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활약한 교부들의 역사를 포함하며,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분열되어 동로마 황제에 충성하는 소수파가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로 불리게 되었다. 7세기 아랍인들의 북아프리카 정복 이후 고립된 소수 종교가 되었으나, 19세기 디아스포라 성장과 20세기 선교 활동을 통해 아프리카에서 다시 성장했다. 현재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로스 2세가 총대주교로 있으며, 2019년 러시아 정교회와 우크라이나 정교회 문제로 관계가 단절되었다.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는 아프리카 전역에 걸쳐 행정 구조 및 교계 제도를 갖추고 있으며, 여성 부제 제도를 복원하고 여성 부제를 서품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정교회 -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는 예루살렘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자율 교회로, 사도 시대부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칼케돈 공의회에서 총대주교로 승격되었고, 역사적 어려움과 현대의 논쟁 속에서 성묘 형제단과 함께 성지 내 기독교 성지들을 관리하고 있다. - 그리스 정교회 - 아야 소피아
아야 소피아는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건축물로, 교회, 모스크, 박물관을 거쳐 현재는 모스크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잔틴 건축의 대표작이자 돔 구조와 모자이크 장식으로 유명하고 한때 세계에서 가장 큰 성당이었다. - 아프리카의 기독교 - 멤피스 (이집트)
멤피스는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부터 고왕국 시대까지 수도였으며 프타 신 숭배의 중심지였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아프리카의 기독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세워진 기독교의 주요 성좌 중 하나로, 역사적 변천을 거쳐 칼케돈 공의회 이후 콥트 정교회와 그리스 정교회로 나뉘어 각기 다른 총대주교를 두고 있다. - 이집트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이집트의 기독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세워진 기독교의 주요 성좌 중 하나로, 역사적 변천을 거쳐 칼케돈 공의회 이후 콥트 정교회와 그리스 정교회로 나뉘어 각기 다른 총대주교를 두고 있다.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 |
---|---|
기본 정보 | |
![]() | |
약칭 | 해당 없음 |
유형 | 해당 없음 |
주요 분류 | 동방 정교회 |
방향 | 그리스 정교회 |
경전 | 칠십인역, 신약성경 |
신학 | 동방 정교회 신학 |
정치 체제 | 감독 정치 |
지도 체제 | 해당 없음 |
구조 | 해당 없음 |
지도자 직함 | 해당 없음 |
지도자 이름 | 해당 없음 |
수장 직함 | 총대주교 |
수장 이름 | 테오도로스 2세 |
친교 유형 | 해당 없음 |
친교 | 해당 없음 |
분할 유형 | 해당 없음 |
분할 | 해당 없음 |
연합 | 해당 없음 |
지역 | 해당 없음 |
언어 | 그리스어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와힐리어 요루바어 기타 다수의 아프리카 언어 |
전례 | 해당 없음 |
본부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카이로 |
관할 지역 | 아프리카 |
소유 | 없음 |
기원 링크 | 해당 없음 |
설립자 | 마르코 복음사가 (전통에 따름) |
설립 날짜 | 해당 없음 |
설립 장소 | 해당 없음 |
독립 | 사도 시대 |
재결합 | 해당 없음 |
승인 | 동방 정교회 |
분리 대상 | 해당 없음 |
분리 출처 | 해당 없음 |
합병 | 해당 없음 |
흡수 | 해당 없음 |
분리 | 해당 없음 |
합병 대상 | 해당 없음 |
소멸 | 해당 없음 |
신도 유형 | 해당 없음 |
신도 수 | 500,000 – 2,950,000명 |
성직자 유형 | 해당 없음 |
성직자 | 해당 없음 |
선교사 | 해당 없음 |
교회 | 해당 없음 |
병원 | 해당 없음 |
양로원 | 해당 없음 |
원조 | 해당 없음 |
초등학교 | 해당 없음 |
중등학교 | 해당 없음 |
면세 상태 | 해당 없음 |
고등 교육 기관 | 해당 없음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출판물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공식 웹사이트 |
슬로건 | 해당 없음 |
로고 | 해당 없음 |
각주 | 해당 없음 |
명칭 |
2. 역사
알렉산드리아 정교회의 역사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활약한 아타나시오스와 키릴로스를 비롯한 위대한 교부(敎父)들의 역사를 포함한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그리스도론을 둘러싼 논쟁과 정치적 논쟁으로 인해 알렉산드리아 교회는 둘로 분열되었다.
대다수 현지 주민들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라고도 알려진 오리엔트 정교회의 합성론(合性論)을 신봉했다.[7] 양성론(兩性論)을 따르는 소수파는 그리스어를 전례어로 사용한 이후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들은 동로마 황제에게 충성을 바쳤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일치를 보전하였다. 7세기 아랍인들의 북아프리카 정복 이후 이집트는 동로마 제국과 영구적으로 분리되어 그리스 정교회는 이집트에서 고립된 소수 종교가 되었으며, 수세기 동안 교세가 작은 교회로 남게 되었다.[8]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아프리카에서 정교회가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그리스, 시리아, 레바논 출신 사람들이 아프리카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교회 교회를 설립했다. 1840년대부터 많은 그리스인들이 알렉산드리아에 정착했고, 학교와 인쇄소가 세워졌다. 1920년대에 아프리카의 모든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관할 하에 두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기독교의 성장은 대부분 서구 기독교인들의 선교 활동으로 시작되었으나, 이들은 종종 서구 문화와 연결되어 있었다. 1930년대에 우간다의 루벤 스파르타스 무카사는 탕가니카의 선교사 사제인 니코데모스 사리카스 신부를 통해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와 연결되었고, 1946년 케냐와 우간다의 아프리카 정교회 그룹은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에 받아들여졌다. 1950년대에 케냐의 정교회는 마우마우 봉기 동안 영국 식민지 당국의 심한 탄압을 받았으나, 1963년 케냐가 독립한 후 상황이 완화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교황 페트루스 7세에 의해 상당한 선교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2004년 9월 11일 그리스 인근 에게 해에서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하면서 중단되었다. 오늘날 약 30만 명의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구를 구성하며, 현재 수장은 테오도로스 2세 총대주교이다.
2019년 12월 27일, 러시아 정교회는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인정한 것에 대해 알렉산드리아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청과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단절했다.[9]
2. 1. 초기 역사와 분열
알렉산드리아 정교회의 역사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활약한 아타나시오스와 키릴로스를 비롯한 위대한 교부(敎父)들의 역사를 포함한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그리스도론을 둘러싼 논쟁과 정치적 논쟁으로 인해 알렉산드리아 교회는 둘로 분열되었다. 대다수 현지 주민들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라고도 알려진 오리엔트 정교회의 합성론(合性論)을 신봉했다.[7] 양성론(兩性論)을 따르는 소수파는 그리스어를 전례어로 사용한 이후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들은 동로마 황제에게 충성을 바쳤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일치를 보전하였다. 7세기 아랍인들의 북아프리카 정복 이후 이집트는 동로마 제국과 영구적으로 분리되어 그리스 정교회는 이집트에서 고립된 소수 종교가 되었으며, 수세기 동안 교세가 작은 교회로 남게 되었다.[8]
2. 2. 19세기 디아스포라 성장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아프리카의 정교회는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정교회 디아스포라였다. 특히 그리스, 시리아, 레바논 신자들이 아프리카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교회 공동체를 형성했다. 1840년대에 많은 그리스인들이 알렉산드리아에 정착하면서 정교회 신앙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고, 학교와 인쇄소가 세워졌다.[1]한동안 특히 이집트 외의 지역에는 혼란이 있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정교회 이민자들은 민족 공동체를 구성하여 성당, 학교, 스포츠 협회, 문화 협회 등을 세우려고 했다. 그들은 자신들이 이주한 곳에서 사목할 사제를 모시려고 했고, 어느 주교가 이들 사제들을 관리해야 할지에 대한 혼란이 있었다.[1]
결국 1920년대에 아프리카의 모든 정교회 공동체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의 재치권 아래 들어가기로 합의했고, 이에 따라 아프리카는 아시아나 아메리카 등 다른 대륙과는 달리 교회 관할권을 둘러싼 혼란과 분쟁을 피할 수 있었다.[1]
2. 3. 20세기 선교 성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기독교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그리고 20세기 서구 토착교회 분파 신봉자들의 선교 활동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이들 서구 기독교는 서구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정교회는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처럼 아프리카 벽지에 사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이민자들에 의해 전파되었다. 이들은 그리스와 같은 문화를 공유했고, 이집트에 있는 정교회 총대주교와 일치해 있었다.아프리카 토착교회들은 다양한 형태의 정교회에 관심을 가졌지만, 거리상의 이유로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 있는 역사적인 정교회와 접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1920년대에 그들 중 일부는 미국의 소위 (교회법상 동방 정교회의 공동체에 속하지 않은) 아프리카 정교회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다니엘 윌리엄 알렉산더, 우간다의 루벤 스파르타스 무카사와 접촉했다.
1930년대에 다니엘 윌리엄 알렉산더는 우간다와 케냐를 방문했다. 하지만 스파르타스는 탕가니카의 수도 사제 니코데모스 사리카스와 접촉하여 그를 통해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와 연결되었다. 1946년 케냐와 우간다의 아프리카 정교회 공동체는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과 일치하였다.
1950년대에 케냐의 우간다 정교회는 마우마우 봉기 동안 영국 식민 정부에 의해 극심한 탄압을 받았다. 성직자 대부분이 강제 수용소에 수용되었고, 성당과 학교는 폐쇄되었다. 겨우 나이로비에 있는 주교좌 성당만 계속 출입할 수 있었다. 망명 생활에서 돌아온 키프로스의 관구장 대주교 마카리오스 3세는 대성당에서 식민주의 정책에 반대하는 강론을 했고, 이는 마카리오스 3세와 케냐의 독립 운동가 조모 케냐타의 우정으로 이어졌다.
1963년에 케냐가 독립하면서 상황은 나아졌고, 키프로스 정교회가 신학교를 지어주고 선교사들을 보내주면서 케냐 정교회를 재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2. 4. 20세기 후반 ~ 21세기 초
최근 몇 년 동안 총대주교 페트로스 7세는 선교를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1997년부터 2004년까지 7년간 총대주교로 재직하면서, 그는 아랍 국가들과 아프리카 도처에서 정교회 신앙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했다. 현지인 성직자를 양성하고 전례에서 현지어 사용을 권장했으며, 특히 이슬람 국가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것이 예민한 문제임을 인지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을 위해 힘썼다. 그는 또한 콥트 정교회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여 양측 혼인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두 고대 총대주교청의 관계 개선의 초석을 놓는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2004년 9월 11일, 그리스 인근 에게 해에서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페트로스 7세 총대주교와 마다가스카르의 넥타리오스 주교를 포함한 여러 성직자가 사망하면서 그의 노력은 갑작스럽게 중단되었다.
오늘날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에는 약 30만 명의 정교회 신자가 있으며, 이는 로마 제국 이래 가장 많은 숫자이다.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교회의 현재 수장은 테오도로스 2세 총대주교이다.
2. 5. 2019년 러시아 정교회와의 분열
2019년 12월 27일, 러시아 정교회는 테오도로스 2세가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지지한다고 발표한 후, 알렉산드리아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청과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단절했다. 이는 러시아 정교회를 비롯한 여러 정교회에서 거부한 결정이었다.[9]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테오도로스 2세의 결정을 거부하는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성직자들과의 교류는 유지한다고 밝혔다.3. 교회 지도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수좌 주교는 알렉산드리아와 아프리카 전역의 총대주교(總大主敎)다. 총대주교 공식 직함은 ‘위대한 도시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이자 리비아, 펜타폴리스,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 이집트 전역과 아프리카 전역의 총대주교, 사제들의 사제, 목자들의 목자, 주교들의 주교, 열세 번째 사도, 세계의 판관’이다.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의 총대주교와 콥트 가톨릭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 마찬가지로 1세기에 알렉산드리아에 교회를 세워 아프리카 기독교의 역사를 연 성 마르코의 알렉산드리아 주교직의 계승자를 자처하고 있다.
오늘날 약 30만 명의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구를 구성하며, 이는 로마 제국 이후 가장 많은 숫자이다.[1]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교회의 현재 수장은 테오도로스 2세 총대주교이며,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교황이자 총대주교이다.[1]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 총대주교청의 현직 성직자들은 다음과 같다.
직함 | 이름 | 관할 지역 |
---|---|---|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 총대주교 | 테오도로스 2세 (코레프타키스)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성 대교구, 알렉산드리아 및 전 아프리카 그리스 정교 총대주교청 |
아크라 대교구 대주교 | 나르키소스 (감모) |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말리 |
악숨 대교구 대주교 | 베드로 (지아쿠멜로스) | 아디스아바바, 아프리카의 뿔 |
보츠와나 대교구 대주교 | 게나디오스 (스탄치오스) | 보츠와나 |
브라자빌 및 가봉 대교구 대주교 | 판텔레온 (아라티모스) | 콩고, 가봉 |
카메룬 대교구 대주교 | 그리고리 (스테르지우) |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 |
카르타고 대교구 대주교 | 멜레티우스 (쿠마니스) | 튀니스, 알제리, 모리타니, 모로코, 튀니지 |
다르에스살람 대교구 대주교 | 데메트리오스 (자카렌가스) | 동부 탄자니아, 세이셸 |
선한 희망봉 대교구 대주교 | 세르기우스 (키코티스) | 케이프타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동케이프, 노던케이프, 웨스턴케이프, 콰줄루나탈, 프리스테이트 및 레소토, 나미비아, 스와질란드 |
헤르모폴리스 대교구 대주교 | 니콜라스 (안토니우) | 탄타, 이집트의 아랍어 사용 정교회 신자 |
요하네스버그 및 프리토리아 대교구 대주교 | 다마세네 (파판드레우) |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동부 |
캄팔라 대교구 대주교 | 요나 (루왕가) | 우간다 |
카탕가 대교구 대주교 | 멜레티우스 (카밀루디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루붐바시 |
킨샤사 대교구 대주교 | 니케포루스 (콘스탄티누) | 콩고 민주 공화국 |
레온토폴리스 대교구 대주교 | 가브리엘 (라프토풀로스) | 이스마일리아, 이집트 북동부 |
마다가스카르 대교구 대주교 | 이그나티우스 (세니스) |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마요트, 모리셔스, 레위니옹 |
멤피스 대교구 대주교 | 니코데무스 (프리안젤로스) | 헬리오폴리스 |
므완자 대교구 대주교 | 제롬 (무제이) | 부코바, 서부 탄자니아 |
나이로비 대교구 대주교 | 마카리오스 | 케냐 |
나이지리아 정교 대교구 대주교 | 알렉산더 (지안니리스) |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토고 |
누비아 대교구 대주교 | 사바스 (케이모네토스) | 하르툼, 수단, 남수단 |
펠루시움 대교구 대주교 | 네폰 (차바리스) | 포트사이드 |
프톨레마이오스 대교구 대주교 | 엠마누엘 (카지아스) | 미니아, 상 이집트 |
트리폴리 대교구 대주교 | 테오필락투스 (추메르카스) | 리비아 |
잠비아, 모잠비크, 말라위 대교구 대주교 | 요아니스 (차프타리디스) | 루사카 |
짐바브웨 및 앙골라 대교구 대주교 | 세라핌 (야코부) | 하라레 |
부룬디 및 르완다 대교구 대주교 | 이노켄티우스 (비야카톤다) | - |
모잠비크 성 교구 주교 | 크리소스토모스 (카라구니스) | 모잠비크 |
케냐 나이로비 및 케냐 산 성 교구 주교 | 네오피토스 (콩가이) | 케냐 나이로비 및 케냐 산 |
키수무 및 서부 케냐 성 교구 주교 | 아타나시우스 (아쿤다) | 키수무 및 서부 케냐 (사후 추대) |
아루샤 및 탄자니아 중부 성 교구 주교 | 아가토니코스 (니콜라이디스) | 아루샤 및 탄자니아 중부 |
우간다 동부 (굴루) 성 교구 주교 | 실베스트로스 (키시투) | 우간다 동부 (굴루) |
4. 여성 성직 서품
2016년,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성 시노드는 여성 부제 제도를 복원하기로 투표했으며, 이듬해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6명의 부제보를 서품했다. 2024년, 총대주교는 짐바브웨에서 안젤릭 몰렌을 첫 여성 부제로 서품하여, 그녀는 동방 정교회 최초의 여성 부제가 되었다.[10][11][12]
5. 좌(座)의 오피키알로이(Offikialoi)
비잔틴 제국의 계층 구조에 기원을 둔 오피키알로이 제도는, 주로 9세기경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에서 시작하여 교회 세계에 들어섰으며, 그곳에는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를 위한 세 개의 5인조 계층적 직무가 존재했다. 평신도를 위한 직무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더 큰 효력을 얻어 널리 퍼졌으며, 이후 동방의 다른 고대 총대주교청으로 점차 확산되었다.
이 직무는 알렉산드리아 및 전 아프리카 총대주교청에 대한 보상으로 "총대주교의 존경과 의도"에 따라 수여되며, 이전에는 총대주교청 법정 및 총대주교청의 행정 메커니즘 내 특정 직책과 연결되어 있었으나, 수년에 걸쳐 약화되었다.
6. 행정 구조 및 교계 제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역사는 니케아 공의회와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각각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였던 아타나시우스와 키릴로스를 비롯한 위대한 교부들의 역사를 포함한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발생한 분열로 알렉산드리아 교회는 콥트 정교회와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로 나뉘었다.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는 동로마 황제에게 충성을 다했으며, 로마, 안티오크, 콘스탄티노폴리스, 예루살렘의 총대주교와 친교를 맺었다.[7]
7세기 이집트가 아랍에 정복된 후, 그리스 칼케돈 신자들은 고립되었고, 교회는 수세기 동안 작게 유지되었다. 이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교회적 친교를 유지했으며, 십자군 전쟁 기간 동안에도 로마와 분열의 조짐을 보이지 않았다.[8]
19세기, 그리스, 시리아, 레바논 출신 사람들의 아프리카 이주로 정교회가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1840년대부터 많은 그리스인들이 알렉산드리아에 정착하면서 정교회가 다시 번성하고 학교와 인쇄소가 세워졌다. 1920년대에 아프리카의 모든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관할 하에 두기로 합의되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기독교 성장은 서구 기독교 선교 활동으로 시작되었지만, 서구 문화와 연결되어 있었다. 1920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다니엘 윌리엄 알렉산더와 우간다의 루벤 스파르타스 무카사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주도 교회가 등장했다. 1930년대 알렉산더는 우간다와 케냐를 방문했고, 스파르타스는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와 연결되었다. 1946년 케냐와 우간다의 아프리카 정교회 그룹은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에 받아들여졌다.
1950년대 케냐 정교회는 마우마우 봉기 동안 영국 식민지 당국의 탄압을 받았으나, 1963년 케냐 독립 후 상황이 완화되었고, 키프로스 교회의 도움으로 케냐의 그리스 정교회는 다시 확립되었다.
6. 1.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수좌 주교는 알렉산드리아와 아프리카 전역의 총대주교(總大主敎)이다. 총대주교의 공식 직함은 ‘위대한 도시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이자 리비아, 펜타폴리스,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 이집트 전역과 아프리카 전역의 총대주교, 사제 중의 사제, 목자 중의 목자, 주교 중의 주교, 열세 번째 사도, 세계의 판관’(Πάπας και Πατριάρχης της μεγάλης πόλεως Αλεξανδρείας, Λιβύης, Πενταπόλεως, Αιθιοπίας, πάσης γης Αιγύπτου και πάσης Αφρικής, Πατήρ Πατέρων, Ποιμήν Ποιμένων, Αρχιερεύς Αρχιερέων, τρίτος και δέκατος των Αποστόλων και Κριτής της Οικουμένηςel)이다.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의 총대주교와 콥트 가톨릭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 마찬가지로 1세기에 알렉산드리아에 교회를 세워 아프리카 기독교의 역사를 연 성 마르코의 알렉산드리아 주교직의 계승자를 자처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좌는 펜타르키아라고 불리는 초대 교회의 5대 총대주교좌 가운데 하나이다. 총대주교좌 성당은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성모 희보 성당으로, 에반겔리스모스 대성당이라고도 알려져 있다.현 총대주교는 테오도로스 2세(코레프타키스)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성 대교구 교황이자 총대주교이며, 알렉산드리아 및 전 아프리카 그리스 정교 총대주교청 수장이다.
6. 2. 대주교 (Metropolitans)
대교구 | 관할 지역 | 소재지 |
---|---|---|
아크라 대교구 |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말리 | |
악숨 대교구 | 아프리카의 뿔 | 아디스아바바 |
보츠와나 대교구 | ||
브라자빌 및 가봉 대교구 | 콩고, 가봉 | |
카메룬 대교구 |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 | |
카르타고 대교구 | 알제리, 모리타니, 모로코, 튀니지 | 튀니스 |
다르에스살람 대교구 | 동부 탄자니아, 세이셸 | |
선한 희망봉 대교구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동케이프, 노던케이프, 웨스턴케이프, 콰줄루나탈, 프리스테이트 주 및 레소토, 나미비아, 스와질란드 | 케이프타운 |
헤르모폴리스 대교구 | 이집트의 아랍어 사용 정교회 신자 | 탄타 |
요하네스버그 및 프리토리아 대교구 |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동부 | |
캄팔라 대교구 | 우간다 | |
카탕가 대교구 | 콩고 민주 공화국 루붐바시 | |
킨샤사 대교구 | 콩고 민주 공화국 | |
레온토폴리스 대교구 | 이집트 북동부 | 이스마일리아 |
마다가스카르 대교구 |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마요트, 모리셔스, 레위니옹 | |
멤피스 대교구 | 헬리오폴리스 | |
므완자 대교구 | 서부 탄자니아 | 부코바 |
나이로비 대교구 | 케냐 | |
나이지리아 정교 대교구 |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토고 | |
누비아 대교구 | 수단, 남수단 | 하르툼 |
펠루시움 대교구 | 포트사이드 | |
프톨레마이오스 대교구 | 상 이집트 | 미니아 |
트리폴리 대교구 | 리비아 | |
잠비아, 모잠비크 및 말라위 대교구 | 루사카 | |
짐바브웨 및 앙골라 대교구 | 하라레 | |
부룬디 및 르완다 대교구 |
6. 3. 주교
7. 이집트의 그리스 정교회 교회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All Africa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1948-01-01
[2]
웹사이트
'President Lauds Orthodox faith on 100 Years | Uganda Media Centre'
https://mediacentre.[...]
[3]
웹사이트
Kenya: A Fruitful Land
https://orthodoxmiss[...]
2019-12-04
[4]
웹사이트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All Africa - Construction - Stavros Niarchos Foundation'
https://www.snf.org/[...]
[5]
웹사이트
Ορθόδοξη Διασπορά και Ιεραποστολή στην Αφρική
http://www.ortodossi[...]
[6]
웹사이트
'Metropolis of Cameroon - Η ΜΗΤΡΟΠΟΛΙΣ'
http://www.metropoli[...]
2024-12-06
[7]
서적
The Letters of Gregory the Great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2004
[8]
서적
The Eastern Schism
Oxford
1955
[9]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cuts ties with Alexandria patriarch
https://cruxnow.com/[...]
Crux Now
2019-12-27
[10]
웹사이트
Breaking with tradition, Greek Orthodox Church ordains first woman deacon in Africa
https://internationa[...]
2024-05-13
[11]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Ordains Female Deacon
https://www.ncregist[...]
2024-05-09
[12]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 Church ordains Zimbabwean woman as its first deaconess
https://www.christia[...]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1-11-06
[14]
웹사이트
Πατριαρχική Μονή Οσίου Σάββα
https://web.archive.[...]
2021-11-06
[15]
웹사이트
http://www.goac-pa-e[...]
2021-11-06
[16]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17]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8]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9]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