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메(丁目)는 일본의 주소 체계에서 사용되는 구획 단위로, 주로 가로에 면한 지역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었다. 에도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길이 단위인 '정(町)'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현대에는 주거 표시 제도에 따라 도시 구획을 나누는 데 활용되며, 법적으로는 'OO町△쵸메' 또는 'OO町 내 △쵸메'와 같은 방식으로 획정된다. 쵸메의 숫자 표기는 한자 또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되며, 약기(略記)를 통해 주소 표기를 간략화하기도 한다. 홋카이도와 같은 지역에서는 '조・쵸메' 방식을 사용하여 구획을 나누기도 한다. 또한, '1쵸메 1번지'는 최우선 과제를, '지옥의 1번지'는 끔찍한 장소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행정 구역 - 정령지정도시
    정령지정도시란 일본에서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 중 총무대신이 지정하는 도시로, 도도부현과 유사한 권한을 가지며 국가와 직접 소통이 가능하고 지방선거도 같은 시기에 실시되지만, 특별구는 지정될 수 없고 지역 불균형, 과도한 개발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행정 구역 단위 - 행정동
    행정동은 법정동을 기준으로 설치되며, 행정력 효율성을 위해 법정동을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 행정 구역 단위 - 구성국
    구성국은 단일 국가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나 완전한 독립성은 없는 자치 또는 연합된 단위들을 의미하며, 연합 왕국이나 연방 국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자치권과 중앙 정부 권한 간의 균형은 지속적인 논의 대상이다.
초메
지리 정보
기본 정보
정의일본의 주거표시 제도 하에서 사용되는 구획 단위이다.
특징가로망에 기반하여 구획을 나누고, 각 구획에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역사
유래조방제 시대의 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사용 시기에도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사용법
표기"○○정 ×초메" 형식으로 표기한다.
예시신주쿠 3초메
참고
관련 법규주거표시에 관한 법률
관련 용어가구 (구획)
번지
주소
일본의 주소
추가 정보
주의사항1개의 정이 여러 개의 초메로 나뉠 수 있다.

2. 유래

쵸메(丁目)라는 단어는 에도 시대 초기에 쓰인 미우라 조신의 『견문집』에 "본정 2쵸메의 타키야마 야지베"라는 용례가 있고[1], 『게이초 에도 지도』 등의 지도에도 "◯쵸메"라는 표기가 있어, 17세기 초에는 이미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마오 케이스케는 "쵸메"가 길이 단위인 "정"에서 유래했다는 설을 제시한다. 대부분 가도나 대형 상점이 늘어선 주요 도로에 면한 마을 구획 구분에 사용되었으며, 이것이 길이에 유래한 "정"을 사용한 이유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시즈오카시 중심부(슨푸)에서 전전까지 사용되었던 에도 시대부터의 옛 마을 구역에서는, 이에야스에 의한 게이초의 마을 구획에 의해 1정 사방의 가로변에 마을 명칭 및 구역이 설정되어 있었다. 즉, 길가 길목에서 길목까지 1정(약 109m)마다 "◯◯마을△쵸메"라는 마을 이름이 붙여져, 문자 그대로 1쵸메=1정이었다[2]。가로 안쪽에서는 쵸메를 사용한 예는 거의 없다.

이처럼 "쵸메"는 근세 이후 성립한 조카마치, 슈쿠바마치 등에서 가로에 면한 배갈라 마을 구역 양측 마을을 거의 1정(약 109m)으로 구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명칭이었지만, 근대 이후, 특히 1962년(쇼와 37년)에 공포·시행된 주거 표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주거 표시 제도 등에 의한 마을 구역 설정에서는, 거리 기준을 전혀 잃고, 같은 지역명을 가진 가로 구획의 구분 명칭으로 사용된다[3]

3. 법적 근거

현행법상 통칭이 아닌 법적 근거를 가진 쵸메(丁目)를 획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쵸메(丁目)"라는 문자를 포함하는 정(町)의 이름을 정하는 방법이다. 시정촌(시町村)이 지방자치법 제260조의 규정에 따라 정(町)의 구역을 획정할 때, 그 정(町)의 명칭을 "OO町△쵸메(丁目)"로 정함으로써 쵸메(丁目)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OO町"은 "OO町1쵸메(丁目)"라는 정(町)의 구역, "OO町2쵸메(丁目)"라는 정(町)의 구역 등을 합한 구역의 통칭이 된다.

다른 하나는 "OO町"이라는 명칭의 정(町)의 구역 내에 "△쵸메(丁目)"이라는 명칭의 소자(小字)를 획정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OO町"은 지방자치법 제260조에 근거를 둔 정(町)이며, "△쵸메(丁目)"은 같은 조항에 근거를 둔 자(字)이다. 요코하마시에서는 정(町) 내의 소자인 쵸메(丁目)를 '''자쵸메(字丁目)'''라고 부른다[4].

4. 숫자의 표기

쵸메(丁目)의 숫자 표기는 시町村에 따라 한자 숫자와 아라비아 숫자 중 어느 쪽을 사용할지 다르다[5][6][7][8]. 홋카이도에서는 쵸메(丁目) 표기에 아라비아 숫자가 널리 사용되는데, 이마오 게이스케의 저서에 따르면 홋카이도의 「조·丁目」의 표기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삿포로시에서는 고시의 표기가 아라비아 숫자이며, 가로 구획 표시판도 마찬가지이다. 로마자 표기에서는 쵸메(丁目)의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로 나타낸다[9].

5. 약기(略記)

"○○町二丁目"(○○마치니초메)라는 町(마을) 명칭을 약기하여 "○○町2"라고 쓰는 것이 우편물 수취인 주소 기재 등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약기에서는 丁目(초메)의 숫자와 지번 또는 가이쿠부고(街区符号)를 하이픈으로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町二丁目3番地(산반치)"나 "○○町二丁目4番5号(고)"는 각각 "○○町2-3"이나 "○○町2-4-5"로 약기한다. 하이픈 대신 "の(노)" 또는 "ノ(노)"를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홋카이도의 "条・丁目(조・초메)"의 경우에는 사정이 달라서, "北51条東15丁目(키타 51조 히가시 15초메)" (삿포로시 히가시구)를 "北51東15(키타 51 히가시 15)"로 약기할 수 있지만, "平岸1条23丁目(히라기시 1조 23초메)" (삿포로시 도요히라구)는 "平岸1-23(히라기시 1-23)"이 되며(平岸1丁目23番(히라기시 1초메 23반)이 아님), 그 외 지역에서의 약기하는 방법과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6. 사례

초메(丁目)는 일본에서 주소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 중 하나이다.

과거 도쿄도에서는 주거 표시를 시행할 때 도시 명칭에 '정(町)'을 붙이도록 규정했었다.[10] 총무대신이 정한 기준에 따르면, 정(町)의 수는 대략 4~5개 정도가 적당하다고 되어 있다.[11][12][13]

정의 숫자가 큰 예시는 다음과 같다.



주거 표시 변경 외의 이유로 "○○정 2정"이나 "○○정 3정"은 있지만 "○○정 1정"은 드물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예: 도쿄도 지요다구 간다쓰카사 정, 간다타 정, 간다카지 정, 지바현 우라야스시 마이하마 등). 홋카이도에서는 지구 전체가 방형이 아닌 경우, 주변부에서 정(町)에 결번이 생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삿포로시 미나미구 "미나미38조"에는 "니시10정"과 "니시11정"만 존재한다.[14]

과거에는 마을 명칭에 쵸메(丁目)를 붙일 때 "정(町)"자를 생략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규정이 있었다.[11] 예를 들어 도쿄도 스미다구 "긴시초1정목"은 "긴시1정목"으로 변경되었다.[15] 1966년 "유라쿠초"를 "유라쿠"로 변경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언론의 반발로 인해 1967년 해당 규정이 삭제되었다.[12]

도쿄도 기준에 따르면, 정(丁目) 배열은 1열 방사식 또는 환상식으로 한다.[10] 특별구 구역 내에서는 황거에 가까운 쪽에 1정을 두고 멀어질수록 숫자가 커진다.[10] 환상식의 경우 "지방적 중심"에 가까운 쪽에 1정을 둔다.[10]

홋카이도에서는 "조・정(条・丁目)" 방식을 사용하여 시가지를 구획한다. 삿포로시 중심부에서는 오도리 공원과 소스이 강 교점이 원점이다.[16] 오비히로시에서는 국도 38호선과 국도 236호선 교차점을 원점으로 한다.

쵸메(丁目)를 사용하는 다른 지역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미에현 나바리시도쿠시마시 일부에서는 "번정(番町)"을, 사카이시에서는 "초(丁)"를,[21] 후쿠시마현 이와키시고리야마시 일부에서는 "町目(쵸메)"를 사용한다. 이와테현 하나마키시, 사이타마현 아게오시, 야시오시, 가스카베시에는 촌명(村名)에서 유래한 쵸메(丁目)가 있다.

쵸메(丁目) 또는 초(丁)를 사용하지 않는 도시로는 미에현 나바리시, 효고현 아시야시 등이 있다.

6. 1. 쵸메(丁目)의 수

도시는 반드시 정(丁目)으로 나눌 필요는 없다. 하지만 도쿄도는 과거 주거 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기준에서, 도시의 명칭에는 정을 붙이는 것으로 정한 적이 있다.[10]

총무대신이 주거 표시에 관한 법률 제12조에 의해 정한 "가구 방식에 의한 주거 표시의 실시 기준"에서는 정의 수는 대략 4, 5정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되어 있다.[11][12][13]

정의 숫자가 큰 것은 홋카이도에 많다. 홋카이도 오비히로시에는 "니시19조 미나미42정"이라는 지명이 있다.

도쿄도 외에서 숫자가 큰 정으로는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에 "혼마치 22정"이 있다. "혼마치 신5정"과 "혼마치 신6정"을 포함하면 히가시야마구의 "혼마치"에는 24개의 정이 있게 된다.

주거 표시 실시로 인한 도시의 구역 및 명칭 변경 외의 이유로, "○○정 2정"이나 "○○정 3정"이 있는데 "○○정 1정"은 보이지 않는 예도 드물게 보인다(도쿄도 지요다구의 간다쓰카사 정, 간다타 정, 간다카지 정, 지바현 우라야스시의 마이하마 등). 또한, 홋카이도의 "조·정" 지구에서는, 그 지구의 전체 형상이 방형이 아닌 경우, 지구의 주변부에서 정에 결번이 생긴다. 예를 들어, 삿포로시 미나미구의 "미나미38조"에는 "니시10정"과 "니시11정"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도쿄도 다마시의 히가시데라가타는 1정과 3정은 있지만, 사이의 2정은 존재하지 않는다.[14]

6. 2. 쵸메(丁目)를 붙이는 경우의 마을 명칭

과거에는 마을 명칭에 쵸메(丁目)를 붙일 때, 가능한 한 "○○정△쵸메(丁目)"가 아닌 "○○△쵸메(丁目)" ("정" 자를 생략한 것)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취지의 규정이 있었다[11]. 예를 들어 도쿄도스미다구의 "킨시초1정목"부터 "킨시초4정목"은 주거 표시 실시 때 "킨시1정목"부터 "킨시4정목"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5]. 1966년(쇼와 41년)에는 이 규정에 따라 "유라쿠초"도 "유라쿠"로 변경하는 안이 나왔지만, 당시 유라쿠초에 본사를 둔 아사히, 요미우리, 마이니치 등 신문 3사를 포함한 언론의 반발을 샀고[12], 결국 1967년(쇼와 42년)에 해당 규정은 삭제되었다[12].

6. 3. 배열 방법

도쿄도가 과거에 정한 기준에 따르면, 정(丁目)의 배열은 1열 방사식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환상식으로 한다.[10] 특별구 구역 내에서는 방사식의 경우, 황거에 가까운 쪽에 1정을 두고, 황거에서 멀어질수록 숫자가 커지도록 각 정을 둔다.[10] 특별구 내에서 환상식의 경우, "지방적 중심"에 가까운 쪽에 1정을 둔다.[10] 도쿄도의 시정촌 구역에서는, 황거 또는 해당 시정촌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식 또는 환상식이 되도록 정을 둔다.[10]

홋카이도의 "조・정(条・丁目)" 지구에서의 정 배열에 대해서는, "조・정" 절에서 후술한다.

6. 4. 조・쵸메(条・丁目)

홋카이도 도시에서는 바둑판 눈금 모양으로 구획된 시가지의 마을 이름을 x좌표, y좌표처럼 2종류 숫자를 사용하여 규칙적으로 정하는 "조・초메(条・丁目)" 방식을 사용한다. 삿포로시 중심부에서는 오도리와 소스이 강의 교점이 원점에 해당한다.[16] 제1사분면(오도리의 북쪽, 소스이 강의 동쪽)에 있는 마을 이름은 "북y조 동x초메"이다. 오비히로시에서는 동서로 뻗은 국도 38호선과 남북으로 뻗은 국도 236호선 (오도리)과의 교차점을 원점으로 하여, 제1사분면의 마을 이름은 "동x조 북y초메"가 된다. 이처럼 동서 방향의 위치를 조의 숫자로 나타내고, 남북 방향의 위치를 초메의 숫자로 나타낸다(삿포로와 반대).

"조・초메"는 아사히카와시, 기타미시, 이와미자와시, 나요로시 등 내륙 도시에서 볼 수 있다. 하코다테시, 구시로시, 도마코마이시, 오타루시 등 해안가 도시에서는 "조・초메"를 볼 수 없다.

또한, 가토군 오토후케정 등 町村(정촌) 구역 일부에서는 "초메"가 아닌 "선"을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예: 오토후케 정립 료쿠요다이 초등학교 소재지[17]).

6. 5. 특수 사례

야마가타현 히가시네시에서는 도로 방식의 주거 표시를 실시하여 도로 명칭에 쵸메(丁目)를 사용한다.[19] 예를 들어 나카지마 거리(中島通り)는 1쵸메와 2쵸메, 와카기 거리(若木通り)는 1쵸메부터 5쵸메까지 구획되어 있으며,[19] 주소는 "히가시네시 와카기 거리 1쵸메 50호"와 같이 표기한다.[19]

요코하마시에서는 마을 자체인 쵸메(丁目)에는 한자를, 마을 내 소자인 쵸메(丁目)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4] 아사히구 후타마타가와는 예외적으로 쵸메(丁目) 숫자에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4]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중심부에는 "1초메"부터 "6초메"까지 6개의 마을 명칭이 있다.[20]

미에현 나바리시도쿠시마시 일부에서는 "쵸메(丁目)" 대신 "번정(番町)"을 사용한다. 나바리시청 소재지는 "고노다이 1번정"이며, "고노다이"는 "고노다이 5번정"까지 있다. 도쿠시마시에서는 사코, 키타사코, 미나미사코에서 이 표기를 사용하며, "사코"와 "미나미사코"는 "사코 8번정", "미나미사코 8번정"까지, "키타사코"는 "키타사코 2번정"까지 있다.

사카이시에서는 "쵸메(丁目)" 대신 "초(丁)"를 사용한다.[21]

후쿠시마현 이와키시고리야마시 일부에서는 "쵸메(丁目)" 대신 "町目(쵸메)"를 사용한다. (예: 이와키시 다이라 1초메, 고리야마시 니시다마치 3초메)

이와테현 하나마키시, 사이타마현 아게오시, 야시오시, 카스카베시에는 촌명(村名)에서 유래한 쵸메(丁目)가 있다. 하나마키시에는 "가미키타만초메" 등의 아자 명칭이 있으며, 에도 시대의 "키타만초메 촌" 등에서 유래한다. 아게오시에는 "1초메", 야시오시에는 "2초메", 카스카베시에는 "8초메"라는 아자 명칭이 있으며, 에도 시대의 "1초메 촌" 등에서 유래한다.

6. 6. 쵸메(丁目) 또는 초(丁)를 사용하지 않는 도시 (예시)

7. 일본 국외

일제강점기조선과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는 일본식으로 "○○町△丁目"이나 "○○通△丁目"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22] 일본 통치가 끝난 후, 중화민국 타이완 성에서는 이러한 지명이 "단"(段)으로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문무정 1정목은 문무가 1단으로, 가와바타정은 형교단으로 바뀌는 등 일본식 지명이 중화풍으로 변경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가"나 "○○로△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명륜정 4정목은 명륜동 4가로, 남대문통 3정목은 남대문로 3가로 바뀌었다.

뉴욕맨해튼을 동서로 달리는 가로(街路)는 서수를 사용하여 "△th Street"로 명명되며, 이를 일본어로 번역할 때 관습적으로 "△丁目"으로 번역한다.[23] 이 경우의 정목은 가로의 명칭이며, 구역 명칭인 일본 국내의 정목과는 다르다. 남북 방향의 가로는 "*th Avenue"로 "*번가"이다.[24]

대만에서는 도로의 구간을 나타낼 때 정목(丁目) 대신 '''단'''(段)을 사용한다. 타이베이시에서는 주소를 도로 명칭과 주거 번호(문패번호)로 표시하는데, 길이 500미터 이상, 폭 15미터 이상인 도로는 필요에 따라 단으로 구획된다.[25] 예를 들어, 타이베이 역 근처 십자로에서 북쪽으로 뻗은 도로는 "중산 북로 1단", 그 북쪽은 "중산 북로 2단", "중산 북로 3단"으로 이어진다. 같은 십자로에서 서쪽으로는 "충효 서로 1단", "충효 서로 2단"이, 동쪽으로는 "충효 동로 1단", "충효 동로 2단" 등이 있다. 남쪽으로 가는 길은 "중산 남로"이며, 단으로 구획되지 않는다.

8. 비유적 표현

(이전 출력에서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었기 때문에, 출력할 내용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8. 1. 1쵸메 1번지(一丁目一番地)

일본 정계에서는 "최우선 과제"라는 의미로 '''1쵸메 1번지'''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다.[26][27][28] 1980년대 자유민주당 정권 하에서부터 사용되었지만, 민주당으로 정권 교체 이후, 하토야마 유키오, 칸 나오토 등이 자주 사용하면서 미디어에서 다뤄지는 기회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26][27]

나가타초 1쵸메 1번지에 일본 수위 원점이, 우치사이와이초 1쵸메 1번지에 제국 호텔이 있는 것처럼, 1쵸메 1번지는 "중요한 것", "원점"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숫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2번, 3번으로 이어지는 것을 연상하기 쉬워 우선 순위를 알기 쉽게 나타내고 있으며, "1"을 반복함으로써 중요성을 강조하고, 운율을 맞춰 어감이 좋은 점도 널리 퍼진 이유 중 하나이다.[27]

그러나 현실의 1쵸메 1번지(지)는 반드시 해당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지점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도쿄 긴자처럼 1쵸메 1번지(지)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이와는 별개로, 국회 본회의에서 최전열의 자리를 가리켜 1쵸메 1번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26]

8. 2. 지옥의 1번지(地獄の一丁目)

'''지옥의 1번지'''는 매우 끔찍한 장소나 파멸로 향하는 첫걸음을 표현하는 말로 사용된다.[29][30] 가부키 연극 "사천 냥의 작은 엽전 매화 잎"(四千両小判梅葉)에서 죄수 우두머리가 감옥의 신참에게 "여기는 지옥의 1번지, 2번지는 없는 곳이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30][31]

참조

[1] 서적 日本国語大辞典(第2版) 小学館
[2] 서적 江戸時代の駿府新考 静岡谷島屋
[3] 서적 地名用語語源辞典 東京堂出版
[4] 웹사이트 凡例 https://web.archive.[...] 2012-01-14
[5] 문서 昭和38年6月19日戸第1896号大分地方法務局長照会
[6] 문서 昭和38年7月9日民事甲第1974号民事局長回答
[7] 웹사이트 住所の「深田町○丁目」等の○部分が、住民票ではアラビア数字、戸籍謄(抄)本では漢数字となっていますがどうしてですか。 http://www.city.mino[...] 2012-06-21
[8] 웹사이트 「1丁目」「2丁目」と付く住所の書き方は、正式には漢数字・アラビア数字のどちらを使用するのが正しいのでしょうか? http://www.city.kuma[...] 2012-01-14
[9] 간행물 街区方式による住居表示の実施基準の運用等について(昭和40年6月14日付け自治振第209号各都道府県総務部長あて通知) 地方自治
[10] 서적 東京都における住居表示の実施に関する一般的基準 東京都総務局行政部
[11] 간행물 街区方式による住居表示の実施基準を定める件(昭和38年自治省告示第117号) 官報
[12] 간행물 街区方式による住居表示の実施基準の一部を改正する件(昭和42年自治省告示第131号) 官報
[13] 간행물 街区方式による住居表示の実施基準の一部を改正する件(昭和60年自治省告示第125号) 官報
[14] 문서 その他、丁目が無い「東寺方」とする大字があり、この大字が事実上の二丁目であるとする意見もある。
[15] 간행물 住居表示が実施された件(昭和42年自治省告示第103号) 官報
[16] 웹사이트 北海道の住所が面白い!?条丁目の秘話 https://pucchi.net/h[...] 2016-10-15
[17] 문서 ただし、音更町では、「丁目」を採用する地域もある(例:音更町木野西通15丁目7番地・該当住所は音更町図書館の所在地)。
[18] 서적 道路方式による住居表示に関する答申について 政経書院
[19] 간행물 住居表示が実施された件(昭和54年自治省告示第26号) 官報
[20] 간행물 住居表示が実施された件(昭和43年自治省告示第243号) 官報
[21] 웹사이트 なぜ、堺市では美原区域以外は「丁目」じゃなくて「丁」なの? http://www.city.saka[...] 2015-10-27
[22] 간행물 京城府管内町名起源考 京城彙報
[23] 문서 例えば『三十四丁目の奇蹟』。
[24] 문서 フィフス・アヴェニューは「五番街」
[25] 문서 臺北市道路名牌曁門牌編釘辦法第3条
[26] 웹사이트 最近よく聞く「一丁目一番地」ってどこ?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社 2019-11-27
[27] 웹사이트 最近よく聞く「一丁目一番地」ってどこ?(2ページ目)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社 2019-11-27
[28] 문서 住所の正しい表記としては、住居表示実施地区における街区符号の「番」や住居表示未実施地区において地番を表す「番地」の前に来る数字は、いずれもアラビア数字である。
[29] 웹사이트 地獄の一丁目(じごくのいっちょうめ)とは何? https://www.weblio.j[...] 2020-04-21
[30] 웹사이트 地獄の一丁目(ジゴクノイッチョウメ)とは https://kotobank.jp/[...] 2020-04-21
[31] 웹사이트 第46回 歌舞伎彩歌 『四千両小判梅葉』 https://www.eigeki.c[...] 松竹ブロードキャスティング 2020-04-21
[32] 웹사이트 かまど地獄の見どころ https://kamadojigoku[...] 株式会社竃地獄 2020-04-21
[33] 웹사이트 かまど地獄の見どころ2 https://kamadojigoku[...] 株式会社竃地獄 2020-04-21
[34] 웹사이트 かまど地獄の見どころ3 https://kamadojigoku[...] 株式会社竃地獄 2020-04-21
[35] 웹사이트 かつて野庭に「地獄の一丁目」と呼ばれた地域があったって本当? https://hamarepo.com[...] 2020-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