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고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고래는 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북대서양참고래, 남극참고래, 북태평양참고래 3종으로 분류된다. 몸길이는 최대 26.8m까지 자라며, 검은색 또는 회색 등과 흰색 배를 가지고 있다. 참고래는 수염을 이용해 먹이를 걸러 먹으며, 작은 물고기, 오징어, 크릴 등을 섭취한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포경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했으며, 현재는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선박과의 충돌, 어구 걸림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한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개체 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왕고래속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대왕고래속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수염고래로, 큰 가슴지느러미와 등에 있는 혹으로 구별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회유하는 동물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회복 중이지만, 일부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EDGE 종 - 오랑우탄
    오랑우탄은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유인원으로,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타파눌리섬에 서식하는 세 종이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EDGE 종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참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남방긴수염고래가 뛰어오르는 모습
남방긴수염고래가 뛰어오르는 모습
평균적인 사람과 크기 비교
평균적인 사람과 크기 비교
학명Eubalaena
학명 명명자그레이, 1864
모식종Balaena australis
모식종 명명자데물랭, 1822
몸길이13~17 m
몸무게100 미국톤 (91 톤)
긴수염고래속 분포 지도
긴수염고래속 분포 지도: E. glacialis(녹색), E. australis(주황색), E. japonica(파란색)
분류
E. australis - 남방 (데물랭, 1822)
†E. ianitrix (비스콘티, 램버트, 보셀라에르, 2017)
E. glacialis - 북대서양 (뮐러, 1776)
E. japonica - 북태평양 (라세페드, 1818)
†E. shinshuensis (기무라 & 나리타, 2007)
이명
학문적 분류
진핵생물
동물계
아계진정후생동물아계
상문후구동물상문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상강사지상강
포유강
아강수아강
하강진수하강
상목로라시아상목
우제목
아목경하마형아목
하목고래하목
소목수염고래소목
세미고래과

2. 분류

참고래와 다른 동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


참고래는 오랫동안 분류학자들에게 알려져 왔다. 1675년 프레드릭 마텐즈가 처음 묘사했고, 1725년에 폴 더들리가 다시 설명했는데, 이들의 묘사는 린네가 1758년에 묘사한 것에 기초를 했다.[95]

참고래는 수염고래과에 속하며, 이 과에는 혹등고래, 대왕고래, 쇠정어리고래, 보리고래 같은 대형 고래가 포함된다. 수염고래과수염고래소목에서 분화하여 중신세에 갈라진 것으로 여겨진다.[96] 하지만 정확히 언제 갈라졌는지는 알 수 없다. 대왕고래와의 잡종이 북대서양에서 드물게 확인되었고,[97]태평양에서도 발견되었다.[98]

2006년에는 외형과 노래가 구분되는 아종이 발견되었다. 북대서양에서 '''북방참고래'''(''B. p. physalus'' (Linnaeus 1758))가, 남극 지방에서 '''남극참고래'''(B. p. quoyi (Fischer 1829))가 발견되었다.[99] 많은 전문가들은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참고래를 이름 붙여지지 않은 세 번째 아종으로 여기고 있다.[93] 이들 세 그룹은 전 세계적으로 거의 섞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2014년 한국에서 최초로 참고래 게놈이 해독되어 공개되었다.[8] 같은 해, 한국에서 밍크고래의 표준게놈이 해독되었는데, 참고래의 게놈 다양성이 타 고래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왕고래와의 교잡 때문에 생긴 것으로 추정되며, 참고래가 오랫동안 자주 교잡해왔음을 의미한다.

3. 외관

참고래는 몸통이 길고 날씬하여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암컷과 수컷의 평균 몸길이는 각각 19~20m이다. 북반구에 분포하는 아종은 최대 24m, 남극 지방의 아종은 최대 26.8m까지 자랄 수 있다.[89] 갓 태어난 참고래의 몸길이는 6.5m 정도이며, 몸무게는 1800kg 정도이다.[101]

등 부분은 밤회색이며, 배 쪽은 하얗다. 튀어나온 두 쌍의 숨구멍이 있으며, 납작하고 넓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숨구멍 뒤에서 시작해 몸의 측면으로 따라가 꼬리로 이어지는 밝은 색 문양이 두 개 있다.[89] 오른쪽 턱에는 하얀색 무늬가 있으며, 왼쪽은 회색 또는 검은색이다.[101] 이러한 비대칭성은 다른 고래들과 구분되는 특징이다.[102]

턱에서 몸 밑 중앙부까지 56~100개의 주름이 있는데, 이는 먹이를 잡을 때 목을 팽창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등지느러미의 길이는 60cm 정도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작고, 꼬리는 넓고 V자 모양이며 끝은 뾰족하다.[89]

4. 행동

참고래는 시속 최대 37km까지 속력을 낼 수 있는 가장 빠른 고래 중 하나로, "바다의 그레이하운드"라고도 불린다.[101][104] 수염고래과의 다른 종들보다 무리 지어 생활하는 경향이 있으며, 보통 6~10마리가 한 그룹을 이루지만, 먹이가 풍부한 지역에서는 100마리까지 모이기도 한다.[100]

위에서 내려다본 참고래


참고래는 수염을 이용해 먹이를 걸러 먹으며, 작은 물고기, 오징어, 크릴, 갑각류 등을 먹는다.[101] 먹이를 먹을 때는 시속 11km 정도로 빠르게 헤엄치면서 턱을 크게 벌려 약 70 세제곱미터의 바닷물을 들이마신다.[103] 그런 다음 수염을 통해 물을 뱉어내고 입 안에 남은 먹이를 삼킨다. 성체 참고래의 입 양쪽에는 262~473개의 수염판이 있으며, 각 판은 케라틴으로 이루어져 있고 부드러운 털 같은 수염이 달려 있다. 각 판의 길이는 76cm, 너비는 30cm 정도이다.[89]

참고래는 종종 200m 이상 잠수하여 크릴 떼를 먹는데, 한 번에 약 10kg의 크릴을 섭취할 수 있다.[103] 하루에 최대 1,800kg의 먹이를 먹으며,[89] 하루 중 약 3시간을 먹이 섭취에 사용한다. 먹이가 부족하거나 너무 깊은 곳에 있으면 다른 먹이를 찾아 이동한다.[103] 돌고래처럼 고래가 빠른 속도로 물고기 떼를 몰아 먹는 모습도 관찰되었다.[89]

참고래의 잠수 깊이는 최대 250m이며, 잠수 시간은 10~15분이다.[101] 물 위로 올라올 때는 여러 번 숨을 쉬며, 1분 30초 동안 수면에 머무른다. 꼬리는 항상 물속에 잠겨 있으며, 때로는 다른 고래처럼 몸 전체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는 점프를 하기도 한다.[101]

4. 1. 생애

짝짓기는 겨울에 저위도, 온대 지방에서 일어나며, 임신 기간은 11개월에서 1년 정도이다. 새끼는 출생한 지 6개월에서 7개월 후에 젖을 떼며, 이때의 몸길이는 11m~12m가 된다. 그 뒤에도 새끼는 먹이를 찾아 어미를 따라다닌다. 암컷은 2~3년에 한 번씩 번식하며, 보통 한 마리씩 낳지만, 6마리까지 낳는 경우도 있다. 암컷은 3~12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한다.[101]

번식기 동안 북대서양에서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참고래는 20마리나 되는 수컷이 암컷 한 마리와 함께하는 "수면 활동 그룹"으로 모인다. 암컷은 배를 수면에 대고 수컷은 지느러미로 암컷을 쓰다듬거나 물속에 가두어 둔다. 수컷들은 수컷 혹등고래만큼 서로 공격적으로 경쟁하지 않는다. 암컷은 임신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잠재적인 배우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16] 북대서양 참고래의 첫 출산 평균 연령은 7.5[48]세에서 9[47]세 사이로 추정된다. 암컷은 3~5년에 한 번씩 번식하며,[48][49]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출산 간격은 3년이며 여러 요인에 따라 2년에서 최대 21년까지 다양할 수 있다.[50][51]

번식과 출산 모두 겨울에 이루어진다.[52] 새끼는 출생 시 약 약 907.18kg의 무게와 4m~6m의 길이를 가지며 임신 기간은 1년이다. 참고래는 생후 1년 동안 급격하게 성장하여 일반적으로 길이가 두 배로 늘어난다. 이유 시기는 생후 8개월에서 1년이며 이후의 성장률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새끼가 2년 동안 어미와 함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16]

동일한 지역의 각 집회 지역은 고래의 다른 목적을 위해 기능할 수 있다.[53]

어미와 새끼를 둔 북대서양 참고래

4. 2. 노래

수컷 참고래는 길고 크고 진동수가 낮은 소리를 내는 것이 목격되었다.[101] 대왕고래와 참고래의 노래는 다른 동물의 것보다도 훨씬 낮은 편에 속한다.[105] 소리의 주파수는 16~40Hz 정도로, 인간의 가청 수준 이하이거나 그보다 조금 높다. 각 소리는 1~2초 정도 지속되며, 의사 표현을 위한 소리의 독특한 조합은 7~15분 동안 지속된다. 이 소리는 며칠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106] 조합의 음향 크기는 주변 1미터 반경을 기준으로 184~186dB이며,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107]

미국의 생물학자들이 참고래의 노래를 처음 녹음했을 때는 그 소리가 고래가 내는 소리라는 사실을 몰랐다. 처음에는 장비 오작동, 지질 활동, 심지어는 소련의 잠수함 탐지술 때문에 발생한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결국 생물학자들은 그것이 참고래의 노래라는 사실을 밝혀냈다.[105]

번식기에 주로 발생하고 수컷만이 노래를 부른다는 사실 때문에 노래가 구애의 수단이라는 추측이 있다.[108][109] 최근 100년 동안 선박 통행 증가와 해군 증강으로 소음 공해가 발생하여, 수컷이 암컷에게 전하는 구애 신호를 방해함으로써 고래 개체 수 회복 속도가 느려졌을 수 있다는 추론도 있다.[110]

5. 서식처와 이동 경로

다른 수염고래과 종들처럼 참고래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모든 대양에서 발견되며, 분포 지역은 극지방에서 열대 지방까지로 넓은 편이다. 얼음판이 덮고 있는 극 지역, 홍해, 아라비아해, 지중해 동쪽, 발트해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온대 지방과 한대 지방의 바다에 개체 밀도가 높으며, 얕은 곳보다는 대륙붕보다 깊은 곳을 선호한다.[93]

북대서양참고래의 분포 범위는 멕시코만에서 지중해, 북쪽으로는 북극해 근처까지 넓게 퍼져 있다. 보통 위도 30도 이상의 지역에서 더 많이 분포하지만, 이남 지역에서는 다른 고래와 혼동되기도 한다.[111]태평양에 분포하는 아종은 여름에 캘리포니아에서 일본까지, 북으로는 북극해까지 퍼져 있다.[113]

참고래는 이주하는 습성이 있지만, 고위도 지방에서 사라지고 나타나는 등 전반적인 이동 경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북대서양 아종은 가을뉴펀들랜드 지역에서 남쪽으로 버뮤다와 서인도제도로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17] 태평양 아종의 이동 패턴은 파악하기 어렵다. 캘리포니아만에 항상 머물지만, 겨울과 봄에는 개체 수가 급증한다.[118] 남극 지방 아종은 여름에 고위도 지방에 거주하다가 겨울에 저위도 지방으로 이동하여 번식한다. 이들이 겨울을 어디에서 보내는지는 주로 원양에 거주하여 연구가 어렵기 때문에 알려져 있지 않다.[93]

한국에서도 생물연구가들에 의해 참고래가 오호츠크해 - 동해 - 태평양을 경유하는 이동 경로가 있었지만, 과거 관련 국가들의 무분별한 고래 포획으로 인해 경로가 사라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얼마 남지 않은 생존 개체들마저 인간의 무분별하고 끊임없는 고래 포획으로 인해 안전한 경로를 변경하고 서식지를 이동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참고래나 대왕고래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어렵게 만드는 복잡한 의도의 방지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119][120][121][122] 대부분의 학자들은 남반구에만 20~30만 마리가 서식했었으나 현재는 몇백 마리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어, 끔찍했던 고래 포획 역사의 실태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6. 개체 수와 현재 상황

참고래의 회유 패턴은 이해하기 어렵고, 개체 수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개체 수 측정이 어렵다. 오랫동안 지속된 포경업은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며, 개체 수 회복률 측정에 어려움을 준다.[112]

국제 포경 위원회는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아종을 7가지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동 경로 조사 결과, 일부 개체는 그룹 경계를 넘어 이동하여 그룹들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112]

1995년 시구르욘손(J. Sigurjónsson)은 상업 포경 개시 이전 북대서양 아종 개체 수를 5만~10만 마리로 추산했지만, 연구 자료와 설명 부족으로 비판받았다.[123][93] 1977년 서전트(D.E. Sergeant)는 3만~5만 마리로 추정했다.[124] 이 중 약 8,000~9,000 마리는 뉴펀들랜드와 노바스코샤에 서식하며, 여름에 남쪽으로 회유하는 개체는 포함되지 않았다.[84][125]

1964년 노바스코샤에서 포경 가능한 개체 수는 1,500~1,600마리로 추정되었으나, 1973년에는 325마리로 급감했다.[126] 1970년대 캐나다 상공 항공 조사에 따르면, 동부 뉴펀들랜드에는 79~926마리,[127] 세인트로렌스만에는 수백 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28]

여름철 서부 그린란드 참고래 개체 수는 500~2,000마리로 추산되며,[129] 1974년 욘가드(Jonsgard)는 노르웨이 서부와 페로 제도 참고래 개체 수가 남획으로 상당히 고갈되었다고 언급했다.[130] 아이슬란드 부근은 비교적 상황이 나아, 1981년에는 1960년대보다 약간 감소했을 뿐이다.[131] 1987~1989년 추정에 따르면, 그린란드 동부와 노르웨이에는 10,000~11,000마리가 있어, 1976년 추정치(6,900마리)보다 상당히 증가했다.[132][133] 여름철 영국령 제도-스페인-포르투갈 개체 어림치는 7,500마리,[134] 또는 17,000마리 이상으로 추정된다.[135] 북대서양 전체 개체 수 측정치는 40,000마리[136]에서 56,000마리[97]까지 다양하다.

참고래의 외골격


포경 전 북태평양에는 42,000~45,000마리(동부 25,000~27,000마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137] 1975년에는 8,000~16,000마리로 급감했다.[138][139] 1991~2001년 조사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는 1,600~3,200마리, 오리건에는 280~320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40] 〈2005년 미 태평양 해양포유류 개체 수 평가〉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오리건주-워싱턴주 참고래 개체 수는 최소 2,500마리이다.[141] 프리빌로프 제도 조사에서는 1975~1978년과 1987~1989년에 지역 개체 수가 급증했다.[142] 1984년, 북태평양 개체 수는 포경 전의 38% 미만으로 추정되었다.[143]

남극 지방의 포경 전/현재 개체 수는 알려진 바가 적다. 국제 포경 위원회 공식 추산은 남반구 포경 전 개체 수 40만 마리, 1979년 85,200마리이다.[144] 그러나 이는 부적절한 측정법과 조작된 자료로 인해 정확하지 않다.[93] 다른 통계에 따르면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 개체 수는 5,000마리를 넘지 않거나, 2,000~3,000마리일 수 있다.[101] 과학적으로 입증될 만한 추정치나 경향은 아직 없다.[93]

1998년 국제포경위원회는 참고래의 마지막 주요 개체군 검토를 실시했다. 연구자들은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에서 각각 한 번씩, 총 세 번의 조사에서 얻은 성체 암컷 개체군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사되지 않은 지역을 포함하도록 외삽하고, 수컷과 새끼의 추정 개체수를 계산(이용 가능한 수컷:암컷 및 성체:새끼 비율 사용)하여 1997년 개체수를 약 7,500마리로 추정했다. 2007년의 더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해당 조사 지역에서 강한 회복의 증거가 나타났으며, 개체수는 10년 전보다 거의 두 배에 달한다. 그러나 다른 번식 개체군은 여전히 매우 작으며, 이들 또한 회복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에는 데이터가 부족하다.[42]

참고래는 여름철을 남극해에서 먹이를 먹으며 보낸다. 아마도 남극 근처일 것이다.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북쪽으로 이동하며,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칠레, 모잠비크,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우루과이 해안에서 관찰할 수 있다.[43]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및 오스트랄라시아 그룹은 어미가 먹이 공급 및 출산 지역에 대한 강한 충성도를 보이기 때문에 서로 거의 섞이지 않거나 전혀 섞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어미는 이러한 본능을 새끼에게 전달한다.[16]

7. 인간과의 관계

19세기 초, 당시 원시적인 포경 기술과 참고래의 특성 덕분에 참고래는 다른 고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했다. 참고래는 도망을 잘 치고, 죽더라도 빨리 가라앉아 포획하기 어려웠다.[145] 그러나 19세기 중반 증기선과 효과적인 포경포의 등장은 대왕고래, 보리고래와 같은 대형 고래 포획을 쉽게 만들었고, 이는 참고래에게 수난의 시작을 알렸다. 남획으로 인해 다른 고래의 수가 줄어들자, 포경업자들은 비교적 수가 많았던 참고래를 목표로 삼았다.[145]

참고래는 주로 지방질, 고래기름, 고래수염을 얻기 위해 포획되었다. 1904년부터 1975년까지 남극 지방에서만 약 70만 4천 마리가 포획되었다.[146] 1925년, 포경선에 경사로가 설치되면서 연간 포획량은 더욱 증가했다. 1937년 한 해에만 28,000마리 이상이 포획되었고, 1953년부터 1961년까지 연평균 포획량은 25,000마리에 달했다. 1962년부터 참고래 개체 수가 감소하자 포경업자들은 다른 종으로 관심을 돌렸고, 1974년에는 연간 포획량이 1,000마리로 줄었다.[146]

국제 포경 위원회(IWC)는 1976년 남반구에서 참고래 포획을 금지했다.[146] 북태평양에서는 1947년부터 1987년까지 약 46,000마리가 상업적으로 포획되었으며,[147] 소련의 불법 포경을 고려하면 실제 포획량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148] 북태평양에서는 1976년, 북대서양에서는 1987년에 국제 포경 위원회의 보호 조치가 시행되었다.[101] 그러나 원주민의 소규모 포경과 연구 목적의 포획은 허용되었다.[101]

현재 국제 포경 위원회 지침에 따라 북반구에서 참고래 포경이 허용되는 곳은 그린란드뿐이다. 그린란드에서는 연간 19마리까지 포획이 허용되며, 고기와 제품은 그린란드 내에서만 판매된다. 아이슬란드노르웨이는 국제 포경 위원회 지침에 반대하여 따르지 않고 있다.[93] 일본은 자체 계획에 따라 남반구에서 2005~2006년과 2006~2007년에 연간 10마리를 포획했으며,[153] 2007~2008년에는 연간 50마리로 포획량을 늘릴 계획이었으나,[93] 2008년 4월까지는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154]

전 세계 모든 참고래 개체는 국제 자연보호 연맹(IUCN), CITES 등에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101][149][150][151]

고래 관광을 위해 파타고니아 발데스 반도 근처에서 접근하는 남방긴수염고래


남방긴수염고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허머너스를 세계적인 고래 관광 중심지 중 하나로 만들었다. 겨울철(7월~10월)에는 남방긴수염고래가 해안 가까이 접근하여 호텔에서도 관찰이 가능하다.[59] 이 마을에는 고래 목격 장소를 알리는 "고래 알림이"가 있을 정도다.[60] 브라질 산타카타리나주 임비투바는 국립 긴수염고래 수도로 인정받아 매년 9월에 긴수염고래 주간 행사를 개최하며, 이곳의 옛 포경 기지는 고래 박물관으로 개조되었다.[61][62]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발데스 반도는 이 종의 가장 큰 번식 집단을 수용하며, 2,000마리 이상의 개체가 목록화되어 있다.[63]

7. 1. 선박 충돌 및 어구 걸림

선박과의 충돌은 참고래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대륙붕 근처에서 빠르고 큰 배와 충돌할 때 고래는 가장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된다.[155] 미국과 캐나다 동부 해안을 따라 이동하며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해운 항로를 통과하는 북대서양 참고래의 경우, 1970년부터 1999년 사이에 최소 16건의 선박 충돌 사망이 보고되었으며, 보고되지 않은 사례도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16]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1970년 이후 보고된 71건의 참고래 사망 중 25건이 선박 충돌로 인해 발생했다.[75]

죽은 고래 사진, 수면 위에 떠 있음
선박 프로펠러와 충돌한 후의 북대서양 참고래 잔해


해양 쓰레기인 플라스틱 어구에 걸리는 것 또한 참고래의 주요 질병 및 사망 원인이다. 참고래는 입을 크게 벌려 플랑크톤을 섭취하는데, 수중에 고정된 로프나 그물에 걸릴 위험이 있다. 로프는 윗턱, 지느러미, 꼬리에 감기게 된다. 어떤 고래는 탈출할 수 있지만, 다른 고래는 얽힌 채로 남게 된다.[76]

1997년 7월, 미국 NOAA는 대서양 대형 고래 감소 계획을 도입하여 어구에 고래가 걸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개체 수와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대형 고래 관찰 기록을 수집하고 있다.[77]

참조

[1] MSW3 Cetacea
[2] 웹사이트 Fossilworks https://paleobiodb.o[...]
[3] 간행물 Revision of 'Balaena' belgica reveals a new right whale species, the possible ancestry of the northern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 and the ages of divergence for the living right whale species 2017-06-27
[4] iucn "''Eubalaena glacialis''" 2020
[5] iucn "''Eubalaena japonica''" 2018
[6] 간행물 A new species of Eubalaena (Cetacea: Mysticeti: Balaenidae) from the Gonda Formation (latest Miocene-early Pliocene) of Japan
[7] 웹사이트 "''Eubalaena'' Gray, 1864" http://www.marinespe[...] World Cetacea Database 2012
[8] 웹사이트 "North Atlantic right whale | Basic Facts About Right Whales | Defenders of Wildlife" http://www.defenders[...] Defenders.org
[9] 서적 Leviathan: The History of Whaling in America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
[10]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2009
[11] 간행물 Observations of the orbital region of the skull of the Mystacoceti http://www.repositor[...]
[12]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Society of Marine Mammalogy
[13] 간행물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diversity within and between North and South Atlantic right whales
[14] 간행물 Conservation status of North Pacific right whales 2020-10-22
[15] 웹사이트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http://www.marinemam[...]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012-04-03
[16] encyclopedia North Atlantic, North Pacific, and Southern right whal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9-02-26
[17] 간행물 World-wide genetic differentiation of ''Eubalaena'': Questioning the number of right whale species
[18] 간행물 Population histories of right whales (Cetacea: ''Eubalaen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sequence diversities and divergences of their whale lice (Amphipoda: ''Cyamus'')
[19] 웹사이트 Mysticeti http://palaeo.gly.br[...] University of Bristol
[20] 뉴스 'Whale riders' reveal evolution http://news.bbc.co.u[...] 2005-09-20
[21] 서적 Taxonomy of Australian Mammals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22] 간행물 The pygmy right whale ''Caperea marginata'': The last of the cetotheres
[23] 보도자료 Prehistoric Whale Discovered On The West Coast Of Sweden https://www.scienced[...] University of Gothenburg 2009-06-08
[24] 웹사이트 "''Hunterius swedenborgii'' (Lilljeborg, 1867)" http://www.marinespe[...]
[25] 뉴스 Whale bones found in highway were not from mystery whale http://sciencenordic[...] 2013-02-07
[26] 서적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2010-07-01
[27] 웹사이트 A Surprising Tool for Saving the Whales: Facial Recognition Software http://fortune.com/2[...] 2016-01-19
[28] 간행물 Past biodiversity: Historical Japanese illustrations document the distribution of whales and their epibiotic barnacles 2014-10
[29] 간행물 Morphological specializations of baleen whales associated with hydrodynamic performance and ecological niche 2006-11
[30] 간행물 Body weights of some species of large whales
[31] 문서 Images: Doing the Right Thing for the Right Whale http://www.whoi.edu/[...]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2014-11-05
[32] 서적 Wild mammals of North America: biolog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Eubalaena glacialis: North Atlantic right whale: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34] 간행물 Potential for sperm competition in baleen whales
[35] 간행물 On the Native Status of the Southern Right Whale Eubalaena australis in Peru https://boletinmnhn.[...] 2009-12-26
[36] 웹사이트 Whither the North Atlantic Right Whale?: Scientists explore many facets of whales' lives to help species on the edge of extinction http://www.whoi.edu/[...]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2012-08-10
[37] 간행물 A winter cetacean survey off Southern Morocco, with a special emphasis on suitable habitats for wintering right whales
[38] 간행물 Sighting of a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with Calf off SW Portugal 1997-01
[39] 간행물 TWO‑WAY TRANS‑ATLANTIC Migration of a North Atlantic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2004-01
[40] 뉴스 Smallest whale population identified https://www.nbcnews.[...] NBC News 2010-06-30
[41] 웹사이트 North Pacific Right Whale http://seagrant.uaf.[...] Alaska Sea Grant Marine Education 2012-08-09
[42] 간행물 "''Eubalaena australis''" 2021-11-12
[43] 웹사이트 Southern right whales of Patagonia http://www.wdcs.org/[...] Whale and Dolphin Conservation Society 2012-08-07
[44] encyclopedia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E. japonica, and E. australi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2-05-20
[45] 뉴스 Whales drawn to emergency sirens http://news.bbc.co.u[...] BBC News 2003-12-03
[46] 간행물 Nuclear markers confirm taxonomic status and relationships among highly endangered and closely related right whale species 2005-03-07
[47] 간행물 Age structure and longevity in North Atlantic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and their relation to reproduction
[48] 간행물 Reproduction in North Atlantic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49] 간행물 Population size, trends and reproductive parameters of right whales (''Eubalaena australis'') off Peninsula Valdez, Argentina
[50] 간행물 Global climate drives southern right whale ( Eubalaena australis ) population dynamics 2006-06-22
[51] 웹사이트 Southern right whales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http://oceanadventur[...] The Ocean Blue 2016-08-16
[52] 간행물 Seasonality of reproduction and the length of gestation in southern right whales ''Eubalaena australis''
[53] 간행물 Long term behavioral studies of the southern right whale (Eubalaena australis) http://www.icb.org.a[...] 2016-08-16
[54] 웹사이트 Southern Right Whales http://whaledolphint[...] New Zealand Whale and Dolphin Trust 2016-08-16
[55] 서적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Mammals Smithsonian Press
[56] 간행물 Preliminary estimates of whaling-induced mortality in the 19th century Pacific northern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fishery, adjusting for struck-but-lost whales and non-American whaling
[57] 서적 The History of Modern Whal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8] 서적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A. A. Knopf
[59] 웹사이트 Whale Watching in Hermanus at the Windsor Hotel http://www.windsorho[...] Windsor Hotel website 2012-08-10
[60] 웹사이트 Hermanus Whale Crier http://www.sa-venues[...] SA Venues.com 2012-08-07
[61] 웹사이트 News From Brazil http://csiwhalesaliv[...] Cetacean Society International 2012-08-10
[62] 웹사이트 Whale Watching in Santa Catarina, Brazil: Fascinating Encounters With Southern Right Whales http://gobrazil.abou[...] About.com Brazil Travel 2012-08-10
[63] 웹사이트 Ocean Alliance website http://www.oceanalli[...] Oceanalliance.org 2012-05-10
[64] 웹사이트 North Atlantic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http://www.nmfs.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12-09-04
[65] 웹사이트 North Pacific Right Whales (Eubalaena japonica) http://www.nmfs.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12-09-04
[66] 웹사이트 Southern Right Whales (Eubalaena australis) http://www.nmfs.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12-09-04
[67] 뉴스 Right whales need extra protec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5-02
[68] 간행물 NMFS and Coast Guard Inactions Bring Litigation http://www.narwc.org[...] 2006-05-02
[69] 웹사이트 Área de Proteção Ambiental http://www.baleiafra[...] Projeto Baleia Franca 2012-09-04
[70] 문서 Proposed Strategy to Reduce Ship Strikes to North Atlantic Right Whales. http://www.nmfs.noaa[...] NOAA
[71] 보고서 North Atlantic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Vessel Speed Rule Assessment https://media.fis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0-06
[72] 웹사이트 Speeding Toward Extinction: Vessel Strikes Threaten North Atlantic Right Whales https://usa.oceana.o[...] 2022-05-04
[73] 문서
[74] 웹사이트 Vessel collisions with whales: the probability of lethal injury based on vessel speed http://www.phys.ocea[...] Mar. Mam. Sci 2008-05-10
[75] 웹사이트 Press Release on Effective Date of Speed Regulations http://www.nmfs.noaa[...] NOAA 2008-12-21
[76] 보도자료 Whales Entangled In Fishing Lines: What Can Be Done? https://www.scienced[...] Whale and Dolphin Conservation Society 2007-04-30
[77] 웹사이트 Atlantic Large Whale Take Reduction Plan http://www.nero.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6-05-02
[78] 웹사이트 Whale Defenders Lose Navy Training Challenge http://www.courthous[...] Courthouse News Service 2012-09-20
[79] 웹사이트 Right Whales Wronged: Judge allows Navy to expand sonar use in Florida calving area https://www.nrdc.org[...]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2012-10-09
[80] 뉴스 Poor calving season for right whales http://savannahnow.c[...]
[81]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82] 논문 Revision of “Balaena” belgica reveals a new right whale species, the possible ancestry of the northern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and the ages of divergence for the living right whale species https://doi.org/10.7[...] 2017
[83] 논문 A new species of Eubalaena (Cetacea: Mysticeti: Balaenidae) from the Gonda Formation (latest Miocene-early Pliocene) of Japan
[84] 저널인용 Cetacean Update of the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cmsdata.iucn.[...] 2008-08-21
[85] 웹인용 Mammals http://ecos.fws.gov/[...]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01-01
[86]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87] 문서
[88] 서적 ナガスクジラ 講談社
[89] 웹인용 "''Balaenoptera physalus'' Fin Whale" http://marinebio.org[...] MarineBio.org 2006-10-23
[90] 저널인용 Southern blue and fin whales
[91] 저널인용 The southern stocks of whalebone whales
[92] 저널인용 Body weights of some species of large whales
[93] 서적인용 Draft recovery plan for the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http://www.nmfs.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94] 웹인용 Revised Management Scheme http://www.iwcoffic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06-11-07
[95] 서적인용 http://dz1.gdz-cms.d[...]
[96] 서적인용
[97] 저널인용 http://www.blackwell[...]
[98] 저널인용
[99] 문서
[100] 서적인용
[101] 웹인용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06-10-22
[102] 저널인용
[103] 웹인용 http://www.publicaff[...]
[104] 웹인용 http://www.nature.ca[...]
[105] 서적인용 1995
[106] 웹인용 참고래 http://www.birds.cor[...] Bioacoustics Research Program, Cornell Lab of Ornithology 2006-10-26
[107] 서적 Marine Mammals and Noise Academic Press
[108] 저널 수컷 참고래만이 큰소리의 노래를 부른다. http://polymer.bu.ed[...]
[109] 저널 참고래(Balaenoptera physalus)의 20HZ 신호 http://scitation.aip[...]
[110] 웹인용 Humanity's din in the oceans could be blocking whales' courtship songs and population recovery http://www.news.corn[...] 코넬 대학교 2002-06-19
[111] 저널 Records of Sei and Bryde's whales from the Atlantic Coast of the United States, the Gulf of Mexico, and the Caribbean
[112] 서적 고래 문제: 상황보고 하버드대학 출판
[113] 서적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하버드 대학 출판
[114] 저널 Whaling in the Bay of Fundy
[115] 저널 Fin whale sighting north of Kaua'i, Hawai'i
[116] 저널 A long term study of low frequency sound from several species of whales off Oahu, Hawaii
[117] 저널 Application of US Navy underwater hydrophone arrays for scientific research on whales
[118] 저널 Abundance, season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composition of balaenopterid whales in the Canal de Ballenas, Gulf of California, Mexico
[119] 웹사이트 북극지식센터-남·북극의 고래: 해양환경에 완벽하게 진화한 바다의 왕 http://www.arctic.or[...]
[120] 서적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하버드 대학 출판
[121] 뉴스 41년만에 나타난 '고래' 사라졌다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122] 웹사이트 제주 해상서 아파트 6층 높이 초대형 고래 죽은채 발견 http://www.jejusori.[...] 제주의 소리
[123] 서적 Whales, Seals, Fish and Man Elsevier Science
[124] 저널 북대서양의 고래(''Balaenoptera physalus'')의 개체 수
[125] 저널 A note on baleen whale stocks of the north west Atlantic
[126] 저널 Population dymanics and analyses of the fisheries for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in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Ph.D.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310 pp.
[127] 저널 Aerial line-transect estimates of abundance of humpback, fin, and long-finned pilot whales in the Newfoundland-Labrador area
[128] 저널 Aerial surveys of cetaceans in the Gulf of St. Lawrence in 1995 and 1996 http://rparticle.web[...]
[129] 저널 Abundance of minke and fin whales off West Greenland
[130] 서적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Harvard University Press
[131] 저널 A note on the catch per unit effort in the Icelandic fin whale fishery
[132] 저널 아이슬란드와 페로제도에서 측정된 참고래의 풍부함 ; NASS-87 와 NASS-89 자료에 기초
[133] 저널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L.), Off the West Coast of Iceland. Distribution, Segregation by Length and Exploitation
[134] 저널 Fin whale abundance in the eastern temperate North Atlantic for 1993.
[135] 저널 Fin whale abundance in the eastern North Atlantic, estimated from Spanish NASS-89 data
[136] 저널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North Atlantic, Mediterranean Sea and Sea of Cortez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Linnaeus 1758): analysis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foci http://www.ingentaco[...]
[137] 저널 1972년도 현재 북태평양의 고래 개체 수 상황
[138] 서적 The Whale Problem: A Status Report 하버드 대학 출판
[139] 저널 Estimates of stocks (original, current, MSY level and MSY)(in thousands) as revised at Scientific Committee meeting 1975
[140] 저널 Preliminary estimates of the Abundance of Cetaceans along the U.S. West Coast: 1991–2001 Administrative report LJ-03-03, available from 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8604 La Jolla Shores Dr., La Jolla CA 92037
[141] 저널 U.S. Pacific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2005 http://www.nmfs.noaa[...] U.S. Department of Commerce Technical Memorandum, NOAA-TM-NMFS-SWFSC-388
[142] 저널 Changes in the numbers of cetaceans near the Pribilof Islands, Bering Sea, between 1975–78 and 1987–89 http://pubs.aina.uca[...] 2008-07-18
[143] 저널 참고래, ''Balaenoptera physalus''
[144] 저널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protected species. Annex G, Appendix I
[145] 웹인용 American Cetacean Society Fact Sheet: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http://www.acsonline[...] 미국고래류사 2009-01-30
[146] 저널 과학위원회에서의 보고
[147] 저널 U.S. Pacific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1996 http://swfsc.noaa.go[...] NOAA Technical Memo NMFD-SWFSC-248
[148] 저널 Validity of whaling data
[149] 저널 Balaenoptera physalus 국제 자연보호 연맹
[150] 웹인용 UNEP-WCMC Species Database: CITES-Listed Species http://www.unep-wcmc[...] UNEP-WCMC 2006-10-23
[151] 웹인용 Species Profile for Finback whale http://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06-10-23
[152] 웹인용 아이슬란드가 포경업을 재개함에 따라 국제적 규제를 무시하다. http://www.bloomberg[...] Bloomberg.com 2006-10-23
[153] 웹인용 미국이 일본의 남극해 조업에 반대성명을 내다. http://usinfo.state.[...] Bureau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Programs, U.S. Department of State 2006-11-27
[154] 웹인용 Less food for hungry migrants http://www.stuff.co.[...] The Dominion Post 2008-06-21
[155] 저널 선박과 고래들과의 충돌 http://www.nero.noaa[...] 2008-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