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영 극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영 극한은 범주 \mathcal C 내의 여과 체계의 극한으로, 구체적으로 대상 X와 사상 \pi_i로 구성된다. 이는 \pi_i = f_{ij} \circ \pi_j를 만족시키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유일한 사상 u가 존재하도록 하는 보편 성질을 갖는다. 사영 극한은 대수적 대상, 군, 집합, 위상 공간 등 다양한 수학적 구조에서 정의되며, p진 정수, 형식적 멱급수, 프로유한군 등의 예시가 있다. 역 극한 함자는 좌 완전 함자이며, 미타그-레플러 조건은 그 완전성을 보장하는 조건이다. 사영 극한은 귀납 극한과 범주론적 극한 및 여극한과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극한 (범주론) - 쌍대곱
    쌍대곱은 범주론에서 대상들의 모임에 대한 합의 개념으로, 대상들과 사상들로 구성되며 임의의 다른 대상으로 향하는 사상들을 유일하게 결정하는 보편적인 성질을 만족시키고, 집합의 범주에서는 분리합집합, 군의 범주에서는 자유곱, 아벨 군의 범주에서는 직합으로 나타나는 공리미트의 특수한 경우이다.
  • 극한 (범주론) - 곱 (범주론)
    곱 (범주론)은 범주 내 대상들의 집합에 대해 정의되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과 사영 사상의 집합으로 구성되고, 보편 성질을 만족하며, 등식 또는 극한으로 정의될 수 있고, 결합적이며 데카르트 범주에서 자연 동형이 성립하며, 집합, 위상 공간, 군 등의 범주에서 곱집합, 곱공간, 직접곱 등으로 나타나지만,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 추상대수학 - 직교
    직교는 수학에서 수직으로 만나는 기하학적 개념에서 시작하여 내적 공간의 벡터 내적이 0이거나 가군과 쌍대 가군의 원소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성립하며, 직교 집합, 직교 기저, 직교 여공간 등의 구조를 정의하고 푸리에 급수,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뿐 아니라 컴퓨터 과학, 통계학, 법률, 예술 등에서도 독립적인 요소나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추상대수학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일반위상수학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일반위상수학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사영 극한
개요
분야수학
하위 분야범주론
정의
유형극한
쌍대 개념직접 극한

2. 정의

범주 \mathcal C 속의 '''여과 체계'''(함자]] I^{\operatorname{op/filtered system}}) ((X_i)_{i\in I},(f_{ij})_{i\lesssim j})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 상향 원순서 집합 (I,\lesssim)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대상 X_i\in\operatorname{ob}(\mathcal C)
  • 임의의 i\lesssim j에 대하여, 사상 f_{ij}\colon X_j\to X_i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f_{ii}=\operatorname{id}_{X_i}
  • * 임의의 i\lesssim j\lesssim k에 대하여, f_{ik}=f_{ij}\circ f_{jk}

범주 \mathcal C 속의 여과 체계 ((X_i)_{i\in I},(f_{ij})_{i\lesssim j})의 '''사영 극한''' (X,(\pi_i\colon X\to X_i)_{i\in I})은 이 여과 체계의 극한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 데이터로 구성된다.

  • 대상 X\in\operatorname{ob}(\mathcal C)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사상 \pi_i\colon X\to X_i

이는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i\lesssim j에 대하여, \pi_i=f_{ij}\circ\pi_j
  • 만약 Y\in\operatorname{op}(\mathcal C)(\psi_i\colon Y\to X_i)_{i\in I}가 임의의 i\lesssim j에 대하여 \psi_i=f_{ij}\circ\psi_j를 만족한다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사상 u\colon Y\to X가 존재한다.
  •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psi_i=\pi_i\circ u

역극한의 보편성


보통 X=\varprojlim X_i로 쓴다.

2. 1. 대수적 대상

임의의 대수 구조 다양체 \mathcal V에서, 대수 구조준동형들의 여과 체계 ((A_i)_{i\in(I,\lesssim)},(\phi_{ij}\colon A_j\to A_i)_{i\lesssim j})의 사영 극한은 직접곱의 부분 대수

:\varprojlim A_i=\left\{a\in\prod_{i\in I}A_i\colon a_i=\phi_{ij}(a_j)\qquad(i\lesssim j)\right\}

및 사영 함수

:\varprojlim A_i\to A_i\qquad(i\in I)

들로 주어진다.

과 준동형사상의 역계(사영계)는 방향 부분 순서 집합 (I, \leq) (모든 저자가 ''I''가 방향 집합일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에 대하여, 군의 족 (A_i)_{i\in I}와 모든 i \leq j에 대해 준동형사상 f_{ij}: A_j \to A_i의 족이 다음 속성을 만족할 때 정의된다.

# f_{ii}A_i에 대한 항등사상이다.

# f_{ik} = f_{ij} \circ f_{jk} \quad \text{for all } i \leq j \leq k.

이 때, 쌍 ((A_i)_{i\in I}, (f_{ij})_{i\leq j\in I})I에 대한 군과 사상의 역계라고 하며, 사상 f_{ij}를 이 시스템의 전이 사상이라고 한다.

역계 ((A_i)_{i\in I}, (f_{ij})_{i\leq j\in I})의 역극한은 ''A_i''들의 직접곱의 특정 부분군으로 정의된다.

:A = \varprojlim_{i\in I}{A_i} = \left\{\left.\vec a \in \prod_{i\in I}A_i \;\right|\; a_i = f_{ij}(a_j) \text{ for all } i \leq j \text{ in } I\right\}.

역극한 A에는 각 Ii에 대해 직접곱의 번째 성분을 선택하는 자연 사영 ''i'': ''A'' → ''A''''i''}}가 딸려 있다.

이와 동일한 구성은 A_i가 집합,[1] 반군,[1] 위상 공간,[1] , 가군 (고정된 환 위), 대수 (고정된 환 위) 등인 경우에 수행할 수 있으며, 준동형사상은 해당 범주의 사상이다. 역극한 또한 해당 범주에 속하게 된다.

2. 2. 일반적인 정의

범주 \mathcal C 속의 '''여과 체계'''(함자]] I^{\operatorname{op/filtered system}}) ((X_i)_{i\in I},(f_{ij})_{i\lesssim j})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 상향 원순서 집합 (I,\lesssim)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대상 X_i\in\operatorname{ob}(\mathcal C)
  • 임의의 i\lesssim j에 대하여, 사상 f_{ij}\colon X_j\to X_i

이 데이터는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f_{ii}=\operatorname{id}_{X_i}
  • 임의의 i\lesssim j\lesssim k에 대하여, f_{ik}=f_{ij}\circ f_{jk}


범주 \mathcal C 속의 여과 체계 ((X_i)_{i\in I},(f_{ij})_{i\lesssim j})의 '''사영 극한''' (X,(\pi_i\colon X\to X_i)_{i\in I})은 이 여과 체계의 극한이다. 이는 다음 데이터로 구성된다.

  • 대상 X\in\operatorname{ob}(\mathcal C)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사상 \pi_i\colon X\to X_i

이는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i\lesssim j에 대하여, \pi_i=f_{ij}\circ\pi_j
  • 만약 Y\in\operatorname{op}(\mathcal C)(\psi_i\colon Y\to X_i)_{i\in I}가 임의의 i\lesssim j에 대하여 \psi_i=f_{ij}\circ\psi_j를 만족한다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사상 u\colon Y\to X가 존재한다.
  • *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psi_i=\pi_i\circ u


보통 X=\varprojlim X_i로 쓴다.

역극한은 임의의 범주에서 보편 성질을 이용하여 추상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존재한다면 강한 의미에서 유일하다. 역 시스템의 두 역극한 ''X''와 ''X'''가 주어지면, 사영 사상과 가환하는 ''유일한'' 동형 사상 ''X''′ → ''X''가 존재한다.

범주 ''C'' 내의 역 시스템과 역극한은 함자를 통해 다른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임의의 부분 순서 집합 ''I''는 작은 범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역 시스템은 반변 함자 ''I'' → ''C''이다. 역극한은 만약 존재한다면 이 자명한 함자의 오른쪽 수반으로 정의된다.

3. 예시

p진 정수의 환은 \mathbb{Z}/p^n\mathbb{Z}의 환의 역극한이며 (모듈러 산술 참조), 지수 집합은 일반적인 순서를 갖는 자연수이며, 사상은 "나머지 가져오기"이다. 즉, 수열의 각 요소가 이전 요소로 "사영"되는 정수 (n_1, n_2, \dots)의 수열을 고려하는데, i일 때마다 n_i\equiv n_j \mbox{ mod } p^{i}이다. p진 정수의 자연적인 위상은 여기에 암시된 위상, 즉 원기둥 집합을 열린 집합으로 하는 곱 위상이다.

구체적으로 ''p''-진 정수 전체로 이루어진 환 '''Z'''''p'' 는, 자연수 전체에 통상의 순서를 넣은 것을 첨자 집합으로 하는 정수 환의 잉여류 환의 족 '''Z'''/''p''''n'''''Z''' 에서, 그들 사이의 사상으로 "잉여의 교체"로 얻어지는 준동형을 취한 것의 사영계로부터 사영 극한으로 얻어진다. ''p''-진 정수 환에서의 자연스러운 위상은 사영 극한으로서의 위상과 일치한다.

p진 솔레노이드는 위상군 \mathbb{R}/p^n\mathbb{Z}의 역극한이며, 지수 집합은 일반적인 순서를 갖는 자연수이며, 사상은 "나머지 가져오기"이다. 즉, 수열의 각 요소가 이전 요소로 "사영"되는 실수 (x_1, x_2, \dots)의 수열을 고려한다. 즉, i일 때마다 x_i\equiv x_j \mbox{ mod } p^{i}이다. 그 요소는 정확히 n + r의 형태이며, 여기서 n은 p진 정수이고 r\in [0, 1)는 "나머지"이다.

가환 환 ''R'' 위의 형식적 멱급수\textstyle Rt\textstyle R[t]/t^nR[t]의 환의 사영 극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순서가 지정된 자연수에 의해 인덱싱되며, \textstyle R[t]/t^{n+j}R[t]에서 \textstyle R[t]/t^nR[t]로의 사상은 자연 사영에 의해 주어진다.

프로유한군은 (이산) 유한군사영 극한으로 정의된다.

역 시스템 (''X''''i'', f_{ij})의 지수 집합 ''I''에 최대 원소 ''m''이 있다고 가정하면, 자연 사영 ''m'': ''X'' → ''X''''m''은 동형사상이다.

집합 범주에서 모든 역 시스템은 역극한을 가지며, 이는 역 시스템을 형성하는 집합의 곱의 부분 집합으로 초등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어 있지 않은 유한 집합의 역 시스템의 역극한은 비어 있지 않다. 이는 그래프 이론의 쾨니그의 보조정리의 일반화이며, 유한 집합을 컴팩트 이산 공간으로 보고 유한 교차 속성의 컴팩트성 특성을 적용하여 티호노프의 정리로 증명할 수 있다.

위상 공간 범주에서 모든 역 시스템은 역극한을 갖는다. 이는 기본 집합론적 역극한에 시작 위상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것은 '''극한 위상'''으로 알려져 있다. 무한 문자열의 집합은 유한 문자열의 역극한이며, 따라서 극한 위상이 부여된다. 원래 공간이 이산 위상이므로 극한 공간은 완전 분리된다. 이것은 p진수와 칸토어 집합 (무한 문자열로)을 실현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A''''i'' 를 길이 ''i''의 유한 수열 전체로 이루어진 집합, ''f''''ij'' (''i''≤''j'') 를 수열을 ''i''항으로 자르는 사상이라고 하면, 그 사영 극한은 수열 전체의 집합이 된다.

첨자 집합이 자명한 순서를 가질 경우(즉, 유향이 아닌 집합), 그러한 임의의 역계에 대응하는 역 극한은 단순한 직적이다.

세 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첨자 집합 ''I'' = {''i'', ''j'', ''k''} 로 ''i'' ≤ ''j'' 이고 ''i'' ≤ ''k'' 로 한다(이 역시 유향 집합이 아니다)면, 그러한 임의의 역계의 역 극한은 당김이다.

3. 1. p진 정수

p진 정수의 환은 \mathbb{Z}/p^n\mathbb{Z}의 환의 역극한이며 (모듈러 산술 참조), 지수 집합은 일반적인 순서를 갖는 자연수이며, 사상은 "나머지 가져오기"이다. 즉, 수열의 각 요소가 이전 요소로 "사영"되는 정수 (n_1, n_2, \dots)의 수열을 고려하는데, i일 때마다 n_i\equiv n_j \mbox{ mod } p^{i}이다. p진 정수의 자연적인 위상은 여기에 암시된 위상, 즉 원기둥 집합을 열린 집합으로 하는 곱 위상이다.

구체적으로 ''p''-진 정수 전체로 이루어진 환 '''Z'''''p'' 는, 자연수 전체에 통상의 순서를 넣은 것을 첨자 집합으로 하는 정수 환의 잉여류 환의 족 '''Z'''/''p''''n'''''Z''' 에서, 그들 사이의 사상으로 "잉여의 교체"로 얻어지는 준동형을 취한 것의 사영계로부터 사영 극한으로 얻어진다. ''p''-진 정수 환에서의 자연스러운 위상은 사영 극한으로서의 위상과 일치한다.

3. 2. 형식적 멱급수

가환 환 ''R'' 위의 형식적 멱급수\textstyle Rt\textstyle R[t]/t^nR[t]의 환의 사영 극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순서가 지정된 자연수에 의해 인덱싱되며, \textstyle R[t]/t^{n+j}R[t]에서 \textstyle R[t]/t^nR[t]로의 사상은 자연 사영에 의해 주어진다. ''p''-진 정수 전체로 이루어진 환 '''Z'''''p'' 는, 자연수 전체에 통상의 순서를 넣은 것을 첨자 집합으로 하는 정수 환의 잉여류 환의 족 '''Z'''/''p''''n'''''Z''' 에서, 그들 사이의 사상으로 "잉여의 교체"로 얻어지는 준동형을 취한 것의 사영계로부터 사영 극한으로 얻어진다.

3. 3. 프로유한군

프로유한군은 (이산) 유한군사영 극한으로 정의된다. 이는 ''p''-진 정수 전체로 이루어진 환 '''Z'''''p''를 잉여류 환의 족 '''Z'''/''p''''n'''''Z''' 에서, 그들 사이의 사상으로 "잉여의 교체"로 얻어지는 준동형을 취한 것의 사영계로부터 사영 극한으로 얻는 것과 같다. p진 정수의 환은 \mathbb{Z}/p^n\mathbb{Z}의 환의 역극한이며, 지수 집합은 일반적인 순서를 갖는 자연수이며, 사상은 "나머지 가져오기"이다. 즉, 수열의 각 요소가 이전 요소로 "사영"되는 정수 (n_1, n_2, \dots)의 수열을 고려한다. 이때, i일 때마다 n_i\equiv n_j \mbox{ mod } p^{i}이다. p진 정수의 자연적인 위상은 여기에 암시된 위상, 즉 원기둥 집합을 열린 집합으로 하는 곱 위상이다.

3. 4. 위상 공간

위상 공간연속 함수범주 \operatorname{Top}에서, 여과 체계 ((X_i)_{i\in(I,\lesssim)},(f_{ij})_{i\lesssim j})의 사영 극한은 집합대수 구조 다양체에서의 사영 극한 위에 곱위상부분공간 위상을 부여한 것이다.

만약 모든 X_i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면, 사영 극한은 곱공간의 닫힌집합이다. 특히, 만약 모든 X_i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면, 사영 극한 역시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며, 사영 극한이 공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어떤 X_i가 공집합인 것이다.

위상 공간 범주에서 모든 역 시스템은 역극한을 가지며, 이는 기본 집합론적 역극한에 시작 위상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것은 '''극한 위상'''으로 알려져 있다. 무한 문자열의 집합은 유한 문자열의 역극한이며, 따라서 극한 위상이 부여된다. 원래 공간이 이산 위상이므로 극한 공간은 완전 분리된다. 이것은 p진수와 칸토어 집합 (무한 문자열로)을 실현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4. 사영 극한의 도래 함자

아벨 범주 ''C''에 대해 역 극한 함자

:\varprojlim:C^I\rightarrow C

는 좌 완전 함자이다. ''I''가 가산순서 집합 (단순히 반순서가 있다는 것이 아님)이고, ''C''가 아벨 군의 범주 '''Ab'''일 때, 미타그-레플러 조건은 \varprojlim의 완전성을 보장하는 전이 사상 ''f''''ij''에 관한 조건이다.

에일렌버그는 함자

:\varprojlim\nolimits^1\colon \mathbf{Ab}^I\to\mathbf{Ab}

를 사용하여, 세 개의 아벨 군의 역계(''A''''i'', ''f''''ij''), (''B''''i'', ''g''''ij''), (''C''''i'', ''h''''ij'')가 단 완전열

:0\to A_i\to B_i\to C_i\to 0

을 이루면,

:0\to\varprojlim A_i\to\varprojlim B_i\to\varprojlim C_i\to\varprojlim\nolimits^1 A_i

가 '''Ab'''에서의 완전열이 된다는 것을 구성했다.

; 미타그-레플러 조건

아벨 군의 역계 (''A''''i'', ''f''''ij'')의 사상의 값역이 '''안정''' (즉, 각 ''k''에 대해, 적당한 ''j'' ≥ ''k''가 존재하여 "''i'' ≥ ''j''인 모든 ''i''에 대해 f_{kj}(A_j)=f_{ki}(A_i)가 성립한다")이면, 이 역계는 '''미타그-레플러 조건'''을 만족한다고 한다. 이 조건은 \varprojlim\nolimits^1 A_i = 0임을 함의한다.

다음과 같은 상황은 미타그-레플러 조건을 만족하는 예가 된다.


  • 모든 사상 ''f''''ij''가 전사 사상인 역계
  • 유한 차원 벡터 공간으로 구성된 역계


또한, lim1이 0이 되지 않는 (따라서 미타그-레플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예로, ''I''는 음이 아닌 정수 전체, ''A''''i'' = ''p''''i'''''Z''', ''B''''i'' = '''Z''', ''C''''i'' = ''B''''i''/''A''''i'' = '''Z'''/''p''''i'''''Z'''로 두면,

:\varprojlim\nolimits^1 A_i = \mathbf{Z}_p/\mathbf{Z}

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Z'''''p''는 ''p''-진 정수환을 나타낸다.

4. 1. 미타그-레플러 조건

아벨 군의 역계열 (''A''''i'', ''f''''ij'')의 준동형사상의 치역이 정적인 경우, 즉 모든 ''k''에 대해 모든 ''i'' ≥ ''j''에 대해 f_{kj}(A_j)=f_{ki}(A_i)를 만족하는 ''j'' ≥ ''k''가 존재할 때, 이 계열이 '''미타그-레플러 조건'''을 만족한다고 말한다.

이 조건에 대한 "미타그-레플러"라는 이름은 부르바키가 완전 하우스도르프 균등 공간의 역극한에 대한 유사한 결과에 대한 균등 구조에 관한 장에서 명명했다. 미타그-레플러는 미타그-레플러 정리의 증명에서 이와 유사한 논증을 사용했다.

미타그-레플러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사상 ''f''''ij''가 전사인 계열
  • 유한 차원 벡터 공간 또는 유한 아벨 군 또는 유한 길이를 갖는 가군 또는 아르틴 가군의 계열


\varprojlim{}^1이 0이 아닌 예시는, ''I''를 음이 아닌 정수로 놓고, ''A''''i'' = ''p''''i'''''Z''', ''B''''i'' = '''Z''', ''C''''i'' = ''B''''i'' / ''A''''i'' = '''Z'''/''p''''i'''''Z'''로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그러면 \varprojlim{}^1A_i=\mathbf{Z}_p/\mathbf{Z}이다. 여기서 '''Z'''''p''는 p진 정수를 나타낸다.

4. 2. 추가적인 결과

일반적으로, ''C''가 충분한 단사 대상을 가진 임의의 아벨 범주라면, ''C''''I''도 마찬가지이며, 역극한 함자의 오른쪽 유도 함자들을 정의할 수 있다. ''n''번째 오른쪽 유도 함자는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R^n\varprojlim:C^I\rightarrow C.

''C''가 그로텐디크의 (AB4*) 공리를 만족하는 경우, 얀-에릭 로스는 '''Ab'''''I'' 위의 함자 lim1을 일련의 함자 limn으로 일반화하여

:\varprojlim{}^n\cong R^n\varprojlim.

이 성립하도록 했다.

Roos가 전사적 변환 사상을 갖는 역 시스템 (Mittag-Leffler 시퀀스)에 대해 lim1 ''A''''i'' = 0임을 증명한 것으로 40년 동안 여겨졌으나, 2002년, 아므논 니만과 피에르 들린은 (AB4*) 외에 (AB4)를 만족하는 범주에서 그러한 시스템의 예시를 구성했으며, lim1 ''A''''i'' ≠ 0이다. Roos는 이후 그의 결과가 ''C''가 생성 집합을 가질 경우 (AB3) 및 (AB4*)를 만족하는 것 외에도 옳다는 것을 보였다.

배리 미첼은 만약 ''I''가 기수 \aleph_d (''d''번째 무한 기수)를 갖는다면, 모든 ''n'' ≥ ''d'' + 2에 대해 ''R''''n''lim은 0이라고 보였다. 이는 가환환 ''R''을 갖는 ''R''-가군 범주에서 ''I''로 인덱싱된 다이어그램에 적용된다. 임의의 아벨 범주에서는 반드시 참이 아니다.

5. 관련 개념

범주론적 쌍대는 귀납 극한(직접 극한 또는 순 극한)이다. 더 일반적인 개념은 범주론의 극한과 여극한으로 파악할 수 있다. 용어법이 다소 혼동될 수 있지만, 역극한은 (범주론적) 극한이며, 여극한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