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허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허턴은 1726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 자연철학자, 화학자, 실험 농부였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파리 대학교, 레이던 대학교에서 의학, 화학을 공부했다. 허턴은 현재의 자연 현상을 통해 과거의 지질 현상을 설명하려 했으며, 지하의 열 작용을 중시하는 화성론을 주장했다. 그의 저서 《지구 이론》은 난해하여 처음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친구 존 플레이페어가 《허턴 지구 이론 해설》을 발간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허턴은 1797년 에든버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기상학자 - 찰스 톰슨 리스 윌슨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기상학자인 찰스 톰슨 리스 윌슨은 방사선 궤적 시각화에 성공한 안개 상자 발명과 뇌운 및 대기 전기 현상 연구에 기여하여 192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스코틀랜드의 기상학자 - 제임스 스태그
제임스 스태그는 스코틀랜드의 기상학자이자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버로드 작전의 수석 기상 담당관으로 활동했으며, D-Day 작전의 기상 예보를 담당했다. - 스코틀랜드의 농학자 - 휴 그랜트 (기업인)
스코틀랜드 출신 기업인 휴 그랜트는 농업 학위를 취득하고 몬산토에 입사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 관리 이사, 농업 부문 공동 사장을 거쳐 사장 겸 CEO까지 역임했으며, 몬산토가 바이엘에 인수된 후 퇴임했다. - 스코틀랜드의 농학자 - 케임즈 경
헨리 홈, 즉 케임즈 경은 스코틀랜드의 법관이자 계몽주의의 주요 인물로서, 법률 저술과 스코틀랜드 린넨 산업 발전 기여, 스코틀랜드 내 노예제 폐지 역할, 그리고 사회 진화 모델 제시와 문학 비평 저술을 통해 법률, 경제, 사회, 인문학 분야에 기여했다. -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 - 찰스 라이엘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변호사였던 찰스 라이엘은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으며, 대표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지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지질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층서학, 고생물학, 빙하학 등 다양한 지질학 분야에 기여했다. -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 - 존 뮤어
존 뮤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지형 형성 연구 등 지질학적 업적을 남기고 요세미티 국립공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자연 보호 운동을 이끈 자연주의자, 작가, 환경운동가이다.
제임스 허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26년 6월 3일 |
출생지 |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
사망일 | 1797년 3월 26일 (향년 70세) |
사망지 |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
학력 | 에든버러 대학교 파리 대학교 |
알려진 업적 | 심성 지질학 동일과정설 부정합 심층 시간 가이아 가설 |
기타 | 프랑스 왕립 농업 협회 회원 |
분야 | 지질학 |
학문적 배경 | |
지도교수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제자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2. 생애
1726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51][52]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법률을 공부한 뒤 파리 대학교, 레이던 대학교에서 의학 및 화학을 공부했다. 한때 아버지가 남긴 농장을 경영하기도 했으나, 1768년 에든버러로 돌아와 연구 생활에 전념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북부, 프랑스, 네덜란드 등지를 여행하며 각지의 지질을 관찰했다.
1785년 에든버러 왕립 협회에서 자신의 지구 이론에 대한 첫 강연을 했으며[58], 1795년에는 대표 저서인 ''지구 이론''(Theory of the Eartheng)을 출판했다.[59] 이 책은 내용이 어려워 출판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1802년 그의 친구이자 에든버러 대학교 수학 교수였던 존 플레이페어가 ''허턴 지구 이론 해설''(Illustrations of the Huttonian Theory of Eartheng)을 출간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0][57]
허턴은 현재 관찰되는 자연 현상을 바탕으로 과거의 지질 현상을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지하의 불(열)의 작용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열의 팽창력이 대지를 융기시키고 지층을 변형시키며, 이 과정에서 생긴 지각의 틈으로 마그마가 관입한다고 보았다. 화산은 광범위한 대지 상승 과정에서의 안전 밸브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베르너 등이 화강암을 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본 것(수성론)과 달리, 허턴은 화강암이 마그마의 냉각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하여 화성론의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는 이차 암석층의 형성 등에서는 물의 작용 또한 중요하게 생각했다.
허턴의 이론은 찰스 라이엘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라이엘은 그의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허턴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허턴은 1797년 70세의 나이로 에든버러에서 사망했다.[6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726년 6월 3일[8]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상인이자 시 재무관이었던 윌리엄 허턴과 사라 발푸어 사이의 다섯 자녀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8] 아버지는 그가 세 살 때인 1729년에 사망했다.1736년, 10세 때 에든버러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라틴어, 그리스어, 수학을 배웠다.[51][52] 특히 수학과 화학에 관심이 많았다.[8] 1740년 11월, 14세에 "인문학 학생"으로 에든버러 대학교에 입학하여 고전을 공부했다.[8][51][52] 이 시기 콜린 매클로린의 자연 철학 강좌를 통해 아이작 뉴턴의 사상을 접했는데, 이는 이후 허턴의 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56]
1743년 봄, 17세에 대학 졸업 후[53] 변호사 조지 찰머스 WS 사무실에 견습생으로 들어갔으나[53], 법률 업무보다는 화학 실험에 더 흥미를 느꼈다.[8] 1744년 가을, 18세에 의사 조수가 되었고,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의학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8][53]
같은 해 가을,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파리 대학교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53] 1745년 8월,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제임스 2세의 손자)가 일으킨 자코바이트 반란은 그의 학업에 지장을 주기도 했다.[53] 1747년 말까지 파리에 머물며 의학 공부를 계속했다.[54]
이후 네덜란드로 이주하여 1749년 8월 14일 레이던 대학교에 입학했다.[9][10] 1749년 9월 12일, '미세 우주의 혈액과 순환' (Sanguine et Circulatione Microcosmila)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9][10][55] 그는 이 논문에서 사용한 "순환"이라는 개념을 나중에 지구 연구에도 적용했다.[55]
학위 취득 직후 영국으로 돌아와 런던을 거쳐 1750년 중반에 에든버러로 돌아왔다.[10] 에든버러에서 친구 존 데이비와 함께 화학 실험을 재개했고, 그을음에서 염화 암모늄을 생산하는 연구를 통해 수익성 있는 화학 공장을 공동으로 운영했다.[10] 이 공장은 당시 이집트 등지에서 수입해야 했던 염화 암모늄을 제조하여 염료, 금속 가공 등에 사용되었다.[10] 허턴은 에든버러에 부동산을 소유하고 임대하며 사업을 관리하기도 했다.[11]
2. 2. 농업과 지질학에 대한 관심
허턴은 아버지로부터 1713년부터 가문 소유였던 저지대 농장인 ''슬라이하우스''와 ''네더 모니넛''의 고지대 농장을 버윅셔에서 상속받았다.[10] 1750년대 초, 그는 ''슬라이하우스''로 이사하여 영국 다른 지역의 농업 방식을 도입하고 식물 및 가축 사육을 실험하는 등 개선 작업을 시작했다.[10] 그는 자신의 아이디어와 혁신을 "농업의 요소"라는 미출판 논문에서 기록했다.[10]
이러한 농업 경험은 기상학과 지질학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1753년 편지에서 그는 "지구 표면을 연구하는 데 매우 열중하게 되었고, 가는 길에 마주치는 모든 구덩이나 도랑 또는 강의 바닥을 불안한 호기심으로 바라보고 있다"라고 썼다. 농장을 개간하고 배수하는 과정에서 많은 지질학적 관찰 기회가 생겼다. 수학자 존 플레이페어는 허턴이 "현재 암석의 상당 부분이 더 오래된 형성물의 동물, 식물 및 광물질 파괴로 제공된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다고 설명했다. 그의 이론적 아이디어는 1760년에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농업 활동을 계속하는 동안, 1764년에 그는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조상인 조지 맥스웰-클러크와 함께 스코틀랜드 북부로 지질학 여행을 떠났다.[12][13] 이후 1768년 말, 20년 만에 에든버러로 돌아와 연구 생활에 들어갔다. 그는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북부, 프랑스, 네덜란드를 여행하며 각지의 지질을 관찰했다.
2. 3. 에든버러에서의 활동과 운하 건설
1768년, 제임스 허턴은 에든버러로 돌아와 아버지가 남긴 농장을 소작인에게 맡기고 연구 생활을 시작했다.[14] 그는 농업 개선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며 슬라이스하우스(Slighhouses)에서의 실험을 포함한 연구를 계속했고, 꼭두서니 식물 뿌리에서 붉은 염료를 개발하기도 했다.[14] 1770년에는 솔즈베리 크래그스가 내려다보이는 에든버러의 세인트 존스 힐(St John's Hill)에 집을 지었으며, 미혼인 세 자매와 평생을 그곳에서 함께 살았다.[57]허턴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시대의 주요 지식인들과 활발히 교류했다. 그는 의사이자 화학자인 조지프 블랙과 특히 친밀했으며,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와 함께 매주 모임을 갖는 '오이스터 클럽(Oyster Club)'을 만들었다.[15] 또한 수학자 존 플레이페어, 철학자 데이비드 흄 등 당대의 여러 학자들과 교류하며 지적인 영향을 주고받았다.[15] 허턴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공식적인 직책을 맡지는 않았지만, 왕립 에든버러 학회를 통해 자신의 과학적 발견들을 발표했다.
1767년부터 1774년까지 허턴은 포스 앤 클라이드 운하 건설 사업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주주이자 운영 위원회 위원으로서 자신의 지질학적 지식을 적극 활용했으며, 공사 현장을 장기간 시찰하는 회의에도 꾸준히 참석했다. 이 시기 동안 그는 레이스의 버나드 스트리트에 거주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6]
1777년, 허턴은 '석탄 및 섕크(culm)의 성질, 품질 및 구분에 대한 고찰'이라는 제목의 팜플렛을 출판하여, 소형 석탄 운송에 대한 소비세 면제를 얻는 데 기여했다.[17] 1783년에는 왕립 에든버러 학회의 공동 창립자가 되었다.[18]
2. 4. 말년과 사망
1791년부터 허턴은 방광 결석으로 인한 극심한 고통에 시달렸고, 저서 완성을 위해 현장 연구를 포기했다. 위험하고 고통스러운 수술로도 그의 병은 해결되지 않았다.[19]그는 4년간 병을 앓다가 1797년 3월 26일 저녁, 에든버러에서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에든버러 성 남쪽에 위치한 그레이프라이어스 키커드에 안장되었다.[61] 구체적으로는 묘지 남서쪽 구역(일반적으로 코버넌터 감옥으로 알려진 곳)에 있는 친구 조지프 블랙의 묘 맞은편 앤드루 발푸어의 묘실이다.
허턴은 평생 결혼하지 않았고 법적인 자녀는 없었다.[18] 하지만 1747년경 미스 에딩턴과의 사이에서 아들 제임스 스미튼 허턴(James Smeaton Huttoneng)을 얻었다. 허턴은 아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했지만, 런던에서 우체국 서기로 일하게 된 아들과는 거의 교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20]
3. 암석 형성 이론
허턴은 주변에서 관찰한 암석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설을 발전시켰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서둘러 발표하기보다는 오랫동안 연구에 매진했으며, 친구인 존 플레이페어에 따르면 "진리를 발견했다는 칭찬보다 묵상하는 것 자체를 더 기뻐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약 25년간의 연구 끝에,[21] 1785년 3월과 4월에 걸쳐 에든버러 왕립 학회에서 친구 조지프 블랙과 자신이 직접 ''지구의 이론; 또는 지구상의 토지의 구성, 용해 및 복원에 관찰되는 법칙에 대한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같은 해 7월, 허턴은 이 논문의 핵심 내용을 요약한 ''지구의 시스템, 그 지속 기간 및 안정성에 관하여''를 학회에서 다시 발표[36]하고, 이를 인쇄하여 개인적으로 배포했다.[35] 이 발표에서 그는 현재 육지의 단단한 부분이 주로 바다에서 유래한 물질과 현재 해안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그는 현재의 육지가 원래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이차적인 원인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현재의 육지가 만들어지기 전에도 바다와 육지가 존재하며 지금과 유사한 지질학적 작용이 일어났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현재의 육지가 바다 밑에서 형성되는 동안 이전의 육지에는 식물과 동물이 살았고, 바다에도 현재와 비슷한 생명체들이 서식했다고 보았다. 그는 육지가 지구의 자연스러운 작용으로 생성되지만, 물의 침식에 견디는 영구적인 형태로 남기 위해서는 느슨한 물질들이 단단하게 굳어지고(응고), 이렇게 굳어진 덩어리가 바다 밑바닥에서 현재의 위치로 융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구의 역사가 매우 길며, 현재 관찰되는 느린 지질학적 과정들이 과거에도 동일하게 작용하여 지구의 모습을 만들어왔다는 동일과정설의 기초를 제시한 것이다.
허턴은 현재의 자연 현상을 바탕으로 과거의 지질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 노력했으며, 특히 지하의 열(불)이 암석 형성과 지각 변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는 열의 팽창력이 땅을 융기시키고 지층을 변형시키며, 이 과정에서 생긴 틈으로 마그마가 관입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화산은 이러한 광역적인 대지 상승 과정에서 일종의 안전 밸브 역할을 한다고 간주했다. 당시 널리 받아들여지던 아브라함 고틀로프 베르너의 수성론(모든 암석이 물에서 침전되었다는 이론)과 달리, 허턴은 화강암이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진 것이라고 주장하며 불성론(화성론)을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졌다. 하지만 그는 퇴적암 형성 등 물의 작용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여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려 했다.
허턴의 이론은 1795년 『지구의 이론』 (''The Theory of Earth'')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으나[59], 내용이 난해하여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의 친구이자 에든버러 대학교의 수학 교수였던 존 플레이페어가 허턴의 생각을 알기 쉽게 풀어 쓴 『허턴의 지구 이론 해설』 (''Illustrations of the Huttonian Theory of Earth'')을 1802년에 출판하면서 비로소 허턴의 사상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0][57] 허턴의 이론은 이후 찰스 라이엘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라이엘의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동일과정설과 함께 지질학의 기본 원리로 자리 잡게 되었다.
3. 1. 증거 탐색





1785년 여름, 허턴은 스코틀랜드 고원의 케언곰 산맥에 있는 글렌 틸트를 방문하여 중요한 지질학적 증거를 발견했다. 그는 화강암이 주변의 변성암 편암을 관통하고 있는 모습을 관찰했는데, 이는 화강암이 형성될 당시에 용융된 상태였음을 시사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화강암이 물속에서 침전되어 만들어진다고 생각했지만, 허턴은 이 관찰을 통해 화강암이 뜨거운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진 것이며, 따라서 관입당한 편암보다 나중에 형성되었음을 증명했다.[22][23] 이 발견은 허턴의 첫 지질 현장 탐사 중 하나였으며, 애솔 공작의 초대로 그의 사냥 오두막인 포레스트 로지에 머물면서 이루어졌다. 데일-안-에아스 다리 근처의 노출 지점은 그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되었다. 허턴은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1785년 3월 4일과 4월 7일, 에든버러 왕립 학회에서 자신의 지구 이론을 발표했다.[24]
허턴은 에든버러의 솔즈베리 크래그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발견했다. 이곳에서는 화산암이 오래된 퇴적암 층을 뚫고 들어간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이 지역은 현재 '허튼의 단면(Hutton's Section)'으로 알려져 있다.[4][25][26] 그는 이후에도 증거 수집을 계속하여 1786년에는 갤러웨이에서, 1787년에는 아란 섬에서 비슷한 사례들을 추가로 찾아냈다.
니콜라스 스테노나 오라스-베네딕트 드 소쉬르와 같은 다른 지질학자들도 지층 간의 각도 불연속면(angular unconformity)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지만, 그들은 이를 넵투니즘(Neptunism)의 관점에서 해석했다. 허턴은 이러한 불연속면을 직접 조사하여 암석 층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고자 했다. 1787년 아란 섬 여행 중, 그는 로크란자 근처 뉴턴 포인트 북쪽에서 허튼의 불연속면이라 불리는 첫 사례를 발견했다.[27][28] 하지만 당시에는 시야가 좋지 않아 하부 지층의 상태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웠고, 지층이 노두 아래 깊은 곳에서는 일치할 것이라고 잘못 판단하기도 했다.[29][30]
1787년 후반, 허턴은 제드버러의 인치보니(Inchbonny)에서 현재 '허튼 불연속면' 또는 '대불연속면(Great Unconformity)'으로 알려진 매우 중요한 지질 구조를 발견했다.[6][31] 이곳에서는 거의 수직으로 기울어진 오래된 회색사암 층 위를, 역암 층을 사이에 두고 수평으로 쌓인 젊은 구 적색 사암 층이 덮고 있었다. 이 발견에 대해 허턴은 "오랫동안 헛되이 찾고 있던, 지구의 자연사에 매우 흥미로운 대상을 우연히 발견하게 되어 기뻤다"고 기록했다. 같은 해 그는 테비엇데일에서도 동일한 형태의 불연속면을 확인했다.[29]
1788년 봄, 허턴은 친구인 존 플레이페어와 함께 버윅셔 해안을 탐사하며 콕번스패스 근처의 투어(Tour) 계곡과 피스 번(Pease Burn) 계곡에서 불연속면의 추가적인 증거들을 발견했다.[29] 이후 그들은 던글라스의 지질학자 제임스 홀 경과 합류하여 배를 타고 해안을 따라 이동했다. 세인트 헬렌스(St. Helens) 아래 절벽에서 불연속면을 확인한 후, 동쪽으로 더 나아가 시카 포인트(Siccar Point)에 도착했다. 허턴은 이곳의 노두를 "바다에 의해 드러난 이 접합부의 아름다운 모습"이라고 묘사했다.[32][33] 시카 포인트의 극적인 모습은 함께 했던 플레이페어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그는 훗날 "시간의 심연을 너무 멀리 내다보는 듯하여 마음이 어지러워지는 것 같았다"고 회고했다.[34] 해안 탐사를 계속하면서 그들은 수직으로 서 있는 암석층에서 뚜렷한 물결무늬(연흔)를 발견했는데, 이는 허턴에게 이 암석들이 원래 물속에서 수평으로 쌓였다는 그의 생각을 확신시켜 주었다. 또한 높은 곳에서 발견된 역암은 과거에 상당한 침식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였다.[29]
이러한 여러 증거들을 통해 허턴은 지구의 지각이 끊임없이 변화해왔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는 각 지층이 해저에 퇴적되고, 이후 지각 변동으로 기울어지거나 융기하여 침식된 후, 다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새로운 지층이 그 위에 쌓이는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었다고 생각했다. 허턴은 현재 우리가 관찰하는 느린 지질학적 과정들이 과거에도 동일하게 작용했다고 보았으며(동일과정설), 두껍게 쌓인 암석 층들은 지구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6]
4. 넵투니즘(수성론)과의 대립
허턴의 새로운 이론은 당시 널리 퍼져 있던 독일 지질학자 아브라함 고틀로프 베르너의 수성론과 대립했다. 수성론은 모든 암석이 과거의 거대한 홍수 때 물속에서 가라앉아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반면 허턴은 지구 내부가 뜨겁고, 이 열이 새로운 암석을 만드는 원동력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육지가 공기와 물에 의해 침식되어 바다에 쌓이고, 이 퇴적물이 지구 내부의 열 때문에 단단한 암석으로 변한 뒤 새로운 육지로 솟아오른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허턴의 이론은 '화성암설'이라고 불렸다.
허턴은 수성론자들과 대립했을 뿐만 아니라, 과학계에서 점차 받아들여지던 지질 시대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그는 지구가 겨우 수천 년 전에 만들어졌다는 당시의 생각을 거부하고, 지구의 나이는 훨씬 더 오래되었으며,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22] 허턴은 자신이 관찰한 지층의 큰 이동과 변화가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난 격변 때문이 아니라, 현재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과 같은 과정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과정들은 매우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에, 관찰되는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지구가 매우 오래되었어야 한다고 보았다. 비록 허턴이 생각한 지구의 영원한 순환 개념은 현대 지질학과는 차이가 있지만, 그가 제시한 지질 과정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증거는 역사 지질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5. 지질학 이론의 수용
허턴의 저술, 특히 1795년 출판된 ''지구의 이론''(''The Theory of Earth'')[59]은 문체가 난해하여 그의 지질학 이론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평가가 있다.[43]
그러나 허턴의 친구이자 에든버러 대학교 수학 교수였던 존 플레이페어가 1802년 ''허턴의 지구 이론 해설''(''Illustrations of the Huttonian Theory of Earth'')을 출판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플레이페어의 명료한 해설 덕분에 허턴의 이론은 일반 대중에게도 알려지고 이해될 수 있었다.[60][57]
이후 1830년대에 찰스 라이엘은 그의 기념비적인 저서 ''지질학 원리''(''Principles of Geology'')에서 허턴의 지질학적 아이디어를 다시 설명하고 체계화했다. 라이엘은 허턴의 이론을 바탕으로 동일과정설을 확립했으며, 이를 통해 허턴의 핵심 사상(진화에 대한 생각은 제외)은 지질학계의 주류 이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다만, 라이엘은 허턴의 견해가 급격한 변화에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둔다고 비판하며, 점진적인 변화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턴이 제시한 지구의 오랜 역사와 끊임없이 반복되는 순환이라는 개념은 라이엘을 통해 널리 퍼져나갔다.
6. 기타 공헌
허턴은 지질학 연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보였다. 그는 젊은 시절 에든버러 대학교, 파리 대학교, 라이덴 대학교 등에서 법학, 의학, 화학을 공부했으며[51][52][54], 특히 의학 학위 논문 주제였던 혈액 순환 개념은 이후 지구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다.[55] 또한, 한동안 아버지의 농장 경영에 참여하기도 했다.
에든버러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당대의 저명한 지식인들과 활발히 교류했다. 대표적으로 화학자 조지프 블랙, 증기기관 개량가 제임스 와트,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 등과의 지적 교류는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준다. 허턴의 과학적 사고에는 콜린 매클로린의 강좌를 통해 접한 아이작 뉴턴의 자연 철학이 큰 영향을 미쳤다.[56]
그의 핵심 이론인 지구 이론은 발표 당시 난해함 때문에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59] 그러나 그의 친구이자 수학 교수였던 존 플레이페어가 1802년 『허턴의 지구 이론 해설』을 출판하면서 허턴의 사상이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60][57] 이후 찰스 라이엘은 허턴의 이론을 높이 평가하고 자신의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이를 발전시켜 동일과정설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6. 1. 기상학
허턴은 단순히 지구에만 관심을 기울인 것이 아니었다. 그는 오랫동안 대기의 변화를 연구했다. 그의 저서 《지구 이론》이 출판된 같은 권에는 《비의 이론》도 실려 있었다. 그는 공기가 용액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온도에 따라 증가하므로, 서로 다른 온도의 두 공기 덩어리가 섞이면 수분의 일부가 응축되어 눈에 보이는 형태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구의 여러 지역에서 강수량과 기후에 대한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조사했고, 강수량은 한편으로는 공기의 습도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고층 대기에서 서로 다른 기류의 혼합에 의해 조절된다는 결론을 내렸다.6. 2. 살아있는 유기체로서의 지구
허턴은 생물학적 과정과 지질학적 과정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고 가르쳤다.[44] 1970년대에 가이아 가설을 발전시킨 제임스 러브록은 허턴이 지구를 초유기체라고 말했으며, 지구에 대한 적절한 연구는 생리학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인용한다.[45] 러브록은 19세기 과학자들 사이에서 강한 환원주의 때문에 허턴의 지구관이 거부되었다고 덧붙였다.[45]6. 3. 진화론
허턴은 살아있는 생물에게도 동일과정설을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진화의 메커니즘으로 자연 선택을 제안했다. 그는 저서 ''지식의 원리 조사''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42]: ...만약 조직화된 몸이 그것의 유지와 번식에 가장 적합한 상황과 환경에 있지 않다면, 우리는 그 종의 개체들 사이에 무한한 다양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해야 한다. 즉, 한편으로는 가장 적합한 구성을 가장 많이 벗어나는 개체들이 가장 쉽게 멸망할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구성을 가장 많이 접근하는 조직화된 몸체들이 자신을 보존하고 그들의 종의 개체를 증식시키는 데 가장 적합할 것이다.
허턴은 개가 "발의 민첩성과 시력의 민첩함" 덕분에 살아남는다는 예를 들었다. 그는 "그 필수적인 자질에 가장 결함이 있는 개체는 가장 멸망하기 쉽고, 그것들을 가장 완벽하게 사용하는 개체는... 자신을 보존하고 그 종을 유지할 개체일 것"이라고 보았다. 만약 날카로운 후각이 생존에 더 중요해진다면, "동일한 원리가 동물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민첩함으로 먹이를 잡는 개 대신 냄새가 좋은 사냥개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이러한 "변이의 원리"가 "숲이나 초원에 자라는 모든 식물 종"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허턴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식물 번식과 동물 번식 실험(일부는 미출판 원고 ''농업의 요소''에 개요가 있음)을 통해 얻었으며, 번식의 결과로 나타나는 유전적 변이와 토양, 기후 등 환경적 차이로 인한 비유전적 변이를 구분했다.[42]
하지만 허턴은 자신의 "변이의 원리"가 변이의 발달을 설명한다고 보았지만, 진화가 새로운 종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생각은 "낭만적인 환상"이라며 거부했다.[46] 자연신론의 영향을 받은[47] 그는 자연 선택 메커니즘이 종이 특정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변이를 만들도록 돕고, 이것이 자연에 담긴 신의 자비로운 설계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했다. 찰스 다윈은 1859년 저서 ''종의 기원''에서 자연 선택 이론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켰지만, 학창 시절 에든버러에서 허턴의 아이디어나, 비슷한 시기 윌리엄 찰스 웰스와 패트릭 매튜 등이 제시했던 자연 선택 개념에 대해 어렴풋이 접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2]
7. 저서
제임스 허턴은 1785년 3월 7일과 4월 4일 로열 소사이어티 오브 에든버러 회의에서 자신의 지구 이론을 발표했다. 이 이론의 요약본(''지구의 체계, 존속 기간, 안정성에 관하여'')은 같은 해 7월 4일 회의에서 발표 후 개인적으로 인쇄하여 배포되었으나,[35] 전체 내용은 1788년에야 ''지구의 이론; 또는 지구상에서 토지의 구성, 해체 및 복원에 관찰 가능한 법칙에 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학회 회보에 정식 게재되었다.[36] 이 논문에서 허턴은 "실제로 일어난 일로부터, 우리는 그 이후에 일어날 일에 관해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데이터를 얻는다"는 견해를 제시했는데, 이는 데이비드 흄이나 찰스 라이엘 등이 공유했던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경험주의적 사고를 반영한다.[37] 특히 논문의 결론인 "따라서 현재의 연구 결과는, 우리는 시작의 흔적을 찾을 수 없고, 끝에 대한 전망도 찾을 수 없다"는 문구는 그의 이론의 핵심을 보여주는 유명한 구절이다.[36][6][38] 이 문구는 후대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1989년 작곡가 그레그 그래프의 노래 "No Control"에도 인용되었다.[39]
리처드 커윈 등 일부 비평가들은 허턴의 이론이 무신론적이라고 비판했다.[36]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허턴은 1795년 자신의 이론을 확장하고 방어하는 내용을 담아 총 2권으로 된 ''지구 이론, 증거와 삽화 포함''(''Theory of the Earth; With Proofs and Illustrations'')을 출판했다.[40][41] 이 책에는 1788년 발표된 이론 외에도 화강암의 기원에 대한 연구(1794년 별도 발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그의 기존 연구와 토마스 버넷, 조르주루이 르클레르크 드 뷔퐁 등 다른 학자들의 이론에 대한 검토가 포함되었다. 미완성 원고였던 3권은 사후 1899년 아치볼드 게이키 경에 의해 편집되어 출판되었다.
1794년에는 총 3권, 2,138쪽에 달하는 방대한 철학 저작 ''지식의 원리와 감각에서 과학 및 철학으로의 이성의 발전에 대한 연구''(''An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s of Knowledge and of the Progress of Reason, from Sense to Science and Philosophy'')를 완성했다.[42] 그러나 그의 친구이자 동료 과학자인 존 플레이페어는 이 책이 "방대한 분량과 많은 부분에서 제기될 수 있는 모호성 때문에 마땅히 받아야 할 만큼 받아들여지지 못했을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저작들이 있다.
- 1788년 ''비 이론'' (''The theory of rain'')
- 1792년 ''자연 철학의 여러 주제에 대한 논문'' (''Dissertations on different subjects in natural philosophy'')
- 1794년 ''화강암의 관찰'' (''Observations on granite'')
- 1794년 ''빛, 열, 불의 철학에 대한 논문'' (''A Dissertation upon the Philosophy of Light, Heat, and Fire'')
- 1797년 ''농업의 요소'' (''Elements of Agriculture'') - 미출판 원고.
=== 온라인에서 볼 수 있는 저서 ===
- 1785. ''Abstract of a dissertation read in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upon the seventh of March, and fourth of April, MDCCLXXXV, Concerning the System of the Earth, Its Duration, and Stability''. Edinburgh. 30쪽. 옥스퍼드 디지털 도서관.
- 1788. ''The theory of rain''.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vol. 1, Part 2, pp. 41–86.
- 1788. ''Theory of the Earth; or an Investigation of the Laws observable in the Composition, Dissolution, and Restoration of Land upon the Glob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vol. 1, Part 2, pp. 209–304. 인터넷 아카이브.
- 1792. ''Dissertations on different subjects in natural philosophy.'' Edinburgh & London: Strahan & Cadell. 구글 도서.
- 1794. ''Observations on granit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vol. 3, pp. 77–81.
- 1794. ''A Dissertation upon the Philosophy of Light, Heat, and Fire.'' Edinburgh: Cadell, Junior, Davies. [http://www.e-rara.ch/ e-rara (ETH-Bibliothek)]
- 1794. ''An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s of Knowledge and of the Progress of Reason, from Sense to Science and Philosophy''. Edinburgh: Strahan & Cadell. [http://search.lib.virginia.edu/catalog (VIRGO) 버지니아 대학교 도서관)]
- 1795. ''Theory of the Earth; With Proofs and Illustrations''. 3 vols. Edinburgh: Creech. [http://www.e-rara.ch/ e-rara (ETH-Bibliothek)]
- 1899. ''Theory of the Earth; with proofs and illustrations, vol III'', Sir Archibald Geikie 편집. Geological Society, Burlington House, London. 인터넷 아카이브
8. 인정
참조
[1]
서적
From the Erzgebirge to Potosi: A History of Geology and Mining Since the 1500's
https://books.google[...]
FriesenPress
2018-05-10
[2]
서적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Biographical Index
https://web.archive.[...]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2-07-17
[3]
웹사이트
Millennial Plaques: James Hutton
https://web.archive.[...]
Hutton's Millennial Plaque, which reads, "In honour of James Hutton 1726–1797 Geologist, chemist, naturalist, [[father of]] modern geology, [[alumnus]] of the University," is located at the main entrance of the [[King's Buildings|Grant Institute]]
[4]
잡지
Northern Lights: How modern life emerged from eighteenth-century Edinburgh
https://www.newyorke[...]
2004-10-11
[5]
서적
Earth's Deep History: How It Was Discovered and Why It Matte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10-15
[6]
웹사이트
James Hutton: The Founder of Modern Geology
https://web.archive.[...]
[7]
뉴스
Ages in Chaos: James Hutton and the Discovery of Deep Time
https://archive.org/[...]
Book review of Stephen Baxter
2006-09-01
[8]
웹사이트
James Hutton (1726-1797)
https://www.edinburg[...]
2023-12-29
[9]
서적
James Hutton's stay in Leiden (1749)
Leidse Geologische Vereniging
[10]
문서
[11]
웹사이트
Business and Related Interests
https://web.archive.[...]
James Hutton.org.uk
2019-08-03
[12]
웹사이트
Farming and Hutton the Geologist
https://web.archive.[...]
James Hutton.org.uk
2019-08-03
[13]
서적
The Life of James Clerk Maxwell
https://archive.org/[...]
Macmillan and Company
[14]
웹사이트
Return to Edinburgh
https://archive.toda[...]
James Hutton.org.uk
2008-04-11
[15]
웹사이트
Hutton's Contemporaries and The Scottish Enlightenment
https://web.archive.[...]
James Hutton.org.uk
2019-08-03
[16]
웹사이트
Williamson's directory for the City of Edinburgh, Canongate, Leith and suburbs
https://digital.nls.[...]
1773-1774
[17]
웹사이트
The Forth and Clyde Canal
https://web.archive.[...]
James Hutton.org.uk
2019-08-03
[18]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eb.archive.[...]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01
[19]
웹사이트
James Hutton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
웹사이트
Settled and Unsettled
https://web.archive.[...]
James Hutton.org.uk
2019-08-03
[21]
웹사이트
Theory of the Earth
https://archive.toda[...]
James Hutton.org.uk
2008-04-11
[22]
뉴스
Glimpses into the abyss of time
http://www.accessmyl[...]
The Spectator
2003-09-13
[23]
웹사이트
Glen Tilt
https://web.archive.[...]
Scottish Geology
2011-05-03
[24]
서적
Time's Arrow, Time's Circle
[25]
웹사이트
Scottish Geology – Hutton's Section at Salisbury Crags
[26]
웹사이트
Hutton's Section at Hoyrood Park
https://web.archive.[...]
Geos.ed.ac.uk
2003-09-01
[27]
웹사이트
Hutton's Unconformity
http://www.arranmuse[...]
Isle of Arran Heritage Museum
2014-01-01
[28]
웹사이트
Hutton's Unconformity – Lochranza, Isle of Arran, UK – Places of Geologic Significance on Waymarking.com
http://www.waymarkin[...]
[29]
웹사이트
Siccar Point and Teaching the History of Geology
http://nagt.org/file[...]
University of Wisconsin
[30]
웹사이트
Hutton's unconformities
https://web.archive.[...]
QCC Press
[31]
웹사이트
Jedburgh: Hutton's Unconformity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Hutton's Journeys to Prove his Theory
https://archive.toda[...]
James-hutton.org.uk
[33]
웹사이트
Hutton's Unconformity
https://web.archive.[...]
Snh.org.uk
[34]
뉴스
Hutton's Unconformity
https://archive.toda[...]
[35]
웹사이트
Concerning the System of the Earth
http://www.uwmc.uwc.[...]
[36]
웹사이트
Theory of the Earth
https://web.archive.[...]
[37]
웹사이트
The Present is the Key to the Past is the Key to the Future
https://web.archive.[...]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2-05-13
[38]
논문
Vestiges of James Hutton
https://web.archive.[...]
2011-06-11
[39]
웹사이트
Lyrics, No Control
http://www.altmusic.[...]
[40]
서적
Theory of the Earth, Volume 1
[41]
서적
Theory of the Earth, Volume 2
[42]
논문
In retrospect
2003-10
[43]
서적
The Founders of Geology
https://archive.org/[...]
Macmillan and Company
[44]
서적
The web of life: a new scientific understanding of living systems
Anchor Books
[45]
서적
GAIA – A new look at life on Eart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6]
뉴스
The original theory of evolution... were it not for the farmer who came up with it, 60 years before Darwin
https://www.independ[...]
2003-10-16
[47]
서적
James Hutton and the History of Geology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48]
논문
Vestiges of James Hutton
2001
[49]
웹사이트
James Hutton Scottish geologist
https://www.britanni[...]
[50]
서적
大洪水が神話になるとき
河出書房新社
[51]
문서
당시의 표준적인 대학 교육 연령이었다
[52]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68ページ
[53]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75ページ
[54]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99ページ
[55]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101ページ
[56]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69ページ
[57]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139ページ
[58]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164-168ページ
[59]
문서
3권으로 계획되었으나 1797년까지 2권이 출판되었고, 3권은 미출판이다.
[60]
문서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하튼의 명예를 높이기 위해 쓰여졌다.
[61]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162ページ
[62]
문서
ジャック・レプチェック 2004年 225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