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구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구성주의는 인간의 현실 인식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는 이론이다. 1966년 피터 L. 버거와 토마스 루크만의 저서 『현실의 사회적 구성』을 통해 개념이 자리 잡았으며, 상징적 상호작용론, 현상학, 지식 사회학 등의 영향을 받았다. 주요 개념으로는 사회적 구성물, 현실의 구성, 언어와 담론의 역할, 사회 제도와 관습 등이 있으며, 개인 구성 심리학, 교육 심리학, 체계적 치료, 범죄학, 빈곤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생물학적 결정론, 상대주의, 객관적 현실의 존재 여부 등에 대한 비판이 존재하며, 한국 사회에서의 의의와 영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구성주의 - 토마스 루크만
토마스 루크만은 슬로베니아 출신 독일 사회학자로, 알프레드 슈츠의 영향을 받아 현상학적 사회학을 발전시켰으며, 피터 L. 버거와 함께 사회학 고전으로 평가받는 《사회적 실재의 구성》을 저술하고, 현대 사회 종교의 사사화 현상을 분석한 《보이지 않는 종교》를 발표하는 등 지식사회학, 종교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공헌했다. - 사회 구성주의 - 프레이밍
프레이밍은 정보 제시 방식이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사회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사회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사회 구성주의 | |
---|---|
사회 구성주의 개요 | |
정의 | 사회 구성주의는 사람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과 의미를 어떻게 공동으로 구성하는지를 탐구하는 사회학 이론이다. |
핵심 개념 | 지식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의미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현실은 사회적 구성물이다. |
관련 분야 | 사회학 심리학 철학 언어학 인류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교육학 |
주요 이론가 | 피터 L. 버거 토마스 루크만 미셸 푸코 에르빙 고프먼 비고츠키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케네스 거겐 |
핵심 질문 | 어떻게 특정 현상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가? 사회적 구성의 과정은 무엇인가? 사회적 구성의 결과는 무엇인가? |
사회 구성주의의 주요 원리 | |
사회적 상호작용 |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공유한다. |
언어 | 언어는 사회적 구성의 중요한 도구이며, 의미를 형성하고 공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역사적 맥락 | 사회적 구성은 특정 문화 및 역사적 맥락 내에서 발생한다. |
권력 | 권력 관계는 어떤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받아들여지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
문화적 맥락 | 문화는 지식과 의미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
비판적 관점 | 사회 구성주의는 객관적이고 불변하는 진실의 개념을 부정하며, 지식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주장한다. |
사회 구성주의의 예시 | |
인종과 민족 | 인종과 민족은 생물학적 사실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된 개념이다. |
성별과 젠더 | 성별과 젠더는 생물학적 성별과 다르게 사회적으로 구성된 역할과 정체성이다. |
정신 질환 | 정신 질환의 진단과 분류는 문화적 및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다. |
돈 | 돈은 사회적으로 합의된 가치를 가진 상징적인 구성물이다. |
국가 | 국가는 역사적, 사회적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정치적 구성물이다. |
범죄 | 범죄는 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특정 행위가 위반으로 규정되어 구성된다. |
기술 | 기술은 사회적 요구와 문화적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아 구성된다. |
사회 구성주의의 영향 | |
사회학 | 사회 구성주의는 사회적 현실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
심리학 | 사회 구성주의는 인지, 감정, 정체성 등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연구를 촉진했다. |
교육 | 사회 구성주의는 학습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교육 방법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
정치 | 사회 구성주의는 정치적 담론과 권력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
미디어 | 사회 구성주의는 미디어가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공한다. |
페미니즘 | 페미니즘 이론에서 젠더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
사회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 | |
상대주의 비판 | 사회 구성주의는 모든 지식이 상대적이라고 주장하여 객관적인 진실을 부정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실재론 비판 | 사회 구성주의는 물리적 현실의 중요성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권력에 대한 과도한 강조 비판 | 사회 구성주의는 권력이 사회적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과도하게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관련 개념 | |
사회적 실재 |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의미한다. |
상징적 상호작용론 | 사회 구성주의와 유사하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가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
구조주의 | 사회적 의미를 구성하는 체계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
포스트구조주의 |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권력과 담론에 대한 분석에 중점을 둔다. |
사회 구성주의적 기술 이론 | 기술의 개발과 사용에 대한 사회적 영향을 연구하는 이론이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피터 L. 버거, 토마스 루크만 (2011). 《사회적 현실의 구성》 시드니 브라운 (2013). 사회 구성주의: 사회와 문화 마리안 요르겐센, 루이즈 J. 필립스 (2002). 담론 분석: 이론과 방법 앤젤라 온워치-윌릭 (2016). 인종과 인종적 정체성은 사회적 구성물이다 스터디 저널 (2017). 사회 구성주의 본질주의/구성주의 (구성주의)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
2. 역사적 배경
사회구성주의는 여러 학문 분야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18세기 이탈리아의 정치 철학자 잠바티스타 비코는 사회 구성주의의 초기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7] 에드문트 후설, 알프레드 슈츠 등의 현상학은 사회 구성주의의 철학적 기초를 제공했으며,[17] 마르틴 하이데거,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폴 리쾨르 등의 해석학은 의미와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영향을 주었다.[17]
카를 마르크스와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 또한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다. 마르크스는 널리 퍼진 이데올로기가 지배 계급의 것이며, 프롤레타리아가 억압받는 이유가 사회 구조에서 비롯된 허위 의식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람시는 헤게모니를 이데올로기적 우위로 이해하고, 일상적인 상식까지 확장했다. 막스 셸러는 사회 구성 이론에 영향을 준 지식 사회학 개념을 만들었다.[64] 조지 허버트 미드와 어빙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을 설명하며 기여했다.
피터 L. 버거와 토마스 루크만은 1966년 『현실의 사회적 구성』을 통해 사회구성주의를 체계화했다.[14][15] 이들은 모든 지식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비롯되고 유지된다고 주장했다.[15]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미셸 푸코 등의 연구에 참여한 사회학자들과 함께 변화를 겪었고, 과학사회학과 과학기술학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45] 카린 크노르-세티나, 브루노 라투르 등은 과학이 객관적 사실로 특징짓는 것을 사회적 구성 과정과 관련지었다.[45] 기술의 사회적 구성(SCOT)에 영향을 주었으며, 비베 비커, 트레버 핀치 등이 참여했다.[45][46]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에밀 뒤르켐의 저술을 바탕으로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예로, 종교에 관한 연구가 있다. 브뤼노 라투르 등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사회적인 것"의 존재를 당연시하는 점을 비판한다.
사회구성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의 원천 중 하나이며, 문화 연구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철학적 기원
잠바티스타 비코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정치 철학자이자 수사학자, 역사가, 법률가로, 사회 구성주의의 초기 사상가 중 한 명으로 간주된다.[17]에드문트 후설, 알프레드 슈츠 등의 현상학은 사회 구성주의의 철학적 기초를 제공했다.[17] 마르틴 하이데거,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폴 리쾨르 등의 해석학은 의미와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 구성주의에 영향을 미쳤다.[17]
2. 2. 사회학적 기원
카를 마르크스와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은 사회 구성주의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회에 널리 퍼져 있는 이데올로기가 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기이며, 사회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허위 의식에 의해 프롤레타리아가 억압당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람시는 헤게모니를 이데올로기적 우위라는 의미로 이해하고, 일상적인 상식적 인식에까지 확장시켰다. 그람시에 따르면, 지배 계급의 관심은 정치나 이데올로기에만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상식으로 여겨지는 사소한 인식에도 반영된다. 부르주아지의 관심을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것으로 옹호하는 일종의 상식을 수용함으로써, 프롤레타리아가 지배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이다.[64]막스 셸러는 사회 구성 이론에 영향을 미친 지식 사회학(sociology of knowledge) 개념을 만들어냈다. 전통적인 지식사회학 이론에 따르면, 특정 사회 계급(사회 계층)이 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그 계급의 상태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자본가인지 노동계급인지에 따라, 특히 그 계급에 작용하는 경제적 기반과의 관련에서 현실 인식이 달라진다. 카를 만하임은 지식인은 다른 계급과 달리 사회적 지위에 의해 부과되는 제약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운 특수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았다.
조지 허버트 미드와 어빙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현실을 구성하는지를 설명하며 사회 구성주의의 발전에 기여했다.
2. 3. 버거와 루크만
피터 L. 버거와 토마스 루크만은 1966년에 출간한 『현실의 사회적 구성』을 통해 사회구성주의를 체계화했다.[14][15] 이들은 모든 지식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비롯되고 유지된다고 주장했다.[15] 40년 이상이 지난 지금도 많은 이론과 연구는 사람들이 "사회적, 문화적 세계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그 세계가 자신들을 만든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지지하고 있다.[15]버거와 루크만에 따르면, 모든 인식은 일상생활의 상식으로 여겨져 경시되는 것까지 포함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구성되고 유지된다. 사람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현실 인식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 이해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공통된 현실 인식을 강화한다. 이 상식화된 인식이 사람들에 의해 합의되면, 의미와 사회 제도가 객관적 현실의 일부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실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사회 구성주의는 개인이나 집단이 스스로 인식하는 현실의 구성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밝히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이 때문에 다양한 사회 현상이 사람들에 의해 어떻게 창조되고, 제도화되고, 관습화되는가가 질문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파악된다. 사람들이 현실을 해석하고 인식함에 따라 현실 자체가 재생산되는 것이다.
사회구성주의 이론가들에게 사회적 구성물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는 자연스럽고 명백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특정 문화나 사회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을 가리킨다.
버거와 루크만은 사회 구성 이론에 영향을 미친 지식 사회학(sociology of knowledge) 개념을 만들어낸 막스 셸러를 큰 영향으로 인정한다.
2. 4. 1970년대 이후의 발전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사회 구성주의는 미셸 푸코 등의 연구에 참여한 사회 구성주의 사회학자들과 함께 변화를 겪었고, 사회과학에서 서사적 전환(narrative turn)이 일어났다. 이는 특히 신흥 과학사회학과 성장하는 과학기술학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45]카린 크노르-세티나, 브루노 라투르, 배리 바네스, 스티브 울가 등은 사회 구성주의를 사용하여 과학이 전형적으로 객관적 사실로 특징짓는 것을 사회적 구성 과정과 관련지었다. 그들의 목표는 인간의 주관성이 객관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사실에 스스로를 부과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45] 앤드류 피커링의 "쿼크 만들기: 입자 물리학의 사회학적 역사"(Constructing Quarks: A Sociological History of Particle Physics)는 이러한 사고방식에서 특히 도발적인 제목을 가진 저서이다.
동시에 사회 구성주의는 기술 연구, 특히 기술의 사회적 구성(SCOT)에 영향을 미쳤으며, 비베 비커, 트레버 핀치 등의 저술가들이 이에 참여했다.[45][46]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에밀 뒤르켐의 저술을 바탕으로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예로, 종교에 관한 연구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종교의 기반에는 삶의 목적을 갈망하는 우리의 의식이 있다. 따라서 종교는 객관적 현실의 숨겨진 측면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필요에 따라 사회적, 역사적 과정을 거쳐 구성된 것이다. 피터 L. 버거는 『거룩한 캐노피(The Sacred Canopy)』라는 저서에서 종교의 사회적 구성을 그리고 있다.
브뤼노 라투르 등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이러한 사회구성주의에 속하는 연구가 "사회적인 것"의 존재를 당연시하고, 사물에 의한 "사회적인 것"의 변화를 다루지 않는 점을 비판하는 동시에, 인간과 비인간의 연관에 의한 과학적 사실의 "구성"을 분석하고 있지만, 케네스 거겐 등 일부 사회구성주의자들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도 한다.
사회구성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의 원천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문화 연구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3. 주요 개념 및 특징
사회구성주의는 개인이나 집단이 스스로 인식하는 현실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주목한다. 다양한 사회 현상이 사람들에 의해 창조되고, 제도화되며, 관습화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사람들이 해석하고 인식함에 따라 현실 자체가 재생산된다.[1]
피터 L. 베르거와 토마스 루크만에 따르면, 모든 인식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구성되고 유지된다. 사람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현실 인식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 이해에 따라 행동하면서 공통된 현실 인식을 강화한다. 이러한 상식화된 인식이 합의되면, 의미와 사회 제도가 객관적 현실의 일부로 나타나게 된다.[1]
3. 1. 사회적 구성물
사회적 구성물(social construct) 또는 구성(construction)은 사회가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부여하는 의미, 개념 또는 함축으로, 사회 구성원들이 그 대상이나 사건을 바라보거나 다루는 방식에 반영된다.[8] 표적 집단의 사회적 구성은 공공 정책의 영향을 받는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문화적 특징이나 일반적인 이미지를 의미한다.[9]3. 2. 현실의 구성
사회구성주의는 현실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고 본다. 사람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현실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이러한 공통된 인식이 강화되면서 현실이 구성된다.[44]피터 L. 베르거와 토마스 루크만은 1966년 저서 ''사회적 현실의 구성''에서 모든 지식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비롯되고 유지된다고 주장했다.[42] 이들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 대한 자신의 인식이 다른 사람들과 공유된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 작용하며, 이러한 현실에 대한 공통된 지식은 다시 이러한 상호 작용에 의해 강화된다고 보았다.[44]
사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현실 인식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면 공통된 현실 인식이 강화된다. 이 상식화된 인식이 합의되면, 의미와 제도가 객관적 현실의 일부로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실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사회 구성 이론가들에게 사회적 구성물이란,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는 자연스럽고 명백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특정 문화나 사회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을 가리킨다.
3. 3. 언어와 담론의 역할
미셸 푸코 등의 연구는 사회 구성주의 사회학자들과 사회과학의 서사적 전환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과학사회학과 과학기술학 분야에서 카린 크노르-세티나, 브루노 라투르, 배리 바네스, 스티브 울가 등은 사회 구성주의를 사용하여 과학적 사실이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구성 과정과 관련됨을 보였다.[45] 이들은 인간의 주관성이 객관적인 사실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앤드류 피커링의 《쿼크 만들기: 입자 물리학의 사회학적 역사》(Constructing Quarks: A Sociological History of Particle Physics)는 이러한 관점을 잘 보여주는 도발적인 제목의 저서이다. 사회 구성주의는 기술의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SCOT)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비베 비이커, 트레버 핀치 등이 참여했다.[45][46]3. 4. 사회 제도와 관습
사람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현실 인식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에 따라 행동할 때,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현실 인식이 강화된다. 이처럼 상식화된 인식이 사람들의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면, 의미와 제도는 객관적 현실의 일부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실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1]사회구성주의 이론가들에게 사회적 구성물이란,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는 자연스럽고 명백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특정 문화나 사회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을 가리킨다.[1]
4.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사회 구성주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었다.
- 개인 구성 심리학(PCP): 1950년대에 등장하여 치료적 맥락에서 개인의 의미 구성 과정을 변화시키는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세상에 대한 이론을 형성하고 검증하는 과학자로서의 인간 개념을 중심으로, 경험의 구성적 본질과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를 이해하려는 최초의 시도 중 하나였다.
- 교육 심리학: 교육 심리학자들은 사회 구성주의가 교육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져왔다. 사회 구성주의는 개인이 집단 내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학습에 초점을 맞춘다. 레프 비고츠키, 에른스트 폰 글라서스펠트 등의 연구를 참고할 수 있다.
- 체계적 치료: 해결중심 단기치료와 서사 치료는 사회 구성주의를 활용하는 체계적 치료 모델이다.
- 범죄학: 범죄학은 오랫동안 사회가 범죄 행위와 범죄 전반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왔다.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범죄를 보면, 비정상적이거나 일탈적인 행위가 사회의 견해에 따라 범죄가 되는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증거가 있다.
- 빈곤 연구: 맥스 로즈와 프랭크 R. 바움가르트너는 2013년 저서에서 미디어가 미국 빈곤층을 어떻게 묘사해왔고, 부정적인 묘사가 정부 지출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1960년 이후 미디어는 "게으르다", "사기꾼"과 같은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며 빈곤층을 더 부정적으로 묘사해왔다.
4. 1. 개인 구성 심리학
개인 구성 심리학(PCP)은 1950년대에 등장하여, 주로 구성주의적 인격 이론 및 개인의 의미 구성 과정을 변화시키는 시스템으로, 대부분 치료적 맥락에서 발전해 왔다.[18][19][20][21][22][23] 이는 세상에 대한 이론을 형성하고 검증하는 과학자로서의 인간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는 경험의 구성적 본질과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를 이해하려는 최초의 시도 중 하나였다.[24]4. 2. 교육 심리학
사회 구성주의는 교육 심리학자들에 의해 많이 연구되었으며, 교육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져왔다. 사회 구성주의는 개인이 집단 내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학습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학습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을 제시하며, 교육 현장에서 협력 학습, 토론 학습 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레프 비고츠키[36], 에른스트 폰 글라서스펠트 및 A. 설리반 팔린서의 연구를 참고할 수 있다.[37]4. 3. 체계적 치료
해결중심 단기치료와 서사 치료는 사회 구성주의를 활용하는 체계적 치료 모델이다.[38] 이들은 문제 해결과 대안적 이야기 구성에 초점을 맞춘다.4. 4. 범죄학
포터와 카펠러(1996)는 "범죄 구성하기: 뉴스와 사회 문제 만들기에 대한 관점" 서문에서 "여론과 범죄 사실은 일치하지 않는다. 미국의 범죄 현실은 늪 가스처럼 덧없는 구성된 현실로 전환되었다."라고 썼다.[40]범죄학은 오랫동안 사회가 범죄 행위와 범죄 전반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왔다.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범죄를 보면, 비정상적이거나 일탈적인 행위가 사회의 견해에 따라 범죄가 되는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증거가 있다.[41] 사회 구성주의와 관련된 범죄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일탈 행위를 초래하는 개인 정체성 구성이다.[41] 만약 누군가가 사회의 정의에 기반하여 스스로 "미치광이" 또는 "범죄자"라는 정체성을 구성했다면, 그것은 그들이 그러한 낙인을 따르도록 강요하여 범죄 행위를 초래할 수 있다.[41]
4. 5. 빈곤 연구
맥스 로즈와 프랭크 R. 바움가르트너는 2013년 저서 《가난한 자들의 프레이밍: 미디어 보도와 미국의 빈곤 정책, 1960-2008》(Framing the Poor: Media Coverage and U.S. Poverty Policy, 1960-2008)에서 미디어가 미국 빈곤층을 어떻게 묘사해왔고, 부정적인 묘사가 정부 지출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1960년 이후 미국의 정부는 복지와 같은 사회 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점차 줄여왔다. 증거에 따르면 1960년 이후 미디어는 "게으르다", "사기꾼"과 같은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며 빈곤층을 더 부정적으로 묘사해왔다.[39]5. 비판과 논쟁
사회 구성주의는 행동과 문화에 대한 생물학의 영향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1][48][49] 그러나 본성 대 양육 논쟁과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에 대한 현대 과학 연구는 유전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모두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서로 분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50]
스티븐 핑커는 저서 ''빈 서판''에서,[52] 에드워드 슬링거랜드(Edward Slingerland)는 저서 ''What Science Offers the Humanities''에서[53] 사회 구성주의가 생물학적 경향을 배제하고 사회와 문화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춘다고 비판했다.
사회 구성주의는 모든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상대적이라는 주장으로 인해 비판받기도 한다. 폴 보고시안은 사회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상대주의가 모순적이라고 지적한다.[56] 앨런 소칼 역시 사회 구성주의가 사회의 존재를 인식하는 방식에서 자체 모순을 일으킨다고 비판한다.[58]
사회 구성주의는 객관적 현실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으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많은 사회 구성주의자들은 객관적 현실의 존재를 인정한다. 다만, 그 현실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해석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케네스 J. 거겐은 구성주의가 하나의 관찰 방법일 뿐이며, 사회의 모든 것이 환상이거나 실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아니라고 반박한다.
5. 1. 생물학적 결정론과의 논쟁
사회 구성주의는 행동과 문화에 대한 생물학의 영향을 무시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1][48][49] 그러나 본성 대 양육 논쟁과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에 대한 현대 과학적 연구는 유전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모두 인간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종종 서로 분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50] 따라서 유전학이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주장은 대부분의 현대 인간 발달 연구자들에게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간주된다.[51]스티븐 핑커는 저서 ''빈 서판''에서,[52] 에드워드 슬링거랜드(Edward Slingerland)는 저서 ''What Science Offers the Humanities''에서[53] 사회 구성주의가 타고난 생물학적 경향을 배제하고 사회와 문화에 지나치게 좁게 초점을 맞춘다고 비판했다. 존 투비(John Tooby)와 레다 코스미데스(Leda Cosmides)는 진화된 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사회 이론을 '표준 사회과학 모델'이라고 칭했다.[54]
5. 2. 상대주의 논쟁
사회 구성주의는 모든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상대적이라는 주장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폴 보고시안은 저서에서 사회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상대주의가 모순적이라고 지적한다.[56] 그는 사회 구성주의자들이 절대적인 판단을 피하고 특정 관점에서만 사실을 논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무엇이 무엇을 정당화하는가'에 대한 절대적인 일반 명제를 수용하면서 특정 판단을 부정하는 모순을 낳는다고 비판한다.앨런 소칼 역시 사회 구성주의가 사회의 존재를 인식하는 방식에서 자체 모순을 일으킨다고 비판한다.[58] 객관적 현실이 없다면 사회의 존재 여부나 규칙을 파악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상은 객관적 기준이 아닌 각 문화의 평균으로 측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평균' 개념이 없는 문화에서는 적용될 수 없어, 문화 상대주의 원칙과 모순된다.
5. 3. 객관적 현실의 존재 여부
사회 구성주의는 객관적 현실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으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많은 사회 구성주의자들은 객관적 현실의 존재를 인정한다. 다만, 그 현실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해석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평균"이라는 개념은 모든 언어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 문화에는 그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개념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 구성주의는 현상을 측정할 때 문화적 상대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원칙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는다.[58]케네스 J. 거겐은 구성주의가 하나의 관찰 방법일 뿐이며, 사회의 모든 것이 환상이거나 실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아니라고 반박한다. 그는 구성주의의 입장이 “본질적이고 객관적인 진리”는 인간에게 직접 관찰 불가능하며, 어떠한 틀에 의해 관찰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따라서 문제는 어떠한 사회적 틀에 의존하고 있는가 하는 토대를 향하는 것이며, 이러한 논의는 “실재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6. 한국 사회에서의 의의 및 영향
사회구성주의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이후 한국 사회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틀로 자리 잡았다. 사회구성주의는 여성, 노동자, 장애인, 성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이들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비판하는 데 기여했다. 한국의 사회구성주의 연구는 젠더, 가족, 교육, 노동,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제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Open Road Media
2011
[2]
웹사이트
What Is Social Construction?
https://as.nyu.edu/c[...]
NYU Arts & Science
2001
[3]
Youtube
Social constructionism Society and Culture MCAT
https://www.youtube.[...]
YouTube
2013-09-17
[4]
간행물
Discourse Analysis as Theory and Method
http://www.rasaneh.o[...]
SAGE Publications
2002
[5]
뉴스
Race and Racial Identity Are Social Constructs
https://www.nytimes.[...]
2016-09-06
[6]
웹사이트
Social Construc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Politics
https://www.swarthmo[...]
Swarthmore College
[7]
웹사이트
Social constructionism
https://lc23548.word[...]
2017-12-04
[8]
웹사이트
Social Constructionism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9]
논문
Social Construction of Target Populations: Implications for Politics and Policy
http://dx.doi.org/10[...]
1993-06
[10]
서적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Open Road Media
[11]
백과사전
Naturalistic Approaches to Social Construction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
[12]
논문
Language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https://www.scienced[...]
1982-10-01
[13]
서적
Public Opinion
[14]
백과사전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15]
논문
The Social Construction of Leadership: A Sailing Guide
Sage
2010-05-01
[16]
웹사이트
Discourse Theory
http://www.slideshar[...]
2013-09-19
[17]
서적
Social Constructionism: Sources and Stirrings in Theory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8]
서적
The Evaluation of Personal Construct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68
[19]
서적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
https://archive.org/[...]
W.W. Norton
1955
[20]
서적
New Perspectives in Personal Construct Theory
Academic Press
1977
[21]
논문
What's narrative got to do with it? Construction and coherence in accounts of loss
Brunner Routledge
2000-01
[22]
서적
Developments in Family Therapy: Theories and Applications Since 1948
Routledge & Kega
2015
[23]
서적
Advances of personal construct theory: New directions and perspectives
Praeger Publishing
2002
[24]
서적
The discursive mind
Sage
[25]
논문
The situation of social constructionism: Its imprisonment within the ritual of theory-criticism-and-debate
[26]
논문
Public sources of the personal mind: Social constructionism in context
[27]
논문
Introduction: Social constructionism and its critiques
[28]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al construction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9]
서적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constructivism and postmodern thought
JAI Press
[30]
논문
Social and personal constructs: A division left unresolved
[31]
서적
Construing relationships: Some thoughts on PCP and discourse
EPCA
[32]
논문
Social action and personal constructs
[33]
논문
Can an avowed adherent of personal-construct psychology be counted as a social constructions?
[34]
논문
Constructivism in psychology: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radical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35]
논문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and social constructionism are not incompatible: Implications of a reframing
Sage
2011-05-11
[36]
간행물
Social constructivism: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https://www.eajourna[...]
2020-09-00
[37]
서적
Radical Constructivism: A Way of Knowing and Learning
Routledge
1995
[38]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psycnet.apa.[...]
2021-05-10
[39]
논문
Framing the Poor: Media Coverage and
[40]
서적
Constructing Crime
1996
[41]
논문
Social Constructionism and Criminology: Traditions, Problems and Possibilities
2005-06-00
[42]
논문
The Common Denominator: The Reception and Impact of Berger and Luckmann's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http://link.springer[...]
2016
[43]
서적
Berger and Luckmann stressed the role of typification and other constitutional processes like meaning and knowledge only, as they state explicitly{{snd}}a difference which has hardly been addressed in the literature{{snd}}because it is "knowledge that guides conduct in everyday life" (1966: 33). The social construction, Berger and Luckmann stress, is accomplished not by meaning, typification, or consciousness; social reality is, rather, constructed by processes which are specifically social, such as social actions, social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2016
[44]
서적
Cultural Landscapes of Post-Socialist Cities : Representation of Powers and Needs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16
[45]
서적
Technological Change: Methods and Themes in the History of Technology
Psychology Press
[46]
논문
Why we do not always get what we want: The power imbalance in 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47]
서적
The Reality of Social Constr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48]
논문
The Sociological Construction of Gender and Sexuality
https://doi.org/10.1[...]
2006-02-01
[49]
서적
Fashionable Nonsense: Postmodern Intellectuals' Abuse of Science
Picador
[50]
서적
Nature via Nurture: Genes, Experience, & What Makes Us Human
HarperCollins
[51]
서적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al Psychology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Blackwell
[52]
서적
The Blank Slate: The Modern Denial of Human Natur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6
[53]
서적
What Science Offers the Humani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54]
서적
The adapted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generation of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55]
웹사이트
A Physicist Experiments With Cultural Studies
http://www.physics.n[...]
1996-05-00
[56]
서적
Fear of Knowledge: Against Relativism and Constructivism
Oxford University Press
[57]
논문
Ontological Gerrymandering: The Anatomy of Social Problems Explanations
1985-02-00
[58]
간행물
Beyond the Hoax: Science, Philosophy, and Culture
2008-03-00
[59]
웹페이지
social constructivism
[60]
웹페이지
https://dl.ndl.go.jp[...]
[61]
웹사이트
本質主義/構築主義(構成主義) 時事用語事典 情報・知識&オピニオン imidas - イミダス
https://imidas.jp/ge[...]
2023-02-22
[62]
웹사이트
フェミニズムとは何か?
https://www.theheadl[...]
2023-02-22
[63]
서적
日常世界の構成―アイデンティティと社会の弁証法
[64]
서적
On Ideology
University of Birmingham Centre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