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새리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새리상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대양성 상어로, 최대 3.8m까지 성장한다. 오징어를 주로 먹고, 다른 무척추동물, 어류, 포유류 사체 등도 섭취하며, 난태생으로 태반을 형성하여 4마리에서 13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인간에게는 식용으로 이용되나, 수은 섭취에 주의해야 하며, 드물게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사육은 어렵지만, 센다이 우미노모리 수족관에서 873일 사육된 기록이 있다. IUCN에서는 취약 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흉상어과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레몬상어
레몬상어는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노란색을 띤 회색의 체색과 짧고 넓은 주둥이를 가진 사회적인 야행성 육식 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청새리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rionace glauca |
명명자 | (Linnaeus, 1758) |
일반명 | Blue shark (청새리상어) |
속 | Prionace |
속 명명자 | Cantor, 1849 |
![]() |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목 | 흉상어목 |
과 | 흉상어과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NT (준위협) Stevens, J. 2005. Prionace glauca. In: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0.4. 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26 January 2011. |
CITES | CITES_A2 |
특징 | |
몸길이 | 약 3.1m |
기타 정보 | |
학문적 출처 | Compagno, Leonard J. V.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Sharks, Emerging Species Profile Sheets,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Government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undated |
화석 기록 | |
화석 범위 | 마이오세-현재 |
2. 분포
청새리상어는 전 세계의 깊은 온대 및 열대 해역에서 표면에서 약 350m까지 서식하는 대양성 표해수층 상어이다.[18] 온대 해역에서는 다이버가 관찰할 수 있도록 해안에 접근할 수 있지만, 열대 해역에서는 더 깊은 수심에 서식한다. 노르웨이 북쪽과 칠레 남쪽까지 서식하며,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해안에서 발견된다. 태평양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는 20°에서 50° 북위 사이에 나타나지만, 계절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열대 지역에서는 20° N과 20° S 사이에 균등하게 분포한다.[2] 수온 12°C~20°C 사이를 선호하지만, 7°C~25°C 범위의 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19]
청상아리는 가볍고 긴 가슴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몸 윗부분은 짙은 파란색이고 옆면은 더 밝으며, 아랫면은 흰색인 역그림자 형태를 띤다. 수컷은 보통 1.82m에서 2.82m로 자라고, 암컷은 더 크게 성장하여 보통 2.2m에서 3.3m로 자란다.[5] 큰 개체는 3.8m까지 자랄 수 있다. 체형은 비교적 길고 가늘며, 일반적으로 수컷은 27kg에서 55kg, 암컷은 93kg에서 182kg의 무게를 보인다.[6][7][8] 드물게 3m가 넘는 암컷은 204kg 이상의 무게가 나가기도 한다. 가장 무거운 청상아리는 391kg이었다.[9]
청새리상어는 비교적 작은 경골어류, 오징어, 갑오징어, 문어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새우, 게, 바닷가재 등 갑각류, 작은 상어, 포유류(고래류) 사체, 바닷새 등도 먹는다.[22][45] 기회주의적 포식자로, 먹이 기호성이 낮다.[47] 무리를 지어 먹이를 집중된 그룹으로 몰아서 사냥하는 행동이 관찰되기도 한다.[23] 난류와 한류 사이 소용돌이를 따라 Mesopelagic zone|중층영어까지 잠수하여 먹이를 잡기도 한다.[46] 다른 흉상어류와 달리 아가미활에 아가미갈퀴가 있다.[45]
일본 근해의 청새리상어는 쿠로시오와 오야시오가 만나는 조류 경계의 약간 남쪽 해역에서 태어나, 어린 시기까지 조류 경계 해역에서 성장한다. 성숙기 전에는 수컷은 남쪽 해역으로, 암컷은 북쪽 해역으로 나뉘어 서식한다. 성숙하여 성어가 되면 암컷은 남하하여 수컷과 같은 해역에 서식하게 되지만, 교미기 이외에는 서식역이 암수 간에 분리되어 있다고 한다.
3. 형태
최대 몸길이는 384cm, 최대 몸무게는 205.9kg에 달한다.[43] 체형은 가늘고 유선형이며, 크고 긴 가슴지느러미를 날개처럼 좌우로 펼쳐 유영한다. 주둥이는 길고 원뿔형이다. 눈은 비교적 크다.
등 쪽은 선명한 남청색으로, 미야기현에서는 '''아오나기'''라는 별명도 있다. 복부는 흰색이다.
양 턱의 이빨은 모양이 다르다. 위턱 이빨은 폭이 넓은 삼각형으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갖추고, 끝은 입의 모서리를 향해 약간 기울어진다. 아래턱 이빨은 단첨두로 가늘고 삼각형이다.[47]
가늘고 긴 체형과 가슴지느러미의 크기를 알 수 있다
4. 생태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청상아리, 백상아리 등이 천적이며,[47] 대형 개체는 천적이 거의 없다. 범고래도 청상아리를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수컷은 4~5세(182~281cm), 암컷은 5~6세(221~323cm)에 성적으로 성숙한다.[47] 난태생으로, 난황낭 태반을 가지며 9~12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한 번에 4~13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 암컷은 난각선에 정자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갓 태어난 새끼는 35~50cm 정도이며,[39] 특정 보육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성장한다. 수명은 2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45]
4. 1. 감각
청새리상어는 시각, 청각, 측선, 화학수용, 전기수용의 다섯 가지 감각을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한다.[12]
발달된 눈은 밝은 표층수부터 심해의 어둠까지 다양한 광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머리 측면에 위치한 눈은 수직면에서 360°, 수평면에서 308~338°의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12]
내이는 액체로 채워진 세 개의 반고리관과 세 개의 이석 기관(구상, 난형낭, 와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100Hz 이하의 저주파에 가장 민감하며, 최대 1000Hz까지 소리를 들을 수 있다.[12]
측선은 물의 흐름, 진동 등 기계적 자극을 감지하여 먹이, 포식자, 동종 개체의 움직임을 파악한다.[12]
화학 감각은 미각(맛)과 후각(냄새)으로 구성되며, 사회적 상호 작용, 의사소통, 번식, 먹이 감지 등에 관여한다. 미각은 미뢰를 통해 음식을 처리하고 직접 접촉으로 기호성을 평가하여 삼키거나 거부하는 결정을 내린다.[12]
로렌치니 기관이라 불리는 특수 수용체를 통해 약한 전기장을 감지하여 먹이 탐색, 포식자 회피, 항해 등에 활용한다. 0.1~10Hz의 변동하는 전기장에 가장 잘 반응하며, 약 1Hz에서 최대 감도를 보인다. 수용체는 주로 저주파 교류(AC)를 감지하지만, 일정 직류(DC) 전기장에 특히 끌린다. 그러나 상어가 연속적인 DC 전압을 감지하려면 전압 소스에 상대적으로 움직여야 한다.[12]
미국 북동부 해안에서 청새리상어는 며칠 동안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직선 코스를 유지할 수 있는데, 지자기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13]
4. 2. 이동
청새리상어는 이동을 많이 하는 종으로, 계절 변화, 먹이의 가용성, 최적의 환경 조건에 따라 온대 및 열대 해역을 광범위하게 이동한다.[20] 수평 및 수직으로 모두 움직이며, 수영 행동은 하루 중 시간에 따라 다르다. 낮 동안 청새리상어는 평균 시속 1.2킬로미터로 움직이며, 평균 수영 속도는 시속 1.3킬로미터이다. 밤에는 활동량이 증가하여 평균 이동 속도가 시속 1.8킬로미터, 수영 속도가 시속 2.8킬로미터이다. 이러한 속도 증가는 종종 짧은 잠수 동안 발생하며, 특히 밤에는 상어가 100m가 넘는 깊이에서 얕은 물까지 더 많은 수직 운동을 보인다.[21]
청새리상어는 밤, 특히 초저녁에 가장 활발하며, 이른 아침 시간에 활동량이 가장 낮다. 낮 동안에는 수심 30m 정도에 머무는 경향이 있는 반면, 밤에는 수심 40m 정도로 약간 더 깊이 들어간다. 대부분의 시간을 수심 18m~42m 범위 내에서 보내지만, 때로는 더 깊이 잠수하기도 한다. 행동은 또한 물 온도의 영향을 받아 14~16°C의 좁은 범위를 선호하지만, 8.5~17.5°C 사이의 물에서도 발견된다. 청새리상어는 추운 달에는 종종 표면 근처에서 수영하지만, 표면 온도 변화로 인해 가장 춥거나 가장 따뜻한 달에는 이러한 행동이 감소한다. 고도 회유성 상어류 중 하나이며, 매우 긴 거리를 회유한다.
4. 3. 번식
청새리상어는 난태생으로, 난황낭 태반을 가지고 있어 9개월에서 12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친다. 한 번에 4마리에서 135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평균 35마리 정도를 낳는다.[2] 새끼는 태어난 후 성어 서식지 밖의 특정 보육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성장하는데, 이러한 보육장은 어린 상어들이 초기 몇 달 동안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암컷은 5~6세,[2] 수컷은 4~5세에 성숙한다. 연구에 따르면 암컷은 출생지 및 번식 친소성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출산을 위해 특정 장소로 돌아온다는 것을 의미한다.[17]
수컷 청새리상어는 주로 임신하지 않은 성숙한 암컷에게 구애하는데, 암컷에게서 짝짓기 흔적이 흔하게 나타난다. 이는 등 지느러미에 반원 형태로 배열된 여러 개의 작은 절개로 나타나는데, 구애와 짝짓기 동안 먹이를 먹지 않는 물림의 결과이다. 암컷 청새리상어는 진화를 통해 수컷보다 3배 더 두꺼운 피부를 갖게 되어 짝짓기의 고됨을 견딜 수 있게 되었다.[16]
5. 인간과의 관계
청새리상어는 식용이 가능하지만 널리 선호되지는 않으며, 신선, 건조, 훈제, 염장 상태로 섭취하거나 어분으로 사용한다.[48] 살코기에서 높은 농도의 중금속(수은, 납)이 검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48] 대한민국에서는 어묵 등 어육 연제품의 재료로 사용되며,[49] 지느러미는 샥스핀의 원료로 사용된다.[49] 일본의 미야기현, 이와테현 등에서는 샥스핀 가공이 활발하며, 홍콩, 타이완 등으로 수출된다.[49] 최근에는 연골을 콜라겐 등 건강식품으로 가공하기도 한다.[49] 후생노동성은 임산부에게 청새리상어 섭취량을 주 2회, 1회 80g 이하로 제한할 것을 권고한다.[50]
아름다움과 속도 때문에 스포츠 피싱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48]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가 드물게 보고되며, 1580년부터 2013년까지 13건의 물림 사고(4건 사망)가 기록되었다.[53] 공격 전 행동 패턴으로, 사람 주변을 천천히 선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스페인, 비고의 어항에서
(2007년 4월 9일 촬영)
5. 1. 사육
대부분의 원양 상어와 마찬가지로 청새리상어는 사육 환경에서 좋지 못한 결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청새리상어 사육의 첫 시도는 1968년 씨월드 샌디에고에서 이루어졌으며,[31] 그 이후 북미, 유럽, 아시아의 소수의 공공 수족관에서 이를 시도했다.[32] 이들 대부분은 약 3개월 이하로 사육되었으며,[32] 그 중 일부는 이후 야생으로 방류되었다.[31]청새리상어는 사육 환경에서 비교적 쉽게 먹이를 주고 관리할 수 있지만, 운송, 더 큰 상어에 의한 포식, 그리고 수조 내 매끄러운 표면을 피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31] 최대 1m 길이의 작은 청새리상어는 수족관으로 운송하기가 비교적 쉽지만, 더 큰 개체를 운송하는 것은 훨씬 더 복잡하다.[31] 수족관에 처음 도입될 때 전형적으로 작은 크기라는 점은 황소상어, 검은꼬리상어, 모래상어, 백상아리 등 종종 함께 사육되는 다른 상어에게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31][32] 예를 들어, 씨월드 샌디에고에서 사육된 여러 청새리상어는 처음에는 비교적 잘 지냈지만, 황소상어가 전시관에 추가되자 잡아먹혔다.[32]
다양한 크기, 모양, 깊이의 수조에서 청새리상어를 사육하려는 시도는 벽, 수족관 창문, 기타 매끄러운 표면을 피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결국 지느러미나 주둥이에 찰과상을 입어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31][32] 따라서 청새리상어를 사육하려면 매끄러운 표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비교적 길고 최적의 헤엄 경로를 허용하는 수조가 필요하다. 백상아리와 같이 두드러진 암반 구조가 매끄러운 표면보다 청새리상어가 피하기 더 쉬울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다.[31]
사육 기록
국가 | 수족관 | 사육 기간 | 비고 |
---|---|---|---|
미국 | 씨월드 샌디에고 | 최대 3개월[54] | 황소상어에게 잡아먹힘 |
미국 |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 | 1995년 11월 29일 ~ 1996년 2월 14일 | 벽에 쓸려 사망 |
미국 | 마린랜드 오브 더 퍼시픽 | 불명 | 수조 내 상처로 사망 |
미국 | 뉴저지 수족관 | 210일 | |
포르투갈 | 리스본 수족관 | 194일[55] | 여러 차례 전시 시도, 검은지느러미상어에게 잡아먹히거나 수송 중 문제로 사망 |
스페인 | 오세아노그라픽 | 2005년 7월 27일 ~ 9월 25일 | |
스페인 | 산 세바스티안 수족관 | 불명 | |
일본 | 국영 오키나와 기념공원 수족관 | 30일 | |
일본 | 가사이린카이 수족원 | 246일 (최고 기록, 1999년)[56] | 2020년 두 마리 유체 추가 사육[57] |
일본 | 마린피아 마츠시마 수족관 | 56일 (2003년)[58] | |
일본 | 무로토 폐교 수족관 | 수개월 | 토사 재해로 방류, 이후 재사육[59] |
일본 | 센다이 우미노모리 수족관 | 873일 (최고 기록, 2018년 7월 27일 ~ 2020년 12월 15일)[63][64] | 2017년 2월 21일 247일로 최고 기록 경신, 252일째 사망[61][62] |
참조
[1]
논문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Chondrichthyes entry)
http://strata.ummp.l[...]
2008-01-09
[2]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
간행물
Sharks, Emerging Species Profile Sheets,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Government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http://www.fishaq.go[...]
Department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Canada
[4]
논문
The biology and ecology of the blue shark, Prionace glauca
[5]
웹사이트
FLMNH Ichthyology Department: Blue Shark
http://www.flmnh.ufl[...]
2013-05-17
[6]
웹사이트
Blue Shark (Prionace glauca) – Ireland's Wildlife
http://www.irelandsw[...]
2013-04-21
[7]
간행물
Sharks – Greenland (Somniosus microcephalus), Shortfin Mako (Isurus oxyrinchus), Blue Shark (Prionace glauca), Basking Shark (Cetorhinus maximus), and Porbeagle (Lamna nasus).
http://www.fishaq.go[...]
2013-10-07
[8]
웹사이트
Sea Angling in Ireland – Blue Shark
http://www.sea-angli[...]
[9]
웹사이트
Summary of Large Blue Sharks Prioncae glauca (Carl Linnaeus, 10th edition of Systema Naturae) in progress
http://elasmollet.or[...]
2008-03
[10]
서적
Amazing Numbers in Bi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12-21
[11]
서적
Ocean: Reflections on a Century of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05-06
[12]
논문
Sharks senses and shark repellents
[13]
논문
Electroreception and the compass sense of sharks
[14]
논문
Sexual development, size at maturity, size at maternity and fecundity of the blue shark Prionace glauca (Linnaeus, 1758) in the Southwest Atlantic
[15]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e blue shark (Prionace glauca) in the South Atlantic Ocean
[16]
논문
[17]
논문
Kinship does not predict the structure of a shark social network
[18]
FishBase
2006-09
[19]
서적
Sharks of the World
HarperCollins
[20]
논문
Movements of blue sharks (Prionace glauca) across their life history
[21]
논문
Diel behavior of the blue shark, Prionace glauca, near Santa Catalina Island, California
[22]
웹사이트
Prionace glauca (Blue Shark)
https://animaldivers[...]
[23]
웹사이트
Blue Sharks Feeding on Anchovy Baitball
http://www.apexpreda[...]
Apex Predators Blog
2013-02-06
[24]
논문
A report of killer whales (Orcinus orca) feeding on a carcharhinid shark in Costa Rica
http://biol.wwu.edu/[...]
2016-11-17
[25]
논문
California Sea Lions Breeding at Ano Nuevo Island, California
[26]
논문
Intraguild predation and partial consumption of blue sharks Prionace glauca by Cape fur seals Arctocephalus pusillus pusillus
https://sharkresearc[...]
2015-03-16
[27]
논문
Sharks modulate their escape behavior in response to predator size, speed and approach orientation
[28]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29]
논문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two highly migratory sharks (Prionace glauca and Isurus oxyrinchus) in the south-eastern Pacific waters: comments on public health and conservation
https://tropicalcons[...]
[30]
웹사이트
Species Implicated in Attacks ::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https://www.flmnh.uf[...]
2016-11-17
[31]
서적
Collection, transport and husbandry of the blue shark, Prionace glauca
Special Publication of the Ohio Biological Survey
[32]
웹사이트
Blue Shark (Prionace glauca) in Captivity
http://elasmollet.or[...]
2007
[33]
뉴스
<うみの杜水族館>ヨシキリザメ飼育 新記録
https://kahoku.news/[...]
2016-06-24
[34]
웹사이트
ヨシキリザメ死亡について
http://www.uminomori[...]
2020-12-17
[35]
웹사이트
ヨシキリザメ№25について 仙台うみの杜水族館公式サイト
http://www.uminomori[...]
2021-01-24
[36]
간행물
Current knowledge on biology, fishing and conservation of the blue shark (Prionace glauca)
https://neotropical.[...]
2021-01-21
[37]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38]
간행물
Prionace glauca
[39]
문서
Prionace glauca
http://www.iucnredli[...]
[40]
웹사이트
Prionace
2014-12-08
[41]
문서
なお「'''オバサン'''」の別名は[[千葉県]]などのごく一部で呼ばれているのみであり、他の別名と違って一般的ではない。またオイランは旧称であり現在はほとんど使われていない。
「オバサン」の名称は、顔が人間のおばさんっぽく見えることから、同様の理由で名付けられた[[オジサン]]と対比する名称となっているが、[[科 (분류학)|과]]・[[속 (분류학)|속]]・[[종 (분류학)|종]]ともに全く関係ない魚である。
[42]
서적
原色魚類図鑑-気仙沼市魚市場に水揚げされる魚類 改訂版
野崎印刷紙業株式会社,気仙沼市
[43]
서적
SHARKS OF THE WORLD A Compleat Guide
WILD NATURE PRESS
[44]
문서
"Blue shark"の名は日本において「[[アオザメ]]」の和名をもつサメ(''Isurus oxyrinchus'')と混同されることがあるが、そちらの英名は"mako shark"である。
[45]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Vol.4, Part 2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States
[46]
간행물
Mesoscale eddies release pelagic sharks from thermal constraints to foraging in the ocean twilight zone
https://pnas.org/doi[...]
2019-08-27
[47]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Blue shark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Ichthyology Department
[48]
문서
平成22年国際漁業資源の現況:ヨシキリザメ 水産庁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49]
뉴스
【特報 追う】サメ肉料理 目指せ宮城の名産品 官民連携課題は「臭み」
http://sankei.jp.msn[...]
産業経済新聞社
2007-12-14
[50]
웹사이트
妊婦への魚介類の摂食と水銀に関する注意事項の見直しについて(Q&A)(平成17年11月2日)
http://www.mhlw.go.j[...]
厚生労働省
2003-06-03
[51]
웹사이트
Blue Shark (Prionace glauca) in Captivity
http://elasmollet.or[...]
2019-11-01
[52]
웹사이트
ヨシキリザメ
http://www.n-suisan.[...]
長崎県水産部
2009-09-10
[53]
서적
サメ-海の王者たち-改訂版-
ブックマン社
[54]
웹사이트
Blue Shark (Prionace glauca) in Captivity
http://elasmollet.or[...]
2019-11-01
[55]
웹사이트
Collection, transport and husbandry of the blue shark, Prionace glauca
https://www.research[...]
2017-12-01
[56]
웹사이트
写真でふりかえる25年
https://www.tokyo-zo[...]
2019-11-01
[57]
웹사이트
珍しい、だけど身近なサメ──ヨシキリザメ
https://www.tokyo-zo[...]
東京ズーネット
2020-07-17
[58]
웹사이트
第48回水族館技術者研究会
http://ad1107v60z.sm[...]
2005-01-01
[59]
웹사이트
高知)世界で最も美しいサメ泳ぐ むろと廃校水族館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8-06-12
[60]
웹사이트
ヨシキリザメ、オープン前に死ぬ うみの杜水族館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5-06-30
[61]
뉴스
<うみの杜水族館>ヨシキリザメ飼育 新記録
http://www.kahoku.co[...]
2017-02-22
[62]
뉴스
<うみの杜水族館>最長飼育ヨシキリザメ死ぬ
http://www.kahoku.co[...]
2017-03-02
[63]
웹사이트
【国内最長記録を更新!】ヨシキリザメ展示中。ぜひご覧ください!
http://www.uminomori[...]
2019-11-01
[64]
웹사이트
ヨシキリザメ死亡について
http://www.uminomori[...]
2020-12-17
[65]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ll of this is a lie!!
[66]
웹인용
Sharks, Emerging Species Profile Sheets,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Government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undated
http://www.fishaq.go[...]
2013-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