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스만 이븐 아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스만 이븐 아판은 메카의 부유한 우마이야 왕조 출신으로, 초기 이슬람교 개종자 중 한 명이며, 무함마드의 사위였다. 그는 상업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아부 바크르의 권유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우마르의 뒤를 이어 세 번째 칼리파가 되었으나, 친족 중용 정책과 통치 말기의 갈등으로 인해 암살당했다. 그는 쿠란을 정본으로 통일하고, 해군을 창설하는 등 업적을 남겼지만, 통치 말기에는 불만을 사기도 했다. 그의 죽음은 이슬람 세계의 분열을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56년 사망 - 시기베르투스 3세
시기베르투스 3세는 다고베르트 1세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아우스트라시아 왕으로 즉위하여 귀족들의 섭정을 받았고, 그의 치세 동안 궁재의 권력 강화와 튀링겐과의 전쟁 패배로 왕권이 약화되었으나, 기독교 신앙을 실천하며 종교적 업적을 남기고 낭시의 수호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 라시둔 칼리파 - 정통 칼리파
정통 칼리파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계자로서 이슬람 공동체를 이끌었던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를 가리키며, 수니파는 이들을 정통으로 인정하지만 시아파는 알리만을 인정하여 이슬람 분파 간 쟁점이 되고, 이슬람 제국의 확장과 사회·정치적 기틀 마련, 수니-시아 분열의 기원이 된 중요한 시대이다. - 라시둔 칼리파 -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는 이슬람의 두 번째 칼리파로서 뛰어난 지도력과 행정 능력으로 이슬람 제국을 확장하고 이슬람 공동체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이슬람 율법 체계를 구축하고 사회 복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무하지룬 - 살만 알 파르시
살만 알 파르시는 페르시아 출신의 무슬림으로 조로아스터교에서 기독교를 거쳐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참호 전투에서 공병 역할을 하고 꾸란을 페르시아어로 번역했으며 다양한 종교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 무하지룬 -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는 이슬람의 두 번째 칼리파로서 뛰어난 지도력과 행정 능력으로 이슬람 제국을 확장하고 이슬람 공동체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이슬람 율법 체계를 구축하고 사회 복지 제도를 도입하는 등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스만 이븐 아판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초기 생애와 이슬람교 개종
우스만은 메카의 유력 가문인 우마이야 가문 출신으로, 무함마드의 초기 추종자 중 한 명이었다. 620년경 이슬람으로 개종한 후, 무함마드의 딸 루카이야와 결혼했다.[5] 우스만의 개종은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반대하던 우마이야 가문을 분노하게 했다.[7]
우스만과 루카이야는 615년 아비시니아(현재의 에티오피아)로 이주했다가,[9][10] 4년 후 메카로 돌아왔다. 622년에는 메디나로 이주(히즈라)하여 정착했다.[12] 루카이야 사후에는 무함마드의 또 다른 딸 움무 쿨숨과 결혼하였다. 이처럼 무함마드의 두 딸과 결혼했기에 우스만은 '두 알 누라인'('두 개의 빛을 가진 자')이라는 칭호를 얻었다.[13][14]
2. 1. 초기 생애
메카의 우마이야 가문에서 태어난 우스만은 부유한 상인이었다.[5] 그의 아버지 아판 이븐 아비 알-아스는 우마이야 가문 출신이었고, 어머니 아르와 빈트 쿠라이즈는 압드샴스 가문 출신으로, 두 가문 모두 메카에서 강력하고 부유했다. 우스만에게는 아미나라는 누이가 있었다.우스만의 어머니는 무함마드의 사촌이었기 때문에, 우스만은 무함마드와 친척 관계였다.
우스만의 아버지는 젊은 나이에 대상 여행 중 사망하여 우스만에게 많은 유산을 남겼다. 우스만은 이 재산을 무역에 투자하여 쿠라이쉬 부족에서 손꼽히는 부자가 되었다.[6]
우스만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105] 엄격한 교육을 받아 글을 읽고 쓰는 데 능숙했으며,[116] 다른 아랍 아이들과 달리 옷을 벗는 것을 꺼렸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16]
20세에 아버지 아판이 사망하자 우스만은 막대한 재산을 상속받았다.[114] 아버지처럼 무역에 종사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고,[114] 상업 활동에서 신중하고 공정한 태도를 유지했다.[117]
2. 2. 이슬람교 개종
611년 시리아로 사업 출장을 다녀온 우스만은 무함마드의 포교 활동에 대해 알게 되었다. 아부 바크르와 논의한 끝에 우스만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기로 결심했고, 아부 바크르는 그를 무함마드에게 데려가 신앙을 고백하게 했다.[7] 이로써 우스만은 알리, 자이드 이븐 하리타, 아부 바크르 등과 함께 초기 이슬람 개종자 중 한 명이 되었다.[7]우스만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이유에 대해, 그가 무함마드의 딸 루카이야를 짝사랑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118][119] 610년 초, 우스만은 여행 중에 메카에 예언자가 나타났다는 소식을 듣고, 메카로 돌아온 후 친구 아부 바크르의 권유를 받아 무함마드에게 귀의했다.[121]
우스만의 이슬람 개종은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강력히 반대했던 그의 씨족인 바누 우마이야를 분노하게 했다.[7] 쿠라이시 부족 내에서 우마이야 가문과 무함마드가 속한 하심 가문의 대립이 깊어졌고, 우마이야 가문 사람들은 우스만이 무함마드의 가르침을 받아들인 것을 기뻐하지 않았다.[110] 우마이야 가문의 가장인 알 하캄은 우스만을 묶어 놓고 배교를 강요했으며, 어머니 알와와 의붓아버지 우크바 또한 배교를 설득했다.[122] 그럼에도 우스만의 결심을 꺾을 수 없었고, 알 하캄은 우스만을 쿠라이시 부족의 신앙으로 되돌리는 것을 포기했으며, 알와는 우스만을 의절했다.[123]
2. 3. 에티오피아 이주와 메디나 정착
우스만과 그의 아내 루까이야는 615년 4월, 10명의 무슬림 남성과 3명의 여성과 함께 아비시니아(현대 에티오피아)로 이주했다. 이후 수많은 무슬림들이 그들과 합류했다.[9][10] 우스만은 이미 아비시니아에 사업 관계를 맺고 있었기에 무역상으로서의 직업을 계속했고, 번창을 이어갔다.[11]4년 후, 메카의 쿠라이시가 이슬람을 받아들였다는 소식이 아비시니아의 무슬림들 사이에 퍼졌고, 이 소식에 우스만, 루까이야, 그리고 39명의 무슬림들은 귀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그들이 메카에 도착했을 때, 쿠라이시가 이슬람을 받아들였다는 소식은 거짓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스만과 루까이야는 메카에 다시 정착했다.[9][10] 우스만은 사업을 다시 시작해야 했지만, 아비시니아에서 이미 구축해 놓았던 인맥이 그에게 유리하게 작용했고, 그의 사업은 다시 번창했다.[11]
622년 우스만과 루카이야는 메디나로 이주(히즈라)한 세 번째 무슬림 그룹에 속했다. 도착 후, 우스만은 잠시 후 구매한 집으로 이사하기 전에 아부 탈하 이븐 사비트와 함께 머물렀다. 우스만은 메카에서 가장 부유한 상인 중 한 명이었으며, 메디나로 상당한 재산을 가져왔기 때문에 안사르의 재정적 도움을 받을 필요가 없었다. 당시 메디나의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농부였고 무역에 큰 관심이 없었으며, 유대인들이 마을에서 대부분의 무역을 수행했다. 우스만은 무슬림 간의 무역을 촉진할 상당한 상업적 기회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곧 메디나의 상인으로 자리를 잡았다. 부지런함과 정직함으로 그의 사업은 번창하여 메디나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12] 무함마드의 장녀이자 하디자 빈트 후와일리드의 딸인 루카이야와 결혼한 우스만은 ''두 알 누라인''( "두 개의 빛을 가진 자")이라는 명예 칭호를 얻었다.[13][14]
3. 칼리파 선출과 통치
644년 2대 칼리프 우마르가 암살당한 후, 슈라(협의)를 통해 3대 칼리파로 선출되었다. 우스만은 우마르의 정복 사업을 계속 이어나가 650년~652년에 걸쳐 옛 페르시아 땅과 서쪽 이집트 땅을 정복하여, 동쪽으로는 인더스강 유역, 서쪽으로는 이집트에 이르는 광대한 이슬람 제국을 건설했다.[43] 또한 꾸란을 정비하여 교리를 체계화했다.
645년경, 이슬람 세력에 대한 반격이 각지에서 일어났으나 우스만은 이를 진압하고 페르시아 원정을 재개하여 651년 사산 왕조를 멸망시켰다. 시리아에서는 메소포타미아 북부로 원정군이 출발하여 646년에 아르메니아, 650년에 아제르바이잔을 정복했다.
우스만은 칼리파로서 처음으로 중국에 사신을 파견한 인물로 여겨지며, 651년에 당의 수도인 장안에 이슬람 국가에서 온 사신이 방문했다.[146]
그러나 치세 후반, 이집트와 이라크에서는 우스만의 정책에 대한 불만이 높아졌다.[115] 특히 우스만이 자신의 출신 가문인 우마이야 가문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다른 가문들의 큰 불만을 샀다.[106]
3. 1. 칼리파 선출 과정
644년 2대 칼리프 우마르가 살해당하자, 우스만은 우마르가 죽기 전 조직해 놓은 선출 위원회에 의해 알리를 제치고 칼리프로 선출되었다.[26] 우마르는 임종 직전에 차기 칼리프를 선출하기 위해 무하지룬(초기 메카 개종자) 출신 여섯 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후보 |
---|
알리 |
우스만 이븐 아판 |
압드 알라흐만 이븐 아우프 |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 |
주바르 이븐 알 아왐 |
탈하 이븐 우바이다 알라 |
야쿠비의 역사에 따르면, 우마르는 이 임무에 아부 탈하 안사리를 임명하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만약 네 사람이 의견을 내고 두 사람이 동의하지 않으면, 그 두 사람을 처형하고, 세 사람이 동의하고 세 사람이 동의하지 않으면, 압드 알라흐만이 속하지 않은 세 사람을 처형하라. 그리고 사흘이 지나도 누구에게도 합의를 보지 못하면 모두 처형하라."[27][28][29]
3일 동안 많은 협상이 있었고, 알리와 우스만 사이에서 망설였다고 한다. 압드 알라흐만은 알리에게 "만약 우리가 당신에게 충성을 맹세한다면, 당신은 하나님의 책(꾸란)과 알라의 메신저의 순나를 따르고, 이전 두 칼리프(우마르와 아부 바크르)의 방식으로 행동할 의향이 있습니까?"라고 물었고, 알리는 "저는 하나님의 책과 하나님의 메신저의 순나만 따르겠습니다."라고 답했다. 압드 알라흐만은 같은 질문을 우스만에게 했고, 우스만은 긍정적으로 대답하며 모든 조건을 받아들여 칼리프가 되었다.[30]
우스만은 죽음을 앞둔 우마르로부터 후계자 후보 중 한 명으로 지명되었고, 알리, 탈하, 주바이르, 압드 알라흐만 이븐 아우프,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 등 쿠라이시 부족 출신 무하지룬 원로들과 회의(슈라)를 열었다. 칼리파 후보는 우스만과 알리로 좁혀졌고, 아우프가 의장을 맡았다.[139][140] 우마르가 사망한 후 3일 동안 아우프는 지도자층 이외의 메디나 사람들에게도 누가 칼리파에 적합한지를 자문했고, 최종적으로 우스만을 칼리파 적격자로 선택했다.[141] 644년 11월 7일, 우스만은 메디나의 모스크에서 바이아를 받고 칼리파로 즉위했다.[142]
쿠라이시 부족의 원로들에게는 우스만의 지지자가 많았고, 알리의 주요 지지자인 안사르(히즈라 이전에 메디나에 살았던 이슬람교도)에게는 발언권이 없었던 것이 우스만의 칼리파 선출 배경에 있었다고 생각된다.[139] 다른 설로는, 우마르 시대의 엄격한 통치로부터의 탈피를 바란 많은 사람들이 금욕적인 생활을 요구하는 알리가 아닌, 우스만을 지지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144]
3. 2. 정복 사업과 영토 확장
우스만은 2대 칼리프 우마르의 정복 사업을 이어받아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다. 650년부터 652년까지 페르시아 지역을 정비하여 정복하고, 동쪽으로는 인더스강 유역, 서쪽으로는 이집트에 이르는 광대한 이슬람 제국을 건설했다.[43]645년경, 우마르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각지에서 이슬람 세력에 대한 반격이 시작되었다.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에서는 부족 세력의 반란이 일어났고, 이집트·시리아의 지중해 연안부는 동로마 제국의 공격을 받았다. 우스만은 이러한 소란을 진압하고 중단되었던 페르시아 원정을 재개했다. 니하반드의 전투 이후 진군을 중지했던 원정군은 우스만의 명령을 받아 진군을 재개했다. 650년에 지로프트에 도착한 원정군은 세 갈래로 나뉘어 마크란, 시스탄(시지스탄), 호라산을 정복하여 페르시아 정복을 완료했다.[106] 651년에는 사산 왕조의 마지막 왕 야즈데게르드 3세가 메르브에서 살해되면서 사산 왕조가 멸망했다.[145] 시리아에서는 메소포타미아 북부로 원정군이 출발하여 646년에 아르메니아, 650년에 아제르바이잔을 정복했다.[106]
우스만은 해군력 강화에도 힘썼다. 무아위야 1세는 아랍-비잔틴 전쟁 중 바다에서 비잔틴의 공격을 막기 위해 639년에 우마르에 의해 시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649년 우스만의 통치하에 해군을 조직하도록 허락받았다. 이 해군은 655년 돛의 전투에서 비잔틴 해군을 격파하여 지중해를 개방했다.[45][46][47][48][49]
히즈라력 15년(c. 647)에는 압둘라 이븐 사드가 마그레브를 재정복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이 원정에서 압둘라 이븐 사드의 군대는 수페툴라에서 헤라클리우스의 친족인 그레고리 파트리키우스가 이끄는 비잔티움 군대를 격파했다.[50]
동쪽에서는 아흐나프 이븐 카이스가 옥수스 강 근처에서 야즈데게르드 3세를 몰아내는 옥수스 강 전투를 통해 군사적 확장을 시작했고,[54][55] 헤라트 포위전에서 사산 제국 충성파와 에프탈 제국의 군사 연합을 격파했다.[54] 바스라 총독 압둘라 이븐 아미르 역시 파르스, 케르만, 시스탄, 호라산에서 반란을 진압하고, 트란스옥시아나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새로운 정복 전선을 열었다.[56]
652년, 발로치스탄이 재정복되어 칼리프국의 법률이 직접 적용되었고, 농업 공물을 지불했다.[57][58]
3. 3. 꾸란 정본 확정과 종교적 업적
650년경, 우스만은 아라비아 반도를 넘어 페르시아, 레반트, 북아프리카로 이슬람이 확장되면서 코란 낭송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아차렸다. 텍스트의 신성함을 보존하기 위해 그는 칼리프 아부 바크르의 사본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코란 버전을 준비하도록 자이드 이븐 사비트가 이끄는 위원회에 지시했다.[31][32] 무함마드 사후 20년 이내에 코란은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만들어진 사본은 이슬람 세계의 도시 중심지에 보급되었고, 다른 버전은 우스만의 명령으로 불태워졌다.[31][33][34][35]시아파는 수니파와 같은 코란을 사용하지만, 우스만이 처음으로 편집했다고는 믿지 않는다.[36] 시아파는 코란이 무함마드 생전에 수집되고 편집되었다고 믿는다.[37][38][39]
3. 4. 경제 및 사회 정책
우스만은 젊은 시절부터 유능한 사업가이자 상인이었으며, 이는 라시둔 칼리파조에 크게 기여했다. 우마르가 제정한 공공 수당을 약 25% 증액했고, 정복지에서의 토지 판매와 농업 토지 매입 금지 규제를 철폐하여 무역이 번창하도록 했다.[41] 또한 사람들이 국고에서 대출을 받도록 허용했다. 우마르 시대에는 정복지의 토지를 이전 소유주의 재산으로 남겨두는 정책이 유지되었고, 우스만은 이를 따르면서 더 많은 정복을 통해 토지 수입을 증가시켰다.[25]우마르는 국고 사용에 매우 엄격했지만, 우스만 시대에는 이러한 규제가 완화되었다. 우스만은 개인 수당이나 급여를 받지 않았지만, 선물 수수와 가족 구성원의 선물 수수를 허용했다.[6] 그는 공공 기금 사용 권한이 자신에게 있다고 정직하게 밝혔으며, 이러한 경제 개혁은 라시둔 제국의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에게 경제적 번영을 가져다주었다.[42]
650년 정복 전쟁이 종결되면서, 병사들은 전리품 수입이 끊기고 정부에서 지급되는 적은 봉급으로 생활해야 했다.[106] 이들은 마디나에서 부와 권력을 독점하는 이슬람교도 상류층에 불만을 품었고, 그들의 으뜸인 우스만에게 증오가 집중되었다.[106]
우스만 시대에 실시된 사와피(아랍인들이 이라크에서 획득한 토지 중, 황제, 신전, 귀족의 소유지를 지칭하는 지역)의 수입 변경은 역전의 백성(샤이반족이나 마흐줌 가문의 칼리드 이븐 알 왈리드 휘하의 병사 등, 아랍의 정복 사업에 초창기부터 참여했던 병사)에게서 반발을 샀다.[171] 이전에는 사와피 수입의 80%가 전리품으로 토지 소유자에게, 20%가 칼리프의 몫이었으나, 전리품 감소로 인해 수입 전부가 칼리프의 몫이 되었다.[172] 이로 인해 655년에 이라크 총독이 체포되고, 아부 무사 알 아샤리가 총독으로 옹립되었다.[172]
우스만은 이슬람 국가가 획득한 막대한 부를 위험한 존재로 인식하면서도, 합법적인 방법으로 얻고 사용한다면 일반인도 향락을 즐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144][173] 그의 통치 하에서는 호화로운 생활이 인정되었고, 우마이야 가문 총독을 포함한 많은 움마(이슬람 공동체) 사람들이 사치를 즐겼다.[174] 이러한 상황에서 우스만이 자신이나 가문을 위해 국고 재산을 유용한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진위는 밝혀지지 않았다.[175][176]
치세 후반, 이집트와 이라크에서는 우스만의 정책에 대한 불만이 높아졌다.[115] 우스만은 자신의 출신인 우마이야 가문 사람들을 중앙 및 지방 요직에 발탁했는데,[106] 이러한 연고주의는 비판을 받았다.[154][164] 무함마드의 과부 아이샤는 우스만이 순나를 잊었다고 비판했고,[165] 알리는 트라카우(630년 무함마드의 메카 정복 당시 이슬람으로 개종한 사람들) 출신인 우마이야 가문 출신 총독이 통치자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다.[166] 바스라와 쿠파에 주둔하는 병사들은 봉급 삭감으로 어려운 생활을 했고, 지방 금고로부터 현금 지급을 요구했지만, 총독은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47]
4. 통치 말기의 갈등과 암살
650년 이집트와 이라크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655년 이집트 반란군이 메디나로 진군하자 우스만은 그들을 회유하여 이집트로 돌려보냈다.[63] 그러나 656년 다른 반란군이 우스만의 집을 포위했고, 며칠 간의 싸움 끝에 우스만은 불만을 품은 타민족 폭도들에게 암살당했다.[61][62][63]
우스만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자의적인 행동과 우마이야 가문 중심의 인사 정책에 대한 불만은 상당히 높았다.[67][154][164] 특히, 정복 전쟁이 끝나고 전리품 수입이 줄어들자, 마디나에서 부와 권력을 독점하는 이슬람교도 상류층, 그중에서도 우스만에 대한 증오가 커졌다.[106]
654년 우스만은 각지 총독들을 마디나로 소집하여 정세를 논의했으나, 무아위야의 시리아 피신 권유를 거부하고 마디나에 남았다.[149] 656년 바스라, 쿠파, 이집트 하급 병사들은 마디나로 몰려들었고, 우스만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병사들을 귀향시켰다.[150] 그러나 며칠 뒤 병사들은 다시 돌아와 우스만의 퇴위를 요구했고, 수백 명의 반란자들이 우스만의 저택을 포위했다.[151][152]
우스만은 각지 총독에게 원군 파견을 요청했지만, 공격을 거부하고 저택에 남았다.[153] 6월 17일 병사들은 그의 저택으로 쳐들어가 꾸란을 읽고 있던 우스만을 살해했다.[154][155] 우스만의 유해는 마디나의 하쉬 카우카브에 몰래 매장되었다.[109]
4. 1. 반대 세력의 등장과 불만 고조
650년 이집트와 이라크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655년 이집트 반란군이 메디나로 진군했다.[63] 우스만 행정부는 칼리파국 내 반정부적 긴장 고조를 인지하고 그 기원, 범위, 목표를 파악하고자 했다. 654년경 우스만은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2명의 지방 총독을 메디나로 소환했고, 마즐리스 알 슈라(장관 회의)에서 불만 파악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요원을 각 지방에 파견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우스만은 요원들을 파견했으나, 이집트 특사 아마르 이븐 야시르는 메디나로 돌아오지 않고 이집트 반대 세력에 합류했다.[63]우스만은 원로 신도나 유식자들로 구성된 위원회의 합의를 거쳐 정책을 결정했다.[163] 그러나 아랍인들이 단기간에 광대한 지배지를 획득했지만, 통일된 지배 체제는 확립되지 않았다.[106] 우스만은 행정 원활화와 중앙집권화를 위해 자신의 출신인 우마이야 가문 사람들을 중앙 및 지방 요직에 발탁했고,[106] 이는 연고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154][164] 아이샤는 무함마드의 유품이 그대로 남아 있을 정도로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우스만이 순나를 잊었는가 하고 비판했다.[165]
윌퍼드 매델룽에 따르면, 우스만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자의적인 행동에 대한 불만은 당시 기준으로 상당했다.[67] 키니 헤더는 칼리프였던 우스만이 내각 선택에 전적으로 자신의 의지에 의존하여 무슬림 공동체 내에서 저항을 낳는 결정을 내렸다고 평가한다.[68] 우스만에 대한 저항은 그가 가족 구성원을 총독으로 편애했기 때문에 일어났으며, 그의 임명자들은 그가 원래 계획했던 것보다 사업 처리에 더 많은 통제력을 갖게 되었다.[69]
650년 정복 전쟁 종결로 군사 행동에 종사했던 병사들은 전리품 수입이 끊기고 정부에서 지급되는 적은 봉급으로 생활해야 했다.[106] 이들은 마디나에서 부와 권력을 독점하는 이슬람교도 상류층에 불만을 품었고, 그들의 으뜸인 우스만에게 증오가 집중되었다.[106] 쿠파에서는 부족 간, 부족 집단 내 빈부 격차가 커서 정복 활동 종식 후 격렬한 내분이 일어났다.[169] 또한, 정복지 주민들 중에는 마디나에서 파견된 쿠라이시족에게만 통치가 위임된 것에 불만을 품는 자들도 있었다.[170] 우스만 시대에 실시된 사와피(아랍인들이 이라크에서 획득한 토지 중 황제, 신전, 귀족 소유지) 수입 변경에 대해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왔다.[171]
4. 2. 우스만 암살 사건
656년, 불만을 품은 반란군이 메디나로 진격하여 우스만을 암살했다. 이 사건은 이슬람 공동체의 분열을 초래하고, 이후 수니파와 시아파의 분열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61][62][63]이븐 쿠타이바 등 여러 수니파 학자들은 일부 지도적인 사하바가 우스만에게 혈연주의와 낭비 등의 이유로 사임을 요구했다고 전한다. 이집트, 쿠파, 바스라에서 각각 약 1,000명으로 구성된 병력이 메디나로 파견되었으며, 이들은 우스만을 암살하고 정부를 전복하라는 지시를 받았다.[62] 이집트 병력 대표들은 알리에게 칼리파 자리를 제안했지만 알리는 거절했다. 쿠파와 바스라 병력 대표들은 각각 알-주바이르와 탈하에게 칼리파 자리를 제안했지만, 그들 역시 거절했다.
반군은 우스만을 칼리파의 대안으로 제시하여 메디나의 여론을 흔들었고, 우스만의 지지 세력은 더 이상 단결된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우스만은 우마이야 가문과 메디나의 몇몇 사람들로부터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63] 초기에는 포위가 심각하지 않았지만, 며칠이 지나면서 반란군은 압박을 강화했다.[64] 메카로 순례를 떠나는 메디나의 순례자들로 인해 반란군의 입지가 더욱 강화되었고, 위기는 깊어졌다. 반란군은 하지(Hajj, 이슬람 순례) 이후, 이슬람 세계 각지에서 모인 무슬림들이 우스만을 구원하기 위해 메디나로 진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
포위 기간 동안 우스만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반란군보다 수가 많았지만, 우스만은 무슬림 간의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싸움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폭력 사태는 발생했고, 우스만의 집 문은 닫히고 압드 알라 이븐 알주바이르[64]와 하산 이븐 알리, 후세인 이븐 알리가 문을 지켰다.[65][66]
656년 6월 17일, 반군은 우스만의 집 대문을 발견하고 옆집을 통해 우스만의 집으로 뛰어들었다. 한 반군이 우스만의 수염을 잡고 흔들었고, 우스만은 보호를 위해 기도했다. 반군은 그의 머리를 찔렀고, 다른 반군들도 뒤따랐다.
윌퍼드 마델룽이 전설로 여기는 이야기에 따르면, 우스만의 아내 나일라 빈트 알-푸라파사는 칼날을 막으려다 손가락이 잘리고 밀쳐졌다. 이어진 공격으로 우스만은 사망했다. 우스만의 노예 몇 명이 보복했고, 그중 한 명은 암살자 중 한 명을 죽이고 살해되었다.
654년 우스만은 각지 총독들을 마디나로 소집하여 정세를 논의했다. 무아위야는 시리아로 피신을 권했으나, 우스만은 거부하고 마디나에 머물렀다.[149] 656년 바스라, 쿠파, 이집트 하급 병사들은 총독 부재를 틈타 연락을 주고받으며 마디나로 몰려들었다. 우스만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알리는 병사들을 설득하여 귀향시켰다.[150] 그러나 며칠 뒤 병사들은 마디나로 돌아와 우스만의 퇴위를 요구했다. 모스크에서의 설교와 예배는 충돌 장소가 되었고, 우스만에게 돌이 던져지기도 했다.[151]
수백 명의 반란자들은 우스만의 저택을 포위하고 방침 전환을 요구했으며, 마디나 주민들은 그를 돕지 않았다.[152] 우스만은 각지 총독에게 원군 파견을 요청했고, 교우들은 반란자 토벌 또는 망명을 권했지만, 우스만은 공격을 거부하고 저택에 남았다.[153] 6월 17일 병사들은 그의 저택으로 쳐들어가 포위 중에도 우스만은 꾸란을 낭송하고 있었다. 아부 바크르의 아들 무함마드가 처음으로 우스만을 공격했고,[154] 우스만은 칼에 찔리면서도 꾸란 낭송을 계속했다.[155] 깊은 상처를 입은 후에도 우스만은 꾸란을 끌어안았고, 꾸란은 그의 피로 붉게 물들었다고 한다.[155][156] 우스만을 살해한 병사들은 국고에서 재산을 빼앗아 달아났다.[157]
우스만의 유해는 살해당한 당일 마디나의 하쉬 카우카브에 몰래 매장되었다.[109] 무아위야는 우마이야 왕조 건국 후 하쉬 카우카브의 우스만 무덤을 찾아 묘지로 만들도록 명령했다. 우스만이 읽고 있었다고 전해지는 꾸란 사본은 타슈켄트(우스만 꾸란 사본)[158], 이스탄불 톱카프 궁전(톱카프 사본)[159]에 보관되어 있다.
서거 당시 우스만의 나이는 여러 설이 있다.[107][160] 역사학자 마수디는 우스만이 서거했을 때 많은 재산이 유산으로 남겨졌다고 기록하고 있다.[161] 우스만 살해에 대한 논쟁은 수백 년 동안 이어졌고,[162] 이슬람 정치 이론과 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다.[162]
5. 평가와 유산
우스만 이븐 아판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그리고 그의 역사적 유산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우스만은 이슬람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꾸란 정본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수니파 무슬림과 역사가들은 그의 관용과 무아위야, 압둘라 이븐 아미르 등 그가 임명한 친족들의 군사적, 정치적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82] 특히, 무아위야와 압둘라 이븐 사드에게 지시하여 지중해에서 최초로 통합된 무슬림 해군을 창설하도록 한 것은 비잔틴 제국의 해상 지배력에 필적하는 중요한 업적이었다.[83][84] 돛 전투 승리와 지중해 다른 해안으로의 확장은 키프로스[83][84] 및 로도스[85][86] 해상 정복을 가능하게 했고, 이후 여러 무슬림 국가 설립의 길을 열었다.[87][88] 또한, 분쟁 관리에 능숙하여 내부 갈등을 해결하고, 라시둔 영토를 크게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96]
그러나 우스만은 친족을 중용하고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63] 그의 친족 중심 인사는 많은 사람들의 불만을 샀고, 결국 656년에 암살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의 죽음은 이슬람 공동체의 분열을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60] 20세기 학자 버나드 루이스는 우스만이 메카 가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제국의 주요 직책이 그 가문의 구성원들에게 돌아갔다고 지적했다.[72] 또한, 사와피(이라크에서 획득한 토지)의 수입 변경은 역전의 백성으로부터 반대의 목소리가 나왔다.[171]
우스만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현재의 꾸란 버전을 통일시킨 것이다.[31] 우스만 이전에는 꾸란이 고정된 텍스트 없이 파편적인 형태와 구두 암송으로 존재했다.[99][100] 우스만은 자이드 이븐 사비트 등을 중심으로 꾸란의 "정본"을 편집하고 다른 판본을 폐기하여 오늘날의 꾸란 최종 형태를 만들었다.[104] 이는 움마 (공동체)와 이슬람법의 일체성을 확보하고, 이슬람 문명에 안정과 발전을 가져왔다.[180]
5. 1. 긍정적 평가
우스만은 이슬람 제국의 영토 확장과 꾸란 정본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수니 무슬림 공동체와 수니파 역사가들은 우스만의 관용과 그가 임명한 무아위야, 압둘라 이븐 아미르와 같은 친족들의 군사적, 정치적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82]우스만은 무아위야와 압둘라 이븐 사드에게 지중해에서 최초로 통합된 무슬림 해군을 창설하도록 허용했다. 이는 비잔틴 제국의 해상 지배력에 필적하는 것이었다.[83][84] 이븐 사드의 스페인 남동부 해안 정복, 리키아에서의 돛 전투 승리, 그리고 지중해 다른 해안으로의 확장은 최초의 무슬림 정규 해군 탄생을 이끌었다. 이는 키프로스[83][84] 및 로도스[85][86] 해상 정복을 가능하게 했고, 이후 우마이야와 아바스 시대에 지중해에서 여러 무슬림 국가 (시칠리아 토후국[89], 바리 토후국[90][91], 크레테 토후국[92], 아글라브 왕조[93]) 설립의 길을 열었다.[87][88]
우스만은 분쟁 관리에 능숙하여, 쿠파와 바스라와 같은 초기 이슬람 정복 지역의 격정적인 아랍 정착민들을 새로운 군사 작전에 투입했다.[96] 이는 내부 갈등을 해결하고, 라시둔 영토를 서쪽으로는 이베리아 남부[97], 동쪽으로는 신드, 파키스탄[98]까지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우스만은 현재의 꾸란 버전을 통일시킨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31] 우스만 이전에는 꾸란이 고정된 텍스트 없이 파편적인 형태와 구두 암송으로 존재했다.[99][100] 우스만은 같은 부족 사람들조차 꾸란 암송 방식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인지했다.[101] 후다이파는 우스만에게 "그들이 책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기 전에 이 민족을 구하십시오"라고 요청했다.[103] 우스만은 자이드 이븐 사비트 등을 중심으로 꾸란의 "정본"을 편집하고 다른 판본을 폐기하여 오늘날의 꾸란 최종 형태를 만들었다.[104] 이는 움마 (공동체)와 이슬람법의 일체성을 확보하고, 이슬람 문명에 안정과 발전을 가져왔다.[180]
우스만 시대에는 이슬람 국가의 해군이 정비되었다.[106] 우마르 시대에는 해군 증강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잦은 동로마군의 이집트 공격에 대해 시리아 총독 무아위야가 함대 창설을 제안했다.[181] 협의를 거쳐 시리아인과 이집트인으로 구성된 아랍 함대가 편성되었고,[182] 654년/55년[183] 리키아 앞바다의 마스트의 해전에서 동로마 함대에 승리하여 동지중해 제해권을 장악했다.[106]
5. 2. 부정적 평가
우스만 이븐 아판은 통치 기간 동안 친족을 중용하고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정책은 많은 사람들의 불만을 샀고, 결국 656년에 암살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63] 그의 죽음은 이슬람 공동체의 분열을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60]우스만은 칼리프국의 운영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총독을 선택할 때 가족 구성원을 편애했다.[69] 하지만 이는 오히려 임명자들이 더 많은 통제력을 갖게 되는 역효과를 낳았고, 심지어 이들은 자신들의 지역에 권위주의를 강요하기까지 했다.[69] 우스만이 임명한 총독들의 횡포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익명의 편지가 무함마드의 주요 동료들에게 많이 쓰여졌으며, 우스만 가문의 권력 남용에 대한 소문이 퍼져 제국 내 불안을 야기했다.[70]
20세기 학자 버나드 루이스는 우스만이 지배적인 메카 가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제국의 주요 직책이 하나하나 그 가문의 구성원들에게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우스만의 약점과 친족주의는 아랍 전사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잠재되어 있던 분노를 폭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72]
우스만 시대에 실시된 사와피(아랍인들이 이라크에서 획득한 토지 중, 황제, 신전, 귀족의 소유지를 지칭하는 지역)의 수입 변경은 역전의 백성으로부터 반대의 목소리가 나왔다.[171] 종래에는 사와피에서 올라오는 수입의 80%가 전리품으로서 토지 소유자에게 넘어가고, 나머지 20%가 칼리프의 몫이었지만, 전리품 감소로 인해 수입 전부가 칼리프의 몫이 되었다.[172] 이 때문에 655년에 이라크 총독은 체포되었고, 대신 현지 사정에 밝은 아부 무사 알 아샤리가 총독으로 옹립되었다.[172]
우스만은 재위 중에 국가의 혼란을 수습하지 못했기 때문에 통치 능력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115] 또한, 전임 칼리프인 아부 바크르와 우마르와 같은 존경을 받지는 못했다.[183]
5. 3. 역사적 유산
우스만은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그의 관용적인 통치 방식과 무아위야, 압둘라 이븐 아미르와 같은 친족들의 효율적인 군사 및 정치적 관리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수니파 무슬림 공동체와 역사가들은 이러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82]하지만, 자키 무함마드와 같은 일부 역사가들은 우스만이 왈리드 이븐 우크바의 경우처럼 부패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82]
우스만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무아위야와 압둘라 이븐 사드에게 지시하여 지중해에서 최초의 통합된 무슬림 해군을 창설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비잔틴 제국의 해상 지배력에 필적하는 것이었다.[83][84] 이븐 사드의 스페인 남동부 해안 정복, 리키아에서의 돛 전투 승리, 그리고 지중해 다른 해안으로의 확장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업적들은 최초의 무슬림 정규 해군 탄생을 이끌었고, 키프로스[83][84]와 로도스[85][86] 해상 정복을 가능하게 했다. 이는 이후 우마이야와 아바스 시대에 지중해에서 여러 무슬림 국가 (시칠리아 토후국[89], 바리 토후국[90][91], 크레테 토후국[92], 아글라브 왕조[93]) 설립의 길을 열었다. 우스만의 해군 발전과 정치적 유산의 중요성은 무함마드 M.Ag와 하산 칼릴레와 같은 학자들도 인정하고 있다.[94][95]
우스만은 분쟁 관리에 능숙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쿠파와 바스라와 같은 초기 이슬람 정복 지역을 다루면서, 격정적인 아랍 정착민들을 새로운 군사 작전과 확장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내부 갈등을 해결하고, 라시둔 영토를 서쪽으로는 이베리아 남부[97], 동쪽으로는 신드, 파키스탄[98]까지 확장시켰다.[96]
'''지속적인 종교적 영향'''
우스만은 현재의 꾸란 버전을 통일시킨 것으로 인정받는다.[31] 우스만 통치 이전에는 꾸란이 고정된 텍스트로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파편적인 형태와 구두 암송으로 전해졌다.[99][100] 같은 부족 사람들조차도 꾸란 암송 방식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101] 무함마드의 동료들이 꾸란을 모으려는 시도를 했지만, 표준화되지는 않았다.[102] 아나스 빈 말리크는 후다이파가 샴과 이라크 사람들의 꾸란 암송 방식 차이를 두려워하여 우스만에게 민족을 구할 것을 요청했다고 전한다.[103] 우스만은 하프사에게서 꾸란 사본을 받아 자이드 빈 사비트, 압둘라 빈 아즈주바이르, 사이드 빈 알-아스, 압두르라흐만 빈 하리트 빈 히샴에게 사본을 다시 쓰라고 명령했다.[103] 이 명령으로 오늘날 우리가 가지고 있는 꾸란의 최종 형태가 만들어졌고, 비록 몇 가지 작은 변형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변형된 읽기와 암송은 사라지거나 파괴되었다.[104]
참조
[1]
간행물
Musannaf Ibn Abi Shaybah
https://archive.org/[...]
[2]
서적
سيرة ومناقب عثمان بن عفان
https://books.google[...]
Dar al-Taqwa
2018-05-07
[3]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Volume XV. The Crisis of the Early Caliphate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4]
서적
The Succession to Muhammad: A Study of the Early Caliph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
서적
Kitab al-Tabaqat al-Kabir Volume 3
TaHa Publishers
2013
[6]
서적
Ar-Raheeq Al-Makhtum
Dar-us-Salam Publications
[7]
서적
Uthman bin Affan, the Third Caliph of Islam
Dar-us-Salam Publications
[8]
서적
Kitab Futuh al-Buldan
Longmans, Green & Co., & London: P. S. King & Son, Ltd.
1924
[9]
서적
Sirat Rasul Allah
Oxford University Press
1955
[10]
서적
Kitab al-Tabaqat al-Kabir
Kitab Bhavan
1967
[11]
서적
Hazrat Usman
Islamic Book Service
[12]
웹사이트
Talhah bin 'Ubaydullah R
http://www.islam4the[...]
[13]
백과사전
ʿUthmān ibn ʿAffān
http://www.oxfordisl[...]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Uthman ibn Affan | Biography, Achievements, & Assassination
https://www.britanni[...]
2023-06-13
[15]
서적
The Heirs Of The Prophet Muhammad: And The Roots Of The Sunni–Shia Schism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2010-11-04
[16]
간행물
A Chronology Of Islamic History 570–1000 CE
[17]
간행물
Nisa' Ahl al-Bayt
[18]
간행물
al-Bukhari
[19]
간행물
al-Rawd al-Anf
[20]
웹사이트
A Shi'ite Encyclopedia
https://www.al-islam[...]
Ahlul Bayt Digital Islamic Library Project
2013-11-12
[21]
서적
Musnad Ahmad Ibn Hanbal, Volume 4
[22]
서적
Tafsir al-Kabir, Volume 12
[23]
서적
Mishkat al-Masabih
[24]
서적
Habib al-Siyar, Volume 1, Part 3
[25]
서적
The Early Islamic Conquests
Princeton
[26]
서적
Origins and Early Development of Shia Islam
https://archive.org/[...]
1979
[27]
간행물
Yaqubi history
[28]
간행물
Translation of Tarikh Yaqoubi
[29]
간행물
al-Tanbīh wa-al-ishrāf
[30]
간행물
Translation of Tarikh Yaqoubi
[31]
서적
The Qur'an in Islam : its impact and influence on the life of muslims
https://archive.org/[...]
Zahra Publ.
[32]
웹사이트
Sahih Bukhari, volume 6, book 61, narrations number 509 and 510
http://www.sahih-buk[...]
2018-02-16
[33]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the Qur'an
https://archive.org/[...]
Blackwell
[34]
웹사이트
Zayd ibn Thabit and the Glorious Qur'an
http://www.irfi.org/[...]
[35]
서적
The Koran: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Qur'an made simple
Fountain Books
[37]
서적
The Qur'an – When was it compiled?
Fountain Books
[38]
서적
The Qur'an made simple
Fountain Books
[39]
서적
The Shi'a and their Beliefs
Fountain Books
[40]
웹사이트
Coins and Coinage
https://www.iranicao[...]
iranicaonline.org
[41]
웹사이트
A Restatement of the History of Islam and Muslims
http://al-islam.org/[...]
2006-10-04
[42]
웹사이트
The Gold Coins of Muslim Rulers
http://www.cyberista[...]
2007-07-22
[43]
문서
History of the Prophets and Kings
[44]
서적
The Middle East: A History
McGraw Hill
[45]
서적
European Naval and Maritime History, 300–1500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46]
서적
History of the Jihad: Islam Versu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05-03-16
[47]
서적
A History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8-26
[48]
서적
Prophets and Princes: Saudi Arabia from Muhammad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7-28
[49]
서적
The Medieval Siege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1992
[50]
서적
Kisah Hidup Utsman ibn Affan citing Tarikh at Thabari and al Bidayah wal Nihayah (71/158)
https://books.google[...]
Serambi Ilmu Semesta
[51]
문서
History of the Prophets and Kings
[52]
문서
Al-Bidayah wa al-Nihayah
[53]
문서
Ridpath's Universal History
Merrill & Baker
[54]
서적
The Muslim Conquest of Persia
[55]
서적
Shadows in the Desert: Ancient Persia at War
Osprey Publishing
[56]
서적
Iraq After the Muslim Conquest
https://books.google[...]
Gorgias Press
2005
[5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ranian History
https://books.google[...]
Bookland
[5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Cambridge
[60]
서적
Sirat-i-Hazrat Usman-i-Ghani
Mushtaq Ahmed Lahore
[61]
문서
Hilya al-Awliya'
[62]
웹사이트
Uthman ibn Affan
http://sunnah.org/pu[...]
2007-09-29
[63]
서적
Muhammad and the Conquests of Islam
London
[64]
뉴스
"The Murder of the Caliph Uthman,"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1972
[65]
서적
Prophets and Princes: Saudi Arabia from Muhammad to the Present
[66]
문서
Al Nahaya
[67]
서적
The Succession to Muhammad
[68]
간행물
Confronting the Caliph: ʻUthmân b. ʻAffân in Three ʻAbbasid Chronicles
2011
[69]
간행물
ʿUt̲h̲mān b. ʿAffān
Brill
[70]
서적
A Chronology of Islamic History, 570–1000 CE
[71]
문서
The Succession to Muhammad
[72]
서적
The Arabs 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73]
웹사이트
Hazrat Usman
https://web.archive.[...]
[74]
웹사이트
'Uthman ibn 'Affan : The Man With Two Lights (Part Two)
http://www.writerini[...]
2005-11-29
[75]
논문
Tarikh al-Rasul wa'l-Mulu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6]
서적
Textual Sources for the Study of Islam
[77]
서적
The Encyclopa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78]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Volume XV: The Crisis of the Early Caliphate
https://archive.org/[...]
[79]
서적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With View of Greek Philosophy and Early History of Islam
https://books.google[...]
Authors On Line
[80]
서적
The Heirs Of The Prophet Muhammad: And the Roots of the Sunni-Shia Schism
[81]
서적
The ultimate ambition in the arts of erudition : a compendium of knowledge from the classical Islamic world
Penguin Books
2016
[82]
서적
History of Muslim Rule – The Prophet and The Early Rulers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83]
서적
A Chronology Of Islamic History 570–1000 CE
[84]
서적
The Great Arab Conquests By Hugh Kennedy
[85]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86]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87]
서적
The Legacy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BRILL
[88]
서적
History of the Mohammedan Dynasties in Spain Oriental translation Fund
https://books.google[...]
[89]
뉴스
Brief history of Sicily
http://www.stanford.[...]
Archaeology.Stanford.edu
2008-11-24
[90]
서적
Before the Normans: Southern Italy in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1]
문서
Kreutz citation of Baladhuri
[92]
문서
Makrypoulias
[9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94]
서적
Kebijakan fiskal dan moneter dalam ekonomi Islami
https://books.google[...]
Salemba Empat
[95]
간행물
Nav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6]
논문
The 'Abbāsid Revolution
[97]
서적
translation The History of al-Tabari Vol. 15
https://books.google[...]
SUNY Press
[98]
문서
Tabri
[99]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https://web.archive.[...]
2023-06-06
[100]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Search Results - palmed stalks, thin white stones and also from the men who knew it by heart (page 1)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s[...]
2023-08-27
[10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Search Results - jump over him during his prayer, but I controlled my temper (page 1)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s[...]
2023-08-27
[102]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Search Results - Therefore I (Umar) suggest, you (Abu Bakr) order that the Qur'an be collected (page 1)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s[...]
2023-08-27
[103]
웹사이트
Sahih al-Bukhari 4987 - Virtues of the Qur'an - كتاب فضائل القرآن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b[...]
2023-08-27
[104]
웹사이트
The Preservation of Al-Quran (Hafs vs Warsh/Other recitations)
https://topicsfromqu[...]
2021-03
[105]
문서
正統四カリフ伝
[106]
서적
ウスマーン・イブン・アッファーン
[107]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08]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二千年
[109]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1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11]
서적
イスラーム文明と国家の形成
[112]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興隆
[113]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二千年
[114]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15]
서적
ウスマーン・イブン・アッファーン
[116]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17]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18]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19]
서적
ムハンマドの生涯
[12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1]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2]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3]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4]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5]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6]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7]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8]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29]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1]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2]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3]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4]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5]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6]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7]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8]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39]
서적
イスラーム文明と国家の形成
[14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41]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42]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43]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44]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45]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46]
서적
イスラム世界
[147]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興隆
[148]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49]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5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51]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52]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53]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54]
서적
アラブの歴史
[155]
서적
イスラム世界
[156]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57]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58]
서적
ウスマーンのクルアーン
岩波書店
2002-02
[159]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興隆
[16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61]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二千年
[162]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二千年
[163]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64]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65]
서적
イスラーム文明と国家の形成
[166]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67]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68]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69]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7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71]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72]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73]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74]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75]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76]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イスラームの歴史
共同通信社
2005-04
[177]
서적
イスラム世界
[178]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79]
서적
イスラーム全史
[180]
서적
イスラーム文明と国家の形成
[181]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82]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83]
서적
イスラーム世界の二千年
[184]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85]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86]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87]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88]
서적
イスラーム文明と国家の形成
[189]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90]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91]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192]
서적
正統四カリフ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