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의 삼각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금의 삼각지대는 미얀마, 태국, 라오스 국경 지역을 아우르는 마약 생산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1971년 처음 사용되었으며,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의 아편 생산 억제 정책으로 인해 아편 재배가 이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형성되었다. 특히 미얀마 샨 주, 태국 북부, 라오스 일부 지역에서 양귀비 재배가 성행하며, 헤로인 생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헤로인 제조 기술이 도입되었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메스암페타민 생산이 급증하여 합성 마약 생산의 주요 지역으로 변모했다. 현재는 미얀마가 세계 최대 아편 생산국이며, 메스암페타민 생산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정치 - 라오스의 부주석
라오스의 부주석은 라오스 민주 공화국에서 국가 원수 다음의 중요 직책으로, 주로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핵심 인물들이 맡아 라오스 수립과 발전에 기여해왔다. - 아편 - 양귀비 (식물)
양귀비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인 한해살이풀로, 아편의 원료로 사용되어 아편 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으며, 현재 각국에서 재배 및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를 적용하고 대한민국에서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배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 아편 - 황금의 초승달 지대
황금의 초승달 지대는 오랜 역사를 가진 아편 생산지로 전 세계 아편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아편제를 유통하고 마약 밀매는 범죄 증가와 중독 문제 심화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여 국제 협력 및 국내 단속·예방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 태국의 정치 - 태국 국회
태국 국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 기관으로, 입법, 행정부 견제, 임명 및 탄핵 권한을 가지며, 국민이 선출하는 하원과 군부가 임명하는 상원으로 총 75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 태국의 정치 - 2010년 태국 시위
2010년 태국 시위는 탁신 친나왓 전 총리 지지 세력인 '빨간 셔츠'가 아피싯 웨차치와 정부의 사퇴와 조기 총선을 요구하며 방콕을 중심으로 벌인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정부의 강경 진압과 유혈 사태, 사회적 갈등 심화, 그리고 정권 교체로 이어졌다.
황금의 삼각지대 |
---|
2. 명칭
"황금의 삼각지대(골든 트라이앵글)"라는 명칭은 비교적 최근에 생겨났다.
19세기부터 양귀비 재배가 시작된 골든 트라이앵글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으로 나라를 잃은 중국 국민당 잔당 무장 조직이 미얀마 샨 주 와족 지역으로 들어와 반독립국을 형성하고 마약을 활동 자금원으로 삼았다.
1971년 7월 24일, 미국의 작가이자 역사학자, 저널리스트인 T. D. 올만은 '''『'''극동 경제 리뷰(Far Eastern Economic Review)'''』'''에서 당시 미국 국무 차관보였던 마셜 그린의 말을 인용했다. 냉전 시대, 미국은 동남아시아의 헤로인 붐을 중국 탓으로 돌렸지만, 그린은 이를 부정하고 "미얀마 북동부에서 태국 북부, 라오스 북서부에 걸쳐있는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재배되고 있다"고 말했다. 당시 미국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꾀하고 있었고, 같은 달 리처드 닉슨의 방중이 발표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아편이 거래될 때 순금 금괴와 교환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골든 트라이앵글"이라는 명칭은 사람들에게 바로 그 아편 거래를 연상시켜 곧 널리 퍼졌다. 중국어의 "금삼각(金三角)"과 태국어의 "Samliam Thongkham"도 마찬가지로 널리 퍼졌다.[73]
3. 역사
이후 미얀마에서는 버마 공산당이 마약을 자금원으로 하여 당시 버마 정부에 대항해 무장 투쟁을 벌였다. 중국 국민당 잔당으로부터 독립한 쿤 사가 이끄는 몬·태국군도 독자적으로 마약 사업을 벌이는 등, 미얀마의 정세 불안을 틈타 마약이 산업화되었다.
1996년, '마약왕' 쿤 사가 미얀마 군사 정권에 본거지를 넘겨주었지만, 이는 군사면에 한정된 것이었고 쿤 사는 계속해서 미얀마에서 사업을 했다. 와족 연합군이나 샨 주군은 마약 생산을 계속했으며, 각성제 제조도 증가했다. 2004년, 태국 정부는 이 지역의 연간 마약 원료 생산량이 2,500~3,000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러한 조직들은 미얀마 정부와 평화를 맺었지만, 무장 해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미얀마 정부에 반항하지 않는 한 활동이 묵인되었다. 한편, 마약 자금을 바탕으로 미얀마와 이웃 나라 태국에서 호텔 경영 등 합법적인 사업에 착수하는 조직도 많았다. 미얀마 정부는 마약 단속에 주력했지만, 마약 산업이 자국의 정치 상황과 관련되어 있고, 군사력을 갖춘 조직들을 제압하기 어려워 강경책보다는 회유책을 쓸 수밖에 없었다.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아편 생산은 중국 국경 남쪽의 황금 삼각지대로 이동했다.[14] 1750년 콘바웅 왕조 시기부터 소규모로 미얀마의 아편 생산이 이루어졌다.[15]
버마의 중국 국민당 군대는 황금 삼각지대에서 활동하는 사설 마약 군대의 선구자였다. 1949년, 패배한 국민당 군대가 윈난성에서 버마 국경을 넘어왔고, 버마 국경 지역을 장악했다. 거의 모든 아편은 태국 남부로 보내졌다.[16] 국민당 통제 지역은 버마의 주요 아편 생산 지역이었으며, 이들은 아편 무역 통제를 확대했다. 1950년대 초 공산 중국이 윈난에서 불법 아편 재배를 근절하면서 아편 독점은 샨 주의 국민당 군대에게 넘어갔다. 이들은 지역 주민을 강제 징집하고 식량과 자금을 강요했으며, 아편 재배자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여 생산량 증가를 강요했다. 연간 생산량은 버마 독립 당시 30ton에서 1950년대 중반 600ton으로 20배 증가했다.[17]
3. 1. 전사(前史)
19세기 중반, 영국은 중국과의 차 무역에서 발생한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인도산 아편을 대량으로 중국에 수출했다.[76] 이로 인해 중국에는 아편이 대량으로 유입되었고,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아편 중독에 빠졌다. 1840년부터 1842년, 그리고 1856년부터 1860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아편 전쟁이 발발했고, 이 전쟁에서 중국이 영국에 패배하면서 중국으로 유입되는 아편의 양은 더욱 증가했다. 1860년대에는 중국의 윈난성과 쓰촨성에서도 대규모로 양귀비 재배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880년 이후에는 중국 내 아편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수입 아편의 양은 감소했지만, 20세기 초까지 중국의 연간 아편 생산량은 2만 2,000톤, 소비량은 연간 3만 9천 톤, 중독자는 1,350만 명에 달했다.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아편 중독자들에 대한 강제 치료와 아편 생산 지역에 대한 새로운 작물 재배를 명령했다. 그 결과, 아편 생산은 중국 국경 남쪽의 황금 삼각지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14]
3. 1. 1. 식민지 시대
19세기 말, 프랑스는 인도차이나 식민 지배를 위한 재정 확보를 위해 아편 전매 제도를 시행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1858년부터 시작된 인도차이나 정복의 군사비 조달을 위해 중국에서 아편을 수입하여 중국인 실업가에게 전매권을 주었고, 하노이, 후에, 사이공 등에서 판매했다. 1889년 인도차이나 연방 성립 후에는 식민지 정부가 직접 아편 거래를 관리, 아프가니스탄, 인도, 중동에서 수입한 아편을 판매했다. 1900년까지 아편세는 정부 세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1930년에는 전국에 3,500개의 아편굴이 있었으며, 아편 남용은 사회 모든 계층으로 확산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프랑스 식민지 정부는 아편 수입이 어려워지자 통킹과 라오스의 산악 소수 민족에게 양귀비 재배를 장려, 중국인 중개인을 통해 연간 약 40톤의 아편을 구입했다. 이 거래로 중국인 중개인은 큰 부를 얻었지만, 산악 소수 민족 사람들은 여전히 가난했다.[1] 캄보디아는 평탄한 국토와 덥고 습한 기후로 인해 프놈펜에 극소 규모의 아편굴만 존재했을 뿐, 아편 확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1]
태국은 이전에는 아편 밀매상에게 사형을 내리는 등 엄격한 태도를 보였으나, 1852년 라마 4세가 영국의 압력으로 아편을 합법화하고 중국인 실업가에게 전매권을 주었다. 국내에서는 양귀비 재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고급 아편은 인도나 중동에서, 저렴한 것은 중국에서 수입하여 판매했다. 1907년부터는 정부가 직접 아편 거래를 관리했고, 1913년에는 인도에서 147톤의 아편이 수입되었으며, 아편굴 수는 1880년 1,200채에서 1917년 3,000채로 증가, 아편 중독자는 1921년까지 20만 명에 달했다. 당시 아편세는 정부 세입의 15~20%를 차지했다.[2]
미얀마는 1826년부터 1885년까지 세 차례의 영미 전쟁을 거쳐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910년 아편령과 1938년 아편 규칙에 따라 영국 식민지 정부가 아편을 독점적으로 관리했다. 양귀비 재배는 합법이었으나, 실제로는 와 지역과 코칸 지역에서만 재배되어 크게 확산되지 않았다. 전전(戰前) 주요 샨족의 인류학적 연구에는 아편에 관한 기술이 거의 없었고, 연간 아편 생산량은 30톤 정도였다.[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얀마에서는 연합국 측에서 일본과 싸운 카친족 병사들에게 아편으로 급여를 지불, 화폐 대신 아편이 사용되기도 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미얀마, 라오스, 태국의 황금 삼각지대에서의 연간 아편 생산량은 약 80톤으로 추정된다.[5]
3. 2. 골든 트라이앵글의 형성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중국 국민당 잔당이 미얀마 샨 주 등으로 피신하면서 골든 트라이앵글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9세기부터 양귀비 재배가 이루어지던 이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으로 갈 곳을 잃은 국민당 잔당이 미얀마의 정세불안을 이용하여 마약을 산업화해 갔다.[14]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아편 생산은 중국 국경 남쪽의 황금 삼각지대로 이동했다.[14] 1950년대 중반, 버마(미얀마)의 아편 연간 생산량은 독립 당시 30톤에서 600ton으로 20배 증가했다.[17] 국민당 잔당은 미국 CIA과 태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아편 생산과 거래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고, 이는 골든 트라이앵글을 세계적인 마약 생산지로 만들었다.
미얀마는 세계 최대의 불법 마약 거래 아편 생산국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초국가적 마약 거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UNODC에 따르면 2005년 미얀마에서 약 432.53km2 면적에서 아편이 재배된 것으로 추정된다.[18]
1996년, '마약왕' 쿤 사가 미얀마 군사 정권에 본거지를 넘겨주었지만, 마약 밀조와 밀매는 계속되었다. 태국 정부는 2004년, 이 지대에서의 연간 마약 원료 생산량이 추정컨대 2,500~3,000톤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황금의 삼각지대(골든 트라이앵글)"라는 명칭은 1971년 미국의 작가 T. D. 올만이 처음 사용했다. 당시 미국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꾀하고 있었고, 이 지역에서 아편이 거래될 때 순금 금괴와 교환되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골든 트라이앵글"이라는 명칭은 곧 널리 퍼졌다.[73]
3. 2. 1. 국민당의 역할
1948년 1월, "미얀마 연방"이 독립한 직후 미얀마는 내전에 돌입했다. 1950년 1월,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중국 국민당 군 병사 약 200명이 국경을 넘어 샨 주에 침입하여 주변에 진을 쳤다. 이후 타칠레익으로 진군했지만, 국군의 반격을 받아 서쪽으로 철수하여 이라는 마을에 도착했는데, 이곳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건설한 작은 비행장이 있었다. 방콕과 타이베이에서 비행기가 날아와 원조 물자와 병기, 탄약을 전달했다.[77][78]
이들의 목적은 윈난성에 재침입하여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중국을 탈환하는 것이었다. 당시 CIA과 차이나 로비친대파는 샨 주의 국민당 군을 몰래 지원했다. 몽삿 공항에는 미국으로부터 원조 물자와 병력이 전달되었고, 1953년 말까지 국민당 군 병력은 1만 2,000명에 달했다.[77][78]
많은 병사와 가족을 부양하고 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국민당은 아편에 주목했다. 국민당은 콕캉 지역의 양진슈와 손을 잡고 아편 거래를 시작했다. 이들은 산악 소수 민족들에게 양귀비 재배를 늘리도록 설득하고 고액의 아편세를 부과했으며, 수집한 아편을 태국-미얀마 국경까지 수송하는 상인 카라반의 경비 비용도 징수했다.[79] 그 결과, 1950년대 중반까지 황금 삼각지대의 아편 생산량은 10~20배로 급증하여 연간 300~600톤에 달했다.
국민당 제5군 사령관 단시원은 1967년 인터뷰에서 "우리는 공산주의와 계속 싸워야 한다. 싸우려면 군대가 필요하고, 군대에는 총이 필요하며, 총을 사려면 돈이 필요하다. 이 산악 지대에서는 돈은 아편뿐이다"라고 말했다.
미국의 차이나 로비 친 대만파는 이를 묵인했지만,[80] 파오 시야논이 이끌던 당시 태국 경찰 부대는 태국-미얀마 국경에 도착한 아편을 CIA에서 제공받은 수단을 이용하여 방콕까지 수송하고 경비했다.[81] 태국 당국에게 국민당은 국경 경비대 역할도 했다.
결국 국민당은 윈난성 침투에 실패하고 세력이 축소되었지만, 황금 삼각지대의 구조를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
3. 3. 헤로인 생산과 확산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아편 생산은 중국 국경 남쪽의 황금 삼각지대로 이동했다.[14] 1949년, 패배한 국민당 군대 수천 명이 윈난성에서 버마 국경을 넘어왔고, 국민당은 버마 국경 지역을 장악했다. 이들이 통제하는 지역은 버마의 주요 아편 생산 지역이었으며, 이들은 아편 무역에 대한 통제를 확대했다.[16] 1950년대 중반, 버마 독립 당시 30톤이었던 연간 아편 생산량은 600ton으로 20배 증가했다.[17]
1960년대 중반까지 황금의 삼각지대에서는 아편만 거래되었을 뿐, 헤로인 제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기에는 황금의 삼각지대에서 채취된 아편이 태국 해안에서 배에 실려 홍콩으로 밀수출되어 그곳에서 헤로인으로 정제되었다. 그러나 영국 경찰의 단속이 강화되면서 정제소를 아편 생산지인 황금의 삼각지대로 이전해야 했다.
황금의 삼각지대 최초의 헤로인 정제소는 1960년대 중반 라오스의 반 파이 사이(현재 후아이사이군) 근처의 구릉 지대에 설립되었다. 이후 태국-미얀마 국경 지대에도 헤로인 정제소가 설립되었으며, 홍콩과 대만에서 숙련된 화학자들이 이주해왔다. 그곳에서 정제된 헤로인은 '스맥(Smack)'이라 불리며, 태국의 빈곤층, 갱, 매춘부 등 사이에서 퍼져나갔고, 방콕에서 북미, 유럽, 호주 등으로 수출되었다.
1962년 3월 2일, 네 윈은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 (BSPP)에 의한 일당 독재와 미얀마식 사회주의에 기반한 통제 경제 체제를 수립했다. 네 윈의 경제 정책은 1960년대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 마약 생산 증가의 한 원인이 되었다. 거의 모든 상공업 자본이 국유화되면서 경제에 비효율이 발생하여 심각한 물자 부족이 발생했고, 인도인, 중국인을 주축으로 하는 암상인·밀수업자들이 그 빈틈을 메웠다. 태국-미얀마 국경에서의 밀무역이 성행했는데, 태국에서 미얀마로 소비재, 섬유 제품, 기계류, 의약품, 미얀마에서 태국으로 티크재, 광물, 비취, 보석, 그리고 아편이 흘러갔다.[83][84]
샨주 군 (SSA)의 이론적 지주였던 사오 소와이(사오 찬)는 "미얀마식 사회주의는 사회주의를 창조하기는커녕, 사실상 국가 경제를 아편 밀매인의 손에 맡겼다"고 말했다. 이리하여, 태국-미얀마 국경 지대에서는 아편이 유일한 유효한 작물이 되었다.
미얀마는 1961년에 마약에 관한 단일 조약을 체결했지만, 카친 주와 샨 주에서의 아편 재배를 20년간 묵인한다는 예외 규정을 두어, 1970년대까지 샨 주의 살윈 강 동쪽 등 국내 특정 지역에서는 마약이 합법이었다. 이후, 국제 사회의 강한 비판으로 1974년에 불법 약물의 재배, 판매, 소지, 사용을 금지하는 새로운 마약·위험 약물 법을 제정하여 아편 재배를 전면 금지했지만, 이미 늦은 상황이었다.[88]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이란, 파키스탄, 터키에서 양귀비 재배가 금지되어 황금의 삼각 지대의 존재감이 커졌다. 또한 베트남 전쟁으로 베트남에 주둔하는 미군 병사들이 헤로인을 찾게 되었다. 1973년 미국 정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베트남에 주둔하는 미군 병사의 34%가 헤로인을 일상적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3. 3. 1. 카쿠웨이에 제도
1963년, 네 윈은 샨 주의 무장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카쿠웨이에(Ka Kwe Ye: KKY, "방어"라는 의미) 제도를 도입했다.[85] 이는 반란군과 싸우는 대가로 샨 주 내의 정부가 관리하는 모든 도로와 마을을 아편 수송에 사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었다.[85] 미얀마 정부는 마약 거래로 KKY가 경제적으로 자립하면서 반정부 무장 세력과 싸우도록 하여 병력 부족과 재정난을 해결하고자 했다.[85]
KKY 사령관으로는 지역 군벌, 비정치적인 산적이나 사병의 사령관, 망명한 반정부 세력 등이 영입되었는데, 그중에는 후에 "마약왕"으로 이름을 떨치는 로 싱한과 쿤 사가 있었다.[85] 이들은 마약 생산·밀매로 막대한 부를 축적했고, 태국이나 라오스의 암시장에서 고성능 무기를 입수했다.[85] 또한, 주둔한 국군도 아편 상단에 대한 통행세, 경비비, 뇌물 등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85]
이처럼 KKY 사령관과 국군 모두 마약 거래를 확대할 동기가 있었고, 반란군과 전투를 벌이지 않고 협상으로 문제 해결을 꾀했기 때문에, 반란군 약화라는 당초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85] 암시장에서 아편과 교환하여 태국-미얀마 국경에서 입수할 수 있는 소비재, 섬유 제품, 기계류, 의약품 등이 국내에서 고가로 팔리면서, 더욱 마약 거래를 부추겼다.[85] 1974년경 황금의 삼각 지대는 세계 마약 생산의 3분의 1을 차지하게 되어, 아프가니스탄에 이어 세계 2위의 마약 생산지가 되었다.[85][86] 결국 KKY 제도는 1973년에 폐지되었다.[87]
3. 4. 마약 전쟁과 그 이후
1970년대, 미국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마약과의 전쟁" 선포와 함께 마약 단속국(DEA)을 설치하는 등 마약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24][25][26] 그러나 미국의 정책은 특정 "마약왕"이 마약 생산·거래 전체를 장악하고 있다는 오해에 기반한 "마약왕(킹핀) 이론"에 근거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느슨하게 연결된 네트워크에 의해 마약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는 "수평적 구조로 유동적이며 기회주의적"이라고 표현되었다.
미국은 "마약왕 소탕"을 위해 미얀마에 UH-1 헬리콥터와 자금을 제공했지만, 이 헬리콥터는 마약과 관련 없는 카렌 민족 연합(KNU) 소탕 작전에 사용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1983년부터는 유엔 약물 남용 통제 기금(UNFDAC)의 지원으로 아편 대체 작물 재배가 시도되었으나, 미얀마의 아편 생산량은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93]
반면, 태국에서는 라마 9세 국왕의 주도 하에 대체 작물 재배가 성공을 거두었다. 커피, 강낭콩, 감자, 양배추 등 새로운 환금 작물을 도입하여 아편 생산량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태국 역시 황금의 삼각지대의 일부로서, 정치적 영향력과 자금력을 가진 "태국 경찰·군대", "중국계 신디케이트"에는 손을 대지 못해, 방콕은 여전히 국제 마약 시장으로의 중계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1996년 '마약왕' 쿤 사가 투항했지만, 군사 정권은 마약 생산을 계속하는 다른 조직들을 묵인했다. 미얀마 정부는 마약 단속에 주력했지만, 마약 산업이 자국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되어 있고, 군사력을 갖춘 조직들을 제압하기 어려워 강경책보다는 회유책을 쓸 수밖에 없었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황금의 삼각지대에서 양귀비 재배가 크게 감소했지만, 최근에는 합성 마약 생산이 증가하면서 다시 아편 재배가 늘고 있다. 특히 메스암페타민 생산이 활발하며, "더 컴퍼니"라고도 알려진 삼 고르라는 범죄 조직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60]
3. 4. 1. 대체 작물 재배
태국에서는 마약 단속이 어려워 미얀마, 라오스에 양귀비밭 박멸을 요구했지만, 이들 국가에서는 양귀비가 가난한 농가의 주요 수입원이어서 불법 재배가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각국 정부와 유엔 기관은 양귀비 대체 작물로 차와 커피 재배를 장려했고, 특히 고가 품종의 우롱차 재배로 성공한 지역도 있었다. 옛 중국 국민당계 중국인들이 재배하는 재스민차는 중화민국 정부가 태국 내 국민당군 잔당에게 위자료와 보상으로 양도한 것으로, 최고급 중국차로 여겨진다. 단속 강화와 경제 성장으로 태국 북부의 마약 생산은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중독자 강제 치료, 마약상 처형, 대체 작물 재배 명령 등으로 아편 생산은 중국 국경 남쪽의 황금 삼각지대로 이동했다.[14] 소규모 미얀마의 아편 생산은 1750년 콘바웅 왕조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5]
버마의 중국 국민당 (KMT) 군대는 황금 삼각지대에서 활동하는 사설 마약 군대의 선구자였다. 1949년, 패배한 국민당 군대가 윈난성에서 버마 국경을 넘어왔고, 버마 국경 지역을 장악했다. 거의 모든 KMT 아편은 태국 남부로 보내졌다.[16] KMT 통제 지역은 버마의 주요 아편 생산 지역이었으며, 이들은 아편 무역 통제를 확대했다. 1950년대 초 공산 중국이 윈난에서 불법 아편 재배를 근절하면서 아편 독점은 샨 주의 KMT 군대에게 넘어갔다. 이들은 지역 주민을 강제 징집하고 식량과 자금을 강요했으며, 아편 재배자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여 생산량 증가를 강요했다. Kengtung State의 라후족에게 파견된 한 미국 선교사는 KMT가 규정을 어긴 라후족을 고문했다고 증언했다.
연간 생산량은 버마 독립 당시 30ton에서 1950년대 중반 600ton으로 20배 증가했다.[17]
4. 현재 상황
골든 트라이앵글은 여전히 세계적인 마약 생산지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합성 마약 생산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4. 1. 아편 생산 변화
2000년대 초반, 미얀마의 아편 생산량은 감소 추세였다. 1997년 이후 미얀마의 아편 생산량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3년에는 미국 정부 추정치로 484톤, 유엔 조사에서는 81톤으로 감소했다. 유엔 조사에서도 미얀마의 아편 생산량은 계속 감소하여 2004년에는 370톤, 2005년에는 312톤까지 감소했다.[96]하지만, 시장에서 아편 가격이 상승하면서 양귀비 재배 유인이 커져, 2006년부터 미얀마의 아편 생산량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샨 주 남부가 새로운 아편 생산 중심지가 되었다. 2007년부터 2008년의 세계 금융 위기와 계속되는 분쟁도 아편 생산 증가의 원인이었다.[105]
이러한 증가세는 2013년경 다시 감소세로 전환되어, 2020년에는 연간 약 400톤으로 일단 최저치를 기록했다.[105] 그러나 2021년 쿠데타 이후 분쟁 확대와 경제 침체로 인해 아편 생산은 다시 증가했다. 2023년, 미얀마는 아프가니스탄을 제치고 세계 최대 아편 생산국이 되었다.[109]
4. 2. 메스암페타민 확산
1990년대 태국에서는 헤로인보다 야바라고 불리는 메스암페타민 정제가 더 큰 문제로 떠올랐다.[97] 1955년 한국 회사가 "스피드"라는 각성제를 들여온 것을 시작으로,[98] 태국에서는 암페타민계 각성제(ATS) 남용이 확산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야바의 대유행이 일어나, 젊은층을 중심으로 모든 계층에서 사용자가 급증했다.
1997년 태국에서 압수된 야바는 약 2200만 정이었으나, 2002년에는 9590만 정까지 증가했다. 1990년 마약 범죄 중 메스암페타민 관련은 3.7%였지만, 2000년에는 79.5%로 급증했다. 야바 복용 후 발생하는 살인, 폭력 사건, 교통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했다.[97]

태국에 야바를 공급한 것은 와주 연합군(UWSA)에서 재무를 담당했던 웨이 쉬에강이었다. 1998년경, 웨이는 야바 제조 및 유통 노하우를 가진 방 론과 협력하여 와 주 남부를 거점으로 야바 생산에 나섰다.[99] UWSA산 야바에는 "WY" 각인이 새겨졌으며,[100] 야바 정제소는 태국-미얀마 국경 지대와 버마 공산당 전 지배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101]

2003년, 탁신 친나왓 태국 총리는 "마약 전쟁"을 선포하고 대규모 마약 소탕 작전을 시작했다. 작전 시작 3개월 만에 약 5만 명의 마약 용의자를 검거하고, 약 1,500만 정의 메스암페타민을 압수했으며, 12억 바트의 자산을 몰수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최소 2,500명에서 3,000명 가량의 마약 밀매상이 살해되었다고도 한다.
탁신의 마약 전쟁은 논란이 있었지만, 마약 거래에 타격을 주어 태국에서의 야바 압수량은 급감했다. 그러나 2008년경 방콕, 치앙마이 등 태국 도시 길거리에 야바가 다시 돌아왔다.
마약 사용자들은 더 강력한 자극을 찾았고, 헤로인에서 메스암페타민으로 전환이 진행되었다. 생산자 측에서도 이윤이 낮은 헤로인보다 메스암페타민 생산이 유리했다.
2011년 민정 이관 후 각 민족 무장 세력과의 정전 합의와 경제 발전은 메스암페타민 생산·거래 확산에 기여했다. 정전 합의를 맺은 무장 조직, 국경 경비대로 재편된 무장 조직, 새롭게 결성된 민병대는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허가받았고, 이윤이 높은 메스암페타민 생산에 나섰다.
4. 2. 1. 새로운 마약 밀수 경로
최근 미얀마 라카인 주를 경유하여 방글라데시로 향하는 새로운 마약 밀수 경로가 등장했다. 이는 국경 지역 관리들의 부패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1]5. 각국의 상황
미얀마에서는 19세기부터 양귀비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 잔당, 버마 공산당, 쿤 사 등이 마약을 자금원으로 활용하면서 산업화되었다.[15] 1996년 쿤 사가 미얀마 군사 정권에 본거지를 넘겼으나, 와족 연합군 등은 마약 생산을 계속했다. 미얀마 정부는 마약 단속에 주력하고 있지만, 정치 상황과 군사력 때문에 강경책보다는 회유책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 집권 후 아편 생산은 중국 국경 남쪽으로 이동했으며, 버마의 중국 국민당 군대는 황금 삼각지대에서 활동하는 마약 군대의 선구자였다.[14] 1950년대 초 공산 중국이 윈난에서 아편 재배를 근절하면서 아편 독점은 샨 주의 KMT 군대에게 넘어갔고, 이들은 지역 주민들을 강요하여 생산량을 늘렸다.[17]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미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 밀매 경로가 개설되기도 했다.[24][25][26] 1972년 터키의 아편 양귀비 재배 금지는 동남아시아 생산량 증가를 야기했고,[27] 삼합회는 홍콩을, 롤랜드 탄 조직은 암스테르담을 거점으로 활동했다.[29][30][31][33][34]
1962년 네 윈 군사 쿠데타 이후 미얀마식 사회주의 정책은 경제 비효율과 암시장을 초래했고, 태국-미얀마 국경 밀무역에서 아편은 중요한 교환 수단이 되었다.[83][84] 1988년 8888 민주화 운동 이후 군정은 버마 공산당 붕괴로 분열된 세력들과 정전 합의를 맺고 이들의 마약 사업을 묵인했다.[94] 1990년대 초, 이들 지역에는 헤로인 정제소가 건설되었고, 마약 생산량은 급증했다.[94] 2021년 쿠데타 이후 미얀마는 아프가니스탄을 제치고 세계 최대 아편 생산국이 되었으며,[109] 메트암페타민 생산도 증가하여 압수량이 기록적인 수치를 보였다.[110]
태국은 마약 단속의 어려움과 주변국들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불법 재배가 끊이지 않는 상황에 직면했다. 그러나 각국 정부와 유엔 기관의 노력으로 대체 작물 재배가 장려되고, 고가 품종의 차 재배로 성공한 지역도 있다.[70][71][72] 단속 강화와 경제 성장으로 태국 북부의 마약 생산은 거의 소멸했지만, 미얀마 샨 주는 여전히 세계 최대의 메스암페타민 생산 지역으로 남아있다.[70]
5. 1. 미얀마
19세기부터 양귀비 재배가 시작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으로 나라를 잃은 중화민국 잔당 무장 조직이 미얀마 샨 주 와족 지역으로 들어와 반독립국을 형성하고 활동 자금원으로 삼았다. 이후 중국 국민당 잔당을 대신해 버마 공산당이 마약을 자금원으로 무장 투쟁을 벌였다. 중국 국민당 잔당으로부터 독립한 쿤 사의 몬·태국군도 마약 비즈니스를 하는 등, 미얀마의 정세 불안을 틈타 마약이 산업화되었다.1996년, '마약왕' 쿤 사가 미얀마 군사 정권에 본거지를 넘겼으나, 이는 군사면에 한정되었고 쿤 사는 사업을 계속했다. 와족 연합군이나 샨 주군은 마약 생산을 계속했으며, 각성제 제조도 증가했다. 2004년 태국 정부는 이 지역의 연간 마약 원료 생산량이 2,500~3,000톤에 이른다고 추정했다. 미얀마 정부는 마약 단속에 주력하고 있지만, 마약 산업이 자국의 정치 상황과 군사력 때문에 강경책보다 회유책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940년대 후반, 중국 공산당 집권 후, 아편 생산은 중국 국경 남쪽의 황금 삼각지대로 이동했다.[14] 버마의 중국 국민당 군대는 황금 삼각지대에서 활동하는 마약 군대의 선구자였다. 1949년, 패배한 국민당 군대가 버마 국경을 넘어왔고, 국경 지역을 장악했다. KMT 통제 지역은 버마의 주요 아편 생산 지역이었으며, 이들은 아편 무역 통제를 확대했다. 1950년대 초 공산 중국이 윈난에서 아편 재배를 근절하면서 아편 독점은 샨 주의 KMT 군대에게 넘어갔다. 이들은 지역 주민들을 강요하고 세금을 부과하여 농부들이 생산량을 늘리도록 했다. 연간 생산량은 버마 독립 당시 30톤에서 1950년대 중반 600ton으로 20배 증가했다.[17]
베트남 전쟁 참전 아프리카계 미국인 병사들이 헤로인에 중독되자, 미국 마약상 프랭크 루카스는 1970년대 초 방콕에서 아이크 앳킨슨과 함께 밀매 경로를 개설했다. 루카스는 국민당 군대로부터 헤로인 132kg(순도 98~100%)을 구매했고(킬로그램당 4,200달러), 앳킨슨은 미군 인맥을 이용해 미국 공군기로 마약을 밀수했다. 이 경로는 1975년 1월 루카스 체포 시점까지 운영되었다.[24][25][26]
1972년, 터키가 아편 양귀비 재배를 금지하면서 동남아시아의 생산량이 증가했다.[27] 삼합회 범죄 조직은 홍콩을 헤로인 경유지 및 자금 세탁 센터로 사용했다.[29][30][31] 1970년대 중반, 롤랜드 탄이 이끄는 조직은 암스테르담을 거점으로 유럽 헤로인 거래를 장악했다.[33][34]
동남아시아 헤로인은 상업 항공기를 이용하는 운반책에 의해 미국으로 운송되었다. 마약 관련 법률이 엄격함에도 싱가포르는 경유지로 사용되었다.[36] 캘리포니아와 하와이는 골든 트라이앵글 헤로인의 주요 미국 진입 지점이었다. 1970년대 미국 감옥에서 아시아 밀매업자들과 미국 죄수들 간의 접촉으로 동남아시아 밀매업자는 소매 유통 갱단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38]
미얀마의 샨 주는 세계 최대의 메스암페타민 생산 지역이다.[70] 2021년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에 따르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메스암페타민 압수량은 171톤 이상, 10억 정 이상의 알약을 기록했다.[71] 2020년 4월과 5월, 미얀마 당국은 샨 주에서 1억 9,300만 정의 메스암페타민 알약, 수백 킬로그램의 결정성 메스암페타민, 일부 헤로인 등을 포함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마약 작전을 보고했다.[72]
1962년 3월 2일, 네 윈의 군사 쿠데타로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 (BSPP)의 일당 독재와 미얀마식 사회주의 기반 국유화 통제 경제 체제가 수립되었다. 네 윈의 경제 정책은 1960년대 중후반 마약 생산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미얀마식 사회주의 하에서 거의 모든 상공업 자본이 국유화되어 경제 비효율로 물자 부족이 발생했고, 인도인, 중국인을 주축으로 하는 암상인·밀수업자들이 그 빈틈을 메웠다. 태국-미얀마 국경에서의 밀무역이 성행했는데, 태국에서 미얀마로 소비재 등이, 미얀마에서 태국으로 티크재, 광물, 아편 등이 흘러갔다. 정부는 밀무역을 묵인할 수밖에 없었다.[83][84] 샨주 군 (SSA)의 사오 소와이는 "아편 밀매인은 농민에게서 아편을 싸게 사서 국경까지 운반하고 헤로인으로 정제했다. 태국 상품을 구입해 샨주에서 비싸게 팔았다. 미얀마식 사회주의는 국가 경제를 아편 밀매인의 손에 맡겼다"고 말했다. 태국-미얀마 국경 지대에서 아편은 유일한 유효 작물이자 교환 수단이 되었다. 1963년 이전 살윈강 동쪽에 한정되었던 아편 재배는 샨주 전역, 카친주, 카렌니주, 친주에도 퍼져 나갔다.
1988년 8888 민주화 운동이 미얀마 전역에서 일어났고, 국군은 이를 무력으로 탄압했다. 1988년 9월 18일 쿠데타로 국가법질서 회복 평의회(SLORC) 군정이 수립되었다. 서방 국가들은 비난했고, 미국은 경제 지원을 중단했다.[94]
1989년 버마 공산당(CPB)이 붕괴되어 와주 연합군(UWSA), 미얀마 민족 민주 동맹군(MNDAA) 등으로 분열되었다. 군정은 이들과 정전 합의를 맺었는데, 다른 세력과 협력하지 않는 대신 각자 지역 지배권, 군대 보유, 사업을 허가했다. 이들 지역은 양귀비 재배가 성행했으며, 버마 공산당 시대에 이미 마약 생산에 깊이 관여했다. 1990년 초 이들 지역에 최소 17개의 헤로인 정제소가 건설되었고,[94] 미국 국무부 추정 미얀마의 양귀비 재배 면적은 1987년 9만 2,300헥타르에서 1991년 16만 1,013헥타르까지 증가했으며, 미국 마약 단속국(DEA) 추정 미얀마의 연간 마약 생산량은 1986년 아편 900톤, 헤로인 75톤에서 1993년 아편 2,575톤, 헤로인 215톤으로 증가했다. UWSA의 팡캄, MNDAA의 라오카이(코칸), NDAA의 몽라는 카지노, 호텔 등이 즐비하고 마약, 도박, 매춘이 성행하는 라스베가스와 같은 도시로 변모했다.
2021년 쿠데타 이후 분쟁 확대와 경제 침체가 이러한 경향을 가속화하고 있다. 2023년, 2024년 미얀마는 아프가니스탄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아편 생산국이 되었다.[109] 메트암페타민 생산도 증가하여 2021년 야바 압수량은 10억 정을 넘었고, 메트암페타민 전체 압수량도 171.5톤을 기록했다. 야바 가격이 폭락하여 태국에서는 1정당 10~20바트(40~80엔)로, 10년 전의 5분의 1에서 10분의 1 수준이 되었다.[110] 미얀마에서도 마약 중독자가 급증하고 있다.[111]
5. 2. 태국
태국에서는 마약 단속이 어렵고, 미얀마, 라오스에 양귀비밭 박멸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들 국가의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불법 재배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한편, 각국 정부 및 유엔 기관은 양귀비를 대체하는 환금 작물로 차나 커피 재배를 장려하여, 고가 품종의 우롱차 재배로 성공한 지역도 있다. 특히 옛 국민당계 중국인들이 재배하는 재스민차는 최고급 중국차로 여겨진다.[70][71][72] 단속 강화와 경제 성장으로 태국 북부의 마약 생산은 거의 소멸했다고 한다.최근에는 치안도 좋아져 관광객도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황금의 삼각지대", 특히 미얀마의 샨 주는 세계 최대의 메스암페타민 생산 지역으로 여겨진다. 메콩강 하류 지역으로 메스암페타민 제조가 통합되었음을 시사하는 징후가 증가하고 있다.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메스암페타민 압수량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에는 171ton 이상, 10억 정 이상의 메스암페타민 알약을 기록했다. 2020년 4월과 5월, 미얀마 당국은 샨 주에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마약 작전을 보고했는데, 1억 9,300만 정의 메스암페타민 알약, 수백 킬로그램의 결정성 메스암페타민, 일부 헤로인, 162000L 이상, 35.5ton의 마약 전구체 등이 포함되었다.
6. 관련 단체 및 인물
황금의 삼각지대에서 마약 거래는 단순한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복잡한 이해관계와 역학 구도 속에서 이루어지는 거대한 산업이었다. 여기에는 다양한 조직과 인물들이 연루되어 각자의 역할과 이익을 추구하며 마약 거래의 순환을 유지했다.
이름 | 비고 |
---|---|
산악 소수 민족 농민 | 카친족, 라후족, 와족, 리수족, 팔라웅족, 아카족 등과 콕칸 등 기타 지역의 가난한 중국인 농민들. 고된 양귀비 재배에도 불구하고 적은 수입밖에 얻지 못했고, 무장 세력에게 아편세(현물)를 내거나 법 집행 관리에게 뇌물을 바쳐야 했다. |
상인 | 대리인을 통해 농민에게서 아편을 구입하고, 무장 세력의 경호를 받으며, 주로 무슬림 판제족으로 구성된 노새 상단을 이끌고 태국-미얀마 국경이나 라오스의 헤로인 정제소까지 아편을 운반했다. 이들은 상업 도시에 거주하며 겉으로는 도매업 등을 운영하고 자선 사업도 하여 지역 사회에서 존경받았다. |
KKY | 아편 수송을 위해 상인에게 고용되거나, KKY 사령관 자신이 상인인 경우도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아편뿐 아니라 다른 상인의 아편도 운반하며 경호비를 징수했다. 타킬렉까지 아편을 운반하여 금과 교환하고, 태국 상품을 구입해 비싸게 팔아 이익을 얻었다. 다른 사업과 자선 사업으로 지역 사회에서 존경받았다. |
미얀마 정부 | 마약 거래 금지 의지는 있었으나 실행 권한이 부족하여 농민, 상인, KKY 사령관에게서 뇌물을 받았다. KKY가 가져온 고급 가구는 정부 당국자와 국군 장교의 불만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국군은 KKY 상단을 경비하기도 했고, 전장에서는 KKY가 국군에 협력했지만 큰 도움은 되지 않았다. 국군 주둔지 탕얀은 주요 아편 재배 지역과 샨 주 북부 사이의 거래 중심지가 되었다. |
소수 민족 무장 세력·국민당 잔당 | 지배 지역 내 농민에게 아편세를 부과하고, 상인에게도 세금을 부과했으며, 헤로인 정제소 경비비를 징수했다. 이 돈으로 병사 급여를 지급하고, 태국이나 라오스 암시장에서 무기를 구입했다. 태국 국경 경비대 역할, 대만, 미국, 태국 치안 조직을 위한 첩보 활동도 수행했다. |
태국 경찰·군대 | 소수 민족 무장 세력이나 국민당에게 태국 영토 활동을 허가하고 금전을 받거나, 태국 공산당 정보를 입수했다. 타이-미얀마 국경에서 방콕으로 트럭을 이용해 헤로인을 수송했다. |
각국 첩보 기관 | 상인, KKY, 소수 민족 무장 세력, 국민당 등이 가진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이들과 관계를 구축하여 첩보 활동을 했다. 국민당이나 KKY 일부가 중국계였기 때문에 대만 첩보 기관이 활발하게 활동했다. 로 싱 한은 콕칸족 출신이며, 쿤 사는 아버지가 국민당 군인, 어머니는 샨족이었다. CIA는 국민당 인맥을 활용하여 라오스 "비밀 전쟁" 용병으로 고용했다. |
중국계 신디케이트 | 자금, 지성, 커넥션을 활용하여 타이-미얀마 국경 지대에 헤로인 정제소를 건설하고, 홍콩인이나 대만인 화학자를 보냈다. 헤로인의 지역 및 국제적 판매·유통을 담당하여 막대한 이익을 올리고, 정부 관계자, 태국 경찰, 군대, 마약 단속 기관 관계자에게 "상납"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큰 정치적 영향력을 가졌다. 윈난계 중국인은 중국, 차오저우계 중국인은 방콕에서 판매·유통을 분담했다. 이 과정은 여러 조직에 걸쳐 있었다. |
운반책 | 중국계 신디케이트에 고용되어 마약을 운반하는 사람들. 미디어에서는 "마약 밀매인"으로 불리며 악의 근원처럼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푼돈에 고용된 지역 깡패이며, 군대나 경찰에 체포되거나 사살될 위험을 감수했다. |
마약 중독자 | 양귀비 재배 농민 다음으로 황금의 삼각지대에서 가장 불쌍한 존재. 제조된 헤로인 대부분은 북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수출되었지만, 일부는 동남아시아에서도 유통되었다. 아편 재배 마을 남성의 70~80%가 아편 중독자였다. |
마약은 생산지에서 멀어질수록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했다. 1998년 조사에 따르면, 미얀마 산악 소수 민족의 양귀비 농가는 생 아편 1비스[90](1.6kg)를 75USD에 판매했다. 정제소에서 10kg의 아편으로 1kg의 헤로인을 만들었고, 도매 가격은 1블록(700g) 당 3750USD~4250USD였다. 이는 생 아편 가격(330USD)의 10배가 넘는 가격이었다.
타이-미얀마 국경에서 헤로인 1블록은 4750USD~5000USD, 치앙마이에서는 5625USD, 방콕에서는 6250USD~7500USD에 거래되었다. 해외로 수출되면 가격은 더욱 폭등하여 홍콩에서는 21000USD, 대만에서는 37500USD, 시드니에서는 46000USD~52000USD에 달했다.[91] 시드니 수입업자는 이를 110000USD에 소매업자에게 팔았고, 소매업자는 0.02g 캡슐로 분할하여 1개당 18.5USD에 판매, 1블록 당 647500USD의 이익을 얻었다. 뉴욕에서는 도매가가 80000USD였고, 혼합물로 만들어 25mg의 헤로인과 25g의 락토스가 들어간 봉투에 담겨 1봉투당 10USD에 판매, 1블록당 280000USD의 이익을 남겼다.
결국 미얀마 양귀비 농가가 330USD에 판매한 생 아편은 오스트레일리아나 미국에서 엄청난 가격으로 팔렸다. 마약 거래로 가장 큰 돈을 버는 것은 서구 국가의 수입업자와 소매업자였다.[93]
6. 1. 중국 국민당 잔당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중국 국민당 잔당은 미얀마로 피신했다. 이들은 미얀마 정부의 통제가 약한 샨 주와 와족 지역으로 들어가 소수민족을 이끌고 반독립국을 형성했다. 이들은 활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아편 생산과 거래를 시작했다.[14] 1950년대 중반, 버마 독립 당시 30톤이었던 연간 아편 생산량은 20배 증가하여 600ton이 되었다.[17]KMT는 Kengtung State의 라후족에게 규정을 준수하지 못할경우 고문했다고, 해당 지역에 파견된 한 미국 선교사가 증언했다.
1949년, 패배한 수천 명의 국민당 군대가 윈난성에서 버마 국경을 넘어왔고, 국민당은 버마 국경 지역을 장악했다. 거의 모든 KMT 아편은 태국 남부로 보내졌다.[16]
KMT가 통제하는 지역은 버마의 주요 아편 생산 지역을 차지했으며, 이들은 해당 지역의 아편 무역에 대한 통제를 확대했다. 1950년대 초, 공산 중국이 윈난에서 불법 아편 재배를 근절하면서 아편 독점은 샨 주의 KMT 군대에게 효과적으로 넘어갔다. 이 약물의 주요 소비자는 지역 화교와 윈난 및 동남아시아의 국경 너머에 있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징집, 식량 및 자금을 위해 지역 마을 사람들을 강요했고, 아편 재배자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 이는 농부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도록 강요했다.
6. 2. 버마 공산당
버마 공산당은 마약을 자금원으로 하여 당시 미얀마 정부에 대항해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14] 19세기부터 양귀비 재배가 시작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으로 중국 국민당 잔당이 샨 주 와족 지역으로 들어와 활동 자금으로 삼았다. 이후 버마 공산당이 중국 국민당 잔당을 대신해 마약을 자금원으로 활용했다.[14]6. 3. 쿤 사
중국 국민당 잔당으로부터 독립한 쿤 사가 이끄는 몬·태국군도 독자적으로 마약 비즈니스를 행하는 등, 미얀마의 정세 불안을 이용해 마약을 산업화해 갔다.[14] 1996년, '샨족의 독립지원'을 명목으로 오랜 세월 군림한 '마약왕'이자 몬·태국군 사령관이었던 쿤 사가 미얀마 군사 정권에 본거지를 넘겨주었다.[14] 그러나 이 항복은 군사면에 한정되었고 쿤 사는 신병이 구속되는 일 없이 미얀마 국내에서 비즈니스에 종사했다.[14] 1996년 1월, 마약왕 쿤 사의 몽 타이 군이 항복한 것은 양곤에서 주요 마약 퇴치 성공으로 환영받았다.[19]4년간의 조사 결과 미얀마 석유 및 가스 기업 (MOGE)이 "미얀마 육군의 통제하에 생산 및 수출된 헤로인 수익을 세탁하는 주요 통로"라는 결론이 나왔다. 조사관들이 검토한 MOGE 기밀 파일에 따르면, 6,000만 달러가 넘는 자금이 미얀마에서 가장 유명한 마약왕인 쿤 사로부터 흘러나와 이 회사를 통해 유입되었다.[19]
버마 출신의 판타이 마 젱원은 중국인 마약왕 쿤 사가 북부 태국에서 헤로인을 판매하는 것을 도왔다.[64]
6. 4. 로 싱 한
로 싱 한(羅星漢중국어, 1935년 ~ 2013년 7월 6일)은 미얀마의 콕칸족 출신 마약왕이자 군벌이다. 1960년대부터 황금의 삼각지대에서 활동하며 마약 거래로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1973년 태국 경찰에 체포되어 버마 정부에 인도되었고, 반역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1980년 사면되었다. 이후 샨 주에서 KKY 민병대 사령관으로 활동하며 마약 거래를 계속했다.
1990년대 이후, 로 싱 한은 아들 스티븐 로(로 싱 민)와 함께 '아시아 월드'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합법적인 사업을 시작했지만, 마약 거래를 통해 축적한 자본을 이용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2013년 7월 6일 양곤에서 사망했다.
6. 5. 와주 연합군 (UWSA)
와주 연합군(UWSA)은 버마 공산당에서 분리된 소수민족 무장 세력으로, 현재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가장 강력한 마약 생산 및 거래 조직 중 하나이다.[104] 1996년, '마약왕' 쿤 사가 미얀마 군사 정권에 투항했지만, 와주 연합군은 마약 생산을 계속했다.[103]2005년 1월, 미국은 UWSA 간부 8명을 마약 밀매 혐의로 기소했다. 기소된 인물에는 바오 유샹 등 바오 4형제와 웨이 슈카이 등 웨이 3형제, 그리고 파오 휴찬이 포함되었다. 기소장에는 UWSA가 아편 재배, 수집, 운송에 관한 모든 의사 결정을 통제하고, 마약 운송 및 정제소에 과세하며, 마약 수익을 징수한다고 명시되었다.[104]
이 기소로 인해 UWSA는 2005년 6월, 와주 전역을 마약 금지 지역으로 선포하고 아편 재배, 헤로인 및 메트암페타민 제조, 거래, 밀수를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와 지역에서는 양귀비 재배가 금지되었다.[104] 그러나 현재에도 와주 정부 관계자가 직접 메트암페타민 제조에 관여하지 않더라도, 중국 신디케이트가 메트암페타민을 제조하고 있으며, 와주 정부는 이에 과세하여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104]
6. 6. 삼 고르 (Sam Gor)
'''삼 고르'''(Sam Gor)는 "더 컴퍼니"라고도 불리는 광둥계 중국 조직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메스암페타민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미얀마는 세계 최대의 불법 마약 거래 아편 생산국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초국가적 마약 거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8] 1996년 마약왕 쿤 사의 몽 타이 군이 항복했지만, 주요 마약 밀매 집단을 상대하려는 정부의 의지와 능력 부족, 돈세탁에 대한 심각한 노력이 부족하여 마약 퇴치 노력이 방해받고 있다.
4년간의 조사 결과 미얀마 석유 및 가스 기업 (MOGE)이 "미얀마 육군의 통제하에 생산 및 수출된 헤로인 수익을 세탁하는 주요 통로"라는 결론이 나왔다. 조사관들이 검토한 MOGE 기밀 파일에 따르면, 6,000만 달러가 넘는 자금이 미얀마에서 가장 유명한 마약왕인 쿤 사로부터 흘러나와 이 회사를 통해 유입되었다.[19] 양곤의 은행들은 40%의 수수료로 돈세탁을 제공했다.[20]
7. 미디어
참조
[1]
웹사이트
Guide to Investigating Organized Crime in the Golden Triangle
https://gijn.org/res[...]
2023-12-31
[2]
논문
Heroin Trafficking in the Golden Triangle
https://www.ojp.gov/[...]
2023-06-19
[3]
웹사이트
Golden Triangle
https://www.tourismt[...]
2018-04-04
[4]
서적
Opium: Uncovering the Politics of the Popp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5]
서적
Staff Report on Drug Abuse in the Military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1
[6]
뉴스
The drug-running is gone, but the tourists still flock
https://www.nytimes.[...]
2023-12-31
[7]
뉴스
Afghanistan again tops list of illegal drug producers
https://www.washingt[...]
2019-12-01
[8]
간행물
Myanmar Opium Survey 2021: Cultivation, Production and Implications
https://www.unodc.or[...]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022
[9]
뉴스
Myanmar's Economic Meltdown Likely to Push Opium Output Up, Says UN
https://www.voanews.[...]
2021-10-15
[10]
간행물
Southeast Asia Opium Survey 2023
https://www.unodc.or[...]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023
[11]
뉴스
Myanmar becomes world's biggest producer of opium, overtaking Afghanistan
https://www.theguard[...]
2023
[12]
웹사이트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in Southeast Asia: Evolution, Growth and Impact
https://www.unodc.or[...]
2019-06
[13]
웹사이트
Southeast Asia Opium Survey 2015 – Lao PDR & Myanmar
https://www.unodc.or[...]
2015-11
[14]
웹사이트
Opium History, 1858 to 1940
http://www.a1b2c3.co[...]
2007-05-04
[15]
서적
Secur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Myanmar/Burm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
서적
The Politics of Heroin: CIA Complicity in the Global Drug Trade
https://archive.org/[...]
Lawrence Hill Books
[17]
서적
War on Drugs: Studies in the failure of US narcotic policy
Westview
[18]
뉴스
Facts and figures showing the reduction of opium cultivation and production were not gathered by the government of Myanmar, but UNODC in cooperation with local police forces and anti-drug squads. Information Committee of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holds Press Conference No 7/2005
http://myanemb-sa.ne[...]
Embassy of the Union of Myanmar in South Africa
2010-02-28
[19]
논문
People of the Opiate: Myanmar's dictatorship of drugs
http://nick.assumpti[...]
2008-07-06
[20]
서적
Whiteout: The CIA, Drugs and the Press
https://archive.org/[...]
Verso
[21]
문서
Myanmar Opium Survey: cultivation, production and implications
UNODC
2020-02
[22]
간행물
Worldwide Heroin Situation 1991
https://www.ojp.gov/[...]
U.S. Department of Justice,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1992
[23]
뉴스
AFP seizes 336 kilograms of heroin in largest ever Queensland detection
https://www.afp.gov.[...]
2023
[24]
뉴스
The Return of Superfly
https://nymag.com/ny[...]
2023-03-16
[25]
뉴스
Is 'American Gangster' really all that 'true'?
http://edition.cnn.c[...]
CNN
2008-02-24
[26]
웹사이트
A Conversation Between Frank Lucas and Nicky Barnes – Money 2007 – New York Magazine
http://nymag.com/gui[...]
2011-07-02
[27]
뉴스
The heroin smugglers will have to go East
https://eresources.n[...]
1971-07-15
[28]
뉴스
Hong Kong now key centre in opium traffic
https://eresources.n[...]
1972-08-17
[29]
뉴스
New blitz on drugs
https://eresources.n[...]
1976
[30]
뉴스
Hong Kong underworld moving to America
https://eresources.n[...]
1985
[31]
뉴스
Hongkong the centre of S-E Asia drug traffic
https://eresources.n[...]
1983
[32]
웹사이트
ACAN in the 21st Century – A Continuing Challenge
https://www.nd.gov.h[...]
2020-05-18
[33]
뉴스
How CNB helped to crack world drug ring
https://eresources.n[...]
1982
[34]
뉴스
The Bureau's Fight for a #DrugFreeSG
https://www.cnb.gov.[...]
[35]
뉴스
World drug ring cracked
https://eresources.n[...]
1978
[36]
뉴스
Anti-drug bureau scores successes
https://eresources.n[...]
1986
[37]
뉴스
Drug couriers try to cash in on tough laws
https://eresources.n[...]
1989
[38]
웹사이트
Chapter III Part 1: Drug Trafficking and Organized Crime
http://www.druglibra[...]
1986
[39]
뉴스
Chinese now dominate New York heroin trade
https://www.nytimes.[...]
1987
[40]
뉴스
The World
https://www.latimes.[...]
1988
[41]
뉴스
Asian Drug Ring Crushed in N.Y. Record Cache of 838 Pounds of Heroin Is Seized
https://www.latimes.[...]
1989
[42]
뉴스
Hongkong police seize $820m worth of heroin
https://eresources.n[...]
1989
[43]
뉴스
Hong Kong police make huge heroin bust
https://www.upi.com/[...]
1989
[44]
뉴스
Largest Heroin Bust in U.S. Is Reported, Drugs About 1,200 pounds are seized at Hayward warehouse. Four suspects are arrested.
https://www.latimes.[...]
1991
[45]
뉴스
Heroin from major U.S. drug bust shipped through Taiwan
https://www.upi.com/[...]
1991
[46]
뉴스
West Africa Becomes Route for Heroin Trade
https://www.nytimes.[...]
1987
[47]
뉴스
Nigerian Connection Floods U.S. Airports With Asian Heroin
https://www.nytimes.[...]
1992
[48]
뉴스
Out of Africa: The drug trail
https://eresources.n[...]
1991
[49]
뉴스
Nigeria takes steps to halt drug smuggling by citizens
https://eresources.n[...]
1992
[50]
뉴스
Visa application for Nigerian nationals
https://london.thaie[...]
[51]
뉴스
Foiled: Nigerian's plan to use S'pore as base to recruit drug couriers
https://eresources.n[...]
1991
[52]
뉴스
Drug couriers try to cash in on tough laws
https://eresources.n[...]
1989
[53]
뉴스
Eight in alleged drug ring held 37 charged by U.S. in $200 million Nigerian heroin-trafficking ring
https://www.baltimor[...]
2024-03-21
[54]
뉴스
Accused drug bosses detained, The group is said to run several heroin operations
https://www.baltimor[...]
2024-03-21
[55]
뉴스
8 Nigerians Found Guilty in Heroin Smuggling Ring
https://www.washingt[...]
2024-03-21
[56]
웹사이트
Notice: Fourth Circuit Local Rule 36(c) States That Citation of Unpublished Dispositions is Disfavored Except for Establishing Res Judicata, Estoppel, or the Law of the Case and Requires Service of Copies of Cited Unpublished Dispositions of the Fourth Circui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Emmanuel Ikechukwu Anudu, A/k/a Cletis, A/k/a Claytus,defendant-appellan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Emmanuel Odemena, Defendant-appellan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Chijioke Chuckwuma, A/k/a Mark, Defendant-appellan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Cyriacus Akas A/k/a Koots, Defendant-appellan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Emmanuel Okoli, Defendant-appellan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Chuks Evaristus Nwaneri, Defendant-appellan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Charles Onwuazombe, A/k/a Ebele Onwuazor, Defendant-appellant.united States of America, Plaintiff-appellee, v. Jerome Okoye Onwuazor, A/k/a Peter, Defendant-appellant, 77 F.3d 471 (4th Cir. 1996)
https://law.justia.c[...]
1996-02-16
[57]
뉴스
Dutchmans trial on heroin charge starts after 2 day delay
https://eresources.n[...]
2023-12-14
[58]
뉴스
Major drug network broken, officials say
https://www.washingt[...]
1996
[59]
간행물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in Southeast Asia: Evolution, Growth and Challenges
https://web.archive.[...]
UNODC
2020-07-13
[60]
뉴스
The Man Accused of Running the Biggest Drug Trafficking Syndicate in Asia's History has Been Revealed: Here's What Needs To Happen Next
https://edition.cnn.[...]
2019
[61]
뉴스
Drugs investigators close in on Asian 'El Chapo' at centre of vast meth ring
https://www.telegrap[...]
2019
[62]
뉴스
Parts of Asia are slipping into the hands of organized crime
2018
[63]
서적
Traders of the Golden Triangle
Cognoscenti Books
[64]
서적
Burma in Revolt: Opium and Insurgency Since 1948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65]
간행물
Southeast Asia Opium Survey 2023
https://www.unodc.or[...]
UNODC
2023
[66]
뉴스
Myanmar becomes world's biggest producer of opium, overtaking Afghanistan
https://www.theguard[...]
2023
[67]
뉴스
Myanmar is now world's largest source of opium, UN says
https://www.reuters.[...]
2023
[68]
간행물
Civil-War-Torn Myanmar Surpasses Afghanistan as World's Top Opium Producer
https://time.com/635[...]
2023
[69]
간행물
Myanmar Opium Survey 2024
https://www.unodc.or[...]
UNODC
2024
[70]
웹사이트
Parts of Asia are slipping into the hands of organized crime
https://www.cnn.com/[...]
2018-11-15
[71]
웹사이트
Synthetic Drugs in East and Southeast Asia: Latest Developments and Challenges 2022
https://www.unodc.or[...]
2022-05
[72]
뉴스
Huge fentanyl haul seized in Asia's biggest-ever drugs bust
https://www.reuters.[...]
Reuters
2020-05-18
[73]
웹사이트
Guide to Investigating Organized Crime in the Golden Triangle — Introduction
https://gijn.org/res[...]
2024-12-14
[74]
문서
ワ地域やコーカン地域のような高地で、ケシ栽培が好まれるのには、他の作物の生育が困難であるのに対し、ケシ栽培には高度な技術や農機具が要らず、種を撒いてから100日以内に収穫でき、霜や干ばつに強く、持ち運びも保管も簡単で、遠方の市場に売りに行かなくても商人が村まで買いにきてくれ、それでいて他の作物よりも一般に価格が高いといった理由がある。(『Poppy Farmers Under Pressure』P26)
[75]
문서
1856年~1873年の[[パンゼーの乱]]で[[清|清朝]]に敗北した後、その一部はワ地域に逃げ込んだ。彼らによってこの地にケシ栽培がもたらされたという説もある。
[76]
문서
中国にアヘンを輸出したのはイギリスだけではなく、アメリカもトルコ産や中東産のアヘンを中国に輸出した。イラン産のアヘンは誰でも中国に輸出できた。W.C.ハンターというアメリカ人承認は「われわれは等しく関与していた」というシンプルな言葉で、当時の状況を説明している。(『Burma in Revolt』P97)
[77]
문서
駐緬アメリカ大使デイビッド・M・キーは、CIAがシャン州や雲南省国境で秘密裏に活動していることを政府から知らされおらず、憤慨して1952年4月に辞職した。(『Burma in Revolt』P203)
[78]
문서
この中国国民党に対する秘密作戦は、その後、冷戦下でアメリカ情報機関がキューバ、ラオス、ニカラグア、アンゴラ、アフガニスタンなどで行った秘密戦争の最初のものだった。(『Burma in Revolt』P184)
[79]
문서
国民党が組織的にケシ栽培をしたり、アヘン取引を行ったわけではない。
[80]
문서
1950年代初頭にモンサッを訪れたカレン民族同盟(KNU)の幹部・ミカ・ローリーは「彼らはシャン州を植民地化しようとしていた。彼らはその地域のすべての村の最も大きな家をすべて占拠していた。しかし、彼らにはこれまでKNUが明らかに得られなかったものがあった。それは外国の支援だ。飛行機は週に2回飛び交い、着陸時には兵器を、出発時にはアヘンを運んでいた。こうした軍事物資のほとんどは台湾)から来ていたが、さまざまなアメリカ人エージェントも公然と出入りしていた」と回想している(『Burma: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P153)
[81]
문서
当時タイではアヘン取引は違法ではなかった。
[82]
웹사이트
https://www.moj.go.jp/content/000051905.pdf
https://www.moj.go.j[...]
法務省
2024-12-17
[83]
서적
ビルマ式社会主義―自立発展へのひとつの実験
教育社
1979-09
[84]
서적
ビルマ式社会主義 : 自立発展へのひとつの実験
教育社
1979-09
[85]
웹사이트
Burma’s Path to Peace Lessons from the Past and Paths Forward
http://www.asiapacif[...]
Asia Pacific Media Services
2024-08-20
[86]
논문
Ka Kwe Ye to Border Guard Force : Proxy of Violence in Myanmar
https://ritsumei.rep[...]
立命館大学国際地域研究所
2024-08-21
[87]
웹사이트
New Regime, Same Old Drug Myths in Myanmar
https://www.irrawadd[...]
The Irrawaddy
2024-08-21
[88]
문서
ただし、アヘン栽培で生計を立てている農民が別の収入源を見つけるための5年間の猶予期間が設けられた。
[89]
문서
国民党や少数民族武装勢力の幹部は、チェンマイなどに自宅を構え、住んでいることが多かった。
[90]
문서
ビス(viss)。ミャンマーの庶民の間で使われる重さの単位で、1ビスは1.6kgに相当する。
[91]
문서
当然、実際には豪ドルで売られる。あくまで計算上である。
[92]
문서
1991年に廃止。現在、その業務は[[国連薬物犯罪事務所]](UNDOC)に引き継がれている。
[93]
문서
ミャンマー政府は1985年と1987年に二度にわたって廃貨令を出し、紙幣を無効としたため、ミャンマーチャットに対する信頼がなくなり、人々が金や不動産の他、アヘンの確保に走ったこともその一因と言われている。(『Burma in Revolt』P567)
[94]
문서
交渉にあたった国防情報局(DDSI)のキンニュン局長は、武装勢力のリーダーたちに特別の身分証明書を発行した。これにより、彼らとその車両は、シャン州のすべての検問所で警察や税関の捜査を受けなくて済むようになった。(『The Golden Triangle Opium Trade: An Overview』P19)
[95]
문서
楊茂良は当初、中国政府に金銭を支払う代わりに楊茂賢の釈放を求めたが、中国が応じなかったので、 1994年5月、大量のソ連製120mm迫撃砲を国境の中国側に向ける強硬手段に出た。これに対して中国は、近隣に数万人の軍隊を配して、第2特区と中国の国境を閉鎖した。(『中国共産党臨滄地方委員会年表』)
[96]
문서
ただし、2000年に泰緬国境で、ミャンマーとタイの国境警備隊同士で麻薬取引をめぐる大規模な対立が勃発し、ミャンマー当局は報復としてすべての国境検問所を閉鎖した。これによってミャンマーからタイへの麻薬の流れが大幅に阻害されたことにより、再び中国ルートが使われるようになった。記述のとおり、1997年の中国のヘロイン押収量は5.477トンだったが、2000年には6.281トン、2001年に13.2トンに跳ね上がっている。
[97]
문서
タイほどではないがミャンマーにもメタンフェタミン中毒者はいた。1990年代、ミャンマーの大学は度々閉鎖され、失業率も高かったため、やることのない若者たちは、暇つぶしにメタンフェタミンを吸っていた。
[98]
문서
錠剤には馬の頭と「ロンドン」という文字が描かれており、「ヤマ(タイ語で馬薬)」とも呼ばれていた。
[99]
문서
ただ実際にヤーバーの精製所を運営しているのは、中国系シンジケートで、UWSAはそれに課税し、見返りに保護を提供し、麻薬をこの地域から密輸する手配をしているだけである。(Bertil Lintner『The Wa of Myanmar and China's Quest for Global Dominance』P144~145)
[100]
웹사이트
NDAA and UWSA deny involvement in Mekong incident
https://web.archive.[...]
2024-12-12
[101]
문서
ヤーバーはヘロインよりもはるかに儲かり、製造も輸送も簡単だった。ヘロインの精製には約10種類の前駆化学物質が必要だが、ヤーバーの場合はそれほど必要はない。またヘロインの場合は、製造するために非常に優秀な化学者も必要だが、ヤーバーの場合は機械1つで24時間製造することも可能だった。ヘロインは嵩張ったが、ヤーバーは小さな錠剤で持ち運びに便利だった。比較的短期間で巨額の利益を上げることができたので、これまで麻薬ビジネスに無縁だった人がこぞって参入した。(『The Golden Triangle: Inside Southeast Asia's Drug Trade』P128-132)
[102]
웹사이트
2003年のタイ 政策運営に自信を深めるタクシン政権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2024-12-18
[103]
문서
1988年の民主化運動弾圧以来、ミャンマーは西側諸国から経済制裁を受け、財政状況が厳しいはずなのに、この時期、国軍は「現代的条件下での人民戦争」という新ドクトリンの下、兵力や兵器を格段に増強しており、この資金源は何かという疑問が生じる。この点、在緬アメリカ大使館は、1996年の対外経済動向報告書の中で、1995年から1996年にかけて、ミャンマー政府に対して4億米ドルの説明不可能な海外からの資金流入があり、さらに公式記録には報告されていない外貨建ての防衛費に毎年2億米ドル費やしていると述べた。つまり1995年から1996年にかけて6億米ドルあったということである。また1997年7月に[[アジア通貨危機]]が起こり、ミャンマーチャットは1米ドル=160チャットから1米ドル=300チャットまで劇的に下がったが、その後は1米ドル=320~340チャットで安定した。同時期ラオスの通貨キープは、1997年9月の1米ドル=1,350キープから1米ドル=7,500キープにまで暴落している。これはミャンマーが依然として通貨を支える大きな外貨準備高を保有し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これらの金はどこからきたかという疑問が生じる。(『The Golden Triangle Opium Trade: An Overview』P20-P21)
[104]
웹사이트
Patrick Winn on the Narco-Economy of Myanmar’s Wa State
https://thediplomat.[...]
2024-12-12
[105]
웹사이트
Myanmar Opium Survey 2022
https://www.unodc.or[...]
国連薬物犯罪事務所
2024-12-21
[106]
문서
ミャンマー、タイ、中国などのアジア各地、さまざまな国境でさまざまな麻薬が押収されているが、それによって価格の変動がなければ、大勢に影響しない氷山の一角だと推察できる。
[107]
웹사이트
Fire and Ice: Conflict and Drugs in Myanmar’s Shan State {{!}} Crisis Group
https://www.crisisgr[...]
2024-12-19
[108]
웹사이트
オンライン賭博・人身売買にミャンマー国軍の元傘下組織が関与か 「制裁を」現地人権団体が各国に求める:東京新聞デジタル
https://www.tokyo-np[...]
2024-12-24
[109]
웹사이트
ミャンマー、2年連続で世界最大のアヘン生産国に – ミャンマー最新ニュース・情報誌-MYANMAR JAPON
https://myanmarjapon[...]
2024-12-19
[110]
웹사이트
爆増する違法薬物ビジネス ミャンマーから越境する新たな脅威の実態|with Planet|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12-19
[111]
웹사이트
ミャンマー覚醒剤汚染深刻 軍政統治及ばず、日本にも流入(共同通信)
https://news.yahoo.c[...]
2024-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