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옮김 악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옮김 악기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음높이를 다르게 표기하여 연주자가 동일한 운지법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악기들을 의미한다. 이는 악기 교체의 용이성을 높이고, 음높이 표준을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조옮김에는 옥타브 조옮김과 특정 조 조옮김이 있으며, 악기에 따라 기보음과 실제음의 차이가 다르다. 글로켄슈필, 피콜로, 트럼펫, 클라리넷, 호른 등 다양한 악기들이 조옮김 악기로 사용되며, 총보에서도 조옮김된 형태로 표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옮김 악기 - 크로탈
    크로탈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종교 의식과 축제에서 비롯된 악기로, 포탄과 비슷한 외형과 독특한 음색을 지니며 오케스트라, 영화 음악, 대중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 악기 - 전기 바이올린
    전기 바이올린은 공명통 없이 픽업으로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 재즈, 블루스에서 시작해 록, 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음악 연주에도 사용된다.
  • 악기 - 카주
    카주는 음성을 이용하여 연주하는 간단한 진동 악기로, 1902년 조지 D. 스미스에 의해 현대적인 형태로 특허를 받았고 재즈, 코미디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아마추어 연주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 음악에 관한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조옮김 악기
개요
명칭조옮김 악기
영어 명칭Transposing instrument
일본어 명칭移調楽器 (이쵸-각키)
정의
설명기보된 음높이와 실제 소리나는 음높이가 다른 악기
조옮김 종류
올림 조옮김 악기기보된 음보다 높은 음이 나는 악기 (예: 피콜로, Bb 트럼펫)
내림 조옮김 악기기보된 음보다 낮은 음이 나는 악기 (예: 잉글리시 호른, 바순)
주요 조옮김 악기
금관 악기트럼펫 (Bb, C, Eb, D, G), 호른 (F, Bb, Eb), 튜바 (Bb, Eb), 트롬본 (Bb)
목관 악기클라리넷 (Bb, A, Eb), 색소폰 (Eb, Bb), 잉글리시 호른 (F)
기타 악기피콜로 (C, Db), 콘트라베이스 (E)
이유
연주 편의성특정 조성에서 연주하기 쉽게 하기 위함
음역 확장악기의 실제 음역을 기보하기 쉽게 하기 위함
역사적 이유과거 악기 제작 방식의 영향
표기
악보 표기조옮김 악기의 악보는 실제 음높이가 아닌 조옮김 간격을 고려하여 표기됨
조옮김 기호악보에 조옮김 기호 (예: Bb, Eb)를 명시하여 연주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함
특징
조옮김 악기 연주조옮김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조옮김 관계를 이해하고 있어야 함
관현악 편곡관현악 편곡 시 조옮김 악기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

2. 조옮김 악기의 이유

조옮김 악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클라리넷, 색소폰, 트럼펫 등과 같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크기에 따라 음역이 달라지는 악기군에서, 악보를 조옮김하여 표기함으로써 연주자가 악기를 바꿔 연주할 때 동일한 운지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19세기 밸브가 발명되기 전, 호른과 트럼펫은 크로크를 사용하여 기본 음높이를 변경해야 했다.

셋째, 바로크 시대 독일에서는 '코르톤'(Chorton, 합창 음높이)과 '캄머톤'(Kammerton, 실내악 음높이)이라는 서로 다른 음높이 표준이 사용되었다. 앙상블에서 함께 연주할 때 악기 간의 음높이를 맞추기 위해 일부 악기 악보를 조옮김하여 표기했다.

2. 1. 악기 교체의 용이성

클라리넷, 색소폰, 트럼펫 등 일부 악기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크기에 따라 음역이 달라진다. 이러한 악기군에서는 악보를 조옮김하여 표기함으로써 연주자가 악기를 바꿔 연주할 때 동일한 운지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1] 예를 들어, B♭ 클라리넷 연주자는 악보에 표기된 C음을 연주하면 실제로는 B♭음을 내게 되지만, A 클라리넷으로 바꿔 연주해도 같은 운지법으로 C음을 연주하면 A음을 낼 수 있다.[2]

이러한 방식은 관악기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관악기는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진 서로 다른 관 길이의 악기가 존재하며, 이들은 같은 운지법으로 다른 높이의 소리를 낸다. 이들은 연주법도 비슷하기 때문에 한 명의 연주자가 다른 관 길이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의 높이가 악기에 따라 달라도 같은 운지법에 같은 음표를 할당하는 것이 연주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악보를 각 악기의 운지법에 고정하고, 악보를 쓸 때 높이를 조절(조옮김)하여 표기하게 되었다.[3]

예를 들어 오보에는 실제 음높이로 표기하므로 조옮김 악기가 아니다. 그러나 잉글리시 호른은 오보에와 같은 계열의 악기이며 오보에 연주자가 연주하지만, 오보에의 다(C, 도) 운지법으로 소리를 내면 실제 음높이로 완전 5도 낮은 바(F, 파)의 소리가 난다. 그렇다면 이 음을 다(C, 도)로 표기하는 것이 연주자에게 더 편하다. 이처럼 잉글리시 호른은 바(F, 파)의 음을 악보상에서는 다(C, 도)로 취급한다.[3]

2. 2. 혼 크룩 (Horn Crook)

19세기 밸브가 발명되기 전, 호른과 트럼펫은 단일 기본 음높이의 배음열 음만 연주할 수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세기 초 독일에서 크로크 시스템이 고안되었다. 크로크는 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 파이프 사이에 삽입하여 기본 음높이를 변경하는 관으로, 소리 나는 튜브의 전체 길이를 늘리는 역할을 했다. 모든 호른 음악은 C를 기본 음높이로 표기했지만, 크로크를 사용하면 단일 악기가 거의 모든 조로 조옮김 악기가 될 수 있었다.

리드 파이프 크로크를 교체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연주 중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기도 어려워, 상당한 휴식 시간 동안에만 교체가 가능했다. 18세기 중반에는 튜닝 슬라이드 역할을 하거나 기본 음높이를 반음 또는 온음만큼 변경할 수 있는 중간 크로크가 고안되었다. 밸브의 도입으로 크로크는 불필요해졌지만, 많은 연주자와 작곡가들은 밸브 악기의 음질이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리하르트 바그너는 한 곡에서 내추럴 호른과 밸브 호른 파트를 함께 작곡하기도 했다. 19세기 초에는 F 조옮김이 표준이 되었고, 호른은 높은 음자리표에서 표기된 음높이보다 완전 5도 아래로 소리를 냈다.

밸브 장치가 발명된 후에도 한동안 크로크를 사용하던 악보 표기 방식의 전통이 지속되었다. 바그너 등의 작품에서 보이는 빈번한 악보 조성 변경은 밸브를 "크루크"처럼 취급하여 자연 배음의 조성을 나타냈던 흔적이다.

2. 3. 음높이 표준 맞추기

바로크 시대 독일에서는 '코르톤'(Chorton, 합창 음높이)과 '캄머톤'(Kammerton, 실내악 음높이)이라는 서로 다른 음높이 표준이 사용되었다. 앙상블에서 함께 연주할 때, 악기 간의 음높이를 맞추기 위해 일부 악기 악보를 조옮김하여 표기했다. 예를 들어 바흐의 칸타타에서 오르간 파트는 다른 악기보다 온음계 전체만큼 낮게 표기되었다.[1]

오늘날의 일부 초기 음악 앙상블에서도 A415로 조율된 악기와 A440으로 조율된 악기를 함께 사용한다. 이 음높이들은 대략 반음 차이가 나므로, 한 악기 세트의 악보는 다른 악기의 음높이에 맞게 조옮김하여 연주하기도 한다. 현대의 통주 저음 악기 제작자들은 때때로 두 음높이 표준 중 하나로 연주할 수 있는 이동식 건반을 포함하기도 한다.[2]

3. 조옮김의 종류

조옮김 악기는 관악기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같은 구조를 가졌지만 관의 길이가 다른 악기들이 존재한다. 이 악기들은 같은 운지법으로 다른 높이의 소리를 낸다. 연주법이 비슷하기 때문에 한 명의 연주자가 여러 길이의 관을 가진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음높이가 달라도 같은 운지법에 같은 음표를 할당하는 것이 연주 부담을 줄여준다.[4] 그래서 악보를 각 악기의 운지법에 고정하고, 악보를 쓸 때 높이를 조절(조옮김)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어 오보에는 실제 음높이로 표기하여 조옮김 악기가 아니다. 하지만 잉글리시 호른은 오보에와 같은 족 악기이며 오보에 연주자가 연주하지만, 오보에의 다(C, 도) 운지법으로 소리를 내면 실제로는 완전 5도 낮은 바(F, 파) 소리가 난다. 이 음을 다(C, 도)로 표기하는 것이 연주자에게 더 편하다. 잉글리시 호른처럼 바(F, 파) 음을 악보에서 다(C, 도)로 취급하는 것을 "잉글리시 호른은 조옮김 악기이다"라고 한다.

악보상의 다(C, 도) 음 표기에 해당하는 실제 음높이에 따라 조옮김 악기의 종류를 부른다. 예를 들어, 잉글리시 호른은 악보상의 다(C, 도) 음이 피아노의 바(F, 파) 음과 일치하므로 '''바조 악기''' 또는 '''F조 악기'''라고 한다(관악기에서는 '''F관'''이라고도 한다).[2] 악보에는 "'''Clarinets I, II in B♭'''"(영어)처럼 악기 이름에 덧붙여 무슨 조의 악기용인지 쓰기도 한다. 하지만 잉글리시 호른은 바조 악기밖에 없으므로 "'''English Horn in F'''"(영어)라고 쓰는 경우는 드물다.

조옮김 악기라는 명칭은 악보를 만들 때 실제 음높이에서 조옮김이 필요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며, "F조 악기"라고 해서 F조의 곡만 연주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3. 1. 옥타브 조옮김

일부 악기는 일반적인 음자리표를 사용할 때 음역이 악보에 잘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과도한 덧줄 사용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악기를 위한 악보는 옥타브 단위로 실제 음높이와 한 옥타브 또는 두 옥타브 떨어진 음으로 표기하며, 높은음자리표 또는 낮은음자리표를 사용한다. 이러한 악기는 "옥타브 조옮김"을 한다고 하며, 악보상의 음은 조옮김되지 않는 악기와 동일한 로 표기되지만, 실제 연주되는 소리는 악보상의 음보다 한두 옥타브 높거나 낮게 들린다.[3]

더블 베이스, 베이스 기타, 그리고 기타는 악보상의 음보다 한 옥타브 낮게 소리 낸다. 피콜로, 실로폰, 첼레스타, 그리고 일부 리코더(소프라니노, 소프라노, 베이스 그리고 때로는 알토)는 악보상의 음보다 한 옥타브 높게 소리 낸다. 글로켄슈필, 가르클라인 리코더, 그리고 크로탈레스는 악보상의 음보다 두 옥타브 높게 소리 낸다.

이조 악기란 이조 악기 중 특히 옥타브 단위로 이조되어 표기되는 악기를 말한다. 피콜로, 첼레스타, 글로켄슈필, 콘트라베이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일반적인 소프라노 리코더나 피콜로는 악보상의 음보다 실제 나오는 음이 정확히 1 옥타브 높기 때문에 (악보가 "조옮김"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옮김 악기로 분류되며, 상기의 "이조 악기"의 일종이다.

3. 2. 특정 조 조옮김

대부분의 조옮김 악기는 특정 조(Key)로 조옮김된다. 예를 들어, B♭ 클라리넷은 악보에 C로 표기된 음을 연주하면 실제로는 B♭ 음이 난다. E♭ 알토 색소폰은 악보의 C음을 연주하면 E♭ 음이 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옮김하는 악기는 해당 악기에서 표기된 C를 연주할 때 들리는 콘서트 피치를 사용해 "B♭ 클라리넷"과 같이 특정 "조"에 있다고 표현한다. B♭ 클라리넷에서 표기된 C를 연주하면 콘서트 B♭이 생성된다.[1] 클라리넷의 경우, 악보상의 다(C, 도) 음의 표기에 해당하는 실제 음높이에 따라 조옮김 악기의 종류를 부르는데, 예를 들어 B♭ 클라리넷은 '''내림 라조 악기''' 또는 '''B♭ 클라리넷'''이라고 불린다.[2]

일반적으로 특정 음고를 악기의 "홈" 음으로 간주해야 할 이유가 있으며, 해당 음고는 일반적으로 해당 악기에 대해 C로 표기된다. 해당 음의 실음은 해당 악기의 조옮김을 나타내는 방식을 결정한다.[3]

조옮김 악기는 관악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관악기에서는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진 서로 다른 관 길이의 악기가 존재하며, 이들은 같은 운지법으로 다른 높이의 소리를 낸다. 이들은 연주법도 비슷하기 때문에 한 명의 연주자가 다른 관 길이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의 높이가 악기에 따라 달라도 같은 운지법에 같은 음표를 할당하는 것이 연주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악보를 각 악기의 운지법에 고정하고, 악보를 쓸 때 높이를 조절(조옮김)하여 표기하게 되었다.[4]

예를 들어 오보에는 실제 음높이로 표기하므로 조옮김 악기가 아니다. 그러나 잉글리시 호른은 오보에와 같은 족 악기이며 오보에 연주자가 연주하지만, 오보에의 다(C, 도) 운지법으로 소리를 내면 실제 음높이로 완전 5도 낮은 바(F, 파)의 소리가 난다. 그래서 이 음을 다(C, 도)로 표기하는 것이 연주자에게 더 편하다. 이처럼 잉글리시 호른은 바(F, 파)의 음을 악보상에서는 다(C, 도)로 취급한다. 이것을 "잉글리시 호른은 조옮김 악기이다"라고 한다.

악보에는 "'''Clarinets I, II in B♭'''"(영어)처럼 악기 이름에 덧붙여 그것이 무슨 조의 악기용인지도 쓴다. 그러나 잉글리시 호른의 경우에는 바조 악기밖에 없으므로 "'''English Horn in F'''"(영어)라고 쓰는 경우는 드물다.

4. 조옮김 악기 목록

조옮김 악기는 관악기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진 서로 다른 관 길이의 악기가 존재하며, 이들은 같은 운지법으로 다른 높이의 소리를 낸다. 이 때문에 악보를 각 악기의 운지법에 고정하고, 악보를 쓸 때 높이를 조절(조옮김)하여 표기하게 되었다. 악보상의 다(C, 도) 음의 표기에 해당하는 실제 음높이에 따라 조옮김 악기의 종류를 부르며, 예를 들어 잉글리시 호른은 악보상의 다(C, 도)의 음이 피아노의 바(F, 파)의 음과 일치하므로 '''바조 악기''' 또는 '''F조 악기'''라고 한다.[3]

다음은 조옮김 악기 목록을 나타낸 표이다.

악기실제음은 기보음보다조옮김할 때
실제음의 악보에서
조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글로켄슈필C2옥타브 높음-
앤티크 심벌C2옥타브 높음-
피콜로D♭1옥타브와 단2도 높음5♯
C1옥타브 높음-
실로폰C1옥타브 높음-
첼레스타C1옥타브 높음-
핸드벨C1옥타브 높음-
피콜로 트럼펫C1옥타브 높음-
B♭단7도 높음2♯
A장6도 높음3♭
소프라니시모색소폰B♭단7도 높음2♯
소클라리넷(Es 클라리넷/As 클라리넷)A♭단6도 높음4♯
E♭단3도 높음3♯
소프라니노색소폰E♭단3도 높음3♯
코넷E♭단3도 높음3♯
B♭장2도 낮음2♯
A단3도 낮음3♭
G완전4도 낮음1♭
트럼펫A♭단6도 높음4♯
G완전5도 높음1♭
G♭감5도 높음6♯
F완전4도 높음1♯
E장3도 높음4♭
E♭단3도 높음3♯
D장2도 높음2♭
D♭단2도 높음5♯
C--
B단2도 낮음5♭
B♭장2도 낮음2♯
A단3도 낮음3♭
플루겔호른B♭장2도 낮음2♯
소프라노색소폰B♭장2도 낮음2♯
클라리넷C--
B♭장2도 낮음2♯
A단3도 낮음3♭
호른High C-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1옥타브 높음
-
High B단2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장7도 높음
5♭
High B♭장2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단7도 높음
2♯
High A단3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장6도 높음
3♭
High A♭장3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단6도 높음
4♯
G완전4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완전5도 높음
1♭
G♭증4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감5도 높음
6♯
F완전5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완전4도 높음
1♯
E단6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장3도 높음
4♭
E♭장6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단3도 높음
3♯
D단7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장2도 높음
2♭
D♭장7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단2도 높음
5♯
Low C1옥타브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변동 없음
-
Low B1옥타브와 단2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단2도 낮음
5♭
Low B♭1옥타브와 장2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장2도 낮음
2♯
Low A1옥타브와 단3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단3도 낮음
3♭
Low A♭1옥타브와 장3도 낮음
오래된 악보의 경우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장3도 낮음
4♯
오보에 다모레A단3도 낮음3♭
알토 플루트G완전4도 낮음1♭
잉글리시 호른F완전5도 낮음1♯
알토 클라리넷E♭장6도 낮음3♯
알토색소폰E♭장6도 낮음3♯
콘트라베이스(솔로 튜닝)D단7도 낮음2♭
기타C1옥타브 낮음-
밴조C1옥타브 낮음-
베이스 플루트C1옥타브 낮음-
G1옥타브와 완전4도 낮음1♭
F1옥타브와 완전5도 낮음1♯
바리톤 오보에C1옥타브 낮음-
콘트라파곳C1옥타브 낮음-
콘트라베이스
(오케스트라 튜닝)
C1옥타브 낮음-
테너색소폰B♭1옥타브와 장2도 낮음2♯
트롬본B♭1옥타브와 장2도 낮음
대부분 낮은음자리표의 실제음 표기지만,
드물게 in B♭의 조옮김 표기로 쓰는 경우가 있다.
2♯
유포니움B♭1옥타브와 장2도 낮음
대부분 낮은음자리표의 실제음 표기지만,
드물게 in B♭의 조옮김 표기로 쓰는 경우가 있다.
2♯
바스 클라리넷B♭1옥타브와 장2도 낮음
낮은음자리표에서는 장2도 낮음
2♯
콘트라 알토 클라리넷E♭1옥타브와 장6도 낮음3♯
바리톤색소폰E♭1옥타브와 장6도 낮음3♯
옥토베이스C2옥타브 낮음-
콘트라베이스 플루트C2옥타브 낮음-
콘트라바스 클라리넷B♭2옥타브와 장2도 낮음2♯
베이스색소폰B♭2옥타브와 장2도 낮음2♯
튜바E♭1옥타브와 장6도 낮음
대부분 낮은음자리표의 실제음 표기지만,
드물게 in E♭의 조옮김 표기로 쓰는 경우가 있다.
3♯
B♭2옥타브와 장2도 낮음
대부분 낮은음자리표의 실제음 표기지만,
드물게 in B♭의 조옮김 표기로 쓰는 경우가 있다.
2♯
서브콘트라베이스 플루트G2옥타브와 완전4도 낮음1♭
F2옥타브와 완전5도 낮음1♯
옥토콘트라 알토 클라리넷E♭2옥타브와 장6도 낮음3♯
콘트라베이스 색소폰E♭2옥타브와 장6도 낮음3♯
더블 콘트라베이스 플루트C3옥타브 낮음-
옥토콘트라바스 클라리넷B♭3옥타브와 장2도 낮음2♯
서브콘트라베이스 색소폰B♭3옥타브와 장2도 낮음2♯


  • 첼로는 조옮김 악기가 아니지만, 과거에는 높은음자리표로 표기될 때 1옥타브 낮은 음이 나는 기보법이 사용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높은음자리표에서도 실제음으로 표기된다.
  • 성악에서는 남성이 높은음자리표로 표기될 때 1옥타브 낮은 소리가 난다. 종종 높은음자리표 아래에 8을 써서 옥타브를 낮추라는 지시를 하거나, 높은음자리표를 두 개 나란히 표기하여 1옥타브 낮은 소리를 지시하기도 한다.
  • 리코더에 대해서는 리코더#종류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표에서 "조옮김할 때" 열의 "2♯"는 "♯을 2개 늘리거나, ♭을 2개 줄이거나, ♯을 1개 늘리고 ♭을 1개 줄인다"는 의미이다.

4. 1. 기보음보다 실음이 낮은 악기

더블베이스, 콘트라바순, 오보에 다모레, 잉글리시 호른, 바그너 튜바, 바조 호른, 코넷, 내림 나조 트럼펫, 밴조 등이 기보음보다 실음이 낮은 악기에 해당한다.[3]

예를 들어 잉글리시 호른은 오보에와 같은 종류의 악기이며, 오보에 연주자가 연주한다. 하지만 오보에의 다(C, 도) 운지법으로 소리를 내면 실제 음높이는 완전 5도 낮은 바(F, 파) 소리가 난다. 이 경우 연주자가 악보를 읽고 연주하기 편하도록 해당 음을 다(C, 도)로 표기한다. 즉, 잉글리시 호른은 바(F, 파) 음을 악보상에서 다(C, 도)로 취급하며, 이러한 이유로 "조옮김 악기"라고 불린다.

4. 2. 기보음보다 실음이 높은 악기

목금, 글로켄슈필, 첼레스타, 피콜로, 피콜로 트럼펫 등이 있다.[3] 이 악기들은 악보에 표기된 음보다 실제로는 한 옥타브 또는 두 옥타브 높은 소리를 낸다. 예를 들어, 실로폰과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베이스, 때로는 알토 리코더는 악보상의 음보다 한 옥타브 높은 소리를 낸다. 글로켄슈필, 가르클라인 리코더, 크로탈레스는 악보상의 음보다 두 옥타브 높은 소리를 낸다.[3]

4. 3. 기보음과 실음이 같은 악기

플루트, 오보에, 바순, 트롬본[4], 튜바[4], 오르간,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4. 그 밖

클라리넷, 리코더, 색소폰 등은 어떤 조의 악기를 쓰느냐에 따라 기보음과 실제 음 사이의 차이가 달라진다.

5. 특수한 조옮김 악기

현악기는 현의 조현을 통해 조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트라베이스는 4현 중 윗 3현을 솔로 튜닝으로, 아래 1현을 오케스트라 튜닝으로 조현하여 연주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연주자는 평소와 같은 운지법으로 연주할 수 있다.[1]


:*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콘트라베이스 편곡판 (윗 3현을 솔로 튜닝으로, 아래 1현을 오케스트라 튜닝으로 조현)[1]
:* 말러의 교향곡 4번 제2악장의 솔로 바이올린은 모든 현을 온음(장2도) 높게 튜닝하여 연주한다.[1]

6. 실음으로 기보되는 악기

플루트(콘서트 플루트)는 풋 조인트에 따라 최저음이 C4인 것과 B3인 것이 있으며, 각각 C관, H관으로 불리지만, 모두 실음으로 기보된다. 마찬가지로 플라우토 트라베르소도 최저음이 D4이므로 D관으로 불리지만, 실음으로 기보된다.[1]

트롬본, 유포니엄, 튜바 등의 저음부를 담당하는 금관악기와 F관 리코더 (알토 리코더 등)는 구조적으로 조옮김 악기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음으로 기보하는 것이 관례이다.[1] 이 악기들 중에는 과거에 조옮김 악기로 취급된 적이 있거나, 현재에도 경우에 따라 조옮김 악기로 취급되는 악기도 있다.[1]

7. 조옮김 악기로 취급하지 않는 기보

프로코피예프와 같이, 일반적으로 조옮김 악기로 취급되는 악기를 위한 악보도 모두 실제 음으로 표기하는 작곡가도 있다. 신 빈 악파의 악곡이나 현대 음악처럼 조성과 관련이 적은 음악도 모두 실제 음으로 기보하는 경우가 있다.

8. 총보에서의 조옮김 악기

총보에서 조옮김 악기를 위한 악보는 일반적으로 연주자의 파트와 마찬가지로 조옮김된 형태로 쓰여진다. 20세기 초부터 일부 작곡가들은 관현악 악보를 실음으로 전체적으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피아노 협주곡 1번 D 악보가 있다.

참조

[1] 서적 Bach's Continuo Group Harva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CBH Global Harpsichord Technology http://www.hpschd.nu[...]
[3] 간행물 Harvard Dictionary of Music
[4] 문서 관악단에서는 제외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