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성주의는 지성이 의지보다 우선하며, 덕은 지식의 문제라는 철학적 관점을 의미한다. 소크라테스는 지성주의의 초기 형태로, 덕과 지식은 이성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세 신학적 지성주의는 지성의 능력이 의지보다 우월하다는 교리이며, 아베로에스, 토마스 아퀴나스 등이 대표적인 지성주의자로 꼽힌다. 근대 철학에서는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 등이 지성주의자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성주의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지성주의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너드 문화 - 빌 게이츠
빌 게이츠는 폴 앨런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를 공동 설립하여 MS-DOS와 윈도우를 개발하고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는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을 통해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는 미국의 사업가이자 자선가이다. - 너드 문화 -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븐 개리 워즈니악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업자이자 애플 I과 애플 II의 주요 설계자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 개막에 기여했으며 블루 박스 제작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컴퓨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이다. - 삶의 철학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삶의 철학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지성주의 | |
|---|---|
| 개요 | |
| 정의 | 지적 능력을 강조하는 관점 또는 지적인 것 |
| 특징 | 아이디어와 추론을 중시하고 실용성, 감정, 경험을 경시하는 경향 |
| 관련 분야 | 철학, 교육, 예술, 정치 등 다양한 분야 |
| 반대 개념 | 반지성주의 |
| 철학적 관점 | |
| 주요 내용 | 이성, 논리, 분석적 사고를 통해 지식을 획득하고 이해하는 것을 강조 |
| 대표적 철학자 | 플라톤, 르네 데카르트, 임마누엘 칸트 |
| 비판 |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비판 존재 |
| 교육적 관점 | |
| 주요 내용 | 지적 능력 개발과 지식 습득을 교육의 핵심 목표로 간주 |
| 교육 방법 | 논리적 사고, 비판적 분석,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초점 |
| 비판 | 창의성, 감성, 사회성 등 다른 중요한 능력 개발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 존재 |
| 예술적 관점 | |
| 주요 내용 | 지적인 탐구와 개념적 표현을 중시하는 예술 경향 |
| 특징 | 형식미, 추상성, 상징성 강조 |
| 예시 | 개념미술, 미니멀리즘 |
| 정치적 관점 | |
| 주요 내용 | 합리적인 정책 결정과 전문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정치적 입장 |
| 특징 | 감정, 이념, 대중의 의견보다 증거와 논리에 기반한 정책 선호 |
| 비판 | 엘리트주의적 성향, 대중의 의견 무시, 현실 정치와 괴리 등의 비판 존재 |
| 기타 | |
| 관련 용어 | 지성, 이성, 합리주의, 지식, 사고 |
| 참고 | 반지성주의, 지적 겸손 |
2. 역사
소크라테스(기원전 470년경 – 기원전 399년)는 지성주의를 정의하면서 "사람이 옳거나 최선인 것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즉시 옳거나 최선인 것을 행할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덕은 지성의 문제라고 했다.[4] 덕과 지식은 사람이 축적하고 소유하며 이성의 사용에 헌신함으로써 향상시키는 관련 자질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의 도덕적 지성주의 정의는 스토아주의 철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 정의의 결과는 "소크라테스적 역설"이라고 불린다.
현대 철학의 진리와 지식에 대한 개념은 소크라테스의 개념과는 다르며, 현대 포스트 데카르트 지식 개념 및 합리적 지성주의와 동일시될 수 없다.[5]
2. 1. 고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 소피스트들, 그 중에서도 특히 소크라테스는 "덕" 등에 대한 집요한 문답 · 지적 탐구를 통해 지성주의의 효시로 꼽힌다. 플라톤의 대화편 《프로타고라스》 등에 보이는 "'''덕은 지식이다'''", "'''악은 무지에서 비롯된다'''"라는 주장도 소크라테스가 지성주의의 효시로 언급되는 이유이다.[4] 소크라테스는 지성주의가 "사람이 옳거나 최선인 것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즉시 옳거나 최선인 것을 행할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덕은 지성의 문제라고 했다. 왜냐하면 덕과 지식은 사람이 축적하고 소유하며 이성의 사용에 헌신함으로써 향상시키는 관련 자질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의 도덕적 지성주의 정의는 스토아주의 철학의 기초이며, 이 정의의 결과는 "소크라테스적 역설"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의지 박약은 없다"는 것은 사람이 의도적으로 악을 행하거나 의도적으로 악을 행하려 하기 때문이다. 악을 저지르거나 악을 저지르려 하는 사람은 누구나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하며, 덕은 지식이며, 덕은 거의 없지만 모든 덕은 하나라는 것이다.미셸 푸코는 역사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통해 고대 시대(기원전 800년 – 서기 1000년)에 "진리를 아는 것"은 "영적 지식"과 유사하며, 이는 "자신을 돌보는 것"의 원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5]
도덕적인 사람이 되기 위한 노력으로, 자신을 돌보는 것은 진리에 대한 지식이 습득되고 자아에 통합되도록 하기 위한 금욕 훈련을 통해 실현된다. 그러므로 진리를 이해하는 것은 자아를 (보편적인) 진리에 통합하고 진정한 삶을 살도록 하는 "지적 지식"을 소유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러한 윤리적 상태를 달성하려면 끊임없이 자신을 돌봐야 할 뿐만 아니라 진리를 구현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며, 그리하여 수사학 시대의 수사적 장치인 ''파르헤시아'': "솔직하게 말하고 그렇게 말한 것에 대해 용서를 구하는 것"을 쉽게 실천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 도덕적 의무를 실천하여 공익을 위해, 심지어 개인적인 위험을 무릅쓰고 진실을 말해야 한다.[6]
그 외에는, 아리스토텔레스(소요학파)나 스토아 학파 등이 다른 학파와의 대비 속에서 지성주의적인 입장에 있다고 언급된다.
2. 2. 중세
'''중세 신학적 지성주의'''는 지성의 능력이 의지의 능력보다 우선하며 우월하다는(''voluntas intellectum sequitur'') 신적 행위에 대한 교리이다. 지성주의는 지성이 감정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의지주의와 대조된다. "지성주의에 따르면, 의지의 선택은 지성이 선하다고 인식하는 것의 결과이며, 의지 자체는 결정론적이다. 반대로 의지주의는 어떤 대상이 선한지를 의지가 식별하며, 의지 자체는 비결정론적이다."[7] 이러한 철학적 관점과 역사적 맥락에서, 12세기의 스페인 무슬림 박식가 아베로에스(1126–1198),[8] 13세기의 영국의 신학자 로저 베이컨, 이탈리아의 기독교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 독일의 기독교 신학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1260–1327)가 지성주의자로 인정받고 있다.[7][9]중세 기독교신학에서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주지주의로 언급되는 아우구스티누스나 존 던스 스코투스 등과의 대비에서) 주지주의로 언급된다.
2. 3. 근대
근대 철학에서 대륙 합리론 내의 스피노자나 라이프니츠 등은 주지주의로 언급되는 데카르트, 칸트, 셸링, 쇼펜하우어 등과 대비되며 주지주의로 언급된다.3. 관련 사상
지성주의(Intellectualism영어)는 합리주의()・이성주의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이성 그 자체보다는 획득을 목표로 하는 "지식"과 "지성" 쪽에 더 중점을 둔 표현이다. 의지의 작용을 중시하는 주지주의(voluntarism)나, 감정의 작용을 중시하는 주정주의(emotionalism)와 대립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위치를 표현하는 것이며, 거기에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무엇(어떤 사상적 입장에 있는 사람·집단)과 대비되는가"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진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erriam-Webster
http://www.m-w.com/d[...]
2024-09-17
[2]
서적
Some Problems of Philosophy
Longman's, Green and Co.
[3]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2022-05-28
[4]
웹사이트
FOLDOC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No one Errs Willingly: The Meaning of Socratic Intellectualism
https://web.archive.[...]
[6]
서적
Michel Foucault: The Hermeneutics of the Subject
Picador
[7]
웹사이트
Voluntarism
http://www.iep.utm.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8]
서적
The Heritage of the English-speaking Peoples and Their Responsibility: Addresses at the Conference : September 1947, Kenyon College
https://books.google[...]
The College
2023-06-27
[9]
서적
A Companion to Meister Eckhart
BRILL
[10]
문서
プラトンの中期対話篇『国家 (対話篇)|国家』『パイドロス』等に見られる「魂の三分説」が典型。
[11]
백과사전
主意主義とは
https://kotobank.jp/[...]
[12]
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범한
[13]
웹인용
intellectualism
http://www.encyclope[...]
2013-02-04
[14]
웹인용
Encarta
http://encarta.msn.c[...]
2016-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