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 (서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는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서진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여러 차례 관할 구역과 명칭이 변경되었고, 당나라 시기에는 천수군으로 불리다가 다시 진주로 개칭되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진봉로에 속했으며, 금나라, 원나라를 거쳐 명나라 때 공창부에 소속되었다. 청나라 시기에는 직례주로 승격되었으나, 1912년 중화민국에 의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쑤성의 주 - 익주
    익주는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 명칭으로 현재의 쓰촨성 일대를 가리키며, 전한 무제 때 처음 설치된 이후 삼국시대 유비의 촉한 건국 중심지가 되었고, 현대에는 쓰촨성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용도로 사용된다.
  • 간쑤성의 주 - 옹주 (중국)
    옹주는 중국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황하 서쪽 지역을 지칭하며 시대에 따라 관할 지역과 명칭이 변경되었고 주변 국가와의 문화 교류에도 영향을 미쳤다.
진주 (서진)
개요
유형중국의 역사적 행정 구역
존속 기간기원전 272년 ~ 686년
위치중국 북서부
수도기원전 272년 ~ 기원전 221년: 디도
554년 ~ 557년: 상규
언어중국어
종교중국 토속 신앙
역사
설치기원전 272년
폐지686년
이전농서군
이후진주 (감숙)
행정 구역 변천사
기원전 272년 ~ 기원전 221년진나라의 농서군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6년진나라의 농서군
기원전 206년 ~ 기원전 202년한나라의 농서군
기원전 202년 ~ 8년전한의 농서군
8년 ~ 23년신나라의 농서군
25년 ~ 220년후한의 농서군
220년 ~ 265년조위의 농서군
265년 ~ 316년서진의 농서군
385년 ~ 443년후진의 진주
554년 ~ 557년서위의 진주
557년 ~ 581년북주의 진주
581년 ~ 618년수나라의 진주
618년 ~ 686년당나라의 진주

2. 역사

269년(태시 5년), 서진옹주의 롱시군, 난안군, 톈수이군, 랴오양군, 우두군 및 량주의 인핑군, 진청군을 분할하여 진주를 설치하였다.

진주는 중국 감숙성 톈수이 시 일대에 존재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관할 구역과 명칭이 변동되었다.

진주는 중원과 서역을 잇는 요충지에 위치하여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실크로드의 주요 경로에 있어 동서 문화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2. 1. 서진

관중에서 농산(隴山) 오른쪽에 있는 5개 군들을 분리해 진주를 설치했고 본주자사에게 호강교위(護羌校尉)를 맡게 했다. 282년(서진 사마염 태강 3년) 옹주로 통폐합되었다가 286년(서진 사마염 태강 7년) 진주가 복구되었다. 혜제 시기 적도군이 신설되었다. 영가의 난 시기 유요옹주를 점령하자 사실상 버려졌고 이후 전량의 건국자 장궤, 전조의 패권 다툼을 위한 전장이 되었다.[12] 사마염 시기에는 총 6군 24현 32,100호를 관할하고 있었다.

농서군(隴西郡) · 남안군(南安郡) · 천수군(天水郡) · 약양군(略陽郡) · 무도군(武都郡) · 음평군(陰平郡)

2. 2. 남북조 시대

371년 전진이 구지(仇池, 현 시허현 남락곡향)에서 저족을 격파한 뒤 무도군과 음평군 지역에 '''남진주(南秦州)'''를 신설하면서 진주의 관할지가 축소되었다. 남진주 설치 이후 진주는 천수군, 약양군, 한양군의 3개 군을 관할했다.[13]

북위 때 진주는 톈수이군, 한양군, 랴오양군의 3개 군 12개 현을 관할했다.[3]

북주 때 진주는 톈수이군, 한양군, 랴오양군, 칭수이군, 허양군의 5개 군 8개 현을 관할했다.[4]

2. 3. 수나라

개황 초부터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천수군의 이칭이 되었다.

583년(개황 3년)에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진주의 속군은 폐지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진주는 천수군으로 개칭되었고, 그 아래 6현을 관할했다.[5] 수나라 때 행정 구분에 관해서는 아래 표를 참조하라.

수나라 행정 구역 변천
구분개황 원년구분대업 3년
진주천수군
천수군한양군약양군청수군상규현 기성현
성기현 농성현
청수현 진령현
상규현황과현성기현
하양현
청수현
백양현


2. 4. 당나라

619년 (무덕 2년), 당나라가 설거를 평정하자 천수군은 진주로 개칭되었다.[6] 742년 (천보 원년), 진주는 천수군으로 개칭되었다가[6] 758년 (건원 원년) 다시 진주로 불리게 되었다.[6] 진주는 농우도에 속했으며, 상규, 복강, 성기, 농성, 청수의 5개 현을 관할했다.[6]

2. 5. 송나라

진봉로의 중심지였다. 하급부로 군명은 천수군이고 웅무군절도(雄武軍節度)가 민정을 관할했다. 진봉로경략안무사(秦鳳路經略安撫使)가 설치되어 진주, 농주, 계주, 성주, 봉주, 통원군, 범주의 5주 1군을 관할했다가 통원군이 폐지되면서 5주만을 통치하게 되었다. 숭녕연간에는 48,648호 123,022명을 거느렸다. 궁궁이(芎窮)와 자리(席)를 공납으로 바쳤고 4현을 관할했다.[14]

송나라 시기의 진주 관할 현 및 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성기현成紀縣톈수이 시위수보(渭水堡) 등 39개 보
농성현隴城縣톈수이 시 마이지 구 교남일대정융보(靜戎堡) 등 7개 보
청수현淸水縣톈수이 시 칭수이 현궁문보(弓門堡) 등 29개 보
천수현天水縣톈수이 시 친저우 구 천수진
태평감太平監colspan="2" |
복강성伏羌城톈수이 시 간구 현1070년(북송 신종 희녕 3년) 설치, 11개 보
감곡성甘穀城톈수이 시 간구 현 성자촌1068년(북송 신종 희녕 원년) 신설, 3개 보. 1071년(북송 신종 희녕 4년) 2개 보 추가
정서채定西砦톈수이 시 마이지 구 중탄진 일대6개 보
삼양채三陽砦톈수이 시 마이지 위남진 일대14개 보
궁문채弓門砦톈수이 시 장자촨 후이족 자치현 공문진일대7개 보
정융채靜戎砦톈수이 시 친안 현 운산진일대9개 보



북송 시대에 진주는 진봉로에 속했으며, 성기, 롱청, 청수, 천수 4개 현과 태평감, 복강성, 감곡성, 정서, 삼양, 궁문, 정융, 안원, 롱청, 계천 7개 채(寨)와 𢇲양, 야방, 달륭 3개 보(堡)를 관할했다.[7]

2. 6. 금나라

1142년(금 희종 황통 2년)에 방어사가 설치되기 전까지 절도가 민정을 맡았다. 희진로로 분리되었다가 1187년(금 세종 대정 27년) 봉상로에 속하게 되었다. 1223년(금 선종 원광 2년) 방어사에서 절진으로 격상되었다. 진원군(鎭遠軍)은 일시 폐지되었다가 1215년(금 선종 정우 3년) 복구되었다. 40,448호 8현 1성 3채 2진을 관할했다.[15]

금나라 시대 진주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성기의成紀倚톈수이 시용마천(龍馬泉)이 있다.
야방현冶坊縣톈수이 시 칭쉬 현 황문향 왕점촌
감곡현甘穀縣톈수이 시 간구 현 성자촌
청수현淸水縣톈수이 시 칭쉬 현중농산(中隴山), 파총산(嶓塚山), 청수(淸水)가 있다.
계천현雞川縣딩시 시 퉁웨이현 계천진
농성현隴城縣톈수이 시 친안 현 농성현고성대농산(大隴山), 와정산(瓦亭山), 농성채(隴城寨)가 있었다.
서녕현西寧縣바이인 시 후이닝 현 동1216년(금 선종 정우 4년) 10월 서녕주로 승격되었고 감곡현, 계천현, 치평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진안현秦安縣톈수이 시 친안 현복강성, 삼양무채(三陽務寨), 궁문채(弓門寨), 정융진(靜戎鎭), 시양진(褷穰鎭)이 있다.


2. 7. 원나라

1270년(쿠빌라이 칸 지원 7년), 계천현과 농성현을 진안현에 통폐합시키고 야방현을 청수현에 통폐합시켰다. 총 3현을 관할했다.[16]

원나라 시기 진주의 속현
현명한자현급
성기현成紀縣
청수현淸水縣
진안현秦安縣



원나라 때, 진주는 산시등처행중서성에 속했으며, 성기현, 진안현, 청수현의 3개 현을 관할했다.[9]

2. 8. 명나라 이후

명나라 때 진주는 공창부에 속했으며, 진안, 청수, 례 3개 현을 관할했다.[10]

1729년(옹정 7년), 은 진주를 직례주로 승격시켰다. 진주직례주는 감숙성에 속했으며, 진안, 청수, 례, 휘, 양당 5개 현을 관할했다.[11]

1912년, 중화민국은 진주직례주를 폐지했다.

3. 행정 구역 변천

관중에서 농산(隴山) 오른쪽의 5개 군들을 분리해 진주를 설치했고, 본주자사에게 호강교위(護羌校尉)를 맡게 했다. 282년(서진 사마염 태강 3년) 옹주로 통폐합되었다가 286년(서진 사마염 태강 7년) 진주가 복구되었다. 혜제 시기 적도군이 신설되었다. 영가의 난 시기 유요옹주를 점령하자 사실상 버려졌고, 이후 전량의 건국자 장궤, 전조의 패권 다툼을 위한 전장이 되었다.[12] 사마염 시기에는 총 6군 24현 32,100호를 관할하고 있었다.

진주에 속한 군은 농서군(隴西郡), 남안군(南安郡), 천수군(天水郡), 약양군(略陽郡), 무도군(武都郡), 음평군(陰平郡)이었다.

371년 전진이 구지(仇池, 현 시허현 남락곡향)에서 저족을 격파한 뒤 무도군과 음평군 지역에 '''남진주(南秦州)'''를 신설했다. 이에 주의 관할지가 축소되어 천수군, 약양군, 한양군의 3군을 관할했다.[13]

개황 초부터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천수군의 이칭이 되었다.

수(隋) 초에는 진주(秦州)가 4군 6현을 관할했다. 583년(개황 3년)에 수(隋)가 군제를 폐지하자, 진주(秦州)의 속군은 폐지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자, 진주(秦州)는 천수군(天水郡)으로 개칭되었고, 그 아래 6현을 관할했다.[5]

수(隋)대 행정 구역 변천
구분개황(開皇) 원년구분대업(大業) 3년
진주(秦州)천수군(天水郡)
천수군한양군약양군청수군상규현(上邽縣), 기성현(冀城縣), 성기현(成紀縣), 농성현(隴城縣), 청수현, 진령현(秦嶺縣)
상규현(上邽縣)황과현(黃瓜縣)성기현(成紀縣), 하양현(河陽縣)청수현, 백양현(伯陽縣)


3. 1. 송 (960년 ~ 1279년)

진봉로의 중심지였다. 하급부로 군명은 천수군이고 웅무군절도(雄武軍節度)가 민정을 관할했다. 진봉로경략안무사(秦鳳路經略安撫使)가 설치되어 진주, 농주, 계주, 성주, 봉주, 통원군, 범주의 5주 1군을 관할했다가 통원군이 폐지되면서 5주만을 통치하게 되었다. 숭녕연간에는 48,648호 123,022명을 거느렸다. 궁궁이(芎窮)와 자리(席)를 공납으로 바쳤고 4현을 관할했다.[14]

송나라 시기의 진주 현(縣)과 채(砦)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성기현成紀縣톈수이 시위수보(渭水堡) 등 39개 보가 현내에 있었다.
농성현隴城縣톈수이 시 마이지 구 교남일대정융보(靜戎堡) 등 7개 보가 현내에 있었다.
청수현淸水縣톈수이 시 칭수이 현궁문보(弓門堡) 등 29개 보가 현내에 있었다.
천수현天水縣톈수이 시 친저우 구 천수진
태평감太平監colspan="2" |
복강성伏羌城톈수이 시 간구 현1070년(북송 신종 희녕 3년) 설치. 11개 보가 있었다.
감곡성甘穀城톈수이 시 간구 현 성자촌1068년(북송 신종 희녕 원년) 신설. 처음에는 3개 보, 1071년 2개 보 추가.
정서채定西砦톈수이 시 마이지 구 중탄진 일대6개 보 관할.
삼양채三陽砦톈수이 시 마이지 위남진 일대14개 보 관할.
궁문채弓門砦톈수이 시 장자촨 후이족 자치현 공문진일대7개 보 관할.
정융채靜戎砦톈수이 시 친안 현 운산진일대9개 보 관할.



북송 시대에 진주는 진봉로에 속했으며, 성기, 롱청, 청수, 천수 4개 현과 태평감, 복강성, 감곡성, 정서, 삼양, 궁문, 정융, 안원, 롱청, 계천 7개 채(寨)와 𢇲양, 야방, 달륭 3개 보(堡)를 관할했다.[7]

3. 2. 금 (1115년 ~ 1234년)

1142년(금 희종 황통 2년)에 방어사가 설치되기까지 절도가 민정을 맡았다. 1142년 희진로로 분리되었다가 1187년(금 세종 대정 27년) 봉상로에 속하게 되었다. 1223년(금 선종 원광 2년) 방어사에서 절진으로 격상되었다. 진원군(鎭遠軍)이 일시 폐지되었다가 1215년(금 선종 정우 3년) 복구되었다. 40,448호 8현 1성 3채 2진을 관할했다.[1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성기의成紀倚톈수이 시용마천(龍馬泉)이 있다.
야방현冶坊縣톈수이 시 칭쉬 현 황문향 왕점촌
감곡현甘穀縣톈수이 시 간구 현 성자촌
청수현淸水縣톈수이 시 칭쉬 현중농산(中隴山), 파총산(嶓塚山), 청수(淸水)가 있다.
계천현雞川縣딩시 시 퉁웨이현 계천진
농성현隴城縣톈수이 시 친안 현 농성현고성대농산(大隴山), 와정산(瓦亭山), 농성채(隴城寨)가 있었다.
서녕현西寧縣바이인 시 후이닝 현 동1216년(금 선종 정우 4년) 10월 서녕주로 승격되었고 감곡현, 계천현, 치평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진안현秦安縣톈수이 시 친안 현복강성, 삼양무채(三陽務寨), 궁문채(弓門寨), 정융진(靜戎鎭), 시양진(褷穰鎭)이 있다.



금 시대에는 진주가 봉상로에 속했으며, 성기, 롱청, 진안, 감곡, 야방, 청수, 계천, 서녕 8개 현과 복강성, 롱청, 삼양, 궁문 3개 채와 정융, 𢇲양 2개 진(鎭)을 관할했다.[8]

3. 3. 원 (1271년 ~ 1368년)

1270년(쿠빌라이 칸 지원 7년), 계천현과 농성현을 진안현에 통폐합시키고 야방현을 청수현에 통폐합시켰다. 총 3개 현을 관할했다.[16]

현명한자현급
성기현成紀縣
청수현淸水縣
진안현秦安縣



원나라 때 진주는 산시등처행중서성에 속했으며, 성기현, 진안현, 청수현의 3개 현을 관할했다.[9]

참조

[1] 서적 A Portrait of Five Dynasties China: From the Memoirs of Wang Renyu (880–956)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13-12-14
[2] 서적 晋書 武帝紀
[3] 서적 魏書 地形志二下
[4] 서적 北周地理志 中華書局
[5] 서적 隋書 地理志上
[6] 서적 旧唐書 地理志三
[7] 서적 宋史 地理志三
[8] 서적 金史 地理志下
[9] 서적 元史 地理志三
[10] 서적 明史 地理志三
[11] 서적 清史稿 地理志十一
[12] 서적 《진서》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진주 https://zh.wikisourc[...]
[13] 서적 《위서》106권 下 지 제7 지형지 2 下 진주 https://zh.wikisourc[...]
[14] 서적 《송사》 권86 지리지 3 진봉로진주 https://zh.wikisourc[...]
[15] 서적 《금사》 권26 지리지 3 봉상로 진주 https://zh.wikisourc[...]
[16] 서적 《원사》 권60 지 제 12 지리지 3 진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