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르보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르보사우루스(Torvosaurus)는 "사나운 도마뱀"이라는 뜻의 육식 공룡으로, 1979년 피터 갈턴과 제임스 A. 젠슨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북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몸길이 9~12m, 몸무게 2~5톤에 달하는 대형 수각류이다. 메갈로사우루스과에 속하며, 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등과 같은 시기에 같은 지역에서 서식하며 먹이 경쟁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갈로사우루스과 - 아프로베나토르
    아프로베나토르는 중기 쥐라기에 아프리카에 살았던 메갈로사우루스과의 수각류 공룡으로, 니제르에서 발견된 비교적 완전한 골격 화석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의 사냥꾼"이라는 뜻을 가진 이름과 함께 계통학적 위치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 메갈로사우루스과 - 모놀로포사우루스
    모놀로포사우루스는 쥐라기 중기 우차이완 지층에서 발견된 수각류 공룡 속으로, 콧등 위의 독특한 단일 볏이 특징이며 모식종은 *Monolophosaurus jiangi*이다.
  • 19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마이아사우라
    마이아사우라는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8~9m 길이의 하드로사우루스과 초식 공룡으로, 눈 사이의 짧고 단단한 볏과 무리 생활 및 둥지 군집을 통해 새끼를 키운 흔적이 발견된 "좋은 어머니"라는 의미의 속명이 특징이다.
  • 19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얀두사우루스
    얀두사우루스는 중국 쓰촨성 쯔궁에서 발견된 신조반목류 공룡의 한 속으로, 얀두사우루스 홍헤엔시스라는 모식종으로 명명되었으며, 한때 힙실로포돈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신조반목류 내에서 위치가 불확실하고, 또 다른 종인 얀두사우루스 멀티덴스는 헥신루사우루스속으로 재분류되었다.
  • 쥐라기 후기 유럽의 공룡 - 스테고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초식 공룡으로, 등에 두 줄로 솟은 골판과 꼬리 끝의 골침이 특징이며, 골판 배열과 기능, 꼬리 가시 용도에 대한 논쟁이 있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콜로라도주의 상징 공룡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 쥐라기 후기 유럽의 공룡 - 케라토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북미, 유럽, 아프리카 등지에서 서식했으며 머리 뿔과 몸 중앙선의 골편, 강력한 뒷다리를 가진 이족보행 육식 공룡으로, 다른 대형 수각류와 공존하며 먹이 경쟁을 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르보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고대 생명 박물관에 전시된 토르보사우루스 타네리의 골격 복원 모형
고대 생명 박물관에 전시된 T. tanneri 골격 복원 모형
학명Torvosaurus
명명자피터 갈턴, 제임스 A. 젠슨, 1979
속 종류Torvosaurus tanneri
기타 종T. gurneyi (헨드릭스 & 마테우스, 2014)
과거 분류
과거 분류"케라토사우루스 ingens"? (일부) - 베르너 야네슈, 1920
"메갈로사우루스 ingens"? (일부) - 야네슈, 1920
Edmarka rex - 로버트 배커 외, 1992
"Brontoraptor" - 시그워스 외, 1996 (명명되지 않은 이름)
생물학적 정보
몸길이 (최대)9m (T. tanneri)
몸무게 (최대)2-2.4 톤 (T. tanneri)
몸길이 (추정)10m (T. gurneyi)
몸무게 (추정)4-5 톤 (T. gurneyi)
시대
생존 시기쥐라기 중기 - 후기 (칼로비아절 - 티톤절, 1억 6500만 년 전 - 1억 4800만 년 전)

2. 명명

Torvosaurusla라는 속명은 "사나운"을 의미하는 라틴어 'torvus'와 "도마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sauros'(σαυρος)에서 유래했으며, "사나운 도마뱀"이라는 뜻이다.[58] 1979년 피터 갈턴 및 제임스 젠센에 의해 ''토르보사우루스 타네리''(Torvosaurus tannerila)를 모식종으로 명명되었다.[69] 종명 'tanneri'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대관장회 제1보좌였던 네이선 엘든 타너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8] 2014년에는 포르투갈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두 번째 종인 ''토르보사우루스 거니이''(Torvosaurus gurneyila)가 명명되었다. 종명 'gurneyi'는 고생물학 예술가 제임스 거니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65]

3. 발견

토르보사우루스의 화석은 북아메리카(미국 콜로라도주, 와이오밍주)와 유럽(포르투갈)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1971년, 미국 콜로라도주 델타에서 비비안 존스가 거대한 수각류 엄지 발톱을 발견하여 브리검영 대학교의 고생물학자 제임스 젠슨에게 보여주었다.[69] 비비안의 남편 대니얼 에디 존스는 젠슨을 드라이 메사 채석지로 안내했고, 1972년부터 젠슨과 케네스 슈타트만에 의해 발굴이 이루어졌다.[69] 1979년, 피터 갈턴과 젠슨이 토르보사우루스 속과 모식종 ''T. tanneri''를 명명했다.[69]

1992년 와이오밍주 코모 블러프에서 발견된 대형 수각류 화석은 로버트 배커 등에 의해 '''에드마르카 렉스'''('''''Edmarka rex''''')로 명명되었으나,[61] 현재는 토르보사우루스 타네리의 주니어 시노님으로 간주된다.[75] 같은 장소에서 발견된 유사한 화석에 ''브론토랩터''라는 노멘 누둠이 주어졌으나,[62] 이 역시 일반적으로 ''토르보사우루스 타네리''의 것으로 간주된다.[65]

2000년에는 포르투갈에서 발견된 대형 수각류 화석이 옥타비오 마테우스와 미구엘 텔레스 안투네스에 의해 ''Torvosaurus'' sp.로 분류되었다.[63] 2006년에는 포르투갈 로리냥 층에서 대형 수각류 화석이 발견되어 ''Torvosaurus tanneri''로 분류되었으나,[64] 2012년 매튜 카라노 등은 ''Torvosaurus'' sp. 이상으로 상세하게 분류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75] 2013년에는 포르투갈에서 수각류 알과 배아 화석이 보고되었으며,[83] 2014년에 포르투갈 종은 신종으로 여겨져 제임스 거니에게 헌정하여 ''T. gurneyi''로 명명되었다.[65]

4. 특징

토르보사우루스는 몸길이 9~12m, 몸무게 2~5톤에 달하는 대형 수각류 공룡이었다. 길고 좁은 주둥이를 가졌으며, 큰 콧구멍 바로 위에 혹이 있었다. 전상악골에는 세 개의 다소 평평한 이빨이 있었는데, 이는 약간 바깥쪽으로 향해 있었고, 이빨의 앞쪽 가장자리가 이전 치관의 뒷면 가장자리의 바깥쪽을 겹쳤다. 상악골은 높았으며 11개 이상의 다소 긴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 안와전동공은 비교적 짧았다. 누골은 꼭대기에 독특한 누골 뿔을 가지고 있었고, 하단은 측면에서 넓었다. 눈구멍은 높고 하단이 뾰족했다. 관골은 길고 가로로 얇았다. 사각골의 아래쪽 앞면은 눈물 모양의 우묵한 곳, 즉 사각골과의 접촉면으로 움푹 들어갔다.[10]

목뼈와 앞쪽 등뼈는 상대적으로 유연한 볼-소켓 관절을 가지고 있었다. 척추 중심의 앞면에 있는 볼은 넓은 테두리가 있었는데, Britt는 이것을 더비 모자와 유사하다고 비유했다. 꼬리 기저부는 높고 측면에서 넓은 신경 가시로 수직 평면에서 굳어졌다. 팔 전체는 매우 강했지만 다소 짧았다. 엄지 발톱이 특별히 확대되었는지는 불확실하다. 골반에서 장골은 ''Megalosaurus''와 유사했으며 높고 짧은 앞쪽 날과 더 길고 뾰족한 뒷쪽 날을 가지고 있었다. 골반 전체는 엄청나게 튼튼하게 만들어졌으며, 치골과 좌골 사이의 뼈 스커트는 서로 접촉하여 아치형의 닫힌 밑면을 형성했다.[10]

''T. gurneyi''의 미추


Carrano ''et al.'' (2012)에 따르면, 토르보사우루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38]

  • 매우 얕은 상악골 와의 존재 (뼈 벽을 관통하는 ''상악골 창''이 없음)
  • 융합된 치간판의 존재
  • 뒤쪽 등뼈와 앞쪽 꼬리뼈 중심의 기공 와가 확장되어 확대되고 깊은 구멍을 형성함
  • 치골 좌골판이 매우 골화됨(양쪽의 짝을 이루는 뼈판이 연결되어 골반의 전체 밑면을 막고 있는데, 이는 갈톤과 젠센이 수각류가 육식성 원시용각류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한 다계통임을 보여주는 지표로 여긴 매우 기본적인 특성임)[31]
  • 두드러진 측면 중심선 융기와 측면에서 볼 때 타원형 윤곽을 가진 좌골 몸통의 원위부 확장
  • 목뼈는 앞쪽 볼 주위에 뚜렷한 평평한 가장자리가 있는 후요형임(Rauhut, 2000에 따르면)
  • 횡단 창이 하전방관절 앞쪽의 등뼈 신경궁에 위치함(Rauhut, 2000에 따르면)[39]


토르보사우루스 타네리와 토르보사우루스 거니이는 이빨의 수, 입의 크기와 모양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68][65] ''T. tanneri''의 위턱에는 11개 이상의 이빨이 있는 반면, ''T. gurneyi''의 위턱에는 이보다 적은 이빨이 있다.[1] 그러나 ''T. gurneyi''의 홀로타입과 동일 개체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새로운 오른쪽 상악골을 나중에 검사한 결과, 두 종은 상악골 내측벽과 치간판의 형태에 따라 구별될 수 있지만, 포르투갈 형태에서 상악골의 이빨 수가 더 적다는 것은 보존의 산물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현재 완전한 상악골의 이빨의 정확한 수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30]

5. 분류

토르보사우루스는 1979년 갈튼과 젠센에 의해 메갈로사우루스과로 분류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이 분류가 받아들여지고 있다.[75] 1985년 젠센은 토르보사우루스를 독립된 과인 토르보사우루스과(Torvosauridae)로 분류하기도 했다.[59] 이 분류는 폴 세레노[73]와 마테우스[64]에 의해 지지되기도 했지만, 토르보사우루스는 메갈로사우루스와 가까운 관계이며, 아마도 그 자매군으로 메갈로사우루스아과(Megalosaurinae)에 포함되기 때문에 토르보사우루스과는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졌다.[75]

토르보사우루스는 메갈로사우루스와 가깝지만, 더 진보적이거나 파생적인 것으로 보인다. 과보다 큰 분류군으로는 일반적으로 기저적 테타누라류 분지로 여겨지며, 카르노사우루스류나 코엘루로사우루스류보다 덜 파생적이며, 스피노사우루스과와 가까운 관계로 여겨진다.[75]

1992년 로버트 배커 등은 와이오밍 주 코모 블러프에서 발견된 수각류 화석에 대해 에드마르카 렉스(''Edmarka rex'')라는 신속 신종을 명명했다. 배커 등은 에드마르카의 크기가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와 필적하며, 육식 공룡 크기의 한계치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78]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 표본을 ''토르보사우루스 타네리''(''Torvosaurus tanneri'')의 것으로 간주한다.[65]

와이오밍 주에서 발견된 또 다른 표본에는 1996년에 에드마르카를 기재한 학자들이 "브론토랩터"("Brontoraptor")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을 붙였다. 이 이름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아 1990년대에는 노멘 누덤(이름만 존재) 상태였다.[79] 현재 이 표본은 일반적으로 ''토르보사우루스 타네리''의 것으로 간주된다.[65]

5. 1. 계통도

Carrano영어, Benson & Sampson (2012)에 따른 토르보사우루스의 유연 관계는 다음과 같다.[75]

{| class="wikitable"

|-

! '''메갈로사우루스과'''

|-

|

{| class="wikitable"

|-

! 에우스트렙토스폰딜루스아과

|-

|



|-

|

{| class="wikitable"

|-

! 메갈로사우루스아과

|-

|

{| class="wikitable"

|-

| 두리아베나토르영어

|-

|

메갈로사우루스
토르보사우루스



|}

|}

|-

! 아프로베나토르아과

|-

|

{| class="wikitable"

|-

| 아프로베나토르

|-

|

{{lang
{{lang



|-

|



|}

|}

|}

|}

|}

6. 생태

토르보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와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했다.

모리슨 층에서는 강, 호수, 습지가 있는 환경에서 서식했으며, 다양한 용각류, 조각류, 검룡류, 수각류 공룡들과 공존했다.[47] 유럽 로린하 지층에서는 해안 환경에서 서식했으며, 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등 다른 대형 수각류와 공존했다.[48] 탄자니아의 텐다구루 지층에서도 토르보사우루스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곳은 다양한 용각류와 수각류, 그리고 조반류가 공존했던 곳이다. 또한, 익룡과 악어형류, 양서류 등 다양한 동물들이 함께 서식했다.[49]

지층위치환경주요 공존 공룡
모리슨 층북아메리카강, 호수, 습지아파토사우루스, 디플로도쿠스, 바로사우루스, 수퍼사우루스, 카마라사우루스, 캄프토사우루스, 드라이오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오르니톨레스테스[87]
로린하 지층유럽해안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캄프토사우루스, 로리냐노사우루스, Lusotitan|루소티탄영어, 딘헤이로사우루스, 로리냐사우루스, 다켄트루루스, 미라가이아, 드라코펠타, Draconyx|드라코닉스영어[88]
텐다구루 지층아프리카-오스트랄로도쿠스, 디크라에오사우루스, 지라파티탄, 야넨스키아, 토르니에리아, 왐웨라카우디아, 알로사우루스 텐다구렌시스, 케라토사우루스 로에클링기, 엘라프로사우루스, 라브로사우루스 슈테코비, 오스타프리카사우루스, 베테루프리스티사우루스, 디살로토사우루스, 켄트로사우루스[49]



모리슨 층에서는 녹조류, 균류, 선태류, 속새류, 양치류, 소철류, 은행류, 그리고 몇몇 구과식물 과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동물 화석으로는 이매패류, 달팽이, 조기류, 개구리, 도롱뇽 등의 양서류, 거북, 옛도마뱀, 도마뱀, 육생 및 수생 악어, 여러 종류의 익룡, 다구치류, 대칭치목, 삼구치류 등의 초기 포유류 등이 발견되었다.[87] 로리냐 층은 해양성 지층이기 때문에 상어, 플레시오켈리스과 거북, Teleosauridae|텔레오사우루스과영어의 해양 악어 화석도 발견되었다.[88]

토르보사우루스는 모리슨 층과 로린하층에서 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등 다른 대형 수각류와 공존했으나, 서로 다른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며 경쟁을 피했던 것으로 보인다.[86][87][88] 모리슨 층의 고환경 연구에 따르면, 토르보사우루스는 크고 강력한 두개골과 이빨을 가지고 있어, 매우 큰 용각류 시체를 처리하는 데 특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반면, 알로사우루스는 건조한 충적 평원을 선호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6][87] 로리냐층은 해안 환경이며, 해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토르보사우루스는 이 지역에서 명백한 최상위 포식자였다.[88]

2013년 포르투갈에서 으깨진 공룡 알과 배아 화석(표본 ML1188)이 발견되어 토르보사우루스가 난생이라는 가설이 강력하게 지지되었다. 알이 어미에게 버려졌는지, 토르보사우루스 어미가 알이나 새끼를 돌보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84]

6. 1. 고생물학

''토르보사우루스''의 이빨


''토르보사우루스''의 화석화된 배아 연구는 연구자들에게 시간이 지남에 따른 배아의 변화, 공룡 계통의 서로 다른 발달 경로, 공룡의 생식 행동, 공룡 부모의 보살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40][41][42] 2013년, 아라우조(Araújo) 등은 ''토르보사우루스''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으깨진 공룡 알과 배아 물질 덩어리인 표본 ML1188의 발견을 발표했다.[43] 이 발견은 대형 수각류가 난생이었고, 즉 알을 낳았으며, 따라서 배아 발달이 암컷 공룡의 몸 밖에서 일어났다는 가설을 더욱 뒷받침한다. 이 발견은 2005년 네덜란드 아마추어 화석 사냥꾼 아르트 왈렌(Aart Walen)에 의해 로린하 지층의 서부 포르투갈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쥐라기 티토니아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하천 범람 퇴적물로, 약 1억 5200만 년에서 1억 450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43]

이 발견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고생물학적으로 중요하다.[43]

  • (a) 이것들은 가장 원시적인 공룡 배아이며;
  • (b) 이것들은 유일한 기저 수각류 배아이며;
  • (c) 화석화된 알과 배아가 함께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며;
  • (d) 수각류 공룡의 단층 난각에 대한 최초의 증거이며;
  • (e) 연구자들이 새로운 난각 형태를 특정 수각류 공룡 그룹의 골학에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이 표본은 포르투갈 로린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알이 알려지지 않은 상황으로 인해 버려졌기 때문에, ''토르보사우루스''가 알과 새끼에게 부모의 보살핌을 제공했는지 또는 알을 낳은 직후에 버렸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44] 그러나 난각은 다공성이 매우 높아서 외부와 내부 매체 간의 효율적인 기체 교환을 허용하며, 이는 현대의 바다거북과 유사한 방식으로 알이 기질 내에서 부화를 위해 묻혔음을 나타낸다. 이는 또한 방해받지 않은 매몰 환경과 저에너지 지질 환경에 의해 뒷받침된다.[43]

6. 2. 서식 환경

토르보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와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했다.

모리슨 층에서는 강, 호수, 습지가 있는 환경에서 서식했으며, 다양한 용각류, 조각류, 검룡류, 수각류 공룡들과 공존했다.[47] 유럽 로리냐 층에서는 해안 환경에서 서식했으며, 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등 다른 대형 수각류와 공존했다.[48]

다음은 토르보사우루스가 서식했던 주요 환경과 그곳에서 함께 발견된 공룡들이다.

지층위치환경주요 공존 공룡
모리슨 층북아메리카강, 호수, 습지아파토사우루스, 디플로도쿠스, 바로사우루스, 수퍼사우루스, 카마라사우루스, 캄프토사우루스, 드라이오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오르니톨레스테스[87]
로리냐 층유럽해안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캄프토사우루스, 로리냐노사우루스, Lusotitan|루소티탄영어, 딘헤이로사우루스, 로리냐사우루스, 다켄트루루스, 미라가이아, 드라코펠타, Draconyx|드라코닉스영어[88]



모리슨 층의 식물상으로는 녹조류, 균류, 선태류, 속새류, 양치류, 소철류, 은행류, 그리고 몇몇 구과식물 과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동물의 화석으로는 이매패류, 달팽이, 조기류, 개구리, 도롱뇽 등의 양서류, 거북, 옛도마뱀, 도마뱀, 육생 및 수생 악어, 여러 종류의 익룡, 다구치류, 대칭치목, 삼구치류 등의 초기 포유류 등이 발견되었다.[87] 로리냐 층은 해양성 지층이기 때문에 상어, 플레시오켈리스과 거북, Teleosauridae|텔레오사우루스과영어의 해양 악어 화석도 발견되었다.[88]

6. 3. 다른 대형 육식 공룡과의 공존

''T. tanneri''의 생태 복원도


''T. gurneyi''의 복원 골격과 사람의 크기 비교. 색이 있는 부분이 화석이 발견된 부분


''T. gurneyi''로 추정되는 대퇴골과 경골


토르보사우루스는 모리슨 층과 로리냐층에서 알로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등 다른 대형 수각류와 공존했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다른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며 경쟁을 피했던 것으로 보인다.[86][87][88]

모리슨 층의 고환경 연구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서부에서 분지로 흘러드는 강과 염분, 알칼리성을 띤 호수가 있었고, 광대한 습지가 펼쳐져 있었다. 토르보사우루스는 크고 강력한 두개골과 이빨을 가지고 있어, 매우 큰 용각류 시체를 처리하는 데 특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알로사우루스는 건조한 충적 평원을 선호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6][87]

로리냐층은 킴메리지안에서 티토니안에 걸쳐 형성된 해안 환경이며, 해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토르보사우루스는 이 지역에서 명백한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알로사우루스(''A. europaeus'')나 케라토사우루스와 같은 모리슨층 속의 유럽 유사종도 이 지역에 서식했다. 그 외에도 로린하노사우루스와 같은 수각류, 루소티탄과 같은 대형 용각류, 디플로도쿠스과의 딘헤이로사우루스와 로리냐사우루스, 검룡류다켄트루루스미라가이아, 곡룡류인 드라코펠타, 캄프토사우루스에 근연한 이구아노돈류인 드라코닉스 등 다양한 공룡들이 함께 서식했다. 또한, 해양 환경이었기 때문에 상어, 프레시오켈리스과의 거북, 텔레오사우루스과의 해양 악어 화석도 발견되었다.[88]

탄자니아의 텐다구루 지층에서도 토르보사우루스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곳은 ''오스트랄로도쿠스'', ''디크라에오사우루스'', ''지라파티탄'', ''야넨스키아'', ''토르니에리아'', ''왐웨라카우디아'' 등 다양한 용각류와 ''알로사우루스 텐다구렌시스'', ''케라토사우루스 로에클링기'', ''엘라프로사우루스'', ''라브로사우루스 슈테코비'', ''오스타프리카사우루스'', ''베테루프리스티사우루스'' 등 다양한 수각류, 그리고 ''디살로토사우루스''와 ''켄트로사우루스''와 같은 조반류가 공존했던 곳이다. 또한, 익룡과 악어형류, 양서류 등 다양한 동물들이 함께 서식했다.[49]

7. 대중 매체

디스커버리 채널의 다큐멘터리 《Dinosaur Revolution》에서 알로사우루스의 보금자리를 빼앗고, 어린 수페르사우루스를 사냥하다 어미에게 밟혀 죽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참조

[1] 학술지 "''Torvosaurus gurneyi'' n. sp., the Largest Terrestrial Predator from Europe, and a Proposed Terminology of the Maxilla Anatomy in Nonavian Theropods"
[2] 간행물 "A new specimen of ''Torvosaurus tanneri'' originally collected by [[Elmer Riggs]]" https://www.tandfonl[...]
[3] 학술지 Ueber ''Elaphrosaurus bambergi'' und die Megalosaurier aus den Tendaguru Schichten Deutsch-Ostafrikas
[4] 학술지 A large sized megalosaurid (Theropoda, Tetanurae) from the late Jurassic of Uruguay and Tanzania 2020
[5] 웹사이트 "''Torvosaurus'': The Grizzly Bear of the Jurassic" https://dinosaursand[...] Dinosaurs and Barbarians 2015-08-08
[6] 학술지 Megalosaurid tooth from Uruguay https://data.mendele[...] 2019-09-30
[7] 웹사이트 Tacuarembó Formation https://paleobiodb.o[...]
[8]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Uncompahgre dinosaur fauna: A preliminary report"
[10] 간행물 "[https://geology.byu.edu/0000017c-f2a9-dd9b-a7ff-f2af65580000/geol-stud-vol-37-britt-pdf Theropods of Dry Mesa Quarry (Morrison Formation, Late Jurassic), Colorado, with emphasis on the osteology of ''Torvosaurus tanneri'']"
[11] 간행물 "''Edmarka rex'', a new, gigantic theropod dinosaur from the middle Morrison Formation, Late Jurassic of the Como Bluff outcrop region"
[12] 서적 Encyclopedia of Dinosaurs: the Theropods The Natural History Museum 2019
[13] 간행물 'Paleo Horizons'
[14] 간행물 Giant carnivorous dinosaurs of the family Megalosauridae
[15] 학술지 New data on small theropod dinosaurs from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of Como Bluff, Wyoming, USA https://publisherspa[...]
[16] 웹사이트 Torvosaurus – King of the Real Jurassic World Unearthed https://www.fossiler[...] 2021-03-21
[17] 웹사이트 Museum of Natural History & Science (MNHS) https://www.cincymus[...] 2021-03-21
[18] 간행물 "''Torvosaurus'' sp.(Dinosauria: Theropoda) in the late Jurassic of Portugal. In I Congresso Ibérico de Paleontologia/XVI Jornadas de la Sociedad Española de Paleontología"
[19]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20] 학술지 Two new theropod egg sites from the Late Jurassic Lourinhã Formation, Portugal 2014-03-04
[21] 학술지 The largest European theropod dinosaurs: remains of a gigantic megalosaurid and giant theropod tracks from the Kimmeridgian of Asturias, Spain 2018-07-05
[22] 학술지 The oldest record of the genus ''Torvosaurus'' (Theropoda: Megalosauridae) from the Callovian Ornatenton Formation of north-western Germany https://www.lwl.org/[...]
[23] 학술지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https://www.tandfonl[...] 2012-06
[24] 웹사이트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2012
[25] 간행물 Giant carnivorous dinosaurs of the family Megalosauridae
[26]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Dragons" on the landscape: Modeling the abundance of large carnivorous dinosaurs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USA) and the Upper Cretaceous Dinosaur Park Formation (Canada)'
[28]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9] 학술지 The evolution of femoral morphology in giant non-avian theropod dinosaurs
[30] 학술지 New data on the anatomy of Torvosaurus and other remains of megalosauro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Jurassic of Portugal http://link.springer[...] 2017-03
[31] 간행물 A new large theropod dinosaur from the Upper Jurassic of Colorado https://www.research[...]
[32] 간행물 Carnosauria
[33] 간행물 The inter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basal theropod dinosaurs
[34] 간행물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Tyrannosauridae: implications for theropod systematics"
[35] 간행물 "Early Cretaceous dinosaurs from the Sahara"
[36] 논문 A rationale for phylogenetic definitions, with application to the higher-level taxonomy of Dinosauria 1998
[37] 논문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2012
[38] 논문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2012
[39] 간행물 The inter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basal theropods (Dinosauria, Saurischia) 2000
[40] 간행물 Heterochrony: The key to dinosaur evolution 1997
[41] 논문 Digital preparation of a probable neoceratopsian preserved within an egg, with comments on microstructural anatomy of ornithischian eggshells 2008
[42] 논문 Avian paternal care had dinosaur origin 2008
[43] 논문 Filling the gaps of dinosaur eggshell phylogeny: Late Jurassic Theropod clutch with embryos from Portugal 2013
[44] 웹사이트 A rare find: Abandoned dinosaur nests with eggshells http://www.nbcnews.c[...] 2013-08-05
[45] 논문 A second Jurassic pterosaur from North America 1977
[46] 간행물 Stratigraphy and cataclysmic deposition of the Dry Mesa Dinosaur Quarry, Mesa County, Colorado 1999
[47]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2006
[48] 간행물 LATE JURASSIC DINOSAURS FROM THE MORRISON FORMATION (USA), THE LOURINHÃ AND ALCOBAÇA FORMATIONS (PORTUGAL), AND THE TENDAGURU BEDS (TANZANIA): A COMPARISON 2006
[49] 논문 Palaeoecolog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Tendaguru Beds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Tanzania) https://www.foss-rec[...] 2019-04-02
[50] 논문 Ceratosaurus (Theropoda, Ceratosauria) teeth from the Tacuarembó Formation (Late Jurassic, Uruguay) http://www.sciencedi[...] 2020-11-01
[51] 논문 First report of theropods from the Tacuarembó Formation (Late Jurassic–Early Cretaceous), Uruguay 2003
[52] 논문 The West Gondwanan occurrence of the hybodontid shark Priohybodus, and the Late Jurassic–Early Cretaceous age of the Tacuarembó Formation, Uruguay 2001-11
[53] 서적 Feathered Dragons: Studies on the Transition from Dinosaurs to Bird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54] 논문 A new megalosaurid theropod dinosaur from the late Middle Jurassic (Callovian) of north-western Germany: Implications for theropod evolution and faunal turnover in the Jurassic http://palaeo-electr[...] 2016
[55] 웹사이트 Antediluvian Salad: Allosaurus - More of a Vulture Than a Falcon http://antediluvians[...] 2021-04-24
[56] 논문 Prey bone utilization by predatory dinosaurs in the Late Jurassic of North America, with comments on prey bone use by dinosaurs throughout the Mesozoic http://www.mnhn.ul.p[...] 2000
[57] 논문 High frequencies of theropod bite marks provide evidence for feeding, scavenging, and possible cannibalism in a stressed Late Jurassic ecosystem 2020-05-27
[58]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59] 논문 Uncompahgre dinosaur fauna: A preliminary report 1985
[60] 논문 Theropods of Dry Mesa Quarry (Morrison Formation, Late Jurassic), Colorado, with emphasis on the osteology of Torvosaurus tanneri 1991
[61] 논문 Edmarka rex, a new, gigantic theropod dinosaur from the middle Morrison Formation, Late Jurassic of the Como Bluff outcrop region 1992
[62] 간행물 Paleo Horizons 1995
[63] 간행물 Torvosaurus sp.(Dinosauria: Theropoda) in the late Jurassic of Portugal 2000
[64] 논문 The large theropod fauna of the Lourinha Formation (Portugal) and its similarity to that of the Morrison Formation,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Allosaurus. 2006
[65] 논문 Torvosaurus gurneyi n. sp., the Largest Terrestrial Predator from Europe, and a Proposed Terminology of the Maxilla Anatomy in Nonavian Theropods http://www.plosone.o[...] 2014
[66]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Simon & Schuster 1988
[67] 논문 Giant carnivorous dinosaurs of the family Megalosauridae 1996
[68] 뉴스 Torvosaurus gurneyi: New Giant Dinosaur Discovered in Portugal http://www.sci-news.[...] Sci-News.com 2014-03-06
[69] 논문 A new large theropod dinosaur from the Upper Jurassic of Colorado 1979
[70] 서적 Carnosaur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990
[71] 논문 The inter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basal theropod dinosaurs 2003
[72]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Tyrannosauridae: implications for theropod systematics 1994
[73] 논문 Early Cretaceous dinosaurs from the Sahara 1994
[74] 논문 A rationale for phylogenetic definitions, with application to the higher-level taxonomy of Dinosauria 1998
[75] 논문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2012
[76] 논문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2012
[77] 학위논문 The inter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basal theropods (Dinosauria, Saurischia) Univ. Bristol [U.K.] 2000
[78] 논문 Edmarka rex, a new, gigantic theropod dinosaur from the middle Morrison Formation, Late Jurassic of the Como Bluff Outcrop Region 1992
[79] 논문 Giant carnivorous dinosaurs of the family Megalosauridae 1996
[80] 간행물 Heterochrony: The key to dinosaur evolution Acad. Nat. Sci. Phil. 1997
[81] 논문 Digital preparation of a probable neoceratopsian preserved within an egg, with comments on microstructural anatomy of ornithischian eggshells 2008
[82] 논문 Avian paternal care had dinosaur origin 2008
[83] 논문 Filling the gaps of dinosaur eggshell phylogeny: Late Jurassic Theropod clutch with embryos from Portugal 2013
[84] 웹사이트 Rare find: Abandoned dinosaur nests, eggshells http://www.nbcnews.c[...]
[85] 논문 A second Jurassic pterosaur from North America 1977
[86] 간행물 Stratigraphy and cataclysmic deposition of the Dry Mesa Dinosaur Quarry, Mesa County, Colorado 1999
[87]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2006
[88] 간행물 LATE JURASSIC DINOSAURS FROM THE MORRISON FORMATION (USA), THE LOURINHÃ AND ALCOBAÇA FORMATIONS (PORTUGAL), AND THE TENDAGURU BEDS (TANZANIA): A COMPARISON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