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양군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양군벌은 태평천국의 난 이후 이홍장의 북양군을 기원으로 하며, 위안스카이가 북양군의 실질적 지배자가 되면서 형성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 위안스카이가 중화민국의 초대 대총통이 되었으나, 공화제를 부인하고 전제군주국으로 회귀하려 하자 북양군 내부에서 분열이 시작되었다. 위안스카이 사후 북양군은 안휘계, 직예계, 봉천계 등 여러 군벌로 분열되었고, 각 군벌은 베이징 정부의 통제권을 쟁탈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쟁을 일으켰다. 1924년 쑨원은 국민혁명군을 조직하여 북벌을 시작했고, 1928년 장쭤린이 사망하고 장쉐량이 국민당에 항복하면서 북양군벌 시대는 종식되었다.

2. 기원

북양군벌의 기원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 이후 이홍장안휘성(安徽省)에서 창설한 사병 집단인 회군에서 찾을 수 있다.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고 북양대신(北洋大臣)에 오른 이홍장은 자신의 직속 군대를 근대화하여 북양군과 북양함대로 키웠고, 이는 청일 전쟁을 거치면서 청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으로 성장했다.

1901년 이홍장이 사망하자 원세개가 그의 자리인 북양통상대신을 계승하며 북양군의 실질적인 주인이 되었다. 원세개는 서양식 군사 제도를 도입하여 청나라의 구식 군대를 현대화한 새로운 '''북양군'''(신군)을 창설하고 하북성(河北省)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원세개는 혁명 진압을 명분으로 북양군을 동원해 베이징을 장악하고 청나라의 군권을 손에 넣었다. 이후 혁명파의 지도자 쑨원과 타협하여 청나라 황제를 퇴위시키는 대가로 1912년 중화민국의 임시 대총통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대총통이 된 원세개는 공화제를 부정하고 황제 즉위를 시도하는 등 전제군주제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는 전국적인 반발을 샀다. 결국 1916년 원세개가 사망하자 강력한 통솔자를 잃은 북양군은 여러 계파로 분열되었고, 이는 각 군벌이 할거하며 다투는 군벌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2. 1. 이홍장과 북양군

북양군벌의 기원은 이홍장태평천국의 난 이후 안휘성에서 창설한 사병 집단인 회군에서 찾을 수 있다.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북양대신(北洋大臣)에 오른 이홍장은 자신의 직속 군대였던 회군을 서양식으로 근대화하고 함대를 창설하여 북양군과 북양함대로 발전시켰다. 이 북양군은 청일 전쟁을 거치면서 청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2. 2. 원세개와 북양군

북양군벌의 기원은 태평천국의 난 이후 이홍장안휘성(安徽省)에서 창설한 사병 집단인 회군에 뿌리를 둔다.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고 북양대신에 오른 이홍장은 자신의 군대를 근대화하여 북양군과 북양함대로 키웠으며, 이는 청일 전쟁을 거치며 중국 내 가장 강력한 군사력으로 성장했다.

1901년 이홍장이 사망하자 원세개가 그의 자리인 북양통상대신을 이어받았다. 원세개는 북양군의 실질적인 주인이 되었고, 그의 지휘 아래 북양군은 이후 군벌 시대를 여는 핵심 세력으로 성장했다. 원세개는 서양식 군사 제도를 도입하여 청나라의 구식 군대를 현대화한 새로운 '''북양군'''(신군)을 창설하고 하북성(河北省)을 중심으로 세력을 키웠다. 북양군은 점차 규모가 확대되어 북양 지역뿐 아니라 중앙과 다른 지방에도 주둔하게 되었으며, 러일 전쟁 당시에는 일본군에 협력하기도 했다. 중간에 잠시 군권을 박탈당하기도 했으나, 원세개는 다시 복권되어 권력을 되찾았다.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청나라 정부는 혁명군을 진압하기 위해 원세개를 다시 기용했다. 원세개는 반란 진압을 명분으로 북양군을 이끌고 베이징을 장악하여 청나라의 군권을 손에 넣었다. 이후 그는 혁명파의 지도자 쑨원과 타협하여 청나라 황제를 퇴위시키는 조건으로, 중화민국의 임시 대총통 자리에 올랐다. 이로써 그는 청 왕조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수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지만, 이는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실현하기 위한 과정이기도 했다.

그러나 대총통이 된 원세개는 공화제를 부정하고 스스로 황제가 되려는 야심을 드러내며 전제군주제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쑨원 등 공화파는 남방 군벌들과 연합하여 반발했고, 북양군 내부에서도 일부 계파가 반기를 드는 등 전국적인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1916년 원세개가 사망하면서 황제 즉위는 실패로 끝났고, 그가 남긴 강력한 북양군은 통솔자를 잃고 여러 파벌로 분열되기 시작했다. 이는 이후 군벌들이 각자 세력권을 형성하고 서로 다투는 혼란스러운 군벌 시대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2. 3. 신해혁명과 원세개의 집권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청나라 조정은 원세개에게 반란 진압의 임무를 맡겼다. 원세개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북양군을 이끌고 베이징을 점령, 청나라 조정의 군권을 완전히 장악했다. 이후 그는 혁명파의 지도자 쑨원과 타협하여, 청나라 황제를 퇴위시키는 조건으로 중화민국의 권력을 넘겨받기로 합의했다.

1912년, 쑨원으로부터 임시 대총통직을 넘겨받아 원세개는 중화민국의 초대 임시 대총통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그는 공화제 이념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권력을 독점하고 전제군주제로 회귀하려는 야심을 드러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신해혁명의 정신을 거스르는 것으로 간주되어 중국 전역에서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쑨원을 비롯한 공화파 인사들은 남방 군벌들과 연합하여 원세개에 맞서고자 했으며, 원세개가 장악하고 있던 북양군 내부에서도 그의 독단적인 행보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3. 북양군의 분열

1916년 원세개가 사망하자, 그가 창설하고 이끌었던 북양군은 강력한 통솔자를 잃고 분열되기 시작했다. 북양군 내부의 장군들은 각자의 출신 지역과 정치적 배경, 그리고 외세의 지원 여부에 따라 여러 파벌로 나뉘어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초기에는 크게 세 개의 주요 군벌 계파가 형성되었다. 안휘성 출신의 단기서를 중심으로 한 안휘파, 직례(현재의 허베이성) 출신의 풍국장을 중심으로 한 직계파, 그리고 봉천(현재의 랴오닝성동북 지역)을 기반으로 한 장작림봉천파가 대표적이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진계(산서파), 풍계(서북파) 등 더 많은 군벌 세력으로 분화되었다.

각 군벌들은 자체적인 군대를 보유하고 자신이 장악한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중앙 베이징 정부의 통제권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끊임없이 경쟁하고 충돌했다. 이러한 군벌들의 할거와 대립은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외세의 개입을 용이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군벌 간의 복잡한 이합집산과 정권 다툼은 이후 북벌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3. 1. 주요 군벌 세력

(현재의 허베이)풍국장(펑궈장)봉천 군벌(봉계)봉천(奉天)
(현재의 랴오닝, 동북)장작림(장쭤린), 장학량(장쉐량)



이들 군벌 계파는 각자 독자적인 군대를 보유하고 출신 지역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베이징 중앙 정부의 통제권을 차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충돌했다. 군벌 간의 이합집산이 반복되면서 중앙 정부의 내각 역시 불안정하여, 1916년부터 1928년까지 총 38차례나 내각이 교체되었다. 이러한 군벌들의 할거는 일본과 서양 열강의 이권 침탈과 맞물려 중국 사회의 혼란을 심화시키고 외세의 침략을 용이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각 군벌은 외세의 지원을 등에 업고 자신의 세력 확장에만 몰두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북양군벌은 더욱 세분화되어, 기존의 직계, 안휘계, 봉계 외에도 진계(산서파), 풍계(서북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이들은 서로 간, 혹은 같은 파벌 내에서도 권력 다툼을 벌이며 베이징 정부의 주도권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했다.

초기에는 일본의 지원을 받은 돤치루이의 안휘계가 베이징 정부의 실권을 장악했다. 하지만 1920년 발발한 안직전쟁에서 직계와 봉계 연합군에게 패배하면서 세력을 크게 잃었다. 승리한 직계와 봉계의 연합 역시 오래가지 못했고, 1922년 봉직전쟁이 일어나 2년간의 전투 끝에 장쭤린이 이끄는 봉계가 최종적으로 승리했다. 장쭤린은 직계에서 이탈한 펑위샹과의 전투에서도 승리하며 1924년 베이징 정부의 실권을 완전히 장악했다. 이후 장쭤린의 지지를 받아 한때 세력을 잃었던 돤치루이가 임시 집정으로 추대되기도 했다.

1925년 쑨원이 사망하고, 1926년 장제스를 중심으로 한 국민혁명군이 북벌을 개시하자 북양군벌 체제는 큰 위기를 맞았다. 북벌에 대응하기 위해 장쭤린은 해륙군대원수에 취임하며 비상대권을 장악했지만, 북벌군의 공세를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북벌 과정에서 먼저 직계 군벌이 붕괴되었고, 계속 북진한 국민혁명군은 1928년 장쭤린의 봉계를 격파하고 베이징을 점령했다. 패퇴하여 봉천으로 돌아가던 장쭤린은 만주에서 영향력 확대를 노리던 일본 제국 관동군에 의해 열차 폭탄 테러로 암살되었다. 장쭤린의 사망으로 봉계 정부는 사실상 소멸하였고, 이로써 위안스카이 사후 13년간 지속된 북양군벌의 베이징 정부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후 장제스국민정부중화민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받게 되었다.

'''북양군벌 주요 분파 일람'''
파벌세력 범위대표 인물배경 세력
직계(직례파)양자강 중하류 유역 및 직례펑궈장, 차오쿤, 우페이푸, 치셰위안, 쑨촨팡미국, 영국
안휘계(안휘파)안후이성, 저장성, 산둥성, 푸젠성, 섬서성돤치루이, 니쓰총, 쉬수정, 돤즈구이, 루융샹일본
봉계(봉천파)만주: 요녕성, 흑룡강성, 길림성장쭤린, 장쉐량, 장쭝창일본
진계(산서파)산서성옌시산, 푸쭤이일본
풍계(서북파)서북 지역: 하북성, 내몽골 (수이위안성)펑위샹, 한푸쥐, 쑹저위안, 양후청소련



'''북양군벌과 연계한 기타 지방 군벌'''
파벌세력 범위대표 인물배경 세력
전계(운남파)운남성, 귀주성차이어, 탕지야오, 룽윈, 루한미국, 영국
구계(구광서파)광서성, 광동성, 호남성루룽팅, 탄하오밍, 선훙잉, 천빙쿤미국, 영국
신계(신광서파)광서성, 광동성, 호남성리쭝런, 바이충시, 황샤오슝미국, 영국
월계(광동파, 서남파)광동성천충밍, 천밍추, 장파쿠이, 천지탕, 위한머우국민당, 신계
천계(쓰촨파)사천성슝크우, 류샹, 류원후이, 양썬, 덩시허우국민당
검계(귀주파)귀주성위안쭈밍, 왕자리에, 왕톈페이, 저우시청, 류셴스, 펑한장베이징 정부, 국민당
상계(호남파)호남성탄옌카이, 자오헝티, 탕성즈, 허젠베이징 정부, 국민당
마가군감숙성, 영하성, 청해성마훙쿠이, 마훙빈, 마부팡, 마부칭, 마지위안, 마안량국민당
신계(신강파)신강성양쩡신, 진수런, 성스차이소련, 공산당


3. 2. 군벌 간의 갈등과 베이징 정부

1916년 원세개가 사망하자 북양군은 크게 3개의 주요 파벌로 나뉘었다. 안휘성 출신의 단기서가 이끄는 안휘파, 직례(현재의 허베이) 출신의 풍국장을 중심으로 한 직계파, 그리고 봉천(현재의 랴오닝, 둥베이)을 기반으로 한 장작림과 그의 아들 장학량봉천파가 대표적이었다. 이 외에도 산서파(진계), 서북파(풍계) 등 여러 군벌 세력이 존재했다.

각 군벌 계파는 독자적인 군대를 보유하고 각자의 출신 지방에 근거지를 두면서, 중앙 베이징 정부의 통제권을 장악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쟁을 일으켰다. 이러한 군벌들의 이합집산은 중앙 정부의 극심한 불안정을 초래하여, 1916년부터 1928년까지 총 38차례나 내각이 교체되는 결과를 낳았다. 군벌 시대의 혼란은 일본과 서구 열강의 이권 개입 및 불평등 조약 문제와 맞물려 중국 사회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었으며, 군벌들은 외세의 지원을 등에 업고 자신의 세력 확장에만 몰두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 베이징 정부의 실권은 일본의 지원을 받은 돤치루이의 안휘파가 장악했다. 그러나 1920년 발발한 안직전쟁에서 직계파와 봉천파 연합군에게 패배하면서 안휘파는 세력을 크게 잃었다. 승리한 직계파와 봉천파의 연합 역시 오래가지 못했고, 1922년 양 파벌 간의 봉직전쟁이 일어났다. 2년에 걸친 전쟁 끝에 장쭤린이 이끄는 봉천파가 최종적으로 승리했다. 장쭤린은 직계에서 이탈한 풍옥상과의 전투에서도 승리하여 1924년 베이징 정부의 실권을 완전히 장악했다. 이 시기 장쭤린의 지지를 받아 몰락했던 돤치루이가 잠시 임시 집정(執政)에 오르기도 했다.

1926년,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이 북벌을 개시하자, 장쭤린은 해륙군대원수(海陸軍大元帥)에 취임하며 비상대권을 장악하고 이에 맞섰다. 그러나 국민혁명군은 먼저 직계 군벌을 격파하고 북진을 계속하여 1928년 베이징을 점령했다. 봉천으로 후퇴하던 장쭤린은 일본 관동군에 의해 열차가 폭파되어 암살당했다. 장쭤린의 사망으로 봉천파 정부도 소멸하였고, 위안스카이 사후 13년간 지속된 북양군벌의 베이징 정부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후 장제스국민정부중화민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받게 되었다.

4. 북벌과 통일

1924년 쑨원은 군벌 타도와 혁명 완수를 위해 군사력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광저우에서 제1차 국공 합작을 추진하였다. 소비에트 연방의 지원을 받아 황포군관학교를 설립하고 국민혁명군을 조직하여 북벌의 기반을 마련했다.

1926년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은 군벌 타도를 목표로 북벌을 시작했다. 국민혁명군은 민중의 지지와 중국 공산당의 협력을 바탕으로 북진하여 직례 군벌과 안휘 군벌을 차례로 격파하고, 1928년에는 베이징을 점령했다. 베이징에서 패퇴한 봉천 군벌의 수장 장쭤린만주로 돌아가던 중 일본 관동군에 의해 암살되었고(장쭤린 폭사 사건), 그의 아들 장쉐량은 결국 장제스의 국민정부에 합류하였다. 이로써 위안스카이 사후 13년간 지속된 북양군벌 시대는 막을 내리고 중국은 형식적으로나마 국민정부 아래 통일되었다.

4. 1. 국민혁명군의 북벌

1924년 쑨원은 중국에서 군벌을 몰아내고 혁명을 완수하기 위해 군사력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그는 광저우에서 제1차 국공 합작을 추진하고, 소비에트 연방의 도움을 받아 황포군관학교를 설립하여 국민혁명군을 조직하였다. 1925년 쑨원이 사망하였다.

1926년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은 군벌 타도를 목표로 북벌에 나섰다. 북벌이 시작되자 봉천 군벌의 장쭤린은 해륙군대원수에 취임하며 비상대권을 장악하고 이에 맞섰다. 국민혁명군은 군벌의 폭정에 시달리던 민중의 절대적인 지지와 중국 공산당의 협력을 바탕으로 북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먼저 직례 군벌이 멸망하였고, 이어서 안휘 군벌도 차례로 붕괴되었다.

국민혁명군은 계속 북진하여 1928년 장쭤린의 군대를 격파하고 베이징을 점령하였다. 베이징은 다시 국민당 정부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베이징에서 패퇴하여 만주봉천으로 돌아가던 장쭤린은 일본 관동군에 의해 열차 폭탄 테러로 암살되었다. 장쭤린의 사망으로 봉천 군벌의 베이징 정부도 소멸하였고, 위안스카이 사후 13년간 지속된 북양군벌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장쭤린의 아들인 장쉐량은 만주에서 일본 제국의 압박에 밀려 결국 장제스에게 귀순하였고, 이로써 중국은 명목상 장제스국민정부 아래 통일되었다.

4. 2. 장쭤린 폭사 사건과 북양 군벌의 몰락

1926년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은 군벌 타도를 목표로 북벌을 시작했다. 국민혁명군은 먼저 직계 군벌을 무너뜨리고 계속 북진하여 1928년에는 봉계 군벌의 수장 장쭤린마저 격파하고 베이징을 점령했다.

패배한 장쭤린은 자신의 근거지인 봉천으로 돌아가던 중, 랴오닝성 황고둔역 부근에서 일본 관동군에 의해 열차가 폭파되어 사망했다(장쭤린 폭사 사건). 이 사건으로 봉계 군벌의 베이징 정부는 소멸되었고, 위안스카이 사망 이후 13년간 지속된 북양군벌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후 장제스국민정부중화민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가 되었다. 장쭤린의 아들 장쉐량은 만주에서 세력을 유지하려 했으나 일본 제국에 밀려 결국 장제스의 국민정부에 합류하였다. 이로써 군벌 할거 시대는 끝나고 중국은 형식적으로나마 국민정부 아래 통일되었다.

5. 북양정부의 국가원수

이름직책재임 기간
위안스카이중화민국 임시 대총통1912년 - 1913년
위안스카이중화민국 대총통1913년 - 1916년
리위안훙중화민국 대총통1916년 - 1917년
펑궈장대리 대총통1917년 - 1918년
쉬스창중화민국 대총통1918년 - 1922년
리위안훙중화민국 대총통1922년 - 1923년
차오쿤중화민국 대총통1923년 - 1924년
돤치루이임시 집정1924년 - 1926년
장쭤린해륙군 대원수1926년 - 1928년


6. 기타 지방 군벌

북양군벌 외에도 중국 각지에는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한 여러 지방 군벌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때로는 북양군벌과 협력하거나 경쟁하며 복잡한 관계를 형성했다. 주요 지방 군벌은 다음과 같다.

'''주요 지방 군벌'''
파벌세력 범위대표 인물배경 세력
전계(윈난파)윈난성, 구이저우성차이어, 탕지야오, 룽윈, 루한미국, 영국
구계(구광서파)광시성, 광둥성, 후난성루룽팅, 탄하오밍, 선훙잉, 천빙쿤미국, 영국
신계(신광서파)광시성, 광둥성, 후난성리쭝런, 바이충시, 황샤오슝미국, 영국
월계(광둥파, 서남파)광둥성천충밍, 천밍추, 장파쿠이, 천지탕, 위한머우국민당, 신계
천계(쓰촨파)쓰촨성슝크우, 류샹, 류원후이, 양썬, 덩시허우국민당
섬계(구이저우파)구이저우성위안쭈밍, 왕자리에, 왕톈페이, 저우시청, 류셴스, 펑한장베이징 정부, 국민당
상계(후난파)후난성탄옌카이, 자오헝티, 탕성즈, 허젠베이징 정부, 국민당
마가군간쑤성, 닝샤성, 칭하이성마훙쿠이, 마훙빈, 마부팡, 마부칭, 마지위안, 마안량국민당
신계(신장파)신장성양쩡신, 진수런, 성스차이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