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야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파야오주는 필리핀 북부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에 위치한 주로, 이스네그족이 전통적으로 거주해 왔다.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점령을 받았다. 1966년 칼링가-아파야오주로 통합되었다가 1995년 칼링가주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주로 승격되었다. 아파야오는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며, 2024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쌀, 옥수수, 커피 등을 생산한다. 2020년 인구는 124,366명이며, 일로카노족과 이스나그족이 주요 민족이다. 과거 아파야오의 준-지방 수도였던 타우이트는 현재 푸톨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아브라주
아브라는 필리핀 루손 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역 서부에 위치한 주로, 험준한 산맥과 아브라 강, 아브라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로카노족과 팅기안족의 후손이 주로 거주하고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코르디예라 행정구 - 칼링가주
칼링가주는 필리핀 루손섬 코르디예라 행정구에 위치한 주로, 이바나그어와 가당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치코 강 댐 건설 계획으로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7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구성 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파야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코르딜레라 행정구 |
설립 | 1995년 5월 8일 |
중심지 | 카부가오* |
행정 중심지 | 루나 |
가장 큰 자치체 | 코너 |
총 면적 | 4,413.35km² |
면적 순위 | 81개 중 27위 |
인구 (2020년) | 123,898명(추정)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81개 중 78위 |
인구 밀도 순위 | 81개 중 81위 |
언어 | 일로카노어 이스나그어(이만다야, 이말로드, 디바갓-카부가오) 타갈로그어 영어 |
웹사이트 | 아파야오 공식 웹사이트 |
각주 | *카부가오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수도이자 정부 소재지이지만, 주에서는 루나에 새로 설립된 정부 센터에서 많은 업무를 수행한다. |
최대 고도 | 1,921m |
최고 지점 | 룽고드 산 |
정치 | |
주지사 | 엘리아스 C. 불룻 주니어(NPC) |
부주지사 | 레미 N. 알바노(KBL) |
입법부 | 아파야오 지방 의회 |
행정 구역 | |
시/읍 | 7개 |
바랑가이 | 133개 |
하원 의원 지역 | 아파야오 선거구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우편 번호 |
지역 번호 | 지역 번호 |
ISO 3166-2:PH | PH-APA |
2. 역사
20세기까지 아파야오주는 이스네그족이 지배했다. 이들은 주로 카부가오와 칼라나산의 고지대 자치구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아파야오-아불루그 강 상류를 따라 흩어져 정착지에 살고, 일부는 코너의 마탈라그 강 주요 지류를 따라 거주한다.[55]
=== 스페인 식민 시대 ===
스페인은 코르디예라 지역에서 가장 먼저 아파야오주에 침투했지만, 이스네그족의 거주로 인해 19세기 후반까지 스페인의 통제는 거의 미치지 못했다.[3] 1610년 초, 도미니코회 수도사들은 현재 푸톨 마을에 선교를 설립했다.[3] 1684년에는 수도사들이 다시 주민들을 개종시키려 시도하여 현재 카부가오에 교회를 세웠다.[3]
스페인 당국은 1891년 카가얀주에 아파야오와 카부가오안의 ''사령부''(comandancia)를 설립할 수 있었으며,[3][4][5] 이는 현재 아파야오주의 서부와 동부 지역을 포함했다. 그러나 이 ''사령부''는 완전한 통제를 가져오지 못했고 스페인 정부는 이 지역에 느슨한 지배력을 유지했을 뿐이었다.[3]
=== 미국 식민 시대 ===
1907년 5월 9일 법률 제1642호에 따라 아파야오는 카가얀 주의 하위 주로 설립되었다.[6] 1908년 8월 13일 법률 제1876호 제정으로 산악 지방이 설립되면서, 아파야오는 암부라얀, 벵게트, 본톡, 이푸가오, 칼링가, 레판토와 함께 이 새로운 주의 하위 주가 되었다.[55][4][5][7]
초창기 아파야오는 잦은 행정 구역 변경을 겪었다.[56] 일로코스 노르테 주로 일부 지역이 이관되기도 했으며,([56]''행정 명령 21'', 1920년) 1922년에는 바야그(현재 칼라나산) 시구의 ''바리오''가 ''나말투간''으로 이관되었다.[56] 1927년에는 칼링가의 피눅푹 시구 일부가 코너에 병합되었고,[56] 1929년 9월 6일 승인된 ''EO 200''을 통해 ''타우이트''의 ''바리오''가 10월 1일부터 별도의 시구인 루나로 구성되었다.[8] 1936년 1월 21일 승인된 ''EO 13''을 통해 ''타우이트''가 폐지되어 2월 1일부터 루나에 단일 ''바리오''로 병합되었고,[63] 1936년 12월 23일 승인된 ''EO 78''을 통해 ''나말투간''이 폐지되어 1937년 1월 1일부터 바야그와 카부가오에 병합되었다.[9]
초창기 아파야오는 7개의 시구로 나뉘었고, 모두 이스네그가 우세했다.[55] 이들은 필리핀 경찰대와 충돌했으며, 일부 가족들은 일로코스 노르테와 아브라 산으로 도피하기도 했다. 1913년에는 타우이트에서 공격에 연루되기도 했다.[55]
===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 ===
1942년, 일본 제국군이 아파야오에 진입하면서 태평양 전쟁 중 3년간의 점령이 시작되었다. 지역 필리핀 군대와 제11 및 제66 보병 연대, 필리핀 연방 육군, USAFIP-NL 병력이 코르디예라 게릴라의 지원을 받아 1945년에 일본군을 몰아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카부가오는 일본군에 의해 1년 동안 점령되었고, 바탄 전투에서 탈출한 미국 육군 대위의 지휘하에 이스네그 게릴라 부대가 조직되었다. 부 아파야오에서는 전투가 거의 벌어지지 않았지만, 많은 이스네그 인들이 카가얀 계곡과 인근 지역에서 미국 및 필리핀 군대와 함께 싸웠다.
=== 전후 시대 ===
1966년 6월 18일, 마운틴 주는 ''공화국 법 제4695호''에 의해 벵게트, 본톡 (이후 "마운틴 주"로 개칭), 칼링가-아파야오, 이푸가오의 4개 주로 분할되었다.[5][10] 칼링가-아파야오는 이푸가오와 함께 1972년 카가얀 계곡 지역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10]
=== 마르코스 독재 정권 시기 ===
1970년대 초,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재선을 위해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추진하면서 필리핀과 칼링가-아파야오는 혼란과 변화를 겪었다.[11] 이로 인해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가 발생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14][15]
마르코스는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하고 14년간 권력을 유지했다.[18] 이 시기 마르코스 정권은 인권 침해를 자행했으며,[19][20]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등을 탄압했다.[21]
칼링가-아파야오는 치코 강 댐 프로젝트로 인해 마르코스 정권과 원주민 간 갈등의 중심지가 되었다.[22][23] 댐 건설은 칼링가, 마운틴 프로빈스, 아파야오 지역에 거주하는 약 10만 명의 원주민 이주를 야기할 수 있었기 때문에,[24][25]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마르코스는 시위 진압을 위해 무장 여단을 파견하여 긴장을 고조시켰다.[23]
아파야오는 치코 댐 반대 투쟁, 셀로필 자원 공사의 토지 침해 반대 운동 등 다양한 저항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22][24]
=== 피플 파워 혁명 이후 ===
1986년, 시민 주도의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된 후, 아키노의 새 행정부가 정치범을 석방하고 평화 회담을 시작하면서 지하 운동에 참여했던 많은 활동가들이 "수면 위로" 나오기로 결정했다.[26] 그러나 개혁군 운동에 가담했던 인물들을 포함한 아키노의 새로운 내각 내의 반좌파 정서는 평화 프로세스를 어렵게 만들었고, 결국 협상은 결렬되었으며, 칼링가-아파야오에서의 반군은 지속되었다.[27][28]
하지만, 1986년에 코르디예라 인민 해방군(CPLA)이 신인민군(NPA)에서 분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79년에 성직자의 직무를 포기하고 NPA에 합류했던 전 가톨릭 신부 콘라도 발웨그는 4년 동안 코르디예라 지역의 전술과 목표를 놓고 NPA 지도부와 의견 충돌을 겪은 끝에 1986년 4월 초에 NPA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했다.[29] 그는 NPA가 추구하는 전국적 규모의 분쟁보다는 이고로트의 이익이 지역 차원의 해방 투쟁을 통해 더 잘 실현될 수 있다고 믿었다.[30]
1986년 9월, CPLA는 정부와 마운트 데이터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31][32] 1987년 7월 15일에는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이 설립되었으며, 칼링가-아파야오가 그 지방 중 하나가 되었다.[5][10][33][34]
=== 칼링가-아파야오 분리 ===
1966년 6월 18일, 거대한 마운틴 주는 ''공화국 법 제4695호''의 제정으로 4개의 주로 분할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칼링가-아파야오였다.[5][10] 칼링가-아파야오는 이푸가오와 함께 1972년 카가얀 계곡 지역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10]
마침내, 1995년 2월 14일, 「공화국법 제7878호」 통과로 칼링가주와 아파야오주는 두 개의 독립된 주로 분리되었다.
2. 1.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은 코르디예라 지역에서 가장 먼저 아파야오주에 침투했지만, 이스네그족의 거주로 인해 19세기 후반까지 스페인의 통제는 거의 미치지 못했다.[3] 1610년 초, 도미니코회 수도사들은 현재 푸톨 마을에 선교를 설립했다.[3] 1684년에는 수도사들이 다시 주민들을 개종시키려 시도하여 현재 카부가오에 교회를 세웠다.[3]스페인 당국은 1891년 카가얀주에 아파야오와 카부가오안의 ''사령부''(comandancia)를 설립할 수 있었으며,[3][4][5] 이는 현재 아파야오주의 서부와 동부 지역을 포함했다. 그러나 이 ''사령부''는 완전한 통제를 가져오지 못했고 스페인 정부는 이 지역에 느슨한 지배력을 유지했을 뿐이었다.[3]
2. 2. 미국 식민 시대
1907년 5월 9일 법률 제1642호에 따라 아파야오는 카가얀 주의 하위 주로 설립되었다.[6] 1908년 8월 13일 법률 제1876호 제정으로 산악 지방이 설립되면서, 아파야오는 암부라얀, 벵게트, 본톡, 이푸가오, 칼링가, 레판토와 함께 이 새로운 주의 하위 주가 되었다.[55][4][5][7]초창기 아파야오는 잦은 행정 구역 변경을 겪었다.[56] 일로코스 노르테 주로 일부 지역이 이관되기도 했으며,([56]''행정 명령 21'', 1920년) 1922년에는 바야그(현재 칼라나산) 시구의 ''바리오''가 ''나말투간''으로 이관되었다.[56] 1927년에는 칼링가의 피눅푹 시구 일부가 코너에 병합되었고,[56] 1929년 9월 6일 승인된 ''EO 200''을 통해 ''타우이트''의 ''바리오''가 10월 1일부터 별도의 시구인 루나로 구성되었다.[8] 1936년 1월 21일 승인된 ''EO 13''을 통해 ''타우이트''가 폐지되어 2월 1일부터 루나에 단일 ''바리오''로 병합되었고,[63] 1936년 12월 23일 승인된 ''EO 78''을 통해 ''나말투간''이 폐지되어 1937년 1월 1일부터 바야그와 카부가오에 병합되었다.[9]
초창기 아파야오는 7개의 시구로 나뉘었고, 모두 이스네그가 우세했다.[55] 이들은 필리핀 경찰대와 충돌했으며, 일부 가족들은 일로코스 노르테와 아브라 산으로 도피하기도 했다. 1913년에는 타우이트에서 공격에 연루되기도 했다.[55]
2. 3.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일본 제국군이 아파야오에 진입하면서 태평양 전쟁 중 3년간의 점령이 시작되었다. 지역 필리핀 군대와 제11 및 제66 보병 연대, 필리핀 연방 육군, USAFIP-NL 병력이 코르디예라 게릴라의 지원을 받아 1945년에 일본군을 몰아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카부가오는 일본군에 의해 1년 동안 점령되었고, 바탄 전투에서 탈출한 미국 육군 대위의 지휘하에 이스네그 게릴라 부대가 조직되었다. 부 아파야오에서는 전투가 거의 벌어지지 않았지만, 많은 이스네그 인들이 카가얀 계곡과 인근 지역에서 미국 및 필리핀 군대와 함께 싸웠다.
2. 4. 전후 시대
1966년 6월 18일, 마운틴 주는 ''공화국 법 제4695호''에 의해 벵게트, 본톡 (이후 "마운틴 주"로 개칭), 칼링가-아파야오, 이푸가오의 4개 주로 분할되었다.[5][10] 칼링가-아파야오는 이푸가오와 함께 1972년 카가얀 계곡 지역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10]2. 5. 마르코스 독재 정권 시기
1970년대 초,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재선을 위해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추진하면서 필리핀과 칼링가-아파야오는 혼란과 변화를 겪었다.[11] 이로 인해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가 발생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14][15]마르코스는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하고 14년간 권력을 유지했다.[18] 이 시기 마르코스 정권은 인권 침해를 자행했으며,[19][20]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등을 탄압했다.[21]
칼링가-아파야오는 치코 강 댐 프로젝트로 인해 마르코스 정권과 원주민 간 갈등의 중심지가 되었다.[22][23] 댐 건설은 칼링가, 마운틴 프로빈스, 아파야오 지역에 거주하는 약 10만 명의 원주민 이주를 야기할 수 있었기 때문에,[24][25]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마르코스는 시위 진압을 위해 무장 여단을 파견하여 긴장을 고조시켰다.[23]
아파야오는 치코 댐 반대 투쟁, 셀로필 자원 공사의 토지 침해 반대 운동 등 다양한 저항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22][24]
2. 6. 피플 파워 혁명 이후
1986년, 시민 주도의 피플 파워 혁명으로 마르코스가 축출된 후, 아키노의 새 행정부가 정치범을 석방하고 평화 회담을 시작하면서 지하 운동에 참여했던 많은 활동가들이 "수면 위로" 나오기로 결정했다.[26] 그러나 개혁군 운동에 가담했던 인물들을 포함한 아키노의 새로운 내각 내의 반좌파 정서는 평화 프로세스를 어렵게 만들었고, 결국 협상은 결렬되었으며, 칼링가-아파야오에서의 반군은 지속되었다.[27][28]하지만, 1986년에 코르디예라 인민 해방군(CPLA)이 신인민군(NPA)에서 분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79년에 성직자의 직무를 포기하고 NPA에 합류했던 전 가톨릭 신부 콘라도 발웨그는 4년 동안 코르디예라 지역의 전술과 목표를 놓고 NPA 지도부와 의견 충돌을 겪은 끝에 1986년 4월 초에 NPA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했다.[29] 그는 NPA가 추구하는 전국적 규모의 분쟁보다는 이고로트의 이익이 지역 차원의 해방 투쟁을 통해 더 잘 실현될 수 있다고 믿었다.[30]
1986년 9월, CPLA는 정부와 마운트 데이터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31][32] 1987년 7월 15일에는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이 설립되었으며, 칼링가-아파야오가 그 지방 중 하나가 되었다.[5][10][33][34]
2. 7. 칼링가-아파야오 분리
1966년 6월 18일, 거대한 마운틴 주는 ''공화국 법 제4695호''의 제정으로 4개의 주로 분할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칼링가-아파야오였다.[5][10] 칼링가-아파야오는 이푸가오와 함께 1972년 카가얀 계곡 지역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10]마침내, 1995년 2월 14일, 「공화국법 제7878호」 통과로 칼링가주와 아파야오주는 두 개의 독립된 주로 분리되었다.
3. 지리
아파야오는 기본적으로 많은 강이 관통하는 중앙 코르디예라 산맥 내에 위치해 있다. 이 주는 4,413.35 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코르디예라 행정구역의 북쪽 끝을 형성하며 북쪽과 동쪽으로는 카가얀, 서쪽으로는 일로코스 노르테, 남서쪽으로는 아브라, 남쪽으로는 칼링가와 접해 있다.[36]
이 주는 지리적으로 ''상부 아파야오''(고지대 자치구: 칼라나산, 코너, 카부가오)와 ''하부 아파야오''(저지대 자치구: 루나, 푸드톨, 플로라, 산타 마르셀라)로 세분된다.[36]
평원과 계곡은 농업에 사용된다. 아파야오는 기본적으로 농지로 구성되어 있다.[37]
3. 1. 행정 구역
아파야오는 7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하나의 단일 선거구에 포함된다.scope="col"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class="unsortable" rowspan="2" | | 지방 자치체 | 인구 | 연간 성장률 | 면적 | 인구 밀도 | 바랑가이 수 | |||||
---|---|---|---|---|---|---|---|---|---|---|---|
style="border-width:0 thin thin 0;" colspan="2" | | (2020년) | (2015년) | style="border-top:0;" | | km2 | sq mi | /km2 | /sq mi | style="border-top:0;" |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칼라나산 | 10.1% | 12,604 | 0.08% | 1,256.15 | 485.00 | 10 | 26 | 18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코너 | 22.2% | 26,051 | 1.11% | 694.30 | 268.07 | 40 | 100 | 21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플로라 | 14.4% | 17,391 | 0.62% | 413.38 | 159.61 | 43 | 110 | 16 | ||
scope="row" style="border-width:medium 0 medium medium;background-color:initial;" | | 카부가오 | † | 13.0% | 15,537 | 0.84% | 935.12 | 361.05 | 17 | 44 | 21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루나 | 17.1% | 19,063 | 2.22% | 606.04 | 233.99 | 35 | 91 | 22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푸돌 | 12.5% | 14,925 | 0.73% | 401.02 | 154.84 | 39 | 100 | 22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산타 마르셀라 | 10.7% | 13,613 | -0.45% | 196.32 | 75.80 | 68 | 180 | 13 | ||
scope="row" style="border-right:0;" | | 총계 | 124,366 | 119,184 | 0.84% | 4,413.35 | 1,704.00 | 28 | 73 | 133 | ||
colspan="2"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 | 주도 | 지방 자치체 |
아파야오 주의 7개 지방 자치 단체는 총 133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코너의 말라마 바랑가이가 2015년 인구가 가장 많았고, 칼라나산의 엘레아자르가 가장 적었다.
3. 2. 기후
아파야오주의 일반적인 기후는 코로나의 유형 III 분류에 해당한다. 11월부터 4월까지는 비교적 건조하고, 나머지 기간은 우기이다. 강수량은 12월에서 2월 사이에 가장 많으며, 5월이 가장 덥다.4. 생물 다양성
아파야오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139종의 조류의 서식지이며, 이 중 61종은 고유종이고 4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38] 또한 원주민이 식용하는 43종의 야생 식물과 50종의 약용 식물이 서식한다.[39] 이 지역에는 멸종 위기종인 붉은 뿔닭, ''라완'' 또는 활엽수, 라플레시아 꽃, 그리고 흰날개날여우박쥐가 서식한다.[38]
필리핀 독수리 재단은 수세기 동안 이 지역을 배회한다는 거대한 독수리에 대한 보고를 받고 2011년 아파야오에서 독수리 탐색을 시작했다.[40] 2013년 3월 22일, 과학자들은 칼라나산 저지대 숲 인근 루손 섬에서 국가의 국조인 멸종 위기종 필리핀 독수리의 거점을 발견했다.[41] 2015년 1월, 칼라나산 시는 관할 하에 있는 3,000헥타르의 숲을 보호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42] 또한 아파야오주는 국가 내에서 승인된 산림 토지 이용 계획(FLUP)을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43] 아파야오에서 발견된 첫 번째 활동 중인 필리핀 독수리 둥지는 2015년 7월이었다.[40]
4. 1. 생물권 보전 지역
2018년 7월 9일, 아파야오 주 정부는 이 지역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할 의사를 발표했다.[43] 286,000헥타르가 넘는 원시림을 보유한 이 주는 이 지역의 지정을 앞당기기 위해 4명의 직원을 미국 국무부에서 교육을 받도록 보냈다고 밝혔다.[44] 2019년 1월 16일, 주 정부는 "등재를 위한 실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45]2024년 7월, 유네스코는 인간과 생물권 계획 (ICC MAB) 제36차 국제조정위원회 세션에서 모로코 아가디르에서 아파야오강이 흐르는 3,960제곱킬로미터의 울창한 숲 지역을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하여, 이 지역을 국내 네 번째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등재했다.[46][47]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파야오주의 인구는 124,366명이다.[48]
'''민족 구성'''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일로카노족이 49,328명(50.8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이스나그족이 29,071명(29.95%)으로 그 뒤를 이었다.[48] 이 외에도 말라우에그족(3.69%), 이뜨네그족(3.48%), 칼링가족(3.08%), 캉카나에족(1.24%), 본톡족(1.04%), 이발로이족(1.01%)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48] 이스나그족은 아파야오의 최초 거주민이었으나, 이후 일로카노족의 이주로 인해 소수 민족이 되었다.
민족 | 인구 | 비율(%) |
---|---|---|
일로카노 | 49,328 | 50.82 |
이스나그 | 29,071 | 29.95 |
말라우에그 | 3,580 | 3.69 |
이뜨네그 | 3,380 | 3.48 |
칼링가 | 2,992 | 3.08 |
캉카나에 | 1,208 | 1.24 |
본톡 | 1,014 | 1.04 |
이발로이 | 979 | 1.01 |
기타 | 4,931 | 5.08 |
미보고 | 575 | 0.59 |
5. 1. 민족 구성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일로카노족이 49,328명(50.8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이스나그족이 29,071명(29.95%)으로 그 뒤를 이었다.[48] 이 외에도 말라우에그족(3.69%), 이뜨네그족(3.48%), 칼링가족(3.08%), 캉카나에족(1.24%), 본톡족(1.04%), 이발로이족(1.01%)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48] 이스나그족은 아파야오의 최초 거주민이었으나, 이후 일로카노족의 이주로 인해 소수 민족이 되었다.민족 | 인구 | 비율(%) |
---|---|---|
일로카노 | 49,328 | 50.82 |
이스나그 | 29,071 | 29.95 |
말라우에그 | 3,580 | 3.69 |
이뜨네그 | 3,380 | 3.48 |
칼링가 | 2,992 | 3.08 |
캉카나에 | 1,208 | 1.24 |
본톡 | 1,014 | 1.04 |
이발로이 | 979 | 1.01 |
기타 | 4,931 | 5.08 |
미보고 | 575 | 0.59 |
6. 경제
아파야오는 농업 생산, 특히 팔레이,[49] 옥수수,[50] 커피, 뿌리 작물 및 채소와 같은 식량 및 산업 작물에 전념하고 있다. 생산되는 과일로는 란소네스, 감귤, 바나나 및 파인애플, 두리안, 사톨, 람부탄, 코코넛 및 망고스틴이 있다.[51] 2011년 쌀 생산량은 총 98,489톤이었다.[49] 아파야오의 일부 지역에는 계단식 논이 있다.[52]
경제 활동은 또한 돼지, 물소, 소, 염소, 양과 같은 가축 및 가금류 사육을 기반으로 한다. 추가적인 투자로는 제조업, 식품 가공, 가구, 공예품 및 가정 용품 제작 등이 있다.[53]
필리핀 통상 산업부 지방 사무소의 업데이트된 기록에 따르면 이 지방의 기존 산업은 가구, 의류 공예, 식품 가공, 선물 및 가정 용품, 농업 지원이다.
아파야오 사람들은 또한 바구니, 수공예품, 직물 직조에 대한 풍부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54]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아파야오주의 빈곤율은 2000년 46.6%,[67] 2006년 30.7%,[69] 2009년 35.6%,[69] 2012년 34.7%,[70] 2015년 29.7%,[71] 2018년 19.4%였다.[72]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6. 1. 빈곤율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아파야오주의 빈곤율은 2000년 46.6%,[67] 2006년 30.7%,[69] 2009년 35.6%,[69] 2012년 34.7%,[70] 2015년 29.7%,[71] 2018년 19.4%였다.[72]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7. 타우이트
'''타우이트'''(또는 '''타위트''')는 하부 아파야오-아불루그 강을 따라 위치한 이스네그 정착지였다. 1915년 8월 행정명령 제45호에 의거하여 수도가 카부가오로 옮겨지기 전까지 아파야오의 첫 번째 준-지방 수도(1907–1915)였다.[55][6][56][57] 아파야오 준주가 창설될 당시에도 존재했다.[65]
1913년, 많은 수의 일로카노가 지방 정부의 보호 아래 영토에 정착하는 것에 분노한 이스네그 무리가 타우이트를 공격했다.[55]
1926년 알라카판이, 1929년에는 ''마카텔''(나중에 '''루나'''로 개칭됨)이 타우이트에서 분리되어 자치구로 설립되었다.[56][65][61][62] 교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타우이트를 자치구로 유지하는 것을 포기하고 루나가 이를 대표하기로 결정했다.[61]
타우이트는 1936년 1월 21일 발행되어 2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 ''행정명령 제13호''를 통해 폐지되었으며, 남은 영토는 루나에 하나의 ''바리오''로 병합되었다.[63][61]
타우이트는 오늘날 '''푸톨'''의 전신이라고 한다.[58][59] 타우이트 지역의 정부 소재지는 나중에 해당 자치구의 4개 바랑가이로 분할되었다.[65][61] 푸톨과 루나 영토의 일부는 나중에 '''플로라'''와 '''산타 마르셀라''' 자치구로 설립되었으며, 타우이트는 또한 카가얀의 '''라삼'''의 일부를 포함했다. 현재 타우이트의 잔해는 아파야오 북동부와 카가얀의 일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65][58][61]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20-03-05
[2]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S BY REGION, PROVINCE, CITIES AND MUNICIPALITIES, 2020-2025
https://www.doh.gov.[...]
Department of Health
2020-10-16
[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cagayan.g[...]
2015-01-18
[4]
웹사이트
Benguet History
http://www.benguet.g[...]
2015-01-01
[5]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apayao.gov.ph[...]
2015-01-18
[6]
웹사이트
Act No. 1642
https://elibrary.jud[...]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2-07-24
[7]
서적
1908 :The Way it Really was : Historical Journal for the UP Centennial, 1908-200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15-01-19
[8]
서적
Executive Orders and Proclamations, 1929
https://archive.org/[...]
Bureau of Printing
2022-08-05
[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78, s. 1936
https://mirror.offic[...]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2-07-26
[10]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https://books.google[...]
Tahanan Books
2015-01-16
[11]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12]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2022-11-06
[13]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4]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15]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16]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17]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18]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20]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21]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22]
서적
Macli-ing Dulag: Kalinga Chief, Defender of the Cordillera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3]
문서
The Chico River Basin Development Project: A Case Study in National Development Policy
https://pssc.org.ph/[...]
1980-12
[24]
웹사이트
Remembering Macli-ing Dulag and the Anti-Chico Dam Struggle
https://hrvvmemcom.g[...]
2021-04-21
[25]
간행물
Valley of Sorrow
1980-09-05
[26]
논문
The Philippines in 1986: Democratic Reconstruction in the Post-Marcos Era
https://online.ucpre[...]
1987-02-01
[27]
문서
A Historicised (Re)Assessment of EDSA 'People Power' (1986)
https://ssrn.com/abs[...]
2010-02-01
[28]
뉴스
TIMELINE: The peace talk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PP-NPA-NDF, 1986 – present
https://www.gmanetwo[...]
2020-04-15
[29]
웹사이트
Peace Process with the Cordillera Bodong Administration – Cordillera People's Liberation Army (CBA-CPLA) – PeaceGovPH
https://peace.gov.ph[...]
[30]
웹사이트
Conrado Balweg - Priest, Guerrilla Leader and Politician
https://www.insights[...]
[31]
뉴스
What now for Cordillera?
https://news.google.[...]
The Manila Standard
2020-06-11
[32]
웹사이트
Cordillerans reject autonomy proposal
https://news.google.[...]
Manila Standard
2020-06-22
[33]
웹사이트
Regional Profil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countrystat.b[...]
2014-09-18
[34]
웹사이트
The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CAR)
http://ati.da.gov.ph[...]
2014-09-18
[35]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7878 - An Act Converting the Sub-provinces of Kalinga and Apayao into Regular Provinces to be Known as the Province of Kalinga and the Province of Apayao, Amending for the Purpose Republic Act No. 4695
http://www.chanroble[...]
2015-01-18
[36]
문서
Apayao: Executive Summary, 2015
https://coa.gov.ph/d[...]
Commission on Audit
2022-08-04
[37]
웹사이트
5 warehouses completed in Apayao to provide safe storages for agri crops {{!}} Philippine Rural Development Project
http://prdp.da.gov.p[...]
2024-06-07
[38]
웹사이트
Apayao: Where ethnic tradition is saving the Philippine Eagle
http://www.rappler.c[...]
2020-06-21
[39]
간행물
Indigenous knowledge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practices in Apayao rice terraces [Philippines]: a gender lens perspective
https://agris.fao.or[...]
2009
[40]
웹사이트
First active Philippine eagle nest in Luzon found in Apayao
http://www.rappler.c[...]
2019-02-26
[41]
웹사이트
Eagle Sightings in Apayao
https://web.archive.[...]
2019-02-26
[42]
웹사이트
Bayanihan.org
http://bayanihan.org[...]
[43]
뉴스
Apayao eagle habitat eyed as Unesco protected area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9-02-26
[44]
웹사이트
Gov Bulut wants Calanasan Philippine Eagle sanctuary declared as protected area | Politiko North Luzon
https://northluzon.p[...]
2018-07-27
[45]
뉴스
Apayao eyes UNESCO biosphere reserve title to save PH eagles
http://www.pna.gov.p[...]
Philippines News Agency
2019-02-26
[46]
뉴스
Apayao tagged as UNESCO biosphere reserve
https://www.pna.gov.[...]
Philippine News Agency
2024-07-06
[47]
뉴스
PH biosphere reserve in new Unesco list
https://www.manilati[...]
The Manila Times
2024-07-06
[48]
웹사이트
Apayao: Three Out of Five Academic Degree Holders Were Females; Table 4.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and Sex: Apayao, 2000
https://www.census.g[...]
2002-07-12
[49]
뉴스
DA allots P278M for irrigation, agri projects in Apayao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2-06-15
[50]
뉴스
Apayao Secret: Drought-Resistant Corn
http://www.newsflash[...]
Newsflash.Org
1998-04-28
[51]
뉴스
Government agri program to promote Apayao's wild fruits
http://www.manilatim[...]
The Manila Times
2014-01-14
[52]
웹사이트
Survival and Identity: The Cordillera Rice Terraces in the 21st century
https://pia.gov.ph/f[...]
2020-06-21
[53]
뉴스
Apayao producers open new markets in cities
https://web.archive.[...]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2009-12-05
[54]
간행물
Tapping the potentials of the weaving industry in Apayao [Philippines]
https://agris.fao.or[...]
2009
[55]
웹사이트
The Manolay cult: The genesis and dissolution of millenarian sentiments among the Isneg of Northern Luzon
https://www.asj.upd.[...]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2022-07-31
[56]
서적
Index to Official Gazette (1913–1928)
http://youseemore.co[...]
The Library Corporation
2022-07-31
[57]
서적
Report of the Philippine Commission to the Secretary of War, 1908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09
[58]
문서
Brief History of Pudtol
https://lgupudtol.ph[...]
Municipality of Pudtol
2022-08-01
[59]
문서
Pudtol: Executive Summary, 2020
https://www.coa.gov.[...]
Commission on Audit
2022-08-01
[60]
문서
Municipalities: Allacapan
https://cagayano.tri[...]
CagayaNET
2022-08-01
[61]
문서
History and government of Luna, Apayao
https://miasagguitco[...]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2022-07-28
[62]
문서
Brief History
https://lunaapayao.g[...]
Municipality of Luna, Apayao
2022-07-28
[63]
문서
Executive Order No. 13, s. 1936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2022-07-26
[64]
문서
Executive Order No. 217, s. 1956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2022-08-01
[65]
문서
Pudtol - A Brief History
https://pudtol.blogs[...]
2022-07-26
[66]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67]
문서
2000
[68]
문서
2003
[69]
문서
2006
[70]
문서
2012
[71]
간행물
2015
[72]
간행물
2018
[73]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