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시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시볼드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1901년 볼티모어에서 태어나 1980년 사망했다. 그는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일본어를 배우고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했고, 종전 후 연합군 최고 사령부에서 정치 고문단 특별 보좌역을 맡아 사실상 전후 일본에서 최초의 주일본 미국 대사 역할을 담당했다. 미얀마, 오스트레일리아 대사를 역임했으며, 국무부 차관보로 미일 안보 조약 개정에 관여했다. 그는 일본 점령 외교에 대한 회고록을 저술했으며, 독도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고, 한국 전쟁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티모어 대학교 동문 - 스피로 애그뉴
리처드 닉슨 행정부에서 미국의 39대 부통령을 지낸 스피로 애그뉴는 메릴랜드주 주지사 출신 정치인이었으나, 재임 중 탈세 및 부정부패 혐의로 사임하여 불명예스럽게 물러난 부통령으로 기록되었으며, 그의 강경한 어조와 비판은 사회적 논쟁을 야기하고 신우파 부상에 영향을 미쳤다. -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 - 월터 P. 매카너기
월터 P. 매카너기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직책을 거쳐 버마, 대한민국, 파키스탄, 중화민국 주재 대사를 지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미국의 대중국 정책 결정과 4·19 혁명 당시 미국의 입장을 조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동아시아 외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시볼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William Joseph Sebald |
출생일 | 1901년 11월 5일 |
출생지 |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
사망일 | 1980년 8월 10일 |
사망지 |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 |
배우자 | Edith Frances deBecker |
직업 | 변호사, 외교관 |
모교 | 미국 해군사관학교 |
공직 | |
소속 국가 | 미국 |
파견 국가 | 일본 |
직책 | 주 일본 대사 |
임기 시작 | 1947년 |
임기 종료 | 1952년 |
이전 | 조지프 그루 |
이후 | 로버트 D. 머피 |
대통령 | 해리 S. 트루먼 |
소속 국가1 | 미국 |
파견 국가1 | 버마 |
직책1 | 주 버마 대사 |
임기 시작1 | 1952년 4월 25일 |
임기 종료1 | 1954년 7월 15일 |
이전1 | 데이비드 맥. 키 |
이후1 | 조지프 C. 새터스웨이트 |
대통령1 |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소속 국가2 | 미국 |
파견 국가2 | 오스트레일리아 |
직책2 | 주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
임기 시작2 | 1957년 3월 14일 |
임기 종료2 | 1961년 10월 31일 |
이전2 | Douglas M. Moffat |
이후2 | 윌리엄 C. 배틀 |
대통령2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
군 복무 | |
소속 군대 | 미국 해군 |
복무 기간 | 1922년 ~ 1943년 |
최종 계급 | 미국 해군 대령 |
담당 | 법무관 |
일본 점령 관련 | |
직책 | 주 일본 대사관 집정대사 |
임기 시작 | 1946년 8월 18일 |
임기 종료 | 1952년 8월 15일 |
군주 | 히로히토 |
대통령 | 해리 S. 트루먼 |
부통령 | 앨번 바클리 |
총리 | 요시다 가타야마 아시다 요시다 |
추가 정보 | |
경력 | 주 일본 대사관 대사 주 일본 대사관 집정대사 (일본의 두 번째 미국인 섭정) 주 버마 전권대사 미국 국무부 극동담당차관보 주 오스트레일리아 공사 주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조지 워싱턴 대학교 석좌교수 |
2. 생애
1901년 메릴랜드주볼티모어에서 태어났다.[4] 1922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5] 해군사관학교 시절에는 일본어를 배웠다.[6]
1918년부터 1930년까지 미국 해군[5]에 소속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7] 1925년부터 3년 동안 일본에 주재하며 해군 어학관 등으로[8] 주일본 미국 대사관 무관부에 소속되었다.[9] 1926년 여름, 영국인 변호사 고바야시 요시카[10]의 딸 에디스 프란시스와 가루이자와에서 만난 것을 계기로 1927년 에디스[11]와 결혼했다.
1933년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법학사 학위를 취득했다.[5] 그 후 일본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했다.[6]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해군에 소속되어[5]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7]했으며, 태평양 전쟁에서는 예비역 장교로 처음 미국 해군 정보국에 소속되었다.[6] 이어서 어니스트 킹 제독 휘하의 전투 정보 특별 부서에 소속되었다.[6]
1945년 8월 종전으로, 도쿄 주재의 연합군 최고 사령관 (GHQ) 정치 고문단 특별 보좌역을 맡았고[9], 1946년 특별 시험으로 정식 외교관 자격을 취득했다.[9] 1947년 8월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조지 애치슨의 후임으로 주일 정치 고문[12]을 맡아 연합군 최고 사령부 외교국장을 역임했다.[8] 이듬달에는 점령 종료 1952년까지 후임으로 대일 이사회 (최고 정책 결정 기관인 극동 위원회의 출장 기관) 미국 대표[8]로서 의장도 역임했다.[8]
시볼드는 GHQ의 미국 국무부 대표[12]로서, 맥아더가 더글러스 맥아더 해임/Relief of Douglas MacArthur영어되는 1951년 4월까지 원수의 대리인을 맡았다.[8] 후임 매슈 리지웨이 사령관도 외교 면에서 지원했으며, 일본 정부와 미일 안보 조약 등 많은 협상을 진행했다.
점령 외교·영사에서는 50만 명이 넘는 재외 일본인 포로를 본토로 귀국시키는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16], 사실상 전후 일본에서 최초의 주일본 미국 대사[13]로서 역할을 담당했다.[12]
강화 조약 성립 후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주 미얀마 대사[3]를 지냈다. 1954년부터 1957년까지 국무부 차관보[5] (극동 담당)로 다시 미일 안보 조약 개정에 관여했다.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주 오스트레일리아 대사[3]를 역임했다.
일본으로부터 점령기의 증언 취재에도 여러 번 응했다.[14] 또한 찰스 윌러비 (GHQ 참모 제2부·부장)와는, 은퇴 후 플로리다주콜리어 카운티네이플스에서 이웃이었다.[15]
1980년 폐기종으로 사망했다.[4][16][17] 1981년에는 에디스 부인이 사망했다.[18] 부부의 묘지는 워싱턴 D.C. "Rock Creek Cemetery"[19]에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윌리엄 시볼드는 1901년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태어났다.[4] 1922년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1][5] 해군에 복무하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7] 해군사관학교 시절 일본어를 배웠으며,[6] 1925년 해군 장교 어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본 고베시로 이동하여[1] 주일본 미국 대사관 무관부에 소속되어 3년간 근무했다.[8][9] 1926년 여름, 가루이자와에서 영국인 변호사 고바야시 요시카[10]의 딸 에디스 프란시스와 만났고, 1927년에 결혼했다.[11]1930년 해군에서 퇴역한 후,[2] 1933년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법학사 학위를 취득했다.[5] 이후 일본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하여 활동했다.[6]
2. 2. 일본과의 관계
윌리엄 시볼드는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출신으로, 1925년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에 무관으로 배속되면서 일본과의 인연을 시작했다.[1] 1925년 일본 가루이자와 역에서 일본어를 배울 때 미 해군 일본어 코스 교습 과정 입문.[4][5][6] 1928년 일본 가루이자와역에서 일본어 배울 때 미 해군 일본어 코스 교습 과정 완료. 그는 1927년 일본계 영국인 여성(장모가 일본인)과 결혼했다.[1][11] 1933년 일본 고베에서 변호사 생활[1][2]을 하다가 1941년에 마감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시볼드는 미국 본토에서 해군 정보국(ONI)에서 복무했다.[1] 종전 후, 1945년 12월 3일 연합군최고사령부(SCAP=GHQ) 임시 일본 주재 미국 정치고문실(POLAD-Japan) 참모 겸 연합군 외교보조단 특별보좌역을 맡았다.[9] 1947년 7월 27일 일본 도쿄 주재 연합군 외교보조단 외교관, 1947년 8월 11일 일본 도쿄 주재 연합군 정치고문단 참사관을 거쳐 1947년 9월 2일 연합국 대일이사회 위원 겸 의장을 역임했다.[8] 1948년 10월 1일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 대사 겸 공사, 1949년 1월 7일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 정치고문 대리, 1950년 5월 23일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 1급 외교관, 1950년 10월 11일 대사급 도쿄 주재 연합군 최고사령부 미 정치고문을 역임하는 등, 사실상 전후 일본에서 최초의 주일본 미국 대사[13]로서 역할을 담당했다.[12]
시볼드는 일본 정부와 미일 안보 조약 등 많은 협상을 진행했으며, 점령 외교·영사에서는 50만 명이 넘는 재외 일본인 포로를 본토로 귀국시키는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2. 3. 전후 일본 점령기의 활동
윌리엄 시볼드는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 정치 고문단 특별 보좌역을 맡았다.[9] 1946년에는 특별 시험을 거쳐 정식 외교관 자격을 취득했다.[9] 1947년 8월,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조지 애치슨의 후임으로 주일 정치 고문을 맡아 연합군 최고 사령부 외교국장을 역임했다.[8][12] 1948년부터 1952년 점령 종료 시점까지 대일 이사회의 미국 대표 겸 의장을 역임했다.[8]시볼드는 GHQ의 미국 국무부 대표로서, 더글러스 맥아더가 해임되는 1951년 4월까지 그의 대리인을 맡았다.[8] 이후 매슈 리지웨이 사령관을 외교 면에서 지원하며, 일본 정부와 미일 안보 조약 등 여러 협상을 진행했다.
시볼드는 점령 외교 및 영사 분야에서 50만 명이 넘는 재외 일본인 포로를 본토로 귀국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사실상 전후 일본에서 최초의 주일본 미국 대사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2][13]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4. 외교관 경력
윌리엄 시볼드는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출신으로,[4] 1922년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해군 장교로 복무했다.[1] 1925년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에 무관으로 배속되어 일본어를 배웠으며,[1] 1927년 일본계 영국인 여성과 결혼했다.[11] 1933년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법학사 학위를 취득하고[5] 일본 고베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다가[1][2]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미국으로 돌아가 해군 정보국(ONI)에서 복무했다.[1]전후 1945년 일본 주재 미국 대사관 대사로 임명되었고,[4] 1946년부터 1952년까지 연합군최고사령부(SCAP) 임시 일본 주재 미국 정치고문실 참모 겸 연합군 외교보조단 특별보좌역, 연합국 대일이사회 위원 겸 의장 등을 역임하며[9] 사실상 전후 일본에서 최초의 주일본 미국 대사 역할을 담당했다.[13][12] 그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정치 고문으로 활동했으며,[2] 매슈 리지웨이 사령관을 지원하며 일본 정부와 미일 안보 조약 등 많은 협상을 진행했다. 또한, 50만 명이 넘는 재외 일본인 포로를 본토로 귀국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이후, 시볼드는 버마 주재 미국 대사(1952–1954),[3] 국무부 동아시아 및 태평양 담당 차관보(1954–1956),[1][2]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미국 대사(1957–1961)를 역임했다.[1][2] 특히 국무부 차관보 시절에는 미일 안보 조약 개정에 관여했다. 1961년 은퇴했다.[1]
2. 5. 은퇴 후 활동
윌리엄 시볼드는 은퇴 후 일본에서의 점령기 증언 취재에 여러 번 응했다.[14] 또한 찰스 윌러비와는 은퇴 후 플로리다 주콜리어 카운티네이플스에서 이웃으로 지냈다.[15] 1980년 폐기종으로 사망했으며,[4][16][17] 1981년에는 부인 에디스 시볼드가 사망했다.[18] 부부의 묘지는 워싱턴 D.C. "Rock Creek Cemetery"에 있다.[19]3. 일본 점령 외교 회고
윌리엄 J. 시볼드/William J. Sebald영어는 자신의 저서 ''일본 점령 외교 회상''(아사히 신문사, 1966년)에서 일본 점령기의 주요 사건과 정책 결정 과정을 자신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분석했다. 원제는 ''일본 점령기: 맥아더와 함께한 나의 기록''(W. W. Norton & Company, 1965)이며, 2008년에 신판이 출간되었다.(ISBN 978-0393-33676-4)
윌리엄 시볼드는 태평양 전쟁의 책임이 일본의 정치·경제·사상의 구조적 문제가 아니라 극소수 '군국주의자'들에게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의 친일적 입장을 일본의 공산주의화 저지, 즉 반공주의로 정당화하려 했다.[23]
1949년, 시볼드는 버터워스 국무부 차관보에게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라는 권고를 담은 전보[20]를 보냈다.
1950년 12월 23일, 릿쿄 대학 졸업식에 참석하여 북한 측의 침략 행위(한국 전쟁)를 비판하고, 일본국 국민들에게 자유주의 진영(서방)으로서 생활할 것을 희망한다는 연설을 했다.[21]
1951년, 남서 제도와 오가사와라 제도의 신탁 통치와 관련하여 일본 측의 과도한 반감을 일으키는 행위는 삼가야 한다고 제언했다.[22]
3. 1. 친일 성향과 논란
윌리엄 시볼드는 태평양 전쟁의 책임이 일본의 정치·경제·사상의 구조적 문제가 아니라 극소수 '군국주의자'들에게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의 친일적 입장을 일본의 공산주의화 저지, 즉 반공주의로 정당화하려 했다.[23]1949년, 시볼드는 버터워스 국무부 차관보에게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라는 권고를 담은 전보[20]를 보냈다.
1950년 12월 23일, 릿쿄 대학 졸업식에 참석하여 북한 측의 침략 행위(한국 전쟁)를 비판하고, 일본국 국민들에게 자유주의 진영(서방)으로서 생활할 것을 희망한다는 연설을 했다.[21]
1951년, 남서 제도와 오가사와라 제도의 신탁 통치와 관련하여 일본 측의 과도한 반감을 일으키는 행위는 삼가야 한다고 제언했다.[22]
4. 한국과의 관계
4. 1. 독도 문제에 대한 입장
1949년, 시볼드는 버터워스 국무부 차관보에게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라는 권고를 담은 전보를 보냈다.[20] 시볼드의 이러한 입장은 독도 문제에 대한 한국의 주장에 불리한 영향을 미쳤다.4. 2. 한국 전쟁에 대한 입장
1949년, 시볼드는 버터워스 국무부 차관보에게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라는 권고를 담은 전보를 보냈다.[20]1950년 12월 23일, 릿쿄 대학 졸업식에 참석하여 한반도에서 벌어지고 있는 북한 측의 침략 행위(한국 전쟁)를 비판하면서 일본국 국민들에게 자유주의 진영(서방)으로서 생활할 것을 희망한다는 연설을 했다.[21]
1951년에는 남서 제도와 오가사와라 제도의 신탁 통치와 관련하여, 일본 측의 과도한 반감을 일으키는 행위는 삼가야 한다고 제언했다.[22]
5. 평가
6. 저서
- ''일본 점령기: 맥아더와 함께한 나의 기록'', 노턴, 1965, ISBN 9780393336764
- 《일본 점령 외교 회상》(노즈에 겐조 역, 아사히 신문사, 1966년)
- C.N. 스핑크스(C. Nelson Spinks)와 공저 《일본: 전망, 선택, 기회》, 1967
- *《일본의 전도: 선택해야 할 길과 기회》(카시마 겐조 역, 카시마 출판회, 1967년)
- 《일본 비상 입법의 선택》(Univ Pubns of Amer, 1979) ISBN 978-0890932193
- 《맥아더와 함께 일본에서: 점령의 개인적인 역사》(W. W. Norton & Company, 1965), 신판 2008. ISBN 978-0393-33676-4
참조
[1]
웹사이트
'Collection: William Sebald papers ! Archival Collections'
https://archives.lib[...]
2020-10-01
[2]
뉴스
William Sebald, 78, Dies
https://www.washingt[...]
2020-10-01
[3]
웹사이트
William Joseph Sebald
http://history.state[...]
U.S. Department of State
[4]
웹사이트
William Joseph Sebald
https://www.findagra[...]
Find A Grave Memorial
[5]
웹사이트
William J. Sebald
http://nndb.net/peop[...]
NNDB
[6]
웹사이트
Sebald, William J.
http://www.usni.org/[...]
U.S. Naval Institute
[7]
웹사이트
Sebald, William Joseph
http://politicalgrav[...]
The Political Graveyard
[8]
서적
The United States in Asia: a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9]
웹사이트
'[분수대] 윌리엄 시볼드'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2-15
[10]
문서
帰化名で、元はJoseph Ernest De Becker、夫人の旧姓を用いた。
[11]
서적
イラン石油を求めて 日章丸事件
冬樹社
1981
[12]
웹사이트
国会図書館「在日米国大使館領事館・政治顧問部文書」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13]
서적
The allied occupation of Japan
Continuum Intl Pub Group
[14]
서적
昭和天皇 五つの決断
文春文庫
1994
[15]
문서
、エディス夫人の妹マリーがウィロビーと再婚したため。(対人交渉で性格に難がある)ウィロビーへの取材はシーボルドが事前折衝した。『新版 ウィロビー回顧録』(山川出版社、2011年)、訳者の平塚柾緒解説より
[16]
웹사이트
Milestones, Sep.1, 1980
http://www.time.com/[...]
TIME
[17]
뉴스
by Maureen Joyce, August.20, 1980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18]
웹사이트
Edith Frances Sebald
https://ja.findagrav[...]
Find A Grave
[19]
웹사이트
William Joseph Sebald
https://ja.findagrav[...]
Find A Grave
[20]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9.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in two parts)
http://digicoll.libr[...]
[21]
뉴스
自由人たれ シ大使、立大で講演
日本経済新聞
1950-12-24
[22]
서적
硫黄島と小笠原をめぐる日米関係
南方新社
[23]
문서
《독도1947》,302~303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