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씨정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씨 정권은 고구려 말기 연개소문과 그의 아들들이 권력을 장악한 시기를 일컫는다. 연개소문은 642년 대막리지에 올라 권력을 독점하고 당나라와의 대립을 이끌었다. 그의 사후, 아들들 간의 권력 다툼으로 고구려는 혼란에 빠졌고, 연남생은 당나라에 투항했다. 이후 연남건이 대막리지가 되었으나, 당나라의 침략으로 평양성이 함락되면서 668년 고구려와 연씨 정권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구려의 역사 -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는 7세기 고구려 멸망 전후 신라와 당나라에 의해 고구려 유민들이 강제로 이주당한 사건으로, 민족 분열의 비극으로 평가받으며 한민족 개념의 허구성을 지적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 668년 폐지 - 고구려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건국되어 668년에 멸망한 고대 한국의 왕국으로, 한반도 북부와 만주 지역을 중심으로 번영하며 주변 세력 정복과 수·당과의 전쟁을 거쳐 강대국으로 성장했으나 멸망 후 부흥 운동과 유민들의 이주가 있었고,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으며 현재 역사적 귀속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있다. - 연개소문 - 연남산
연남산은 연개소문의 아들로, 639년에 태어나 701년에 사망했으며, 아들로 천광부를 두었다. - 연개소문 - 연태조
연태조는 고구려 말기 막리지 연자유의 아들이자 막리지를 역임한 귀족으로, 수나라와의 전쟁 이후 고구려 조정 내 권력 다툼 속에서 북방파를 이끌었으며 그의 사후 아들 연개소문이 쿠데타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연씨정권 | |
---|---|
연씨 정권 | |
종류 | 고구려 |
존속 기간 시작 | 642년 |
존속 기간 끝 | 668년 |
![]() | |
수도 | 평양성 |
공용어 | 고구려어 |
정부 형태 | 군사 정부 |
지도자 칭호 | 대막리지 |
지도자 이름 | 연개소문 (1대) |
사건 | |
성립 | 642년 |
붕괴 | 668년 |
기타 | |
국교 | 도교 |
2. 연개소문 집권 (642 ~ 666)
642년 연개소문은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과 반대파 귀족들을 살해하고 보장왕을 옹립한 뒤, 스스로 최고 관직인 대막리지에 올라 권력을 장악했다.[5]
2. 1. 지방 세력과의 갈등
연개소문이 대막리지에 오른 뒤, 국내성과 안시성 등의 지방 영주와 세력들은 연개소문을 인정하지 않고 반기를 들었다.[5] 642년 연개소문은 안시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6] 당 태종은 고당전쟁 당시 안시성의 장졸과 백성들이 막리지의 난(연개소문의 정변) 때에도 성을 지켰기 때문에 연개소문이 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고 언급했다.[7]2. 2. 대외 정책
643년 연개소문은 당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보장왕에게 도교를 받아들일 것을 요청했다. 당나라는 도교를 전수하기 위해 도사 8명을 고구려에 보냈다.[8] 이는 당나라 황실이 노자를 받드는 것을 이용하여 환심을 사고, 자신의 쿠데타와 보장왕의 정통성을 인정받으려는 의도였다. 또한 불교 사찰을 도교 건물로 바꾸고 도사를 승려보다 우대하여 불교 세력의 정치적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8]2. 2. 1. 당나라와의 전쟁
644년 당 태종은 연개소문의 정변을 구실로 고구려를 침공했다. 연개소문은 당나라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는데, 특히 안시성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8][9]655년부터 당 고종은 김춘추의 구원 요청을 받아들인다는 명분으로 고구려를 공격했지만, 연개소문은 이를 모두 격퇴했다. 658년에도 당나라의 공격이 있었으나 연개소문은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660년 신라와 당의 연합군이 백제를 멸망시켰고, 연개소문은 신라의 칠중성(七重城)을 공격하였으나 패하였다. 이후 당나라는 고구려를 공격하였고, 평양 방면으로 진군한 소정방이 고구려군을 패강에서 격파하여 마읍산(馬邑山)을 빼앗고 수도 평양 부근까지 접근하기도 했다. 연개소문은 아들 연남생을 압록강에 보내어 요동 방면의 공격을 맡고 있던 글필하력의 군대를 막게 했지만, 글필하력은 얼어붙은 압록강 위를 걸어 고구려군을 공격해 3만 명의 고구려군이 전사하였다.
662년 사수 전투에서 방효태(龐孝泰)가 이끄는 당나라 군대를 전멸시키는 대승을 거두었다. 평양을 포위했던 소정방도 신라의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에게서 군량을 받고 폭설을 이유로 곧장 철수하였으며, 당의 고구려 공격은 실패로 끝났다.[10]
3. 연남생 집권 (665 ~ 666)
연개소문의 장남 연남생은 평양성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연개소문의 권세를 바탕으로 641년부터 벼슬을 시작하여, 661년에는 막리지에 올랐다. 665년 아버지 연개소문이 세상을 뜨자, 연남건, 연남산, 연정토와 권력 다툼을 벌여 665년 대막리지에 올라 고구려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3. 1. 권력 승계와 내분
연개소문이 665년 사망하자, 그의 아들들인 연남생, 연남건, 연남산과 연개소문의 동생 연정토 사이에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연남생이 665년 대막리지에 올라 고구려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으나, 동생들(연남건, 연남산)의 모반을 우려하여 그들을 감시하였다. 이에 연남건과 연남산은 666년 쿠데타를 일으켜 연남생의 아들 연헌충을 죽이고 연남생을 공격했다. 연남생은 패하여 국내성으로 달아났고, 아들 연헌성의 권유로 당에 항복, 구원을 요청하였다.3. 2. 연남생의 당나라 투항
666년, 연남생은 동생 연남건과 연남산이 일으킨 쿠데타로 인해 아들 연헌충(淵獻忠)을 잃고 주화파 성향의 국내성으로 피신했다. 아들 연헌성(淵獻誠)은 연남생에게 당나라에 항복하고 구원을 요청할 것을 권했다. 연남생은 연헌성의 조언에 따라 당나라에 투항했다.666년 6월, 연남생은 국내성, 목저성(木底城), 남소성(南蘇城), 창암성(倉巖城) 등지의 백성과 귀족들을 모아 당나라에 투항했다. 당 고종은 연남생에게 요동도독 겸 평양도안무대사(特進 - 遼東都督 兼 平壤道安撫大使)라는 벼슬을 내렸다. 이후 연남생은 당나라의 고구려 공격에 길잡이 역할을 하며 현도군공(玄菟郡公), 변국공(卞國公)의 직위를 받았다.
4. 연남건 및 연남산 집권 (666 ~ 668)
666년 연남생이 당나라에 투항한 후, 그의 동생들인 연남건과 연남산이 권력을 장악했다. 연남건은 대막리지가 되어 군대를 지휘하며 당나라의 침공에 맞섰다.
667년 9월, 이세적이 이끄는 당군에게 신성이 함락되자 15만 명의 구원군을 보냈으나, 금산 전투에서 패하였다.[11] 곽대봉이 이끄는 당나라 수군이 침공해 오자, 연남건은 압록강 방어선을 구축하여 당군의 남진을 저지하였다.
668년 초, 이세적·설인귀가 이끄는 당군에 의해 부여성이 함락되자 다시 고구려 구원군 5만을 보냈으나, 설하수에서 패하였다.[11]
4. 1. 3차 고당전쟁
666년 당나라는 연남생의 투항을 계기로 고구려를 재침공했다. 연남건은 대막리지로서 군대를 지휘하며 저항했다. 667년 9월, 이세적이 이끄는 당군에게 신성이 함락되자 15만 명의 구원군을 보냈으나, 금산 전투에서 패하였다.[11]668년 초, 이세적·설인귀가 이끄는 당군에 의해 북쪽의 부여성이 함락되자 다시 고구려 구원군 5만을 보냈으나, 설하수에서 이세적이 이끄는 당군과 교전하여 크게 패하였다.[11]
4. 2. 평양성 함락과 고구려 멸망
668년 당은 연남생의 보고를 받자마자 이적, 글필하력, 설인귀 등을 총관으로 삼아 50만 대군으로 고구려를 다시 침략하였다. 연남생도 평양도 행군대총관 겸 지절안무대사라는 직위를 받고 참전하였다.
연남생을 몰아낸 후 3대 대막리지 자리에 오른 연남건은 끝까지 고구려를 지휘하며 당나라에 맞서 싸웠다. 667년 9월, 이세적이 이끄는 당군에게 신성이 함락되자 고구려 15만 구원군을 보냈으나 금산전투에서 패하였다. 바다로는 곽대봉이 이끄는 당나라 수군이 침공해 왔는데, 행군관기통사사인 원만경이 압록강이 요충지인데 고구려는 지킬 줄 모르냐고 비웃는 편지를 보냈다. 하지만 이 편지를 보낸 사자가 고구려군에게 잡혔고, 연남건은 "삼가 명령을 듣겠다"라고 회보하고 즉시 군사를 옮겨 압록강 나루에 진을 쳐서 당군이 남진할 수 없게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668년 초, 이세적·설인귀가 이끄는 당군에 의해 북쪽의 부여성이 함락되자 다시 고구려 구원군 5만을 보냈으나, 중도에 설하수에서 당군과 교전하여 크게 패하였다. 668년 여름, 마침내 당의 군대가 수도 평양성에 당도하여 성을 포위하고 한 달이 넘도록 교전하였다. 보장왕이 연남건의 동생 연남산으로 하여금 수령 98명을 거느리고 백기를 들고 이세적에게 항복하게 하였으나, 대막리지 연남건은 오히려 성문을 닫고 끝까지 항전하였다.
연남건은 자주 군사를 출동시켜 싸웠으나 번번히 패배하였다. 연남건의 책사였던 승려 신성이 연남건을 배신하여 소장 사부구, 오사, 고요묘 등과 함께 적에게 비밀리에 사람을 보내 성문을 열겠다는 뜻을 전했다. 5일 뒤에 승려 신성이 몰래 성문을 열었고, 당의 사령관 이세적은 군사를 풀어 성위에 올라가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며 평양성에 불을 지르게 하였다.
668년 9월, 마침내 평양성이 함락되면서 고구려의 마지막 대막리지가 된 연남건은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11] 이로써 668년 고구려와 연씨정권은 모두 막을 내리게 되었다.
5. 역사적 평가
연개소문과 그의 아들들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엇갈린다. 연개소문은 강력한 군사력과 외교 정책을 통해 고구려의 자주성을 지키고자 했으나, 독재적인 통치 방식과 권력 승계 과정에서의 문제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5. 1. 긍정적 평가
연개소문은 강력한 리더십과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외세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특히 안시성 전투에서 당에 대항하여 승리한 것은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7]또한, 연개소문은 자주적인 외교 정책을 추진하여 고구려의 독립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643년 당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보장왕에게 도교를 받아들일 것을 간청하여 당으로부터 보장왕의 지위를 공인받고 도교를 전수받았다.[4] 이는 당의 환심을 사 고구려의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의 일환이었다.[4]
662년 사수 전투에서 방효태(龐孝泰)가 이끄는 당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는 등, 고구려-당 전쟁에서 고구려가 지속적으로 승리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10]
6. 대중문화 속의 연개소문과 아들들
연개소문과 그의 아들들은 드라마, 영화 등 대중문화에서 자주 다뤄지는 소재이다.
6. 1. 드라마
6. 2. 영화
참조
[1]
웹사이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도서관
http://dspace.ewha.a[...]
[2]
웹사이트
보장왕대 고구려의 대당관계 변화와 그 배경
https://www.dbpia.co[...]
[3]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4]
웹인용
매경프리미엄 연개소문은 왜 당과 맞서 싸웠는가?
https://www.mk.co.kr[...]
2020-09-08
[5]
서적
일본 '성덕태자전력(聖德太子傳曆)' 황극천황 원년 2월조 "이로 인해 국내에서 큰 변란이 일어났다(緣斯國內大亂也)"
[6]
뉴스
당나라 깬 양만춘은 가공인물···연개소문 '밀사 외교' 먹혔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7]
서적
'신당서' 권220 고려전)"
[8]
서적
(《삼국사기》 김유신열전)
[9]
서적
《삼국사기》 권제41 열전 제1 김유신 상
[10]
서적
『일본서기』 권 27 천지천황 3년 10월
[11]
서적
삼국사기 보장왕 본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