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마식 사회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식 사회주의는 1962년 네 윈의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서 시행된 사회주의 정책으로, 반서방주의, 고립주의, 사회주의, 군부 의존, 농촌 중시, 버마 민족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이념적으로 불교, 인본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1963년에는 자체적인 진보 방식을 제시했다. 그러나 교육 및 의료 분야에서 일부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국유화와 암시장 번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표현 및 언론의 자유는 제한되었다. 1970년대 경제 개혁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고, 1988년에는 경제난과 통화 정책 실패로 8888 항쟁을 초래했다. 또한, 버마식 사회주의는 소수 민족을 '버마화'하려는 정책으로 이어져 민족 분쟁을 심화시켰으며, 군부 독재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문서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1962년 문서 - 오버하우젠 선언
    오버하우젠 선언은 1960년대 독일 영화의 새로운 물결을 이끈 오버하우젠 그룹이 기존 영화 관습에 도전하고 사회 비판적인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발표한 선언이다.
  • 미얀마의 역사 - 8888 항쟁
    8888 항쟁은 1988년 미얀마에서 발생한 대규모 민주화 운동으로, 군부 독재와 경제난에 대한 저항이 전국적인 시위로 확산되었으나 군부의 강경 진압과 쿠데타로 실패했지만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미얀마의 역사 - 마니푸르 왕국
    마니푸르 왕국은 인도 북동부에 위치했던 역사적인 왕국으로, 강레이팍 왕국에서 시작하여 여러 왕조를 거치며 발전했으나, 영국의 보호령과 제후국을 거쳐 인도에 합병되어 주 지위를 획득하였다.
  • 민족주의 - 민족 종교
    민족 종교는 특정 민족 집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문화, 언어, 관습을 규정하는 종교로, 민족의 정체성 유지 수단으로 기능하며, 대종교, 신토, 도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유대교 등이 대표적이다.
  • 민족주의 - 화이트 내셔널리즘
    화이트 내셔널리즘은 백인 인종과 문화의 우월성 및 생존을 옹호하며, 백인이 주류인 국가에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데올로기이자 사회운동으로, 혼혈, 다문화주의, 비백인 이민 등을 백인 인종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다.
버마식 사회주의
기본 정보
미얀마 국기
미얀마 국기
명칭버마식 사회주의
다른 이름미얀마식 사회주의
로마자 표기Myanma Hnin Myanma Hgan Hso Shayalit Hsanit
유형국가 사회주의
주창 시기1962년
해체 시기1988년
역사
배경1962년 군사 쿠데타
수립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창당
종식1988년 9월 18일 군사 쿠데타 및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SLORC) 창설
특징
목표사회주의 사회 건설
주요 정책국유화
계획 경제
쇄국 정책
자력갱생
특징민족주의적 성향
불교적 색채
권위주의적 통치
관련 인물
주요 인물네 윈
관련 인물아웅산
영향
경제적 영향경제 침체 및 빈곤 심화
사회적 영향사회 불만 및 민주화 운동 확산
정치적 영향군부 독재 강화
기타
관련 문서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2. 역사적 배경

우 누 총리가 이끄는 AFPFL 연립 정부는 연방 의회에서 좌익 경제 및 복지 정책을 시행했지만, 1950년대 내내 경제 성장은 둔화되었다.[7] 1958년까지 버마는 경제적으로는 대체로 회복되기 시작했지만, 집권 AFPFL은 우 누와 타킨 틴이 이끄는 청정 AFPFL과 바 스웨와 쿄 넹이 이끄는 안정 AFPFL의 두 파벌로 분열되면서 정치적으로 무너지기 시작했다.[8]

이러한 상황은 우 누의 "민주주의를 위한 무기" 제안이 아라칸, 파오, 일부 단체, 그리고 PVO가 무기를 항복하면서 예상치 못한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었다.[8] 연방 의회는 매우 불안정해졌고, 우 누는 야당인 국민통일전선 (NUF)의 지지를 받아 간신히 불신임 투표에서 살아남았는데, NUF에는 잠재적 공산주의자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8] 버마 육군의 강경파들은 이를 NUF를 통해 버마 공산당 (CPB)이 우 누와 합의할 위협으로 간주했고, 그 결과 우 누는 육군 참모총장 네 윈 장군을 버마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임시 총리로 초빙했다.[8]

1958년 10월 28일, 네 윈은 우 누의 후원 하에 내부 쿠데타를 일으켜 "네 윈 과도 정부"를 수립, 버마의 정치적 안정을 회복했다. 이는 1960년 2월 총선까지 유지되었으며, 이 선거에서 연합당으로 개명된 우 누의 청정 AFPFL이 압도적인 다수로 복귀했다.[8] 네 윈은 1960년 4월 4일 우 누에게 공식적으로 권력을 이양했다.[9] 그러나 1948년 버마 대통령이자 냥쉐의 사오파였던 사오 슈웨 타익이 시작한 샨 연방주의 운동의 청원으로 인해 버마의 상황은 오래 안정되지 않았다. 샨 연방주의자들은 버마에 "느슨한" 연방을 창설하고자 했으며, 1947년 버마 헌법에 규정된 10년 안에 분리할 권리를 버마 정부가 존중할 것을 주장했기 때문에 분리주의 운동으로 간주되었다. 네 윈은 이미 1959년에 샨 사오파의 봉건적 권력을 박탈하고 편안한 종신 연금으로 교환하는 데 성공했지만, 연방주의와 사회 질서의 미해결 문제는 계속되었다.

2. 1. 우 누 정부와 AFPFL의 분열 (1950년대)

우 누 총리가 이끄는 AFPFL 연립 정부는 연방 의회에서 좌익 경제 및 복지 정책을 시행했지만, 1950년대 내내 경제 성장은 둔화되었다.[7] 1958년까지 버마는 경제적으로는 대체로 회복되기 시작했지만, 집권 AFPFL이 우 누와 타킨 틴이 이끄는 청정 AFPFL(သန့်ရှင်းဖဆပလ)과 바 스웨와 쿄 넹이 이끄는 안정 AFPFL(တည်မြဲဖဆပလ)의 두 파벌로 분열되면서 정치적으로 무너지기 시작했다.[8]

이러한 상황은 우 누의 "민주주의를 위한 무기" 제안이 아라칸, 파오, 일부 단체,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PVO가 무기를 항복하면서 예상치 못한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었다.[8] 연방 의회는 매우 불안정해졌고, 우 누는 야당인 국민통일전선 (NUF)의 지지를 받아 간신히 불신임 투표에서 살아남았는데, NUF에는 잠재적 공산주의자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8]

버마 육군의 강경파들은 이를 NUF를 통해 버마 공산당 (CPB)이 우 누와 합의할 위협으로 간주했고, 그 결과 우 누는 육군 참모총장 네 윈 장군을 버마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임시 총리로 초빙했다.[8] 400명 이상의 "공산주의 동조자"가 체포되었으며, 그 중 153명은 안다만 해의 그레이트 코코 섬에 있는 유배지로 추방되었다. 이 중에는 NUF 지도자 아웅 탄, 아웅 산의 형도 있었다. ''보타타웅'', ''키몬'', ''랑군 데일리''와 같은 신문도 폐쇄되었다.[8]

2. 2. 네 윈의 과도 정부 (1958-1960)

우 누 총리가 이끄는 연립 정부는 좌익 경제 및 복지 정책을 시행했지만, 1950년대 경제 성장은 둔화되었다.[7] 1958년, 집권 AFPFL은 우 누와 타킨 틴의 청정 AFPFL과 바 스웨, 쿄 넹의 안정 AFPFL 두 파벌로 분열되어 정치적으로 불안정해졌다.[8]

이러한 상황은 우 누의 "민주주의를 위한 무기" 제안으로 아라칸, 파오, 일부 단체, 그리고 PVO가 무기를 반납하는 예상 밖의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었다.[8] 야당인 국민통일전선 (NUF)에는 잠재적 공산주의자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고, 버마 육군 강경파들은 이를 버마 공산당 (CPB)이 우 누와 합의할 위협으로 간주했다.[8]

결국 우 누는 육군 참모총장 네 윈 장군을 임시 총리로 초빙했다.[8] 400명 이상의 "공산주의 동조자"가 체포되었고, 그 중 153명은 안다만 해의 그레이트 코코 섬 유배지로 추방되었다. NUF 지도자이자 아웅 산의 형인 아웅 탄도 포함되었다. ''보타타웅'', ''키몬'', ''랑군 데일리''와 같은 신문도 폐쇄되었다.[8]

1958년 10월 28일, 네 윈은 우 누의 후원 하에 내부 쿠데타를 일으켜 "네 윈 과도 정부"를 수립, 정치적 안정을 회복했다. 이 과도 정부는 1960년 총선까지 유지되었으며, 총선에서 우 누의 청정 AFPFL(연합당으로 개명)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8] 네 윈은 1960년 4월 4일 우 누에게 공식적으로 권력을 이양했다.[9]

2. 3. 샨족 연방주의 운동과 정치적 불안정

우 누 총리가 이끄는 AFPFL 연립 정부는 좌익 경제 및 복지 정책을 시행했지만, 1950년대 내내 경제 성장은 둔화되었다.[7] 1958년까지 버마는 경제적으로는 대체로 회복되기 시작했지만, 집권 AFPFL은 우 누와 타킨 틴이 이끄는 청정 AFPFL과 바 스웨와 쿄 넹이 이끄는 안정 AFPFL의 두 파벌로 분열되면서 정치적으로 무너지기 시작했다.[8]

이러한 상황은 우 누의 "민주주의를 위한 무기" 제안이 아라칸, 파오, 일부 단체,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PVO가 무기를 항복하면서 예상치 못한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었다.[8] 연방 의회는 매우 불안정해졌고, 우 누는 야당인 국민통일전선 (NUF)의 지지를 받아 간신히 불신임 투표에서 살아남았는데, NUF에는 잠재적 공산주의자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8]

1960년 4월 4일, 네 윈은 승리한 우 누에게 공식적으로 권력을 이양했다.[9] 그러나 1948년 버마 대통령이자 냥쉐의 사오파였던 사오 슈웨 타익이 시작한 샨 연방주의 운동의 청원으로 인해 버마의 상황은 오래 안정되지 않았다. 샨 연방주의자들은 버마에 "느슨한" 연방을 창설하고자 했으며, 1947년 버마 헌법에 규정된 10년 안에 분리할 권리를 버마 정부가 존중할 것을 주장했기 때문에 분리주의 운동으로 간주되었다. 네 윈은 이미 1959년에 샨 사오파의 봉건적 권력을 박탈하고 편안한 종신 연금으로 교환하는 데 성공했지만, 연방주의와 사회 질서의 미해결 문제는 계속되었다.

2. 4. 1962년 쿠데타와 버마식 사회주의의 등장

1962년까지 미얀마 국민들은 선출된 문민 정부를 부패하고 무능하며, 법과 질서를 회복할 수 없다고 인식했다. 반면 미얀마 군은 네 윈의 과도 정부가 창출한 안정으로 인기를 얻었다. 1962년 3월 2일, 문민 통치로 복귀한 지 2년도 채 되지 않아 네 윈은 우 누의 동의 없이 두 번째 군부 쿠데타를 일으켰다.[10] 네 윈은 군정 하에 미얀마를 일당제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었고, 연방 혁명 위원회는 연방 의회를 대신하여 최고 통치 기구로 자리 잡았다. 네 윈은 연방 혁명 위원회 의장과 총리, 즉 미얀마의 국가 원수와 행정 수반으로서 독재자가 되었다. 4월, 연방 혁명 위원회 정부는 미얀마 통치를 위한 공식적인 정치 및 경제 이념으로 "미얀마식 사회주의"를 채택했다. 7월,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은 미얀마식 사회주의의 일환으로 미얀마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창설되었다. BSPP는 네 윈을 의장으로 하여 공식적인 집권 여당이 되었다.[10]

3. 이념적 특징

1963년에 제시된 "버마식 사회주의"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12][13]


  • 혁명위원회는 버마의 현실과 자연 조건을 객관적으로 연구하고 평가하여 자체적인 진보 방식을 개발한다.
  • 혁명위원회는 자기 비판을 통해 개선하며, 우경 또는 좌경으로의 일탈을 경계한다.
  • 혁명위원회는 국가의 기본적 이익을 우선하며,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진보한다.
  • 혁명위원회는 국내외의 진보적인 아이디어와 경험을 활용하여 국가 복지에 기여하는 프로그램을 수립한다.


1970년대 중반 이후 경제적 실패로 인해 버마는 외국인 직접 투자를 포함한 더 많은 민간 활동을 받아들여야 했다.[14] 1981년의 학술적 분석에 따르면, "버마가 현재 사회주의 사회이거나, 사회주의 사회가 되어가는 과정에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14]

1990년대 이후, 민족 활동가들은 1960년대 네 윈 장군의 정책을 "버마화"라고 지칭하며, 이는 버마식 사회주의 정책이 국영화된 학교 시스템, 대중 문화 및 군대를 통해 미얀마의 소수 민족을 "버마화"하려는 시도였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정책에 대한 저항은 민족 반란과 "4개의 삭감" 정책으로 알려진 버마군의 폭력적인 대응, 로힝야와 같은 집단에 대한 시민권 거부로 이어졌다.[15]

3. 1. 반서방주의, 고립주의, 사회주의, 군부 의존, 농촌 중시, 버마 민족주의

일부 학자들은 "버마식 사회주의"를 반서방주의, 고립주의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성격을 띠며, 군대에 대한 광범위한 의존, 농촌 민중 중시, 버마(구체적으로는 버만족) 민족주의가 특징이라고 묘사했다.[11] 연방혁명위원회 지도자들의 언어가 사회주의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행동은 국가의 권력을 극대화하려는 열렬한 민족주의자들의 행동이었다.[11]

1963년 1월, "버마식 사회주의"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 체계"(လူနှင့် ပတ်ဝန်းကျင်တို့၏ အညမည သဘောတရားmy)라는 정치적 공공 정책으로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이는 불교, 인본주의,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의 영향을 받아, 사회에 대한 버마의 접근 방식과 네 윈이 사회주의로 간주한 것의 철학적, 정치적 기반으로 출판되었다.[12][13]

1962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버마의 소유, 계획 및 개발 전략에 대한 후속 논의는 버마가 형식적으로 사회주의 경제의 구조를 수립했지만, 실제로 그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1981년의 학술적 분석에 따르면, "버마가 현재 사회주의 사회이거나, 사회주의 사회가 되어가는 과정에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14] 이 연구는 또한 "지도부는 어느 정도의 사회적 관심을 보여주지만,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의지가 명백히 부족하다"고 밝혔다.[14]

특히 1990년대 이후, 민족 활동가들은 1960년대 네 윈 장군의 정책을 "버마화"라고 지칭했다. 이 용어는 버마 문화, 군사 통제 및 버마 불교를 강조하는 버마식 사회주의의 정책을 지칭했다.

3. 2. 불교, 인본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영향

1963년 1월, "버마식 사회주의"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 체계"(လူနှင့် ပတ်ဝန်းကျင်တို့၏ အညမည သဘောတရားmy)라는 정치적 공공 정책으로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불교, 인본주의,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의 영향을 받았다.[12][13]

1963년에 제시된 "버마식 사회주의"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혁명위원회는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실행할 때, 버마의 구체적인 현실과 특유의 자연 조건을 객관적으로 연구하고 평가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및 평가에서 도출된 실제 결과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진보 방식을 개발할 것이다.
2혁명위원회는 자기 비판을 통해 자기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현대사에서 우경 또는 좌경으로의 일탈의 해악을 배우고, 위원회는 그러한 일탈을 경계하며 피할 것이다.
3혁명위원회는 어떤 상황과 어려움에 직면하든, 국가의 기본적 이익을 마음에 새기며 시대, 조건, 환경 및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진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4혁명위원회는 국가의 복지에 진정으로 실질적인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모든 방법과 수단을 부지런히 모색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출신 국가에 관계없이 국내외의 진보적인 아이디어, 이론 및 경험에서 제공하는 기회를 비판적으로 관찰하고 연구하며 활용할 것이다.


3. 3. 버마식 사회주의의 기본 원칙 (1963)

혁명위원회는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실행할 때 버마의 구체적인 현실과 특유의 자연 조건을 객관적으로 연구하고 평가했다. 이러한 연구 및 평가에서 도출된 실제 결과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진보 방식을 개발했다.[11]

혁명위원회는 자기 비판을 통해 자기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현대사에서 우경 또는 좌경으로의 일탈이 가져오는 해악을 배우고, 그러한 일탈을 경계하며 피했다.[11]

혁명위원회는 어떤 상황과 어려움에 직면하든, 국가의 기본적 이익을 마음에 새기며 시대, 조건, 환경 및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진보를 위해 노력했다.[11]

혁명위원회는 국가 복지에 진정으로 실질적인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모든 방법과 수단을 부지런히 모색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출신 국가에 관계없이 국내외의 진보적인 아이디어, 이론 및 경험에서 제공하는 기회를 비판적으로 관찰하고 연구하며 활용했다.[11]

3. 4. 사회주의 경제 구조 수립의 한계와 외국인 직접 투자 수용

일부 학자들은 "버마식 사회주의"가 반서방주의, 고립주의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군대에 대한 광범위한 의존, 농촌 민중 중시, 버마(구체적으로는 버만족) 민족주의가 특징이라고 설명했다.[11] 연합혁명위원회 지도자들의 언어는 사회주의적이었지만, 그들의 행동은 국가 권력을 극대화하려는 민족주의자들의 행동과 유사했다.[11]

1962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버마의 소유, 계획 및 개발 전략에 대한 학술적 논의에 따르면, 버마는 형식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 구조를 수립했지만, 실제로는 그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지 못했다.[14] 1970년대 중반 이후 경제적 실패로 인해 버마는 외국인 직접 투자를 포함하는 더 많은 민간 활동을 장려하는 정책을 채택해야 했다.[14]

1981년의 한 학술적 분석에서는 "버마가 현재 사회주의 사회이거나, 사회주의 사회가 되어가는 과정에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14] 이 연구는 또한 "지도부는 어느 정도의 사회적 관심을 보여주지만,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의지가 명백히 부족하다"고 평가했다.[14]

3. 5. '버마화' 정책과 소수민족 탄압

민족 활동가들은 1990년대 이후 네 윈 장군의 1960년대 정책을 "버마화"라고 비판했다. 이 용어는 버마 문화, 군사 통제, 버마 불교를 강조한 버마식 사회주의 정책을 가리킨다.[15]

버마식 사회주의 정책은 국영화된 학교 시스템, 대중 문화, 군대를 통해 미얀마의 소수 민족을 "버마화"하려 했다고 비판받는다. 버마화 과정에서 군 장교들은 버마어, 문화, 불교 확산을 감독했다.

이러한 정책에 대한 저항은 민족 반란과 버마군의 "4개의 삭감" 정책으로 알려진 폭력적인 대응을 불러일으켰고, 로힝야와 같은 집단은 시민권을 거부당했다.[15]

4. 영향

버마식 사회주의는 미얀마 사회, 경제, 정치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1962년 네 윈이 이끄는 군부는 쿠데타(en)를 일으켜 우 누 정권을 붕괴시켰다. 군부는 경제 발전을 꾀하고, 국내에서 해외 영향을 배제하며, 군의 권한을 확대하고자 사회주의 노선을 채택했다.[20] 과학적 사회주의를 부정하고, 버마족의 주요 종교불교를 사회주의의 근간으로 삼았다.

이는 불교 사회주의에 기반한 것으로, "버마 사회주의로 가는 길"이라는 소책자에서는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인정하면서도 유물론에는 반대하며 불교를 채택한다고 명시했고, 버마 공산당과는 대립했다.

민족주의적 정책의 일환으로, 외국 자본과 외국인의 단기 입국을 제한하여 사실상 "쇄국" 체제를 구축했다. 미국은 네 윈의 쿠데타를 "좌익 혁명"으로 규탄하기도 했으나, 버마 공산당과의 군사적 충돌, 황금의 삼각지대 문제에 대한 네 윈의 태도에 주목했다. 네 윈 역시 미국의 외교 방침을 비판하면서도 직접적인 반미 정책은 취하지 않아, 양국은 기본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1980년대 중반까지 제한적인 지원을 주고받았다.

버마식 사회주의는 "버마의 가치를 손상시킨다"는 이유로 재외 자본과 문화를 배척했다. 특히 구 종주국인 영국의 영향을 철저히 배제하여, 1970년에는 대면 교통 방식을 영국식 좌측 통행에서 우측 통행으로 변경했다.

화교와 인도계의 상점과 기업은 강제 폐쇄되었고, 이들의 출신국인 중국, 인도와의 관계도 긴장되었다. 불교를 중시하는 정책은 기독교를 믿는 카렌족, 카친족 등을 억압하여 민족 분쟁을 야기했다. 샨족의 자치권 약속은 쿠데타로 백지화되어 샨 주에서 반발이 일어났다.

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 공산당과 대립하는 모순적인 상황은 국민들 사이에서 "사회주의의 끔찍함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러 실행하는 것"이라는 일화를 낳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정책의 한계와 암시장 번성, 짯 폐지 등의 강경책으로 인해 8888 민주화 운동이 발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4. 1. 교육 및 의료 분야의 발전과 경제적 어려움

버마식 사회주의는 교육과 의료 분야에서 উল্লেখযোগ্য 발전을 이루었지만, 버마 국민의 경제와 생활 수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포드 재단, 아시아 재단을 비롯한 세계 은행과 같은 외국 원조 단체들은 더 이상 버마에서 활동할 수 없게 되었고[6], 정부 간의 원조만 허용되었다. 영어 교육은 개혁되어 유치원부터 시작되던 것이 중등학교로 옮겨졌다. 정부는 버마 시민, 특히 서방 국가로의 여행에 대해 광범위한 비자 제한을 시행했다. 대신 정부는 학생, 과학자 및 기술자들이 소련동유럽에서 훈련받고 국가의 "수년간의 서방 영향에 대항"하도록 지원했다.[6] 외국인 비자도 24시간으로 제한되었다.[16]

196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사이에 성인 문맹률은 60%에서 80%로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초등학교 입학률은 해당 연령 그룹의 44%에서 54%로 증가했다. 의료 부문에서 기대 수명은 44%에서 54%로 증가했고, 영아 사망률은 129에서 50으로 감소했으며, 의사 1인당 환자 수는 15,560명에서 3,900명으로 감소했다.[5]

4. 2.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제한

표현의 자유언론의 자유는 광범위하게 제한되었다. 외국어 출판물뿐만 아니라 "거짓 선전 뉴스"를 인쇄하는 신문도 금지되었다.[6] 1962년 8월, 혁명 평의회는 인쇄 및 출판 등록법을 통해 출판물 심사 위원회(현재는 출판물 심사 및 등록부)를 설립하여 오늘날까지 신문, 잡지, 광고 및 만화를 포함한 모든 출판물을 검열하고 있다.[17] 혁명 평의회는 국가 뉴스 배포 서비스 역할을 하는 버마 뉴스 에이전시(BNA)를 설립하여 외국 뉴스 에이전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대체했다. 1963년 9월, 버마 신문인 ''The Vanguard''와 ''The Guardian''이 국유화되었고, 1965년 12월에는 정부가 사립 신문 발행을 금지했다.[6]

4. 3. 경제 국유화와 암시장 번성

기업 국유화법에 따라 1963년 6월 1일, 수입 및 수출 무역, 쌀, 은행, 광업, 티크, 고무 등 모든 주요 산업이 국유화되었다.[6] 약 15,000개의 사기업이 국유화되었고,[7] 기업가들은 사립 자본으로 새로운 공장을 설립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앵글로-버마인, 버마계 인도인, 영국인에게 특히 불리하게 작용했다.

미국 및 영국 기업(General Exploration Company, East Asiatic Burma Oil 등)이 소유했던 석유 산업은 운영을 중단해야 했다. 정부 소유의 버마 석유 회사가 석유 추출 및 생산을 독점하게 되었다. 1963년 8월에는 백화점, 창고, 도매 상점을 포함한 기초 산업이 국유화되었고,[6] 가격 통제 위원회도 도입되었다.

기업 국유화는 버마 내 외국인, 특히 버마계 인도인과 버마계 중국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기업가이자 산업가로서 경제 부문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1963년 중반까지 매주 2,500명의 외국인이 버마를 떠났으며,[6] 1964년 9월까지 약 10만 명의 인도 국적자가 버마를 떠났다.[6]

암시장은 버마 사회의 주요 특징이 되었고, 버마식 사회주의 기간 동안 국가 경제의 약 80%를 차지했다.[7] 소득 불평등 또한 주요한 사회 경제적 문제였다.[7] 1960년대 동안 버마의 외환 보유고는 1964년 2.14억달러에서 1971년 5000만달러로 감소했고, 인플레이션은 급증했다.[18]

4. 4. 경제 개혁 시도와 실패

1971년 제1차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 의회에서 1960년대 경제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몇 가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버마 정부는 세계 은행에 다시 가입하고, 아시아 개발 은행에 가입하여 더 많은 외국 원조와 지원을 요청했다.[16]

농업, 임업, 석유 및 천연 가스 등 국가의 천연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20개년 계획이 도입되었다.[16] 이러한 개혁으로 생활 수준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경제 성장도 촉진되었다.[16]

그러나 1988년까지 대외 부채는 49억 달러로 증가하여 국가 GDP의 약 4분의 3에 달했다.[16] 네 윈이 행운의 숫자로 여긴 9로 나누어 떨어지는 액수로 짯을 폐지하려는 시도는 버마 국민들의 저축을 무가치하게 만들었고, 이는 결국 8888 항쟁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6][1][19]

5. 유산

1962년 네 윈이 주도한 쿠데타(en) 이후, 군부의 권한이 강화되었고, 이는 이후 미얀마 군사 정권의 발판이 되었다.

5. 1. 군부 독재의 발판 마련

1962년 3월, 네 윈이 이끄는 군부는 쿠데타(en)를 일으켜 우 누 정권을 무너뜨렸다. 이후 군부는 군의 권한 확대를 위해 사회주의 노선을 채택했다.[20] 이는 과학적 사회주의를 부정하고 불교를 사회주의의 근간으로 삼은 '불교 사회주의'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인정하면서도 유물론에는 반대하며 버마 공산당과는 대립했다. 1974년 뉴스위크는 이를 "불교와 마르크스주의 논리의 아말감"이라고 평가했다.

농업국유화되지 않았지만, 농작물은 정부에 의해 강제로 매입되었다. 도시 지역의 개인 상점은 모두 국영화되었고, 구 유고슬라비아의 기술 지원을 받아 공업화가 추진되었으나, 군수 산업을 제외하고는 비효율성으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민족주의적 정책으로 외국 자본이 배제되고, 외국인의 단기 입국조차 제한되어 사실상 "쇄국" 체제가 구축되었다. 외교적으로는 구 동구권과 소원했으며, 중국이 버마 공산당을 지원하면서 대립 관계가 형성되었다. 이 때문에 미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와 제한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다.

1970년에는 대면 교통이 영국식 좌측 통행에서 우측 통행으로 변경되었고, 해외 기업, 세계 은행 등의 국제 기구, 외국의 각종 단체가 폐쇄 및 추방되었다. 소작료 지불 폐지로 인해 인도계 지주들이 인도로 철수했고, 각종 유흥 시설도 폐쇄되었다.

반(反)토착화되었던 화교나 인도계의 상점과 기업은 강제로 폐쇄되었고, 군인들이 경영에 나섰지만 경제는 혼란에 빠졌다. 카렌족, 카친족 등과의 민족 분쟁이 심화되었고, 샨족이 많은 샨 주에서는 팡롱 회의의 자치 독립 조항이 사실상 백지화되면서 반발이 커졌다.

1962년 쿠데타 이후 모든 정당은 해산되었고, 표면적으로는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에 의한 일당 독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실제로는 네 윈의 지지 기반은 군부였으며, 당원의 대다수가 군인이었다. 군부의 권한은 대폭 강화되었고, 이는 버마식 사회주의의 큰 특징이자 이후 미얀마 군사 정권의 발판이 되었다.

1980년대에는 정책의 한계로 암시장이 번성했고, 네 윈 정권은 차트 일부 폐지와 같은 강경책을 시행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1988년 8888 민주화 운동 발발의 원인이 되었고, 군부 쿠데타로 네 윈은 은퇴하고 버마식 사회주의는 종말을 맞이했다.

6. 비판

버마식 사회주의는 경제를 쇠퇴시키고, 고립주의적 정책으로 국민들을 가난과 억압에 빠뜨렸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인권을 탄압했다는 점에서도 비판의 대상이 된다.

참조

[1] 뉴스 Obituary: Ne Win http://news.bbc.co.u[...] BBC 2002-12-05
[2] 웹사이트 THE BURMESE ECONOMY AND THE WITHDRAWAL OF EUROPEAN TRADE PREFERENCES http://www.stefancol[...] 2011-08-13
[3] 서적 Economic Development of Burma: A Vision and a Strategy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8-01-16
[4]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GDP per capita (constant 2000 US$) for Myanmar, East Asia & Pacific region https://www.google.c[...] World Bank
[5] 서적 Economic Development of Myanmar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8-01-16
[6] 논문 Burmese Domestic Policy: The Politics of Burman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논문 The Burmese Ways to Socialism Taylor & Francis, Ltd.
[8] 서적 Burma –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Zed Books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General Ne Win's Legacy of Burmanization in Myanmar https://link.springe[...] 2024
[11] 논문 Burma: The Nexus of Socialism and Two Political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웹사이트 The System of Correlation of Man and His Environment http://www.burmalibr[...]
[13] 서적 Mental culture in Burmese crisis politics: Aung San Suu Kyi and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ILCAA
[14] 논문 The Burmese way to 'socialism' https://dx.doi.org/1[...] 1981-09-01
[15] 문서 Saw Eh Htoo and Tony Waters (2024). Genera Ne Win's Legacy of Burmanization in Myanmar. Palgrave MacMillan
[16] 논문 Myanmar: The Anomalies of Politics and Economics http://asiafoundatio[...] Asia Foundation
[17] 웹사이트 http://english.mizzi[...]
[18] 논문 Ne Win's Burma: At the End of the First Deca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문서 General Ne Win's Legacy of Burmanization, by Saw Eh Htoo and Tony Waters, Palgrave Macmillan Singapore, 2024
[20] 논문 Burmese Domestic Policy: The Politics of Burman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저널 Burmese Domestic Policy: The Politics of Burman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