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중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중문은 북주, 수나라 시대를 거치며 활약한 무장으로, 수 문제, 수 양제 시기에 요직을 역임했다. 북주 시대에 총명함으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울지형의 난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지략과 용맹을 보여 하남 지역을 평정했다. 수나라 건국 후 돌궐 토벌, 운하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으며, 수 양제의 고구려 침략 당시에는 살수대첩의 패배로 책임을 지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나라의 작가 - 진숙보
진숙보는 진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사치와 폭정, 안일한 대처로 나라를 멸망시킨 무능한 군주였으나 문학적 재능은 뛰어났다. - 545년 출생 - 북제 폐제
북제 폐제는 북제의 제2대 황제로, 유약한 성격으로 아버지에게 소외당했으며 숙부에게 폐위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 하남 우씨 - 우지녕
우지녕은 수나라에서 당나라로 이어진 시기에 활약하며 이세민의 참모, 중서시랑, 시중 등을 역임했고, 역사 편찬에 참여하며 정치적 소신을 드러낸 인물이다. - 하남 우씨 - 우근 (인물)
우근은 남북조 시대 서위와 북주의 무장으로, 팔주국 중 한 명으로서 북위에서 무관으로 시작해 서위 건국에 기여하고 높은 지위에 오른 인물이다.
| 우중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우중문(于仲文) |
| 자 | 차무(次武) |
| 출생 | 545년 |
| 사망 | 613년 (68세) |
| 사망 원인 | 분사(憤死) |
| 국적 | 서위 → 북주 → 수나라 |
| 출생지 | 하남군 낙양 |
| 직업 | 정치인, 장군, 문인 |
| 작위 | 연수군공 |
| 칭호 | 주국, 광록대부(훈관과 산관) |
| 적수 | 을지문덕 |
| 관련 활동 | (주요 참전) 울지형의 난, 돌궐과의 전쟁, 제2차 여수전쟁 |
| 경력 | |
| 주요 경력 | 안고태수 동군태수 하남도대행대 태자우위솔 우익위대장군 |
2. 생애
2. 1. 북주 시기 (557년 ~ 581년)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부지런히 배우기를 좋아했다. 9살 때 당시 서위의 실권을 장악했던 우문태가 책에 무엇이 있느냐고 묻자 자부사군(資父事君)이라 대답하여 그를 몹시 감탄하게 하였다.[1] 《주역》, 《예기》 등을 공부했고 장성해서는 특출한 재주에 기개가 있어 큰 뜻을 품으니 주위로부터 명공자(名公子)라 불렸다.안고태수(安固―)로 있을 때 주군(州郡)에서 오랫동안 풀지 못하던 일을 해결했다. 임(任)씨와 두(杜)씨의 두 집에서 각각 소를 잃었다가 1마리를 다시 찾았는데 서로가 자기 것이라 주장하였다. 익주 장사 한백준(韓伯儁)은 우중문이 어려서부터 총명했으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우중문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소떼를 몰게 하였다. 그랬더니 그 소는 임씨의 소떼 속으로 향했다. 또 그 소에게 작은 상처를 냈더니 임씨는 탄식하고 두씨는 태연했다. 마침내 두씨를 꾸짖고 죄를 물었다.
죄를 저질렀음에도 우문호와 친한 덕에 무탈하던 시주자사(始州―) 굴돌상(屈突尙)도 하옥시키는 등 고을 사람들로부터 ‘강자에게 굴하지 않고 둘도 없는 밝은 판단을 한다’는 칭찬을 받았다. 얼마 가지 않아 어정하대부(御正下大夫) 연수군공(延壽郡公)에 봉해지고 식읍은 3,500호에 이르렀다. 수차례 전투에도 공을 세워 의동삼사(儀同三司)까지 받았다. 선제 때부터는 동군태수로 재직했다.
2. 2. 울지형의 난과 하남 평정 (580년)
580년(대상 2년) 양견이 섭정으로서 승상에 올라 전권을 장악하자 상주총관(相州總管, 지금의 허난성 안양 시) 촉국공(蜀國公) 울지형[2]이 난을 일으켰다.[3] 울지형은 단양(檀讓)을 파견하여 하남 방면을 확보하려 하였다. 우중문은 울지형의 회유를 거절하고, 그 부하 우문위(宇文威)에게 공격받았으나 반격하여 대파하고 500여 명을 베었다. 이 공으로 개부의동삼사에 올랐다.울지형이 우문주(宇文胄)를 보내자, 우문주와 우문위는 두 길로 다시 공격해왔고, 병사들이 매우 동요하였다. 우중문은 독려하며 싸웠으나 버티지 못하고, 처자식을 두고 60여 기(騎)만 거느린 채 서문으로 빠져나와 포위를 뚫고 달아났다. 17명이 죽었지만 반군의 추격을 뿌리치고 수도 장안에 도달했다. 울지형은 우중문의 자식들을 살해했다. 양견은 비단 500단과 황금 200냥을 하사하며 위로하고, 대장군으로 진급시키고 하남도행군총관에 임명하여 단양을 토벌하게 하였다. 우중문은 영교(永橋)에서 울지형을 막고 있던 위효관과 합류하였다.
변주(汴州, 지금의 허난성 카이펑시) 동쪽의 예오(倪塢)에서 유자앙(劉子昂)과 유욕덕(劉浴德)을 격파했다. 양군으로 가던 중 7리 정도 남은 요제(蓼隄)에서 수만 명으로 지키고 있던 단양을 만났다. 장수들은 군사들이 지쳐있으니 이기기 어렵다고 하였으나, 우중문은 밥먹는 것을 재촉하며 싸웠다. 약한 병사들로 싸우자고 꼬드긴 후에 거짓 패배하니 단양은 교만에 빠졌다. 이에 정예병으로 좌우에서 협공하여 5,000여 명을 포획하고 700명을 죽였다. 장수들이 승리의 비결을 묻자, “우리 병사들은 모두 산동 사람이다. 고향이 오랫동안 전란에 휩싸여 있는 것을 그대로 둘 수 없어 빠르게 나아가니 그 기세에 올라탄 것이 승리한 이유이다.”라고 웃으며 답하였다.
멈추지 않고 양군으로 진격하니 유자관(劉子寬)은 성을 버리고 도주했다. 이마저 추격하여 사로잡거나 죽인 이가 수천 명이었다. 이내 조주(曹州, 지금의 산둥성 허쩌시)도 탈환하여 그 자사 이중강(李仲康)을 붙잡았다. 단양이 남은 무리를 이끌고 주둔하고 있던 성무(城武)도 빠르게 기습하여 함락시켰다.
패현(沛縣)에 있던 석비라(席毗羅)가 100,000명으로 서주(徐州)를 치려 했다. 그의 본거지는 금향(金鄕)이었다. 우중문은 거짓으로 석비라의 사자(使者)인 양 꾸며서 금향 성주 서선정(徐善淨)에게 단양이 내일 금향으로 와서 울지형의 명령과 상을 줄 것이라고 하였다. 다음날 날랜 병사들을 뽑아 울지형의 깃발을 세우고 나아가니 서선정이 속아서 영접하려 할 때 그를 잡고 성을 취했다. 장수들이 성에 있는 사람들을 죽이길 권했으나 석비라의 병사들이 스스로 귀부할 수 있도록 관대해야 한다며 거절했다. 사람들은 우중문의 덕망을 칭송했다.
석비라는 병력의 수많음을 믿고 우중문을 업신여기며 금향으로 왔다. 우중문은 성을 등지고 진을 친 후 마밭에 복병을 숨겼다. 양 군이 맞붙었을 때 복병이 뛰쳐나와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니 석비라군은 뿔뿔히 흩어지고 수수(洙水)에 뛰어들어 익사한 자가 많았다. 그 시체로 인해 물이 흐르지 못할 정도였다. 단양을 사로잡고 석비라를 참수하여 모두 수도로 보냈다. 이로써 하남이 평온해졌다. 양견은 우중문을 불러들여 연회를 베풀고 극진히 대접하였다. 비단 1,000여 단과 기녀 10명을 하사하고, 주국(柱國) 하남도 대행대(―大行臺)에 임명했다.
2. 3. 수나라 건국 초기 (581년 ~ 604년)
581년 양견이 수나라를 세운 뒤, 우중문은 숙부 우익(于翼)의 일에 연좌되어 하옥되었다가 상소문을 올려 석방되었다.[3] 이후 돌궐을 방비하는 요새인 백랑(白狼)에서 병사를 이끌고 주둔했다. 다음 해 행군원수(行軍元帥)로서 돌궐을 공격하여 1,000여 명을 베었다. 금하(金河)를 따라 신명근(辛明瑾) 등과 함께 병사 20,000명을 이끌고 성락도(盛樂道)로부터 나힐산(那頡山)으로 진격하고, 자신은 내[川]의 북쪽을 지켰다. 가한(可汗)은 이 위용에 싸우지 않고 퇴각했다. 우중문은 정예기병 5,000명으로 산을 넘어 추격했으나 놓쳤다.당시 상서성의 문서가 번잡하여 관리들이 간사한 꾀를 부렸기에 문제는 우중문에게 이를 감독하게 하였다. 우중문은 명료한 판단으로 많은 비리를 적발하였고, 황제는 기뻐하며 후하게 상을 주었다. 또 위수(웨이허)에 운하를 뚫는 일을 맡아 조운 수송에 이바지했다.
588년[4] 문제가 진(陳)을 멸하고 중국을 통일하기 위해 군을 일으켰을 때, 진왕(秦王) 양준(楊俊) 휘하에서 행군총관이 되어 수군을 이끌고 장산(章山, 지금의 후베이성 중샹 시)에서 한구(한커우)로 출격하였다. 589년 진의 영주자사 순법상(荀法尚) 등이 항복하자 이들의 무기를 거두었다. 590년[3] 고지혜(高智慧)가 강남(江南)에서 난을 일으키자, 다시 행군총관이 되어 토벌에 참가했다. 이때 군량이 부족했는데, 곡물 값이 뛰어오르자 우중문이 사사로이 팔았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제명됐다가 다음 해 관작이 복구되고 마읍(馬邑, 지금의 산시성 숴저우시)에서 둔을 쳐서 돌궐을 방비했다.
진왕(晉王) 양광(훗날 수 양제)은 우중문의 재주를 눈여겨보고 문제에게 청하여 양광의 군사 업무를 돕게 했다. 600년[3] 돌궐이 변방을 침입했을 때 원수(元帥) 양광 휘하에서 선봉을 맡아 이를 대파하고 돌아왔다. 양광이 황태자가 되자 우중문도 태자우위솔(太子右衛率)이 됐다. 604년(인수 4년) 양광이 즉위한 후, 우중문은 우익위대장군(右翊衛大將軍)으로 옮겨 문무 사무의 인선을 관장하였다.[5] 토욕혼 정벌에도 종군하고 광록대부(光祿大夫)에 오를 정도로 양제에게 큰 신임을 받았다.
2. 4. 양제 시기와 제2차 여수전쟁 (604년 ~ 613년)
612년(대업 8년) 양제의 제2차 여수전쟁에 참전하여 24개 군 중 좌(左) 제12군[6] 낙랑도(樂浪道)군을 맡아 오골성으로 갔다. 6월(음력), 고구려의 수도 평양을 직공(直攻)하는 별동대 9개 군 중 한 군으로 뽑혀 우문술 등과 함께 진격했다.[7] 일부러 야윈 말과 나귀 수천 마리를 가려서 뒤에 배치하고 동쪽으로 가던 중 고구려군이 치중대를 기습하자 오히려 반격하여 격파했다.압록수에 닿자 고구려 장수 을지문덕이 거짓으로 항복해 진영 안으로 들어왔다. 우중문은 고구려 왕이나 을지문덕이 오면 붙잡으라는 양제의 밀지를 받았었기에 잡으려고 했으나, 위무사로 종군하고 있던 상서 우승(尙書右丞) 유사룡이 굳이 말려서 그만두고 돌아가게 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를 후회하여 다시 오라고 했으나 을지문덕은 따르지 않고 강을 건너가버렸다. 우중문이 정예기병을 선별해 강을 넘어 추격하니 싸울 때마다 이겼다. 이에 을지문덕은 우중문을 희롱하는 시 〈유우중문〉을 보냈다.[8] 우중문은 답서를 보내 회유했음에도 을지문덕은 영채를 불태우고 달아났다.
을지문덕도 놓쳤고 군량도 다 떨어졌으므로 우문술이 그만 돌아가자고 하였다. 허나 우중문은 지금 돌아가면 무슨 면목으로 황제를 볼 수 있겠냐고 화를 내며 추격을 고집했다. 우문술도 언성을 높였으나, 일전에 양제가 우중문이 계획성이 있으니 그의 의견을 경청하라고 하였기에 부득이 따랐다. 7월(음력) 평양 직전까지 들어가기는 했지만 결국 별다른 소득 없이 굶은 병사들을 데리고 철수하였다. 그래도 건제를 유지하여 방진(方陣)을 갖추며 왔으나 살수(지금의 청천강)에서 도하하던 중 습격을 받아 2,000여 명만 돌아오는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7]
양제는 몹시 분노하여 패장(敗將)들을 모두 서민으로 강등시켰다. 이에 여러 장수들이 추격을 고집했던 우중문에게만 죄를 떠넘겨 그를 제외하고 모두 풀려났다. 우중문은 홀로 울분에 가득 차서 병을 얻었고 몹시 악화되자 석방될 수 있었으나 이내 집에서 죽었다. 나이 68세였다.
2. 5. 죽음
612년(대업 8년) 양제의 제2차 여수전쟁에 참전하여 24개 군 중 좌(左) 제12군[6] 낙랑도(樂浪道)군을 맡아 오골성(烏骨城)으로 갔으며, 고구려의 수도 평양을 직공(直攻)하는 별동대 9개 군 중 한 군으로 뽑혀 우문술과 함께 진격했다.[7] 압록수에서 고구려 장수 을지문덕이 거짓 항복하자, 고구려 왕이나 을지문덕을 잡으라는 양제의 밀지를 받았기에 우중문은 그를 잡으려 했으나 상서 우승(尙書右丞) 유사룡이 말려 그만두었다. 이를 후회하여 다시 을지문덕을 불렀으나 따르지 않았고, 우중문은 정예기병으로 추격하여 을지문덕과 싸워 이겼다. 을지문덕은 우중문을 희롱하는 시 〈유우중문〉을 보냈고,[8] 우중문은 답서를 보내 회유했으나 을지문덕은 영채를 불태우고 달아났다.을지문덕을 놓치고 군량이 부족하여 우문술이 돌아가자고 하였으나, 우중문은 추격을 고집하였다. 우문술도 언성을 높였지만, 양제가 우중문의 계획성을 언급하며 그의 의견을 경청하라고 하였기에 따랐다. 결국, 7월(음력) 평양 직전까지 진격했지만, 굶주린 병사들을 데리고 철수하였다. 방진(方陣)을 갖추며 철수했으나 살수(지금의 청천강)에서 도하하던 중 습격을 받아 2,000여 명만 돌아오는 참패를 당했다.[7]
양제는 분노하여 패장(敗將)들을 서민으로 강등시켰고, 여러 장수들이 추격을 고집했던 우중문에게만 죄를 떠넘겨 그를 제외하고 모두 풀려났다. 우중문은 홀로 울분에 가득 차서 병을 얻었고 몹시 악화되자 석방되었으나 이내 집에서 죽었다. 나이는 68세였다.
3. 가계
4. 저서
wikitable
| 제목 | 권수 |
|---|---|
| 한서간번(漢書刊繁) | 30권 |
| 약람(略覽) | 30권 |
5. 평가
6. 대중문화
참조
[1]
문서
아버지를 자료로 하여 임금을 섬길지니, 아버지 섬기는 효도로 임금을 섬겨야 함
[2]
서적
자치통감
호삼성
[3]
서적
수서
[4]
서적
수서
[5]
서적
수서
[6]
서적
수서
[7]
서적
자치통감
[8]
서적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