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는 북한 수립 초기에는 적대적이었으나, 이후 경제 및 문화 교류를 시도하며 변화를 겪었다. 1950년대에는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를 지원하고 재일 한국인의 북한 귀국을 추진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 이후 북한은 이를 비난하며 관계가 악화되었고, 1980년대 후반에는 납치 문제, 미사일 발사, 마약 밀수 등 다양한 갈등으로 더욱 적대적으로 변했다. 2000년대 초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평양 방문과 6자 회담을 통해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납치 문제와 핵 개발 문제로 인해 여전히 긴장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2024년 1월, 김정은이 지진 피해에 대한 위로 조전을 보내는 등 긍정적인 신호도 있었지만, 납치 문제 해결에 대한 입장 차이로 북일 관계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민지 본국과 옛 식민지 관계 - 베트남-프랑스 관계
    17세기 초 알렉상드르 드 로드 신부의 방문으로 시작된 베트남-프랑스 관계는 프랑스의 식민지배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거쳐 베트남이 독립을 쟁취한 후, 1973년 외교 관계 수립과 1990년 미테랑 대통령의 방문을 통해 역사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식민지 본국과 옛 식민지 관계 - 베트남-일본 관계
    베트남-일본 관계는 16세기부터 무역으로 시작되어 20세기 초 동유 운동, 제2차 세계 대전의 어두운 역사를 거쳐, 현재는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경제, 국방,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양국 관계를 의미한다.
  •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후지모토 겐지
    후지모토 겐지는 김정일의 전속 요리사로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탈북 후 김정일의 사생활을 폭로하고 김정은과 재회하기도 했다.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개요
관계 명칭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약칭: 일조 관계)
관련 문서일조관계사
역사적 배경
주요 사건일본의 한반도 지배
제2차 세계 대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일본인 납치 문제
연평도 포격 사건
북한 핵 문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발사 문제
정치적 관계
수교 여부미수교
주요 쟁점일본인 납치 문제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
과거사 문제 (식민지배 배상 문제)
동해/일본해 명칭 문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본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경제적 관계
교역 현황극히 미미 (사실상 단절)
경제 제재일본, 독자적인 대북 경제 제재 시행 중
과거 교역조총련을 통한 제한적인 교역 존재
인도적 지원 명목의 교류
사회・문화적 관계
재일 조선인조선적 재일 조선인 존재
조총련과 민단으로 나뉨
문화 교류거의 없음 (제한적)
인도적 지원과거 일본 정부 및 민간단체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존재
기타
관련 인물김정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베 신조
김정은
관련 단체조총련
민단
여론일본 국민의 대북 감정 매우 부정적

2. 역사

1945년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일조 관계사 또는 한일 관계의 역사를 참조하십시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초기 양국 관계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 없이 적대적인 상태로 시작되었다. 북한은 대한민국이승만 정부와 일본 간의 협상을 비난하면서도[2][29], 이승만 라인을 둘러싼 한일 갈등을 활용하려 했다.[3][30] 1950년대 중반 하토야마 이치로 일본 총리의 공산권 관계 개선 움직임에 발맞춰 북한은 경제·문화 협력을 제안했고[3][30],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 설립 지원 및 재일 한국인 북송 사업을 진행했다.[11][37]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을 강하게 비판한 이후[31], 북일 관계는 일본 정권에 따라 변화를 보였다. 사토 에이사쿠 총리 시기 악화되었으나[31], 1970년대 초 중일 국교 정상화 분위기 속에서 경제 협력이 일부 확대되기도 했다.[31]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는 남북한 등거리 정책을 표방했으나[31], 이후 미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를 거치며 일본은 다시 대한민국을 우선하는 정책으로 회귀했고, 북한의 고립은 심화되었다.[31] 이 과정에서 북한은 종종 독도 문제를 제기하며 일본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4][31]

1980년대 후반까지 북한은 한일 협력 견제와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동시에 모색했으나[11][37], 북송된 일본인 배우자의 처우 문제, 일본 적군 지원 논란, 일본 기업에 대한 채무 불이행 등으로 일본 내 여론은 악화되었다.[11][37] 이 시기 양국은 공식 외교 관계 없이 비공식적인 무역만 유지했으며[8][34], 북한 언론의 대일 비난, 북한의 테러 행위에 대한 일본의 경제 제재, 약 5000만달러 규모의 미지급 부채 등으로 긴장이 고조되었다.[8][34]

1990년대 초 가네마루 신 전 부총리의 방북을 계기로 국교 정상화 교섭이 시작되었으나[55][8][34], 식민지배 보상 문제, 북한 핵 문제, 북한 내 일본인 문제 등 여러 난제로 인해 교섭은 결렬되었다.[55][58][8][11][34][37]

21세기에 들어서도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로 인해 양국 관계는 경색 국면을 이어갔다. 특히 2017년 북한의 연이은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로 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았다.[5][6][32][33] 그러나 2024년 1월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24년 노토반도 지진 피해와 관련하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이례적으로 위로 전문을 보내기도 했다.[7]

2. 1. 한국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초기 몇 년 동안 평양과 도쿄 사이의 관계는 거의 적대적이었고, 공식적인 관계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1949년부터 1950년까지 북한 지도부는 일본대한민국이승만 정권 사이의 경제적, 정치적 협상을 강하게 비난했다.[51][29] 그러나 이후 북한은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의 이승만 라인을 둘러싼 갈등을 이용하려 시도했다.[51][29] 소련 및 다른 공산주의 국가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던 일본 하토야마 이치로 총리의 정책에 발맞춰, 1955년 2월 북한의 남일 외무상은 일본과의 경제 및 문화 협력을 제안하는 성명을 발표했다.[51][29] 1955년부터 1964년까지 북한과 일본의 경제 관계는 점차 확대되었는데, 이는 북한이 일본에 협조적인 태도를 보여 한일 간의 화해를 견제하고 소련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낮추려 했기 때문이다.[52][30]

1955년, 북한은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의 설립을 지원했다. 조선총련은 북한을 지지하는 재일 한국인들을 위한 단체이자 일본 내 북한의 사실상의 대사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59년 적십자 협정 체결 이후, 일본에 거주하던 재일 한국인들의 자발적인 북한 귀국이 시작되었다. 1960년 말까지 약 60만 명으로 추산되던 재일 한국인 중 약 5만 명이 소련에서 빌린 배를 타고 북한으로 건너갔다. 이 귀국 사업은 1960년 10월에 1년 더 연장되어, 귀국을 희망하는 나머지 약 6만 명을 추가로 수용하려 했다.

1965년 북한 정부는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기본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을 강하게 비판했다. 사토 에이사쿠 총리 시기 일본과 북한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나, 1971년부터 1972년 사이 중일 국교 정상화 과정에서 일본 기업들이 북한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정부는 북한과 대한민국에 대해 등거리 정책을 취하며 문세광 사건 당시 대한민국 편에 서서 북한에 대항하는 것을 거부했지만, 북한과의 외교 관계 수립은 보류했다. 이후 미키 다케오 총리 시기부터 일본은 다시 대한민국을 명확히 지지하는 정책으로 돌아섰다. 후쿠다 다케오 총리가 중일 평화 우호 조약을 체결하고, 1983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자 북한 지도부는 고립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렇게 한일 관계가 강화되고 북일 관계가 악화될 때, 북한은 종종 독도 문제를 제기하며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4][31]

1980년대 후반까지 북한의 대일 정책은 한일 간의 협력을 최소화하고 일본의 재무장을 억제하는 동시에, 일본과의 외교 및 상업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북한은 일본 내 일본 공산당이나 일본 사회당 지지자들, 그리고 재일 한국인 사회 내에서 북한에 대한 지지를 넓히려 노력했다.[11][37]

그러나 북한은 여러 사건으로 인해 일본 내 잠재적 지지자들의 신뢰를 잃었다. 배우자를 따라 북한으로 이주한 일본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일본의 가족 및 친구들과 연락이 금지된 문제, 일본 정부가 테러 단체로 지정한 일본 적군 조직원들에게 북한이 피난처를 제공한 문제 등이 일본 사회의 반감을 샀다. 또한 북한이 일본 기업들에게 진 채무를 상환하지 않거나 거부한 것도 일본 내 부정적 여론을 강화했다.[11][37]

1980년대 후반, 일본과 북한의 관계는 더욱 적대적으로 변했다. 양국 정부는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고 공식적인 접촉도 없었다. 다만 야당인 일본 사회당은 북한 정권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일본 정부는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서만 북한과의 무역을 허용했으며, 1980년대 그 규모는 연간 2억달러를 넘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8][34] 양국 관계의 긴장 요인으로는 북한 언론의 일본 비난, 1980년대 북한의 대한민국 대상 테러 행위에 대한 일본의 경제 제재 부과, 그리고 북한이 일본 기업에 갚지 않은 약 5000만달러 규모의 채무 등이 있었다.[8][34]

2017년, 북한이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탄도 미사일을 두 차례 일본 해역으로 시험 발사하면서 양국 관계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다.[5][6][32][33]

2024년 1월, 북한 최고 지도자 김정은전신을 통해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에게 2024년 노토반도 지진 피해에 대한 위로를 전하고 일본 국민의 빠른 회복을 기원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이는 김정은이 자연재해와 관련하여 위로 메시지를 보낸 첫 사례이자, 기시다 총리에게 보낸 첫 메시지였다.[7]

2. 2. 한일기본조약 체결 이후

196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대한민국일본 사이에 체결된 한일기본조약을 강하게 비판했다.[31] 사토 에이사쿠 총리 시기 양국 관계는 악화되었다.[31] 그러나 1971년부터 1972년에 걸쳐 중일 국교 정상화 과정에서 양국 간 경제 협력이 확대되었다.[31]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아래에서 일본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에 대해 등거리 정책을 채택했으며, 문세광 사건 발생 시 대한민국 편에 서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항하는 것을 거부했다.[31] 그럼에도 일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은 계속 보류했다.[31]

미키 다케오 총리와 그의 후임자들 아래에서 일본은 다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보다 대한민국을 명확히 지지하는 정책으로 돌아섰다.[31] 후쿠다 다케오 총리가 중일평화우호조약을 체결하고, 1983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부는 고립감을 느꼈다.[31] 일본과 대한민국의 협력이 강화되거나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갈등이 심화될 때, 평양은 종종 독도 문제를 제기하며 불만을 표현하기도 했다.[4]

1980년대 후반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일 정책은 주로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협력을 최소화하고 일본의 재무장을 억제하며, 일본과의 외교 및 상업 관계를 더 긴밀히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7] 이 정책의 핵심은 일본 내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지지를 넓히는 것이었으며, 특히 일본 공산당과 일본사회당 지지자 및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의 지지 확보가 중요했다.[37]

그러나 수년에 걸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일본 내 잠재적 지지자들의 신뢰를 잃게 만드는 행동들을 했다.[37] 배우자를 따라 북한으로 이주한 일본인들은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으며 일본 내 가족 및 친구들과의 연락이 금지되었다.[37] 또한 일본 정부가 테러 단체로 지정한 일본 적군 단원들에게 북한이 피난처를 제공한 것은 일본 내 반감을 샀다.[37] 북한이 일본 기업들에 진 부채를 상환하지 않거나 못하는 문제도 일본 대중의 부정적 인식을 강화했다.[37]

1980년대 후반 양국 관계는 더욱 적대적으로 변했다.[34] 두 정부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고 실질적인 접촉도 없었다.[34] 그럼에도 야당인 일본사회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34] 일본 정부는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한 무역만을 허용했으며, 1980년대 그 규모는 연간 2억달러를 초과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34][55]

양국 간 긴장을 유발한 문제들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론의 일본 비난 공격, 1980년대 대한민국에 대한 테러 행위를 이유로 일본이 부과한 대북 경제 제재, 그리고 약 5000만달러에 달하는 일본 기업들에 대한 북한의 미지급 부채 등이 있었다.[34][55]

2. 3. 김정은 집권 이후

2017년 북한이 두 차례에 걸쳐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탄도 미사일동해로 시험 발사하면서, 양국 관계는 역사상 최악의 상태로 악화되었다.[53][54][5][6][32][33]

2024년 1월, 김정은 최고 지도자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2024년 노토반도 지진 피해자에 대한 위로와 일본 국민의 빠른 회복을 기원하는 조전을 보냈다.[7] 이는 김정은이 자연 재해와 관련하여 위로를 보낸 첫 사례이며, 기시다 총리에게 보낸 첫 조전으로 기록되었다.[7]

2. 4. 북일 국교 정상화 논의

1990년대 초, 일본대한민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과 외교 관계 수립을 목표로 장기간 협상을 시작했다.[55][8][34] 1990년 9월, 자유민주당의 전 부총리였던 가네마루 신이 이끄는 일본 정치 대표단이 북한을 방문했다. 가네마루와 북한 지도자 김일성의 회담 후, 9월 28일에는 일본이 과거 식민지배 기간에 대해 북한에 사죄하고 보상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이를 계기로 양국은 외교관계 수립을 위한 협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55][8][34]

1991년 1월, 일본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이어진 한반도 식민지배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며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 교섭을 개시했다. 당시 일본이 북한과 대한민국의 유엔 동시 가입 제안을 지지하면서 교섭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55][8][34]

한편, 북한은 당시 중국러시아와의 관계 변화 속에서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이는 심각한 식량 및 에너지 부족, 외화 부족 등 외교적, 경제적 고립에서 벗어나려는 목적이 주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는 과거 일본이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했을 때의 전례에 따라, 식민지배 기간(1910–45)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일본으로부터 얻어낼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이기도 했다.[58][11][37]

그러나 1991년 1월 30일부터 31일까지 열린 첫 번째 정상화 교섭은 여러 난제로 인해 곧바로 결렬되었다.[58][11][37]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았다.

  • 보상 문제: 북한은 식민지배로 인한 피해뿐만 아니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겪은 "고통과 손실"에 대한 보상까지 요구했다. 반면 일본은 보상의 구체적인 규모와 성격에 대해 이견을 보이며, 북한이 먼저 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5][58][8][11][34][37]
  • 핵 문제: 일본은 북한 핵 시설에 대한 국제적인 사찰 수용과 더불어, 북한이 먼저 대한민국과의 핵 사찰 문제에 대한 이견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5][58][8][11][34][37]
  • 일본인 관련 문제: 1960년대 한국인 배우자를 따라 북한으로 이주한 일본인에 대한 정보 제공을 북한이 거부하는 문제[58][11][37],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 포로로 잡혀 북한으로 보내진 일본군 문제[56][57][9][10][35][36] 등도 해결되지 않았다.


이후 북한은 북일 국교정상화교섭 담당대사 직책을 신설하고 송일호를 임명하여 일본과의 교섭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3. 납치 문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는 양국 관계에서 오랜 기간 동안 해결되지 못한 핵심적인 현안이다. 1977년부터 1983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이 사건들은, 2002년 북한이 일부 사실을 인정하고 일부 피해자가 귀환하기도 했으나[58][11][37][59][60][61][12][13][14][38][39][40], 여전히 많은 피해자의 생사 확인 및 귀환 문제가 남아 있으며, 요코타 메구미 사건 등[62][15][41] 풀리지 않은 의혹들로 인해 양국 간 불신과 갈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속적으로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으나[17][43], 북한은 문제가 이미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대화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18] 이 문제는 일본 국내 여론과 정치[16][42], 그리고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3. 1. 납치 문제의 발생과 전개

2002년 평양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공작원에 의한 일본인 납치는 1977년부터 1983년까지 6년 동안 발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오랫동안 납치 사실을 부인했으나, 2002년에 이르러 13명의 납치를 공식 인정했다. 납치된 이들 중에는 재일 한국인 이은희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는 간첩 요원을 위한 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치기 위해 북한으로 납치되었다고 알려졌다.[11][37]

2002년과 2004년, 당시 일본 총리였던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납치 피해자들의 송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차례 평양을 방문했다. 이 방문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납치 피해자 13명 중 5명을 일본으로 돌려보냈으나, 나머지 8명은 이미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2][13][14][38][39][40]

그러나 관계 개선의 분위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특히 13세에 납치되어 북한에서 자살했다고 북한 측이 주장한 요코타 메구미의 유해에 대해, 일본 측이 DNA 검사 결과 본인의 것이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양국 관계는 다시 경색되었다.[15][41] 일본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납치 문제의 완전한 진상 규명을 계속 요구하고 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문제가 이미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일본 내부에서는 이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일본 내 친척들이 북한으로 보내는 송금에 의존하는 북한 주민들이 많다는 점을 들어, 송금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북한에 양보를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일각에서는 일본의 정치 우파 세력이 납치 문제 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민족주의적 정치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16][42]

국제 사회에서도 이 문제가 다루어졌다. 미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의 요청에 따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에서 납치 문제를 언급하며 "처리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으나, 구체적인 진전은 없었다.[17][43]

최근인 2024년 3월 29일, 최선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납치 문제 해결 의지를 재차 밝힌 것에 불만을 표하며, 일본과의 어떠한 소통도 거부한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그는 도쿄와의 대화는 북한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18]

3. 2. 일본 정부의 대응과 북일 협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공작원에 의한 일본인 납치는 1977년부터 1983년까지 6년간 발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오랫동안 납치 사실을 부인했으나, 2002년에 들어 13건의 납치를 인정했다. 납치된 인물 중에는 재일 한국인 이은희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는 간첩 요원 양성 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치기 위해 북한으로 납치되었다.[11]

납북 문제 해결을 위해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는 2002년과 2004년, 두 차례에 걸쳐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하고 납치 피해자들의 송환을 요구했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납치 피해자 13명 중 5명을 일본으로 돌려보냈으나, 나머지 8명은 이미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2][13][14]

그러나 이후 양국 관계는 다시 악화되었다. 일본 정부는 13세에 납치되어 북한에서 자살했다고 북측이 주장한 요코타 메구미의 유해에 대해 DNA 검사를 실시한 결과, 해당 유해가 요코타 메구미의 것이 아니라고 발표하며 북한 측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15] 일본은 북한에 납치 문제에 대한 완전한 진상 규명을 계속 요구하고 있지만, 북한은 이미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일본 내에서는 북한에 대한 강경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북한 주민 상당수가 일본 내 친척들의 송금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일본 정부가 송금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일본의 우익 세력이 납치 문제 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민족주의적 정치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16]

국제 사회의 개입 시도도 있었다. 미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의 요청에 따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를 제기했으며, 문제가 "처리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으나 구체적인 진전은 없었다.[17]

2024년 3월, 최선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납치 문제 해결 의지를 재차 밝힌 것에 대해 불쾌감을 표시하며, 일본과의 어떠한 대화나 접촉도 거부한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최 외무상은 일본과의 대화는 북한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18]

3. 3. 납치 피해자 가족의 활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요원에 의한 일본인 납치 사건은 1977년부터 1983년까지 6년간 발생했다. 북한은 오랫동안 납치 사실을 부인했으나, 2002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13명을 납치했다는 사실을 공식 인정했다. 납치된 이들 중에는 간첩 요원 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치기 위해 납북된 재일 한국인 이은희도 포함되어 있었다.[11][37]

2002년과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납치 피해자 송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차례 평양을 방문했다. 북한은 납치 피해자 13명 중 5명을 일본으로 돌려보냈으나, 나머지 8명은 이미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2][13][14][38][39][40] 특히, 13세 때 납치되어 북한에서 사망했다고 알려진 요코타 메구미의 경우, 북한이 전달한 유골에 대한 DNA 검사 결과 일본 정부는 해당 유골이 요코타 메구미의 것이 아니라고 발표하면서 양국 관계는 다시 악화되었다.[15][41] 일본 정부는 북한에 납치 문제의 완전한 해결과 진상 규명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북한은 문제가 이미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문제는 일본 내에서도 여러 논란을 낳고 있다. 일부에서는 북한에 거주하는 친척에게 보내는 송금을 중단하여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반면, 일본 내 우익 세력이 납치 문제 등을 이용하여 민족주의적 목적을 추구한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16][42]

국제적으로도 납치 문제는 간혹 언급되는데, 미국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의 요청에 따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며 해결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17][43] 하지만 2024년 3월, 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납치 문제 해결 의지를 재차 표명한 것에 불만을 나타내며, 일본과의 어떠한 대화도 거부한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18]

3. 4. 국제사회의 반응과 협력



일본인 납북 사건은 1977년부터 1983년 사이에 발생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오랫동안 이를 부인하다가 2002년에 13건의 납치를 인정했다. 당시 일본 총리였던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납북자 송환을 요구하기 위해 2002년과 2004년 두 차례 평양을 방문했다. 북한은 납치 피해자 13명 중 5명을 송환했으나, 나머지 8명은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2][13][14][38][39][40] 특히 13세에 납치된 요코타 메구미의 유해에 대한 DNA 검사 결과가 일본 측 주장에 의해 반박되면서 양국 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사라졌다.[15][41] 일본은 북한에 진상 규명을 계속 요구하고 있지만, 북한은 문제가 이미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인 관심과 협력도 일부 이루어졌다. 미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의 요청에 따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에서 납치 문제를 제기했으며, "처리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17][43]

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024년 3월 29일, 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납치 문제 해결 의지를 재차 밝힌 것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일본과의 어떠한 소통도 거부하고 대화는 무의미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18]

한편, 일본 내에서는 북한에 대한 경제적 압박 수단으로 재일조선인 친척들이 북한으로 보내는 송금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반면, 일본의 정치 우파가 납치 문제 등을 자신들의 민족주의적 의제를 강화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16][42]

4. 기타 갈등 요인

납치 문제 외에도 마약 밀수, 해양 자원 불법 포획(밀렵), 간첩 활동 등 일본 내에서의 북한의 비밀 활동을 둘러싸고 양국 간에 여러 차례 충돌이 있었다.[63][19] 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미사일이 때때로 일본의 영공이나 영토, 인근 해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일본의 주요 안보 우려 사항이 되고 있다.[63][19]

4. 1. 마약 밀수, 해양 밀렵, 간첩 활동

납치 사건 외에도 마약 밀수, 해양 자원 불법 포획(밀렵), 간첩 활동 등 일본 내에서의 북한의 비밀 활동과 관련하여 양국 간에는 여러 차례 충돌이 있었다. 특히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는 미사일이 일본 영공이나 영토, 혹은 인근 해역을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 일본에게 주요 안보 우려 사항이 되고 있다.

1998년 북한은 대포동 1호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이 미사일은 일본 상공을 통과하여 태평양에 낙하했다.[19] 이 시험 발사는 당시 미국 뉴욕에서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의 미래에 대한 북미 간 협상이 진행 중이던 상황에서 이루어져, 정치적 도전 행위로 해석되었다.[19]

2017년 3월 17일,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처음으로 대피 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당시 미국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한국 방문 중 북한에 대한 군사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향해 "매우 나쁜 행동을 하고 있다"고 발언한 직후의 일이었다.

2019년 11월, 북한의 관영 매체는 당시 일본 총리였던 아베 신조가 북한의 최신 다연장 로켓 발사 시험을 탄도 미사일 발사라고 규정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가까운 시일 내에 일본이 진짜 탄도 미사일을 보게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21]

이후에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계속되었다. 2021년 10월과 2022년 11월에는 일본 인근 해역에 미사일을 발사했으며,[22] 2023년 5월 31일부터 6월 7일 사이에는 동해 부근에서 미사일 시험을 계획하기도 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자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본 영토 범위 내로 들어오는 모든 미사일을 요격할 것이라고 밝혔다.[23]

4. 2. 미사일 실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미사일이 때때로 일본 영공과 영토를 통과하기 때문에 일본의 주요 우려 사항이다. 이는 납치 문제 외에도 마약 밀수, 해양 불법 조업, 간첩 활동 등과 더불어 양국 간의 긴장 요인이 되고 있다.

1998년 북한은 대포동 1호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여 일본 상공을 지나 태평양에 떨어뜨렸다.[19] 이 시험 발사는 당시 뉴욕에서 진행 중이던 북한의 핵 개발 관련 북미 협상 중에 이루어져 정치적 도전 행위로 간주되었다.[19]

이후에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은 계속되었다. 2017년 3월 17일,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사상 처음으로 대피 훈련을 실시했다.[64] 2019년 11월에는 당시 일본 총리였던 아베 신조가 북한의 다연장 로켓 발사를 탄도 미사일 시험이라고 언급하자, 북한 관영 매체는 일본이 가까운 시일 내에 실제 탄도 미사일을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21]

북한은 2021년 10월과 2022년 11월에도 일본 해역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다.[65][22] 2023년 5월 말에는 동해 인근에서 미사일 시험을 계획했으며, 이에 일본 정부는 자국 영토 범위 내로 들어오는 모든 미사일을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격추할 것이라고 밝혔다.[23]

5. 6자 회담

2007년 2월 13일에 열린 6자 회담에서는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폐쇄하는 대가로 연료를 지원받고, 미국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했다.[26][27][47][48]

6. 최근의 양자 관계

두 나라는 2007년 9월에 양자 회담을 가졌고, 2008년 6월에 이를 재개했다.[20][49]

2017년, 북한이 두 차례에 걸쳐 일본 해역으로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탄도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면서 양국 관계는 악화되었다.[5][6] 같은 해 3월 17일,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 이후 처음으로 대피 훈련을 실시했다.

2019년 11월, 북한 관영 매체는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가 북한의 다연장 로켓 발사 실험을 탄도 미사일 발사라고 비판하자, 일본이 조만간 실제 탄도 미사일을 보게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21] 이후 2021년 10월과 2022년 11월에도 북한은 일본 해역에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했다.[22] 북한은 2023년 5월 31일부터 6월 7일 사이에 동해 부근에서 미사일 시험을 할 계획을 밝혔고, 일본은 자국의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이용해 일본 영토 범위 내에 들어오는 모든 미사일을 격추할 것이라고 대응했다.[23]

2024년 1월, 최고 지도자 김정은전신을 통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2024년 노토반도 지진 피해자들에 대한 위로를 전하고 일본 국민의 빠른 회복을 기원했다. 이는 김정은이 자연 재해 이후 처음으로 보낸 위로 메시지이자, 기시다 총리에게 보낸 첫 조전이었다.[7]

2024년 초, 양국 관계에 중요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 수십 년간의 적대 관계와 최소한의 외교 접촉에서 벗어나 고위급 회담 개최 의사를 서로 표명한 것이다. 회담에서는 북한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들의 귀환 문제와 평양에 대한 제재 완화 가능성 등 핵심 현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상호 관심을 보여준다.[24]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김정은과의 정상 회담 개최 의사를 밝히며, 오랜 갈등의 핵심인 납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일본의 의지를 강조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양자 관계 개선과 지역 긴장 완화에 대한 전략적 고려를 반영한다. 북한 측에서는 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 조선로동당 부부장도 북일 관계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으며, 양국 간 새로운 외교적 관계를 열 수 있는 역사적인 만남의 가능성을 시사했다.[25]

참조

[1] 간행물 2014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2] 서적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II: The Roaring of the Cataract 1947–1950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논문 Japanese-North Korean Relations Today 1964-04
[4] 논문 "Instrumental Nationalism? The Dokdo Problem Through the Lens of North Korean Propaganda and Diplomacy," 2013-01
[5] 뉴스 North Korea fires ballistic missile into Japanese waters https://www.bbc.com/[...] bbc.com 2016-08-03
[6] 웹사이트 Next target Guam, North Korea says https://www.msn.com/[...]
[7] 웹사이트 北朝鮮キム総書記 岸田首相宛てに見舞いの電報 能登の地震受け {{!}} NHK https://www3.nhk.or.[...] 2024-01-06
[8] 간행물 https://web.archive.[...] 2015-03-30
[9] 뉴스 Russia Acknowledges Sending Japanese Prisoners of War to North Korea http://www.mosnews.c[...] Mosnews.com 2007-02-23
[10] 논문 The Dilemma of North Korea's Japanese Wives http://www.jpri.org/[...] 2007-03-16
[11] 간행물 https://web.archive.[...] 2009-01-09
[12] 뉴스 The ashes of little Megumi http://atimes.com/at[...] Asia Times Online 2007-01-19
[13] 뉴스 Koizumi: Risky mission half accomplished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7-01-19
[14] 서적 Exodus to North Kore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5] 뉴스 Clues Found in North Korean Kidnappings http://english.donga[...] Donga 2007-01-19
[16] 뉴스 Japanese right manipulates abduction issue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7-01-19
[17] 웹사이트 Trump says he raised the abductions issue – News – NHK WORLD – English https://www3.nhk.or.[...]
[18] 웹사이트 North Korean foreign minister nixes any contact with Japan https://www.japantim[...] 2024-03-30
[19] 뉴스 North Korea Fires Missile Over Japanese Territory https://www.nytimes.[...] 2015-06-21
[20] 뉴스 Japan and N Korea re-open talks http://news.bbc.co.u[...] 2008-06-07
[21] 뉴스 North Korea warns Japan's Abe may soon see real ballistic missile launch https://www.reuters.[...] 2019-12-02
[22] 뉴스 North Korea fires suspected submarine-launched missile into waters off Japan https://www.bbc.com/[...] 2021-10-19
[23] 웹사이트 Japan puts missile defences on alert as North Korea warns of satellite launch https://www.yahoo.co[...] 2023-05-28
[24] 웹사이트 Japan, North Korea hint they are ready for high-level talks – DW – 02/27/2024 https://www.dw.com/e[...] 2024-03-31
[25] 웹사이트 Kim Jong Un's Sister Talks of 'New Future'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https://www.voanews.[...] 2024-02-15
[26] 웹사이트 Initial A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Joint Statement http://www.fmprc.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ebsite 2007-02-13
[27] 뉴스 Rice hails N Korea nuclear deal http://news.bbc.co.u[...] 2007-02-13
[28] 간행물 2014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29] 서적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II: The Roaring of the Catarac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논문 Japanese-North Korean Relations Today 1964-04
[31] 논문 "Instrumental Nationalism? The Dokdo Problem Through the Lens of North Korean Propaganda and Diplomacy," 2013-01
[32] 뉴스 North Korea fires ballistic missile into Japanese waters https://www.bbc.com/[...] bbc.com 2016-08-03
[33] 웹사이트 Next target Guam, North Korea says https://www.msn.com/[...] 2020-02-20
[34] 간행물 https://web.archive.[...] 2015-03-30
[35] 뉴스 Russia Acknowledges Sending Japanese Prisoners of War to North Korea http://www.mosnews.c[...] Mosnews.com 2007-02-23
[36] 논문 The Dilemma of North Korea's Japanese Wives http://www.jpri.org/[...] 1997-11
[37] 간행물 https://web.archive.[...] 2009-01-09
[38] 뉴스 The ashes of little Megumi http://atimes.com/at[...] Asia Times Online 2004-11-18
[39] 뉴스 Koizumi: Risky mission half accomplished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4-05-25
[40] 서적 Exodus to North Kore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41] 뉴스 Clues Found in North Korean Kidnappings http://english.donga[...] Donga 2006-01-07
[42] 뉴스 Japanese right manipulates abduction issue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4-01-15
[4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44] 뉴스 North Korea Fires Missile Over Japanese Territory https://www.nytimes.[...] 1998-09-01
[45] 뉴스 North Korea warns Japan's Abe may soon see real ballistic missile launch https://www.reuters.[...] 2019-11-29
[46] 뉴스 North Korea fires suspected submarine-launched missile into waters off Japan https://www.bbc.com/[...] 2021-10-19
[47] 웹사이트 Initial A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Joint Statement http://www.fmprc.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ebsite 2007-02-13
[48] 뉴스 Rice hails N Korea nuclear deal http://news.bbc.co.u[...] 2007-02-13
[49] 뉴스 Japan and N Korea re-open talks http://news.bbc.co.u[...] 2007-06-07
[50] 간행물 2014 World Service Poll http://www.globescan[...] BBC
[51] 서적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II: The Roaring of the Cataract
[52] 논문 Japanese-North Korean Relations Today 1964-04
[53] 뉴스 North Korea fires ballistic missile into Japanese waters https://www.bbc.com/[...] bbc.com 2016-08-03
[54] 웹인용 Next target Guam, North Korea says https://www.msn.com/[...]
[55] 간행물 https://web.archive.[...] 2015-03-30
[56] 뉴스 Russia Acknowledges Sending Japanese Prisoners of War to North Korea http://www.mosnews.c[...] Mosnews.com 2005-04-01
[57] 저널 The Dilemma of North Korea's Japanese Wives http://www.jpri.org/[...] 1997-11
[58] 간행물 https://web.archive.[...] 2009-01-09
[59] 뉴스 The ashes of little Megumi http://atimes.com/at[...] Asia Times Online 2004-11-18
[60] 뉴스 Koizumi: Risky mission half accomplished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4-05-25
[61] 서적 Exodus to North Korea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62] 뉴스 Clues Found in North Korean Kidnappings http://english.donga[...] Donga 2006-01-07
[63] 뉴스 North Korea Fires Missile Over Japanese Territory https://www.nytimes.[...] 1998-09-01
[64] 뉴스 North Korea warns Japan's Abe may soon see real ballistic missile launch https://www.reuters.[...] 2019-11-29
[65] 뉴스 North Korea fires suspected submarine-launched missile into waters off Japan https://www.bbc.com/[...] 2021-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