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7년 창설된 알제리를 대표하는 축구팀이다. 1962년 프랑스로부터 독립 이후 FIFA의 승인을 받았으며,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에는 1982년, 1986년, 2010년, 2014년에 본선에 진출했으며, 2014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다.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아프리카 축구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 국민해방전선 축구 대표팀
    국민해방전선 축구 대표팀은 알제리 독립 투쟁의 일환으로 창설되어 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의 국제적 지지 확보와 알제리인 사기 진작을 목표로 활동했으며, 알제리 독립 후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에 흡수되어 해체되었다.
  • 알제리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들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탈리아가 우승하고 파올로 로시가 득점왕에 올랐다.
  • 알제리의 축구 -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알제리에서 개최되어 8개국이 참가한 대회로, 알제리가 나이지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자멜 메나드가 득점왕, 라바 마제르가 MVP를 수상했다.
  • 알제리의 축구 - 알제리 축구 연맹
    알제리 축구 연맹은 1962년 설립되어 알제리의 축구 행정을 총괄하며, 남녀 리그, 컵 대회, 청소년 축구 대회를 주최하고 모빌리스, 소나트라크, 그룹 SERPORT, 체리, 아디다스 등이 주요 스폰서이다.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FIFA 트리그램ALG
별칭 (녹색)
(페넥 여우)
(사막의 전사)
협회알제리 축구 연맹 (FAF)
대륙 연맹CAF (아프리카)
하위 연맹UNAF (북아프리카)
감독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주장리야드 마레즈
최다 출장 선수아이사 만디 (103)
최다 득점 선수이슬람 슬리마니 (45)
홈 경기장넬슨 만델라 스타디움
FIFA 랭킹
현재 FIFA 랭킹''
최고 FIFA 랭킹15
최고 FIFA 랭킹 날짜2014년 10월
최저 FIFA 랭킹103
최저 FIFA 랭킹 날짜2008년 6월
Elo 랭킹
현재 Elo 랭킹''
최고 Elo 랭킹8
최고 Elo 랭킹 날짜1981년 12월
최저 Elo 랭킹85
최저 Elo 랭킹 날짜2018년 10월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상의 패턴_alg24h
홈 유니폼 하의 패턴_alg24h
홈 유니폼 양말 패턴_alg24h
홈 유니폼 왼쪽 팔FFFFFF
홈 유니폼 몸통FFFFFF
홈 유니폼 오른쪽 팔FFFFFF
홈 유니폼 반바지FFFFFF
홈 유니폼 양말FFFFFF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_alg24a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_alg24a
원정 유니폼 왼쪽 팔1b4531
원정 유니폼 몸통1b4531
원정 유니폼 오른쪽 팔1b4531
원정 유니폼 반바지1b4531
원정 유니폼 양말1b4531
경기 정보
첫 경기2–1 (알제, 알제리; 1963년 1월 6일)
최대 점수차 승리15–1 (트리폴리, 리비아; 1973년 8월 17일)
최대 점수차 패배9–2 (부다페스트, 헝가리; 1967년 8월 16일)
월드컵 정보
월드컵 출전 횟수4
첫 월드컵 출전1982년
월드컵 최고 성적16강 (201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정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20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196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고 성적우승 (1990년, 2019년)
아랍컵 정보
아랍컵 출전 횟수3
첫 아랍컵 출전1988년
아랍컵 최고 성적우승 (2021년)
메달 정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우승 (1990년 알제리)
우승 (2019년 이집트)
준우승 (1980년 나이지리아)
3위 (1988년 모로코)
3위 (1984년 코트디부아르)
아랍컵우승 (2021년 카타르)
아프로-아시안컵우승 (1991년 알제리/이란)
아프리카 게임우승 (1978년 알제)
지중해 게임우승 (1975년 알제)
준우승 (1993년 랑그도크-루시용)
3위 (1979년 스플리트)

2. 역사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개인 돌파와 드리블에 강점을 지닌 팀으로, 체격 조건을 바탕으로 거친 압박을 구사한다. 모로코, 튀니지, 이집트와 전통적인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이집트를 타이브레이크 끝에 1-0으로 꺾은 후 양국 간의 라이벌 의식은 더욱 고조되었다.

2. 1. 초기 (1957-1962)

1956년 튀니지의 수도 튀니스에서 아메드 베넬풀(Ahmed Benelfoul)과 하빕 드라우아(Habib Draoua)에 의해 알제리를 대표하는 최초의 팀인 국민해방군(Armée de Libération Nationale, ALN) 팀이 결성되었다.[5][6] 이 팀은 1957년 5월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의 승인을 받았으며, 살라 사이두(Salah Saidou)가 감독을 맡았고, 선수 아브델카데르 제라르(Abdelkader Zerrar)가 주장이었다.[7] 첫 경기는 1957년 6월 1일 튀니지와 셰들리 주이텐 스타드(Stade Chedly Zouiten)에서 열렸다. 1958년 4월, 이 팀은 해체되었고 FLN 축구팀으로 대체되었다.

FLN 축구팀은 주로 프랑스의 프로 선수들로 구성된 팀이었으며, 이후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의 알제리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국가대표 축구팀과의 경기를 조직하는 데 기여했다. FLN은 범아프리카주의를 정당화하는 도구이자 국가 정체성의 상징으로 사용하여 아프리카 축구를 반식민 저항과 연결했다. 프랑스 당국은 FIFA의 팀 비인정을 쉽게 얻었다.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이 처음으로 결성된 것은 1957년이지만, A매치로 인정받는 경기에 출전한 것은 1963년 1월 (알제리 민주인민공화국 독립 6개월 후)의 일이다. 1958년부터 1962년까지는 알제리 민족해방전선 축구 대표팀이 알제리의 종주국인 프랑스 본토에서 활동했고, 프랑스 정부에 의해 알제리 대표팀으로서의 활동이 금지되기도 했다.

2. 2. 발전과 좌절 (1963-1979)

알제리 축구는 1830년대 유럽 정착민들이 이 스포츠를 알제리에 가져오면서 시작되었다.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1962년에 FLN 축구팀의 후계자로 창설되었다.[8] 프랑스 통치하에 알제리는 국가대표팀을 가질 수 없었고, FLN 축구팀은 프랑스 식민지배에 대한 일종의 반항이었다. 그들의 모든 경기는 친선 경기로 간주되었고 FIFA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튀니스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축구를 정치적 영향력이 아닌 스포츠로 언급하며 어떠한 정치적 발언도 거부했다.[9] 1963년 FIFA의 공식 승인을 받은 후,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만 출전 자격을 얻었고, 1980년까지 다음 5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다.

1957년에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이 처음으로 결성되었지만, A매치로 인정받는 경기에 출전한 것은 알제리 민주인민공화국 독립 6개월 후인 1963년 1월의 일이다. 1958년부터 1962년까지는 알제리 민족해방전선 축구 대표팀이 알제리의 종주국인 프랑스 본토에서 활동했고, 프랑스 정부에 의해 알제리 대표팀으로서의 활동이 금지되기도 했다.

2. 3. 전성기 (1980-1990)

알제리는 개인 돌파와 드리블에 강점을 지니고 체격 조건이 우수한 팀으로 거친 압박을 잘 사용하는 팀이며 전통적 라이벌은 모로코, 튀니지, 이집트이다. 특히 이집트와는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타이브레이크에서 1-0 승리를 거둔 후 발생한 사건 때문에 라이벌 관계가 더욱 심화되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오스트리아와 경기하는 알제리 대표팀


가장 위대한 아프리카 선수 중 한 명인 벨루미


알제리는 1982년 스페인 대회에서 토너먼트 첫날 당시 유럽 챔피언 서독을 2-1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서독과 오스트리아의 조별 최종 경기에서, 알제리와 칠레는 전날 최종 조별 경기를 이미 치렀기 때문에, 유럽 두 팀은 서독이 1점 또는 2점 차로 승리하면 두 팀 모두 조별리그를 통과하고, 서독이 더 큰 점수 차로 승리하면 알제리가 오스트리아를 제치고 조별리그를 통과하며, 무승부나 오스트리아의 승리는 서독을 탈락시킨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맹공을 퍼부은 지 10분 만에 호르스트 후루베슈의 골로 서독이 득점했다. 골이 터진 후 두 팀은 경기 종료까지 공을 의미 없이 주고받았다. 스페인 관중들은 "푸에라, 푸에라"(꺼져, 꺼져)를 외쳤고, 분노한 알제리 응원단은 선수들에게 지폐를 흔들었다. 이 경기는 서독과 오스트리아 팬들조차도 널리 비난했다. 알제리는 FIFA에 항의했지만, FIFA는 결과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FIFA는 이후 월드컵부터 각 조의 최종 두 경기를 동시에 치르는 개정된 예선 시스템을 도입했다.[10] 이 경기는 히혼의 수치로 불리게 되었다.

1984년, 알제리는 코트디부아르에서 열린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3위를 차지했다.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2패 1무를 기록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멕시코에서 열린 1986년 월드컵에서 알제리는 북아일랜드(1-1 무승부), 브라질(1-0 패), 스페인(3-0 패)와 한 조에 편성되어 다시 한번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 대회에서 알제리 선수 중 자멜 지단(Djamel Zidane)만이 득점을 기록했다. 이후 알제리는 2010년까지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마즈르는 알제리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2. 4. 암흑기 (1992-2008)

알제리는 199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하고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아쉽게 탈락했지만, 여전히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알제리가 내전 직전에 놓이면서 사회적, 정치적 불안이 축구를 포함한 국가의 모든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알제리는 199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진출했지만, 전 대회 우승팀다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자격 없는 선수를 출전시켜 실격되었고, 많은 국내 팬들은 팀 스태프를 무책임하고 비전문적이라고 비난했다. 1996년, 알제리는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복귀했지만, 개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8강에서 탈락했다. 알제리는 이후 1998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다.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3패를 기록하며 조 최하위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알제리 축구는 명성을 잃어가고 있었고, 한때 아프리카 최고의 팀 중 하나로 여겨졌던 팀은 더 이상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었다.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알제리는 조별 리그를 통과했지만, 8강에서 카메룬에게 1-2로 패했다.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도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지만,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라바 사다네 감독의 지휘 아래 자신감에 차 있었다.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우승 후보 카메룬과 1-1 무승부를 기록한 후, 알제리는 라이벌 이집트를 2-1로 꺾는 역사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좋은 출발을 보였지만, 짐바브웨와의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1-2로 패했다. 하지만 이집트를 상대로 거둔 승리 덕분에 조 2위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다음 상대는 모로코였고, 80분 이상 득점 없이 진행되던 경기에서 알제리는 84분에 압델말렉 셰라드의 골로 리드를 잡았다. 종료 직전 모로코가 동점골을 넣으면서 연장전에 돌입했고, 모로코가 3-1로 승리했다. 북아프리카 라이벌과의 패배는 가슴 아팠고, 그 경기 이후 알제리는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고, 알제리 축구는 어떤 것도 제대로 풀리지 않았다.

2. 5. 부활 (2009-2014)

알제리는 2008년 10월 11일, 세네갈, 감비아, 라이베리아를 제치고 조 1위를 차지하며 2010년 월드컵 및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라운드를 통과, FIFA 랭킹 아프리카 지역 20위 안에 재진입했다. 이어진 예선 3차 라운드 C조에서 잠비아, 르완다, 이집트와 경쟁했다. 이집트가 유력한 1위 후보로 예상되었으나, 2009년 6월 알제리는 이집트를 3-1로 꺾으며 24년 만의 월드컵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잠비아를 상대로 원정에서 2-0, 홈에서 1-0으로 연달아 승리했고, 르완다를 3-1로 꺾으며 월드컵 진출을 눈앞에 두었다. 이집트와의 카이로 최종전에서 3골 차 이상으로 패배하지 않으면 월드컵 진출이 확정되는 상황이었으나, 경기 전 알제리 대표팀 버스가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하며 양국 간 외교 갈등으로 번지기도 했다. 알제리는 이 경기에서 2-0으로 패배, 결국 수단에서 열린 플레이오프에서 안타르 야히아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역사상 세 번째 월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다.[12][13]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알제리는 앙골라, 말라위, 말리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다. 조 최약체로 평가받던 말라위에 0-3으로 패하며 불안하게 출발했지만, 말리와의 경기에서 라피크 할리체의 결승골로 1-0 승리, 앙골라와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연장 접전 끝에 3-2 승리를 거두는 이변을 연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이집트를 다시 만났으나,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 사건으로 인한 긴장감 속에 3명이 퇴장당하는 등 논란 끝에 0-4로 대패했다. 3, 4위전에서 나이지리아에 0-1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C조에서 알제리는 잉글랜드, 미국, 슬로베니아와 경쟁했다. 첫 경기에서 슬로베니아에 0-1로 패했지만, 잉글랜드와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희망을 이어갔다.[14] 그러나 미국과의 최종전에서 후반 추가시간 랜던 도노번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0-1로 패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둔 후, 알제리는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 집중했다. 베냉을 상대로 홈과 원정에서 모두 3-1 승리를 거두었고, 르완다 원정에서 1-0 승리를 거두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에서 부르키나파소를 만나 원정 1차전에서 2-3으로 패했지만, 홈 2차전에서 1-0 승리를 거두며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다.

2. 6. 침체기 (2015-2018)

2014년 FIFA 월드컵 이후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승리 없이 좋지 않은 결과가 이어졌다. 친선 경기에서 기니에 홈에서 2-1로 패하고, 탄자니아와 홈에서 1-1로 비긴 후, 라바 사아다네(Rabah Saâdane) 감독이 사임하고 압델하크 벤치카(Abdelhak Benchikha) 감독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벤치카 감독 체제에서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원정에서 2-0으로 패하며 부진은 계속되었다. 하산 예브다(Hassan Yebda)의 골로 모로코를 홈에서 1-0으로 이겼지만, 2차전에서 모로코에 4-0으로 패한 후 감독이 사임했다. 결국 알제리는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2 Africa Cup of Nations) 진출에 실패했다.[2]

알제리의 이슬람 슬리마니 경기 장면


바히드 할릴호지치 감독 부임 후, 탄자니아와 원정 경기에서 1-1 무승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홈 경기에서 2-0 승리, 친선 경기에서 니제르를 3-0으로 꺾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4 FIFA 월드컵 예선에서도 르완다를 4-0으로 대파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감비아를 꺾고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고, 리비아를 합계 3-0으로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2]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알제리는 이슬람 슬리마니, 엘 아르비 힐렐 수다니, 소피안 페굴리 등 선수들을 앞세워 우승 후보 중 하나로 꼽혔으나, 경험 부족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튀니지에 1-0, 토고에 2-0으로 패했고, 코트디부아르와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알제리 축구 협회는 바히드 감독을 유임시켰다.[2]

할릴호지치 감독이 계약 연장을 포기한 후,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감독이 부임했다.[2]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대형을 갖춘 알제리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말리, 말라위, 에티오피아를 제치고 조 1위를 차지한 알제리는 본선에서도 우승 후보로 꼽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나, 세네갈과 같은 조에 속한 알제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1로 꺾었으나, 가나에 1-0으로 패했다. 세네갈과 마지막 경기에서 리야드 마레즈와 나빌 벤탈레브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 코트디부아르를 만나 2-1로 패하며 탈락했다.[2]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감독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기 탈락 이후 비판을 받았으며, 기니와 친선 경기에서 2-1로 패하고 탄자니아와 2-2로 비기는 등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탄자니아와 2차전에서 7-0으로 승리하며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나이지리아, 카메룬, 잠비아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월드컵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2]

에티오피아 원정 경기에서 3-3으로 비긴 후,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감독은 사임했다. 2016년 6월, 밀로반 라예바츠 감독이 부임했지만, 카메룬과 홈 경기 무승부 이후 4개월 만에 사임했다. 조르주 르켄스 감독이 부임했지만,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짐바브웨와 세네갈과 비기고 튀니지에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는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다. 르켄스 감독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직후 사임했고, 알제리 축구 협회 회장도 교체되었다. 새로운 회장은 루카스 알카라스 감독을 선임했지만, 부진한 성적 때문에 해임되었고, 알제리는 결국 2018년 FIFA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2]

2017년 11월, 라바 마즈르 감독이 부임했지만, 논란이 되었고, 몇 차례 좋지 않은 결과를 거둔 후 7개월 만에 해임되었다. 2014년 월드컵 이후 4년 동안 알제리는 5명의 감독을 교체했고, 성적은 계속해서 나빠졌다.[2]

2. 7. 제2의 전성기 (2019-현재)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알제리는 조별 리그에서 3전 전승을 거두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201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던 세네갈을 1-0으로 꺾는 등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20] 16강전에서는 기니를 3-0으로 완파했고,[21] 8강전에서는 코트디부아르와 120분 동안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했다.[22] 준결승전에서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리야드 마레즈가 경기 종료 직전 프리킥 골을 성공시키며 2-1로 승리했다.[23] 결승전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한 차례 이겼던 세네갈을 다시 만나 바그다드 부네자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1990년 이후 두 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다.[24] 이는 이집트에 이어 북아프리카 국가로는 두 번째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두 번 이상 우승한 기록이다.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이후, 알제리는 2021년 FIFA 아랍컵에 참가하여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국제 경기 휴식 기간에 열리지 않아 주전 선수들이 대부분 빠졌지만, 베테랑 코치 마지드 부게라의 지휘 아래 조별 리그를 무패로 통과했다. 수단을 4-0, 레바논을 2-0으로 꺾고, 이집트와는 비겼지만, 파울 수가 적어 조 1위로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모로코를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준결승전에서는 개최국 카타르를 상대로 추가 시간에만 19분 넘게 경기하여 2-1로 승리했다. 결승전에서는 튀니지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2-0으로 승리하며 아랍컵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하지만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AFCON 2022)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시에라리온과 0-0 무승부, 적도 기니에게 0-1 패배를 기록하며 35경기 무패 행진이 중단되었다. 결국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에 패하며 조기 탈락했다.[25]

3. 국제 대회 경력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FIFA 아랍컵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FIFA 월드컵1982년 FIFA 월드컵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4번의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사상 첫 16강 진출을 기록했다. 1982년 대회에서는 UEFA 유로 1980 우승국인 독일을 2-1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지만, 히혼의 수치로 인해 2승 1패의 좋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24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으나 16강 진출에 실패했고,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16강에 진출하여 독일과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2로 패했지만, 우승팀 독일을 상대로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8년 FIFA 월드컵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예선 탈락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6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통해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한 이후 현재까지 총 20번 본선에 올랐다. 자국에서 열린 1990년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9년 후인 2019년 대회에서 통산 2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다음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조별 리그 최하위로 탈락했다.
FIFA 아랍컵1988년 FIFA 아랍컵에 처음으로 참가하였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2021년 대회에서는 튀니지를 꺾고 사상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기타 국제 대회


  • 지중해 경기 대회: 10번 출전하여 1975년 대회 금메달, 1993년 대회 은메달, 1979년 대회 동메달 획득[32]
  • 팬아랍 게임: 1985년 대회에 유일하게 참가하여 동메달 획득[33]


3. 1. FIFA 월드컵

알제리는 1982년 FIFA 월드컵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4번의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사상 첫 16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1982년 대회에서는 UEFA 유로 1980 우승국인 독일을 2-1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지만, 독일과 오스트리아 간의 승부조작 사건 (히혼의 수치)으로 인해 2승 1패의 좋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아픔을 겪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24년 만에 본선에 진출하여 슬로베니아에 패하고, 잉글랜드와 비겼으며, 미국에 패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벨기에에 패했지만, 대한민국을 4-2로 꺾고, 러시아와 비기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독일과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2로 패했지만, 우승팀 독일을 상대로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8년 FIFA 월드컵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예선 탈락했다.

FIFA 월드컵 기록예선 기록
년도라운드결과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30년 ~ 1962년프랑스 소속프랑스 소속
1966년기권기권
1970년예선 탈락201112
1974년210125
1978년412123
1982년조별 리그13위3201558521166
1986년22위3012156510133
1990년예선 탈락632162
1994년8233811
1998년210123
2002년103341314
2006년123541515
2010년조별 리그28위30120213823178
2014년16강14위4112778602167
2018년예선 탈락82241512
2022년8521276
2026년진행 중430184
2030년미정미정
2034년
총계16강(최고 성적)4/15(본선 진출 횟수)133371319101482528161101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29

|-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총계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2회 우승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20/34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80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28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24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28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97

! style="background:#2B795A; color:white;" |93

|}

알제리는 196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통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무대에 첫 발을 내디딘 후 현재까지 총 20번의 본선에 올랐다. 자국에서 열린 1990년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9년 후인 2019년 대회에서 통산 2번째 아프리카 챔피언 자리에 등극했다. 그러나 다음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조별 리그 3경기에서 1득점, 승점 1점만을 얻으며 최하위로 탈락했다.

3. 3. FIFA 아랍컵

알제리는 1988년 FIFA 아랍컵에 처음으로 참가하였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9년 만에 재개된 2021년 대회에서는 튀니지를 꺾고 사상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57프랑스 소속
1959
1962
1963불참
1965
1968조별 리그6위310256
1970예선 탈락
1972
1974
1976
1978
1980준우승2위522167
19824위4위521256
19843위3위532081
1986조별 리그6위302123
19883위3위513144
1990우승1위5500132
1992조별 리그10위201114
1994예선 이후 실격
19968강5위421153
1998조별 리그15위300325
20008강6위412154
2002조별 리그15위301225
20048강8위411257
2006예선 탈락
2008
20104위4위6213410
2012예선 탈락
2013조별 리그13위301225
20158강6위420265
2017조별 리그10위302156
2019우승1위7610132
2021조별 리그21위301214
2023조별 리그18위302134
2025예선 통과
2027미정
{{flagicon|}
개최국 / 년도성적경기득점실점
1963불참
1964
1966
1985
1988조별 리그 탈락412133
1998조별 리그 탈락201103
2002불참
2012
2021우승6510134
총계출전 3회/우승 1회126421610



알제리는 A'팀(국내 선수)과 다른 아랍 리그 선수들을 포함하여 참가했습니다.

3. 4.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알제리는 지중해 경기 대회에 10번 출전하여 1975년 대회에서 금메달, 1993년 대회에서 은메달, 1979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팬아랍 게임에는 1985년 대회에 유일하게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32][33]

아프리카 경기 기록
연도회차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65년4위4위520365
1973년조별 예선5위311166
1978년
 금메달
1위541092
1987년실격
1991년예선 탈락
1995년조별 예선6위310224
1999년6위310224
2003년5위311134
2007년5위311144
2011년예선 탈락
2015년불참
2019년예선 탈락
2023년
2027년미정
총계금메달7/1125114103229



연도순위
1969년 세계 군사대회준우승
1972년 팔레스타인컵3위
1973년 팔레스타인컵3위
1991년 아프로-아시안컵우승
1995년 7월 11일 컵준우승
2004년 아프리카 군사대회3위
2005년 세계 군사대회준우승
2008년 아프리카 군사대회준우승
2011년 세계 군사대회우승
2015년 세계 군사대회우승
2019년 세계 군사대회3위
총계3회 우승


3. 4. 1. 지중해 경기 대회

알제리는 지중해 경기 대회에 10번 출전하여 자국에서 열린 1975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93년 대회에서는 은메달, 1979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차지했다.[32]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51년독립 이전
1955년
1959년
1963년불참
1967년조별리그6위3102463
1971년불참
1975년금메달우승660014318
1979년동메달3위5221768
1983년조별리그6위2101333
1987년조별리그8위3003170
1991년조별리그10위2002150
1993년은메달준우승4211647
1997년조별리그8위3030443
2001년조별리그8위2002370
2005년8강6위3111344
2009년예선 탈락
2013년
2018년
합계10회 출전(10/14[32])금메달(1회)3313713464946


3. 4. 2. 팬아랍 게임

1985년 대회에 유일하게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33]

팬아랍 게임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53년독립 이전
1957년
1961년
1965년불참
1976년
1985년동메달3위4103453
1992년불참
1997년
1999년기권
2004년축구 종목 제외
2007년불참
2011년
합계1회 출전(1/8)[33]동메달(1회)4103453


4. 선수단

2022년 11월 16일과 19일에 말리스웨덴과의 친선 경기를 위해 소집되었던 알제리 선수 명단이다. 선수 명단의 출장 수와 골 수는 2022년 11월 19일 기준이다.

2022년 11월 말리와 스웨덴과의 친선 경기를 위해 차출된 선수 명단
번호위치선수생년월일 (나이)출전득점소속팀
GK안토니 만드레아Anthony Mandrea|앙토니 망드레아프랑스어20 (프랑스)
GK라이스 므볼리Raïs M'Bolhi|라이스 음볼리프랑스어910알카디시아 (사우디아라비아)
GK알렉상드르 우키자Alexandre Oukidja|알렉상드르 우키자프랑스어60메스 (프랑스)
GK무스타파 제그바Moustapha Zeghba|무스타파 제그바프랑스어50다마크 (사우디아라비아)
DF유세프 아탈Youcef Atal|유세프 아탈프랑스어292니스 (프랑스)
DF후신 베나야다Houcine Benayada|후신 베나야다프랑스어180위다드 카사블랑카 (모로코)
DF라미 벤세바이니Rami Bensebaini|라미 벤세바이프랑스어516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독일)
DF야니스 하마시Yaniss Hamache|야니스 아마슈프랑스어10드니프로-1 (우크라이나)
DF아이사 만디Aïssa Mandi|아이사 망디프랑스어804비야레알 (스페인)
DF아흐메드 투바Ahmed Touba|아흐메드 투바프랑스어91이스탄불 바샥셰히르 (튀르키예)
DF모하메드 아민 투가이Mohamed Amine Tougai|모하메드 아민 투가이프랑스어71에스페랑스 (튀니지)
MF이스마엘 벤나세르Ismaël Bennacer|이스마엘 베나세르프랑스어442밀란 (이탈리아)
MF나빌 벤탈렙Nabil Bentaleb|나빌 벤탈레브프랑스어395앙제 (프랑스)
MF히샴 부다위Hicham Boudaoui|히샴 부다위프랑스어110니스 (프랑스)
MF라미즈 제루키Ramiz Zerrouki|라미즈 제루키nl201트벤터 (네덜란드)
MF아뎀 조르간Adem Zorgane|아뎀 조르간프랑스어100샤를루아 (벨기에)
FW카림 아리비Karim Aribi|카림 아리비프랑스어20벨루이즈다드 (알제리)
FW모하메드 엘 아민 아무라Mohamed El Amine Amoura|모하메드 엘 아민 아무라프랑스어92루가노 (스위스)
FW유세프 벨라일리Youcef Belaïli|유세프 벨라일리프랑스어479아작시오 (프랑스)
FW사이드 벤라흐마Saïd Benrahma|사이드 벤라마프랑스어191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잉글랜드)
FW메흐디 레리Mehdi Léris|메흐디 레리스프랑스어20삼프도리아 (이탈리아)
FW리야드 마레즈Riyad Mahrez|리야드 마레즈프랑스어7928맨체스터 시티 (잉글랜드)
FW아담 우나스Adam Ounas|아담 우나스프랑스어215 (프랑스)
FW이슬람 슬리마니Islam Slimani|이슬람 슬리마니프랑스어9141안데를레흐트 (벨기에)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0월 10일과 14일에 열린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토고와의 경기에 소집된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26]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득점소속팀
GKAlexis GuendouzAlexis Guendouz|알렉시스 겐두즈프랑스어70페르세폴리스
GKOussama BenbotOussama Benbot|우사마 벤보트프랑스어00USM 알제
GKZakaria BouhalfayaZakaria Bouhalfaya|자카리아 부할파야프랑스어00CS 콘스탄틴
DFAïssa MandiAïssa Mandi|아이사 망디프랑스어1025
DFMohamed Amine TougaiMohamed Amine Tougai|모하메드 아민 투가이프랑스어201에스페랑스 드 튀니지
DFAhmed ToubaAhmed Touba|아메드 투바프랑스어141레체
DFRayan Aït-NouriRayan Aït-Nouri|라얀 아이트누리프랑스어150울버햄프턴 원더러스
DFMohamed Amine MadaniMohamed Amine Madani|모하메드 아민 마다니프랑스어20JS 카빌리
DFRamy BensebainiRamy Bensebaini|라미 벤세바이니프랑스어679보루시아 도르트문트
DFMohamed FarsiMohamed Farsi|모하메드 파르시프랑스어20콜럼버스 크루
DFSaâdi RadouaniSaâdi Radouani|사디 라두아니프랑스어30USM 알제
MFRamiz ZerroukiRamiz Zerrouki|라미즈 제루키프랑스어393페예노르트
MFHicham BoudaouiHicham Boudaoui|히샴 부다위프랑스어200니스
MFAdem ZorganeAdem Zorgane|아뎀 조르간프랑스어171샤를루아
MFAhmed KendouciAhmed Kendouci|아메드 켄두시프랑스어90세라미카 클레오파트라
MFIbrahim MazaIbrahim Maza|이브라힘 마자de10헤르타 BSC
FWRiyad MahrezRiyad Mahrez|리야드 마레즈프랑스어9833알아흘리
FWHoussem AouarHoussem Aouar|우셈 아와르프랑스어155알이티하드
FWBaghdad BounedjahBaghdad Bounedjah|바그다드 부네자프랑스어7631알샤말
FWSaïd BenrahmaSaïd Benrahma|사이드 벤라마프랑스어324리옹
FWAmine GouiriAmine Gouiri|아민 구이리프랑스어104
FWYassine BenziaYassine Benzia|야신 벤지아프랑스어114가라바흐
FWBadredine BouananiBadredine Bouanani|바드레딘 부아나니프랑스어50니스
FWMohamed AmouraMohamed Amoura|모하메드 아무라프랑스어297VfL 볼프스부르크
FWAnis Hadj MoussaAnis Hadj Moussa|아니스 하지 무사프랑스어30페예노르트


4. 2. 최근 차출된 선수

2022년 11월 말리스웨덴과의 친선 경기를 위해 차출된 선수 명단
번호위치선수생년월일 (나이)출전득점소속팀
GK안토니 만드레아Anthony Mandrea|앙토니 망드레아프랑스어20 (프랑스)
GK라이스 므볼리Raïs M'Bolhi|라이스 음볼리프랑스어910알카디시아 (사우디아라비아)
GK알렉상드르 우키자Alexandre Oukidja|알렉상드르 우키자프랑스어60메스 (프랑스)
GK무스타파 제그바Moustapha Zeghba|무스타파 제그바프랑스어50다마크 (사우디아라비아)
colspan="7" |
DF유세프 아탈Youcef Atal|유세프 아탈프랑스어292니스 (프랑스)
DF후신 베나야다Houcine Benayada|후신 베나야다프랑스어180위다드 카사블랑카 (모로코)
DF라미 벤세바이니Rami Bensebaini|라미 벤세바이프랑스어516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독일)
DF야니스 하마시Yaniss Hamache|야니스 아마슈프랑스어10드니프로-1 (우크라이나)
DF아이사 만디Aïssa Mandi|아이사 망디프랑스어804비야레알 (스페인)
DF아흐메드 투바Ahmed Touba|아흐메드 투바프랑스어91이스탄불 바샥셰히르 (튀르키예)
DF모하메드 아민 투가이Mohamed Amine Tougai|모하메드 아민 투가이프랑스어71에스페랑스 (튀니지)
colspan="7" |
MF이스마엘 벤나세르Ismaël Bennacer|이스마엘 베나세르프랑스어442밀란 (이탈리아)
MF나빌 벤탈렙Nabil Bentaleb|나빌 벤탈레브프랑스어395앙제 (프랑스)
MF히샴 부다위Hicham Boudaoui|히샴 부다위프랑스어110니스 (프랑스)
MF라미즈 제루키Ramiz Zerrouki|라미즈 제루키nl201트벤터 (네덜란드)
MF아뎀 조르간Adem Zorgane|아뎀 조르간프랑스어100샤를루아 (벨기에)
colspan="7" |
FW카림 아리비Karim Aribi|카림 아리비프랑스어20벨루이즈다드 (알제리)
FW모하메드 엘 아민 아무라Mohamed El Amine Amoura|모하메드 엘 아민 아무라프랑스어92루가노 (스위스)
FW유세프 벨라일리Youcef Belaïli|유세프 벨라일리프랑스어479아작시오 (프랑스)
FW사이드 벤라흐마Saïd Benrahma|사이드 벤라마프랑스어191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잉글랜드)
FW메흐디 레리Mehdi Léris|메흐디 레리스프랑스어20삼프도리아 (이탈리아)
FW리야드 마레즈Riyad Mahrez|리야드 마레즈프랑스어7928맨체스터 시티 (잉글랜드)
FW아담 우나스Adam Ounas|아담 우나스프랑스어215 (프랑스)
FW이슬람 슬리마니Islam Slimani|이슬람 슬리마니프랑스어9141안데를레흐트 (벨기에)


참조

[1] 웹사이트 CAN 2015: Algeria greens to prepare for CAN 2015 in Equatorial Guinea http://www.aps.dz/en[...] 2019-10-19
[2] 웹사이트 1982 FIFA World Cup – News – Algeria turn Gijon green – FIFA.com https://web.archive.[...] 2019-10-19
[3] 웹사이트 23 June 2014 http://allafrica.com[...] 2019-10-19
[4] 웹사이트 C L A S S E M E N T D E S B U T E U R S http://www.carfootal[...] 2021-09-03
[5] 뉴스 Un seul but : l'indépendance de l'Algérie.. https://web.archive.[...] 2016-04-13
[6] 뉴스 Un Autre Pan de l'Histoire du Football Algérien Disparait, Habib Draoua n'est plus https://www.lesoirda[...] C.K. 2008-11-02
[7] 뉴스 Algérie: L'équipe de l'ALN a balisé le chemin pour la création de l'équipe du FLN https://fr.allafrica[...] aps 2017-01-24
[8] 뉴스 Une équipe qui symbolisait la révolution Algérienne " Devoir de mémoire ! " http://www.reflexion[...] 2010-10-31
[9] 서적 African Soccerscapes: How a Continent Changed the World's Game 2010
[10] 뉴스 The Game that Changed the World Cup – Algeria http://www.algeria.c[...]
[11] 뉴스 CAN 1990 – The final match http://www.footballd[...]
[12] 뉴스 Yahia sends Algeria to World Cup http://news.bbc.co.u[...] 2009-11-18
[13] 웹사이트 Yahia cracker seals play-off win https://web.archive.[...] 2009-11-18
[14] Youtube Video of Police intervention at Champs-Élysées gathering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0-06-19
[15] 웹사이트 Algeria land former player Djamel Belmadi as new boss after Carlos Queiroz rules himself out https://www.arabnews[...] 2018-08-02
[16] 웹사이트 Asia Angle: Qatar and Djamel Belmadi need rapid revival after dire Asian Cup – Sport360 News https://sport360.com[...]
[17] 웹사이트 Bénin 1 – Algérie 0 : Du pain sur la planche pour Belmadi https://www.competit[...] 2018-10-16
[18] 웹사이트 Gambia holds Algeria to 1–1 draw https://www.journald[...] 2018-09-09
[19] 웹사이트 Algeria ends Gambia's Afcon qualifying hopes – the Point Newspaper, Banjul, the Gambia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Senegal 0–1 Algeria: 3 Reasons why the Teranga Lions lost | African Cup of Nations 2019 https://www.sportske[...] 2019-06-28
[21] 웹사이트 Africa Cup of Nations: Algeria 3–0 Guinea https://themaghrebti[...] 2019-07-07
[22] 뉴스 Africa Cup of Nations: Ivory Coast 1–1 Algeria (AET – Algeria win 4–3 on pens) https://www.bbc.com/[...] 2019-07-11
[23] 뉴스 Algeria 2–1 Nigeria: Africa Cup of Nations semi-final – as it happened https://www.theguard[...] 2019-07-14
[24] 웹사이트 Algeria celebrate second Afcon title after beating Senegal https://www.bbc.com/[...] 2019-07-19
[25] 웹사이트 AFCON 2021: Champions Algeria eliminated in group stages https://citisportson[...] 2022-01-20
[26] 웹사이트 EN : La liste des Verts est parue ! https://www.dzfoot.c[...] 2024-10-03
[27] 웹사이트 Alger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8] 웹사이트 Algeria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10-04-23
[29] 뉴스 ハリル率いるモロッコ、カメルーン、チュニジアがW杯へ 出場5カ国決定/アフリカ最終予選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22-03-30
[30]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31]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32] 문서 본선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33] 문서 본선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