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특성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특성류는 위상 공간 위에 정의되는 중요한 수학적 개념으로, 다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불변량이다. 특성류는 코호몰로지 군의 원소이며, 특성수를 통해 다양한 기하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성류는 슈티펠-휘트니 류, 천 류, 폰트랴긴 류, 오일러 류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실수 벡터 다발, 복소 벡터 다발, 유향 실수 벡터 다발 등에 적용된다. 특성류는 분류 공간을 통해 계산되며, 코보디즘 이론, K이론, 엽층 구조, 인스턴톤 이론 등 다양한 수학 및 물리학 분야에서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성류 - 천-베유 준동형
    천-베유 준동형은 미분기하학에서 리 대수와 다양체의 코호몰로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며, 연결 콤팩트 리 군의 복소화된 리 대수의 불변량 부분 대수에서 매끄러운 다양체의 코호몰로지 환으로의 준동형사상으로, 천싱선과 앙드레 베유에 의해 도입되어 천 특성류와 폰트랴긴 특성류 계산에 활용된다.
  • 특성류 -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는 위상 공간 위의 실수 유한 차원 벡터 다발에 대하여 코호몰로지 환의 원소로 표현되는 특성류이며, 직합의 분해, 당김, 계수, 규격화라는 공리적 조건을 만족시키고, 벡터 다발의 가향성, 스핀 구조, 스핀C 구조 존재에 대한 방해물 역할을 한다.
특성류
특성류
유형
분야대수적 위상수학
관련 항목코호몰로지
파이버 묶음
장애 이론
세부 정보
정의특성류는 주 묶음에 코호몰로지류를 연관시키는 방법이다.
더 구체적으로, G를 위상군이라 하고 X를 위상 공간이라 하자. X 위의 G-주 묶음의 각 동형류에 대해 X의 코호몰로지 환의 원소를 할당한다.
접다발의 특성류M이 매끄러운 다양체이고 TX가 접다발이면 TX의 특성류는 M을 분류 공간 BG로 보내는 분류 사상의 코호몰로지이다.
M이 n차원 다양체이고 TX가 접다발이면, TX의 폰트랴긴 류는 차원이 4i인 코호몰로지류이다.
예시천 류
오일러 류
폰트랴긴 류
스티펠-휘트니 류
관련 정리아티야-싱어 지표 정리
참고7차원 구와 위상 동형이지만 미분 동형이 아닌 미분가능 다양체(예: 밀너의 7차원 구면)는 폰트랴긴 류를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2. 정의

특성류는 주어진 위상 공간 위의 벡터 다발에 대해 코호몰로지류를 대응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함자적 성질을 만족하는, 즉 벡터 다발의 당김 사상과 코호몰로지류의 사상에 대해 호환성을 가지는 대응 관계이다.

좀 더 엄밀하게 설명하면, G위상군이라고 하자. 위상 공간 X에 대해, b_G(X)X 위에 존재하는 G-주다발들의 동형류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b_G는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범주 '''Top'''에서 집합과 함수의 범주 '''Set'''으로 가는 반변함자가 된다. 즉, 사상 f\colon X\to Y는 당김 연산 f^*\colon b_G(Y)\to b_G(X)으로 대응된다.

코호몰로지 H^\bullet 또한 '''Top'''에서 '''Set'''으로 가는 반변함자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는 코호몰로지 환의 구조는 고려하지 않는다.)

특성류 c는 이러한 함자들 사이의 자연 변환 c\colon b_G\implies H^\bullet이다. 다시 말해, 각 주다발 P에 코호몰로지류 c(P)를 대응시키고, 이는 연속함수 f\colon X\to Y에 대해 c(f^*P) = f^*c(P)를 만족시킨다.[3]

특성류는 코호몰로지 이론에서 반변성을 가지는 중요한 개념으로, 1930년대 초 장애 이론의 일부로 나타났다. 이는 호몰로지에 대한 '이중' 이론을 찾는 주요 이유 중 하나였으며, 가우스-보네 정리를 증명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기도 했다.

1950년경, 슈티펠-휘트니류, 천류, 폰트랴긴류와 같은 기본적인 특성류들이 고전적인 선형군과 그들의 극대 토러스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천류는 그라스만 다양체에 대한 슈베르트 미적분과 이탈리아 대수기하학 학파의 연구에 이미 나타난 개념이었다.

이후 K-이론과 코보디즘 이론등장, 다양체의 엽층 구조, 인스턴턴 이론등 에서도 특성류 개념이 확장 및 발견되었다. 의 연구와 천-시몬스 이론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 1. 주다발을 이용한 정의 (한국어,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G영어-주다발의 특성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위상군이라고 할 때, 특성류는 위상 공간 X 위의 주 G-다발 P에 대해 코호몰로지 환 H^*(X)의 원소 c(P)를 대응시키며, 연속 함수 f\colon X \to Y에 대해 다음을 만족시킨다.

:c(f^*P) = f^*c(P)[3]

여기서,

  • f^*Pf에 의한 P의 당김이다.
  • f^*c(P)는 코호몰로지에서 유도된 사상에 의한 c(P)의 이미지이다.


즉, 특성류는 X위의 각 주 G-다발 P\to XH^*(X)의 원소 c(P)를 연관시키는데, 이 대응은 연속사상에 대해 위의 성질을 만족시키는 대응이다.

특성류는 코호몰로지 이론에서 반변성을 가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1930년대 초 장애 이론의 일부로 나타났으며, 호몰로지에 대한 '이중' 이론을 찾는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 또한, 가우스-보네 정리를 증명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1950년경, 슈티펠-휘트니류, 천류, 폰트랴긴류와 같은 기본적인 특성류들이 고전적인 선형군과 그들의 극대 토러스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천류는 그라스만 다양체에 대한 슈베르트 미적분과 이탈리아 대수기하학 학파의 연구에 이미 나타난 개념이었다.

특성류는 주어진 기하학적 이론에서 추가적인 구조를 고려할 때 유용하다. K-이론과 코보디즘 이론이 등장하면서, 특성류의 개념은 더욱 확장되었다. 이후 다양체의 엽층 구조에 대한 특성류가 발견되었고, 인스턴턴 이론에서도 새로운 특성류가 발견되었다. 의 연구와 천-시몬스 이론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 2. 분류 공간을 이용한 정의 (일본어 위키백과)

特性類|특성류일본어는 위상군 $G$의 분류 공간 $BG$의 코호몰로지 환 $H^*(BG)$의 원소와 일대일 대응된다.

함자 $b_G\colon \mathbf{Top}\to \mathbf{Set}^\text{op}$를 위상 공간 $X$를 그 위에 존재하는 $G$-주다발들(의 동형류들)의 집합으로 대응시키는 함자로 정의하면, 이는 반변함자가 된다. 코호몰로지 $H^\bullet$ 또한 함자 $H^\bullet\colon \mathbf{Top}\to \mathbf{Set}^\text{op}$로 생각할 수 있다.

'''특성류''' $c$는 자연변환 $c\colon b_G\implies H^\bullet$이다. 즉, 각 주다발 $P$에 코호몰로지류 $c(P)$를 대응시키고, 이는 연속함수 $f\colon X\to Y$에 대해 $c(f^*P) = f^*c(P)$를 만족시킨다.[3]

$F$를 파이버로 갖는 파이버 번들을 $F$-번들이라고 부르며, 전 공간 $E$, 밑 공간 $X$ 및 사영 $\pi\colon E\to X$로 이루어진 $F$-번들을 $(E,X,\pi)$로 표기한다.

$G$를 위상군으로 하고, $F$를 $G$가 작용하는 위상 공간으로 하며, $A$를 아벨 군으로 하고, $q$를 음이 아닌 정수로 한다. 이때 차수 $q$의 $A$ 계수 특이 코호몰로지 군에서의 $G$에 관한 '''특성류'''란, CW 복합체를 밑 공간으로 하고 구조군 $G$를 갖는 $F$-번들 $\xi=(E,X,\pi)$에 코호몰로지 군 $H^q(X;A)$의 원소를 대응시키는 "대응 관계"

:$c\colon \xi=(E,X,\pi)\mapsto c(\xi)\in H^q(X;A)$

에서, 임의의 CW 복합체 $X$, $Y$, 구조군 $G$를 갖는 $Y$ 위의 임의의 $F$-번들 $\xi=(E,Y,\pi)$, 및 임의의 연속 사상

:$f\colon X\to Y$

에 대해,

:$f^*(c(\xi))=c(f^*(\xi))$

가 성립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F$-번들 $\xi$의 $c$에 의한 상 $c(\xi)$를 $\xi$의 ($c$에 관한) '''특성류'''라고 부른다.[3]

$f^*(c(\xi))=c(f^*(\xi))$에서 좌변의 $f^*$는, $f$가 코호몰로지에 유도하는 사상

:$f^*\colon c(\xi)\in H^q(Y,A)\mapsto f^*(c(\xi))\in H^q(X,A)$

를 의미하며, 우변의 $f^*$는 $X$ 위의 $F$-번들 $\xi=(E,X,\pi)$의 $f$에 의한 당김에 의해 정의되는 $Y$ 위의 $F$-번들을 의미한다.

두 개의 연속 사상

:$f,g\colon X \to Y$

가 호모토피이면, $f, g$에 의한 당김 $f^*(\xi)$, $g^*(\xi)$는 자연스럽게 동형이다.

따라서 특히 임의의 특성류 $c$에 대해,

:$c(f^*(\xi))=c(g^*(\xi))$

가 성립한다. 즉 특성류를 생각할 때는, 밑 공간 사이의 사상은 호모토피 클래스만을 고려하면 된다.

3. 주요 특성류

특성류는 코호몰로지 군의 원소이며,[1]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수를 '''특성수'''라고 한다. 특성수의 예로는 슈티펠-휘트니 수, 천수, 폰트랴긴 수, 오일러 지표 등이 있다.

드람 코호몰로지 관점에서, 특성류는 미분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2] 이들을 쐐기곱으로 곱하여 최고 차원 형식을 만들고, 이를 다양체에 대해 적분하면 특성수를 얻는다. 이는 코호몰로지에서 곱을 취하여 기본류와 짝짓는 것과 유사하다.

특성류는 코호몰로지 이론에서 반변적으로 구성된다. 1930년대 초, 장애 이론의 일부였던 특성류 이론은 호몰로지에 대한 '이중' 이론을 찾는 주요 동기였다. 곡률 불변량에 대한 특성류 접근은 가우스-보네 정리의 일반화를 증명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1950년경, 이 이론이 체계화되면서 슈티펠-휘트니류, 천류, 폰트랴긴류와 같은 주요 특성류들이 고전적 선형군 및 극대 토러스 구조를 반영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안정 호모토피론 관점에서 천 특성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폰트랴긴 특성류는 안정적인 반면, 오일러 특성류는 불안정하다. 안정적 특성류는 자명한 번들을 추가해도 변하지 않지만, 오일러 특성류는 그렇지 않다.

주요 특성류는 다음과 같다:

특성류정의비고
천 특성류복소 벡터 다발정수 계수 코호몰로지천-사이먼스 이론물리학에서도 중요
폰트랴긴 특성류실수 벡터 다발정수 계수 코호몰로지폰트랴긴 수는 코보디즘 분류에 사용
슈티펠-휘트니 특성류실수 벡터 다발Z/2Z 계수 코호몰로지슈티펠-휘트니 수는 코보디즘 분류에 사용
오일러 특성류유향 실수 벡터 다발정수 계수 코호몰로지가우스-보네 정리와 관련
토드 특성류복소 벡터 다발대수기하학에서 중요
디랙 종수스핀 다양체미분위상수학과 이론 물리학에서 중요


3. 1. 천 특성류 (Chern class) (한국어,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천 특성류'''(Chern class)는 복소 벡터 다발에 대해 정의되는 특성류로, 복소 구조가 얼마나 뒤틀려 있는지를 나타낸다. 천성선이 도입하였다.[1]

천 특성류는 분할 원리를 통해 일종의 다항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공간 X 위에 n차원 복소 벡터다발 E가 주어지면, 임의의 코쥘 접속 A를 부여하여 그 곡률

:F=dA+A\wedge A\in\Omega^2(X)\otimes_{\mathbb R}\mathfrak u(n)

를 계산한다. 이는 리 대수 \mathfrak u(n) 값을 갖는 2차 미분형식이다. \mathfrak u(n)n\times n에르미트 행렬로 구성되므로, 이 행렬의 고윳값을 정의할 수 있다.

:iF=g\operatorname{diag}(x_1,x_2,\dots,x_n)g^{-1}

여기서 g는 접속에 따라 달라지는 유니터리 행렬이다. 고윳값 \{x_1,\dots,x_n\}\in\Omega^2(X)들의 코호몰로지 류는 접속에 상관없이 불변인데, 이를 '''천-베유 정리'''라고 한다.

복소 벡터다발의 모든 특성류는 이 \{x_1,\dots,x_n\}들의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분할 원리''') 예를 들어, 천 특성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c(E)=\sum_{i=1}^nc_i(E)=\prod_{i=1}^n(1+x_i)

이 밖에도 오일러 특성류, 토드 특성류 등이 있으며, 실수 벡터 다발의 폰트랴긴 특성류나 디랙 종수는 복소화를 통해 정의할 수 있지만, 슈티펠-휘트니 특성류는 그렇지 않다.

천 특성류는 천-사이먼스 이론과 같이 물리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1. 1. 천 지표 (Chern character) (한국어 위키백과)

분할 원리(splitting principle)를 사용하여, 천 지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operatorname{ch}(E)=\sum_{i=1}^n\exp(x_i)

이는 K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1. 2. 천-베유 정리 (Chern-Weil theory) (한국어 위키백과)

위상군 G가 주어졌을 때, 공간 X 위에 존재하는 n차원 복소 벡터다발 E에 임의의 코쥘 접속 A를 부여하여 그 곡률

:F=dA+A\wedge A\in\Omega^2(X)\otimes_{\mathbb R}\mathfrak u(n)

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리 대수 \mathfrak u(n) 값을 갖는 2차 미분형식이다. \mathfrak u(n)n\times n에르미트 행렬로 구성되므로, 이 행렬의 고윳값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iF=g\operatorname{diag}(x_1,x_2,\dots,x_n)g^{-1}

여기서 g는 접속에 따라 달라지는 유니터리 행렬이다. 고윳값 \{x_1,\dots,x_n\}\in\Omega^2(X)들의 코호몰로지 류는 접속에 상관없이 불변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이를 '''천-베유 정리'''라고 한다.

복소 벡터다발의 모든 특성류는 이 \{x_1,\dots,x_n\}들의 다항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분할 원리''')

3. 1. 3. 분할 원리 (Splitting principle) (한국어 위키백과)

특성류는 분할 원리(splitting principle영어)를 사용하여, 일종의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간 X 위에 n차원 복소 벡터다발 E가 주어지면, 여기에 임의의 코쥘 접속 A를 주어 그 곡률

:F=dA+A\wedge A\in\Omega^2(X)\otimes_{\mathbb R}\mathfrak u(n)

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리 대수 \mathfrak u(n)값을 갖는 2차 미분형식들이다. (\mathfrak u(n)n\times n에르미트 행렬들로 이루어져 있다.) 짝수차 미분형식들은 가환환을 이루므로 행렬을 정의할 수 있다. 이 행렬의 고윳값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iF=g\operatorname{diag}(x_1,x_2,\dots,x_n)g^{-1}

여기서 g는 접속에 따라 달라지는 유니터리 행렬이다. 그러나 고윳값 \{x_1,\dots,x_n\}\in\Omega^2(X)들의 코호몰로지 류들은 접속에 상관없이 불변임을 보일 수 있다 ('''천-베유 정리'''). 복소 벡터다발의 모든 특성류들은 이 \{x_1,\dots,x_n\}들의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분할 원리''').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실수 벡터 다발의 특성류의 경우, 일부는 그 복소화의 특성류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트랴긴 특성류나 디랙 종수(Dirac genus)는 이렇게 정의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슈티펠-휘트니 특성류는 그렇지 않다.

3. 1. 4. 천-사이먼스 이론 (Chern-Simons theory)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의 연구와 관점은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특히, 천-사이먼스 이론은 3차원 다양체에서 정의되는 위상 양자장 이론으로, 천 특성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3. 2. 폰트랴긴 특성류 (Pontryagin class) (한국어,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폰트랴긴 특성류(Pontryagin class)는 실수 벡터 다발에 대해 정의되는 특성류로, 실수 구조와 관련된 불변량을 나타낸다. 실수 벡터 다발의 특성류는 일부 복소화한 특성류로 정의할 수 있는데, 폰트랴긴 특성류가 그 예이다.

특성류는 코호몰로지 군의 원소이다.[1] 폰트랴긴 특성류는 천 특성류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실수 벡터 다발 \xi=(\pi,E,X)의 복소화를 \xi_{\mathbb{C}}라 하면, 임의의 음이 아닌 정수 j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51]

: p_j(\xi)=(-1)^j c_{2j}(\xi_{\mathbb{C}})c_{2j+1}(\xi_{\mathbb{C}})=0 in H^*(X;\Lambda)

여기서 \Lambda는 계수 코호몰로지에 관한 것이고, 천 특성류는 정수 계수의 코호몰로지에 속하지만, '''정수 계수의 경우 c_{2j+1}(\xi_{\mathbb{C}})=0이 성립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2c_{2j+1}(\xi_{\mathbb{C}})=0이라는 것은 말할 수 있다.

폰트랴긴 특성류는 정수 계수 코호몰로지에 속한다. 즉, 임의의 i에 대해,

: H^*(BO(n);\mathbb{Z})\hookrightarrow H^*(BO(n);\Lambda)

의 상에 p_i가 속한다.

n차원 실수 벡터 다발 \xi에 대해, '''폰트랴긴 다항식'''을

: p(\xi,t):=p_0 + p_1t + \cdots p_{\lfloor n/2 \rfloor}t^{\lfloor n/2 \rfloor}

로 정의하고, '''전 폰트랴긴류'''를

: p(\xi):=p(\xi,1)

로 정의한다.

X 위의 실수 벡터 다발 \xi, \eta에 대해, 정수 계수의 코호몰로지에서의 폰트랴긴류는

: 2 p(\xi\oplus \eta) = 2 p(\xi)\smile p(\eta) in H^*(X;\mathbb{Z})

를 만족한다[61] ('''휘트니 합 공식'''). 정수 계수의 코호몰로지를 생각하고 있으므로, 양변에 있는 "2"를 지울 수 없다.

실수 벡터 다발 \xi=(\pi,X,E)에 대해, H^*(X;\mathbb{Z}_2)에서 c_i(\xi_{\mathbb{C}})=w_i(\xi)^2가 성립하므로, 임의의 음이 아닌 정수 i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p_i(\xi)=w_{2i}(\xi)^2 in H^*(X;\mathbb{Z}_2)

3. 2. 1. 폰트랴긴 수 (Pontryagin number) (영어 위키백과)

Pontryagin number영어는 폰트랴긴류로부터 얻어지는 정수 불변량으로, 다양체의 코보디즘 분류에 사용된다.

차원이 ''n''인 기본류 [M] \in H_n(M)를 갖는 지향 가능 다양체 ''M''과 특성류 c_1,\dots,c_k를 갖는 ''G''-번들이 주어지면, 폰트랴긴 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um \mbox{deg}\,c_{i_j} = n을 만족하는 i_1,\dots,i_l에 대하여,

:c_{i_1}\smile c_{i_2}\smile \dots \smile c_{i_l}([M])

여기서 \smile는 코호몰로지류의 컵 곱을 나타낸다.[1]

이는 p_1^2에 해당하는 폰트랴긴 수 P_{1,1}과 같이 다른 표기법으로 표시되기도 한다.

드람 코호몰로지의 관점에서, 폰트랴긴 수를 나타내는 미분 형식을 취하여,[2] 쐐기 곱을 취하여 최고 차원 형식을 얻은 다음 다양체에 대해 적분할 수 있다. 이는 코호몰로지에서 곱을 취하여 기본류와 짝짓는 것과 유사하다.

폰트랴긴 수는 지향 가능 보디즘 문제를 해결한다. 즉, 두 다양체가 지향 가능 코보던트인 것은 그들의 폰트랴긴 수가 같을 때에만 해당한다.

3. 3.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Stiefel-Whitney class) (한국어,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슈티펠-휘트니 특성류(Stiefel-Whitney class)는 실수 벡터 다발에 대해 정의되며, Z/2Z 계수 코호몰로지에서 값을 갖는다.[1] 폰트랴긴 특성류나 디랙 종수와 달리, 일반적으로 복소화의 특성류로 정의할 수 없다.

3. 3. 1. 슈티펠-휘트니 수 (Stiefel-Whitney number) (영어 위키백과)

슈티펠-휘트니류로부터 얻어지는 정수 값의 불변량이다.[1] 코보디즘 분류에 사용된다.

다양체가 \mathbf{Z}/2\mathbf{Z}-지향성을 가지면, 슈티펠-휘트니 수와 같은 \mathbf{Z}/2\mathbf{Z}-값을 갖는 특성수를 얻는다.

특성수는 지향 가능 및 비지향 가능 보디즘 문제를 해결하는데, 두 다양체가 (각각 지향 가능 또는 비지향 가능) 코보던트인 것은 그들의 특성수가 같을 때에만 해당한다.

3. 4. 오일러 특성류 (Euler class) (한국어,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유향 실수 벡터 다발에 대해 정의되는 특성류로, 다발의 단면의 존재성과 관련된 장애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간 X 위에 n차원 복소 벡터다발 E가 주어지면, 여기에 임의의 코쥘 접속 A를 주어 그 곡률

:F=dA+A\wedge A\in\Omega^2(X)\otimes_{\mathbb R}\mathfrak u(n)

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리 대수 \mathfrak u(n)값을 갖는 2차 미분형식들이다. \mathfrak u(n)n\times n에르미트 행렬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행렬의 고윳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iF=g\operatorname{diag}(x_1,x_2,\dots,x_n)g^{-1}

여기서 g는 접속에 따라 달라지는 유니터리 행렬이다. 고윳값 \{x_1,\dots,x_n\}\in\Omega^2(X)들의 코호몰로지 류들은 접속에 상관없이 불변이다 ('''천-베유 정리'''). 복소 벡터다발의 모든 특성류들은 이 \{x_1,\dots,x_n\}들의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분할 원리'''). 오일러 특성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E)=\prod_{i=1}^nx_i

안정 호모토피론 관점에서 보면, 오일러 특성류는 불안정한 특성류이다. 이는 자명한 번들을 추가할 때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특성류와 대조적이다. ''k''차원 번들의 오일러 특성류는 H^k(X)에 존재하며, 이는 H^k(BO(k))에서 당겨지므로, 차원이 달라 H^{k+1}의 특성류로부터 당겨질 수 없다.

3. 4. 1. 오일러 지표 (Euler characteristic) (영어 위키백과)

오일러 지표는 다양체의 위상적 구조를 나타내는 불변량으로, 특성류의 중요한 예시 중 하나이다.[1] 슈티펠-휘트니 수, 천수, 폰트랴긴 수 등도 특성수의 예시이다.

드람 코호몰로지 관점에서 보면, 오일러 지표는 특성류를 나타내는 미분 형식의 쐐기 곱을 통해 얻어지는 최고 차원 형식을 다양체에 대해 적분하여 계산할 수 있다.[2]

3. 4. 2. 가우스-보네 정리 (Gauss-Bonnet theorem) (영어 위키백과)

가우스-보네 정리는 오일러 특성류와 곡률을 연결하는 중요한 정리로, 미분기하학의 고전적인 결과이다. 드람 코호몰로지 관점에서 특성류는 미분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2] 쐐기 곱을 통해 최고 차원 형식을 얻어 다양체에 대해 적분할 수 있다. 이는 코호몰로지에서 곱을 취하여 기본류와 짝짓는 것과 유사하다.

특성류 접근 방식은 일반적인 가우스-보네 정리를 증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 5. 토드 특성류 (Todd class) (한국어 위키백과)

토드 특성류(Todd class)는 복소 벡터 다발에 대해 정의되는 특성류의 일종으로, 대수기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복소 벡터 다발 E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코쥘 접속을 사용하여 곡률 F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곡률 F로부터 고윳값 x_i들을 정의할 수 있고, 이 고윳값들의 코호몰로지 류는 접속에 상관없이 불변한다(천-베유 정리).

토드 특성류는 이 고윳값들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operatorname{Td}(E)=\prod_{i=1}^n\frac{x_i}{1-\exp(-x_i)}[7]

여기서 n은 복소 벡터 다발 E의 차원이다.

3. 6. 디랙 종수 (Dirac genus) (한국어 위키백과)

'''디랙 종수'''(Dirac genus)는 스핀 다양체에 대해 정의되는 특성류이다. Â-종수(A-hat genus)라고도 불리며, 미분위상수학과 이론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특성류의 계산

특성류의 계산은 분류 공간의 코호몰로지 환을 결정하는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분류 공간의 함자는 직적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17]

:B(G \times H) \approx BG \times_k BH \approx_w BG \times BH

여기서 "BG \times BH"는 위상 공간으로서의 직적이며, "BG \times_k BH"는 와 의 위상 공간으로서의 직적에서 유도된 콤팩트 생성 위상을 넣은 위상 공간이다. "\approx"는 자연 호모토피 동치이며, "\approx_w"는 자연스러운 약한 호모토피 동치이다. '''약한 호모토피 동치'''란, 임의의 에 대해 호모토피 군 이 동형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류 공간의 성질은 특성류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벡터 다발의 특성류를 계산하기 위해 일반 선형군, 유니타리 군, 직교군, 회전군 등의 분류 공간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P_{ij}~:~\mathbb{C}^n \to \mathbb{C}^n 를 i번째 성분과 j번째 성분을 바꾸는 행렬이라고 하면, [P_{ij}]\in W 이다. (W는 바일 군을 의미한다.)

4. 1. 분류 공간 (Classifying space) (일본어 위키백과)

주어진 위상군 G에 대해, 모든 주 G-다발은 분류 공간 BG로의 사상의 호모토피류에 의해 분류된다.

이산군에 대해, 의 아이렌버그-매클레인 공간(Eilenberg-Maclane space)K(G,1)과 그 보편 피복 공간\pi~:~P\to K(G,1)은 의 분류 공간, 보편 번들이다.[14] 이러한 의미에서, 분류 공간은 이산군에서의 아이렌버그-매클레인 공간의 개념을 위상군으로 확장한 것이다.

분류 공간의 함자 는 직적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여기서 "BG \times BH"는 위상 공간으로서의 직적이며, "BG \times_k BH"는 와 의 위상 공간으로서의 직적에서 유도된 콤팩트 생성 위상을 넣은 위상 공간이다. "\approx"는 자연 호모토피 동치이며, "\approx_w"는 자연스러운 이다.[17]

여기서 '''약한 호모토피 동치'''란, 임의의 에 대해 호모토피 군 이 동형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4. 1. 1. 일반 선형군의 분류 공간 (일본어 위키백과)

4. 1. 2. 유니터리 군, 직교군, 회전군의 분류 공간 (일본어 위키백과)

일반 선형군의 분류 공간은 유니터리 군, 직교군, 회전군의 분류 공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4. 1. 3. 아이렌버그-매클레인 공간 (Eilenberg-MacLane space) (일본어 위키백과)

アイレンバーグ-マックレーン空間|아이렌버그-매클레인 공간일본어은 이산군의 분류 공간으로 주어진다.[38]

4. 2. 스펙트럼 열 (Spectral sequence) (일본어 위키백과)

분류 공간의 코호몰로지 환을 계산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 보크슈타인 스펙트럼 열(Bockstein spectral sequence)을 사용하면 H^*(BO(n),\mathbb{Z}_2)H^*(BO(n), \Lambda)로부터 H^*(BO(n),\mathbb{Z})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Lambda는 2의 역원을 갖는 임의의 가환환이다.[40]

실수 벡터 번들의 분류 공간의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계수환분류 공간코호몰로지
\mathbb{Z}_2BO(n)\mathbb{Z}_2[w_1,\ldots,w_n]
BSO(n)\mathbb{Z}_2[w_2,\ldots,w_n], w_1=0
2^{-1}\in \Lambda 을 만족하는 \LambdaBO(n)\Lambda[p_1,\ldots,p_{\lfloor n/2\rfloor}]
BSO(n) (n은 홀수)
BSO(n) (n은 짝수)\Lambda[p_1,\ldots,p_{\lfloor n/2\rfloor},\chi]/(\chi^2=p_{\lfloor n/2\rfloor})


4. 3. 바일 군 (Weyl group) (일본어, 영어 위키백과)

ワイル群일본어 Weyl group영어리 군의 극대 원환면의 정규화 부분군을 극대 원환면으로 나눈 군으로, 특성류 계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_{ij}~:~\mathbb{C}^n \to \mathbb{C}^n 를 i번째 성분과 j번째 성분을 바꾸는 행렬이라고 하면, 분명히 [P_{ij}]\in W 이다. 이 사실을 이용하여 다음 사실을 보일 수 있다.

5. 특성류의 응용

특성류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응용된다. 코호몰로지 이론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벡터 다발의 단면과 같은 구조의 존재를 판별하고, 다양체의 엽층 구조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양-밀스 이론에서 인스턴톤 해를 분류하는 데에도 쓰인다.

특성류는 장애 이론에서 주어진 공간 위에 특정한 구조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1930년대 초반의 특성류 이론은 호몰로지에 대한 '이중' 이론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1]

사이먼 던슨과 디터 코치크는 인스턴톤 이론에서 새로운 특성류를 발견했다. 의 연구와 관점 또한 중요성이 입증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천-시몬스 이론을 참조하라.

다양체의 엽층 구조에 대해서도 특성류가 발견되었으며, 호모토피 이론에서 분류 공간 이론을 갖는다.[17]

5. 1. 코보디즘 이론 (Cobordism theory)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코보디즘 이론에서 특성류는 다양체의 코보디즘 분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5. 2. K이론 (K-theory) (영어 위키백과)

특성류는 K이론에서 벡터 다발의 안정 동치류를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5. 3. 엽층 구조 (Foliation)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특성류는 다양체의 엽층 구조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17] 엽층 구조는 호모토피 이론에서 (일부 허용된 특이점을 가진 엽층 구조의 경우 수정된 의미에서) 분류 공간 이론을 갖는다.[17]

5. 4. 인스턴톤 (Instanton) (영어, 일본어 위키백과)

코호몰로지 이론의 일종인 특성류는 양-밀스 이론에서 인스턴톤 해를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사이먼 던슨과 디터 코치크는 인스턴톤 이론에서 새로운 특성류를 발견하였다. 의 연구와 관점 또한 중요성이 입증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천-시몬스 이론을 참조하라.

5. 5. 장애 이론 (Obstruction theory) (영어 위키백과)

Obstruction theory영어에서 특성류는 주어진 공간 위에 특정한 구조(예: 벡터 다발의 단면)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1930년대 초반의 특성류 이론(장애 이론의 일부)은 호몰로지에 대한 '이중' 이론을 찾게 된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51]

6. 역사 (일본어 위키백과)

특성류는 코호몰로지 이론의 중요한 개념이다. 이는 반변적인 구성인데, 단면이 공간 "위에" 존재하는 일종의 함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면의 존재로부터 모순을 이끌어내려면 반변성이 필요하다. 실제로 코호몰로지 이론은 호몰로지와 호모토피 이론 이후에 발전했는데, 이 둘은 모두 공간 "안으로" 사상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공변 이론이다.

1930년대 초, 장애 이론의 일부로 특성류 이론이 등장하면서 호몰로지에 대한 '이중' 이론을 찾게 된 주된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곡률 불변량에 대한 특성류 접근 방식은 일반적인 가우스-보네 정리를 증명하기 위한 이론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1950년경, 이 이론이 체계적인 기반 위에 놓이면서 (정의가 호모토피 이론으로 축소되면서) 당시 알려진 가장 기본적인 특성류 (슈티펠-휘트니류, 천류, 폰트랴긴류)가 고전적인 선형군과 그들의 극대 토러스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게다가, 천류 자체는 그라스만 다양체에 대한 슈베르트 미적분과 이탈리아 대수기하학 학파의 연구에 이미 나타나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반면에, 벡터 다발이 관련될 때마다 클래스 패밀리를 생성하는 프레임워크가 이제 존재하게 되었다.

당시 주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았다. 벡터 다발을 갖는 공간 ''X''가 주어지면, 이는 호모토피 범주에서 ''X''에서 관련 선형군 ''G''에 대한 분류 공간 ''BG''로의 사상을 의미했다. 호모토피 이론의 경우, 관련 정보는 ''G''의 직교군 및 유니타리군과 같은 콤팩트 부분군에 의해 전달된다. 코호몰로지 H^*(BG)가 계산되면, 코호몰로지의 반변성 속성은 다발에 대한 특성류가 동일한 차원에서 H^*(X)에 정의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예를 들어, 천류는 실제로 각 짝수 차원에 등급 성분을 갖는 하나의 클래스이다.

이는 여전히 고전적인 설명이지만, 주어진 기하학적 이론에서는 추가적인 구조를 고려하는 것이 유익하다. 1955년부터 K-이론과 코보디즘 이론이 등장하면서 코호몰로지가 '특이'해졌을 때, 특성류가 무엇인지 말하기 위해 모든 곳에서 문자 ''H''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었다.

특성류는 나중에 다양체의 엽층 구조에 대해 발견되었으며, 호모토피 이론에서 (일부 허용된 특이점을 가진 엽층 구조의 경우 수정된 의미에서) 분류 공간 이론을 갖는다.

수학과 물리학의 ''화해'' 이후의 후기 연구에서, 새로운 특성류는 도널드슨과 디터 코치크에 의해 인스턴턴 이론에서 발견되었다. 의 연구와 관점 또한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천-시몬스 이론을 참조하라.

7. 한국의 관점 및 추가 정보

한국 수학계는 미분기하학, 대수적 위상수학, 수리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성류 연구에 꾸준히 기여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4차원 다양체, 엽층 구조, 매듭 이론과 관련된 특성류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과학기술 발전을 중요한 정책 목표로 삼고, 수학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조한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특성류와 같이 추상적이고 기초적인 수학 분야 연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웹사이트 Chern class https://encyclopedia[...] 2021-06-04
[37] 문서 森田 p.237
[38] 문서 Bruner p.33, Behrens p.1
[39] 문서 Walton p.6
[40] 문서 p≠2에 대한 ℤp 나, 유리수체 ℚ 등
[41] 문서 O(1)n는 O(n)의 극대토러스가 아니므로, 챤류의 때와 달리, Σ는 와일 군이 아니다.
[42] 문서 May p.197
[43] 문서 Cohen p.107
[44] 문서 Cohen p.95
[45] 문서 Selick pp.50-51
[46] 문서 Milnor pp.37-38
[47] 문서 챤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리적으로는 모든 스티펠 호이토니류뿐만 아니라, 스티펠 호이토니 다항식을 정의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스티펠 호이토니 다항식을 정의하고있는 문헌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했다.
[48] 문서 Milnor pp.39-40
[49] 문서 Bruner p.47
[50] 문서 Bruner p.45
[51] 문서 Bruner pp.57-61
[52] 문서 May p.200
[53] 문서 Milnor pp.179-180
[54] 문서 일반적으로 H*(BT,ℤ)W⊗ ℤp와 H*(BT,ℤp)W는 같지 않고, 전자가 후자에 포함되는 것 밖에 말할 수 없다.
[55] 문서 Borel p. 411
[56] 문서 Dieck p.297
[57] 문서 Milnor p.73-83
[58] 문서 Conrad pp.1-4
[59] 문서 Borel p.413
[60] 문서 여기서 첨자의 '!'는 보통 예상되는 것과 반대 방향의 사상임을 나타낸다.
[61] 문서 Milnor p.175
[62] 문서 Milnor pp.176-177
[63] 문서 Bruner p.57
[64] 문서 Bruner p.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