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신도는 성직자가 아닌 기독교 신자를 의미하며, 헬라어 '라오스'(λαός, 백성)에서 유래했다. 기독교에서는 종교개혁 이후 만인제사장설에 따라 평신도의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가톨릭, 성공회, 개신교,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평신도의 역할과 사역에 대한 정의가 존재한다. 불교에서는 재가 신자를 남자는 '우바새', 여자는 '우바이'라고 부르며,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지키는 수행을 한다. 한국의 기독교는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며 평신도 지도자들이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했으며, 민주화 운동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성직자
성직자는 종교 의식을 집행하고 가르침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각 종교마다 명칭, 역할, 자격 요건이 다르며, 역사적으로 종교적·정치적 권위를 가지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건강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사제
사제는 신과 신도 사이를 중재하고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종교 지도자로, 다양한 종교에서 예배 집전, 공동체 지도, 종교 건물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복장을 갖는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평신도 | |
---|---|
개요 | |
![]() | |
구분 | 기독교인 |
관련 용어 | 성직자, 수도자 |
기독교에서의 평신도 | |
역할 | 교회 운영 및 봉사 재정적 지원 지역 사회 봉사 복음 전파 |
중요성 | 교회의 근간을 이루며, 교회의 성장과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 수행 |
역사 | |
초기 기독교 | 평신도와 성직자의 구분 약함 모든 신자가 동등하게 참여 |
중세 시대 | 성직자의 권위 강화 평신도의 역할 축소 |
종교 개혁 | 만인제사장설 주장 평신도의 역할 재강조 |
현대 | 평신도의 역할 더욱 확대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가톨릭교회 평신도사도직협의회 교회법 기독교 기독교 윤리 성직자 수도자 신학 예배 |
2. 어원
평신도를 뜻하는 영어 단어 'laity'는 '백성'을 의미하는 헬라어 '라오스(λαός)'에서 유래했다.[7][8] 'laity'는 '평범한 사람들'을 의미하며, '대중의'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λαϊκός|laikosel에서 유래했다. λαϊκός|laikosel는 '대중'을 의미하는 λαός|laosel에서 나온 말이다. '평신도의'(lay, lay person 등에 포함)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앵글로-프랑스어 ''lai''를 거쳐 고대 라틴어 ''laicus''에서 유래했다.[2]
3. 기독교
많은 기독교 교파들, 특히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부제, 사제, 또는 주교로 서품받지 않은 사람은 평신도 남자 또는 평신도 여자로 불린다.[10][9] 서품받지 않은 전도사 또는 독서원도 평신도로 간주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는 평신도 사도직에 관한 교령 《사도적 활동》(Apostolicam actuositatem)[10]과 교의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11] 제4장에서 가톨릭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보다 좁은 의미에서 평신도에 대해 논했다. 교회법(Code of Canon Law)은 평신도의 일반적인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평신도에 관해 다음과 같은 좁은 의미를 제시했다.
이 좁은 의미에서 공의회는 평신도의 특징적인 성격이 세속성임을 가르쳤다. 즉, 그들은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삶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이다. 그들의 역할은 창조된 세상을 거룩하게 하여 그 구조와 체계가 더 그리스도교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평신도는 자신의 소명에 따라 시간적인 일에 참여하고 하느님의 계획에 따라 이를 질서 정연하게 함으로써 하느님 나라를 추구합니다."[12] 평신도는 교회의 온전한 구성원이며, "사람들과 하느님의 내적 일치"[13]라는 교회의 목적, 즉 성화에 온전히 참여하며, 단순한 위계의 대리인이 아닌 자유와 개인적인 책임을 가지고 행동한다. 세례를 통해 그들은 하느님의 가족인 교회의 구성원이며, 세상 "안에서" 그리고 "세상을 통해" 하느님과의 친밀한 일치 안에서 성장한다. 수도승이나 수녀들처럼 세상을 떠나 스스로를 성화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이 육신이 되어, 즉 물질이 되어 오심으로써 성화된 물질 세계를 통해 하느님께 이른다. 의사, 주부, 농부, 은행원, 운전사 등이 그리스도 정신으로 세상에서 일을 함으로써 이미 하느님 나라를 확장하고 있다. 교황과 평신도 가톨릭 지도자들의 반복적인 진술에 따르면, 평신도는 성인들이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신다"고 말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우리가 교회다"라고 말해야 한다.[14]
평신도의 참여는 본당 생활, 단체, 평신도 사도직들, 세속 수도회, 평신도 교회 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사제 부족이 있는 경우 평신도는 평신도 교회 사목을 통해 이전에 사제가 수행했던 일부 기능을 맡기도 한다.
3. 1. 가톨릭 교회
로마 가톨릭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회에 관한 교의헌장>(1964),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1963), <평신도 사도직에 관한 교령>(1965) 등을 통해 평신도의 사도직을 강조하였다. 이 문헌들은 평신도가 그리스도의 사제직, 예언자직, 왕직에 참여하여 그리스도의 백성으로서 사명을 완수할 책임이 있으며, 평신도를 통해 교회가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했다.[71] 그러나 이는 사명의 책임과 범위에 관한 문제이지, 직제의 동일함이나 평등에 관한 것은 아니었다. 로마 가톨릭은 현재도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가장 명확한 교회 중 하나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평신도를 성품을 받은 사람들과 교회에서 특별히 승인된 수도 생활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모든 신자로 정의하며, 이들은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와 한 몸이 되고 하느님 백성 안에 설립된다고 가르친다.[12] 또한 평신도의 특징적인 성격은 세속성으로, 그들은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삶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이며, 창조된 세상을 거룩하게 하여 그 구조와 체계가 더 그리스도교적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12] 평신도는 교회의 온전한 구성원으로서, "사람들과 하느님의 내적 일치"[13]라는 교회의 목적, 즉 성화에 온전히 참여하며, 단순한 위계의 대리인이 아닌 자유와 개인적인 책임을 가지고 행동한다.
평신도의 참여는 본당 생활, 단체, 평신도 사도직들, 세속 수도회, 평신도 교회 운동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며, 사제 부족이 있는 경우 평신도 교회 사목을 통해 이전에 사제가 수행했던 일부 기능을 맡기도 한다.
1977년 발표된 "시카고 기독교적 관심 선언"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평신도의 "특별한 소명"을 강조했지만, 이러한 비전이 교회에서 "거의 사라졌다"고 평가했다.[15] 프란치스코 교황은 "과도한 성직자 중심주의"를 비판하며, 평신도의 책임을 촉진하고 "교회 내에서 여성의 더욱 두드러진 존재를 위한 더 넓은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교회의 구조적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19]
3. 1. 1. 가톨릭 교회의 평신도 신학 관련 자료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는 평신도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공의회는 여러 문헌을 통해 평신도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했다.
- 주요 저서
저자 | 저서 제목 | 주요 내용 |
---|---|---|
이브 콩가르 | 교회 안의 평신도: 평신도 신학 연구 (1957) | 평신도 신학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제공하며, 평신도의 역할과 소명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장 다니엘루 | 성덕과 시간적 행위 (1955) | 평신도가 세속적인 활동을 통해 어떻게 성덕을 추구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
3. 2. 개신교
종교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는 만인제사장설을 주장하며, 모든 기독교인이 성직자와 동등하게 하나님 앞에서 제사장 직분을 수행하며, 일상생활에서 기독교 윤리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70]대부분의 개신교 교단에서는 전문적인 종교 교육을 받은 성직자와 평신도의 역할을 구분한다. 일부 진보적인 교단에서는 평신도가 설교에 참여하기도 하지만, 이는 제한적인 경우이다. 한국기독교장로회 향린교회에서는 평신도가 예배에서 설교를 할 수 있다.
3. 2. 1. 성공회
성공회에서는 감사성찬례, 성사에 참여하고 세상에서 복음을 전할 의무가 있다. 교회법에 따라 주교에게 인가받은 평신도는 설교를 하거나 보혈조력(성만찬 때 그리스도의 보혈을 뜻하는 포도주를 나누는 것)을 할 수 있다.[30] 앵글리칸 전통에서는 세례받은 모든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섬길 것이 기대된다. 따라서 사역의 직분은 평신도, 허가받은 평신도 사역자 (또는 독서인), 부제, 사제, 주교이다.[30]평신도의 사역은 "그리스도와 그의 교회를 대표하고, 그들이 있는 곳 어디에서든 그에게 증언하며, 주어진 은사에 따라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화해 사역을 수행하고, 교회의 삶, 예배 및 통치에 참여하는 것"이다.[31] 따라서 평신도 사역 대부분은 가정, 직장, 학교 등 공식 교회 구조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평신도는 "정치적, 경제적, 교육적 및 친족 제도에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이러한 제도의 성격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32]
평신도는 교회 구조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통치 기구와 미국 성공회의 총회에는 각 교구에서 평신도 4명이 부의원회에 포함되며, 각 교구 회의에는 교구에서 평신도 대표가 포함된다.[33] 지역 교구 수준에서는 평신도가 교회 재정을 관리하고 교구 사제를 선출하는 교회 의회인 재무회(vestry)에 선출된다. 영국 성공회에서는 이러한 통치 기구가 지역 교구 교회 의회에서 대목구 시노드와 교구 시노드를 거쳐 최상위 수준의 총회 (General Synod)에는 평신도원이 포함된다.
교구 음악가, 회계 담당자, 행정 보조원, 성당 관리인, 성구 관리인 등은 평신도가 담당하는 일반적인 역할이다. 상위 수준에서 교구 및 국가 사무소는 많은 중요한 책임 영역에서 평신도에게 의존한다. 캠퍼스 사역자, 청소년 사역자, 병원 사제와 같은 전문화된 사역은 종종 평신도가 수행한다.
평신도는 성구 관리인, 보좌, 독서인, 중보기도자, 안내원을 포함하여 여러 중요한 직책에서 예배에 참여한다. 보좌에는 횃불 운반자, 십자가 운반자, 향로 운반자, 배 운반자가 포함된다. 독서인은 그날 예정된 성경 본문을 읽고(복음서는 부제가 읽음) 백성의 기도를 인도할 수도 있다.
일부 특수한 평신도 사역은 주교의 특별한 허가가 필요하다. 허가가 필요한 사역은 주교구마다 다르다. 미국 성공회에서는 허가가 필요한 6가지 특수한 평신도 사역이 있는데, 목회 지도자, 예배 지도자, 설교자, 성찬 집행자, 성찬 방문자, 교리 교사이다.[34]
3. 3. 정교회
정교회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사역자로 임명되었다고 가르친다.[22] 이는 성경(베드로전서 2:9[25])과 교부들의 가르침에 근거한다. "평신도 사역(lay ministries)"이라는 용어는 성직자를 포함한 모든 "하느님의 백성"(그리스어 ''laos tou Theou'')을 의미한다.[23] 따라서 모든 그리스도인은 사역에 대한 소명을 받았으며, 소수만이 교회 사역에 부름을 받고, 대다수는 가정, 공동체, 직장 등 "일상적인 세속 세계"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하느님과 이웃을 섬기도록 부름 받았다.[24]평신도의 사역은 "어떤 상황에 처하든" 일상생활에서 사제의 사역을 보완한다. 가장 중요한 "평신도 사역"은 익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사람의 능력에 따라 "조경, 목수 일, 글쓰기, 상담, 육아, 스포츠, 음악, 교육 또는 단순히 좋은 경청자" 등 다양하다.[26]
"하느님의 백성"으로서 평신도는 예배, 교회 행정, 그리고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사역)의 세 가지 영역에서 성직자와 협력한다.[27][28]
교회가 세상에서 평신도의 사역에 대해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교회 내의 사역에 더 많은 인정을 하는 경향이 있다. 직장, 가정, 그리고 여가 활동에서 평신도의 "일상적인 사역"은 감춰져 있으며, 사제들은 평신도의 일상적인 사역을 지원하려고 할 수 있지만, 우선순위는 교회 프로그램에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경향이 있다.[29]
3. 4. 직장에서의 신앙 (Faith at Work)
현대 사회에서 평신도는 직장과 일상생활에서 신앙을 실천하는 '직장에서의 신앙 (Faith at Work)'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데이비드 W. 밀러는 저서 ''God at Work''에서 이 운동을 세 시대로 구분했다.[46]- 사회복음 시대 (약 1890년대—1945년): 성직자들이 성경적 원리를 적용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했던 시기.
- 평신도 사역 시대 (약 1946년—1985년): 평신도의 일상적인 직업을 통한 신앙 실천을 강조했던 시기.
- 신앙이 일터에서 실현되는 시대 (약 1985년—현재): 기업인, 신학자, 평신도 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여 직업과 신앙의 연결을 추구하는 시기.
1977년 12월, "시카고 기독교적 관심 선언"이 발표되면서 전국 평신도 센터(NCL)의 기본 규약으로 기능했다.[15] NCL은 평신도 가톨릭 신자들이 일상 활동과 책임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라는 부름에 응답하도록 돕고 있으며,[16] 매달 온라인 뉴스레터인 "세계의 그리스도인들을 지지하는 이니셔티브"를 발행한다.[17] 이러한 움직임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평신도 소명에 대한 가르침, 즉 "일상적인 직업"에 대한 가르침을 전파한다.[59]
직장에서의 신앙 이니셔티브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일의 신학 프로젝트(The Theology of Work Project): "직장의 그리스도인"에게 성경과 기독교 신앙이 일상적인 직업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가르치는 자료를 제작하는 독립적인 국제 기구.[58]
- 평신도를 위한 전국 센터(National Center for the Laity, NCL):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평신도 소명에 대한 가르침을 전파.[59]
- C12 그룹(C12 Group): 전직 CEO들이 이끄는 매달 종일 회의를 통해 CEO/소유주를 위한 기독교 원칙을 접목한 교육 제공.[60]
- 덴버 신앙과 직업 연구소(Denver Institute for Faith & Work): 남녀가 일상적인 직업을 통해 하나님, 이웃, 사회에 봉사하도록 훈련하는 지역 비영리 기구.[61]
- 프린스턴 대학교 신앙과 직업 이니셔티브(The Princeton University Faith & Work Initiative): 직장에서의 윤리와 소명에 관한 자료 개발.[62]
- 산업 기독교 연합(Industrial Christian Fellowship): 연구와 출판을 통해 "회원 및 다른 사람들이 직장에서 신앙을 실천하도록" 지원.[63]
- 기독교 경영자 협회(Christian Association of Business Executives, CABE): "모든 교회 배경과 모든 유형의 사업체에서 온 기독교 기업인들이 매일 신앙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할 때 이들을 알리고, 고무시키고, 영향을 미치기 위해 존재."[64]
3. 4. 1. 직장 내 선교
일부 직장 내 신앙 운동은 직장 일 자체가 아닌 직장을 '선교지'로 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비즈니스 선교'(Business as Missions) 개념에서 직장 내 신앙은 '시장에서 그리스도께로 사람들을 이끄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전문 선교사들이 접근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65][66] 예를 들어, 멤버 미션(Member Mission)은 "세례 받은 사람들이 자신을 세상 속의 선교사로, 일상생활의 모든 곳에서 선교사로 여기도록 가르칩니다".[67]4. 불교
불교에서 재가 불자는 남성의 경우 '''우바새''', 여성의 경우 '''우바이'''라고 불린다. 불교 재가 신자는 삼보, 즉 부처(佛), 법(法, 부처의 가르침), 승가(僧, 부처의 고귀한 제자들의 공동체)에 귀의하고, 윤리적 행실을 위한 수행으로 오계(혹은 우포사타 날에는 팔계)를 받아들인다.[43][44] 재가 남성과 재가 여성은 "사부대중"의 두 부류이다. 부처는 자신의 제자들을 '비구'(bhikkhū, 남성 승려), '비구니'(bhikkhunī, 여성 승려), '우바새'(upasakā, 재가 남성), '우바이'(upasikā, 재가 여성)의 모임인 "사부대중"이라고 불렀다. 마하파린니바나경에서 부처는 "사부대중이 법(Dhamma)의 학습과 수행에 정통하고, 그의 숭고한 가르침을 전파하는 데 능숙해질 때까지 열반에 들지 않겠다"라고 말했다.[45]
참조
[1]
웹사이트
Laity
http://www.newadvent[...]
2020-10-13
[2]
웹사이트
lay person — definition of lay person by the Free Online Dictionary, Thesaurus and Encyclopedia
http://www.thefreedi[...]
Thefreedictionary.com
2014-06-24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LAYPERSON
https://www.merriam-[...]
2020-09-30
[4]
뉴스
A Layman's Guide to the President's Jobs Speech: Caroline Baum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1-09-08
[5]
서적
Theological Terms in Layman Language
https://books.google[...]
Martin Murphy
2013-02
[6]
웹사이트
How do Mormon congregations work?
https://news-nz.chur[...]
2022-10-16
[7]
웹사이트
laity - Dictionary Definition
https://www.vocabula[...]
2020-09-30
[8]
웹사이트
Laity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0-09-30
[9]
웹사이트
Don S. Armentrout and Robert Boak Slocum, editors, "An Episcopal Dictionary of the Church, A User Friendly Reference for Episcopalians" (Church Publishing Incorporated, 2000), s.v. "Lay Order" Online at
http://library.episc[...]
[10]
웹사이트
Apostolicam actuositatem
https://www.vatican.[...]
2015-06-25
[11]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canon 207
https://www.vatican.[...]
2020-03-12
[12]
웹사이트
Lumen gentium, 31
https://www.vatican.[...]
2014-09-06
[13]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775
https://www.vatican.[...]
2020-03-08
[14]
웹사이트
You are being redirected...
http://blessedsacram[...]
2014-05-04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1-08
[16]
웹사이트
Catholic Review - Archdiocese of Baltimore
http://www.catholicr[...]
[17]
웹사이트
Initiatives: In Support of Christians in the World
http://www.catholicl[...]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1-08
[19]
웹사이트
Pope: "A missionary and pastoral conversion" for a Church open to changing its structures
http://www.asianews.[...]
2013-11-26
[20]
서적
Go Forth: Toward a Community of Missionary Disciples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2019-06-26
[21]
서적
Pope Francis and the Future of Catholicism: Evangelii Gaudium and the Papal Agend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4-24
[22]
웹사이트
Accessed January 4, 2015.
http://oca.org/resou[...]
[23]
웹사이트
Parish Ministry Resources - Ministry of People
http://oca.org/resou[...]
2015-01-05
[24]
웹사이트
Parish Ministry Resources - Finding One's Vocation in Life
http://oca.org/resou[...]
2015-01-05
[25]
웹사이트
1 Peter 2:9 but you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that you may declare the praises of him who called you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http://biblehub.com/[...]
[26]
웹사이트
Parish Ministry Resources - An Orthodox Vision of Lay Ministries
http://oca.org/resou[...]
2015-01-05
[27]
웹사이트
Parish Ministry Resources - Lay Ministry - A Shared Responsibility
http://oca.org/resou[...]
2015-01-05
[28]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ministry
https://www.dictiona[...]
2018-10-27
[29]
웹사이트
Parish Ministry Resources - Ministry of Laity in Daily Life
http://oca.org/resou[...]
2015-01-05
[30]
웹사이트
'The Book of Common Prayer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piscopal Church, 1979 edition', 855. Online at episcopalchurch.org
http://www.episcopal[...]
2015-01-02
[31]
웹사이트
The Book of Common Prayer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piscopal Church, 1979 edition, 855. Online at episcopalchurch.org
http://www.episcopal[...]
2015-02-18
[32]
서적
The Religious Factor: A Sociological Study of Religion's Impact on Politics, Economics, and Family Life
Anchor Books
1963
[33]
웹사이트
Governance Documents of the Church - The Archives of the Episcopal Church
http://www.episcopal[...]
2015-01-02
[34]
간행물
Constitution & Canons Together with the Rules of Order for the Government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6
[35]
웹사이트
Roots (1736–1816) – The United Methodist Church
http://www.umc.org/w[...]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5-01-01
[36]
웹사이트
"Lay Servant Ministry," Part VI, Ch 1, Sec XI, ¶¶ 266-271 of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2''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2012). Online at cokesbury.com
http://www.cokesbury[...]
2015-01-01
[37]
웹사이트
"The Ministry of All Christians," Part IV, Sec II, ¶ 127, "The Ministry of the Laity," 95 of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2''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2012). Online at cokesbury.com
http://www.cokesbury[...]
2022-02-07
[38]
웹사이트
Certified Lay Minister
http://www.unyumc.or[...]
2015-01-01
[39]
웹사이트
Methodist e-Academy - Training
http://www.methodist[...]
2015-01-01
[40]
웹사이트
Local Preachers and Readers: Sharing Two Ministries
http://www.anglican-[...]
Anglican Methodist Covenant
2008-04-00
[41]
웹사이트
"The Ministry of All Christians," Part IV, Sec II, ¶ 127, "The Ministry of the Laity," 95 of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2''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2012). Online at cokesbury.com
http://www.cokesbury[...]
2015-01-01
[42]
문서
Constitutional Practice and Discipline of the Methodist Church, Book III: Standing Orders, section 68: Worship Leaders
[43]
웹사이트
7. The Five Precepts
https://web.archive.[...]
[44]
웹사이트
Five Precepts Dictionary | Global Oneness
http://www.experienc[...]
2013-12-15
[45]
웹사이트
Maha-parinibbana Sutta: Last Days of the Buddha
https://www.accessto[...]
2020-06-17
[46]
서적
God at Work: The History and Promise of the Faith at Work Movement
Oxford, 2006
[47]
서적
The Social Gospel: Religion and Reform in Changing America
Temple University, 1976
[48]
웹사이트
WorldViewEyes -> strauss-docs
http://www.worldview[...]
2015-01-18
[49]
웹사이트
Religious Revival: The "Social Gospel" [ushistory.org]
http://www.ushistory[...]
2015-01-18
[50]
서적
The Social Gospel and The Christian Cultus
Harper & Brothers, 1933
[51]
웹사이트
Boundless. "The Social Gospel." ''Boundless U.S. History''
https://www.boundles[...]
2015-01-18
[52]
웹사이트
Lewis Howard Grimes
http://www.talbot.ed[...]
2015-01-18
[53]
서적
The Rebirth of the Laity
Abingdon, 1962
[54]
간행물
Vocation and Vision: a New Look at the Ministry of the Laity
1988
[55]
서적
God at Work: The History and Promise of the Faith at Work Mov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6
[56]
웹사이트
God at Work: The History and Promise of the Faith at Work Movement
https://www.amazon.c[...]
2017-09-02
[57]
서적
Church on Sunday, Work on Monday
Jossey-Bass, 2001
[58]
웹사이트
About - Theology of Work
http://www.theologyo[...]
2015-01-18
[5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1-18
[60]
웹사이트
Home - C12 Group
http://www.c12group.[...]
2015-01-18
[61]
웹사이트
Home - Denver Institute for Faith & Work
https://denverinstit[...]
2021-05-29
[62]
웹사이트
www.princeton.edu/faithandwork/
http://www.princeton[...]
2015-01-17
[63]
웹사이트
www.icf-online.org
http://www.icf-onlin[...]
2015-12-16
[64]
웹사이트
Home - Christian Association of Business Executives
http://www.cabe-onli[...]
2015-12-16
[65]
웹사이트
Business professionals advance God's kingdom -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https://web.archive.[...]
2015-01-18
[66]
웹사이트
Businessmen view marketplace as mission field -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http://swbts.edu/cam[...]
2015-01-18
[67]
웹사이트
About Member Mission
http://www.membermis[...]
2015-12-17
[68]
웹사이트
平信徒
http://ejje.weblio.j[...]
[69]
성경
이사야서
[70]
서적
생활신앙으로 살아가기
대한기독교서회
[71]
웹인용
가톨릭대사전
http://info.catholic[...]
2010-07-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