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지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지류는 갑각류에 속하는 절지동물로, 주로 해저 동굴에 서식하며, 갯지네류라고도 불린다. 몸길이 1~4cm로 머리와 최대 32개의 체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갑각류임에도 몸통의 가슴과 배의 분화가 뚜렷하지 않은 특징을 보인다. 요지류는 포식성이며, 제1작은턱의 독샘을 이용하여 먹이를 마비시킨다. 갯지네류는 자웅동체이며, 발생 과정에서 노플리우스 유생기를 거친다. 요지류는 멸종된 Enantiopoda목과 현존하는 Nectiopoda목으로 분류되며, Nectiopoda목은 8개 과, 12개 속, 30여 종으로 구성된다. 갯지네류는 육각류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카리브해, 카나리아 제도, 서호주 등지의 해저 동굴에서 발견된다. 서식지 파괴와 오염에 취약하여 보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요지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Remipedia 야거, 1981 |
한국어 이름 | 무카데에비강 (무카데에비류) |
영어 이름 | Remipede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갑각아문 |
강 | 무카데에비강 |
형태 및 생태 | |
![]() | |
지질 시대 | |
화석 범위 | 석탄기펜실베이니아기바시키르절 (약 3억 2천만 년 전) - 현세 |
하위 분류 | |
목 | 무카데에비목 (영각목) † 엔안티오포다 |
목 및 과 | |
네크티오포다 | 미크로팍테리다에과 고질리다에과 쿠몬기다에과 크립토코리네티다에과 몰로키이다에과 스페레오넥티다에과 시발바니다에과 플레오모트리다에과 |
†엔안티오포다 | †테스누소카리디다에과 |
2. 형태
레미페디아(요지류)는 머리와 여러 개의 유사한 체절로 구성된 긴 몸통을 가지고 있다. 몸길이는 1cm에서 4cm 정도이다.[2] 몸은 색소가 없고 눈이 없어 투명하게 보인다.[3] 각 체절에는 옆으로 뻗은 이지형 수영 부속지가 달려 있어, 등을 대고 느리게 헤엄치는 데 사용된다.[4]
레미페디아는 소화 효소와 독을 섞어 먹이에 주입하는 분비선에 연결된 송곳니를 가진 유일한 독성 갑각류이다.[5] 여과 섭식을 통해 먹이를 섭취하기도 한다. 자웅동체이며, 암컷 생식공은 일곱 번째 몸통 체절에, 수컷 생식공은 열네 번째 체절에 있다.[6]
다른 현존 갑각류에 비해 원시적인 몸 구조를 가지며, 아가미와 같은 외부 호흡 기관이 없다.[7]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여 냄새 감각 신경 중추가 발달했다.[8]
자유 생활 유충은 난황영양성(비섭식)으로 보이며, 입, 창자, 항문은 어린 개체 단계에서 나타난다. 유충은 난황 외에 공생 박테리아를 통해 성장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추측된다.[9][10]
''Speleonectes kakuki''를 제외한 모든 레미페디아 종은 해안 동굴 시스템에서만 발견된다.[11]
2. 1. 외부 형태
갯지네류는 1cm에서 4cm 길이이며, 머리와 최대 32개의 유사한 체절로 이루어진 긴 몸통으로 구성되어 있다.[2] 몸은 무색 투명하며, 눈은 없다.[3] 각 체절에는 이지형(biramous) 수영 부속지가 측면에 존재한다. 갯지네류는 등을 대고 헤엄치며, 일반적으로 느리게 움직인다.[4]2. 2. 두흉부 (머리)
머리 가슴 (cephalothorax)은 전절과 제1~5체절로 이루어진 원래의 머리가 바로 뒤의 원래 제1몸통 마디 (제6체절)와 융합된 것이다. 머리 가슴 앞쪽에는 겹눈을 가진 것으로 생각되는 화석종이 있지만, 현생종에는 눈이 없다.머리 가슴 앞쪽 아래에는 1쌍의 액사 (frontal filaments)라고 하는 짧은 부속지 같은 구조가 있으며,[56][30] 액사 바로 뒤에는 2쌍의 이분형 촉각이 있다. 제1촉각(antennule)은 2개의 가는 가지로 나뉘며, 제2촉각(antenna)은 상당히 짧다.[32]
촉각에 이어 구기가 있으며, 1쌍의 큰턱 (mandible), 제1작은턱 (maxillula 또는 first maxilla)・제2작은턱 (maxilla 또는 second maxilla)・턱다리 (maxilliped)라는 3쌍의 포획용 부속지로 구성된다.[56] 구기의 부속지는 모두 단지형으로, 큰턱에는 큰턱수염(mandibular palp)이 없고, 제1작은턱은 끝이 이빨 모양이며, 독샘의 개구부가 있다.[31][28] 제1작은턱과 제2작은턱은 7마디, 턱다리는 9마디로 이루어져 있다.[32]
제1・제2작은턱과 턱다리는 "proximal segments", "lacertus", "brachium"이라는 3부분으로 크게 나뉜다.[32] 각 부속지별 지절 구성은 아래 표와 같다.
부속지/지절 해당 부위 | Proximal segments | Lacertus | Brachium |
---|---|---|---|
제1작은턱 | 3마디:제1~3지절 각 지절에 1개의 내엽 | 1마디:제4지절 | 3마디:제5~7지절 제7지절은 이빨, 독샘 개구부 |
제2작은턱 | 2마디:제1~2지절 제1지절에 3개의 내엽 | 1마디:제3지절 | 4마디:제4~7지절 제7지절 끝은 terminal claw complex |
턱다리 | 3마디:제1~3지절 | 1마디:제4지절 | 5마디:제5~9지절 제9지절 끝은 terminal claw complex |
2. 3. 몸통
몸통은 가늘고 길며, 꼬리 끝의 항문절을 제외하고 최소 16개에서 최대 42개의 몸통 마디로 이루어진다.[30] 몸통 마디에는 가슴과 배로의 분화가 보이지 않으며, 거의 같은 것의 반복(동형)이다. 각 몸통 마디에는 한 쌍의 노와 같은 모양을 한 몸통 다리(trunk limb)가 양쪽에 있다.[56] 몸통 다리는 이분형 부속지[32]로, 외연에는 강모가 밀생하여 유영에 적합하다. 자웅동체이며, 암컷의 생식공은 일곱 번째 몸통 체절에, 수컷의 생식공은 열네 번째 체절에 있다.[6]2. 4. 내부 형태
뇌는 다른 절지동물과 마찬가지로 3개의 뇌 신경절(전대뇌, 중대뇌, 후대뇌)로 이루어져 있지만, 연갑류와 육각류에 못지않을 정도로 특수화된 모습을 보인다.[41] 앞쪽에 있어야 할 전대뇌는 위쪽으로 180도 정도 굽어져서 중대뇌 뒤쪽 위에 자리 잡는다.[41] 눈이 없어 시각 정보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인지, 전대뇌의 중심체(central body)는 상대적으로 작다.[41] 제1 촉각에 대응하는 중대뇌는 후신경(olfactory neuropils)이 크게 발달하여 앞으로 튀어나와 뇌의 대부분을 차지한다.[41][34]몸통의 복신경삭 신경절은 1체절당 1쌍씩 배열되어 있는, 절지동물로서는 전형적인 사다리 모양이지만, 그 신경 세포 배치는 육각류와 유사한 파생적 형질을 보인다.[40] 소화관은 분기(소화선, gut diverticulae)를 가지며, 1몸통 마디당 좌우 1쌍씩 배열되어 있다.[35] 호흡 색소로 육각류와 유사한 헤모시아닌을 가진다.[36][37]
3. 생태
레미페디아는 1cm에서 4cm 길이로, 머리와 최대 32개의 유사한 체절로 이루어진 긴 몸통으로 구성되어 있다.[2] 색소와 눈은 없다.[3] 각 체절에는 이지형 수영 부속지가 측면에 달려 있다. 이 동물들은 등을 대고 헤엄치며, 일반적으로 느리게 움직인다.[4] 이들은 유일하게 알려진 독성 갑각류이며, 소화 효소와 독의 조합을 먹이에 주입하는 분비선에 연결된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5] 아가미와 같은 외부 호흡 기관은 없다.[7] 이전에는 '원시적'이라고 여겨졌지만, 이후 냄새 감각 신경 중추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어두운 환경에서 사는 종에게 흔한 특징).[8]
자유 생활 유충은 난황영양성(비섭식)인 것으로 보인다. 입, 창자, 항문은 어린 개체 단계에서 나타난다. 수영, 탈피, 크기 및 길이 증가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 때문에, 유충이 난황 외에 다른 성장 원천, 즉 공생 박테리아를 가질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9][10]
3. 1. 서식 환경
무게데에비는 앙키알린 동굴(Anchialine cave)이라고 불리는 종류의 해저 동굴에 서식한다. 앙키알린 동굴은 연안부에 위치하며, 육수와 해수가 모두 유입되는 동굴로, 그 내부에는 아래에 무거운 해수, 위에 가벼운 담수가 고인 염분약층(Halocline)이 형성된다. 무게데에비류는 이 약층 아래의 해수 중에서 발견된다. 이 환경은 영양이 부족하고, 산소도 부족한 경우가 많다. 바하마 제도의 해수만으로 채워진 동굴에 서식하는 종이 예외적으로 1종 알려져 있다.3. 2. 식성
갯지네류는 포식성이며, 제1소악에서 분비되는 독을 이용하여 먹이를 마비시킨다.[38] 프로테아제, 키티나아제 등의 분해 효소와 다양한 펩타이드가 포함된 독액은 먹이를 체외 소화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38] 신경독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28][38]한 쌍의 독샘은 제1 소악의 선단 3절에 해당하는 부위의 낭에 독액을 저장하고, 가는 관을 통해 앞쪽으로 이어진다.[31][28]
갯지네류는 동굴 내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여겨지며, 속 새우를 먹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하지만, 사육 환경에서의 포식 행동은 빈도가 낮고, 해저 동굴에서는 먹이가 되는 동물이 적다는 점, 그리고 소화관이 항상 내용물로 채워져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갯지네류는 수중의 박테리아나 미립자를 걸러 먹는 여과 섭식에도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굴 내에서 물고기의 유해를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41]
3. 3. 번식
갯지네류는 자웅동체이며, 암컷 생식공과 수컷 생식공은 각각 제7체절과 제14체절의 몸통 부속지에 한 쌍씩 갖추고 있다. 알은 발견되지 않았고, 번식 행동도 관찰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4. 분류
요지류는 크게 Enantiopoda(화석종)와 Nectiopoda(현생종)로 나뉜다. 2022년 초 기준으로, 30종의 현생 요지류가 8개 과와 12개 속으로 분류된다.[20][21] 이들은 모두 Nectiopoda목에 속하며, 화석종으로만 구성된 Enantiopoda목은 Tesnusocaris goldichi'와 Cryptocaris hootchi를 포함한다.[1]
4. 1. 계통 분류
갯지네류는 갑각류에 속하며, 형태학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가 밝혀졌다. 역사적으로 갯지네류는 갑각류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었으나, 최근 분자 계통 연구를 통해 육각류(곤충 포함)와 가장 가까운 관계임이 밝혀졌다. 갯지네류와 육각류는 Labiocarida라는 분기군을 형성한다. 갯지네류는 두판류, 새각류, 육각류와 함께 Allotriocarida라는 분류군으로 묶인다.[18][17]2019년 현재, 갯지네류와 육각류는 자매군을 이루는 Labiocarida라는 계통군으로 분류된다.[49][54] 이 가설은 갯지네류와 육각류가 아랫입술(labium)처럼 기능하는 제2소악,[48] 복신경삭에서의 신경 세포 구조,[40] 헤모시아닌 구성[36] 등에서 공통형질을 가진다는 점에 의해 뒷받침된다.
범갑각류 내에서 갯지네류의 위치는 다음 계통도와 같다.
{| class="wikitable"
|-
! 범갑각류
|-
|
{| class="wikitable"
|-
! 빈갑류
|-
|
{| class="wikitable"
|-
! 다갑각류
|-
|
{| class="wikitable"
|-
|
|-
| 연갑류
|}
|-
! Allotriocarida
|-
|
{| class="wikitable"
|-
| 두판류
|-
|
{| class="wikitable"
|-
| 새각류
|-
|
{| class="wikitable"
|-
| 요지류
|-
| 육각류
|-
|
{| class="wikitable"
|-
| 낫발이목
|-
|
{| class="wikitable"
|-
|
|-
| 곤충강
|}
|}
|}
|}
|}
|}
|}
|}
|}
4. 2. 하위 분류
갯지네류는 크게 Enantiopoda(화석종)와 Nectiopoda(현생종)으로 나뉜다. 현생 갯지네류는 모두 Nectiopoda목에 속하며, 8개 과, 12개 속, 30여 종이 알려져 있다.[20][21]
4. 2. 1. Enantiopoda (멸종)

에난티오포다(Enantiopoda)목은 테스누소카리스 골디치(Tesnusocaris goldichi)와 크립토카리스 후치(Cryptocaris hootchi)를 포함하는 화석 목이다.[1]
화석 기록은 빈약하며, 2019년 현재 테스누소카리디데(Tesnusocarididae)과에 분류되는 석탄기의 2종만이 기재되어 있다. 최초로 기재된 요지류를 포함하지만, 이 목이 요지류강에 분류된 것은 1986년 이후이다. 겹눈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테스누소카리디데(Tesnusocarididae)과 Brooks|브룩스영어 1955
- * 테스누소카리스(Tesnusocaris)속 Brooks|브룩스영어 1955
- ** 테스누소카리스 골디치(Tesnusocaris goldichi) Brooks|브룩스영어 1955
- * 크립토카리스(Cryptocaris)속 Schram|슈람영어 1974
- ** 크립토카리스 후치(Cryptocaris hootchi) Schram|슈람영어 1974
4. 2. 2. Nectiopoda (현생)
2022년 초 현재 30종의 현생하는 요지류는 8개 과와 12개 속으로 나뉘어 인식되고 있다.[20][21] 모두 Nectiopoda목에 속한다.- '''Micropacteridae''' 과
- ** Micropacter 속
''Micropacter yagerae''
- '''Godzilliidae''' 과
- ** Godzilliognomus 속
''Godzilliognomus frondosus''
''Godzillognomus schrami''
- ** Godzillius 속
''Godzillius fuchsi''
''Godzillius robustus''
- '''Kumongidae''' 과
- ** Kumonga 속
''Kumonga exleyi'' (이전 ''Lasionectes exleyi'')
- '''Cryptocorynetidae''' 과
- ** Kaloketos 속
''Kaloketos pilosus''
- ** Angirasu 속
''Angirasu benjamini'' (이전 ''Speleonectes benjamini'')
''Angirasu parabenjamini'' (이전 ''Speleonectes parabenjamini'')
- ** Cryptocorynetes 속
''Cryptocorynetes elmorei''[22]
''Cryptocorynetes haptodiscus''
''Cryptocorynetes longulus''
- '''Morlockiidae''' 과
- ** Morlockia 속
''Morlockia williamsi'' (이전 ''Speleonectes williamsi'')[23]
''Morlockia emersoni'' (이전 ''Speleonectes emersoni'')
''Morlockia atlantida'' (이전 ''Speleonectes atlantidus'')
''Morlockia ondinae'' (이전 ''Speleonectes ondinae'')
- '''Speleonectidae''' 과
- ** Lasionectes 속
''Lasionectes entrichoma''
- ** Speleonectes 속
''Speleonectes epilimnius''
''Speleonectes gironensis''
''Speleonectes kakuki''
''Speleonectes lucayensis''
''Speleonectes minnsi''
''Speleonectes tanumekes''
- '''Xibalbanidae''' 과
- ** Xibalbanus 속
''Xibalbanus cokei'' (이전 ''Speleonectes cokei'')[24]
''Xibalbanus cozumelensis''
''Xibalbanus fuchscockburni'' (이전 ''Speleonectes fuchscockburni'')[25]
''Xibalbanus tulumensis'' (이전 ''Speleonectes tulumensis'')
- '''Pleomothridae''' 과
- ** Pleomothra 속
''Pleomothra apletocheles''
''Pleomothra fragilis''
모든 현생종은 한때 고질라과(Godzilliidae)[57], 스페레오네크티스과(Speleonectidae), Micropacteridae의 3과로 분류되었지만, 이 분류는 계통 관계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지적되었고[58], 그 후 2013년의 분자 계통 분석에서 이 분류의 비단 계통성이 증명되었다.[59] 그래서 기존의 고질라과와 Speleonectidae과에서 별도의 계통 종을 신설한 과로 재편성하고, 폐기된 Morlockiidae과도 다시 채택되어 2017년에는 8과로 구성된 분류 체계에 이르렀다.[79]
카리브해의 바하마 제도에 서식한다.[79] 안기라스속(Angirasu)은 괴수 영화 『고질라 시리즈』의 안기라스(Anguirus)에서 이름을 따왔다.[59] 과거 스펠레오넥티스과에 분류되었다.[59]
- 크립토코리네테스과(Cryptocorynetidae)
- * Cryptocorynetes 속
- ** ''Cryptocorynetes elmorei''[62]
- ** ''Cryptocorynetes haptodiscus''
- ** ''Cryptocorynetes longulus''[63]
- * 안기라스속(Angirasu)
- ** ''Angirasu benjamini'' (이전 ''Speleonectes benjamini'')
- ** ''Angirasu parabenjamini'' (이전 ''Speleonectes parabenjamini'')[64]
- * Kaloketos 속[65]
- ** ''Kaloketos pilosus''[65]
2021년 현재 카리브해에 분포하는 2속 5종이 기재되어 있다.[66] 모식종인 ''Godzillius robustus'' 이외에는 모두 바하마에서만 확인되었다. 모식 속인 Godzillius가 갯지렁이류로서는 거대한 점 등, 괴수 영화 『고질라 시리즈』의 고질라(Godzilla)에서 유래하여 명명되었다. Godzilliognomus는 모식 속명에 전설상의 소인인 놈의 이름을 조합한 것이다.
- 고질라과
- * Godzilliognomus 속[75]
- ** ''Godzilliognomus frondosus''[75]
- ** ''Godzillognomus schrami''[62]
- * 고질라속
- ** ''Godzillius fuchsi''
- ** ''Godzillius louriei''[66]
- ** ''Godzillius robustus''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에 서식하는 쿠몬가속의 ''Kumonga exleyi''라는 1종만이 기재되어 있다.[69][79] 속명은 고질라속과 마찬가지로 괴수 영화 『고질라 시리즈』의 쿠몬가(Kumonga)에서 유래되었다.[59] 한때 Speleonectes과에 분류되었다.[59]
카리브해의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에 서식하는 ''Micropacter''속의 ''Micropacter yagerae''라는 1종만이 기재되어 있다.[71]
카리브해의 바하마,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 그리고 카나리아 제도의 란사로테 섬에 서식하는 Morlockia 속의 4종만이 기재되어 있다.[72] 속명은 허버트 조지 웰스의 SF 소설 『타임 머신』에 등장하는 어둠에 적응한 종족인 몰록(Morlock)에서 유래되었다.[73] 본과의 종은 한때 스페레오네크티스과에 분류되었다.[59]
- Morlockiidae
- * Morlockia 속
- ** ''Morlockia atlantida''
- ** ''Morlockia ondinae''
- ** ''Morlockia emersoni''
- ** ''Morlockia williamsi'' (이전 ''Speleonectes williamsi'')
카리브해의 바하마 제도에 서식하는 Pleomothra속의 2종만이 기재되어 있다.[74][79] 속명은 고질라속과 마찬가지로 괴수 영화의 모스라(Mothra)에, 헤엄치는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leoel"를 붙인 것이다.[75] 본과의 종은 이전에 고질라과에 분류되었다.[59]
카리브해의 바하마,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그리고 쿠바에 서식한다.[59] 학명은 그리스어 "동굴"("spelaion")과 "수영자"("nectes")의 합성어이다.[56] 몇몇 현생 요지류는 한때 이 과의 타입 속 Speleonectes에 분류되었다.[59]
- 스펠레오넥티스과
- * Lasionectes 속
- ** ''Lasionectes entrichoma''
- * Speleonectes 속[56]
- ** ''Speleonectes epilimnius''
- ** ''Speleonectes gironensis''
- ** ''Speleonectes kakuki''
- ** ''Speleonectes lucayensis'' - 최초로 기재된 현생 요지류[56]
- ** ''Speleonectes minnsi''[64]
- ** ''Speleonectes tanumekes''[64]
카리브해의 유카탄 반도에 서식하는 Xibalbanus 속의 4종만이 기재되어 있다.[78][79] 본과의 종은 일찍이 스펠레오넥티스과에 분류되었다.[59]
5. 분포
지역 | 위치 |
---|---|
바하마 | 안드로스, 스위팅스케이, 그랜드바하마, 그레이트엑서마, 그레이트 구아나케이 (엑서마케이), 캣아일랜드, 아바코 제도, 산살바도르섬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노스케이코스, 프로비덴시알레스 |
오스트레일리아 | 노스웨스트 케이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
쿠바 | 마탄사스 주 |
스페인 | 란사로테 (카나리아 제도) |
멕시코 | 킨타나로오 주 |
벨리즈 | 케이 채플 |
도미니카 공화국 | 국립구역 타이나 동굴, 산토도밍고 에스테.[26] |
갯지네류는 위에 나열된 지역의 해안 동굴 시스템에서 발견된다.
6. 보존
오스트레일리아, 바하마, 유카탄 반도에서는 갯지네류 보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이버의 호흡이 동굴 물에 녹아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동굴 잠수 시에는 폐쇄 회로 리브리더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Remipedia (Crustacea)
[2]
웹사이트
Remipedia
http://cameronmccorm[...]
2008-11-10
[3]
웹사이트
Lasionectes entrichoma Yager & Schram, 1986
http://www.tamug.edu[...]
tamug.edu
2018-02-09
[4]
논문
Arthropod relationships revealed by phylogenomic analysis of nuclear protein-coding sequences
2010-02
[5]
뉴스
First venomous crustacean discovered
http://www.nature.co[...]
2015-05-10
[6]
논문
Behavior of Remipedia in the Laboratory, with Supporting Field Observations
https://academic.oup[...]
2007
[7]
서적
Treatise on Zoology - Anatomy, Taxonomy, Biology. The Crustacea, Volume 4 part A
https://books.google[...]
BRILL
2013-10-24
[8]
논문
The brain of the Remipedia (Crustacea) and an alternative hypothesis on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9]
서적
Treatise on Zoology - Anatomy, Taxonomy, Biology. The Crustacea, Volume 4 part A
https://books.google[...]
BRILL
2013-10-24
[10]
서적
Evolution and Phylogeny of Pancrustacea: A Story of Scientific Metho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0-16
[11]
논문
Global Biodiversity and Phylogenetic Evaluation of Remipedia (Crustacea)
2011
[12]
논문
Remipedia, a new class of Crustacea from a marine cave in the Bahamas
1981-08
[13]
웹사이트
What are subterranean amphipods?
http://ww2.odu.edu/v[...]
Old Dominion University
2013-10-25
[14]
웹사이트
Jill Yager, Research Associate
http://invertebrates[...]
Smithsonian Institution
2013-10-25
[15]
논문
Reevaluating the Arthropod Tree of Life
2012-01-07
[16]
논문
Pancrustacean phylogeny in the light of new phylogenomic data: support for Remipedia as the possible sister group of Hexapoda
2012-03
[17]
논문
Pancrustacean Evolution Illuminated by Taxon-Rich Genomic-Scale Data Sets with an Expanded Remipede Sampling
[18]
논문
Phylotranscriptomics to Bring the Understudied into the Fold: Monophyletic Ostracoda, Fossil Placement, and Pancrustacean Phylogeny
[19]
논문
Insect evolution
2015
[20]
웹사이트
World Remipedia Database
http://www.marinespe[...]
Vlaams Instituut voor de Zee
2022-02-07
[21]
간행물
Remipedia
2022-02-07
[22]
논문
Cryptocorynetes elmorei, a new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an anchialine cave on Eleuthera, Bahamas
[23]
논문
Speleonectes williamsi, a new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the Bahamas
http://mapress.com/z[...]
[24]
논문
Speleonectes cokei, new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Speleonectidae) from a submerged ocean cave near Caye Chapel, Belize
[25]
논문
Molecular taxonomy of Speleonectes fuchscockburni, a new pseudocryptic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an anchialine cave system on the Yucatán Peninsula, Quintana Roo, Mexico
http://mapress.com/z[...]
[26]
논문
Speleonectes emersoni, A New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the Dominican Republic
https://www.research[...]
[27]
웹사이트
ムカデエビ類(ムカデエビるい)とは
https://kotobank.jp/[...]
2019-08-26
[28]
논문
The First Venomous Crustacean Revealed by Transcriptomics and Functional Morphology: Remipede Venom Glands Express a Unique Toxin Cocktail Dominated by Enzymes and a Neurotoxin
https://academic.oup[...]
2014-1
[29]
웹사이트
Fossilworks: Tesnusocarididae
http://fossilworks.o[...]
2021-01-29
[30]
웹사이트
"(PDF) 15. Remipedia"
https://www.research[...]
2019-08-27
[31]
논문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Putative Injecting Apparatus of Speleonectes Tanumekes (Remipedia)
https://academic.oup[...]
2007-01-01
[32]
논문
Micropacteridae, a new family of Remipedia (Crustacea) from the Turks and Caicos Islands
http://www.sciencedi[...]
2007-04-12
[33]
논문
A general theory of genital homologies for the Hexapoda (Pancrustacea) derived from skeletomuscular correspondences, with emphasis on the Endopterygota
http://www.sciencedi[...]
2018-11-01
[34]
논문
Serotonin immunoreactive interneurons in the brain of the Remipedia: new insights into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an enigmatic crustacean taxon
https://doi.org/10.1[...]
2012-09-05
[35]
웹사이트
Phylogenetic relationships, trunk segmentation, and gut metamerism of trilobites and their close relatives.
https://plos.figshar[...]
2019-08-28
[36]
논문
Hemocyanin Suggests a Close Relationship of Remipedia and Hexapoda
https://academic.oup[...]
2009-12-01
[37]
논문
Evolution of Respiratory Proteins across the Pancrustacea
https://academic.oup[...]
2015-11-01
[38]
논문
Venomics of Remipede Crustaceans Reveals Novel Peptide Diversity and Illuminates the Venom’s Biological Role
https://www.ncbi.nlm[...]
2017-07-26
[39]
논문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remipede crustaceans
https://www.research[...]
2007-03
[40]
논문
Serotonin-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ventral nerve cord of Remipedia (Crustacea): support for a sister group relationship of Remipedia and Hexapoda?
https://doi.org/10.1[...]
2013-06-10
[41]
논문
From The Cover: The brain of the Remipedia (Crustacea) and an alternative hypothesis on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https://www.pnas.org[...]
2004-03-05
[42]
논문
A brain atlas of Godzilliognomus frondosus Yager, 1989 (Remipedia, Godzilliidae) and comparison with the brain of Speleonectes tulumensis Yager, 1987 (Remipedia, Speleonectidae): implications for arthropod relationships
http://www.sciencedi[...]
2005-07-01
[43]
논문
1996: Moura, G & Christoffersen, M.L.: The system of the mandibulate arthropods: Tracheata and Remipedia as sister groups, "Crustacea non-monophyletic. JOURNAL OF COMPARATIVE BIOLOGY 1(3/4): 95-113
https://www.academia[...]
[44]
웹사이트
Figure 12.2: Phylogeny and evolution of morphology within Mandibulata...
https://www.research[...]
2019-08-26
[45]
논문
Pancrustacean Phylogeny in the Light of New Phylogenomic Data: Support for Remipedia as the Possible Sister Group of Hexapoda
https://academic.oup[...]
2012-03-01
[46]
논문
Phylotranscriptomics to Bring the Understudied into the Fold: Monophyletic Ostracoda, Fossil Placement, and Pancrustacean Phylogeny
https://academic.oup[...]
2013-01-01
[47]
논문
Phylogenomics resolves the timing and pattern of insect evolution
http://www.sciencema[...]
2014-11-07
[48]
논문
A Phylogenomic Solution to the Origin of Insects by Resolving Crustacean-Hexapod Relationships
https://linkinghub.e[...]
2017-06
[49]
논문
Pancrustacean Evolution Illuminated by Taxon-Rich Genomic-Scale Data Sets with an Expanded Remipede Sampling
https://academic.oup[...]
2019-08-01
[50]
논문
顎脚類(甲殻類)の分類と系統に関する研究の最近の動向
https://doi.org/10.1[...]
日本動物分類学会
2020-02-29
[51]
논문
Arthropod relationships revealed by phylogenomic analysis of nuclear protein-coding sequences
https://www.nature.c[...]
2010-02
[52]
논문
Arthropod phylogeny revisited, with a focus on crustacean relationships
http://www.sciencedi[...]
2010-03-01
[53]
논문
Pancrustacean phylogeny: hexapods are terrestrial crustaceans and maxillopods are not monophyletic
https://www.ncbi.nlm[...]
2005-02-22
[54]
논문
The Phylogen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Arthropods
http://www.sciencedi[...]
2019-06-17
[55]
논문
A Crustacean from the Tesnus Formation (Pennsylvanian) of Texas
https://www.jstor.or[...]
1955
[56]
논문
Remipedia, A New Class of Crustacea From a Marine Cave in the Bahamas
https://academic.oup[...]
1981-07-01
[57]
서적
エビ・カニの疑問50
https://www.worldcat[...]
Seizandoshoten
2017-09
[58]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Remipedia (Crustacea)
https://doi.org/10.1[...]
2007-04-12
[59]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and Systematic Revision of Remipedia (Nectiopoda) From Bayesian Analysis of Molecular Data
https://academic.oup[...]
2013-09-01
[60]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Nectiopoda
https://www.marinesp[...]
2020-10-20
[61]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Cryptocorynetidae Hoenemann, Neiber, Schram & Koenemann in Hoenemann, Neiber, Humphreys, Iliffe, Li, Schram & Koenemann, 2013
https://www.marinesp[...]
2020-10-20
[62]
논문
Cryptocorynetes elmorei, a new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an anchialine cave on Eleuthera, Bahamas
http://link.springer[...]
2010-06
[63]
논문
A New Remipede, Cryptocorynetes Longulus, N. Sp., from Cat Island, Bahamas
https://academic.oup[...]
2007-01-01
[64]
논문
Three new sympatric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Great Exuma Island, Bahamas Islands
https://www.research[...]
2003
[65]
논문
Kaloketos pilosus, a new genus and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the Turks and Caicos Islands
https://biotaxa.org/[...]
2004-08-27
[66]
논문
Monsters in the dark: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of the stygobitic genus Godzillius (Crustacea: Remipedia) from the Lucayan Archipelago
https://europeanjour[...]
2021-06-07
[67]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Godzilliidae Schram, Yager & Emerson, 1986
https://www.marinesp[...]
2020-10-20
[68]
서적
Memoirs of the San Diego Society of Natural History.
https://www.biodiver[...]
The Society,
1986
[69]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Kumongidae Hoenemann, Neiber, Schram & Koenemann in Hoenemann, Neiber, Humphreys, Iliffe, Li, Schram & Koenemann, 2013
https://www.marinesp[...]
2020-10-20
[70]
논문
Lasionectes exleyi, sp, nov., the first remipede crustacean recorded from Australia and the Indian Ocean, with a key to the world species
http://www.publish.c[...]
1996
[71]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Micropacteridae Koenemann, Iliffe & van der Ham, 2007
https://www.marinesp[...]
2020-10-20
[72]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Morlockiidae García-Valdecasas, 1984
https://www.marinesp[...]
2020-10-20
[73]
논문
Morlockiidae new family of Remipedia (Crustacea) from Lanzarote (Canary Islands)
https://digital.csic[...]
1985-01-25
[74]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Pleomothridae Hoenemann, Neiber, Schram & Koenemann in Hoenemann, Neiber, Humphreys, Iliffe, Li, Schram & Koenemann, 2013
https://www.marinesp[...]
2020-10-20
[75]
웹사이트
Pleomothra Apletocheles and Godzilliognomus Frondosus, Two New Genera and Species of Remipede Crustaceans (Godzilliidae) from Anchialine Caves of the Bahamas
https://www.ingentac[...]
1989-05-01
[76]
논문
Pleomothra Fragilis N. Sp. (Remipedia) from the Bahamas, with Remarks on Morphologic Reductions and Postnaupliar Development
https://academic.oup[...]
2008-01-01
[77]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Speleonectidae Yager, 1981
https://www.marinesp[...]
2020-10-20
[78]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Xibalbanidae Olesen, Meland, Glenner, van Hengstum & Iliffe, 2017
https://www.marinesp[...]
2020-10-20
[79]
논문
Xibalbanus cozumelensis, a new species of Remipedia (Crustacea) from Cozumel, Mexico, and a molecular phylogeny of Xibalbanus on the Yucatán Peninsula
https://www.research[...]
2017-05-05
[80]
저널
Phylogenetic analysis of Remipedia (Crustacea)
2007
[81]
저널
Pancrustacean Evolution Illuminated by Taxon-Rich Genomic-Scale Data Sets with an Expanded Remipede Sampling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