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블러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블러처는 파이프 오르간 음악 표기를 위해 1300년경 유럽에서 처음 사용된 악보 표기법으로, 14세기 이후 류트, 기타 등 다양한 악기에 적용되었다. 특히 기타 타블라추어는 현의 위치와 프렛 번호를 숫자로 표시하여 초보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돕지만, 조성이나 화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편곡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현재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활용되며, 저작권 문제로 인해 온라인 공유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보법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기보법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태블러처
개요
종류기보법
사용 악기류트
기타
비올라 다 감바
오르간
기타 화음 악기
기원14세기
특징연주 방법 (손가락 위치)을 표시
상세 정보
정의악기의 연주 위치를 그림이나 문자로 나타내는 기보법
설명음의 높낮이 대신, 악기의 특정 위치를 직접 지시
특히 류트, 기타, 비올라 다 감바 같은 화음 악기에 많이 사용됨
역사14세기부터 사용
다양한 종류의 타블라처 존재
종류
프랑스식 타블라처류트 음악에 사용
6줄의 선은 류트의 각 줄을 나타냄
숫자는 프렛 번호를 의미 (0은 개방현)
이탈리아식 타블라처프랑스식과 유사하지만, 숫자 배열이 반대
가장 낮은 줄이 맨 위에 위치
스페인식 타블라처 (비우엘라 타블라처)숫자 대신 선을 사용
각 선은 특정 음을 나타냄
독일식 타블라처가장 복잡한 형태
음표와 기호를 조합하여 사용
성악과 기악에 모두 사용 가능
오르간 타블라처독일에서 15세기부터 사용
다양한 형태 존재
현대의 타블라처
기타 타블라처기타 연주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됨
줄 번호와 프렛 번호를 사용하여 코드와 리프를 쉽게 표현
인터넷을 통해 공유 용이
단점리듬 정보 부족
음악적 표현의 제한
참고 문헌

2. 역사

현대에 이르러 기타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는 악보 형식이 되었다. 특히 기타는 같은 음높이를 다른 현과 다른 포지션에서 낼 수 있는데, 태블러처는 각 경우의 음색이나 연주 효율성(앞뒤 음을 얼마나 쉽게 칠 수 있는지)을 고려하여 최적의 포지션을 알려주므로, 초보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오선보와 달리, 악보만 보고 조성이나 화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정 악기의 연주법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화성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등의 어레인지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2. 1. 초기 역사

'태블러처'라는 단어는 '테이블' 또는 '슬레이트'를 의미하는 라틴어 tabulalat에서 유래한 tabulaturalat에서 왔다. 무언가를 표로 정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유럽 최초의 태블러처는 1300년파이프 오르간 음악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오르간 타블라투어로 알려져 있다. 이후 14세기부터 현대적인 형태의 태블러처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태블러처는 음표의 음높이와 길이를 직접 나타내는 표준 악보와 달리, 악기를 연주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표기한다. 즉, 음을 내기 위해 손가락을 언제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며, 음높이는 연주 방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1507년에는 류트 연주자 프란체스코 스피나치노가 타블라추어로 기록된 최초의 류트 곡집을 출판했다. 이 악보는 현을 누르는 손가락의 위치를 기호로 나타내고 음높이와 길이까지 표시하여 현대적인 태블러처의 시초로 여겨진다. 이 시기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각지에서 류트 연주가 크게 유행하면서, 태블러처 역시 지역별로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하고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3. 종류

타블라추어는 연주하는 악기의 종류, 사용되는 지역, 그리고 시대적 배경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각 악기의 구조와 연주 방식에 맞춰 고유한 표기 체계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현대 악보와는 다른 방식으로 음악 정보를 전달한다.

가장 널리 알려지고 현대 대중음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은 기타베이스 기타를 위한 타블라추어이다. 이 외에도 밴조, 만돌린, 우쿨렐레와 같은 다른 프렛 악기들 역시 유사한 형태의 타블라추어를 사용한다. 역사적으로는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유럽에서 성행했던 류트 음악을 기록하기 위한 다양한 타블라추어가 존재했으며, 이는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지역별로 독자적인 표기법을 발전시켰다.

하모니카 역시 구멍 번호와 호흡 방향, 특수 주법 등을 표시하는 고유한 타블라추어 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의 전통 악기인 삼선( くんくんしー|쿤쿤시일본어 라는 고유 명칭 사용), 샤미센, 샤쿠하치 등에도 각 악기의 운지법을 나타내는 타블라추어가 사용된다. 심지어 드럼의 경우, 오선보를 변형하여 각 줄과 칸에 특정 타악기를 배정하는 방식으로 리듬 패턴을 기록하며, 리코더틴 휘슬 같은 관악기에서도 운지법을 그림 형태로 표시하는 타블라추어 방식이 활용된다.

이처럼 타블라추어는 특정 악기의 연주 방법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실용적인 기보법으로, 세계 여러 음악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사용되어 왔다.

3. 1. 기타 타블라추어

기타 타블라처는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일반적으로 6현) 연주에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이다. 4현으로 수정된 형태는 베이스 기타에 사용된다. 기타 및 베이스 탭(tab)은 , , 포크, 컨트리 음악의 리드 시트, 페이크 북, 송북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교육용 교재나 웹사이트에서도 자주 활용된다. 때로는 가사와 코드만 있는 송북처럼 탭만 제공되기도 하고, 기타 솔로 악보처럼 표준 악보와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타블라처로 구성된 악보는 종종 "탭"이라고 불린다. 이와 유사한 스타일의 타블라처는 밴조, 만돌린, 우쿨렐레와 같은 다른 프렛 악기에도 사용된다.

기타 타블라처는 기본적으로 6개의 수평선으로 구성되며, 각 선은 기타의 현을 나타낸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맨 위 선이 가장 높은 음의 현(1번 줄, 보통 E현)을, 맨 아래 선이 가장 낮은 음의 현(6번 줄, 보통 E현)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간혹 반대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어 혼동을 피하기 위해 타블라처 왼쪽에 각 현의 음높이를 명시하기도 한다.

선 위에 적힌 숫자는 해당 현에서 눌러야 할 프렛 번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장 윗줄에 숫자 3이 적혀 있다면 1번 현의 3번 프렛을 누르라는 뜻이다. 숫자 0은 개방현을 의미한다. 카포를 사용하는 경우, 숫자는 항상 너트가 아닌 카포를 기준으로 한 프렛 번호를 나타낸다. 코드는 타블라처 위나 아래에 문자로 근음을 표기하거나 코드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현대의 타블라처 악보는 기본적인 오선보 형식 위에 손가락 위치(프렛 번호)를 표시하고, 벤딩, 슬라이드, 해머 온, 풀 오프, 비브라토, 팜 뮤트 등 기타 고유의 주법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자나 기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기호들은 출판사나 작성자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악보 앞부분에 범례를 통해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기타를 치며 노래하는 싱어송라이터를 위한 악보에서 가사 위에 코드 이름과 함께 간단한 운지법(프렛 번호)이 적힌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타블라처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3. 1. 1. 기타 타블라추어 표기법의 예

다음은 E, F, G 코드를 ASCII 탭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e|---0---1---3---

B|---0---1---0---

G|---1---2---0---

D|---2---3---0---

A|---2---3---2---

E|---0---1---3---

E F G



태블러처는 다양한 레가토 기법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선, 화살표 및 기타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에는 벤드, 해머 온, 트릴, 풀 오프, 슬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인 태블러처 기호는 다양한 기법을 나타내며, 이는 다를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

기호기법
h해머 온
p풀 오프
b현을 위로 벤드
r벤드 해제
/슬라이드 업
\슬라이드 다운
v 또는 ~비브라토
t오른손
s레가토 슬라이드
S시프트 슬라이드
*자연 하모닉스
[n]인공 하모닉스
n(n)탭 하모닉스
tr트릴
T
TP트레몰로 피킹
PM 또는 _ 또는 .팜 뮤트
N.C.코드 없음 (타체트 또는 쉼표)
\n/트레몰로 암 딥 (n = 딥 정도)
\n트레몰로 암 다운
n/트레몰로 암 업
/n\트레몰로 암 반전 딥
=벤드 유지 또는 해머/풀 연결
<>볼륨 스웰 (더 크게/더 부드럽게)
x리듬 슬래시에서 뮤트 슬래시
o리듬 슬래시에서 단일 음표 슬래시
·/.픽 슬라이드



음표 길이를 나타내는 추가 기호는 태블러처 상단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는 다음과 같다.[2]

기호음표 길이
W온음표
H2분 음표
Q4분 음표
E8분 음표
a아치아카투라
-이전 음표에 묶임 (붙임줄)
.점음표



기타 태블러처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다양한 악보 출판사에서 서로 다른 규칙을 채택한다. 송북과 기타 잡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칙을 설명하는 범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원형을 사용하여 손가락 위치를 나타낼 때, 소리가 나는 음표는 흰색, 가정된 근음은 회색, 소리가 나는 근음은 검은색으로 표기하기도 한다.[3][4]

3. 2. 류트 타블라추어

류트 타블라투어의 종류


류트 타블라추어는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류트 음악을 표기하는 데 주로 사용된 기보법이다. 현대 악보가 음높이와 리듬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과 달리, 타블라추어는 악기의 현과 프렛을 기준으로 손가락의 위치를 알려주어 연주 방법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음높이는 명시적이기보다는 암시적으로 표시되는 방식이다.

'''독일 류트 타블라투어'''는 15세기 독일에서 기원했으며, 맹인 오르간 연주자였던 콘라트 파우만이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 방식은 16세기 말까지 독일어권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507년에는 이탈리아의 류트 연주자 프란체스코 스피나치노가 타블라추어 악보로 된 최초의 류트 곡집을 출판했다. 이 악보는 현을 누르는 손가락 위치뿐만 아니라 음높이와 길이까지 기호로 표시하여 현대 타블라추어의 원형으로 평가받는다. 이 시기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각지에서 류트 연주가 성행하면서, 지역별로 독자적인 타블라추어 표기법이 발전하고 시대에 따라 변화를 거듭했다.

3. 3. 하모니카 타블라추어

하모니카용 타브 악보는 숫자로 구멍 번호를 나타내고, 여기에 호흡(불기 또는 빨기)과 특수 주법(벤딩 등)을 표시하여 연주 방법을 지시한다. 현대 악보가 음높이와 리듬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것과 달리, 태블러처는 어떤 구멍을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므로 음높이는 암시적으로 표현된다.
표기 방식

하모니카 태블러처 기본 요소
요소설명예시 (다이어토닉)예시 (크로매틱)
구멍 번호연주할 하모니카 구멍의 숫자22
호흡 (불기)숨을 내쉬어 소리냄 (기호 없음 또는 특정 기호 사용)22
호흡 (빨기)숨을 들이쉬어 소리냄 (주로 `-` 기호 사용)-2-2
벤딩음높이를 낮추는 주법 (주로 빨기에서 사용, `'`, `"` 등 기호 사용)-2' (하프 벤드), -2" (풀 벤드)해당 없음 (버튼 사용)
버튼 누름반음 연주를 위해 슬라이드 버튼을 누름 (`<` 기호 사용)해당 없음<2 (버튼 누르고 불기), <-2 (버튼 누르고 빨기)
코드여러 음을 동시에 연주 (괄호 또는 숫자 나열)(2 3) 또는 456(2 3) 또는 456<


호흡 표기 상세하모니카 태블러처에서 불기(Blow)와 빨기(Draw/Inhale)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 기호 사용: 숫자 앞 기호 없음은 불기, `-` 기호는 빨기를 나타낸다. (가장 일반적)
  • 위치 사용: 오선보 형태를 빌려 흡음(빨기)은 첫째 칸, 불음(불기)은 둘째 칸에 표기하거나, 한 줄의 위(불기)와 아래(빨기)에 구분하여 표기한다.
  • 괄호 사용: 숫자는 불기, 괄호 안의 숫자는 빨기를 나타낸다.
  • 문자 사용: 숫자 뒤에 불기는 B(Blow), 빨기는 D(Draw)를 붙인다.
  • 화살표 사용: 숫자에 위쪽 화살표(↑, 불기) 또는 아래쪽 화살표(↓, 빨기)를 붙인다.

특수 주법 표기 상세

  • 벤딩(Bending): `'`(하프 벤드), `"`(풀 벤드) 외에 `|`(1단계), `||`(2단계), `|||`(3단계) 등으로 벤딩 깊이를 표시하기도 한다.
  • 예시 (C 다이어토닉): `3i` (B음), `3i|` (Bb음), `3i||` (A음), `3i|||` (G#음) - 이 표기법은 덜 일반적이다.
  • 버튼 누름 (크로매틱): 크로매틱 하모니카에서 반음을 내기 위해 슬라이드 버튼을 누르는 것을 `<` 기호로 표시한다.

박자 표기화살표 시스템에서는 화살표의 길이로 박자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더 일반적인 방법은 문자 위에 리듬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o`는 온음표, `//`는 2분음표, `/`는 4분음표, `.`는 8분음표 등으로 표기한다.
코드 표기코드는 연주할 구멍 번호를 함께 나열하여 표시한다.

  • C 메이저 코드 (C-E-G) / C 다이어토닉 하모니카: `456` (불기)

블루스 연주 등에서는 실제 코드 구성음 중 일부만 연주하며 단순화하여 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G 블루스 진행 (G-G-G-G7-C-C-G-G-D7-D7-G-G)을 C 다이어토닉 하모니카로 연주할 때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 G 코드 (G-B-D): `34` (빨기, B-D 음)
  • G7 코드 (G-B-D-F): `45` (빨기, D-F 음)
  • D7 코드 (D-F♯-A-C): `4` (빨기, D 음) 또는 `4` (불기, C 음)

연주 예시: "Mack the Knife" (C 다이어토닉 하모니카)

5 6 -6 -6 5 6 -6 -6

Oh the shark has pretty teeth, dear

  • 4 -5 -6 -6 -4 -5 -6

And he shows them pearly white

6 -7 -8 7 -7 -6 7 -4

Just a jack knife has MacHeath, dear

5 -5 7 -4 7 -7 -6

And he keeps it out of sight


주의사항복음 하모니카(트레몰로 하모니카)에 사용되는 숫자는 구멍 번호가 아닌 음이름을 나타내는 숫자보인 경우가 많으므로 태블러처와 구분해야 한다. 크로매틱 하모니카용 악보에 숫자가 적혀 있는 경우도 슬라이드 조작(←) 표시와 함께 음이름을 나타내는 숫자보일 수 있다.

3. 4. 그 외 악기 타블라추어

베이스 기타 연주에는 기타 태블러처를 4현에 맞게 수정한 형태가 사용된다. 이와 비슷한 방식의 타블러처는 밴조, 만돌린, 우쿨렐레와 같이 프렛이 있는 다른 여러 현악기 연주에도 널리 쓰인다.

일본의 전통 현악기인 삼선에는 '공공사'(くんくんしー|쿤쿤시일본어)라는 고유한 타블라추어가 사용된다. 전통적인 공공사는 "합", "을", "로", "사" 같은 한자로 운지법(포지션)을 표시하며, 원고지처럼 세로로 적는다. 업 스트로크나 해머링 같은 주법 기호도 함께 표기된다. 삼선은 조현(튜닝) 방식이 다양하지만, 공공사는 음높이가 아닌 운지 위치를 나타내므로 타블라추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오키나와 음악의 영향으로, 기타 타블라추어처럼 가로 방향의 세 줄 위에 공공사 문자와 함께 음표 길이, 마디 기호 등을 표시하는 현대적인 공공사 탭 악보도 사용되고 있다.

샤미센 연주에는 가로쓰기 삼선보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방악사(邦楽社)의 등록 상표인 '분화보'(文化譜)라고도 불린다. 이 방식은 개방현을 "0" 또는 "〇"으로 표기하거나 "1"로 표기하는 등 다양한 표기법이 존재한다. 지가(地歌) 연주에 주로 쓰이는 대한가정음악회(大日本家庭音楽会) 발행의 세로쓰기 악보에서는 세 개의 현을 각각 아라비아 숫자, 한자 숫자, 한자 숫자에 인변(亻)을 붙여 구분한다. 개방현은 모두 '1'에 해당하며(III현은 1, II현은 一, I현은 イ一), 옥타브 표시는 숫자 오른쪽에 점(・)을 찍어 나타낸다. 더 높은 옥타브는 점 두 개(・・)를 사용한다.

샤쿠하치와 같은 관악기에는 5개 또는 7개의 지공(손가락 구멍)을 막는 위치를 나타내는 타블라추어가 사용된다. 모든 구멍을 막는 완전 폐쇄(통음)는 "ロ"로 표기하고, 순서대로 "ツ", "レ", "チ", 그리고 유파에 따라 "リ" 또는 "ハ" 등으로 운지를 표시한다. 옥타브에 따라서도 표기가 달라진다.

드럼 연주에 사용되는 타블라추어는 보통 '드럼 악보'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오선보를 사용하지만, 각 줄과 칸(음높이 위치)에 특정 타악기를 배정하여 표기하는 방식이다.

리코더, 틴 휘슬, 백파이프 같은 관악기의 타블라추어는 오선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음표 아래에 악기의 지공 수만큼 동그라미(○)를 세로로 그리고, 막아야 할 구멍을 검게 칠하는(●) 방식으로 운지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4. 현대적 응용

현대에 들어 컴퓨터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태블러처를 작성하고 공유하는 방식이 크게 변화하였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태블러처 악보가 공유되면서, 연주자들이 원하는 곡의 악보를 쉽게 찾고 음악적 교류를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컴퓨터를 이용한 태블러처 작성 역시 보편화되었다.

4. 1. 컴퓨터 프로그램

기타 탭 악보 소프트웨어 목록 문서에서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태블러처(탭 악보) 작성을 편리하게 해주며, 일부는 가사, 기타 코드 다이어그램, 코드 기호, 오선보 표기법 등 다른 음악 정보도 함께 작성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1] ASCII 문자를 이용한 탭 악보(ASCII 탭)는 'Courier New'와 같은 고정폭 글꼴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워드 프로세서나 텍스트 편집기로도 작성할 수 있지만, 문자들의 수직 정렬을 맞추는 등 다소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1]

5. 저작권 문제

온라인에서의 태블러처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저작권 문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했다. 2006년 초, 음악 출판 협회(MPA)는 무단으로 기타 태블러처를 게시한 웹사이트들에 대해 전례 없는 법적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6] MPA는 해당 웹사이트들에 대해 정식 라이선스를 취득하거나 사이트를 폐쇄할 것을 요구했으며, MPA 회장 로렌 카이저는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벌금형이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6]

이러한 압박으로 인해 많은 무료 태블러처 제공 사이트들이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태블러처를 오프라인으로 전환해야 했다. 일부에서는 작사가와 저작권 소유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하면서 디지털 저작물의 광범위한 복제를 허용하는 대체 보상 시스템과 같은 해결책을 모색하기도 했다.[7]

개별 웹사이트들의 대응은 다양했다.


  • Mxtabs.net은 저작권 소유자의 불만으로 인해 폐쇄되었으나, 2006년 2월 웹사이트를 다시 열면서 음악가들의 학습을 돕는다는 목적을 강조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사이트가 악보 판매에 기여했으며(월 최대 3천달러), 악보로 출판되지 않은 많은 곡들의 태블러처를 제공하여 음악가들이 해당 곡들을 배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통로라고 주장했다. 또한 태블러처 공유의 불법성이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악보 회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라이선스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2008년 2월, MXTabs.net은 음악 출판사 및 작곡가에게 그들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뮤지션이 무료 태블러처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최초의 합법적으로 라이선스된 사이트 중 하나로 재출시되었다.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MXTabs.net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의 태블러처 해석을 만들고, 편집하고, 평가하고, 검토하도록 권장되었다. 그러나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 사이트와 달리, 참여하는 저작권 소유자로부터 명시적인 허가를 받은 곡만 온라인에서 제공될 것이다.
  • Guitar Tab Universe(GTU)는 2006년 7월, ISP를 통해 전미 음반 출판 협회(NMPA)와 MPA로부터 "태블러처 공유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통보를 받았다.[11] 이에 GTU 운영자는 사이트의 성격을 불법 자료 제공자에서 교육 제공자로 전환하기 위해 음악 학생 및 교사 기구(MuSATO)라는 웹사이트를 즉시 개설했다. MuSATO는 공정이용 원칙을 내세워 태블러처를 교육 자료로서 무료로 제공한다고 주장하며, 사용자를 "음악 학생", 악보 제작자를 "음악 교사"로 지칭했다.
  • GuitarTabs.com 역시 NMPA와 MPA로부터 유사한 저작권 침해 혐의로 연락을 받았으며, 법적 조치 위협에 직면했다.[12]
  • 온라인 기타 아카이브 (OLGA)도 NMPA 및 MPA를 대리하는 변호사로부터 서신을 받은 후 사이트에서 태블러처를 삭제해야 했다.[13]
  • 한편, MetalTabs.com은 밴드에게 직접 태블러처 게시 허가를 요청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대부분의 밴드가 이를 허락했다고 주장했다.[8]


이러한 갈등 속에서 합법적인 태블러처 제공 모델들이 점차 등장했다. 2010년 4월, 러시아의 대형 무료 태블러처 웹사이트인 얼티메이트 기타(UG)는 해리 폭스 에이전시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10] 이 계약을 통해 UG는 가사 표시, 제목 검색, 태블러처 다운로드 및 인쇄 기능을 포함한 합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합법적으로 온라인 태블러처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전문가 제작 유료 콘텐츠: 전문 음악가들이 제작한 고품질의 태블러처를 곡당 0.99USD에서 6.99USD 정도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웹사이트. 이들은 정식 라이선스를 확보했음을 강조한다.
  • 사용자 제작 무료 콘텐츠 (수익 공유): 사용자들이 직접 만든 태블러처를 무료로 제공하되, 웹사이트 광고 수익의 일부를 음반 출판사나 작곡가와 공유하는 모델.
  • 색인 및 서식 제공 사이트: 다른 웹사이트의 태블러처 자료를 검색하고 모아 보여주거나, 사용자에게 편리한 고유 서식 옵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이러한 온라인 태블러처를 둘러싼 저작권 논쟁은 사회적으로도 주목받아, 2006년 8월 7일에는 NPR의 뉴스 프로그램 모닝 에디션에서 "음악 산업, 기타 태블러처 웹사이트에 대항하다"(Music Industry Wages War on Guitar Tablature Web Siteseng)라는 제목으로 다루어지기도 했다.[9]

6. 장점과 한계

태블러처는 표준 악보와 달리 악기 연주법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는 장점이 있다. 표준 악보는 각 음표의 리듬과 지속 시간, 그리고 12음 음계를 기반으로 한 음높이를 나타내는 반면, 태블러처는 악기의 작동 방식, 즉 음을 내기 위해 손가락을 어디에, 언제 놓아야 하는지를 직접 보여준다. 예를 들어 기타류트 같은 발현악기의 경우 현과 프렛의 위치를, 목관악기의 경우 어떤 지공을 막고 열어야 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이처럼 연주 방법을 직접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특정 악기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비교적 쉽게 연주법을 익힐 수 있다.

하지만 태블러처는 몇 가지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첫째, 표준 악보에 비해 음악 이론적인 정보를 명시적으로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음높이는 프렛 번호 등을 통해 암시될 뿐이며, 리듬이나 음의 길이를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호나 표준 악보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둘째, 태블러처는 특정 악기의 구조(현의 개수, 프렛 유무, 지공 위치 등)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악기로 편곡하거나 정보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기타 태블러처는 베이스 기타, 밴조, 만돌린, 우쿨렐레 등 유사한 프렛 악기에는 일부 적용될 수 있지만, 피아노바이올린 같은 다른 악기 연주에는 직접 사용하기 힘들다.

참조

[1] 서적 Music in the Western World: A History in Documents, Study Guide.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
[2] 웹사이트 Elton John -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Bass) https://tabs.ultimat[...]
[3] 서적 Ultimate Guitar Chords: First Chords Don Latarski 1999
[4] 서적 Practical Theory for Guitar Don Latarski, Aaron Stang 1993
[5] 간행물 Musica getutscht Sebastian Virdung 1511
[6] 웹사이트 BBC report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2-12
[7] 웹사이트 Fretbase, Can Guitar Tablature Go Legit? https://archive.toda[...] Fretbase.com 2008-08-05
[8] 웹사이트 metaltabs.com http://metaltabs.com[...] metaltabs.com
[9] 웹사이트 NPR report https://www.npr.org/[...] Npr.org 2006-08-07
[10] 웹사이트 harryfox.com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Guitar Tab Universe letter http://www.guitartab[...]
[12] 웹사이트 Guitar Tab Universe MPA allegations http://www.guitartab[...]
[13] 웹사이트 The On-line Guitar Archive http://www.olga.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