티 생 베르나르 고개가 프랑스와 연결되는 도로가 있다.
2. 1. 기후
일반적으로 1600m 이상의 계곡은 매년 한랭한 대륙성 기후(Dfc)를 나타낸다. 이 기후에서 눈이 내리는 기간은 가장 긴 곳에서 8개월 또는 9개월 정도로 매우 길다. 여름에는 거의 매일 안개가 발생한다. 이 지역은 서부 알프스에서 가장 습하다. 1월의 온도는 -7°C~-3°C로 낮고 7월의 온도는 20°C~35°C이다. 이 지역에는 서부 알프스에서 가장 추운 도시인 렘노트르담 마을이 있으며, 겨울 평균 기온은 약 -7°C이다.2000m~3500m 사이의 지역은 일반적으로 툰드라 기후(ET)를 가지며, 매월 평균 기온은 10°C 미만이다. 이 기후는 여름 평균은 낮지만, 겨울은 온화하며, 때로는 –3°C 이상, 특히 호수 근처에서 더 심각한 한랭 해양성 기후일 수 있다. 3400m 높이의 로사 고원의 평균 기온은 1월에 -11.6°C이고, 7월에 1.4°C이다. 이곳은 기후를 확인할 수 있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추운 곳이다.[50]
과거에는 3500m 이상에서 모든 달의 평균 기온이 영하였으며, 영구 서리 기후(EF)가 있었다. 최근 몇 년 동안 기온이 상승했다. 예를 들어 로사 고원에 대한 데이터를 참조.[50]
2. 2. 주요 도시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른 거주 지역(Località abitatait)별 인구 통계[45]에 따르면, 인구 2,500명 이상의 도시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소속 코무네(자치체) 명칭을 나타내며, 도시명과 동일한 경우에는 생략했다.
2. 3. 강과 계곡
아오스타 계곡은 지류 계곡과 함께 몽블랑, 몬테로사, 그란파라디조 및 마터호른의 이탈리아 쪽 경사면을 포함하는 알프스 계곡이다. 이 지역의 가장 높은 봉우리는 몽블랑(4810m)이다. 이는 이탈리아 지역의 최고점 목록에 따라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다.
발레다오스타주의 산악 지형은 알프스 산맥(서알프스산맥) 중 그라이에알프스산맥 및 페나인알프스산맥에 속한다. 북서쪽의 프랑스 국경에는 몽블랑, 북쪽에서 북동쪽의 스위스 국경에는 마터호른, 몬테로사가 이어진다. 남쪽에는 그란파라디소가 솟아 있다.
발레다오스타주(아오스타 계곡)를 형성하는 주에서 가장 큰 강은 도라 발테아강영어(포강 수계)이다. 몽블랑을 비롯한 산들과 빙하의 물을 모아 쿠르마유르에서 흘러내리는 이 강은 아오스타, 샤티용, 생-뱅상, 퐁-생-마르탱과 같은 주의 주요 도시를 지나 피에몬테주로 들어간다.
2. 4. 산길
아오스타 계곡은 몽블랑, 몬테로사, 그란파라디조, 마테호른의 이탈리아쪽 경사면을 포함하는 알프스 계곡과 그 지류 계곡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몽블랑(4,810m)이다. 이는 이탈리아 지역의 최고점 목록에 따라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 된다.
북쪽에는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가 스위스 발레주와 연결되고, 서쪽에는 프티 생 베르나르 고개가 프랑스와 연결되는 도로가 있다.
3. 역사
발레다오스타주의 최초 정착민은 켈트족과 리구리아인이었다. 그들의 언어는 이 지역의 일부 지명에 남아 있다. 적어도 청동기 시대부터 이루어졌던 정착민들의 생활은 국립 아오스타 고고학 박물관에 있는 선사 시대 전시에서 볼 수 있다.
로마인은 기원전 25년경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선주민인 살라시족을 정복했다. 로마인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알프스 횡단의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아우구스타 프라에토리아 살라소룸(현재의 아오스타)을 건설하고 알페스 포에니나에(알페스 그라이아에라고도 함) 속주를 설치하여 다리와 도로를 정비했다. 아오스타에는 보존 상태가 좋은 로마 시대 유적이 중심부에 남아 있다. '발레다오스타'(''Valle d'Aosta'')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아우구스투스의 계곡’을 의미한다.[52]
3. 1. 중세 시대
1031~1032년, 사보이 가문의 창시자인 움베르토 1세 디 사보이아는 프랑코니아 왕조의 콘라트 2세 황제로부터 ''아오스타 백작''이라는 칭호를 받았고, 바르에 지휘 요새를 건설했다. 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는 1033년 또는 1034년 아오스타에서 태어났다. 이 지역은 강력한 요새로 나뉘어져 있었고, 1191년 토마스 1세 디 사보이아는 자치권을 보존하는 ''샤르트 데 프랑시스''( "자유 헌장")를 코뮌에 부여할 필요가 있었다. 이 권리는 1770년까지 치열하게 방어되었는데, 이는 아오스타를 피에몬테에 더 밀접하게 연결하기 위해 철회되었지만 나폴레옹 시대 이후 다시 요구되었다. 13세기 중반에 프리드리히 2세 황제는 아오스타 백국을 공작령으로 만들었고(아오스타 공작 참조), 그 문장에 새겨진 포효하는 사자는 1870년 이탈리아 통일 때까지 사보이 가문의 문장에 사용되었다.[13]이 지역은 1539년부터 1563년까지, 이후 1691년, 그리고 1704년에서 1706년 사이에 프랑스가 점령한 시기를 제외하고는 사보이 영토로 남았다.
3. 2. 근세와 현대
1031년에서 1032년 사이, 사보이 가문의 창시자인 움베르토 1세 디 사보이아는 프랑코니아 왕조의 콘라트 2세 황제로부터 ''아오스타 백작''이라는 칭호를 받았다.[52] 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는 1033년 또는 1034년에 아오스타에서 태어났다. 1191년, 토마스 1세 디 사보이아는 자치권을 보존하는 ''샤르트 데 프랑시스''(''자유 헌장'')를 코뮌에 부여했다.[52] 13세기 중반, 프리드리히 2세 황제는 아오스타 백국을 공작령으로 만들었다.[52]이 지역은 1539년부터 1563년까지, 이후 1691년, 그리고 1704년에서 1706년 사이에 프랑스가 점령한 시기를 제외하고는 사보이 영토로 남았다. 또한 1800년에서 1814년 사이에 프랑스 제1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프랑스 통치 기간 동안 아오스타는 도르 데파르트망의 아오스타 구의 일부였다.[53] 사르데냐 왕국의 일부로서, 1861년 새로운 이탈리아 왕국에 합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프랑스군은 이 지역을 잠시 통제했지만 영국과 미국의 압력으로 철수했다.[53] 이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특별 자치 지위를 얻었다. 아오스타주는 1945년에 소멸되었다.[49]
3. 3. 20세기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프랑스군은 이 지역을 잠시 통제했지만, 영국과 미국의 압력으로 철수했다.[53] 이후 발레다오스타주는 특별 자치 지위를 얻었으며, 아오스타주는 1945년에 소멸되었다.[49]4. 인구통계
아오스타 계곡의 인구 밀도는 이탈리아 지역 중 가장 낮다. 2008년 기준, 이 지역의 인구 밀도는 1㎢당 38.9명이었던 반면, 전국 평균은 198.8명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대부분 산과 빙하로 이루어져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 많고, 인구의 상당수는 중앙 계곡에 거주하고 있다. 지류 계곡으로부터의 이주는 농업과 관광 개발을 위한 지역의 지원으로 인해 줄어들었다.
1976년 이후 자연 인구 증가율은 마이너스였지만, 이민으로 인해 상쇄되었다. 이 지역은 이탈리아에서 출생률이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이며, 평균 연령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민자들 대부분이 관광 산업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이기 때문에 이민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보상되고 있다. 1991년과 2001년 사이에 아오스타 계곡의 인구는 3.1% 증가했으며, 이는 이탈리아 지역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자연 인구 증가율이 마이너스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순이동의 증가 때문이다.[48] 2001년과 2011년 사이에 인구는 7.07% 더 증가했다. 2006년 기준, ISTAT는 4,976명의 외국 태생 이민자가 아오스타 계곡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지역 인구의 4.0%에 해당한다고 추정했다.
발도탕 인구와 그들의 언어 방언은 일부 사회학적 연구의 주제였다.[55]
다음은 1861년부터 2021년까지의 인구 변화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인구 |
---|---|
1861 | 81,884 |
1871 | 81,260 |
1881 | 85,007 |
1901 | 83,529 |
1911 | 80,680 |
1921 | 82,769 |
1931 | 83,479 |
1936 | 83,455 |
1951 | 94,140 |
1961 | 100,959 |
1971 | 109,150 |
1981 | 112,353 |
1991 | 115,938 |
2001 | 119,548 |
2011 | 128,000 |
2017 | 126,883 |
2021 | 123,360 |
4. 1. 외국인 거주자
2019년 12월 31일 기준, 발레다오스타주에 거주하는 외국인 중 가장 큰 규모의 집단은 다음과 같다.[54]국적 | 인구 |
---|---|
루마니아 | 2,361 |
모로코 | 1,553 |
알바니아 | 695 |
중국 | 298 |
우크라이나 | 272 |
튀니지 | 261 |
도미니카 공화국 | 235 |
프랑스 | 220 |
몰도바 | 179 |
알제리 | 160 |
폴란드 | 144 |
영국 | 105 |
나이지리아 | 102 |
5. 문화
=== 언어 ===
아오스타 계곡은 1536년에 현대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한 최초의 정부 기관으로, 프랑스보다 3년 앞선 것이었다.[56] 1946년 이후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가 이 지역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며,[57] 지방 정부의 법령과 법률에는 두 언어가 모두 사용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이탈리아어가 훨씬 더 널리 사용되고, 프랑스어는 주로 문화생활에서 사용된다. 교육은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로 균등하게 진행되므로, 아오스타 계곡에서 학교를 다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프랑스어를 중상급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다.[57] 파투에 발도탱(patoué valdotèn) 또는 간단히 파투에(patoué)로 알려진 지역 언어는 프랑코-프로방스어의 방언이다.
2001년 에밀 샤누 재단에서 실시한 사회언어학적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58%인 68,000명의 거주자가 모국어 및 제2언어로 사용한다.[58] 리스 계곡의 그레소니 생 쟝, 그레소니 라 트리니테, 이시메 마을 주민들은 각각 왈세르 독일어의 두 가지 방언인 티치와 토이츠슈를 사용한다.[59]
2001년 조사에서 나타난 아오스타 계곡의 모국어와 인구별 언어 사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58]
언어 | 비율 |
---|---|
이탈리아어 | 77.29% |
발도탱어 (프랑코-프로방스어) | 17.91% |
아오스타 프랑스어 | 1.25% |
기타 언어 | 4.95% |
언어 | 비율 |
---|---|
이탈리아어 | 96.01% |
아오스타 프랑스어 | 75.41% |
발도탱어 (프랑코-프로방스어) | 55.77% |
세 언어 모두 | 50.53% |
2006년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의 통계에 따르면, 6세 이상 주민의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47]
언어 | 전국 | 발레다오스타주 |
---|---|---|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 | 45.5% | 53.9% |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 | 16.0% | 9.3% |
이탈리아어와 지방 언어 모두 | 32.5% | 24.5% |
기타 언어 | 5.1% | 11.3% |
발레다오스타주의 공용어는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이며, 표지판에는 두 언어가 함께 사용된다. 프랑스어에 속하는 아오스타 방언을 아오스타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북부 일부 지역에는 알레만어계 발리서어 (독일어)를 사용하는 주민도 있다.
=== 건축 ===
아오스타 계곡에는 아르장성(Châtel-Argent), 생피에르성, 페니성, 이소뉴성, 위셀성, 사르성, 클리성, 베레성, 샤텔라르성 등 수많은 중세 성과 요새화된 가옥이 있다.[61] 그레소니 생장에 있는 사보이성은 19세기에 착상되어 1904년에 완공되었다.[28] 1990년부터 사보이성 고산 식물원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 요리 ===
아오스타 계곡의 요리는 단순함이 특징이며 감자, 폴렌타, 치즈, 고기, 호밀빵과 같은 "튼튼한" 재료를 중심으로 한다.[30] 많은 요리에는 PDO 지위를 가진 소젖으로 만든 치즈인 폰티나가 사용된다.[30] 이 치즈는 ''à la vâpeuleunèntse''[31] (발펠리네 수프)와 같은 요리에서 발견된다. 이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다른 치즈로는 톰 드 그레소니[32]와 세라스가 있다. 프롬자(발도탱의 ''치즈'' )는 15세기부터 현지에서 생산되었으며 PDO 지위를 가지고 있다.[33]
폰티나 외에 이 지역의 특산품으로는 ''모체타''(말린 샤무아 고기), 발레 다오스타 라드 다르나[34] (PDO 지정을 받은 염장 및 절인 돼지 비계 제품), 발레 다오스타 잠봉 드 보스[35] (PDO 지정을 받은 일종의 햄), 호밀로 만든 검은 빵, 꿀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요리로는 벨기에의 동명의 요리와 비슷한 ''카르보나드''가 있는데, 소금에 절인 쇠고기를 양파와 적포도주와 함께 조리하여 폴렌타와 함께 제공하며, ''코스톨레테''라고 불리는 빵가루를 입힌 송아지 커틀릿, 조리하여 얇게 썬 소금에 절인 암소의 유선인 ''테투엔'',[36] 그리고 크루통, 햄, 녹인 치즈를 곁들인 스테이크인 ''스테이크 알라 발도타인''[37]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와인으로는 모르젝스의 화이트와인 2종(블랑 드 모르젝스와 드 라 살르 및 쇼들린), 아르비에의 레드와인 블렌드(''Enfer d'Arvier'') 및 가메의 와인 1종이 있다.[62]
5. 1. 언어
아오스타 계곡은 1536년에 현대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한 최초의 정부 기관이었는데, 이는 프랑스보다 3년 앞선 것이었다.[56]1946년 이후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가 이 지역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며,[57] 지방 정부의 법령과 법률에는 두 언어가 모두 사용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이탈리아어가 훨씬 더 널리 사용되고, 프랑스어는 주로 문화생활에서 사용된다. 교육은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로 균등하게 진행되므로, 아오스타 계곡에서 학교를 다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프랑스어를 중상급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다.[57]
파투에 발도탱(patoué valdotèn) 또는 간단히 파투에(patoué)로 알려진 지역 언어는 프랑코-프로방스어의 방언이다. 2001년 에밀 샤누 재단에서 실시한 사회언어학적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58%인 68,000명의 거주자가 모국어 및 제2언어로 사용한다.[58]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7.29%가 이탈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프랑코-프로방스어를 17.91%, 프랑스어를 1.25%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스 계곡의 그레소니 생 쟝, 그레소니 라 트리니테, 이시메 마을 주민들은 각각 왈세르 독일어의 두 가지 방언인 티치와 토이츠슈를 사용한다. 이 세 마을에서는 207명(17.78%)이 왈세르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지만, 인구의 56.38%가 이 언어를 알고 있었다.[59]
2001년 조사에서 나타난 아오스타 계곡의 모국어와 인구별 언어 사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58]
언어 | 비율 |
---|---|
이탈리아어 | 77.29% |
발도탱어 (프랑코-프로방스어) | 17.91% |
아오스타 프랑스어 | 1.25% |
기타 언어 | 4.95% |
언어 | 비율 |
---|---|
이탈리아어 | 96.01% |
아오스타 프랑스어 | 75.41% |
발도탱어 (프랑코-프로방스어) | 55.77% |
세 언어 모두 | 50.53% |
2006년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의 통계에 따르면, 6세 이상 주민의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47]
언어 | 전국 | 발레다오스타주 |
---|---|---|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 | 45.5% | 53.9% |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 | 16.0% | 9.3% |
이탈리아어와 지방 언어 모두 | 32.5% | 24.5% |
기타 언어 | 5.1% | 11.3% |
발레다오스타주의 공용어는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이며, 표지판에는 두 언어가 함께 사용된다. 프랑스어에 속하는 아오스타 방언을 아오스타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북부 일부 지역에는 알레만어계 발리서어 (독일어)를 사용하는 주민도 있다.
5. 2. 건축


아오스타 계곡에는 아르장성(Châtel-Argent), 생피에르성, 페니성, 이소뉴성, 위셀성, 사르성, 클리성, 베레성, 샤텔라르성 등 수많은 중세 성과 요새화된 가옥이 있다.[61] 그레소니 생장에 있는 사보이성은 19세기에 착상되어 1904년에 완공되었다.[28] 1990년부터 사보이성 고산 식물원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5. 3. 요리

아오스타 계곡의 요리는 단순함이 특징이며 감자, 폴렌타, 치즈, 고기, 호밀빵과 같은 "튼튼한" 재료를 중심으로 한다.[30] 많은 요리에는 PDO 지위를 가진 소젖으로 만든 치즈인 폰티나가 사용된다.[30] 이 치즈는 ''à la vâpeuleunèntse''[31] (발펠리네 수프)와 같은 요리에서 발견된다. 이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다른 치즈로는 톰 드 그레소니[32]와 세라스가 있다. 프롬자(발도탱의 ''치즈'' )는 15세기부터 현지에서 생산되었으며 PDO 지위를 가지고 있다.[33]
폰티나 외에 이 지역의 특산품으로는 ''모체타''(말린 샤무아 고기), 발레 다오스타 라드 다르나[34] (PDO 지정을 받은 염장 및 절인 돼지 비계 제품), 발레 다오스타 잠봉 드 보스[35] (PDO 지정을 받은 일종의 햄), 호밀로 만든 검은 빵, 꿀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요리로는 벨기에의 동명의 요리와 비슷한 ''카르보나드''가 있는데, 소금에 절인 쇠고기를 양파와 적포도주와 함께 조리하여 폴렌타와 함께 제공하며, ''코스톨레테''라고 불리는 빵가루를 입힌 송아지 커틀릿, 조리하여 얇게 썬 소금에 절인 암소의 유선인 ''테투엔'',[36] 그리고 크루통, 햄, 녹인 치즈를 곁들인 스테이크인 ''스테이크 알라 발도타인''[37] 등이 있다.
5. 4. 와인
주목할 만한 와인으로는 모르젝스의 화이트와인 2종(블랑 드 모르젝스와 드 라 살르 및 쇼들린), 아르비에의 레드와인 블렌드(''Enfer d'Arvier'') 및 가메의 와인 1종이 있다.[62]6. 정치
수십 년 동안, 발레다오스타주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이익을 대변하는 발다오스타 연합과 같은 자치 지역 정당이 지배해 왔다.[16] 2020년 9월에는 지역 선거가 실시되었다. 2023년 3월 2일, 자치주의자 및 진보주의 명단의 연합의 지지를 받아 렌초 테스톨린이 지역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7]
발레다오스타주는 이탈리아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지역이므로, 도(province)로 나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4개의 코무네(comune, 지방 자치체)로 나뉘어져 있다.
ISTAT 코드 | 지방 자치체 | 인구 (2005) |
---|---|---|
007001 | 알레인 | 243 |
007002 | 안테이생탄드레 | 602 |
007003 | 아오스타 | 34,270 |
007004 | 아르나드 | 1,294 |
007005 | 아르비에 | 848 |
007006 | 아비세 | 312 |
007007 | 아이에 | 1,296 |
007008 | 아마빌 | 1,966 |
007009 | 바르 | 135 |
007010 | 비오나즈 | 244 |
007011 | 브리소네 | 962 |
007012 | 브루손 | 860 |
007013 | 찰랑생탄셀름 | 695 |
007014 | 찰랑생빅토르 | 589 |
007015 | 참바베 | 937 |
007016 | 샤모아 | 99 |
007017 | 샹드프라 | 674 |
007018 | 샹포르셰 | 417 |
007019 | 샤르방소드 | 2,333 |
007020 | 샤티용 | 4,846 |
007021 | 코니에 | 1,470 |
007022 | 쿠르마유르 | 2,979 |
007023 | 도나 | 2,661 |
007024 | 두에 | 409 |
007025 | 에마레세 | 217 |
007026 | 에트루블 | 472 |
007027 | 페니스 | 1,653 |
007028 | 퐁테네모레 | 412 |
007029 | 가비 | 490 |
007030 | 지뇨드 | 1,352 |
007031 | 그레상 | 2,981 |
007032 | 그레소니라트리니테 | 306 |
007033 | 그레소니생장 | 799 |
007034 | 오네 | 1,162 |
007035 | 인트로 | 573 |
007036 | 이시메 | 400 |
007037 | 이소네 | 1,374 |
007038 | 조벤산 | 709 |
007039 | 라 마들렌 | 95 |
007040 | 라 살 | 1,985 |
007041 | 라 튀일 | 766 |
007042 | 릴리아네스 | 494 |
007043 | 몽조베 | 1,795 |
007044 | 모르제 | 1,938 |
007045 | 뉘 | 2,713 |
007046 | 올로몽 | 161 |
007047 | 오야스 | 211 |
007048 | 페를로 | 467 |
007049 | 폴레인 | 1,441 |
007050 | 퐁보세 | 190 |
007051 | 폰테이 | 742 |
007052 | 퐁생마르탱 | 3,957 |
007053 | 프레생디디에 | 968 |
007054 | 콰르트 | 3,263 |
007055 | 레메노트르담 | 124 |
007056 | 레메생조르주 | 200 |
007057 | 로이잔 | 900 |
007058 | 생크리스토프 | 3,124 |
007059 | 생드니 | 361 |
007060 | 생마르셀 | 1,206 |
007061 | 생니콜라 | 325 |
007062 | 생토야 | 218 |
007063 | 생피에르 | 2,785 |
007064 | 생레미엉보세 | 387 |
007065 | 생뱅상 | 4,833 |
007066 | 사르 | 4,434 |
007067 | 토르뇽 | 522 |
007068 | 발그리셴슈 | 184 |
007069 | 발펠린 | 627 |
007070 | 발사바렌슈 | 178 |
007071 | 발토르난슈 | 2,169 |
007072 | 베라예 | 1,305 |
007073 | 베레스 | 2,623 |
007074 | 빌뇌브 | 1,136 |
총계 | 122,868 |
7. 행정 구역
발레다오스타주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작은 주이며, 도(province)로 나뉘지 않고 74개의 코무네(comune,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16]
발레다오스타주에는 현(県, Provincia)이 없다. 이탈리아의 주 중에서 현이 없는 곳은 발레다오스타주뿐이다. 과거에는 아오스타현(it:Provincia di Aosta)이 있었지만, 1948년에 자치주가 설치될 때 폐지되었다. 통계 등에서 현이 단위로 사용될 때에는 편의상 주가 현을 겸하고 있다.
ISTAT 코드 | 지방 자치체 | 인구 (2005) |
---|---|---|
007001 | 알레인 | 243 |
007002 | 안테이생탄드레 | 602 |
007003 | 아오스타 | 34,270 |
007004 | 아르나드 | 1,294 |
007005 | 아르비에 | 848 |
007006 | 아비세 | 312 |
007007 | 아이에 | 1,296 |
007008 | 아마빌 | 1,966 |
007009 | 바르 | 135 |
007010 | 비오나즈 | 244 |
007011 | 브리소네 | 962 |
007012 | 브루손 | 860 |
007013 | 찰랑생탄셀름 | 695 |
007014 | 찰랑생빅토르 | 589 |
007015 | 참바베 | 937 |
007016 | 샤모아 | 99 |
007017 | 샹드프라 | 674 |
007018 | 샹포르셰 | 417 |
007019 | 샤르방소드 | 2,333 |
007020 | 샤티용 | 4,846 |
007021 | 코니에 | 1,470 |
007022 | 쿠르마유르 | 2,979 |
007023 | 도나 | 2,661 |
007024 | 두에 | 409 |
007025 | 에마레세 | 217 |
007026 | 에트루블 | 472 |
007027 | 페니스 | 1,653 |
007028 | 퐁테네모레 | 412 |
007029 | 가비 | 490 |
007030 | 지뇨드 | 1,352 |
007031 | 그레상 | 2,981 |
007032 | 그레소니라트리니테 | 306 |
007033 | 그레소니생장 | 799 |
007034 | 오네 | 1,162 |
007035 | 인트로 | 573 |
007036 | 이시메 | 400 |
007037 | 이소네 | 1,374 |
007038 | 조벤산 | 709 |
007039 | 라 마들렌 | 95 |
007040 | 라 살 | 1,985 |
007041 | 라 튀일 | 766 |
007042 | 릴리아네스 | 494 |
007043 | 몽조베 | 1,795 |
007044 | 모르제 | 1,938 |
007045 | 뉘 | 2,713 |
007046 | 올로몽 | 161 |
007047 | 오야스 | 211 |
007048 | 페를로 | 467 |
007049 | 폴레인 | 1,441 |
007050 | 퐁보세 | 190 |
007051 | 퐁테이 | 742 |
007052 | 퐁생마르탱 | 3,957 |
007053 | 프레생디디에 | 968 |
007054 | 콰르 | 3,263 |
007055 | 레메노트르담 | 124 |
007056 | 레메생조르주 | 200 |
007057 | 로이잔 | 900 |
007058 | 생크리스토프 | 3,124 |
007059 | 생드니 | 361 |
007060 | 생마르셀 | 1,206 |
007061 | 생니콜라 | 325 |
007062 | 생토야 | 218 |
007063 | 생피에르 | 2,785 |
007064 | 생레미엉보세 | 387 |
007065 | 생뱅상 | 4,833 |
007066 | 사르 | 4,434 |
007067 | 토르뇽 | 522 |
007068 | 발그리셴슈 | 184 |
007069 | 발펠린 | 627 |
007070 | 발사바렌슈 | 178 |
007071 | 발토르난슈 | 2,169 |
007072 | 베라예 | 1,305 |
007073 | 베레스 | 2,623 |
007074 | 빌뇌브 | 1,136 |
총계 | 122,868 |
주요 코무네(인구 상위 10위)는 다음과 같다.[43]
코드 | 코무네 이름 | 인구 (2011년 1월 1일 기준) |
---|---|---|
007003 | 아오스타 | 34,029 |
007020 | 샤티용 | 4,912 |
007066 | 사르 | 4,854 |
007065 | 생뱅상 | 4,610 |
007052 | 퐁생마르탱 | 3,996 |
007054 | 콰르 | 3,879 |
007058 | 생크리스토프 | 3,347 |
007031 | 그레상 | 3,314 |
007063 | 생피에르 | 3,114 |
007045 | 뉘스 | 2,959 |
8. 교통
발레다오스타 주는 고속도로(아우토스트라다)를 통해 이탈리아 북서부의 도시들과 연결되며, 몽블랑 터널을 통해 프랑스와 연결된다.
;고속도로
- 아우토스트라다 A5・몽블랑 터널: 유럽 고속도로E25호선
;국도
- SS26Strada statale 26 della Valle d'Aosta||it
9. 스포츠
발레다오스타주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은 다음과 같다. 소속 리그는 2012-13 시즌 기준이다.
- SC 발레 다오스테 - 레가 프로 2 (4부 리그)
5부 리그(아마추어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D에서는 피에몬테주, 리구리아주, 롬바르디아주의 클럽과 함께 지로네 A에 속해 있다. 지방 리그(6부 리그)로는 에첼렌차 피에몬테에 참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ut spécial de la Vallee d'Aoste
http://www.consiglio[...]
Conseil régional de la Vallée d'Aoste
2015-10-25
[2]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Demo.istat.it
2010-04-22
[3]
간행물
Regions and Cities > Regional Statistics > Regional Economy >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Small regions TL3)
http://stats.oecd.or[...]
OECD.Stats
2018-11-16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3-03-05
[5]
서적
Phonétique historique du français et notions de phonétique générale
Peeters
[6]
웹사이트
Le Statut spécial de la Vallée d'Aoste
http://www.regione.v[...]
1948
[7]
웹사이트
Italian Parliament – VI Commission document 2000-07-18 (in Italian)
http://www.camera.it[...]
[8]
서적
Profil de la politique linguistique de la Vallée d'Aoste
Le Château
[9]
웹사이트
Tempo in atto su Plateau Rosa
http://www.meteoam.i[...]
2020-01-21
[10]
문서
Lovevda.it
https://www.lovevda.[...]
[11]
뉴스
What does Valdosta mean?
https://archive.toda[...]
2009-10-12
[12]
뉴스
ESO Astronomy Camp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http://www.eso.org/p[...]
2013-05-13
[13]
웹사이트
Heraldry in the House of Savoia
http://www.heraldica[...]
Heraldica
2010-04-22
[14]
문서
Almanach Impérial an bissextil MDCCCXII
http://gallica.bnf.f[...]
2015-02-18
[15]
서적
Allied military administration of Italy, 1943–1945
https://books.google[...]
H. M. Stationery Office
1957
[16]
서적
The Regional Politics of Welfare in Italy, Spain and Great Britai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9-15
[17]
웹사이트
Regione Valle d'Aosta, Renzo Testolin è il nuovo presidente - Valle d'Aosta
https://www.ansa.it/[...]
2023-03-02
[18]
웹사이트
Foreign Citizens. Resident Population by sex and citizenship on 31st December 2019
http://demo.istat.it[...]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2018-06-19
[19]
논문
The Effect of Minority Group Vitality upon Its Sociopsychological Behaviour and Strategies
http://www.eric.ed.g[...]
[20]
뉴스
La Vallée d'Aoste: enclave francophone au sud-est du Mont Blanc
https://web.archive.[...]
Zigzag magazine
2012-10-25
[21]
웹사이트
Une Vallée d'Aoste bilingue dans une Europe plurilingue
https://web.archive.[...]
Fondation Émile Chanoux
2015-04-07
[22]
문서
D.Lgs.C.P.S. 11 novembre 1946, n. 365. Ordinamento delle scuole e del personale insegnante della Valle d'Aosta ed istituzione nella Valle stessa di una Sovraintendenza agli studi.
http://www.edizionie[...]
[23]
문서
Loi constitutionnelle n° 4 du 26 février 1948 – Statut spécial pour la Vallée d'Aoste.
http://www.consiglio[...]
[24]
문서
D.P.R. 31 ottobre 1975, n. 861. – Organici delle scuole primarie, secondarie ed artistiche della Valle d'Aosta.
http://www.edizionie[...]
[25]
문서
Legge del 16 maggio 1978, n. 196 – Norme di attuazione dello statuto speciale della Valle d'Aosta. (GU Serie Generale n.141 del 23-05-1978)
https://www.gazzetta[...]
[26]
웹사이트
Sondaggio linguistico: Q 0301 Lingua materna – Qual è la sua lingua materna?
https://web.archive.[...]
2018-05-31
[27]
웹사이트
Sondaggio Linguistico Comunità Walser
https://web.archive.[...]
2018-05-31
[28]
문서
Aosta Valley Castles
http://www.naturaost[...]
2014-03-15
[29]
문서
Aosta Valley Regional Museum of Natural Science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Fontina
http://www.lovevda.i[...]
Valle D'Aosta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31]
웹사이트
Seupa à la Vapelenentse (Valpelline Soup)
http://www.lovevda.i[...]
Valle D'Aosta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32]
웹사이트
Gressoney toma cheese
http://www.lovevda.i[...]
Aosta Valley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33]
웹사이트
Fromadzo cheese
http://www.lovevda.i[...]
Valle D'Aosta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34]
웹사이트
Valleé d'Aoste Lard d'Arnad
http://www.lovevda.i[...]
Aosta Valley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35]
웹사이트
Vallée d'Aoste Jambon de Bosses
http://www.lovevda.i[...]
Aosta Valley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36]
웹사이트
The Teuteun
http://www.lovevda.i[...]
Valle D'Aosta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37]
웹사이트
Steak Valdaostan style
http://www.fontina-d[...]
Consorzio Produttori e Tutela Della Fontina DOP
2015-10-23
[38]
웹사이트
Valle d'Aosta
https://borghipiubel[...]
2017-01-09
[39]
웹사이트
Borghi più belli d'Italia. Le 14 novità 2023, dal Trentino alla Calabria
https://www.repubbli[...]
2023-01-16
[40]
웹사이트
I Borghi più belli d'Italia, la guida online ai piccoli centri dell'Italia nascosta
http://borghipiubell[...]
2018-05-03
[41]
웹사이트
D.O.C. Wine
http://www.lovevda.i[...]
Valle D'Aosta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42]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Valle d'Aosta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2-12-09
[43]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2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3-03-22
[44]
문서
삼국국경은 [[몬드란]]산정부근에 있다
[45]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Valle d'Aosta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2-12-09
[46]
웹사이트
La Vallée d'Aoste : enclave francophone au sud-est du Mont Blanc
http://zigzag-franco[...]
Zigzag-francophonie.eu
2013-11-28
[47]
웹사이트
La lingua italiana, i dialetti e le lingue stranieri
http://www.istat.it/[...]
2012-12-10
[48]
웹인용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Demo.istat.it
2010-04-22
[49]
웹인용
Italian Parliament - VI Commission document 2000-07-18 (in Italian)
http://www.camera.it[...]
[50]
웹인용
Tempo in atto su Plateau Rosa
http://www.meteoam.i[...]
meteoam.it
2020-01-21
[51]
Youtube
Lovevda.it
https://www.lovevda.[...]
[52]
뉴스
What does Valdosta mean?
https://archive.toda[...]
2009-10-12
[53]
서적
Allied military administration of Italy, 1943-1945
https://books.google[...]
H. M. Stationery Office
1957
[54]
웹인용
Foreign Citizens. Resident Population by sex and citizenship on 31st December 2019
http://demo.istat.it[...]
이탈리아 통계청
2018-06-19
[55]
저널
The Effect of Minority Group Vitality upon Its Sociopsychological Behaviour and Strategies
http://www.eric.ed.g[...]
[56]
뉴스
La Vallée d'Aoste: enclave francophone au sud-est du Mont Blanc
https://web.archive.[...]
Zigzag magazine
2012-10-25
[57]
웹인용
Une Vallée d'Aoste bilingue dans une Europe plurilingue
https://web.archive.[...]
Fondation Emile Chanoux
2015-04-07
[58]
웹인용
Sondaggio linguistico: Q 0301 Lingua materna - Qual è la sua lingua materna?
https://web.archive.[...]
2018-05-31
[59]
웹인용
Sondaggio Linguistico Comunità Walser
https://web.archive.[...]
2018-05-31
[60]
Youtube
Aosta Valley Regional Museum of Natural Science
https://web.archive.[...]
[61]
문서
Aosta Valley Castles
[62]
웹인용
D.O.C. Wine
http://www.lovevda.i[...]
Valle D'Aosta Official Tourism Website
2015-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