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리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리카드는 1994년 평화은행에서 비자카드 업무를 시작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신용카드 회사이다. 2001년 우리신용카드(주)로 설립되었고, 2013년 우리은행에서 분사하여 현재의 우리카드가 출범했다. 우리카드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발급하며, 자체 결제망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4년 10월 7일 우리BC ONE 체크카드 국제ATM 신규 발급이 중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리금융그룹의 자회사 - 우리은행
    우리은행은 1899년 대한천일은행을 모태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의 우리은행이 되었으며, 디지털 금융 서비스와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한민국의 은행이다.
  • 우리금융그룹의 자회사 - 우리투자증권
    우리종합금융은 1974년 광주투자금융으로 설립되어 사명 및 최대주주 변경을 거쳐 현재 이름이 되었으며, 2024년 8월 한국포스증권과의 합병 예정이고, S클래스 펀드, IRP 수수료 무료, AI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등 다양한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수료 절감과 높은 수익률을 강조하고 있다.
  • 우리금융그룹 - 우리은행
    우리은행은 1899년 대한천일은행을 모태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의 우리은행이 되었으며, 디지털 금융 서비스와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한민국의 은행이다.
  • 우리금융그룹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은 1958년 창단하여 WKBL에서 13번의 챔피언 결정전 우승과 14번의 정규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연고지를 아산시로 이전했다.
  • 2004년 해체된 기업 - 한화토탈에너지스
    한화토탈에너지스는 1988년 삼성종합화학으로 설립되어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준공하며 성장한 대한민국의 석유화학 기업으로, 프랑스 토탈과의 합작 및 한화 그룹 편입을 거쳐 202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대산 석유화학 단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 2004년 해체된 기업 - 갤럭시아에스엠
    갤럭시아에스엠은 2004년 IB 스포츠로 설립되어 2006년 코스피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스포츠 마케팅 기업으로, 스포츠 스타 매니지먼트, 스포츠 마케팅, 스포츠 콘텐츠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MLB, UFC, KLPGA 등 스포츠 중계권 판매와 기업의 해외 스포츠 마케팅 컨설팅을 수행하고 손연재, 우상혁 등 다양한 종목의 선수들을 매니지먼트한다.
우리카드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식회사 우리카드
원어Woori Card Co., Ltd.
로고 크기90px
이전 회사우리은행 신용카드사업부문
창립2013년 4월 1일
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50 (중학동, 더케이트윈타워)
산업카드사
경영진
대표이사 사장박완식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자본금896,331,000,000원
영업이익157,030,000,000원
순이익120,229,000,000원
자산총액11,366,594,000,000원
주식 정보
주주주식회사 우리금융지주 : 100.0%
모기업주식회사 우리금융지주
기타 정보
종업원859명 (2020.12)
웹사이트우리카드 공식 홈페이지
자회사Tutu Finance-WCI Myanmar

2. 연혁

연도내용
1994년평화은행에서 비자카드 업무 시작[1]
2001년평화은행 카드사업부문을 인수하여 우리신용카드(주) 설립[2]
2004년우리은행 카드사업부문으로 흡수[3]
2013년 4월우리은행에서 분사하여 우리카드 출범[4]
2014년 11월우리은행으로 최대 주주 변경[5]
2016년 8월위비마켓 서비스 오픈[6]
2018년 12월새마을금고와 업무제휴 계약 체결[7]
2019년 9월우리금융그룹으로 최대 주주 변경[8]
2021년자체 결제망 구축 추진, 자체 가맹점 모집 개시[9]
2022년다이너스 클럽 취급 개시[10]
2023년카카오뱅크 제휴 신용카드 출시[11]
2023년 7월 24일자체 가맹점망 개통과 함께 자체 결제망 이용 신용/체크카드 첫 출시[12]


2. 1. 1994년 ~ 2013년: 우리카드 설립 및 성장


  • 1994년: 평화은행에서 비자카드 업무를 시작했다.
  • 2001년: 평화은행 카드사업부문을 인수하여 우리신용카드(주)를 설립했다.
  • 2004년: 우리은행 카드사업부문에 흡수되었다.

2. 2. 2013년 ~ 현재: 우리카드 분사 및 독자 결제망 구축

2013년 4월, 우리카드는 우리은행에서 분사하여 출범하였다. 2014년 11월에는 최대 주주가 우리은행으로 변경되었고, 2016년 8월에는 위비마켓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8년 12월, 새마을금고와 업무 제휴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9년 9월에는 최대 주주가 우리금융그룹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2021년, 우리카드는 자체 결제망 구축을 추진하고 자체 가맹점 모집을 시작했다. 2022년에는 다이너스 클럽 카드 취급을 시작했고, 2023년에는 카카오뱅크와 제휴하여 신용카드를 출시했다.

2023년 7월 24일, 우리카드는 자체 가맹점망을 개통하고, 자체 결제망을 이용하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처음으로 출시하였다.

3. 취급 카드

우리카드는 자체 브랜드 카드와 비씨카드를 취급한다. 자체 브랜드 카드로는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국내전용 카드가 있다.[2] 비씨카드는 국내전용, 비자, 마스터카드[3], 은련, 다이너스 클럽, 글로벌 카드를 취급한다.

3. 1. 자체 카드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국내전용카드를 취급한다.[2]

3. 2. 비씨카드 (취급 중)

비씨카드에서 발급하며, 다음 종류의 카드를 취급한다.

종류
국내전용카드
비씨 비자카드
비씨 마스터카드[3]
비씨 은련
비씨 다이너스 클럽
비씨 글로벌



다만, 비씨카드 중 카드의 정석 틴즈, 에코마일리지,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학교 학생증, 국민행복, 국민연금증, 화물차용(특수발급용), 라떼(연회비 2천 원), 해피포인트(일반발급용)는 롯데카드에서 발급 가능하다.[2]

4. 발급 기관

5. 특징

우리카드는 타 카드사와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금융결제원의 EXK망이 장착된 "우리BC ONE 체크카드 국제ATM"은 우리은행 연결 카드 중 유일하게 EXK망 현금인출이 가능했으나, 2024년 10월 7일 신규 발급이 중지되었다.

체크카드우리은행 창구나 위비 스마트 KIOSK에서 즉시 발급 시 카드 번호가 프린팅되어 나오며, 인터넷 등 원격 신청 시 양각되어 나온다. 단, 카드 번호가 후면에 프린트되는 상품은 예외이다.

우리카드 임직원카드는 우리은행, 우리카드, 우리종합금융, 우리에프아이에스 등 계열사 직원에 한하여 발급된다.

2018년 7월, 롯데그룹은 엘포인트를 타 금융기관에 개방하였는데, 롯데카드 매각설이 나오던 시점이라 롯데카드가 우리금융지주로 매각될 수 있다는 해석이 있었다. 그러나 롯데카드는 우리금융지주로 인수되지 않았고, 우리카드는 자체 결제망을 구축했다.

5. 1. 체크카드 연결 계좌

2015년 8월에 신한은행, 중소기업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으로 연결 은행을 1차적으로 확대했고, 2016년 1월에 대구은행, 광주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하나은행으로 연결 가능 은행을 2차적으로 확대했다.[4] 하지만 모든 상품에 적용되는 사항은 아니며, 우리은행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현금카드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4] 타 은행 연결시 체크카드의 해외신판 역시 제한되어 있었다.[4]

5. 2. 해외 결제 및 수수료

미국 디스커버와 제휴한 비씨카드 자체의 해외 결제망인 비씨 글로벌의 경우, 우리카드만 현재 비씨 글로벌 체크카드의 해외신판(해외 사용)이 가능하다.[4] SC제일은행도 우리카드와 함께 비씨 글로벌 체크카드의 해외 사용이 가능했지만, SC제일은행2022년 4월에 현대카드와 제휴하고 동년 11월에 비씨카드 취급을 중단하면서 다시 우리카드만 남았다.

체크카드의 해외신판 시 NH농협카드, 하나카드처럼 기존에 받고 있는 해외 브랜드 로열티 1%에 해외신판 1건당 0.5USD의 고정 수수료를 추가로 받기 때문에 해외신판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비싸다. 체크카드의 해외신판 수수료는 비자카드/마스터카드 로열티 1%에 해외신판 1건당 0.5USD의 환가 수수료를 받으며, 비씨 글로벌이나 은련은 로열티를 받지 않기 때문에 해외신판 1건당 0.5USD의 환가 수수료만 받는다.[5] 단, 마스타 플래티넘이 장착된 "썸타는 체크카드"(이후 LOL 챔피언십 체크카드로 변경)는 이 0.5USD를 받지 않고 마스터카드에 들어가는 로열티 1%만 해외신판 수수료로 받는다.[5] 2020년 들어서는 몇몇 비자카드 상품들의 해외신판 로열티가 1.1%로 인상됐다.[5]

5. 3. 포인트 제도

우리카드는 자체적인 카드 포인트 체계로 "모아포인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모아포인트가 적립되지 않는 상품은 기존 비씨카드처럼 지정 가맹점에서 이용 시 탑포인트로 적립된다.[6] 우리WON멤버스에 가입하면 모아포인트는 꿀머니로 명칭이 바뀐다.[6] 우리카드 결제 시 비씨카드의 포인트 채널인 탑포인트 가맹점에서 탑포인트가 적립되며, 이때 카드 상품에 따라 모아포인트(꿀머니)와 중복 적립된다.[10] 2023년 7월 24일에 첫 출시한 자체 결제망 카드는 모아포인트만 적립된다.[10]

5. 4. 기타 특징


  • 우리카드는 비접촉 결제 (비자 컨택리스, 마스터카드 Just tap and go 등) 도입에 적극적인 신용카드사로, 체크카드에도 후불교통형 한정으로 보기 드물게 비접촉 결제 기능을 장착한다.[4] 2023년 7월 24일에 첫 런칭한 자체결제망 이용 마스타 체크카드에는 비교통형에도 Just tap and go가 장착된다.[4]
  • 일부 상품은 비씨카드의 간편결제 서비스인 ISP/페이북 앱의 오프라인 NFC 및 QR코드 결제를 이용할 수 없다.[5]
  • 신용카드체크카드를 포함하여 1~12월 기준으로 10장 이상 발급 시 차후 1년간 신규 발급이 제한된다.[4] (예: 2018년 1월~6월까지 10장 발급 시 2019년 1월부터 신규상품 추가발급 가능)[4]
  • 카드를 갱신하고 나서 갱신받은 카드를 처음 이용하면, 이전에 사용했던 구 카드는 90일 후 카드 목록에서 소멸한다.[4]

6. 본점 및 지점 현황

지점주소
본점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50 (중학동, 더케이트윈타워)
인천캐피탈지점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75, 2층 (부평동, 한화생명부평사옥)
강남캐피탈지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620 (논현동)
부산캐피탈지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18 (부전동)
대구캐피탈지점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56 (봉산동)
대전캐피탈지점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39 (둔산동)
광주캐피탈지점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9 (치평동)
수원캐피탈지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464 (인계동)
일산캐피탈지점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22 (주엽동)
창원캐피탈지점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상남로 83 (상남동)
분당캐피탈지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258번길 97 (수내동)
청주캐피탈지점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로 118 (강서동)
부천캐피탈지점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신흥로 167 (중동)
천안캐피탈지점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쌍용대로 251 (성정동)
안양캐피탈지점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02 (호계동)
포항캐피탈지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서동로 84 (상원동)


참조

[1] 뉴스 ‘최대 회원사’ 우리카드 이탈에 놀란 비씨카드, 사업 다각화 속도 https://news.naver.c[...] 조선비즈
[2] 문서 우리카드 자체 결제망 및 카드 브랜드 정보
[3] 문서 마에스트로 체크카드 발급 중단 2019-06-10
[4] 문서 마스터카드 연회비 정보
[5] 뉴스 체크카드 해외 수수료 '제각각'…"최대 5배까지"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6] 문서 BC카드 관련 정보
[7] 문서 KB국민카드 가맹점망 공유 정보
[8] 문서 NH농협은행 소속 브랜드 정보
[9] 문서 BC카드 관련 정보
[10] 문서 농협은행과 농축협 회원사 정보
[11] 문서 한미은행(현 한국씨티은행) 신세계백화점 카드 인수 정보
[12] 문서 롯데카드 통합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