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상심리학은 심리적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평가, 진단, 치료하고 심리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 분야이다. 19세기 말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시작으로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발전해왔다. 다양한 심리적 접근법을 활용하며, 정신역동, 인본주의, 행동주의, 인지행동, 가족 치료 등이 주요 방법론으로 사용된다.
임상심리학자는 개인, 가족, 집단 등을 대상으로 심리 검사, 심리 치료, 상담을 제공하며, 정신과 의사와 협력하여 환자의 정신 건강을 증진한다. 한국에서는 한국임상심리학회가 설립되어 학문적 발전을 이끌었으며, 임상심리사 자격 제도를 통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임상심리학은 자살,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한국 사회의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동과학 - 심리학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프쉬케'와 '-logia'에서 유래되었으며, 빌헬름 분트의 연구소 설립 이후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하여 기초 및 응용 분야에서 활용된다. - 행동과학 - 범죄학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 발생, 결과, 예방 및 통제를 연구하는 학제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범죄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 안전망 구축과 범죄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의료 관련 직업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의료 관련 직업 - 치과의사
치과의사는 구강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 전문가로서, 충치 치료, 치열 교정, 구강외과 수술 등 다양한 치료를 제공하며,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직무 스트레스 문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 임상심리학 - 볼더 모델
볼더 모델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심리학자 수요 증가에 따라 과학적 연구와 임상 실무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개발된 임상 심리학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모델이다. - 임상심리학 -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은 융이 정립한 심리학 이론으로 개인 및 집단 무의식, 원형을 중심으로 심리를 탐구하며, 콤플렉스, 심리 유형론, 공시성 등의 핵심 개념을 포함하고, 꿈, 신화, 종교 등을 활용해 자기실현을 목표로 하지만 과학적 검증 어려움과 비판도 존재한다.
임상심리학 | |
---|---|
임상심리학 | |
![]() | |
정의 | |
분야 | 심리학 |
설명 | 정신 질환 및 심리적 문제 연구 및 치료 |
주요 활동 | |
진단 및 평가 | 심리 검사, 면담 등을 통한 심리적 문제 진단 |
치료 | 심리 치료 (개인, 집단, 가족 치료 등) |
연구 | 심리적 문제의 원인과 치료법 연구 |
예방 | 정신 건강 증진 및 심리적 문제 예방 프로그램 개발 |
관련 분야 | |
정신 의학 | 약물 치료를 포함한 정신 질환 치료 |
상담심리학 | 일상적인 문제 상담 및 심리 지원 |
학교심리학 | 학교 환경에서의 학생 심리 지원 |
신경심리학 | 뇌 손상과 심리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역사 | |
기원 | 19세기 후반, 과학적 심리학의 발달과 함께 시작 |
주요 인물 | 라이트너 위트머 (임상심리학의 아버지)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창시자) |
훈련 및 자격 | |
교육 | 심리학 학사 학위, 임상심리학 석사 또는 박사 학위 |
수련 | 임상 수련 (인턴, 레지던트) |
자격 | 임상심리전문가 (한국심리학회) 정신보건임상심리사 (보건복지부) |
참고 문헌 | |
도서 | |
외부 링크 | |
웹사이트 | 미국심리학회 임상심리학 분과 |
2. 역사
정신적 고통을 평가하고 치료하려는 최초의 기록된 시도는 종교적, 마법적, 그리고/또는 의학적 관점을 결합한 것이었다.[6] 19세기 초에는 두개골 모양을 연구하여 성격을 파악하는 골상학, 얼굴 모양을 연구하는 관상학, 자석을 이용한 정신 상태 치료(메스머), 강령술과 피니어스 퀸비의 "정신 치유" 등이 정신 상태와 행동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인기를 끌었다.[7]
그러나 과학계는 결국 이러한 정신 질환 치료법을 모두 거부하였고, 학계의 심리학자들 또한 심각한 형태의 정신 질환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정신 질환 연구는 정신 병원 운동 내에서 정신 의학과 신경학 분야에서 이미 이루어지고 있었다.[6] 19세기 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비엔나에서 "말을 통한 치료"를 개발하면서 임상 심리학의 첫 번째 과학적 적용이 시작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세기 말, 심리학의 과학적 연구가 대학교 연구실에서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지만, 응용 심리학에 대한 요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빌헬름 분트의 제자이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심리학과장이었던 라이트너 위트머(1867–1956)가 철자에 어려움을 겪는 어린 소년을 치료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8] 그의 성공적인 치료는 1896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최초의 심리학 클리닉을 개설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 클리닉은 학습 장애가 있는 아이들을 돕는 데 전념했다.[8] 1907년, 위트머는 이 새로운 분야의 첫 번째 저널인 ''The Psychological Clinic''을 창간하여 "임상 심리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이를 "관찰 또는 실험을 통해 개인을 연구하여 변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정의했다.[9] 1914년까지 미국에는 26개의 유사한 클리닉이 설립되었다.[10]임상 심리학이 성장하는 동안에도 심각한 정신적 고통 문제에 대한 작업은 여전히 정신과 의사와 신경과 의사의 영역이었다.[11] 그러나 임상 심리학자들은 심리 평가 기술이 향상되면서 이 분야에 계속 진출했다. 심리 평가 전문가로서의 심리학자들의 명성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두 가지 지능 검사, 즉 ''Army Alpha''와 ''Army Beta''(각각 언어 능력과 비언어 능력을 검사)의 개발을 통해 굳어졌으며, 이 검사는 대규모의 신병 그룹에 사용할 수 있었다.[7][8] 이 검사의 성공에 힘입어, 평가는 다음 25년 동안 임상 심리학의 핵심 분야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은 이 분야를 치료 영역으로 이끌었다.
1917년 미국임상심리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Psychology)가 창립되면서 "임상심리학"이라는 명칭으로 조직화되기 시작했다. 이 학회는 1919년까지 존속되었으며, 이후 G. 스탠리 홀이 1892년에 창립한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가 임상심리학 분과를 신설하여 1927년까지 자격증을 발급했다.[10]
2. 2. 한국 임상심리학의 발전
한국전쟁 이후, 한국 사회는 전쟁으로 인한 상처와 정신적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인 심리 치료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한국에서도 임상심리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한국임상심리학회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학회는 임상심리학 분야의 전문가들을 양성하고, 관련 연구를 촉진하며, 심리 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1990년대 이후, 임상심리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자격 제도가 마련되기 시작했다. 이는 임상심리사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로서 인정받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와 관련된 법적, 제도적 변화는 임상심리학 분야의 발전을 더욱 촉진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정신건강 정책을 강화하는 기조를 보였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정책 방향을 지지하며 관련 정책을 추진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은 임상심리학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임상심리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국민들의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임상심리학의 주요 접근법
임상심리학에서는 내담자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 접근법을 사용한다. 주요 접근법은 다음과 같다.[107]
- 정신역동적 접근: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기반하며, 무의식적 갈등을 탐구하여 문제의 근원을 찾는다.
- 인본주의적 접근: 내담자 중심 치료(인간 중심 접근법)를 포함하며, 환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비지시적 방법이다. 자기 실현 이론, 게슈탈트 심리학, 실존주의 심리학(실존 분석, 현존재 분석 포함) 등이 여기에 속한다.[17]
- 행동주의적 및 인지행동적 접근: 스키너와 파블로프의 연구에 기반한 행동 요법과 인지 심리학을 결합한 인지 행동 치료(CBT)가 대표적이다. 행동 요법은 조건화 기법을 이용, 학습에 따른 행동 교정을 통해 치료하는 기법으로, 임상 심리학보다는 행동 심리학에서 더 많이 적용된다.
- 시스템적 가족 치료: Systems family therapy영어는 개인을 가족 시스템의 일부로 보고, 가족 구성원 간 상호작용 패턴 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107]
이 외에도 실존주의 심리치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문화, 성별, 영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여러 접근법을 통합하는 추세이다.[72] 임상심리학자들은 신경 과학, 행동 유전학 등 관련 분야와 협력하여 각 내담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72]
심리 치료 목록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3. 1. 정신역동적 접근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 발전한 정신역동적 관점은 무의식을 의식으로 만드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원초적 욕구(성욕 및 공격성과 관련된 욕구)와 이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어 기제를 인식하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40]정신분석 과정의 필수 도구는 자유 연상과 내담자가 치료사에게 보이는 전이 분석이다. 전이는 중요한 인물(예: 부모)에 대한 무의식적인 생각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옮기는 경향을 말한다.
오늘날 시행되는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주요 변형으로는 자기 심리학, 자아 심리학, 대상 관계 이론 등이 있다. 이러한 경향들은 '정신역동 심리학'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로 분류되며, 전이와 방어 기제 분석, 무의식의 힘에 대한 인식, 어린 시절의 초기 발달이 현재 심리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초점을 포함한다.[40]
3. 2. 인본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은 내담자 중심 치료(인간 중심 접근법)를 포함하며, 자기 실현 이론, 게슈탈트 심리학, 실존주의 심리학(실존 분석, 현존재 분석 포함), 교류 분석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는 치료사가 지시적인 역할을 줄이고, 환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도록 돕는 방식이다.[17]3. 3. 행동주의적 및 인지행동적 접근
행동 요법은 스키너나 파블로프의 개의 실험에서 기반하여 조건화 기법을 이용, 학습에 따른 행동 교정을 통해 치료하는 기법이다. 행동 요법은 임상 심리학보다는 행동 심리학에서 더 많이 적용되는 분야이다.인지 심리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의 두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인지 행동 치료(CBT)는 인지 치료와 논리적 치료의 조합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CBT는 생각(인지), 감정, 행동 세 가지 요소가 서로 상호 작용하며 관련되어 있다는 이론에 기반한다.
- 행동주의 심리학
- * 신행동주의
- ** 행동 분석
- ** 응용 행동 분석
- * 행동 치료
- 인지 심리학
- * 인지 행동 치료
- ** 인지 치료
- ** 논리적 치료
3. 4. 시스템적 가족 치료
Systems family therapy영어는 개인을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관계의 맥락, 즉 가족이라는 시스템의 일부로 이해하려는 접근 방식이다.[107] 가족 치료는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패턴을 변화시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3. 5. 기타 접근법
지난 수십 년 동안, 특히 문화, 성별, 영성, 성적 지향 문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치료적 접근 방식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임상 심리학자들은 각 접근 방식의 강점과 약점을 살펴보고 있으며, 신경 과학, 행동 유전학, 진화 생물학, 정신 약리학과 같은 관련 분야와 협력하고 있다.[72] 그 결과, 심리학자들이 다양한 시스템과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배우고 주어진 문제에 대한 최상의 해결책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가진 절충주의적 실천이 증가하고 있다.[72]- 실존주의 심리치료
4. 임상심리학의 실제 적용
정신 장애나 심리적 문제, 행동상의 문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은 즉각적인 효과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정신 의학적으로도 원인 규명이나 치료법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의 임상 양상과 그에 따른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 증상 및 경과는 심리 치료를 포함한 심리학적 지원과 연구의 대상이 된다.
임상심리학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실제적으로 적용된다.
- 지역사회 심리학
- 일반 시스템 이론
- 가족 치료
- 지역 실천 심리학
4. 1. 심리 평가
임상심리학에서 심리 평가는 중요한 전문 분야 중 하나이며, 많은 심리학자들이 이 핵심 임상 실무에 참여하고 있다.[27] 심리 평가는 심리적 또는 행동적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가설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된다.[2] 이러한 평가 결과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2]심리 평가 방법에는 공식적인 검사, 면담, 기록 검토, 임상 관찰 및 신체 검사 등이 있다.[2] 수백 가지의 다양한 평가 도구가 존재하지만,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것으로 입증된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
심리 측정 도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범주로 나뉜다.
- 지능 및 성취도 검사: 특정 종류의 인지 기능(종종 IQ라고 함)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WISC-IV, WAIS와 같은 검사는 일반 지식, 언어 능력, 기억력, 주의 집중 시간, 논리적 추론 및 시각/공간 지각과 같은 특성을 측정한다.[27] WRAML 및 WIAT도 이 범주에 속한다.
- 성격 검사: 행동, 생각 및 감정의 패턴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객관 검사와 투사 검사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MMPI와 같은 객관적 측정은 예/아니오, 참/거짓 또는 평정 척도와 같은 제한된 응답을 기반으로 한다. 로르샤흐 잉크 반점 검사와 같은 투사 검사는 모호한 자극을 기반으로 하는 열린 응답을 허용한다. PAI 및 NEO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격 평가 도구이다.
- 신경심리 검사: 뇌 구조 또는 경로와 관련된 심리적 기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특별히 설계된 과제로 구성된다. 신경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상 또는 질병 후의 손상을 평가하거나, 연구에서 실험 그룹 간의 신경심리적 능력을 대조하는 데 사용된다.
- 진단 측정 도구: 임상 심리학자는 DSM-5 및 ICD-10에서 발견되는 심리적 장애 및 관련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SCID-IV, MINI, CAPS-5, ASEBA, K-SADS와 같은 평가 검사가 임상 의사의 임상 관찰 및 기타 평가 활동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임상 관찰: 임상 심리학자는 행동을 관찰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임상 면담은 구조화되거나 비구조화된 형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외모와 행동, 기분 및 정동, 지각, 이해력, 방향 감각, 통찰력, 기억력 및 의사 소통 내용과 같은 특정 영역을 살펴본다. 정신 상태 검사는 정신과에서 치료 또는 추가 검사를 위한 선별 도구로 사용된다.[27]
많은 심리 평가 도구는 정신 건강 분야에서 고급 훈련을 받은 사람만 사용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어슨은 특정 검사를 시행하고 해석하며 보고할 수 있는 사람을 구분한다. 자격 수준에 따라 심리학, 교육학, 언어 병리학 등 관련 분야의 석사 또는 박사 학위와 임상 평가의 윤리적 시행, 채점 및 해석에 대한 정식 교육을 받아야 한다.[28]
4. 2. 심리 치료
심리 치료는 개인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적합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심리 치료 형태는 다음과 같다:- 개인 치료: 치료자와 환자가 일대일로 만나 환자의 문제와 감정을 탐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식이다.
- 집단 치료: 사이코드라마와 같이 여러 환자들이 함께 모여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지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통찰력을 얻고 성장하는 치료 방식이다.[17] 플레이 테라피나 토의법과 같은 방식으로 미국의 모레노에 의해 확립되었다.[17]
- 행동 요법: 스키너나 파블로프의 개의 실험에 기반하여 조건화 기법을 이용, 학습에 따른 행동 교정을 통해 치료하는 기법이다.
- 실존분석(existential analysis 또는 Existenzanalyse): 일하는 능력이나 인생을 즐기는 능력뿐 아니라 고뇌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치료 목표로 한다.
1960년대에 이르러 정신요법은 임상심리학에 자리를 잡았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박사 학위 교육 모델은 연구보다 실제 임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훈련을 제공하지 못했다. 미국의 심리학 분야가 임상 실무에 대한 명확한 훈련을 보장할 정도로 발전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실무 중심의 학위 개념은 1965년에 논의되었고, 1968년에 시작된 일리노이 대학교의 파일럿 프로그램에 근소한 차이로 승인되었다.[17] 그 직후 몇몇 유사한 프로그램들이 설립되었으며, 1973년 심리학 전문 훈련에 관한 베일 컨퍼런스에서 임상 심리학의 실무자-학자 모델(베일 모델)이 인정받았고, 이는 심리학 박사(Doctor of Psychology, PsyD) 학위로 이어졌다.[18]
정신 장애나 심리적 문제, 행동상의 문제 모두에 심리학적 원조·예방이 즉시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정신 의학적으로조차도, 원인 해명이나 치료법이 확립되지 않은 것도 있다. 그러나 각 문제의 임상상과, 이에 따른 우울증 등의 정서적 증상과 그 경과는 심리 치료를 비롯한 심리학적 원조 및 고찰의 대상이 된다.
4. 3. 진단
평가를 마친 후 임상심리학자는 진단적 인상을 제공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국제 질병 분류''(ICD-10)를 사용하지만 미국에서는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를 가장 자주 사용한다. 둘 다 분류학적 시스템으로, 증상 및 징후를 포함한 일련의 기준을 적용하여 진단되는 범주형 장애를 주로 가정한다.[29]임상 심리학자는 DSM-5 및 ICD-10에서 발견되는 심리적 장애 및 관련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SCID-IV, MINI뿐만 아니라 외상에 대한 CAPS-5, ASEBA 및 아동의 정동 및 조현병에 대한 K-SADS와 같은 특정 심리적 장애에 특정한 평가 검사들이 임상 의사의 임상 관찰 및 기타 평가 활동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성격의 5가지 요인 모델과 같은 인간 차이에 대한 실증적으로 검증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차원 모델"[29][30]과 변화하는 주관적 상태를 더 잘 고려하는 "심리사회적 모델"을 포함하여 여러 새로운 모델이 논의되고 있다.[31] 이러한 모델의 지지자들은 질병에 대한 의학적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더 큰 진단적 유연성과 임상적 유용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한다.[32] 그러나 그들은 또한 이러한 모델이 아직 널리 사용될 만큼 강력하지 않으며 계속 개발되어야 한다고 인정한다.[32]
임상 심리학자는 진단을 내리는 대신 환자 또는 내담자가 직면한 어려움에 대한 개별화된 지도로, 소인, 유발 및 지속(유지) 요인을 포괄하는 ''임상적 공식화''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33]
5. 임상심리사
임상심리사는 임상심리학을 활용하여 심리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진단하고, 치료하며, 연구하는 직업이다. 이들은 병원의 정신과나 심리상담소 등에서 일하며, 정신과의사와는 심리학적 치료를 담당한다는 점에서, 상담심리사와는 보다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치료 목적을 달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08][110][109]
임상심리사는 과학자-전문가 모형(Scientist–practitioner model), 일명 볼더 모델(Boulder Model)에 따라 훈련받는다. 이 모델은 임상심리학자가 심리학적 연구 결과를 활용할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를 생산하는 순환적인 균형을 이루도록 훈련하는 프로그램이다.
임상 평가는 심리 검사 결과, 진단적 인상, 임상 병력, X-ray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이루어지며, 알고리즘적 방법이나 임상적(주관적) 방법으로 데이터를 결합하여 진단과 예측을 내린다. 1954년 폴 미힐(Paul Meehl)은 기계적(알고리즘적) 방법이 임상적 방법보다 행동 예측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으며,[34] 후속 메타 분석 연구들도 이를 뒷받침했다.[36][37] 그러나 2009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현직 임상 심리학자들은 진단 및 예후를 포함한 행동 예측에 주로 자신의 임상적 판단을 사용한다.[38]
임상심리학은 정신 의학, 정신 병리학, 심신 의학, 정신 약리학 등과 관련이 깊어 학제적 경향이 강하며, 문과의 교육학부에서 이과의 의학부까지 다양한 학부 및 연구과에서 교육이 이루어진다.
일본의 경우, 임상심리학 관련 학회로는 1964년에 설립된 일본임상심리학회와 1982년에 설립된 일본심리임상학회가 있다. 일본심리임상학회는 현재 심리학·임상심리학 관련 일본 최대 학회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임상심리사 자격 제도가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있으며, 보건복지부에서는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 취득을 위한 임상심리 관련 필수 및 선택 과목을 고시하고 있다.[111] 중앙고용정보원 조사에 따르면, 임상심리사의 월 평균 임금은 331만원이다.[110]
5. 1. 역할과 책무
임상심리학자는 심리 평가, 심리 치료, 연구, 교육, 자문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108][110][109] 이러한 역할들은 각각 고유한 책무와 윤리적 고려 사항을 수반한다.심리 평가임상 평가는 개인의 과거, 현재,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5] 임상심리학자는 심리 검사 결과, 진단적 인상, 임상 병력, X-ray 등 다양한 관찰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알고리즘적(기계적) 방식 또는 임상적(주관적) 방식으로 결합하여 진단 및 예측을 내린다.[35] 1954년 폴 미힐(Paul Meehl)은 기계적 방법이 임상적 방법보다 행동 예측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으며,[34] 후속 메타 분석 연구들도 이를 뒷받침했다.[36][37] 그러나 2009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현직 임상 심리학자들은 진단 및 예후를 포함한 행동 예측에 주로 자신의 임상적 판단을 사용한다.[38]
심리 치료정신요법은 전문가와 내담자 간의 공식적인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개인, 부부, 가족, 소규모 집단 등을 대상으로 한다.[2][40] 치료적 동맹을 형성하고, 심리적 문제의 본질을 탐구하며, 사고, 감정, 행동의 새로운 방식을 장려하는 다양한 절차를 사용한다.[2][40]
임상가들은 훈련 배경에 따라 다양한 개입 방식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CBT 임상가는 워크시트를, 정신분석가는 자유 연상을, 게슈탈트 심리학자는 내담자와 치료사 간의 즉각적인 상호 작용에 집중할 수 있다. 임상 심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훈련된 임상 판단뿐만 아니라 연구 증거와 결과 연구에 기반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정신요법은 통찰력 대 행동, 세션 내 대 세션 외 등 두 가지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다.[9]
- 통찰력: 자신의 생각과 감정의 기저에 있는 동기를 더 잘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예: 정신역동 치료).
- 행동: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예: 해결 중심 치료, 인지 행동 치료).
- 세션 내: 중재는 내담자와 치료사 간의 현재-여기에 있는 상호 작용에 집중한다(예: 인본주의 치료, 게슈탈트 치료).
- 세션 외: 치료 작업의 상당 부분은 세션 외에서 이루어지도록 의도된다(예: 서지 치료, 합리적 정서 행동 치료).
사용되는 방법은 대상 인구, 문제의 맥락과 본질에 따라 달라진다. 외상 경험이 있는 아동, 우울하지만 기능이 높은 성인, 물질 의존에서 회복 중인 집단, 끔찍한 망상에 시달리는 공공 시설 환자 등 다양한 대상에게 각기 다른 치료 방식이 적용된다. 환경, 문화, 연령, 인지 기능, 동기 부여, 치료 기간(단기 또는 장기) 등도 정신요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0][39]
윤리 강령대부분의 국가에서 임상 심리학 분야는 윤리 강령에 의해 규제된다. 미국의 경우, 전문적인 윤리는 주로 미국심리학회(APA)의 ''행동 강령''에 의해 정의되며, 이는 주에서 면허 요건을 정의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APA 강령은 책임 있는 행동, 의뢰인 보호, 개인, 조직 및 사회 개선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법으로 요구되는 것보다 더 높은 기준을 설정한다.[73]
APA 강령은 이익과 무해, 성실 및 책임, 정직, 정의, 그리고 사람들의 권리와 존엄성에 대한 존중이라는 다섯 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73] 윤리적 문제 해결 방법, 역량, 인간 관계, 사생활 및 기밀 유지, 광고, 기록 보관, 수수료, 훈련, 연구, 출판, 평가 및 치료 등을 상세하게 다룬다.
캐나다 심리학 협회의 윤리 강령 원칙은 개인과 사람들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 책임 있는 배려, 관계의 정직, 그리고 사회에 대한 책임이다. 이는 APA의 강령과 매우 유사하다.[74]
영국에서는 영국 심리학회가 임상 심리학자를 위한 행동 강령 및 윤리를 발표했다. 이는 존중, 역량, 책임 및 정직이라는 네 가지 핵심 영역을 다룬다.[75] 다른 유럽 전문 기관들도 유사한 행동 강령 및 윤리를 가지고 있다.
아시아 심리 치료 연맹은 2008년에 이익, 책임, 정직, 정의 및 존중을 원칙으로 하는 윤리 강령을 발표했다. APA 강령과 유사하게, 심리 치료사를 위한 심리학자의 행동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한다.[76] 러시아, 인도, 이란, 카자흐스탄, 중국, 말레이시아, 일본 등이 회원국이다.[77]
전미 라틴/라틴계 심리학 협회는 2018년 윤리 지침을 채택하면서 "주류 심리학의 전통적인 유럽 중심적 기초는 세계관, 생활 방식 및 문화적 관행에 대한 문화적으로 제한된 지식을 제공해 왔다"고 밝혔다. 이들의 원칙은 존중과 책임,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 결정 및 법적 책임, 상담, 정의 및 옹호, 자기 인식 및 사회 의식, 행동 및 책임, 훈련 및 인프라 구축, 멘토십이다.[78]
5. 2. 대한민국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임상심리사 자격 제도는 1급과 2급으로 나뉜다.- 임상심리사 1급
- 응시 자격: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한다.
-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2년 이상 실습 수련을 받은 자
-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심리학 분야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 또는 취득 예정자
- 시험 과목
- 필기: 임상심리연구방법론, 고급이상심리학, 고급심리검사, 고급임상심리학, 고급심리치료 (객관식, 과목당 20문항, 150분)
- 실기: 고급 임상 실무 (필답형, 3시간)
- 합격 기준
- 필기: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100점 만점)
- 실기: 60점 이상 (100점 만점)
- 필기시험 합격자는 합격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 면제
- 임상심리사 2급
- 응시 자격: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한다.
-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1년 이상 실습 수련을 받은 자
-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
- 시험 과목
- 필기: 심리학개론, 이상심리학, 심리검사, 임상심리학, 심리상담
- 실기: 임상 실무 (필답형, 3시간)
- 합격 기준
- 필기: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100점 만점)
- 실기: 60점 이상 (100점 만점)
- 필기시험 합격자는 합격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 면제
- 임상심리사 2급 자격 취득 후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임상심리사 1급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 취득을 위해 대학교와 대학원의 임상심리 관련 필수 과목(4과목)과 분야별 선택 과목(29과목 중 6과목) 이수를 고시하고 있다.[111]
대학교의 임상심리 관련 과목은 다음과 같다.
필수과목(4과목) | 임상심리학, 이상심리학, 심리평가(또는 심리검사, 심리진단), 연구방법론(또는 심리통계, 심리설계) |
---|---|
선택과목(29과목 중 6과목) | 상담심리학, 집단상담, 가족상담, 아동상담, 특수아상담, 신경심리평가, 아동심리평가, 심리측정 이론(이상 상담 및 치료/평가 및 측정 과목 중 택 1), 발달심리학, 생리심리학(또는 생물심리학), 신경심리학, 실험심리학, 학습심리학, 인지심리학, 언어심리학, 성격심리학, 사회심리학, 지각심리학, 동기 및 정서 심리학(이상 기초과목 중 택 3), 건강심리학, 성심리학, 법정심리학, 행동의학, 재활심리학, 발달정신병리학, 임상현장실습, 스트레스와 적응, 노인심리학, 청년심리학(이상 응용 과목 중 택 2) |
중앙고용정보원 조사에 따르면, 임상심리사의 월 평균 임금은 331만원이며, 하위 25%는 100만원, 상위 25%는 500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110] 임상심리사는 주로 병원의 정신과, 심리상담소 등에서 근무한다.[108][110][109]
6. 한국 사회와 임상심리학
1970년대 이후 임상심리학은 학문 및 전문 분야로 크게 성장해왔다.[19] 미국에서는 1974년에서 1990년 사이에 임상 심리학자 수가 20,000명에서 63,000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19]
임상 심리학자들은 정신 치료 및 평가 전문가로서 노인학, 스포츠, 형사 사법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건강 심리학은 지난 10년간 임상 심리학자들이 가장 빠르게 진출하는 분야이다.[7]
6. 1. 정신건강 문제의 현황과 과제
한국 사회는 높은 자살률과 우울증 유병률 등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의 고통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낮은 접근성과 사회적 낙인 역시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56]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오해는 사람들이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고, 이는 결국 문제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6. 2. 한국 문화와 임상심리학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유교적 가치관의 영향을 받아 체면, 가족 중심주의,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이러한 문화적 특성은 개인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간의 강한 유대감은 정서적 지지 기반이 되지만, 지나친 간섭이나 기대는 개인에게 심리적 부담을 줄 수 있다.또한,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겪으면서 경쟁 심화, 학업 스트레스, 취업난 등 다양한 사회적 압력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요인들은 우울증, 불안 장애, 스트레스 관련 질환 등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정신 건강 문제를 다룰 때는 이러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서구에서 개발된 심리 치료 기법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한국인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개인의 독립성보다는 관계성을 중시하는 한국 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 치료뿐만 아니라 가족 치료나 집단 치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6. 3. 앞으로의 방향
임상심리학은 앞으로도 정신건강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사회적 낙인을 없애며, 예방 중심의 정신건강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7. 관련 직업
임상심리학은 심리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진단하고, 치료하며, 연구하는 직업 분야이다. 임상심리사는 주로 병원의 정신과나 심리상담소에서 근무한다.[108][110][109]
임상심리사는 심리학적 치료를 담당하며, 정신과 의사는 약물 치료를 포함한 정신의학적 치료를 담당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08][110][109] 상담심리사 역시 심리장애나 정신 병리를 다루지만,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 해결 능력을 갖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임상심리사는 보다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치료 목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 정신과 의사와 유사한 입장을 보인다.[108][110][109]
임상심리학자와 정신과 의사는 정신적 고통 완화라는 공통된 목표를 공유하지만, 훈련 과정, 관점, 방법론에서 차이를 보인다. 정신과 의사는 의사 면허를 가지고 의학적 모델에 따라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고, 향정신성 의약품을 처방할 수 있다.[79] 또한, 신체 검사, 실험실 검사, EEG 검사, CT, MRI, PET 스캔과 같은 뇌 영상 검사를 처방하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임상심리학자는 전문적인 평가와 심리 측정 검사를 수행하며, 이러한 평가와 검사는 심리 측정 평가에 대한 고급 훈련을 받은 심리학자만 관리하고 해석할 수 있다. 임상 심리학자는 일반적으로 정신 사회적 발달 및 심리 치료에 대한 더 고급 훈련과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임상심리학자는 일반적으로 약물을 처방하지 않지만, 일부 주에서는 처방 권한을 부여하는 움직임이 있다.[80] 현재 콜로라도, 괌, 아이오와, 아이다호, 일리노이, 뉴멕시코, 루이지애나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의학 심리학자(처방 심리학자)가 향정신성 의약품을 처방할 수 있다.[81]
상담 심리학자는 임상 심리학자와 동일한 수준의 연구를 거치며, 심리 치료 및 평가를 포함한 많은 중재 및 도구를 사용한다. 상담 심리학은 다문화주의[82]와 사회적 옹호를 중시하며, 다문화적 문제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임상 심리학보다 상담 심리학 대학원 프로그램이 더 적으며, 심리학과보다는 교육과에 더 자주 배치된다. 상담 심리학자들은 병원과 개인 병원보다 대학교 상담 센터에서 더 자주 고용되는 경향이 있다.[83] 그러나 상담 심리학자와 임상 심리학자는 다양한 환경(교도소, 대학, 지역 정신 건강, 비영리 단체, 기업, 개인 병원, 병원 및 재향 군인청)에서 고용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중복이 있다.
학교 심리학자는 주로 학교 환경 내에서 아동 및 청소년의 학업적, 사회적, 정서적 안녕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은 교육, 아동 발달 및 행동, 학습 심리학에 대해 훈련을 받으며, 학생 평가, 교사 및 전문가와의 상담, 중재 설계 및 실행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90][91]
사회 복지사는 사회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훈련을 받은 임상 사회 복지사는 심리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 치료(OT)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재활을 위해 생산적이거나 창의적인 활동을 사용한다.[92] 작업 치료사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기술과 능력을 최대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정신 건강, 통증 관리, 섭식 장애, 아동 발달 서비스 등에서 임상 심리학자와 협력한다.
다음은 미국의 정신 건강 전문가를 비교한 표이다.
직업 | 학위 | 일반적인 면허 | 처방 특권 | 2022년 평균 소득(USD) |
---|---|---|---|---|
임상 심리학자 | 박사/심리치료학 박사/교육학 박사 | 심리학자 | 주에 따라 다름 | 90130USD |
상담 심리학자 (박사) | 박사/심리치료학 박사/교육학 박사 | 심리학자 | 아니요 | 65000USD |
상담가 (석사) | 문학 석사/이학 석사/교육학 석사 | MFT/LPC/LHMC/LPA | 아니요 | 49710USD |
학교 심리학자 | 박사/교육학 박사/이학 석사/교육 전문가 | 학교 심리학자 | 아니요 | 81500USD |
정신과 의사 | 의학 박사/정골 의학 박사 | 정신과 의사 | 예 | 226880USD |
임상 사회 복지사 | 박사/사회 복지학 박사/사회 복지학 석사 | LCSW | 아니요 | 55350USD |
정신 간호사 | 이학 석사/간호학 학사 | RN | 아니요 | 75330USD |
정신 및 정신 건강 간호사 | 간호학 박사/박사/이학 석사 | APRN/APN/PMHNP | 예 (주는 따라 다름) | 121610USD |
표현/미술 치료사 | 문학 석사 | ATR | 아니요 | 55900USD |
참조
[1]
웹사이트
About Clinical Psychology
https://web.arch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vision 12
1996
[2]
서적
Contemporary Clinical Psychology
Wiley
[3]
서적
Advanced psychology: applications, issues and perspectives
Nelson Thornes
[4]
논문
Doctoral Training in Clinical Psychology
[5]
웹사이트
Getting Help
https://ontario.cmha[...]
[6]
서적
A Brief History of Modern Psychology
Blackwell Publishing
[7]
논문
A history of clinical psychology as a profession in America (and a glimpse at its future)
[8]
서적
"History and Overview" in Heiden, Lynda & Hersen, Michel (eds.), ''Introduction to Clinical Psychology''
Plenum Press
[9]
서적
Introduction to Clinical Psycholog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10]
논문
Clinical psychology born and raised in controversy
http://www.apa.org/m[...]
[11]
서적
Clinical psychology since 1917: Science, practice, and organization
Plenum Press
[12]
간행물
APA: Uniting psychologists for more than 100 years
https://web.archive.[...]
[13]
서적
A History of Clinical Psychology
Taylor Francis
[14]
논문
Clinical Psychology Training: A History of Ideas and Practices Prior to 1946
[15]
서적
What is Clinical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6]
논문
Clinical psychology abroad
[17]
간행물
The degree that almost wasn't: The PsyD comes of age
https://web.archive.[...]
[18]
간행물
Appreciating the Psy.D: The Facts
https://archive.toda[...]
[19]
서적
American psychiatry after World War II: 1944–1994
American Psychiatric Press
[20]
웹사이트
Specialty Certifi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http://www.abpp.org/[...]
American Board of Professional Psychology
[21]
웹사이트
Pathways to register as a psychologist including clinical psychologist in Australia
http://www.deakin.ed[...]
[22]
웹사이트
Society of Clinical Psychology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Guidelines and Principles for Accreditation of Programs in Professional Psychology: Quick Reference Guide to Doctoral Programs
http://www.apa.org/e[...]
2005
[24]
웹사이트
Association of State and Provincial Psychology Boards
https://web.archive.[...]
2007-02-17
[25]
웹사이트
Professional Disciplines
https://web.archive.[...]
2008-12-01
[26]
서적
A short introduction to clinical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27]
서적
Handbook of Psychological Assessment
John Wiley & Sons
[28]
웹사이트
Qualifications Policy
https://www.pearsona[...]
[29]
논문
Categories, dimensions and prototypes: Critical issues for psychiatric classification
[30]
논문
Plate tectonics in the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disorder: shifting to a dimensional model
https://web.archive.[...]
[31]
논문
Psychotherapy and classification: Psychological, psychodynamic, and cognitive aspects
[32]
서적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
Wiley
[33]
논문
Evolving formulations: Sharing complex information with clients
https://www.research[...]
[34]
서적
Clinical Versus Statistical Prediction: A Theoretical Analysis and a Review of the Evidence
Echo Point Books & Media
2013-02-01
[35]
논문
Comparative efficiency of informal (subjective, impressionistic) and formal (mechanical, algorithmic) prediction procedures: The clinical-statistical controversy.
[36]
논문
Clinical versus mechanical prediction: A meta-analysis
http://pdfs.semantic[...]
[37]
논문
The Meta-Analysis of Clinical Judgment Project: Fifty-Six Years of Accumulated Research on Clinical Versus Statistical Prediction Stefania Aegisdottir
[38]
논문
Survey on the use of clinical and mechanical prediction methods in clinical psychology.
[39]
논문
The cultural context and the psychotherapeutic process: Toward a culturally sensitive psychotherapy
[40]
서적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American Psychiatric Press
[41]
서적
The Person-Centred Approach to Therapeutic Change
SAGE Publications
[42]
서적
Ordinary Ecstasy: The Dialectics of Humanistic Psychology
Brunner-Routledge
[43]
서적
Humanistische Psychologie und Humanistisches Psychodrama
Verlag des PIB Duisburg
[44]
서적
The handbook of humanistic psychology: leading edges i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45]
서적
Emotion-focused therapy
https://www.apa.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
문서
Gestalt therapy
New York
[47]
문서
Emotion–focused therapy
[48]
문서
Emotion-focused therapy: A clinical synthesis
[49]
서적
Attachment theory in practice: Emotionally focused therapy (EFT) with individuals, couples, and families
Guilford Publications
[50]
문서
Process research on emotionally focused therapy (EFT) for couples: Linking theory to practice
[51]
서적
Emotion-focused couples therapy: The dynamics of emotion, love, and power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2]
서적
Emotion-focused therapy for complex trauma: An integrative approac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3]
서적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54]
웹사이트
What is CBT?
http://www.aabt.org/[...]
2007-03-04
[55]
논문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 and behavior analysis
[56]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rooks/Cole
[57]
서적
Existential Counseling & Psychotherapy in Practice
Sage Publications
[58]
서적
Gestalt Therapy: History, Theo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59]
서적
Critical issues in psychotherapy: translating new ideas into practice
SAGE
[60]
논문
The Implications of Postmodernism for Psychotherapy
http://www.blatner.c[...]
[61]
서적
Transpersonal Psychotherap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2]
서적
Learning the Art of Helping
Pearson Education
[63]
간행물
Culture matters: Accounting for clients' backgrounds and values makes for better treatment
http://www.apa.org/m[...]
[64]
서적
The foundation and future of feminist therapy
Haworth Press
[65]
논문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66]
서적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7]
논문
Positive psychology: Past, present, and (possible) future
http://personalpages[...]
2016-08-16
[68]
논문
Positive Psychotherapy.
https://pdfs.semanti[...]
[69]
문서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exposed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An efficacy trial
[70]
문서
Implementation fidelity in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71]
논문
Community psychology approaches to intervention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doi.org/10.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2]
학술지
The Future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A Roundtable
[73]
웹사이트
Ethical Principles of Psychologists and Code of Conduct
http://www.apa.org/e[...]
2007-07-28
[74]
학술지
Psychological Ethics Codes: A Comparison of Twenty-four Countries
https://doi.org/10.1[...]
1997
[75]
웹사이트
Code of Ethics and Conduct
http://beta.bps.org.[...]
2019-07-23
[76]
웹사이트
Code of Ethics
http://asianpsyche.o[...]
2023-12-05
[77]
웹사이트
Member Countries - Russia
http://asianpsyche.o[...]
2023-12-05
[78]
웹사이트
Ethical Guidelines
https://www.nlpa.ws/[...]
2023-12-05
[79]
학술지
In Defense of Listening
[80]
학술지
Prescribing Psychologists and Patients' Medical Needs; Lessons From Clinical Psychiatry
[81]
간행물
Gaining prescriptive knowledge
http://www.apa.org/m[...]
[82]
웹사이트
What is Counseling Psychology – Society of Counseling Psychology, Division 17
http://www.div17.org[...]
[83]
학술지
Clinical versus counseling psychology: What's the diff?
http://www.psichi.or[...]
[84]
웹사이트
Salaries in Psychology 2003: Report of the 2003 APA Salary Survey
http://research.apa.[...]
[85]
웹사이트
Lifeworks: Psychiatrist
http://science.educa[...]
[86]
웹사이트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Social Workers
http://www.bls.gov/o[...]
[87]
웹사이트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Registered Nurses
http://www.bls.gov/o[...]
[88]
웹사이트
Advance News Magazines. (2005)
http://nurse-practit[...]
[89]
웹사이트
Lifeworks: Art Therapist
http://science.educa[...]
2007-02-17
[90]
웹사이트
Who Are School Psychologists?
http://www.nasponlin[...]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91]
웹사이트
Archival Description of School Psychology
http://www.apa.org/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92]
백과사전
Occupational Therapy
http://www.bartleby.[...]
[93]
서적
Clinical Psychology Observed
Routledge
[94]
학술지
The effectiveness of psychodynamic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ersonality disorders: A meta-analysis
http://pdfs.semantic[...]
[95]
학술지
The common factors, empirically validated treatments, and recovery models of therapeutic change
http://opensiuc.lib.[...]
[96]
서적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Clinical Psychology
Guilford Press
[97]
웹사이트
大辞林 - 臨床心理学
http://dic.yahoo.co.[...]
2010-12-01
[98]
웹사이트
臨床心理学 概要 - 臨床心理学について
https://www.p.u-toky[...]
2010-12-15
[99]
웹사이트
行動文化学 心理学専修
http://www.bun.kyoto[...]
2010-12-16
[100]
웹사이트
大学院医学系研究科 臨床心理学専攻
http://www.med.totto[...]
2010-12-12
[101]
웹사이트
九州大学学位規則
http://www.kyushu-u.[...]
2010-12-01
[102]
웹사이트
大阪大学学位規則
http://www.osaka-u.a[...]
2010-12-01
[103]
웹사이트
心理学科 Q&A - Q1. 心理学の専門職を目指したいのですが。
http://www.sophia.ac[...]
2010-12-06
[104]
웹사이트
臨床心理士資格認定の実施 - 受験資格基準
http://www.fjcbcp.or[...]
2010-02-01
[105]
문서
학교교육법 제109조 제3항이라면 학교교육법 시행령 제40조에 근거한 임상심리전문직 대학원의 인증평가기관
[106]
웹사이트
専門職大学院一覧
https://www.mext.go.[...]
2010-12-12
[107]
서적
Contemporary clinical psychology
Wiley & Sons
[108]
웨이백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학
https://www.koreanps[...]
2019-05-12
[109]
문서
아동복지법 [별표 1] 보호대상아동에 대한 보호조치 전의 상담, 심리검사 및 가정환경에 대한 조사 방법(제18조의2제1항 관련)-법제처
http://www.law.go.kr[...]
[110]
뉴스
유망 자격증 20선, 임상심리사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5-10-31
[111]
간행물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수련 및 보수교육 등에 관한 규정 [시행 2018. 2. 13.] [보건복지부고시 제2018-25호, 2018. 2. 13., 일부개정] -대학원에서의 임상심리관련 과목- 가. 필수과목 (4과목) : 정신병리학(혹은 고급이상심리학), 심리평가(혹은 심리진단, 심리검사), 심리치료(혹은 고급상담이론), 연구방법론(혹은 고급심리통계, 고급심리설계) 나. 선택과목(25과목 중 3과목) : 인지치료, 행동치료, 정신분석치료, 집단치료, 아동심리치료, 노인심리치료, 예술치료, 놀이치료, 가족치료, 게슈탈트치료(이상 상담 및 치료과목 중 택 1), (임상)신경심리평가, 아동심리평가, 투사검사, 고급측정이론, 다변량 분석(이상 평가 및 측정과목 중 택1), 재활심리학, 임상현장실습, 건강심리학, 발달정신병리학, 신경인지과학, 고급발달심리학, 고급생리심리학, 고급학습심리학, 고급인지심리학, 고급성격심리학(이상 기초 및 응용 과목 중 택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