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처(悟澈, 1927년 ~ 2023년)는 중화민국의 불교 승려로, 불광산 불교 종단의 창립자이자 '인간 불교'를 주창한 인물이다. 12세에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았으며, 1949년 국공 내전 이후 대만으로 건너가 불광산사를 설립했다. 그는 불교 서적 저술과 교육 활동에도 힘썼으며, 여러 학교와 대학을 설립하고 사회 봉사에도 기여했다. 2023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대만과 중국 양안의 정계 인사들이 그의 장례식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불교 -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사천왕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사천왕은 성옌, 싱윈, 쳉옌, 웨이취에로, 타이완 불교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화와 세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영향력 있는 네 명의 주요 인물이다. - 대만의 불교 - 정옌
정옌은 1966년 자제공덕회를 설립하여 빈곤층 지원, 의료 지원, 교육, 재해 구호, 환경 보호 등 다양한 자선 활동을 펼치는 대만의 불교 승려이자 자제종의 정신적 지도자이다. - 양저우시 출신 - 판위량
판위량은 기녀 출신으로 사회적 편견을 이겨내고 서양화가로 성공하여 여성의 자유를 표현하며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준 중국 근현대 미술의 중요한 인물이다. - 양저우시 출신 - 양융연
양융연은 오나라의 두 번째 통치자로서 홍농군왕의 자리를 계승하고 오나라 국왕으로 즉위하여 사실상 독립을 선언했으나, 서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사후 선왕으로 시호를 받았다. - 대만의 철학자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대만의 철학자 - 즈강
즈강은 중국 태생의 대만 불교 승려이자 학자, 작가, 법고산의 창시자로, 불교 승려가 된 후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법고산을 창립하여 불교 세계화에 기여했다.
| 우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리궈선 (李國深) |
| 법명 | 진주에 (今覺), 우처 (悟徹) |
| 존칭 | 대사 (大師) |
| 출생일 | 1927년 8월 19일 |
| 사망일 | 2023년 2월 5일 |
| 출생지 | 장쑤성 양저우시 장두구, 중화민국 |
| 사망지 | 포광산사, 가오슝, 타이완 |
| 국적 | 타이완 |
| 종교 | |
| 종교 | 불교 |
| 종파 | 임제종, 포광산 종파 |
| 법맥 | 48대 |
| 교육 | |
| 교육 기관 | 치샤 율학원 |
| 활동 | |
| 직업 | 승려 |
| 주요 업적 | 대만 현대 인간불교 운동의 아버지 |
| 사사 | 스즈카이 (釋志開) |
| 사찰 | 포광산 |
| 기타 정보 | |
| 한자 표기 | 정체자: 星雲 간체자: 星云 |
| 병음 | Xīngyún |
| 웨이드-자일스 | Hsing-yün |
| 주음부호 | ㄒㄧㄥ ㄩㄣˊ |
| Gwoyeu Romatzyh | Shingyun |
| POJ | Seng-hûn |
| 별칭 | 리궈선 (李國深) |
2. 생애
우처(悟徹|오철중국어, 속명: 리궈선(李國深), 법호: 싱윈(星雲))는 1927년 중화민국 장쑤성 양저우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할머니의 영향으로 불교를 접했다.[4] 1938년 난징시 치샤사에서 출가하여 승려의 길을 걷기 시작했으며,[4] 이후 타이쉬 스님의 개혁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싱윈'(星雲)이라는 법호를 사용했다.[5]
국공 내전 이후 1949년 대만으로 이주하여 초기에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점차 활동 기반을 넓혀나갔다.[5][6] 1967년 가오슝에 불광산사를 창건하고 인간 불교 이념을 중심으로 불교 대중화와 국제 포교에 힘썼다.[6][7] 불광산은 교육, 문화, 자선 사업 등 다양한 분야로 활동 영역을 넓히며 대만 사회의 주요 종교 단체로 성장했으며, 전 세계 50여 개국에 지부를 둔 국제적인 조직으로 발전했다.[10][11][12][13][4]
우처는 1985년 불광산 주지직에서 물러난 후 국제불광회를 창설하여 활동을 이어갔으며,[8][9] 달라이 라마, 교황 등 다른 종교 지도자들과의 교류에도 힘썼다. 중국 대륙과는 문화 대혁명 이후 문화 복원 및 자선 활동을 중심으로 관계를 맺었으며,[13][22] 정치적으로는 중국 국민당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노년에는 건강 문제로 투병하다 2023년 2월 5일 향년 96세로 입적했다.[33] 그의 장례식에는 차이잉원 총통 등 각계 인사와 많은 신도들이 참석하여 그의 업적을 기렸다.[34]
2. 1. 출생과 초기 불교 입문
우처(싱윈, Hsing Yun, 본명: 리궈선(李國esen))는 1927년 8월 19일, 중화민국 장쑤성 양저우시 장두구에서 태어났다.[4] 아버지는 리청바오(李成保), 어머니는 류위잉(劉玉英)이다. 어린 시절 한때 쑤저우에서 잠시 지낸 적이 있다.싱윈이 불교에 처음 입문하게 된 계기는 독실한 불교 신자이자 명상가였던 할머니의 영향이었다.[4] 승려가 되기 직전인 1937년 무렵, 실종된 아버지를 찾기 위해 어머니와 함께 난징으로 갔으나 찾지 못했다.[4]
1938년, 12세의 나이로 난징시 치샤사에서 즈카이(志開) 스님을 은사로 하여 출가하였고, 진주에(今覺)라는 법명으로 사미계를 받았다.[4] 이후 1941년 같은 사원에서 루오순(若舜) 스님에게서 구족계를 받고 우처(悟徹)라는 법명을 받았다.[4]
1945년 자오산(焦山) 불교학원에 입학하여 공부하면서 불교 현대주의에 처음 영향을 받았다.[5] 이곳에서 그는 타이쉬(太虛) 스님의 불교 및 승가 개혁 사상을 접하게 되었다.[5] 이 시기 자신의 새로운 관점을 담아 '싱윈'(星雲, 성운)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5]
2. 2. 대만으로의 이주와 불광산사 창립
1949년 국공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한 후 대만으로 이주했다.[5] 이는 중화민국 대륙 시기 본토를 떠나 새로운 활동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만 도착 초기에는 타오위안시 중리(中壢)의 위안광사(圓光寺)에 머무르며 대만 불교학원의 학승이 되었다.[33] 그러나 도착 직후 다른 여러 불교 승려들과 함께 당국에 체포되었다가 23일 만에 풀려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6]석방 이후 우처는 대만 사회에서 점차 활동 영역을 넓혀가며 많은 신도를 확보하고 여러 사찰 건립에 관여했다.[6] 1953년에는 이란현의 레이인사(雷音寺)로 옮겨 활동했으며,[33] 1957년에는 가오슝에 불교당(佛教堂)을 건립하고 책임자인 감원(監院)으로 취임했다.[33]
본격적인 교단 설립의 기반은 1966년 가오슝 외곽에 대규모 사찰 건립을 위한 토지를 구입하면서 마련되었다.[6] 이듬해인 1967년, 부분적으로 완공된 사찰을 열어 불광산사(佛光山寺)를 창립(개산, 開山)하였다.[6][33] 이 사찰은 이후 세계적인 불교 단체로 성장한 불광산 불교 교단의 본부가 되었다.[6] 같은 해 불광산 동방 불교학원(佛光山東方佛教學院중국어)도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다.[33]
불광산 불교 교단은 인간 불교(Humanistic Buddhism)의 이념을 중심으로 활동하며,[7][6] 우처는 1985년 주지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교단을 직접 이끌었다.[8][9] 주지직 퇴임 후에는 인간 불교 이념을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국제불광회(Buddha's Light International Association)를 설립하여 활동을 이어갔다.[9]
2. 3. 교육 및 저술 활동
| 구분 | 내용 | 연도/기간 |
|---|---|---|
| 학사 | 홍콩 대학교 철학과 | 1968년 |
| 명예 박사 | 소련 동방노력자공산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 1978년 |
| 객원교수 | 국립 타이완 대학 철학과 | 1984년 2월 ~ 1984년 8월 |
| 소장 | 중국 문화 대학교 인도연구소 | 1980년 취임 |
| 교수 | 둥하이 대학 철학과 | 1981년 취임 |
우처는 교육과 저술 활동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45년 자오산 불교 대학에서 공부하며 불교 현대주의에 처음 영감을 받았다.[5] 1947년에는 이싱시 바이타산 다쥐에사 주지를 맡으며 백탑 국민소학교 교장으로 취임했다. 1948년에는 난징시 화장사 감원으로 일하며 즈융 법사와 함께 '노도 월간'을 창간했다.
대만으로 건너간 후인 1952년에는 대만 불교학원 학승이 되었다. 이후 교육 기관 설립에도 힘썼는데, 1956년 자이 유치원을 창립했고, 1964년에는 서우산사를 건립하며 서우산 불교학원과 불교 지광 상공 직업 학교를 창설했다. 1967년에는 불광산사를 개산하고 불광산 동방 불교학원을 건립했다. 1977년에는 푸먼 중학교를 세웠다.
1980년대에는 대학에서도 활동하여, 1980년 중국 문화 대학교 인도연구소 소장, 1981년 둥하이 대학 철학과 교수를 맡았다. 1984년에는 국립 타이완 대학 철학과 객원교수로 잠시 재직했다.
국제적인 교육 활동으로는 1990년 7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University of the West|서래 대학eng을 건립했으며, 1996년에는 대만에 난화 관리 대학을 설립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중국 본토에서도 교육 관련 시설 건립에 기여하여, 양저우시 다밍사에 젠전 도서관을, 난징 대학에 불광루를 건립했다. 2010년 3월 22일에는 난징 대학에 3000만위안을 기부하여 중화 문화 연구원 빌딩 건설과 관련 연구를 지원했다.
그가 창설한 불광산 종단은 여러 학교와 대학을 설립하고 운영하며, 고아원, 양로원, 교도소 내 마약 재활 프로그램 지원 등 다양한 교육 및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10][11][12]
2. 4. 국제 교류 및 사회 참여
우처는 불광산 불교 운동을 통해 대만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49년 국공 내전 이후 대만으로 건너와 여러 사찰을 건립하고 많은 신도를 이끌었다. 1966년 가오슝에 부지를 마련하여 대규모 사찰 불광산사 건립을 시작했고, 1967년 부분 완공 후 개원하여 불광산 불교 교단의 본부로 삼았다.[6]
불광산은 인간 불교를 표방하며[7][6], 우처는 1985년까지 교단의 주지를 맡았다.[8][9] 주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인간 불교를 기반으로 하는 국제불광회를 설립했다.[9] 불광산은 대만 사회의 주요 행위자 중 하나로 성장하여 여러 학교와 대학을 설립했으며[10](1956년 자이 유치원, 1964년 서우산 불교학원 및 불교 지광 상공 직업 학교, 1967년 불광산 동방 불교학원, 1977년 푸먼 중학교, 1990년 미국 서래대학, 1996년 난화 관리 대학 등), 고아원, 양로원 운영 및 교도소 내 마약 재활 프로그램 지원 등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쳤다.[11][12] 또한 국제 구호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1][12]
국제적으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71년 중일 불교 관계 촉진회 회장, 1978년 국제 불교 촉진회 초대 회장, 1984년 미국 불교 청년 총회 이사장, 중화 한장 문화 협회 이사장, 세계 불교 청년회 명예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84년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달라이 라마와 네 차례 회담을 가졌으며, 1997년에는 바티칸에서 교황과 만나 종교 간 대화를 나누었다. 1992년에는 세계 불교도 우의회 영구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불광산은 대만 내 300개 이상의 지부 외에도[12] 미국,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브라질 등 전 세계 50개국 이상에 지부를 설립했다.[13][4]
21세기 초부터는 중국 본토에도 진출하여, 포교 활동보다는 자선 사업과 중국 문화 부흥에 초점을 맞추었다.[13] 이는 중국 정부와의 마찰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특히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 내 전통문화 부흥 정책과 맞물려 불광산의 입지가 강화되었다.[13] 우처는 중국 본토에서의 활동 목표가 불교 전파가 아닌, 문화 대혁명으로 훼손된 중국 문화를 재건하는 데 협력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22] 이를 위해 고향인 장쑤성 이싱시의 다쥐에사 재건을 지원하고, 양저우시의 다밍사에 젠전 도서관을, 난징 대학에 불광루를 건립했다. 2010년에는 난징 대학에 중화 문화 연구원 빌딩 건설 및 연구 지원 명목으로 3000만위안을 기부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이란현 불교 지회 이사장(1959년, 1961년), 중국 문화 대학 인도연구소 소장(1980년), 둥하이 대학 철학과 교수(1981년) 등을 역임하며 교육과 학술 분야에도 기여했다. 과거 중국 국민당에 입당(1949년)하여 당무고문위원을 지내다 1959년 탈당했으며, 1988년에는 중국 국민당 제13회 중앙평의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2023년 2월 5일 향년 96세로 별세했으며,[33] 2월 13일 거행된 장례식에는 차이잉원 총통, 천치마이 가오슝 시장, 주리룬 중국 국민당 주석 등 각계 인사와 신도 약 5만 명이 참석했다. 차이잉원 총통은 국가 공헌을 기리는 포양령을 수여했고, 천치마이 시장은 가오슝시 명예 시민 증서를, 주리룬 주석은 실천 일등 훈장을 추서했다.[34] 중국 정부는 고위급 조문단 파견을 계획했으나, 양안 관계 경색으로 대만 정부의 입경 불허 결정을 받아 무산되었고, 대신 장쑤성 다쥐에사에서 별도의 조문 행사를 가졌다.[35]
2. 5. 정치 활동

우처는 1950년 3월 2일 장제스 총통 시절 중국국민당에 입당하여 당무고문위원 직위를 맡았으나, 1959년 3월 16일 32세의 나이로 당무고문위원직을 사퇴하고 탈당했다. 이후 한동안 정치 분야를 떠나 불교 활동에 전념하는 듯 보였으나, 1988년에는 중국 국민당 제13기 중앙평의회 위원으로 선출되는 등 정치 활동을 완전히 중단하지는 않았다.[14][15]
대만에서 우처는 정치 활동으로도 주목받았는데, 특히 하나의 중국 정책과 중국 국민당이 지지하는 정부 입법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그의 노골적인 정치 활동은 대만 독립 운동 지지자들과 일부 종교계 인사들로부터 "전통적인 승려의 관심사에서 벗어났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4][15]
구체적으로 2008년 대선에서는 공개적으로 중국 국민당 후보였던 마잉주를 지지했다.[16] 2009년 제2차 세계 불교 포럼에서는 "대만인은 없다"고 주장하며 대만인은 "중국인"이라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15] 2016년 대선 기간에는 민주진보당 후보였던 차이잉원을 중국 여신 마조에 비유하며 당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후 정당 지지 변경에 대한 소문을 불식시키기 위해 중국 국민당 후보 훙슈주를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나, 훙슈주는 경선에서 사퇴했다.[17] 이처럼 중국 국민당에 대한 편향성을 보였음에도, 우처는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인들로부터 존경을 받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18]
국제적으로는 중국과 달라이 라마 사이의 화해를 장려했지만, 자신과 불광산 조직이 중국 정부와 갈등을 빚는 상황은 피하려 노력하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20]
2023년 그의 장례식에는 중국 정부 고위 관계자 조문단 파견이 계획되었으나, 당시 경색된 중·대만 관계를 이유로 대만 정부가 입국 허가를 내주지 않아 무산되었다. 조문단은 대신 우처의 고향인 장쑤성 이싱시 다쥐에사에서 열린 추모식에 참석했다.[35]
2. 6. 서거와 유산

싱윈은 2011년 12월 26일 허혈성 뇌졸중을 겪었으며,[21] 노년기에는 당뇨병과 시력 저하 등 여러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22] 수년간 건강 문제로 투병하던 싱윈은 2023년 2월 5일 오후, 불광산 총본산 사찰의 전등루 방장실에서 95세(세수 97세)의 나이로 입적했다.[33] 그는 85년간 승려로 지냈다.
다음 날 그의 법체(法體)는 인도 쿠시나가르의 열반탑을 본뜬 좌관(坐棺)에 앉은 자세로 안치되었고,[23] 운거루(雲居樓)에 마련된 빈소에서 7일간 일반 대중의 조문을 받았다.[24]
싱윈의 장례식은 2월 13일에 거행되었으며, 차이잉원 총통, 천젠런 행정원장, 주리룬 국민당 주석, 천치마이 가오슝 시장 등 약 5만 명의 인사와 신도들이 참석했다.[25][34] 차이잉원 총통은 국가에 대한 공헌을 기리는 포양령(褒揚令)을 수여했고, 천치마이 시장은 '가오슝시 명예 시민 증서'를, 주리룬 국민당 주석은 '실천 일등 훈장'을 추서했다.[34] 한편, 중국 정부는 고위 관계자로 구성된 조문단을 파견하려 했으나, 당시 중·대만 관계의 경색 국면 속에서 대만 정부의 불허로 입경하지 못했다. 대신 조문단은 싱윈의 고향인 장쑤성 다쥐에사에서 열린 추모식에 참석했다.[35]
같은 날 싱윈의 유해는 인근 타이난시 바이허구의 다셴사(大仙寺)에서 화장되었다.[26] 유골함은 같은 날 저녁 불광산 만수원(萬壽園)으로 옮겨졌으며,[26] 최종적으로 불광산 장경루(藏經樓)의 종사전(宗祠殿)에 안치되었다.[27]
싱윈은 불광산 불교 교단의 창시자로서 인간 불교를 제창하고 이를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7][6] 그가 창설한 불광산은 대만에서 가장 큰 불교 사찰이자 중요한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단체로 성장했다.[12] 이 교단은 대만 내 300개 이상의 지부와[12] 미국,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브라질 등 전 세계 최소 50개국에 지부를 두고 있다.[13][4] 불광산은 서래대학을 포함한 여러 학교와 대학을 설립했으며,[10] 고아원, 양로원 운영, 교도소 내 마약 재활 프로그램 지원, 국제 구호 활동 등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11][12] 싱윈은 1985년 불광산 주지 자리에서 물러난 후,[8][9] 인간 불교를 기반으로 하는 국제불광회(BLIA)를 설립하여[9] 불교의 대중화와 국제화에 기여했다. 21세기 초부터는 중국 대륙에도 진출하여, 문화대혁명으로 훼손된 중국 문화의 부흥과 자선 활동에 집중했다.[13][22] 그는 198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달라이 라마와 회담했으며, 1997년에는 바티칸에서 교황과 만나는 등 종교 간 대화에도 힘썼다.
3. 수상 및 서훈
wikitext
| 연도 | 내용 | 비고 |
|---|---|---|
| 1978년 | 미국 동방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 1980년 | 타이베이시 화극학회 극운 공헌상 | |
| 1982년 | 화하참장장 | |
| 1986년 | 중국국민당 당무 고문 이등 경운 훈장 | |
| 1986년 | 가오슝시 시 열쇠, 가오슝시 명예 시민 | |
| 1991년 | 사회 건설 금종상 | |
| 1991년 | 공익금 특별 모금상 | 홍콩 총독 위이신 경 부인 수여 |
| 1995년 | 인도 불보상 | |
| 1997년 | 중화민국 내정 및 외교 쌍료 1등 훈장 | |
| 1997년 | 화하 1등 훈장 | |
| 1998년 | 미국 서래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 2000년 | 불교 최우수 공헌상 | 태국 총리 타닌 므아니트 수여 |
| 2003년 | 쭐랄롱꼰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 2003년 | 칠레 성 토마스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 2004년 | 대한민국 동국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 2004년 | 태국 마하출라롱꼰랏위타야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 2005년 | 총통 문화상—보제상 | |
| 2006년 | 그리피스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 2006년 | 안정신심상 | 홍콩 봉황 위성 텔레비전 수여 |
| 2006년 | 종신 성취상 | 세계 화문 작가 협회 수여 |
| 2006년 | 탁월 성취상 |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 수여 |
| 2008년 | 휘티어 칼리지 명예 인문학 박사(L.H.D.) 학위 | [28] |
| 2008년 | 국립 중산 대학 명예 문학 박사 학위 | |
| 2010년 | 중화 문화 인물 종신 영예상 | |
| 2010년 | 홍콩 대학교 명예 사회 과학 박사 학위 | |
| 2010년 | 난징 대학교 중화 문화 연구원 명예 원장, 객좌 교수 임명 | |
| 2010년 | 푸런 대학 명예 법학 박사 학위 | |
| 2013년 | 중국인민대학 명예 교수 임명 | |
| 2014년 | 퉁지 대학 명예 교수 임명 | |
| 2015년 | 상하이 자오퉁 대학 명예 교수 임명 | |
| 2023년 | 대통령 표창 (사후 추서) | 차이잉원 총통 추서[29] |
4. 저서
싱윈 대사와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자료들이 있다.
- 챈들러, 스튜어트 (2004). ''[https://books.google.com/books?id=OkEy4_yTr-cC 지구상의 정토 건설: 불광산의 불교적 관점]''. 호놀룰루: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 치아, 잭 멩탓 (2015). [https://web.archive.org/web/20160731205638/http://nirc.nanzan-u.ac.jp/nfile/4420 "대중 매체에서 싱윈 대사의 삶을 이야기하는 현대 불교 전기"]. ''아시아 민족학'' 74 (1), 141–165.
- 킴볼, 리차드 L. (2000). [http://enlight.lib.ntu.edu.tw/FULLTEXT/JR-JHB/jhb94214.htm "불광산 싱윈 대선사에 의해 구상되고 해석된 인본주의 불교"]. ''서래 인본주의 불교 저널'' 1: 1–52.
싱윈 대사는 다수의 저서를 남겼으며,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중국어 출판 기준)
|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ISBN |
|---|---|---|---|
| 인생은 내려놓음이다: 싱윈 대사 인생의 가르침 | 2014 | 간쑤 인민 미술 출판사 | 978-7-5527-0175-3 |
| 관심 쾌락 | 2010 | 장쑤 문예 출판사 | 978-7-5399-3267-5 |
| 복보 | 2012 | 선장 서국 | 978-7-5120-0509-9 |
| 백년 불연 | 2013 | 삼련서점 | 978-7-108-04720-5 |
| 인생은 초심이 중요하다 | 2016 | 간쑤 인민 미술 출판사 | 978-7-5527-0383-2 |
| 인생은 마음의 평안에 있다 | 2016 | 장시 인민 출판사 | 978-7-210-07178-5 |
| 마음이 클수록 좋은 일이 많다 | 2014 | 상하이 문화 출판사 | 978-7-5535-0218-2 |
| 미혹과 깨달음 사이 | 2014 | 중화 서국 | 978-7-101-07445-1 |
| 괜찮아 | 2015 | 현대 출판사 | 978-7-5143-3117-2 |
| 인생은 괴롭고, 괴로움이 곧 복이다 | 2014 | 상하이 문화 출판사 | 978-7-5535-0219-9 |
| 각오 | 2012 | 선장 서국 | 978-7-5120-0533-4 |
| 싱윈 대사: 금강경 강설 | 2008 | 신세계 출판사 | 978-7-8022-8895-9 |
| 원만 | 2014 | 간쑤 인민 미술 출판사 | 978-7-5527-0190-6 |
| 자재 | 2014 | 간쑤 인민 미술 출판사 | 978-7-5527-0291-0 |
| 싱윈 대사: 육조단경 강설 | 2008 | 신세계 출판사 | 978-7-8022-8896-6 |
| 빈승에게 할 말이 있다 | 2015 | 중신 출판사 | 978-7-5086-5584-0 |
| 후도 | 2011 | 장쑤 문예 출판사 | 978-7-5399-3463-1 |
| 불광 기원문 | 2013 | 동방 출판사 | 978-7-5060-5940-4 |
|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을수록 더 잘 산다 | 2014 | 상하이 문화 출판사 | 978-7-5535-0224-3 |
| 남을 대하는 태도 | 2015 | 현대 출판사 | 978-7-5143-3118-9 |
| 평상심 | 2014 | 푸젠 인민 출판사 | 978-7-211-06864-7 |
| 활달함: 처세의 도 | 2014 | 중화 서국 | 978-7-101-10233-8 |
| 대처: 생존의 도 | 2010 | 중화 서국 | 978-7-101-07316-4 |
| 내려놓음: 행복의 도 | 2014 | 중화 서국 | 978-7-101-10231-4 |
| 감사: 생활의 도 | 2014 | 중화 서국 | 978-7-101-10235-2 |
| 선행: 인생 계획 | 2014 | 중화 서국 | 978-7-101-10241-3 |
| 결연: 행복의 격언 | 2014 | 중화 서국 | 978-7-101-10237-6 |
| 용기: 성공의 도 | 2014 | 중화 서국 | 978-7-101-10240-6 |
| 싱윈 대사 강연집 | 2015 | 삼련서점 | 978-7-108-05242-1 |
| 어디든 길이다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3-2 |
| 선은 곧 생활이다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4-9 |
| 즉심즉불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6-3 |
| 인내로서 힘을 삼다 | 2012 | 상하이 인민 출판사 | 978-7-208-09312-6 |
| 삶의 쾌락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5-6 |
| 마음 가는 대로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14-8 |
| 진심 불변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8-7 |
| 양심적 덕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1-8 |
| 마음의 등불을 밝히다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2-5 |
| 백 가지 맛을 갖추다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15-5 |
| 모든 것이 갖춰져 있다 | 2015 | 중화 서국 | 978-7-101-10507-0 |
참조
[1]
웹사이트
Come to Taiwan, Return with good memories
http://info.taiwan.n[...]
Info.taiwan.net.tw
2012-02-15
[2]
논문
Visualization of the Taiwaness Buddhism web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2010 International Computer Symposium (ICS2010)
2010-12-01
[3]
서적
2600 Years of Sambuddhatva: Global Journey of Awakening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Buddhasasana and Religious Affairs, Government of Sri Lanka
2018-08-29
[4]
뉴스
The death of the founder of Fo Guang Shan, Master Hsing Yun at the age of 97.
https://kendarinews.[...]
2023-02-06
[5]
서적
Wild Geese: Buddhism in Canada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10-03-29
[6]
논문
Taiwan's Socially Engaged Buddhist Groups
2005-06-01
[7]
간행물
Humanistic Buddhism as Conceived and Interpreted by Grand Master Hsing Yun of Fo Guang Shan
http://ccbs.ntu.edu.[...]
2000
[8]
웹사이트
Fo Guang Shan – Abbotship
https://web.archive.[...]
2006-08-26
[9]
서적
Wild Geese: Buddhism in Canada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10-03-29
[10]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2012
[11]
서적
Community Disaster Recovery and Resiliency: Exploring Glob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6-04-19
[12]
논문
Taiwan's Socially Engaged Buddhist Groups
2005-06-01
[13]
뉴스
Is a Buddhist Group Changing China? Or Is China Changing It?
https://www.nytimes.[...]
2017-06-25
[14]
뉴스
A Buddhist master straddles the Taiwan Straits: Hsing Yun seeks to make reunification Buddhism's sixth precept – at least for Beijing
https://web.archive.[...]
2008-06-04
[15]
뉴스
Taiwan Buddhist master: 'No Taiwanese
http://www.taipeitim[...]
2018-08-29
[16]
뉴스
意在言外 星雲籲幫馬找工作
http://news.ftv.com.[...]
民視新聞
2018-08-29
[17]
뉴스
星雲大師:蔡英文是媽祖婆 會保護台灣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23-02-09
[18]
뉴스
赴佛光山悼念星雲法師 陳菊:感謝他貢獻讓社會更和諧
https://www.chinatim[...]
中時新聞
2023-02-09
[19]
뉴스
Taiwan monk urges China to befriend Dalai Lama
http://www.stuff.co.[...]
2009-01-31
[20]
서적
Establishing a Pure Land on Earth: The Foguang Buddhist Perspective on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1]
웹사이트
Taipei Times: Hsing Yun recovering after stroke, 26 December 2011
http://www.taipeitim[...]
2018-08-29
[22]
뉴스
A Buddhist Leader on China's Spiritual Needs
https://www.nytimes.[...]
2017-07-21
[23]
웹사이트
星雲大師「真身封龕」畫面曝光 弟子24小時守靈7天
https://news.tvbs.co[...]
2023-02-06
[24]
웹사이트
星雲大師圓寂! 信眾.陳其邁前往雲居樓弔唁
https://news.cts.com[...]
2023-02-06
[25]
웹사이트
President, premier attend funeral of Fo Guang Shan founder Hsing Yun - Focus Taiwan
https://focustaiwan.[...]
2023-02-13
[26]
웹사이트
星雲大師回佛光山圓寂 不願影響社會資源 醫療長年自費
https://www.worldjou[...]
2023-02-06
[27]
뉴스
Relics of Fo Guang Shan's Master Hsing Yun in Taiwan
https://www.taiwanne[...]
2023-02-14
[28]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 Whittier College
https://www.whittier[...]
2020-02-12
[29]
뉴스
總統頒贈褒揚令 表彰星雲大師對國家、社會及宗教界之卓越貢獻
https://www.presiden[...]
總統府
2023-02-14
[30]
뉴스
星雲大師「一筆字書道展」 北京で開幕
http://j.people.com.[...]
[31]
뉴스
中国・台湾「反日同盟」結成で暗躍する「星雲大師」の正体は
https://www.news-pos[...]
2015-11-16
[32]
웹사이트
星雲大師
http://www.tokyofgs.[...]
[33]
웹사이트
快訊/佛光山星雲大師傳圓寂 享耆壽96歲|東森新聞
https://news.ebc.net[...]
2023-02-05
[34]
웹사이트
逾5萬人夾道跪別大師法身 總統蔡英文親頒褒揚令|人間通訊社
http://www.lnanews.c[...]
2023-02-15
[35]
뉴스
中台統一唱えた「政治和尚」の死
https://www.sankei.c[...]
2023-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