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와얌바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와얌바라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스스로 선택"을 의미하며, 특히 고대 인도 서사시에서 신부가 신랑을 선택하는 의식을 지칭한다. 스와얌바라는 초기 베다 시대에 기원하며, 간다르바 결혼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스와얌바라는 신부가 구혼자 중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의식으로, 공주가 자유롭게 선택하는 스와얌바라와 용맹을 겨루는 비리야술카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스와얌바라는 왕족 여성들이 사춘기에 접어들거나 처녀가 된 후에 거행되었으며, 구혼자 초대, 신부의 공개, 경연, 선택 등의 구조를 가진다. 스와얌바라의 실제 역사적 기록은 드물지만, 서사시에서는 중요한 이야기 장치로 사용되었으며, 문학 작품에서 여성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인도의 문화 - 야우데야
    야우데야는 인더스 강과 갠지스 강 사이 하리아나주 지역에서 형성된 고대 부족 국가로, 무기를 생업으로 삼았으며 마우리아 제국 붕괴 후 독립하여 주화를 발행하며 존속하다 굽타 제국 시대에 쇠퇴했다.
  • 결혼식 - 혼인
    혼인은 당사자 간의 합의와 혼인신고를 통해 시작되는 법률행위이며, 부부 관계를 형성하고 법적 의무가 따르며, 사회적, 문화적, 법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 결혼식 - 결혼식장
    결혼식장은 결혼식을 거행하는 장소로서, 대한민국에서는 웨딩홀 대관이 주를 이루었으나 호텔 결혼식이나 스몰 웨딩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식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미국의 라스베이거스에는 간편한 절차 덕분에 다양한 결혼 예배당이 존재한다.
스와얌바라
스와얌바라 (Svayamvara)
로마자 표기Seuwayambara
의미스스로 선택함
유형고대 인도의 혼례 의식
설명신랑감을 여성 스스로 선택하는 의례. 공개적인 경쟁을 통해 신랑을 결정하기도 함.
관련 문화일부 인도 공동체에서 현대에도 유사한 형태가 나타남.

2. 명칭

"스와얌바라"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되었으며, "s''vayam''"(स्वयम्)은 "스스로"를 의미하고 "v''ara''"(वर)는 "선택" 또는 "욕망"을 의미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1] 따라서 이 용어는 문자 그대로 "스스로 선택"으로 번역된다.[1]

3. 기원과 발전

"스와얌바라"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학자들은 대체로 초기 베다 시대(기원전 1500~1100년경)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1] 일부 학자들은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을 받은 인도유럽 전통과의 유사성을 제시하기도 한다.[1] 예를 들어, 언어학자 스테파니 W. 재미슨은 가장 오래된 힌두교 경전인 리그 베다에서 '스와얌바라'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을 찾아냈으며,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페넬로페 이야기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인도유럽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1]

혹은, 고대 인도에서 널리 퍼져 있던 '간다르바' 형태의 결혼에서 스와얌바라가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 상호 합의와 낭만적인 선택을 기반으로 한 '간다르바' 결혼은 '스와얌바라'의 개념적 토대를 제공했을 수 있다.

헤람바 채터지 샤스트리는 '스와얌바라'의 발전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제안한다.[1]

단계설명
초기 형태간다르바 결혼과 유사
두 번째 형태달마샤스트라에 의해 지지
세 번째 형태크샤트리아 계급의 사회적 이상에 맞춰 구혼자들 사이의 기술이나 용맹을 겨루는 경쟁적인 행사로 진화



브로킹턴은 경쟁 방식 이후에 발전한 후속 단계를 추가하며, 신부의 주체성과 낭만적인 이상, 그리고 결혼하라는 다르마샤스트라의 명령에 더 큰 비중을 둔다.[1]

마누스므리티는 아버지가 딸의 결혼을 주선하지 못할 경우, 딸이 직접 남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2] 이는 "스와얌바라"라고 불리는 의례적이고 웅장한 관습과는 매우 다르지만, 많은 학자들은 이를 모든 카스트의 소녀들에게 허용되는 관습의 하위 유형으로 간주한다.

'스와얌바라' 관습의 실제 역사적 기록은 드물며, 초기 서기에는 흔히 행해지는 전통이라기보다는 서사시의 문학적 장치로 더 많이 기능했다.[3] 마하바라타라마야나의 서사시적 이야기에서 '스와얌바라'는 기사도적이고 화려하며 축제적인 의식으로 묘사된다.[3]

하르트무트 샤르페에 따르면, 서사시적 '스와얌바라'가 '크샤트리아' 사이의 진정한 전통을 반영한다면, 결혼 동맹과 관련된 정치적 압력을 완화하는 메커니즘 역할을 했을 수 있다.[4]

서사시에서 웅장한 스와얌바라는 여러 여성 주인공의 결혼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이야기 장치 역할을 한다. 브로킹턴은 이 서사시의 원래 스와얌바라가 드라우파디의 스와얌바라와 같이 용맹에 중심을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서사 시대 이후에는 신부의 자율성과 낭만적인 이상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1]

4. 유형

힌두교 문헌에서는 스와얌바라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5] 일부 문헌에서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스와얌바라: 공주가 부모의 승인 아래 모인 많은 구혼자들 중에서 자신의 마음에 드는 상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의식이다. 이 의식은 때때로 '''사운다르야술카'''라고도 불리며, 마하바라타의 다마얀티와 라구밤샤의 인두마티의 스와얌바라가 이 범주에 속한다. 제이미슨과 같은 학자들은 다르마샤스트라 버전을 이 범주의 하위 유형으로 간주한다.
  • 비리야술카: 신부의 손을 용맹이나 힘을 겨루는 시합을 통해 얻는 스와얌바라의 한 유형을 특별히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영웅적인 행위가 수반된다. 이는 신부가 파트너를 선택하는 데 더 직접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스와얌바라의 개념과 대조된다. 마하바라타의 드라우파디, 암바와 그녀의 자매들, 또는 라마야나시타는 이러한 형태의 스와얌바라에서 구혼자를 선택했다. 특히 학자들은 비리야술카가 신부의 선택보다는 구혼자의 영웅적 또는 무술적 자질을 강조하는, 스와얌바라의 뚜렷한 하위 유형으로 나타난다고 지적한다.


학자 베탐 마니에 따르면, 경전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는 스와얌바라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 이차 스와얌바라: 신부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남편을 선택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유를 허용했다. 여기에는 신부 후보가 구혼자 중에서 단순히 선택하는 모임이 포함되었으며, 다마얀티의 스와얌바라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사비아바스타 스와얌바라: 구혼자가 라마시바의 활을 당겨 시타를 얻는 것과 같은 특정 자격을 충족해야 했다.
  • 샤우리야술카 스와얌바라: 아르주나가 드라우파디와 결혼하는 것으로 예시되는, 신부의 손을 얻기 위한 시합 또는 도전을 포함했다.

5. 구조와 상징

스와얌바라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5]


  • '''스와얌바라''': 공주가 부모의 승인 하에 모인 구혼자들 중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배우자를 선택하는 의식이다. स्वयंवर|스바얌바라sa는 때때로 '''''사운다르야술카'''''라고도 불린다. 마하바라타의 다마얀티와 라구밤샤의 인두마티의 스와얌바라가 이 범주에 속한다.
  • '''비리야술카''': 신부가 용맹이나 힘을 겨루는 시합을 통해 배우자를 얻는 स्वयंवर|스바얌바라sa의 한 유형이다. 일반적으로 영웅적인 행위가 수반된다. 마하바라타의 드라우파디, 암바와 그녀의 자매들, 라마야나시타는 이러한 형태의 스와얌바라에서 구혼자를 선택했다.


학자 베탐 마니에 따르면, 경전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는 स्वयंवर|스바얌바라sa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유형설명예시
'이차 스와얌바라'신부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남편을 선택. 신부 후보가 구혼자 중에서 단순히 선택하는 모임.다마얀티의 स्वयंवर|스바얌바라sa
'사비아바스타 스와얌바라'구혼자가 특정 자격을 충족해야 함.라마시바의 활을 당겨 시타를 얻는 것
'샤우리야술카 스와얌바라'신부의 손을 얻기 위한 시합 또는 도전을 포함.아르주나가 드라우파디와 결혼하는 것



스와얌바라는 단순한 결혼 의식을 넘어, 여성의 선택권, 가문의 명예, 사회적 지위 등을 상징하는 복합적인 의미를 지녔다. 크샤트리아 계급의 왕족 여성에게 주로 적용되었으며, 카스트 간의 결합은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리그 베다는 인도 문학에서 가장 오래되고 수수께끼 같은 텍스트 중 하나로서, 스와얌바라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제한적으로 제공한다. 한스-페터 슈미트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증거가 너무 간접적이며, 리그 베다가 스와얌바라를 확립된 제도로서 명확하게 보여주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스테파니 W. 제이미슨과 같은 학자들은 리그 베다가 이 제도의 존재를 나타내는 특정 단어와 구문을 통해 스와얌바라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8]

6. 문학 속 스와얌바라

피르다우시샤나메이슬람 이전 이란에서 스와얌바라와 유사한 전통을 기록하고 있다. 동로마 황제의 장녀 키타윤은 저명하고 현명한 사람들이 모인 대집회에서 이란의 구슈타스프를 선택했다.[24] 첫 번째 집회에서 적합한 남편을 찾지 못하자 두 번째 집회가 열렸고, 키타윤은 그곳에서 구슈타스프의 머리에 왕관을 씌웠다. 구슈타스프는 신부와 함께 이란으로 돌아와 왕이 되었다.[24] 중동 사람들은 روم|룸ar동로마 제국을 일컫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하였다.[26]

6. 1. 인도 문학

힌두교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자나카 왕은 시타시바의 활인 피나카를 들어 올리고 줄로 묶을 수 있는 사람과 결혼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는 구혼자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의미하는 비르야 술카(ISO|vīrya śulkasa)라고 불렸다.[23] 시타는 활을 들고 당길 수 있을 만큼 강한 유일한 남자인 라마와 결혼했다.

마하바라타에서 쿤티보자 왕은 그의 입양된 딸 쿤티를 위해 스와얌바라를 열었다. 아리아바르타의 많은 왕과 왕자들이 스와얌바라에 참석했고, 그들 중 쿠루 왕국의 왕인 판두를 쿤티가 선택했다.[5]

판찰라의 드루파다 왕의 딸인 드라우파디는 지망생들이 활과 화살로 물고기의 눈을 때려야 했다. 이 물고기는 기름이 채워진 팬 위에 놓인 회전하는 바퀴 위의 이미지였고, 구혼자들은 기름에 비친 물고기를 노려야 했다.[5]

마하바라타에서 또 다른 유명한 스와얌바라는 신의 소원에 반하여 날라를 남편으로 선택한 다마얀티의 이야기에서 발견된다.

학자들은 힌두교 문헌에 나오는 자기 선택 의식을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 '''스와얌바라'''는 공주가 부모의 승인하에 모인 많은 구혼자들 중에서 자신의 마음에 드는 상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의식이다.
  • '''비리야술카'''는 신부의 손을 용맹이나 힘을 겨루는 시합을 통해 얻는 스와얌바라의 한 유형을 특별히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영웅적인 행위가 수반된다.


학자 베탐 마니에 따르면, 경전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는 스와얌바라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 '''이차 스와얌바라''': 신부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남편을 선택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유를 허용했다.
  • '''사비아바스타 스와얌바라''': 구혼자가 특정 자격을 충족해야 했다.
  • '''샤우리야술카 스와얌바라''': 신부의 손을 얻기 위한 시합 또는 도전을 포함했다.

6. 1. 1. 《리그 베다》

《리그 베다》는 인도 문학에서 가장 오래되고 수수께끼 같은 텍스트 중 하나로, 스와얌바라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제한적이다. 한스-페터 슈미트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증거가 너무 간접적이어서 《리그 베다》가 스와얌바라를 확립된 제도로 명확하게 보여주지 않는다고 주장한다.[8] 그는 리그 베다의 시인들이 실제 사회 제도 묘사보다는 우주적이고 상징적인 주제에 더 관심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슈미트는 스와얌바라가 베다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 관습은 특히 조로아스터교 이란에서 인도-유럽적 유사성을 가진 더 오래된 인도 관습을 반영한다고 제안했다.[8]

그러나 스테파니 W. 제이미슨과 같은 학자들은 《리그 베다》가 이 제도의 존재를 나타내는 특정 단어와 구문을 통해 스와얌바라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가 논의하는 주요 용어 중 하나는 "vrá-"인데, 이는 남성형 "varū-" (구혼자 또는 선택자)에 해당하는 여성형 명사의 생략된 형태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용어는 "여성 선택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남편을 선택하는 여성을 의미하며 스와얌바라의 개념과 일치한다.[8]

제이미슨은 "svayaṃ sā varūte" (그녀는 스스로 선택한다)라는 구절을 《리그 베다》의 잠재적인 표현으로 분석한다. 비록 이 공식이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제이미슨은 이것이 더 미묘하고 암호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처녀가 자신의 남편을 선택하는 개념이 베다 사회에 알려져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8]

'리그 베다'에서 '스와얌바라'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증거 중 하나는 태양의 딸인 수르야의 결혼에서 발견된다. 이 신화는 '리그 베다' 결혼 찬가(X.85)에 두드러지게 등장하며, 인간의 결혼에 대한 신성한 모델 역할을 하며 종종 '스와얌바라' 시나리오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찬가에서 수르야는 신들 중에서 남편을 선택하는 것으로 묘사되며, 쌍둥이 아슈빈이 그녀의 주요 구혼자로 묘사된다. 제이미슨은 수르야의 선택에 대한 반복적인 언급, 아슈빈의 참여, 그리고 전차(결혼식의 핵심 요소)에 대한 강조가 의례화된 형태의 '스와얌바라'를 시사한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또한 '리그 베다'가 처녀가 남편을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암시하는 맥락에서 "''vṛṇīta''"(선택하다)라는 동사를 사용하며, 이는 '스와얌바라'라는 생각을 더욱 뒷받침한다고 언급한다.[8]

'리그 베다'의 시인들은 종종 공식적인 유희와 환유법에 참여하며, 익숙한 공식 내에서 다른 요소들을 대체한다. 예를 들어, 일부 찬가에서 아슈빈의 "전차"가 구혼자 자신 대신 선택되는데, 이는 결혼 의식에서 차량과 남편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종류의 환유적 대체는 선택의 개념(스와얌바라의 핵심)이 문화에 깊이 스며들어 시인들에 의해 창의적으로 조작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8]

자미슨은 또한 리그베다 10.17.1에 언급된 사란유의 결혼에 대한 구절이 ''스와얌바라''의 명확한 예시라고 언급한다.[8]

제임스 탈보이스 휠러 또한 Ṛg 베다에서 ''스와얌바라''의 존재를 인식했으며, 수르야와 비마다의 ''스와얌바라''를 예시로 들었다. 고대 학자 사야나는 젊은 현자 비마다가 카마다유 공주가 열었던 스와얌바라 의식에서 선택되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질투심에 사로잡힌 구혼자들이 비마다가 집으로 돌아갈 때 그 부부를 공격했다. 그러자 비마다는 아슈빈을 불러 도움을 요청했고, 아슈빈은 개입하여 그들을 구했다. 차터지는 이 스와얌바라의 사례가 서사시에 등장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한다.[9]

6. 1. 2.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에는 스와얌바라가 여러 번 등장하며, 주요 등장인물의 결혼과 관련된 중요한 사건으로 묘사된다.

힌두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 쿤티보자 왕은 그의 입양된 딸 쿤티를 위해 스와얌바라를 열었다. 아리아바르타의 많은 왕과 왕자들이 참석했고, 그중 쿠루 왕국의 왕인 판두가 쿤티의 선택을 받았다.[5]

판찰라의 드루파다 왕의 딸 드라우파디의 스와얌바라에서는 구혼자들이 활과 화살로 물고기의 눈을 맞혀야 했다. 이 물고기는 기름이 채워진 팬 위에 놓인 회전하는 바퀴 위의 이미지였고, 구혼자들은 기름에 비친 물고기를 노려야 했다.[5]

드라우파디의 스와얌바라에 대한 1920년대 화가의 해석


드라우파디의 스와얌바라는 《마하바라타》에서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이다. 《아디파르반》에는 스와얌바라의 준비, 구혼자들의 모임, 시합의 세부 사항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Mbh. 1.174-185). 드라우파디는 이후에도 이 사건을 언급하며(Mbh. 2.62.4a) 이 사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3]

전국 각지의 왕자와 전사들이 모여든 가운데, 카르나가 도전에 나섰으나, 드라우파디는 카르나의 낮은 출생을 이유로 거부했다. 하지만 이는 판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10][11][12] 브라만으로 변장한 아르주나가 도전에 성공하여 드라우파디와 결혼하게 되었고, 이는 카우라바와 카르나의 분노를 일으켰다. 드라우파디는 쿤티의 오해로 인해 다섯 판다바 모두의 아내가 되었고, 이는 신성한 추론에 의해 승인되었다.[19]

드라우파디의 스와얌바라는 《마하바라타》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중추적인 사건이며, 쿠루크셰트라 전쟁의 원인이 된다. 또한 운명, 달마, 신의 개입이라는 주제를 강조한다.

드라우파디가 의식용 화환을 구혼자의 목에 거는 모습을 묘사한 삽화


다마얀티의 스와얌바라는 《마하바라타》에서 또 다른 중요한 사례이며, 신부에게 두 번의 스와얌바라가 열린다는 점에서 독특하다.[14] 첫 번째 스와얌바라에서 다마얀티는 니샤다 왕국의 왕 날라에 대한 사랑으로 인해 변장한 신들 사이에서 날라를 알아보고 선택했다.[14]

1913년 워릭 고블이 그린 날라로 변장한 신들이 참석한 다마얀티의 스바얌바라


날라가 다마얀티를 버린 후, 다마얀티는 두 번째 스와얌바라를 열어 날라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다마얀티는 변장한 날라를 알아보고 재회했다.[14]

다마얀티의 결혼식을 묘사한 툴시 칼란의 ''라즈나마'' 삽화, c. 1590 CE


다마얀티의 스와얌바라는 신부의 개인적인 선택, 신의 개입, 여성의 주체성과 결단력이라는 주제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15]

카시 왕국의 공주들 (암바, 암비카, 암발리카)의 이야기는 비슈마가 비치트라비리야를 위해 공주들을 강제로 데려오면서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다. 암바는 이미 살바 왕을 사랑하고 있었기에 비슈마에게 복수를 맹세했고, 이는 《마하바라타》의 중요한 하위 줄거리가 되었다.[16]

이 외에도 《마하바라타》에는 쿤티, 데바키, 마드하비, 수바드라, 데비카, 비자야, 발란드하라, 바누마티 등의 스와얌바라가 언급된다.[16]

6. 1. 3. 《라마야나》

힌두교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시타의 스와얌바라는 중요한 사건으로, 미틸라의 왕 자나카가 주최했다. 자나카 왕은 시타가 시바의 활인 피나카를 들어올리고 줄로 묶을 수 있는 사람과 결혼할 것이라고 선언했는데, 이는 구혼자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의미하는 비르야 술카(ISO|vīrya śulkasa)라고 불렀다.[23]

라자 라비 바르마가 그린 라마야나의 한 장면으로, 라마가 시타의 스와얌바라에서 시바의 활을 부러뜨리는 모습


여러 왕국의 왕자들과 전사들이 모였으나, 이 활은 너무 강력해서 들어 올리는 것조차 불가능했다. 아요디아의 왕자 라마는 형제 락슈마나와 현자 비스와미트라와 함께 스와얌바라에 도착하여, 비스와미트라의 격려로 활을 들어 당기려 했다. 라마는 손쉽게 활을 들어 당기고 반으로 부러뜨려, 시타의 결혼 상대가 되었다.[13] 이 행위는 라마의 신성한 은총과 다르마의 수호자로서의 운명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자나카 왕은 기뻐하며 시타를 라마에게 제안했지만, 라마는 아버지 다샤라타 왕의 허락을 구했다. 다샤라타 왕이 동의하자 성대한 의식을 통해 결혼이 진행되었다.

시타의 스와얌바라는 라마를 신성하게 정해진 영웅으로 강조하고, 당시 문화적 가치, 특히 남편을 선택할 때의 힘과 용기에 대한 강조, 그리고 결혼을 주선하는 아버지의 역할을 강화한다. 시바의 활은 시합의 중심이며, 라마가 비슈누의 화신으로서 지켜야 할 다르마의 무게를 상징한다. 시타는 나중에 아나수야에게 자신의 결혼을 이야기할 때, 이 사건을 스와얌바라라고 언급하며, 이 사건을 정의하는 선택과 용기의 전통적인 요소를 강조한다 (Rām. 2.110.47-52).[19]

학자들은 시타의 스와얌바라에 대한 설명이 라마야나의 다양한 부분에서 다르게 제시되어,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로버트 골드만은 시타 자신이 아요디아칸다에서 자신의 결혼을 스와얌바라라고 언급하는 반면, 더 이전의 발라칸다에서는 이 사건을 다른 세부 사항으로 제시하며, 발라칸다는 시합의 영웅적인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추고 아요디아칸다는 사건의 낭만적이고 다르마적인 버전을 제시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스와얌바라라는 단어는 발라칸다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비르야술카"(영웅적 행위의 상)라는 용어가 시타를 묘사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19]

라마야나》의 발라칸다에 언급된 쿠샤나바 왕의 딸들의 스와얌바라에서는 바유 신이 접근하자 딸들은 아버지의 스와얌바라를 통해 결혼하겠다고 말하며 그의 접근을 거부한다. 이 에피소드는 결혼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한다.

같은 부분에서 《라마야나》는 간다르바인 소마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소마다는 현자 쿨리나를 설득하여 자신과 결혼하게 한다.

6. 1. 4. 《하리밤사》

Harivaṃśasa마하바라타의 부록으로, 야다바 왕조크리슈나의 생애를 다룬다. 이 문헌에는 루크미니, 루크마바티 등의 스와얌바라 이야기가 등장한다.

6. 2. 이란 문학

피르다우시샤나메이슬람 이전의 이란에서 스와얌바라와 유사한 전통을 기록하고 있는데, 동로마 황제의 장녀인 키타윤이 이란의 구슈타스프를 선택했다.[24] 동로마 황제는 자신의 딸 중 한 명을 위해 남편을 구할 목적으로 그녀가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저명하고 현명한 사람들의 대집회를 열기로 결정했다. 그녀는 첫 번째 집회에서 적합한 남편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두 번째 집회가 열렸고 그곳에서 그녀는 구슈타스프의 머리에 왕관을 씌웠다. 비슈타스파라고도 알려진 구슈타스프는 신부와 함께 이란으로 돌아와 왕이 되었다.[24] 중동 사람들은 روم|룸ar동로마 제국을 일컫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하였다.[26]

7. 다르마샤스트라 및 기타 스므리티 문학

다르마샤스트라에서는 스와얌바라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아버지가 딸의 결혼을 주선하지 못할 경우 딸이 직접 남편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한다.[2] 이는 일반적인 스와얌바라와는 다르지만, 여성의 선택권을 어느 정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누스므리티(기원후 1세기경)는 아버지가 초경 후 3년 안에 결혼을 주선하지 못하면 소녀가 남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2]

루드비크 스턴바흐는 스므리티 문학에서 일반적인 스와얌바라는 공식적인 행사가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처녀가 남편을 선택할 권리를 부여하는 법적 조항이라고 설명한다. 즉, 아버지가 초경 후 정해진 기간(일반적으로 3년 또는 3번의 월경 주기) 안에 결혼을 주선하지 못할 경우 딸에게 남편 선택권을 주는 것이다.[17] 이러한 조항은 고대 인도 사회에서 적시에 결혼을 보장하고 출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미혼으로 남아 있는 것을 사회적, 종교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여겼기 때문이다.[17]

일반적인 스와얌바라는 처녀에게 어느 정도 자율성을 부여하지만, 그 선택은 여전히 사회적 기대에 의해 좌우된다. 스므리티는 선택된 남편이 동등한 카스트와 계급에 속하고, 흠 없는 인격을 지니며, 가족 배경, 나이, 건강 등에서 적합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즉, 여성의 선택권은 사회 계층 구조를 유지하는 통제된 틀 안에서 보정 조치 역할을 한다.[17] 스므리티는 또한 여성이 원하는 남성에게 접근하고 과정 전반에 걸쳐 예절을 지키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17]

8. 역사적 기록

학자들은 스와얌바라의 대부분의 사례가 서사시에 나타나지만 실제 역사적 사례는 드물다고 언급한다.

주목할 만한 역사적 언급은 기원후 150년경 Rudradaman의 주나가드 암석 비문에서 나타난다.[1] 이 비문에서 Rudradaman은 서부 크샤트라파 왕조의 저명한 통치자로서 군사적 정복과 행정적 업적뿐만 아니라 왕족 딸들의 ''스와얌바라'' 참여로도 칭송받았다.[1]

후기 페르시아 자료에서 스와얌바라의 개념은 Ramagupta와 Chandragupta II(375~415년 재위) 형제 간의 갈등 맥락에서 제시된다.[2] 이 이야기는 Ramagupta가 Chandragupta II를 사랑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Dhruvadevi를 스와얌바라에서 납치했다는 것을 밝힌다.[2] 이후 Chandragupta II가 Ramagupta를 죽이고 Dhruvadevi와 결혼하는 내용을 전한다.[2]

역사적 맥락에서 ''스와얌바라''의 가장 유명한 사례는 찬드 바르다이의 반 역사적 서사시 Prithvirajaraso에 기록된 Sapadalaksha의 왕 Prithviraja III(1166~1192)과 Kanauj의 공주 Sanyogita의 전설적인 이야기이다.[3]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9-02-12
[2] 서적 The State in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22-02-22
[3] 서적 Sexual Life in Ancient India: A Study in the Comparative History of Indian Cultur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ing House 1971-01-01
[4] 서적 The State in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22-02-22
[5] 웹사이트 svayaṃvara https://www.oxfordre[...] 2024-08-31
[6] 서적 More than Real: A History of the Imagination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04-09
[7] 간행물 An Instance of Royal Swayamvara https://fid4sa-repos[...] Asiatic Papers III
[8] 논문 The Rigvedic Svayaṃvara? Formulaic evidence. 2001-01-01
[9] 서적 Studies in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Forms of Marriage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Sanskrit Pustak Bhandar 1972-01-01
[10] 웹사이트 THE MAHABHARATHA https://archive.org/[...]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POONA 2018-03-11
[11] 웹사이트 The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 ''Mahābhārata'' Project http://www.bori.ac.i[...] 2017-12-03
[12] 웹사이트 Interpolations in the ''Mahābhārata'' https://archive.org/[...] 2001-01-01
[13] 논문 Sītā and Draupadī: Aggressive Behavior and Female Role-Models in the Sanskrit Epics 1989-01-01
[14] 논문 Damayantī's svayamvara 1989-01-01
[15] 서적 Feminine Journeys of the Mahabharata: Hindu Women in History, Text,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05-21
[16] 서적 The Dharma of Justice in the Sanskrit Epics: Debates on Gender, Varna, and Spec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2-31
[17] 문서 Forms of Marriage in Ancient India and their development https://ia802907.us.[...]
[18] 서적 Harivamśa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9-03
[19] 서적 Reading the Fifth Veda: Studies on the ''Mahābhārata'' - Essays by Alf Hiltebeitel https://books.google[...] BRILL 2011-07-27
[20] 문서 The Shah-Namah of Fardausi, translated by Alexanders Rogers LP Publications
[21] 문서 Mazda-Yasni and Zorastranian Tales (Book Two) as retold by Kuku S Shabbir
[22] 문서 Mazda-Yasni and Zorastranian Tales (Book Two) as retold by Kuku S Shabbir
[23] 웹사이트 I was given thus to Rama in that Svayamvara, a process of self-choosing marriage. I became devoted, by my good works, to my husband who is excellent among men of strength. http://www.valmikira[...]
[24] 문서 The Shah-Namah of Fardausi, translated by Alexanders Rogers LP Publications
[25] 문서 Mazda-Yasni and Zorastranian Tales (Book Two) as retold by Kuku S Shabbir
[26] 문서 Mazda-Yasni and Zorastranian Tales (Book Two) as retold by Kuku S Shabb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