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베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베라는 소말리아 북부 해안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아덴만 남쪽에 위치한 유일한 자연 항구로서, 역사적으로 소말리아, 영국령 소말릴란드, 그리고 현대 소말릴란드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해왔다. 현재는 DP 월드가 관리하며 항만 확충 투자를 통해 아프리카 내륙으로의 운송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베르베라는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이며, 오스만 건축 양식의 건물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덴만 - 아프리카의 뿔
아프리카의 뿔은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의 반도로, 건조한 기후와 고산지대가 특징이며, 인류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등의 국가들이 위치해 다양한 문화와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덴만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 소말리아의 도시 - 모가디슈
모가디슈는 소말리아의 수도이자 남동부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인도양 무역 중심지였으며 아랍 상인 정착, 외세 지배, 독립, 내전을 거쳐 재건 중이나 여전히 무장 단체의 위협이 존재하는 다문화 도시다. - 소말리아의 도시 - 갈카요
갈카요는 소말리아 북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호비오 술탄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씨족 간 분쟁과 내전을 겪으며 푼트랜드와 갈무두그로 분할되었고, 현재는 양측의 행정 구역이 공존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베르베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베르베라 |
| 현지 명칭 | |
| 국가 | 소말리아 (국제적 승인) 소말릴란드 (실효 지배) |
| 행정 구역 | 북부 갈베드 주 (소말리아 식), 사힐 주 (소말릴란드 식) |
| 시장 | 압디샤쿠르 이딘 |
| 지리 | |
| 해발 고도 | 3m |
| 인구 | |
| 총 인구 (2019년) | 242,344명 |
| 도시 인구 | 478,000명 |
| 인구 순위 | 4번째 |
| 거주민 | 바르바라위 |
| 행정 | |
| 식별 | |
| 시간대 | EAT |
| UTC 오프셋 | +3 |
| 이미지 | |
![]() | |
![]() | |
![]() | |
![]() | |
![]() | |
2. 역사
1518년 포르투갈 제국의 제독 안토니우 데 살다냐가 베르베라를 포함한 이 지역을 지배했다. 1546년 오스만 제국이 오늘날 소말리아 북서부 지역을 점령하면서 제일라를 행정 중심지로 삼았다.[89]
17세기까지 베르베라는 10월부터 4월까지 열리는 교역소로 유명했으며, 아프리카 동부 해안의 주요 상업 도시 중 하나였다.[90] 이사크를 비롯한 소말리족과 인도의 바이샤 상인들이 하라르, Hawd영어, 포르반다르, 망갈로르, 뭄바이 등지에서 모여 거래했다. 이 거래는 유럽의 간섭을 막기 위해 비밀리에 이루어졌다.[91]
1855년 4월 19일, 영국 탐험가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이 베르베라를 두 번째 방문했을 때 수백 명의 소말리 병사들에게 숙영지를 습격당했다. 버턴은 아덴으로 피신했지만, 동료 한 명이 목숨을 잃었다.[92] 그럼에도 버턴은 베르베라를 "홍해 연안에서 동아프리카 교역에 가장 중요한 곳"이라 평가하며 영국의 점령 필요성을 강조했다.[93]
1875년 이집트가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재확립했지만, 1884년 마흐디 전쟁으로 인해 주둔군을 철수했다. 이후 영국군이 주둔하며 1940년까지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주요 항구이자 겨울철 행정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1980년 8월, 미국은 베르베라 군사 시설 이용을 조건으로 소말리아에 경제 및 군사 원조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94]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베르베라에서 이사크와 다른 씨족 간의 갈등이 발생했고, 이는 소말릴란드 건국의 계기가 되었다.[95]
2. 1. 고대
베르베라는 고대 소말리아 도시 국가의 일부로, 소말리아인 상인들이 페니키아, 이집트, 고대 그리스 등 여러 지역과 교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소말리아 선원들은 '베덴'이라는 배를 이용해 화물을 운송했다.[8]1세기 그리스 문헌인 에리트라해 안내기에는 '말라오'(Μαλαὼgrc)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이 문헌에 따르면 말라오는 아발리테스에서 800 스타디온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시장 도시였다. 동쪽에서 뻗어 나온 곶이 항구를 보호해주는 열린 닻줄이었고, 주민들은 평화로웠다. 주요 수입품은 튜닉, 망토, 술잔, 구리, 철, 금, 은화 등이었고, 수출품은 몰약, 유향, 계피, 인도산 코팔, 마키르, 노예 등이었다.[9]
9세기 당나라 학자 단성식은 유양잡조에서 베르베라를 '보발력국'으로 소개하며, 노예, 상아, 용연향 무역이 이루어졌다고 기록했다.[87]
2. 2. 중세
중세 시대에 베르베라는 아달 왕국, 이파트 술탄국, 아달 술탄국 등 여러 소말리아 왕국들의 주요 항구 역할을 했던 중요하고 잘 건설된 정착지였다.[14] 제일라와 함께 아달 술탄국 내에서 가장 중요한 두 항구 중 하나였으며, 이슬람 세계와 중요한 정치적, 상업적 연결을 제공했다.
당나라의 학자 두안 쳉시는 863년에 저술한 작품에서 보발리(베르베라로 추정)의 노예 무역, 상아 무역, 용연향 무역에 대해 묘사했다.[10] 13세기에는 이슬람 여행가인 이븐 사'이드와 이븐 바투타도 이 대도시를 언급했다.[10]
아불-피다의 저서 ''국가 개요''(تقويم البلدانar)에서는 현재의 아덴만을 베르베라 만으로 불렀는데, 이는 베르베라가 중세 시대에 지역 및 국제 무역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는지를 보여준다.[11][12]


전설적인 아랍 탐험가 아흐마드 이븐 마지드는 베르베라와 소말리아 북부 해안의 여러 주목할 만한 랜드마크 및 항구에 대해 기록하면서, 현재의 아덴만을 베르베라 만으로 언급했다. 그는 제일라, 그 주변 군도, Siyara, 헤이스, 알룰라, Ruguda, Maydh, 엘-셰이크, El-Darad 등도 함께 언급했다.[13]
16세기 초, 루도비코 디 바르테마, 두아르테 바르보사, 레오 아프리카누스 등 동아프리카의 다른 항구 및 정착지를 탐험한 탐험가들은 베르베라 항구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남겼다. 이들은 주로 아덴, 캄바트 (캄베이)와의 역사적인 무역 관계를 자세히 설명했다.[16][17]
두아르테 바르보사는 베르베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더 나아가, 같은 해안에는 바바라라고 불리는 무어인[무슬림]의 마을이 있다. 여기에는 항구가 있으며, 아데니와 캄베이의 많은 배들이 상품을 싣고 오가며, 캄베이의 배들은 그곳에서 많은 금, 상아, 기타 물건을 가져가고, 아덴의 배들은 많은 식량, 고기, 꿀, 밀랍을 가져간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곳이 매우 풍요로운 나라라고 말하기 때문이다.[18]
2. 3. 근세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베르베라는 연례 박람회가 열리는 동아프리카의 주요 상업 중심지였다. 이사크 부족을 비롯한 소말리아 여러 부족과 인도 상인들이 모여 거래를 했으며, 이 모든 것은 유럽 상인들에게는 비밀로 유지되었다.[23]1827년, 영국 선박 '메리 앤'호가 베르베라 항구에 정박하려다 하브 아왈 부족의 공격을 받아 여러 선원이 사망했다. 이에 영국 해군은 베르베라를 봉쇄하고 배상금을 요구하는 1827년 베르베라 전투를 벌였다.[41] 하브 아왈 부족은 패배 후, 선박 파괴와 인명 피해에 대한 보상금으로 15,000 스페인 달러를 지불해야 했다.[41]
19세기 중반, 하지 샤르마르케 알리 살레는 베르베라의 무역을 장악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1845년 베르베라 무역 통제를 두고 벌어진 분쟁에서 Reer Ahmed Nuh를 지원하여 그들이 경쟁자들을 몰아내고 베르베라의 유일한 상업적 지배자가 되도록 도왔다.[30]
2. 4. 영국령 소말릴란드
1884년부터 1886년 사이, 영국은 북부 소말리아 해안의 여러 부족과 잇따라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령 소말릴란드라고 불리는 보호령을 설치했다.[46] 영국은 아덴 정착지에서 보호령을 주둔시켰으며, 1898년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 식민지에서, 1905년까지 외무부에서, 그 이후에는 식민부에서 관리했다.수에즈 운하로 향하는 관문인 아덴만 남쪽에 있는 유일한 항구였던 베르베라는 전략적 요충지였음에도, 영국은 나중에 이 지역에 대한 명목상의 통제를 후회하게 되었다. 1907년 식민부 차관 윈스턴 처칠은 베르베라를 방문하여, 보호령이 "생산성이 없고, 험난하며, 사람들은 점령에 매우 적대적"이라며 포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47] 보호령 설립의 명시된 목적은 "공급 시장을 확보하고 외세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이었다.[48] 영국은 주로 보호령을 해안 지역의 질서를 유지하고 내륙에서 오는 대상 루트를 보호함으로써 아덴 식민지에 있는 영국령 인도 전초 기지에 고기를 공급하는 원천으로 여겼다.[49][50] 이 기간 동안 식민 행정은 해안 너머로 기반 시설을 확장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의 보다 개입적인 식민 경험과는 대조를 이루었다.[51][52] 보호령 초기에, 포기된 베르베라-하라르 철도 사업과 같은 주요 기반 시설 프로젝트에 투자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앙트앙트 코르디알에 해를 끼칠 것이라는 이유로 의회에서 거부되었다.[53][54]
1940년 8월, 동아프리카 전역 중, 영국령 소말릴란드는 이탈리아에 잠시 점령되었다. 이 기간 동안 영국군은 병사들과 정부 관리들을 베르베라를 통해 탈출시켰으며, 총 7,000명이 대피했다.[55] 소말릴란드 낙타 부대에서 복무하는 소말리족에게는 대피하거나 해산할 선택지가 주어졌는데, 대다수는 남아서 무기를 유지했다.[56] 1941년 3월, 영국군은 6개월 간의 점령 후 작전으로 이 보호령을 탈환했다.
2. 5. 현대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는 소말릴란드국으로 독립한 후, 소말리아 신탁 통치령과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59][60] 베르베라는 소말리아 공화국의 주요 가축 항구 역할을 했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거의 모든 가축 수출이 이사크 가축 상인을 통해 베르베라 항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당시 베르베라의 수출만으로도 국가 외화 수입의 75% 이상을 제공했다.[59][60] 주요 소비국은 사우디 아라비아를 비롯한 부유한 걸프 국가들이었다.1962년 소련은 소말리아 공화국이 현대식 항만 시설과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지원하기로 합의했으며, 1969년에 완공되어 1971년에는 16척의 소련 선박이 기지를 이용했다.[61] 1977년 오가덴 전쟁으로 소련은 베르베라와 국가 전체를 떠났고, 1980년 미국이 4000만달러의 투자와 새로운 의료 시설을 가지고 도착하게 되었다. 1985년까지 도시의 추정 인구는 7만 명이었다.[62]
1991년 시아드 바레 정권의 몰락과 함께 소말리아 공화국의 북부 지역은 소말릴란드를 선포했다. 이후 베르베라와 이 지역의 다른 마을에서 인프라 재건이 서서히 시작되었다.[62]

이 도시는 여전히 경쟁력 있는 지역 항구로 남아 있으며, 2016년에는 DP 월드와 소말릴란드 정부 간에 4.42억달러 규모의 계약이 체결되었다.[63] 이 계약은 베르베라 항구의 지역 무역 및 물류 허브를 강화하고 운영하는 것을 포함한다.[64] 단계적으로 진행될 이 프로젝트는 자유 경제 구역 설치도 포함한다.
2018년 3월 1일, 에티오피아는 DP 월드 및 소말릴란드 항만청과의 합의에 따라 주요 주주가 되었다. DP 월드는 이 프로젝트의 지분 51%, 소말릴란드는 30%, 에티오피아가 나머지 19%를 보유하고 있다. 이 합의의 일환으로 에티오피아 정부는 베르베라 회랑을 개발하기 위한 인프라에 투자할 것이다.[65][2]
2021년 6월 24일, DP 월드의 CEO는 베르베라 항구 업그레이드 2단계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2단계 계획에는 새로운 부두를 400m에서 1,000m로 확장하고, 7개의 추가 선박 대 육상 갠트리 크레인을 추가하여 총 10개로 늘리고, 확장된 항구가 연간 최대 200만 TEU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66]
2024년 1월 1일, 에티오피아가 베르베라 항구를 활용하기 위해 소말릴란드와 계약을 체결했다는 발표가 있었다.[70]
3. 지리
베르베라는 매우 건조하고 더운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마을 외곽은 사막 또는 반사막 지형이다. 여름에는 기온이 50℃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내륙의 더 시원한 도시로 이동하기도 한다.[1] 우기도 존재한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베르베라는 열대 사막 기후(BWh)에 속한다. 길고 무더운 여름과 짧고 더운 겨울이 나타나며, 강수량은 매우 적다. 여름철(6월~9월) 평균 최고 기온은 40°C를 넘고, 밤에도 평균 30°C 정도의 높은 기온을 보인다. 연중 가장 추운 달에도 평균 최고 기온은 29°C 이상, 최저 기온은 20°C 이상이다. 강수량은 적지만 연중 습도가 매우 높아 체감 온도는 더욱 높다. 연평균 강수량은 52mm이며, 연평균 강우일은 5~8일 정도이다. 맑은 날씨는 연중 낮 시간의 약 84%를 차지하며, 연평균 운량은 매우 낮다.[99][100][101]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평균 최고 기온 (°C) | 27.9 | 29.2 | 30.7 | 31.0 | 35.7 | 42.8 | 42.9 | 41.9 | 39.7 | 33.1 | 30.0 | 28.6 | 34.5 |
| 평균 최저 기온 (°C) | 21.3 | 21.6 | 23.3 | 25.2 | 27.7 | 31.0 | 31.8 | 31.1 | 29.3 | 24.0 | 22.2 | 21.6 | 25.8 |
| 평균 강수량 (mm) | 8 | 2 | 5 | 12 | 8 | 1 | 1 | 2 | 1 | 2 | 5 | 5 | 52 |
| 평균 상대 습도 (%) | 78 | 79 | 79 | 81 | 73 | 49 | 44 | 45 | 51 | 72 | 74 | 76 | 67 |
3. 1. 위치 및 지형
베르베라는 소말리아 북부 해안 지역에 위치한 오래된 항구 도시로, 아덴만 남쪽에 있는 유일한 자연 항구를 가지고 있다.[1] 이 도시 주변의 풍경은 소말릴란드 해안 저지대와 함께 반건조 지대이다.[1]
바텔라, 바탈레와 같은 인기 있는 지역 해변들은 이 도시에게 "비치 시티"라는 별명을 안겨주었다.[1]
3. 2.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베르베라는 열대 사막 기후(BWh)를 나타낸다. 길고 무더운 여름과 짧고 더운 겨울, 매우 적은 강수량이 특징이다. 평균 최고 기온은 여름철 거의 4개월(6월, 7월, 8월, 9월) 동안 일관되게 40°C를 초과한다. 여름 밤의 더위는 높으며, 평균 최저 기온은 약 30°C이다. 연중 가장 추운 달에도 평균 최고 기온은 29°C 이상을 유지하고 평균 최저 기온 또한 20°C을 넘어선다. 강수량은 적지만 연중 상대 습도는 매우 높고 대기는 동시에 습하다. 사막의 열기와 과도한 습도의 조합은 체감 온도를 극도로 높은 수준으로 만든다. 연평균 강수량은 매우 적으며, 52mm에 불과하다. 연평균 강우일은 5~8일이다. 맑은 햇볕은 총 낮 시간의 약 84% 동안 발생하며, 연평균 운량은 매우 낮다.[99][100][10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평균 최고 기온 (°C) | 27.9 | 29.2 | 30.7 | 31.0 | 35.7 | 42.8 | 42.9 | 41.9 | 39.7 | 33.1 | 30.0 | 28.6 | 34.5 |
| 평균 최저 기온 (°C) | 21.3 | 21.6 | 23.3 | 25.2 | 27.7 | 31.0 | 31.8 | 31.1 | 29.3 | 24.0 | 22.2 | 21.6 | 25.8 |
| 평균 강수량 (mm) | 8 | 2 | 5 | 12 | 8 | 1 | 1 | 2 | 1 | 2 | 5 | 5 | 52 |
| 평균 상대 습도 (%) | 78 | 79 | 79 | 81 | 73 | 49 | 44 | 45 | 51 | 72 | 74 | 76 | 67 |
4. 인구
역사적으로 베르베라는 하브 아왈의 레르 아흐메드 누흐 및 유니스 누흐 계통이 거주했다.[74]
최근에는 하브 아왈의 이사 무세 하위 씨족이 마을 주민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75] 하브 유니스는 주로 무사 압달라 분파에 속하며,[76] 하브 제'로도 존재한다.[77]
5. 경제
베르베라 항을 통해 가축, 아라비아 고무, 유향, 몰약 등 다양한 상품이 수출된다. 해상 무역은 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제다, 북쪽으로 240km 떨어진 예멘의 아덴과 이루어진다.[79] 에티오피아의 상품도 베르베라 항구를 통해 수출된다.[80] 해변은 스쿠버 다이빙, 스노클링, 서핑, 산호초와 같은 수상 스포츠 관광 활동으로 인기가 높다.[81]
6. 교통
베르베라는 하르게이사, 보라오와 주요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베르베라 공항은 4140m 길이의 활주로를 가진 공항이다.[85] 1970년대 소련이 건설했으며, 1980년대 미국 NASA가 우주왕복선 긴급 착륙 공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6. 1. 항만
베르베라는 소말릴란드의 주요 항구 중 하나인 베르베라 항을 가지고 있다.[82] 이 항구는 역사적으로 소말리아 정부의 해군 및 미사일 기지로 사용되었다. 1962년 소말리아 공화국과 소련 간의 협정에 따라 항구 시설은 소련에 의해 후원되었으며, 1969년에 상당한 규모로 업그레이드되었다.[83] 이후 소말리아 당국이 미국 정부와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미국 군의 사용을 위해 확장되었다.[84] 아덴만 남안에서 유일하게 폭풍을 피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항만이다.[96]독립 이후 베르베라는 소말리아 공화국 북서부 주의 주요 가축 항구 역할을 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거의 모든 가축 수출이 이사크 가축 상인을 통해 베르베라 항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주요 소비국은 사우디 아라비아를 비롯한 부유한 걸프 국가였다.[59][60]
1962년 소련은 베르베라에 현대식 항만 시설과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지원하기로 합의했고, 1969년에 완공되었다.[61] 오가덴 전쟁 이후 1980년에는 미국이 4000만달러를 투자하여 새로운 의료 시설과 함께 항구를 확장했다.[62]
2016년에는 DP 월드와 소말릴란드 정부 간에 4.42억달러 규모의 계약이 체결되어 베르베라 항구의 지역 무역 및 물류 허브 강화 및 운영을 포함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63][64] 이 프로젝트에는 자유 경제 구역 설치도 포함된다.
2018년 3월 1일, 에티오피아는 DP 월드 및 소말릴란드 항만청과의 합의에 따라 이 프로젝트의 지분 19%를 보유하게 되었다. DP 월드는 51%, 소말릴란드는 30%를 보유한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베르베라 회랑을 개발하기 위한 인프라에 투자할 것이다.[65][2]
2021년 6월 24일, DP 월드는 베르베라 항구 업그레이드 2단계 계획을 발표했다. 2단계 계획에는 새로운 부두를 400m에서 1,000m로 확장하고, 7개의 추가 선박 대 육상 갠트리 크레인을 추가하여 총 10개로 늘리는 것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확장된 항구는 연간 최대 200만 TEU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66]
2021년 6월 하순에는 항만의 화물 처리 능력을 3배 이상 확대하는 컨테이너 항만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97] 지부티를 대체하는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내륙으로의 운송 거점으로서 기대받고 있다.[98]
6. 2. 공항

베르베라 공항은 4140m 길이의 활주로를 가진 공항이다.[85] 1970년대 소련이 건설했으며, 1980년대 미국 NASA가 우주왕복선 긴급 착륙 공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7. 문화유산
베르베라에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만들어진 오스만 건축 양식의 건조물이 다수 남아 있다. 다만, 이것들은 유적이며, 사람이 들어가는 일도 드물다. 베르베라는 바레 대통령 시대에 소말리아 군에 폭격을 받았지만, 이러한 유적은 남았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Berbera, city and urban area
https://populationst[...]
[2]
뉴스
Ethiopia’s gambit for a port is unsettling a volatile region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24-01-02
[3]
웹사이트
Issue 270
http://www.somalilan[...]
2016-03-28
[4]
서적
The Horn Engaging the Gulf Economic Diplomacy and Statecraft in Regional Relations
[5]
서적
Researches Into the Physical History of Mankind: Ethnography of the African races.
https://archive.org/[...]
Sherwood, Gilbert & Piper
1837
[6]
웹사이트
Somalia
http://www.worldstat[...]
[7]
간행물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2
[8]
간행물
Journal of African History
[9]
웹사이트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Schoff's 1912 translation
http://www.fordham.e[...]
[10]
논문
"The Somali Conquest of the Horn of Africa", Journal of African History
https://www.jstor.or[...]
1960
[11]
웹사이트
Identifiants et Référentiels Sudoc Pour L'Enseignement Supérieur et la Recherche - Abū al-Fidā (1273-1331)
http://www.idref.fr/[...]
[12]
서적
Arabic External Sources for the History of Africa to the South of Sahara
Curzon Press
1974
[13]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5
[14]
서적
A Modern History of the Somali
James Currey
2002
[15]
서적
Geography Rectified: or, a Description of the World in all its Kingdoms, Provinces, Countries, …
1688
[16]
서적
The Travels of Ludovico Di Varthema in Egypt, Syria, Arabia Deserta and Arabia Felix, in Persia, India, and Ethiopia, A.D. 1503 to 1508 (translated)
Hakluyt Society
1863
[17]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and of the notable things therein contained (translat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8]
서적
A Description of the Coasts of East Africa and Malabar in the Beginning of the Sixteenth Century by Duarte Barbosa
The Hakluyt Society
1866
[19]
서적
Islam in Ethiopia
1976
[20]
서적
The Ottoman response to European expansion: studies on Ottoman-Portuguese relations in the Indian Ocean and Ottoman administration in the Arab lands during the sixteenth century
Isis Press
1994
[21]
서적
Survey of the East Coast of Africa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National Archives
[22]
서적
Ethiopia: The Era of the Princes; The Challenge of Islam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Christian Empire (1769-1855)
Longmans
[23]
문서
Era of the Princes
[24]
논문
"Memoir on the Western or Edoor Tribes, Inhabiting the Somali Coast of N.-E. Africa, with the Southern Branches of the Family of Darrood, Resident on the Banks of the Webbe Shebeyli, Commonly Called the River Webbe," Journal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https://www.jstor.or[...]
1849
[25]
서적
Researches Into the Physical History of Mankind: Ethnography of the African races
https://archive.org/[...]
Sherwood, Gilbert & Piper
1837
[26]
서적
The Colonial Magazine and Commercial-maritime Journal, Volume 2
1840
[27]
서적
Journal of Ethiopian Studies Vol. 3, No. 1
Institute of Ethiopian Studies
1965
[28]
서적
The Merchants' Magazine and Commercial Review, Volume 34
1856
[29]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Somaliland: from Nation to State
Praeger
1965
[30]
서적
Transactions of the Bombay Geographical Society, 1849, Volume 8, p. 185
[31]
서적
The History of Aden, 1839-72
Cass
1981
[32]
서적
Africa in the Nineteenth Century Until the 1880s
https://archive.org/[...]
Unesco
1989
[33]
서적
Cholera Epidemics in East Africa
Macmillan Publishers
1876
[34]
문서
Cholera Epidemics
[35]
문서
Journal of Ethiopian Studies
[36]
간행물
Journal of Ethiopian Studies
[37]
서적
Aden Under British Rule, 1839-1967
C. Hurst & Co. Publishers
1975
[38]
간행물
A Modern History
[39]
서적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40]
문서
Precis of Papers Regarding Aden, 1838-1872
India. Foreign and Political Department
[41]
서적
Politics, Language, and Thought: The Somali Experience
"9780226467917"
[42]
서적
رسالة زعماء الصومال إلى الشيخ سلطان بن صقر القاسمي
[43]
서적
The Blood-red Arab Flag: An Investigation Into Qasimi Piracy, 1797-1820
University of Exeter Press
[44]
논문
The Trade of the Gulf of Aden Ports of Africa in the Early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https://www.jstor.or[...]
[45]
서적
رسالة زعماء الصومال إلى الشيخ سلطان بن صقر القاسمي
[46]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At the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state and rural transformation in Northern Somalia, 1884–1986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48]
문서
[49]
문서
[50]
웹사이트
Unhappy masses and the challenge of political Islam in the Horn of Africa
http://www.somaliaon[...]
2003-27
[51]
서적
The state and rural transformation in Northern Somalia
[52]
뉴스
The Invisible Country
http://www.pulitzerc[...]
2010-03-27
[53]
웹사이트
Berbera-Harrar Railway Survey Vol. 1
http://discovery.nat[...]
[54]
문서
The Navy Everywhere
[55]
문서
[56]
웹사이트
http://www.london-ga[...]
[57]
뉴스
Somaliland Marks Independence After 73 Years of British Rule
https://www.nytimes.[...]
2008-06-20
[58]
뉴스
How Britain said farewell to its Empire
https://www.bbc.co.u[...]
2010-07-23
[59]
웹사이트
CLASS AND POWER IN A STATELESS SOMALIA
https://www.research[...]
[60]
서적
Somalia: A Government at War with Its Own People
http://www.sahistory[...]
Human Rights Watch
2020-11-25
[61]
서적
The Soviet Union and the Horn of Africa during the Cold War: Between Ideology and Pragmatism
2016
[62]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63]
뉴스
Somaliland and DP World celebrate 30-year concession for $442 million Port of Berbera (Somaliland) – Asoko Insight
https://asokoinsight[...]
2017-06-19
[64]
뉴스
Somalia project opens up Africa for DP World
https://www.wsj.com/[...]
2016-05-30
[65]
웹사이트
Ethiopia acquires 19% stake in DP World Berbera Port
http://web.dpworld.c[...]
2018-05-21
[66]
웹사이트
DP World, Somaliland open new terminal at Berbera Port
https://mediaoffice.[...]
[67]
뉴스
Dubai's DP World Agrees to Manage Port in Somaliland for 30 Years
http://www.thenation[...]
2016-05-30
[68]
뉴스
DP World Should Rethink Port Deals in Somalia-Foreign Minister
https://www.nytimes.[...]
2018-04-22
[69]
뉴스
Can Ethiopia's railway bring peace to Somalia?
https://www.bbc.com/[...]
2015-11-23
[70]
웹사이트
Ethiopia signs pact to use Somaliland's Red Sea port
https://www.reuters.[...]
2024-01-01
[71]
웹사이트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10-22
[72]
웹사이트
Klimatafel von Berbera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0-22
[73]
웹사이트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ddr.faoswali[...]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11-04
[74]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Somaliland: from Nation to State
https://archive.org/[...]
Praeger
1965
[75]
간행물
Ruin and Renewal: The Story of Somaliland
http://www.mbali.inf[...]
Center for Creative Solutions
2004-05-31
[76]
서적
I.M Lewis :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2-03
[77]
웹사이트
KYD3 - Politics in Berbera
https://robertk.spac[...]
2022-01-02
[78]
웹사이트
2011/2 Primary School Census Statistics Yearbook
https://www.unicef.o[...]
2018-02-13
[79]
서적
Report of the Special Subcommittee to Inspect Facilities at Berbera, Somalia, to the Committee on Armed Services, House of Representatives, Ninety-fourth Congress, first session, July 15, 1975.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80]
뉴스
Ethiopia, Somaliland envisage exploiting Barbara port
http://www.ena.gov.e[...]
Ethiopian News Agency
2009-07-29
[81]
웹사이트
Somalia attractions, Berbera Seaside
http://www.iexplore.[...]
2013-11-29
[82]
웹사이트
Istanbul conference on Somalia 21 – 23 May 2010 - Draft discussion paper for Round Table "Transport infrastructure"
http://www.somalital[...]
Government of Somalia
2013-08-31
[8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Détente: American Foreign Polic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84]
서적
Intercontinental Press Combined with Inprecor, Volume 20, Issues 25-37
https://books.google[...]
Intercontinental Press
[85]
간행물
By Ilyushin 18 to Mogadishu
[86]
문서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http://www.fordham.e[...]
[87]
문서
酉陽雑俎
[88]
웹사이트
悠久な東西交易の中継港ジェッタ
http://saudinomad.ka[...]
中東協力センター
[89]
서적
A Modern History of the Somali
James Currey
[90]
서적
Ethiopia: The Era of the Princes; The Challenge of Islam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Christian Empire (1769-1855)
Longmans
[91]
서적
Era of the Princes
[92]
서적
A Modern History
[93]
문서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94]
웹사이트
冷戦下・冷戦後の「アフリカの角」問題とイスラーム主義勢力(PDF)
http://japan-middlee[...]
2009-06
[95]
웹사이트
崩壊国家と国際社会:ソマリアと「ソマリランド」(PDF)
http://www.sirag.org[...]
[96]
웹사이트
アラビア半島とアフリカの角
http://www.tufs.ac.j[...]
2023-02-12
[97]
웹사이트
世界地図のどこにもない、なのに不思議な存在感…思惑うごめくアフリカの「国」
https://www.yomiuri.[...]
2021-08-19
[98]
웹사이트
ドバイのDPワールド、ソマリランドと30年の港湾管理で合意
https://jp.wsj.com/a[...]
2023-02-12
[99]
웹인용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10-22
[100]
웹인용
Klimatafel von Berbera / Somali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0-22
[101]
웹인용
Long term mean monthly sunshine fraction in Somalia
http://sddr.faoswali[...]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