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간자는 양자역학 및 양자장론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1970년대 중반 양자색역학의 비섭동적 효과를 이해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다. 양자역학에서는 이중 우물 포텐셜에서 두 고전적 최저 에너지 상태 사이의 터널 효과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윅 회전을 통해 터널링 확률을 계산한다. 양-밀스 이론에서는 4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작용을 국소적으로 최소화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게이지 퍼텐셜의 위상수학적 분류와 관련된다. 순간자는 섭동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비섭동적 효과를 유발하며, 초대칭 게이지 이론 및 다양한 차원의 게이지 이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색역학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 양자색역학 - 쿼크
쿼크는 −⅓ 또는 +⅔ 기본 전하를 갖는 여섯 종류의 기본 입자로, 각각 반쿼크를 가지며, 하드론을 구성하고, 색전하를 지니며, 질량과 안정성이 다르고, 극한 조건에서 다양한 상을 나타내며, 이름은 소설에서 유래했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 양자역학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 양자역학 - 진동수
진동수는 주기적인 현상이 단위 시간당 반복되는 횟수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주기와 역수 관계를 가지며 소리의 높낮이, 빛의 색깔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순간자 | |
---|---|
솔리톤 및 순간자 | |
분야 | 수학 물리학 |
하위 분야 | 양자장론 |
유형 | 비섭동 현상 |
2. 역사
알렉산드르 벨라빈(Алекса́ндр Абрамо́вич Бела́винru), 알렉산드르 마르코비치 폴랴코프, 알베르트 시바르츠, 유리 스테파노비치 튭킨(Юрий Степанович Тюпкинru)이 순간자수가 1인 순간자를 최초로 발견하였다.[23] 이들은 유사입자(pseudoparticle영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20] 헤라르뒤스 엇호프트가 이러한 해들을 어떤 시간 간격에만 존재했다가 사라진다는 의미로 "순간자"(instanton영어)라고 이름붙였다.[20]
양자역학에서 순간자는 두 고전적 안정 상태 사이의 터널 효과를 나타낸다. WKB 근사에 따르면, 터널 효과의 확률 진폭은 순간자의 유클리드 작용으로 계산된다.[4]
수학적으로, ''양-밀스 순간자''는 4차원 리만 다양체 위의 주다발에서 자기 쌍대 또는 반자기 쌍대 접속으로, 비가환 게이지 이론에서 물리적인 시공간의 역할을 한다. 순간자는 그들의 위상학적 유형 내에서 에너지 범함수를 절대적으로 최소화하는 양-밀스 방정식의 위상학적으로 비자명한 해이다.[5] 이러한 해는 처음에는 4차원 유클리드 공간이 4차원 구로 압축된 경우에 발견되었으며, 시공간에 국소화된 것으로 나타나 '가짜 입자'와 '순간자'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양-밀스 순간자는 트위스터 이론을 통해 여러 경우에 명시적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순간자를 대수 곡면 위의 대수적 벡터 다발과 관련시키고, ADHM 구성, 또는 초켈러 축소( 초켈러 다양체 참조)를 통해 기하학적 불변량 이론 절차를 거쳤다. 필즈상을 수상한 사이먼 던슨의 획기적인 연구는 주어진 4차원 미분 가능 다양체 위의 순간자의 모듈 공간을 그 미분 구조에 의존하는 다양체의 새로운 불변량으로 사용했고, 이를 위상 동형이지만 미분 동형이 아닌 4-다양체의 구성에 적용했다. 순간자 연구에서 개발된 많은 방법은 모노폴에도 적용되었다. 이는 자기 모노폴이 양-밀스 방정식의 차원 축소 해로 나타나기 때문이다.[6]
3. 양자역학에서의 순간자
윅 회전을 통해 유클리드 작용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는 퍼텐셜 속에서 움직이는 입자를 나타낸다. 이 경우, 에너지 보존에 따라 (총 에너지가 0인 경우)
:
이다. 에서 로 가는, 유클리드 작용의 해를 '''순간자'''라고 하며, 그 작용은
:
이다. 따라서,
:
임을 알 수 있다. 즉, 터널 효과의 확률 진폭은 순간자의 작용 로 계산된다.
이중 우물 포텐셜에 있는 입자는 "순간자" 효과가 있는 시스템의 한 예시이다. 고전적인 입자와 달리, 자체 에너지보다 높은 포텐셜 에너지 영역을 통과할 확률이 0이 아니다.
반전된 이중 우물 퍼텐셜의 경우, 고유값은 복소수가 되며, 이 허수 부분은 벤더(Bender)와 우(Wu)의 결과와 일치한다.[13]
"주기적 인스턴톤"은 인스턴톤의 일반화된 형태이며, 야코비 타원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9] 주기적 인스턴톤은 화학 반응에서 원자의 터널링 속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1]
3. 1. 이중 우물 퍼텐셜
양자역학에서 순간자는 두 고전적 안정 상태 사이의 터널 효과를 나타낸다. 이중 우물 퍼텐셜에서 순간자는 두 고전적 최저 에너지 상태 사이의 터널링을 설명하며, 유클리드 작용의 최소값을 통해 터널링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4] 뮬러-키르스텐은 슈뢰딩거 방정식에 적용된 섭동 방법과 경로 적분을 통해 이중 우물 퍼텐셜의 고유 에너지에 대한 명시적 공식을 유도했다.[7]
이중 우물 포텐셜 내에서 단일 입자 운동의 양자 역학을 고려할 때, 포텐셜 에너지는 에서 최소값을 갖는다. 이는 입자가 고전 역학에서 그 중 하나에 위치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전적 최소값이라고 불린다. 고전 역학에는 두 개의 최저 에너지 상태가 존재한다.
양자 역학에서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 에너지 고유 상태를 식별하면, 두 개의 상태 대신 고유한 최저 에너지 상태 하나만 찾게 된다. 바닥 상태 파동 함수는 양자 간섭 또는 양자 터널링 때문에 고전적 최소값 중 하나가 아닌 둘 모두에 국소화된다.
인스턴턴은 유클리드 시간에서 경로 적분 공식의 반고전적 근사 내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도구이다. 윅 회전을 통해 유클리드 작용을 정의하면, 이는 퍼텐셜 속에서 움직이는 입자를 나타낸다. 이 경우, 순간자는 유클리드 작용의 해이며, 그 작용을 통해 터널 효과의 확률 진폭이 계산된다.
경로 적분을 사용하면 순간자 해석이 가능하며, 윅 회전(해석적 연속)을 유클리드 시공간()으로 수행하면 유클리드 작용은 다음과 같다.
:
이중 우물 퍼텐셜 을 갖는 유클리드 작용 의 국소 최소값을 고려하고, 계산 편의를 위해 로 설정하면, 순간자 해에 대한 명시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임의의 상수이다. 이 해는 근처에서 한 고전 진공 에서 다른 고전 진공 로 순간적으로 점프하기 때문에 순간자라고 불린다.
이중 우물 포텐셜을 갖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고유 에너지에 대한 명시적 공식은 뮬러-키르스텐에 의해 주어졌으며,[7] 슈뢰딩거 방정식과 포텐셜의 매개변수를 다음 방정식으로 정의하면,
:
그리고
:
에 대한 고유값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유클리드 경로 적분에서 얻은 결과는 다시 위크 회전될 수 있으며, 민코프스키 경로 적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물리적 결과를 제공한다. 유클리드 운동 방정식의 이 고전적인 해는 "킨크 해"라고 불리며, ''순간자''의 한 예이다.
다음 이중 우물 전위의 경우:
:
순간자, 즉
:
의 해는
:
여기서 는 유클리드 시간이다.
두 진공 중 하나만을 기준으로 하는 단순한 섭동 이론은 이 ''비섭동 터널링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며, 양자 역학 시스템의 진공 구조에 대한 그림을 바꾼다. 섭동 접근법은 물리적 시스템의 진공 구조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8]
4. 양-밀스 이론의 순간자
알렉산드르 벨라빈, 알렉산드르 마르코비치 폴랴코프, 알베르트 시바르츠, 유리 스테파노비치 튭킨이 순간자수가 1인 순간자를 최초로 발견하였다.[23] 이들은 유사입자(pseudoparticle영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20] 헤라르뒤스 엇호프트가 이러한 해들을 어떤 시간 간격에만 존재했다가 사라진다는 의미로 "순간자"(instanton영어)라고 이름붙였다.[20]
순간자는 4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양-밀스 이론에서 작용을 국소적으로 최소화시키는 상태들로, '''보고몰니-프라사드-소머필드 부등식'''(Bogomol’nyi–Prasad–Sommerfield bound영어, BPS 부등식)을 충족시킨다.[24][25]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위 게이지 군 를 가진 양-밀스 이론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게이지 장세기이고, 는 리 대수 의 기저이다. 리 대수의 기저는 다음을 만족하도록 규격화한다.
:
:
작용이 유한한 상태에서, 원점에서 무한히 먼 곳에서는 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게이지 퍼텐셜 는 위상수학적으로 자명하지 않을 수 있다. 즉, () 꼴의 퍼텐셜은 장세기가 0이다.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의 무한대는 이므로, 무한대에서 게이지 퍼텐셜은 연속함수 를 정의한다. 서로 호모토픽한 게이지 퍼텐셜들은 물리적으로 같은 상태를 나타내지만, 호모토픽하지 않은 상태들은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유한 작용 상태들은 게이지 군 의 3차 호모토피 군에 의하여 분류된다.
:
흔히 쓰이는 게이지 군의 경우,
: ()
: ( 또는 )
이다. 이 경우, 무한대에서의 게이지 퍼텐셜의 호모토피류는 정수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 수를 '''순간자수'''(instanton number영어)라고 하며, 대략 순간자의 수를 나타낸다. 순간자수가 음수라면, 이는 반순간자(anti-instanton영어)가 존재함을 뜻한다. 의 경우, 순간자수 는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는 의 단위 수직 벡터이며, 는 (유클리드 계량 부호수) 레비치비타 기호다.
(리 대수 값을 갖는) 2차 미분형식들의 공간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적 이 존재한다.
:
이에 따라 양-밀스 작용은 가 된다.
장세기를 자기쌍대 및 반자기쌍대 성분으로 분해하면()
:
이다. 여기서 는 순간자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순간자수 를 가진 상태의 작용은 '''BPS 부등식''' 을 만족시킨다. 이 부등식을 등식으로 만드는 게이지 퍼텐셜들을 '''순간자'''라고 한다. 이들은 또는 , 즉 를 만족시킨다. 이런 상태들은 자동적으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을 만족시키므로, 작용을 최소화한다.
4. 1. 수학적 정의
수학적으로, 양-밀스 순간자는 4차원 리만 다양체 위의 주다발에서 자기쌍대 또는 반자기쌍대 접속으로 정의된다.[5] 순간자는 위상학적 유형 내에서 에너지 범함수를 절대적으로 최소화하는 양-밀스 방정식의 해이다.[5]4차원 리만 다양체 에서, 2차 미분형식들은 호지 쌍대에 따라 다음을 만족한다.
:
유클리드 계량 부호수에서는 2차 미분형식에 대하여 이므로, 호지 쌍대 연산자 의 고윳값은 이다. 따라서 2차 미분형식들의 공간은 고윳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
여기서 의 원소는 '''자기쌍대'''(self-dual영어), 의 원소는 '''반자기쌍대'''(anti-self-dual영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2차 미분형식 가 주어지면,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
:
:
게이지군 U(1)의 경우, ''F''는 전자기장 텐서가 된다. 정상 작용의 원리로부터, 양-밀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이 중 첫 번째는 d''F'' = d2''A'' = 0이기 때문에 항등식이지만, 두 번째는 접속 ''A''에 대한 2차 편미분 방정식이다. 더 간단한 1차 (비선형) 방정식
:
의 해는 자동적으로 양-밀스 방정식의 해가 된다. 이러한 단순화는 2-형식에서 인 4차원에서 발생한다.
비아벨 양-밀스 이론에서 이고 이며, 여기서 D는 외부 공변 미분이다. 또한, 비앙키 항등식
:
이 만족된다.
양자장론에서, ''인스턴톤''은 4차원 유클리드 공간(민코프스키 시공간의 윅 회전)에서 위상적으로 비자명한 장 배치를 말한다. 이는 순수 게이지에 접근하는 양-밀스 게이지장 ''A''를 의미하며, 공간적 무한대에서 장 세기
:
가 무한대에서 사라진다.
양-밀스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는 호지 쌍대이다. 양-밀스 방정식의 해가 유한한 에너지를 가지려면, (극한으로 취한) 무한대에서의 해의 곡률은 0이어야 한다.
비음의 피적분 함수의 적분은 항상 비음이므로, 모든 실수 θ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이 경계가 포화되면 해는 BPS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의 경우, 호모토피 불변량의 부호에 따라 ∗''F'' = ''F'' 또는 ∗''F'' = − ''F''가 된다.
4. 2. 양자장론에서의 순간자
양자장론에서 '''순간자'''는 4차원 유클리드 공간(민코프스키 시공간의 윅 회전)에서 위상적으로 자명하지 않은 장 배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순수 게이지에 접근하는 양-밀스 게이지장 ''A''를 의미한다.[16] 즉, 공간적 무한대에서 장 세기:
가 무한대에서 사라진다. "인스턴톤"이라는 이름은 이 장들이 공간과 (유클리드) 시간에서 국소화되어 있다는 사실, 즉 특정 순간에 국소화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한다.[24][25]
2차원 공간의 인스턴톤의 경우, 게이지 군의 가장 단순한 경우, 즉 U(1)인 아벨 군을 허용하기 때문에 시각화하기 더 쉽다. 이 경우 장 ''A''는 단순히 벡터장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인스턴톤은 예를 들어 화살표가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배치(즉, "고슴도치" 상태)이다. 유클리드 4차원 공간 에서 아벨 인스턴톤은 불가능하다.
순간자의 장 배치는 진공 상태의 장 배치와 매우 다르다. 이 때문에 순간자는 파인만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연구할 수 없으며, 이는 섭동 효과만 포함한다. 순간자는 근본적으로 비섭동적이다.
양자장론(QFT)을 연구할 때, 이론의 진공 구조는 순간자에 주목하게 할 수 있다. 이중 우물 양자 역학 시스템이 보여주는 것처럼, 단순한 진공은 장 이론의 실제 진공이 아닐 수 있다. 또한 장 이론의 실제 진공은 여러 위상학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섹터의 "중첩"일 수 있으며, 이를 "위상수학적 진공"이라고 한다.[15]
비가환 게이지 군을 갖는 QFT, 양-밀스 이론의 경우 이러한 동등하지 않은 섹터는 (적절한 게이지에서) SU(2)의 세 번째 호모토피 군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이의 군 다양체는 3-구 이다).[14] 특정 위상학적 진공(실제 진공의 "섹터")은 불변 변환인 폰트랴긴 지수에 의해 표시된다. 의 세 번째 호모토피 군이 정수의 집합으로 밝혀짐에 따라,
:
무한히 많은 위상학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진공이 있으며, 이는 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은 해당 폰트랴긴 지수이다.
''순간자''는 유클리드 시공간에서 고전 운동 방정식을 충족하는 장 구성으로, 이러한 서로 다른 위상학적 진공 사이의 터널링 효과로 해석된다. 다시 정수, 즉 폰트랴긴 지수 로 표시된다. 인덱스 를 갖는 ''순간자''가 위상학적 진공 과 사이의 터널링을 정량화한다고 상상할 수 있다. ''Q'' = 1인 경우, 이 구성은 발견자 알렉산더 벨라빈, 알렉산더 마르코비치 폴랴코프, 알베르트 S. 슈바르츠 및 유. S. 튜프킨의 이름을 따서 BPST 순간자라고 명명되었다. 이론의 실제 진공은 "각도" 세타로 표시되며, 위상학적 섹터의 중첩이다.
:
헤라르두스 엇호프트는 페르미온에 결합된 이론에서 BPST 순간자의 효과에 대한 장 이론적 계산을 처음 수행했다. 그는 순간자 배경에서 디랙 방정식의 영 모드가 저에너지 유효 작용에서 비섭동적인 다중 페르미온 상호 작용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양-밀스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는 호지 쌍대이다. 양-밀스 방정식의 해가 유한한 에너지를 갖도록 주장한다면, (극한으로 취한) 무한대에서의 해의 곡률은 0이어야 한다. 이것은 체른-사이먼스 불변량이 3차원 경계에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스토크스 정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적분을 취하는 것과 같다.
:
이것은 호모토피 불변량이며 인스턴톤이 속한 호모토피류를 알려준다.
비음의 피적분 함수의 적분은 항상 비음이므로,
:
모든 실수 θ에 대해. 따라서, 이것은
:
이 경계가 포화되면 해는 BPS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의 경우, 호모토피 불변량의 부호에 따라 ∗''F'' = ''F'' 또는 ∗''F'' = − ''F''가 된다.
표준 모형에서 순간자는 전약력 상호작용과 색역학 부문 모두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존재는 아직 실험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16] 순간자 효과는 양자 색역학 (QCD)의 진공에서 응축물의 형성을 이해하고, 이른바 '에타 프라임 입자'의 질량을 설명하는 데 중요하다. 이 입자는 QCD의 키랄 이상 현상을 통해 질량을 얻은 골드스톤 보존이다.[17]
5.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의 순간자
초대칭 게이지 이론은 비재규격화 정리를 따르며, 이는 허용되는 양자 보정의 종류를 제한한다. 섭동 이론에서 보이지 않는 순간자는 이러한 양에 대한 유일한 보정을 제공한다.
''N'' = 1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 순간자는 초전위를 수정하여 때로는 모든 진공을 들어올릴 수 있다. 1984년, 이안 아플렉, 마이클 다인 및 네이선 세이베르그는 초전위에 대한 순간자 보정을 계산했다.
''N'' = 2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 초전위는 양자 보정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순간자로부터의 진공의 모듈 공간의 계량에 대한 보정은 네이선 세이베르그와 에드워드 위튼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오늘날 세이베르그-위튼 이론으로 알려진 주제가 만들어졌다.
''N'' = 4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 순간자는 진공의 모듈 공간의 계량에 대한 양자 보정을 유발하지 않는다.
6. 다양한 차원에서의 순간자
양자역학에서 순간자는 두 고전적 안정 상태 사이의 터널 효과를 나타낸다. 4차원 게이지 이론에서 순간자는 비자명한 4차 형식 특성류를 갖는 게이지 묶음이다. 게이지 대칭이 유니타리 군 또는 특수 유니타리 군이면 이 특성류는 두 번째 천 특성류이며, 게이지군 U(1)의 경우 0이 된다. 게이지 대칭이 직교군이면 이 류는 첫 번째 폰트랴긴 특성류이다.
힉스장이 있는 3차원 게이지 이론에서, 't 호프트-폴리야코프 모노폴이 순간자의 역할을 한다. 알렉산더 마르코비치 폴리야코프는 1977년 논문 [http://inspirehep.net/record/112352 Quark Confinement and Topology of Gauge Groups]에서 3차원 QED가 스칼라장과 결합된 경우, 순간자 효과가 광자의 질량을 유발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2차원 아벨 게이지 이론에서 월드 시트 순간자는 자기 소용돌이이다. 이들은 거울 대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끈 이론에서 많은 비섭동 효과의 원인이 된다.
1차원 양자 역학에서 순간자는 양자 터널링을 설명하며, 이는 섭동 이론에서는 보이지 않는다.[4]
7. R4 에서의 명시적 해
코리건과 페어리가 제시한 안자츠를 통해 게이지군 SU(2)를 갖는 반자기쌍대 양-밀스 방정식의 해를 상의 임의의 조화 함수로부터 얻을 수 있다.[18][19] 이 안자츠는 게이지장의 명시적인 표현을 제공하며, 임의로 큰 인스턴톤 수를 갖는 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반대칭 -값을 갖는 객체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여기서 그리스 문자는 1에서 4까지, 라틴 문자는 1에서 3까지 변하며, 는 를 만족하는 의 기저이다. 그러면
:
는 가 조화 함수인 경우 해가 된다.
4차원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의 기본 해는 임의의 고정된 에 대해 이다. 이 해를 개 중첩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의 -솔리톤 해를 얻을 수 있다.
:
참조
[1]
서적
Instantons in Gauge Theories
World Scientific
1994
[2]
서적
Interactions Between Charged Particles in a Magnetic Field
Springer
2007-04-19
[3]
서적
Large-Order Behaviour of Perturbation Theory
Elsevier
2012-12-02
[4]
논문
ABC of instantons
https://iopscience.i[...]
1982-04-30
[5]
웹사이트
Yang-Mills instanton in nLab
https://ncatlab.org/[...]
2023-04-11
[6]
문서
Nigel Hitchin's paper "Self-Duality Equations on Riemann Surface"
[7]
서적
Introduction to Quantum Mechanics: Schrödinger Equation and Path Integral
World Scientific
2012
[8]
서적
Introduction to Quantum Mechanics: Schrödinger Equation and Path Integral
World Scientific
2012
[9]
서적
Introduction to Quantum Mechanics: Schrödinger Equation and Path Integral
World Scientific
2012
[10]
논문
Solitons, bounces and sphalerons on a circle
Elsevier BV
[11]
서적
Tunnelling in Molecules: Nuclear Quantum Effects from Bio to Physical Chemistry
https://doi.org/10.1[...]
Royal Society of Chemistry
[12]
논문
Theory and Simulation of Atom Tunneling in Chemical Reactions
https://doi.org/10.1[...]
2014
[13]
논문
Anharmonic Oscillator. II. A Study of Perturbation Theory in Large Order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73-03-15
[14]
문서
conformal map
[15]
문서
Non-abelian gauge theory
[16]
논문
How to discover QCD Instantons at the LHC
[17]
문서
Chiral symmetry breaking|Pseudo-Goldstone boson
[18]
논문
Scalar field theory and exact solutions to a classical SU (2) gauge theory
1977-03
[19]
서적
Solitons, instantons, and twist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0]
서적
Aspects of Symme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Solitons and Instantons
North Holland
[22]
서적
Classical Solutions in Quantum Field Theory: Solitons and Instantons in High Energy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0
[23]
저널
Pseudoparticle solutions of the Yang-Mills equations
1975
[24]
저널
1976
[25]
저널
Exact classical solution for the ’t Hooft monopole and the Julia–Zee dyon
1975-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