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청 (193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청은 1936년 4월 23일 이우 공작과 박찬주 공작부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본 도쿄에서 출생하여, 이우의 후계자로서 이청 공작 작위를 물려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작위를 잃고 평민이 되었다. 이후 운현궁을 소유했으나 재산 매각 등으로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1960년 미국 마켓 대학교에서 토목공학 학위를 받았다. 1974년 동원기술단 부사장을 역임하고, 1991년 귀국하여 연세대학교 강사, 서울시립대학교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2007년에는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의 결정에 반발하여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운현궁 유물 기증 및 토지 기증 등 문화재 보존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얼리 디킨슨 대학교 교수 - 유승필
    유승필은 유유제약의 회장 겸 CEO인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대학교에서 경영학 조교수를 지냈고 유유산업 CEO, 세계자가치료산업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부회장, 한국제약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제약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세종대학교 재단 이사장직을 맡고 모란장을 수훈했다.
  • 페얼리 디킨슨 대학교 교수 - 이종 (1940년)
    이종은 의친왕의 손자이자 고종의 증손으로,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후 미국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나 박사 과정 중 교통사고로 사망하여 유해가 한국으로 봉환, 남양주에 안장되었다.
  • 대한민국의 토목공학자 - 선우중호
    대한민국의 토목공학자이자 교육자인 선우중호는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총장 재임 시절 총장 직선제 폐지 강행과 평화의 댐 건설 관련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토목공학자 - 김웅용
    김웅용은 1962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뛰어난 지능으로 '천재'로 불렸으나, NASA 근무 경력 등에 대한 논란 후 한국으로 돌아와 토목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며 사회의 획일적인 가치 기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이청 (193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청
한글 표기이청
한자 표기李淸
로마자 표기I Cheong
인물 정보
출생일1936년 4월 23일
출생지일본 도쿄부 도쿄시 시부야구 도키와마쓰정
사망일알려지지 않음
가족아버지: 이우
어머니박찬주
배우자김채영 (1971년 5월 14일 결혼)
형제자매동생: 이종
학력마케트 대학교
드폴 대학교 대학원
왕위 계승 정보
작위
가문전주 이씨
왕조대한제국 황실
지위이문 황사손, 흥선대원왕파 종가 4대손
재위 기간1945년 ~ 1947년 (명목상)
이전이우
후계자없음
기타 정보
종교알려지지 않음

2. 생애

1936년 4월 23일, 일본 제국 도쿄시 시부야에 있는 도쿄 거주지에서 이우 공작과 박찬주 공작부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같은 해 4월 29일에 일본 이름은 "리 세이"(リ セイ)[3], 한국 이름은 "이청"으로 명명되었다. 이우는 이강 공의 차남이자 이준용의 후계자였고, 박찬주는 조선 철종의 사위인 박영효 후작의 손녀였다.[4] 1942년 왕공족(王公族) 신분으로 학습원(學習院)에 입학하였고, 1944년 경성 (현 대한민국 서울)으로 돌아와 조상 대대로 살던 운현궁(雲峴宮)에 거주했다.[5]

1945년 8월 7일, 아버지 이우가 히로시마에서 출근하던 중 원자 폭탄 리틀 보이에 의해 사망하자, 3일 후 '''이청 공작'''(李淸公)이라는 작위를 물려받았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내 귀족 작위가 폐지되면서 1947년 ''화족''과 한국 귀족을 포함하여 이청은 작위를 잃고 평민이 되었다.

1954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0년 미국 마켓 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1] 1966년 12월 25일, 동생 이종이 미국 유학 중 교통사고로 사망하여, 가족 중 유일하게 남은 사람이 되었다.[12] 졸업 후 1960-64년에는 H.T. Spoden & Associates에서, 1965-69년에는 Boss H. Bryan이라는 연합 설계 사무소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두 회사 모두 테네시주에 있었다. 1970년 디폴 대학교에서 1년 동안 대학원 과정을 밟았다. 1974년 동원기술단의 부사장이 되었고, 1991년 한국으로 돌아왔다.[13] 1994년 연세대학교 강사, 1998년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한국토목학회(KSCE) 및 대한건축학회의 전 회원이었다.[5]

1993년 운현궁을 서울시에 매각하고, 서대문구 부암동을 거쳐 평창동으로 이사했다.[14] 이후에도 가족 유물과 토지를 계속 기증하고 있다. 2007년 서울역사박물관에 8,000점 이상의 유물을 기증했고, 2018년 흥선대원군의 묘역(2555m2)과 주변 토지(129935m2)를 경기도에 기증했다. 토지 매각 시 약 52억 대한민국 원 (약 433만 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는 감사의 표시로 표창을 수여했다.[16]

2007년, 2006-10년에 존재했던 한국 정부 기관인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ICJCP)는 영친왕과 그의 아들 이준용 (둘 다 이청의 양가 조상)이 친일파였으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에 서명하는 데 동의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이청은 이 결정의 무효를 구하고 위헌임을 주장하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1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6년 4월 23일 일본 제국 도쿄시 시부야에 있는 도쿄 별저에서 아버지 이우 공과 어머니 박찬주 공작부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4] 같은 해 4월 29일에 일본 이름은 "리 세이"(リ セイ)[3], 한국 이름은 "이청"으로 명명되었다. 1942년왕공족(王公族) 신분으로 학습원(學習院)에 입학하였고, 1944년 6월에 귀국하여 운현궁(雲峴宮)에서 생활하였다.[25] 1945년 8월 7일 아버지 이우가 일본 히로시마에서 원자폭탄에 피폭되어 사망하자, 이청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1945년 8월부터 1947년 신적강하(臣籍降下)까지 일시적으로 공위(公位)를 갖고 있었다.[26]

1945년 광복 이후 제정된 《구황실재산법》에 따라 황실 재산이 모두 국유화되었지만, 운현궁은 어머니 박찬주의 노력으로 흥선대원군의 사저(私邸)임을 호소하여 국유화에서 제외되었다.[22] 1947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시행령에 의한 신적강하로 왕공족의 신분이 상실되었다. 1948년 7월 운현궁이 그에게 반환됐다.[27]

1954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50회)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960년 위스콘신주 마케트 대학교 토목공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22]

2. 2. 연구 및 사회 활동

1970년부터 1년간 일리노이주 드폴대학교(DePaul University) 대학원 연구생으로 있었다.[25] 1960년부터 1964년까지 미국 테네시주 킹즈포트에서 H. T Spoden & Associate 설계사무소의 엔지니어로 근무하였고, 1965년에서 1969년 사이에는 미국 테네시주 네쉬빌에서 Boss H. bryan 합동설계사무소의 엔지니어로 근무하였다.[25]

1974년 동원 Engineering Consultant Ltd의 부사장을 역임하였고[25], 1991년 미국 생활을 정리하고 귀국하였다.[28] 1994년에는 연세대 강사,[28] 1998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외래교수로 재직 중이다.[25] ASCE, NSPE, ACI, PCI, 대한토목공학회, 대한건축학회의 전 회원이었다.[25]

2006년 사재로 '석파학술연구원'을 세워 흥선대원군에 관한 동북아시아 역사 자료를 종합한 사료집인 《흥선대원군 사료휘편》을 출판하였다.[23]

1993년부터 2018년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흥선대원군 초상을 포함하여 8,000여 점의 유물을 서울시에 기증했다. 2018년 3월에는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에 위치한 남연군묘(南延君墓) 및 일대 21992m2의 토지를 예산군에 기증하였고, 2019년 1월에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흥선대원군묘(興宣大院君墓, 경기도기념물 제48호) 및 일대 129935m2의 토지를 경기도에 기증하였다.

2006년 9월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증조부(이재면)와 조부(이준용)의 행적을 친일행위로 규정해 발표하자, 2006년 11월 헌법상 보장된 인격권 등 기본권을 침해당했다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고, 2007년 1월 18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서울행정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30] 하지만 헌법소원은 2009년 10월 5일 헌법재판소에서 각하되었다. 헌법재판소는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으로 인해 조사대상자 및 그 후손의 인격권이 제한받게 되더라도 부수적 결과에 불과할 뿐이므로 청구인이 기본권 침해의 직접성 등을 갖추지 못한 채 헌법소원을 제기했기 때문에 부적법하다는 사유로 각하한다고 결정했다.[31]

2. 3. 친일 논란과 법적 대응

2006년 9월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증조부(이재면)와 조부(이준용)의 행적을 친일행위로 규정해 발표하자, 2006년 11월 헌법상 보장된 인격권 등 기본권을 침해당했다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고, 2007년 1월 18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서울행정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30] 하지만 헌법소원은 2009년 10월 5일 헌법재판소에서 각하되었다. 헌법재판소는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으로 인해 조사대상자 및 그 후손의 인격권이 제한받게 되더라도 부수적 결과에 불과할 뿐이므로 청구인이 기본권 침해의 직접성 등을 갖추지 못한 채 헌법소원을 제기했기 때문에 부적법하다는 사유로 각하한다고 결정했다.[31]

3. 학력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이우 (1912 ~ 1945)
어머니박찬주 (1914 ~ 1995)박영효의 손녀
동생이종 (1940 ~ 1966)미국 유학 중 교통사고로 사망[40]
부인김채영 (1949 ~ )1971년 결혼[22]


5. 기타

1992년 운현궁을 서울시에 매각하고, 1994년에는 고조부 흥선대원군의 영정을 비롯한 황실 유품 100여 점을 기증했다.[14] 2007년에는 운현궁(사적 제257호) 유물 8000여 점을 서울역사박물관에, 2018년 4월에는 흥선대원군 부친 남연군 묘역을 충청남도 예산군에 기증했다.[32] 경기도에는 흥선대원군 묘역 2555m2와 주변 임야 129935m2를 합쳐 공시지가 약 52억 상당의 토지를 기증했다.[32]

이승만 대통령은 양녕대군 16대손으로, 적통 왕가 후손을 양자로 들이는 문제로 이청에게 양자 입적을 제안했다 거절당했다.[33][34]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에서 활동했다. 의친왕 장남 이건의 일본 귀화로, 차남 이우의 장남인 이청이 황통 계승자로 인정받았으나, 황실 관련 활동은 하지 않았다.

5. 1. 석파학술연구원 편찬 도서

興宣大院君史料彙編|흥선대원군사료휘편중국어2006년 이청이 사재로 세운 '석파학술연구원'에서 흥선대원군에 관한 동북아시아 역사 자료를 종합한 사료집이다.[23] 출판된 도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
흥선대원군 사료휘편(전4권)[35]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1(승정원일기 외)[36]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2(일본외교문서)[37]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3(일본외교자료집성 외)[38]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4(대원군전)[39]


참조

[1] 웹사이트 "이청 인터뷰 기사" http://dna.naver.com[...] The Dong-a Ilbo 1991-12-11
[2] 웹사이트 이청씨, 한중일 역사자료 종합 '흥선대원군…' 4권 펴내 https://www.donga.co[...] 2020-07-03
[3] 웹사이트 왕공족보(王公族譜) http://jsg.aks.ac.kr[...] 2020-05-28
[4] 웹사이트 《반남박씨세보 5권》 http://www.bannampar[...] 2020-05-30
[5] 웹사이트 《흥선대원군과 운현궁 사람들》 http://www.museum.se[...] 2013-11-10
[6] 웹사이트 官報. 1945年08月11日 https://dl.ndl.go.jp[...] 2020-07-03
[7] Wikisource 구황실재산법
[8] 뉴스 조선말 왕족 애환 서린 '운현궁 유물' 선뵌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 2009-03-31
[9] 웹사이트 양녕대군파 권22(讓寧大君派 卷之二十二) http://visualjoseon.[...] 2020-06-05
[10] 서적 내가모신 해공신익희 선생 해공신익희기념사업회
[11] 웹사이트 황손이라는 역사의 굴레 너무 힘겨워 https://news.joins.c[...] 2020-07-03
[12] 뉴스 "이종 부고 기사" http://dna.naver.com[...] Kyunghyang Shinmun 1966-12-28
[13] 뉴스 운현궁집사가 3억 빼돌려/대원군 5대종손 이청씨 재산관리인 http://news.kmib.co.[...] 1994-08-26
[14] 뉴스 박찬주 부고 기사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5-07-15
[15] 뉴스 法院:有关亲日反民族行为的决定并无不妥 https://cn.yna.co.kr[...] 2007-09-17
[16] 뉴스 흥선대원군의 삶·당시 역사 재조명되길 http://www.munhwa.co[...] 2019-01-04
[17] 웹사이트 여흥민씨파보 驪興閔氏三房派譜(1959年版) https://www.familyse[...] 2020-06-28
[18] 웹사이트 인조대왕자손록, 숙종대왕자손록, 장조의황제자손록 권7(仁祖大王子孫錄, 肅宗大王子孫錄, 莊祖懿皇帝子孫錄 卷之七) http://visualjoseon.[...] 2020-07-03
[19] 문서 덕수장씨족보 德水張氏族譜 https://www.familyse[...]
[20] 문서
[21] 문서
[22] 뉴스 이청 인터뷰 기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12-11
[23] 뉴스 이청씨, 한중일 역사자료 종합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4권 펴내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6-01-10
[24] 웹사이트 "<이희공계제3세이우공족보>(李熹公系第參世李鍝公族譜)" http://lib.aks.ac.kr[...] 이왕직 1940
[25] 웹사이트 《흥선대원군과 운현궁 사람들》 http://www.museum.se[...] 서울역사박물관 2007
[26] 간행물 http://dl.ndl.go.jp/[...]
[27] 뉴스 조선말 왕족 애환 서린 ‘운현궁 유물’ 선뵌다 http://www.hani.co.k[...]
[28] 뉴스 운현궁집사가 3억 빼돌려/대원군 5대종손 이청씨 재산관리인 http://news.kmib.co.[...] 국민일보 1994-08-26
[29] 뉴스 박찬주 부고 기사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5-07-15
[30] 뉴스 "대원군 고손 "증ㆍ조부 친일 안했다" 소송"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1-18
[31] 뉴스 "흥선대원군 후손 제기한 친일진상규명법 위헌소원 각하"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9-10-05
[32] 뉴스 “흥선대원군의 삶·당시 역사 재조명되길”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33] 뉴스 "태조 이성계 사후 600년, 조선의 황손으로 산다는 것" http://www.koreadail[...] 월간중앙 2010-11-08
[34] 뉴스 “황손이라는 역사의 굴레 너무 힘겨워”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8-10-11
[35] 서적
[36] 서적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1 현음사 2005-11-30
[37] 서적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2 현음사 2005-11-30
[38] 서적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3 현음사 2005-11-30
[39] 서적 흥선대원군 사료휘편 4 현음사 2005-11-30
[40] 뉴스 이종 부고 기사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6-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