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하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 하프는 여러 개의 유리잔을 조율하여 손가락으로 문질러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14세기에 페르시아에서 기록되었으며, 1741년 아일랜드의 리처드 포크리치에 의해 현대적인 형태가 제작되었다. 18세기에는 인기를 얻었으나, 19세기에 유행의 변화와 악기의 휴대 어려움, 소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쇠퇴했다. 20세기 이후에는 핑크 플로이드, 피터 가브리엘 등의 대중음악에서 사용되었으며, 한국 드라마 '선덕여왕'에도 등장했다. 현재는 전문 연주자가 드물며, 주로 다른 작품을 편곡하여 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리 하프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마찰음악기 |
| 분류 | 체명악기, 유리 악기 |
| 관련 악기 | 글라스 하모니카, 베르드 용송, 싱잉 글래스 |
| 연주 방식 | |
| 연주 방법 | 물기가 있는 손가락으로 잔의 가장자리를 문질러 연주 |
2. 역사
유리 하프는 14세기 페르시아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18세기에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1]
1741년 아일랜드의 리처드 포크리치는 유리 하프를 발명하고, "천사의 오르간"이라 칭하며 최초의 명연주자로 이름을 알렸다.[2] 포크리치는 막대기로 유리잔을 연주했으며, 1760년에는 헨델의 ''수상 음악''을 유리 하프로 연주하여 성공적인 연주 경력을 쌓았다.[1] 그러나 1759년 화재로 발명가와 악기가 모두 소실되었다.[3]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는 1746년 런던과[1] 코펜하겐에서 유리 하프를 연주했다. 그의 악기는 "샘물로 채워진" 26개의 술잔으로 구성되었다.[4][1]
18세기에는 포크리치의 동시대 인물들이 유리 악기 연주 지침서를 출판하는 등 유리 하프가 큰 인기를 얻었다.[6] 1929년 브루노 호프만은 공명 테이블에 고정된 46개의 개별적으로 조율된 유리로 구성된 유리 하프를 발명했다.[1]
2. 1. 초기 역사

유리 악기는 14세기에 페르시아에서 기록되었다.[1] 기원전 2300년에는 이미 유리 세트와 막대기를 사용한 타악기의 일종이 존재했으며, 이란, 중국, 일본 및 아랍 등에서 컵이나 사발 등의 도자기류를 막대기로 두드려 연주하는 타악기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타악기는 아니지만, 와인 잔의 가장자리를 젖은 손가락으로 문질러 소리를 내는 현상은 유럽에서는 르네상스 이전 시대에 문서화되었음이 밝혀졌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도 이 현상에 대한 고찰을 남겼다.
아일랜드의 음악가 Richard Pockrich (inventor)|리처드 포크리지영어는 이 악기를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연주한 최초의 인물로 여겨진다. 그는 1742년부터 다양한 양의 물을 채워 정렬된 유리잔 세트를 런던에서 연주하며 이름을 알렸고, 헨델의 『수상 음악』을 주요 레퍼토리로 1760년대까지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갔다.[1]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는 "바이올린 또는 쳄발로로 연주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낼 수 있다"고 약속하며, 1746년 4월 14일에는 브루어(Brewer) 거리의 히크포드(Hickford) 대강당에서, 4월 23일에는 헤이마켓 극장에서 "샘물로 조율된 26개의 음악용 유리잔으로"라는 제목의 연주회를 개최했다.[4][1] 그는 앞서 언급한 포크리지와 유사한 악기를, 프랑스어에서 유리 또는 잔을 의미하는 "verre|베르프랑스어"에서 유래한 "Verrillon|베리용프랑스어"이라고 명명하여 연주했으며,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서유럽 제국에서 주목받으며 널리 유리잔 연주 문화가 확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파이프 오르간의 부드러운 플루트 관의 고음역대가 성당 내에 울려 퍼지는 음색과 매우 유사하여 "천사의 오르간(angelic organ)"이라고 불리거나, 마시는 용도가 아닌 연주용으로 사용되는 유리잔이기에 식기로서의 유리잔과 구별하여 "음악용 유리잔(musical glasses)"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또는 천사의 계급 중 최고로 여겨지는 세라핌(seraphim)의 이름을 그대로 붙여 부르기도 했다.
18세기 경에는 악기로 널리 연주되기 시작했으며,[6] 1761년에 글라스 하프를 개량한 아르모니카가 발명되면서 유럽 전역에서 큰 유행을 했다.
2. 2. 18세기 전성기
1741년 아일랜드의 리처드 포크리치가 유리 하프를 발명하고, "천사의 오르간"이라 칭하며 최초의 명연주자로 이름을 알렸다.[2] 포크리치는 막대기로 유리잔을 연주했으며, 1760년에는 헨델의 ''수상 음악''을 유리 하프로 연주하여 성공적인 연주 경력을 쌓았다.[1] 그러나 1759년 화재로 발명가와 악기가 모두 소실되었다.[3]작곡가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는 1746년 런던과[1] 코펜하겐에서 유리 하프를 연주했다. 그의 악기는 "샘물로 채워진" 26개의 술잔으로 구성되었다.[4][1]
18세기에는 포크리치의 동시대 인물들이 유리 악기 연주 지침서를 출판하는 등 유리 하프가 큰 인기를 얻었다.[6]
2. 3. 19세기 이후
1929년 브루노 호프만은 공명 테이블에 고정된 46개의 개별적으로 조율된 유리로 구성된 유리 하프를 발명했다.[1]3. 연주
유리 하프는 조율된 여러 개의 유리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섬세한 음질을 가지고 있어 치터 반주에 매우 적합하다. 일반적인 음역은 G3(솔)-E6(미)이지만, 어떤 악기는 C4(도)에서 C6(도)까지 단 두 옥타브의 음역을 가지고 있다. 음색은 치터의 배음과 매우 유사하며, 능숙하게 다루면 가장 섬세한 '피아니시모'에서 적당한 '포르테'까지 모든 음색으로 쉽게 연주할 수 있다. 약음기를 사용한 현악 4중주 반주와 함께 독주 악기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 악기에는 지속적인 노래와 선율적인 구절만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7]
하지만 1960년대 브루노 호프만이 연주한 요한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의 작품 녹음에서는 빠르고 명확하게 발음되는 스타카토 음표와 런을 들을 수 있어, 항상 위와 같은 정보가 옳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1. 연주 방법
손에 물이 묻지 않으면 손가락과 유리 사이에 적절한 마찰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연주 중에도 항상 물로 적실 필요가 있다. 유리가 더러워지면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증류수를 사용한다. 손가락에 지방을 비롯한 오염 물질이 있으면, 역시 손가락과 유리 사이에 적절한 마찰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연주 전에는 알코올이나 비누 등으로 오염 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7]유리잔의 구경, 허리 지름, 유리의 두께 등으로 음정이 바뀌는데, 음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안에 물을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연주 전에 큰 부담이 되는 작업이며, 젖은 손가락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들어가거나, 건조한 공기에 의해 증발해 버리는 등 음정이 쉽게 틀어질 위험성, 혹은 연주 중에 갑자기 쏟아버릴 위험성도 높다. 게다가 연주할 때마다 물을 넣거나 빼는 작업의 수고가 들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고 항상 준비 없이 일정한 음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후에 S. 호프킨슨-스미스 (F. Hopkinson-Smith|F. 홉킨슨-스미스영어, 1797-1872)는 물을 안에 넣어서 음정을 조절하지 않아도, 그 자체만으로 음정이 고정된 유리잔을 발명하였다.
3. 2. 음정 조절
유리잔의 구경, 허리 지름, 유리의 두께 등으로 음정이 바뀐다. 음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보통 물을 넣는다.[7] 하지만 이 작업은 연주 전에 큰 부담이 된다. 또한 젖은 손가락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들어가거나, 건조한 공기에 의해 증발하여 음정이 쉽게 틀어질 위험이 있다. 연주 중 물을 쏟을 위험도 있고, 매번 물을 넣고 빼는 수고도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에 S. 호프킨슨-스미스 (F. Hopkinson-Smith|F. 홉킨슨-스미스영어, 1797-1872)는 물 없이도 음정이 고정된 유리잔을 발명했다.[7]4. 현대의 사용
1924년,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의 라디오 방송국 WLAG에서 올린 월드와 "J. 앨버트 휴스비 부인"의 유리 하프 공연이 방송되었다.[8]
현재 유리 하프를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음악가로는 폴란드의 글래스 듀오, 독일의 필립 마르게르와 클레멘스 호핑거, 프랑스의 장 샤틸론과 토마스 블로흐, 미국의 브리엔 엥겔, 데니스 제임스, 캐나다의 리얼 베르티오메 등이 있다.
글로리아 파커가 작곡하고 연주한 ''A Toast To Christmas with the Singing Glasses'' (1980년)는 14곡의 유명한 크리스마스 캐럴이 유리 하프로 연주된 앨범으로, 유리 하프를 사용한 최초의 상업 앨범으로 기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매력에 사로잡힌 극소수의 연주자가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유리 하프만을 전문으로 하는 연주가는 매우 드물고 귀중한 존재이다(일본에서는 오하시 에리가 이에 가깝다). 보통은 취미나 여흥 등으로 즐기는 정도이며, 그 외에는 프로 타악기 연주자가 임시로 이 악기로 연주 활동을 하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음역은 Glass Duo영어가 소유한 세트의 경우 4옥타브 반에 달한다.
4. 1. 클래식 음악
1938년 3월 9일, 브루노 호프만은 런던 박물관에서 모차르트의 아다지오(K. 356)와 하모니카, 플루트, 비올라, 오보에, 첼로 5중주(K. 617)를 포함한 프로그램에서 유리 하프를 연주했다.[9]1979년 2월 18일, 글로리아 파커는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의 자이 알라이 프론톤에서 하트퍼드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유리 하프 솔로 연주자로 공연했다. 보스턴 팝스 지휘자 아서 피들러를 위한 편곡으로 유명한 리차드 헤이먼이 90인조 오케스트라의 객원 지휘를 맡아 유리 하프와 함께 영화 ''닥터 지바고''의 "라라의 테마", "Lover", "Amor"와 같은 곡들을 연주했다.
유리 하프는 전문적인 연주 악기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전문 연주자도 거의 없다. 따라서 연주되는 작품도 극히 특수한 부류에 속하며, 대부분은 다른 작품을 편곡하는 등으로 연주한다.
음량은 유리의 크기에 비해 의외로 잘 울리고, 강약이나 음색 등의 표현도 풍부한 폭을 가지고 있어 연주 수단으로서 기대를 걸 수 있다. 다만, 다른 일반적인 서양 악기와 함께 실내악이나 관현악에 사용하기에는 음량 면에서 부족하고, 음의 상성 면에서도 어려움이 있어, 현대 서양 음악에서 전통을 이룰 정도의 영역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4. 2. 대중 음악
핑크 플로이드는 1975년 앨범 ''Wish You Were Here''의 Shine On You Crazy Diamond 녹음에 유리 하프를 사용했다.[10] 데이비드 길모어의 콘서트에서 이고르 스클랴로프가 유리 하프를 연주했다.[10] 피터 가브리엘은 2023년 앨범 i/o의 And Still에서 이 악기를 사용했다. 제이콥 콜리어는 자신의 작품을 위해 유리 하프와 비슷한 악기를 개발했다.[13]2009년 한국 TV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미실 (고현정)이 자신의 주제곡인 "유리잔"을 연주하기 위해 물을 채운 다채로운 유리잔 세트를 금속 막대 쌍으로 연주하는 모습이 묘사되었다.[12]
4. 3. 드라마 OST
2009년 한국 TV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주요 악역인 미실 (고현정 분)이 자신의 주제곡인 "유리잔"을 유리 하프로 연주하는 장면이 묘사되었다. 이 장면에서는 물을 채운 다채로운 유리잔 세트가 금속 막대 쌍으로 연주되었다.[12]5. 유리 받침 진동

와인 잔의 테두리뿐만 아니라 받침(발)도 줄기가 충분히 길다면 문질러 소리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볼과 꽤 긴 줄기를 가진 진 토닉 잔을 사용하면 쉽게 시연할 수 있다.
6. 평가 및 논란
1761년 벤자민 프랭클린이 아르모니카를 발명하면서 유리 하프는 "천사의 목소리"라고 칭송받으며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그러나 19세기에는 악기를 휴대하기 어렵고, 독특한 소리가 신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소문이 도는 등 여러 요인으로 쇠퇴하였다. 한때 천사에 비유되던 악기가 악마의 악기라고 불리며 금지되기도 하였다.[14]
6. 1. 긍정적 평가
1761년에 벤자민 프랭클린이 아르모니카를 발명하면서 유리 하프는 천상계를 연상시키는 음색으로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토머스 제퍼슨,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니콜로 파가니니와 같은 저명인사들은 "천사의 목소리" 등으로 극찬했다.[14] 벤자민 프랭클린은 매일 밤 연주했으며, 그의 아내는 그 소리에 잠에서 깨어 "자신이 죽어 천국에 왔다"라고 착각했다는 일화도 남아있다.[14]6. 2. 부정적 평가 및 논란
19세기에는 음악 유행이 변화하고 악기를 휴대하기 어려워 쇠퇴했으며, 독특한 소리가 인간의 신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소문이 돌았다. 한때 천사에 비유되던 이 악기는 악마의 악기라고도 불리며 금지되었고, 여러 요인이 겹쳐 결국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14]7. 한국에서의 수용과 의미
유리 하프는 한국에서 아직 대중적인 악기는 아니지만, 점차 그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클래식 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 유리 하프의 독특한 음색과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주목받고 있다.
몇몇 한국 음악가들은 유리 하프를 활용한 창작 활동을 통해 이 악기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이들은 유리 하프를 전통적인 국악기나 서양 고전 음악 악기들과 함께 연주하거나, 유리 하프만을 위한 독주곡을 작곡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유리 하프는 그 희소성으로 인해 특별한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유리 하프 연주는 흔히 접할 수 없는 경험이기 때문에, 관객들에게 신선하고 특별한 감동을 선사한다. 또한, 투명하고 맑은 유리 하프의 소리는 듣는 이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때로는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한다.
8. 전문 연주자
유리 하프는 전문적인 연주 악기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전문 연주자도 거의 없다. 따라서 작품도 극히 특수한 부류에 속하며, 대부분 다른 작품을 편곡하여 연주한다. 음량은 유리의 크기에 비해 의외로 잘 울리고, 강약이나 음색 등의 표현도 풍부한 폭을 가지고 있어 연주 수단으로서 기대를 걸 수 있다. 다만, 다른 일반적인 서양 악기와 함께 실내악이나 관현악에 사용하기에는 음량 면에서 부족하고, 음의 상성 면에서도 어려움이 있어, 현대 서양 음악에서 전통을 이룰 정도의 영역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보통은 취미나 여흥 등으로 즐기는 정도이며, 그 외에는 프로 타악기 연주자가 임시로 이 악기로 연주 활동을 하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음역에 관해서는, Glass Duo|글래스 듀오영어가 소유한 세트로 4옥타브 반에 달하는 것이 제작되고 있다.
8. 1. 해외 연주자
유리 하프는 전문적인 연주 악기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전문 연주자도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매력에 사로잡힌 극소수의 연주자가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만을 전문으로 하는 연주가는 매우 드물고 귀중한 존재이다.8. 2. 국내 연주자
유리 하프는 전문적인 연주 악기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전문 연주자도 거의 없다. 일본에서는 오하시 에리가 유리 하프 전문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3]참조
[1]
서적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9
[2]
방송
The Last Lonely Irish Idiophone
https://www.rte.ie/r[...]
2021-12-27
[3]
서적
Angelic Organ
W. W.Norton
[4]
서적
Musical Glasses
W. W.Norton
[5]
뉴스
Musical glasses produce grand sound
https://www.chieftai[...]
2022-09-28
[6]
서적
W. A. Mozart
Yale University Press
[7]
서적
Prof. H. Kling's Modern Orchestration and Instrumentation
https://books.google[...]
C. Fischer
1905
[8]
간행물
Business Men of Two Cities Back WLAG.
1924-08
[9]
학술지
The Musical Glasses and Glass Harmonica
1945–46
[10]
웹사이트
Igor Sklyarov takes part in David Gilmour's Venetian concerts
http://www.crystaltr[...]
[11]
Youtube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 I (Live in Gdansk - David Gilmour)
https://www.youtube.[...]
[12]
방송
Episode #2 (Birth of the future queen Seondeok), Scene #6
https://www.youtube.[...]
[13]
뉴스
Jazz Prodigy Jacob Collier: 'Quincy Jones Told Me Jazz Is the Classical Music of Pop'
http://www.theguardi[...]
Guardian News and Media
2022-03-28
[14]
웹사이트
天使と悪魔の楽器「グラスハープ」の音色が人体に与える影響とは?
https://www.itmedia.[...]
ITmedia
2017-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