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어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어권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거나, 모국어 또는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프랑코포니'라는 용어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 정부, 기구 등을 의미하며, 프랑코폰 지역, 프랑코스피어 등과 함께 언어적, 문화적 실체를 나타낸다. 프랑코포니는 오네짐 레클뤼에 의해 1880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프랑스 아카데미의 프랑스어 보급 노력과 제국주의의 영향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국제 프랑코포니 기구(OIF)는 프랑스어 사용 및 문화와 관련된 느슨한 기준을 통해 회원국을 확대하고 있으며,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프랑스, 콩고 민주 공화국, 알제리 순으로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어권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프랑스어권 - 왈리스 푸투나
    왈리스 푸투나는 남태평양의 프랑스 해외 준주로, 왈리스 제도와 푸투나 제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폴리네시아 문화권에 속하고, 전통적인 세 왕국이 존재하며 프랑스 법과 관습법이 함께 적용된다.
프랑스어권
지도 정보
개요
정의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지역들을 포괄하는 개념
언어적 특징프랑스어를 모국어 또는 제2외국어로 사용
프랑스어 문화와 영향을 공유
조직국제 프랑스어권 기구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역사적 배경
프랑스 식민지 제국프랑스의 식민 지배 확산과 함께 프랑스어 보급
문화적 영향력프랑스 문화와 가치의 확산
프랑스어 문학, 예술, 철학 등의 영향
프랑스어권 기구 설립프랑스어 사용국 간의 협력과 연대 강화
지리적 분포
유럽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룩셈부르크
아프리카서아프리카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등)
중앙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 카메룬 등)
북아프리카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등)
북아메리카캐나다 (퀘벡주)
미국 (루이지애나주 일부)
카리브해아이티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
기타 지역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인도양 (레위니옹)
프랑스어 사용자 현황
총 사용자 수약 3억 명 이상 추정
모국어 사용자약 8천만 명
제2외국어 사용자약 2억 명 이상
문화적 측면
문학프랑스어권 문학 (예: 알베르 카뮈,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영화프랑스 영화, 퀘벡 영화 등
음악프랑스 샹송, 아프리카 음악 등
예술다양한 프랑스어권 예술가 및 작품
패션프랑스 패션 산업의 영향
요리프랑스 요리 및 다양한 프랑스어권 요리
경제적 측면
주요 경제 협력프랑스어권 국가 간 경제 협력 및 무역
경제적 영향력프랑스어 사용 지역의 경제 활동 및 영향
정치적 측면
국제 프랑스어권 기구프랑스어권 국가 간 협력 및 연대 강화
정치적 영향력국제 정치 무대에서의 프랑스어권 국가들의 역할
교육
교육 제도프랑스어권 교육 제도 및 프랑스어 교육
교육적 영향력프랑스어권 교육의 영향 및 발전
사회적 측면
다문화 사회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공존하는 프랑스어권 사회
사회적 영향력프랑스어권 사회의 특징과 영향
미래 전망
프랑스어의 위상프랑스어의 국제적 위상 유지 노력
프랑스어권의 발전프랑스어권 공동체 발전 및 미래 전망
관련 링크
국제 프랑스어권 기구국제 프랑스어권 기구 공식 웹사이트
프랑스어권 연구소프랑스어권 대학 기구

2. 용어

'''프랑코포니(Francophonie)'''와 '''프랑코포니(francophonie)''', '''프랑코폰 지역(francophone space)'''은 통사적(syntagmatic)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프랑스어공용어나 제2언어로 사용하는 국가들과 관련이 있다. 이 표현들은 영어 사용자들에게 때때로 오해되거나 잘못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상호 보완적인 의미를 갖는다.

프랑스의 지리학자 오네짐 르클뤼는 1880년 저서 『프랑스, 알제리 및 식민지』에서 프랑스어 사용자를 '프랑코폰(francophone)'이라 하고, 그 언어 공동체를 '프랑코포니(francophonie)'라고 명명했다.[13] 여기서 파생되어 현재는 프랑스어권도 '프랑코포니'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4]

프랑스어는 과거 유럽에서 외교어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영어 다음으로 두 번째 외국어로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널리 배우고 있다. 국제연합과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공용어로도 채택되어 있으며, 전 세계 약 5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2. 1. 명칭

'''프랑코포니(Francophonie)''', '''프랑코포니(francophonie)''', 그리고 '''프랑코폰 지역(francophone space)'''는 통사적(syntagmatic)으로 관련이 있다. 이 표현은 프랑스어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들, 즉 모국어 또는 제2언어로 사용하는 국가들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영어 사용자들에 의해 때때로 오해되거나 잘못 사용된다. 이 표현들은 동의어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상호 보완적인 의미를 갖는다.

  • 소문자 "f"로 시작하는 "francophonie"는 의사소통이나 일상생활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인구를 가리킨다.[3]
  • 대문자 "F"로 시작하는 "Francophonie"는 업무와 교류에서 프랑스어 사용을 공유하는 정부, 정부 및 비정부 기구 또는 관리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3]
  • "프랑코폰 지역(Francophone space)", "프랑코폰 세계(Francophone world)", "프랑코스피어(Francosphere)"는 언어적 또는 지리적 현실뿐만 아니라 문화적 실체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슬라브계(Slavs), 라틴계(Latin), 크레올계(Creole peoples), 북미 프랑스계(American French), 오세아니아계(Oceanian) 등 프랑코폰 문화 중 하나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개인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5]

프랑스의 지리학자인 오네짐 르클뤼(Onésime Reclus)는 저서 『프랑스, 알제리 및 식민지』(France, Algérie et colonies, 1880년)에서 프랑스어 사용자를 "프랑코폰 (francophone)"이라 하고, 그 언어 공동체를 "프랑코포니 (francophonie)"라고 각각 명명했다.[13] 여기서 파생되어 현재는 프랑스어권도 "프랑코포니"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4]

프랑스어는 과거 유럽에서 외교어로 널리 사용된 경험이 있다. 영어 다음으로 두 번째 외국어로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널리 배우고 있으며, 국제연합과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공용어로도 채택되어 있다. 전 세계 약 5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2. 2. 혼용

'''프랑코포니(Francophonie)''', '''프랑코포니(francophonie)''', 그리고 '''프랑코폰 지역(francophone space)'''는 통사적(syntagmatic)으로 관련이 있다. 이 표현은 프랑스어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들, 즉 모국어 또는 제2언어로 사용하는 국가들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영어 사용자들에 의해 때때로 오해되거나 잘못 사용된다. 이 표현들은 동의어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상호 보완적인 의미를 갖는다.

  • 소문자 "f"로 시작하는 "francophonie"는 의사소통이나 일상생활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인구를 가리킨다.[3]
  • 대문자 "F"로 시작하는 "Francophonie"는 업무와 교류에서 프랑스어 사용을 공유하는 정부, 정부 및 비정부 기구 또는 관리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3]
  • "프랑코폰 지역(Francophone space)", "프랑코폰 세계(Francophone world)", "프랑코스피어(Francosphere)"는 언어적 또는 지리적 현실뿐만 아니라 문화적 실체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슬라브계(Slavs), 라틴계(Latin), 크레올계(Creole peoples), 북미 프랑스계(American French), 오세아니아계(Oceanian) 등 프랑코폰 문화 중 하나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개인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5]

3. 기원

오네짐 레클뤼(Onésime Reclus)는 1880년에 프랑코포니(francophonie)라는 용어를 고안했고,[6] 이후 지리학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했다.[6]

1635년에 설립된 프랑스 아카데미(Académie Française)는 프랑스어의 규칙과 발전을 공식적으로 결정하고 통일하는 역할을 맡은 프랑스 기관으로, 프랑스어의 홍보와 발전에 기여했다.[7]

프랑스의 지리학자인 오네짐 레클뤼는 저서 『프랑스, 알제리 및 식민지』(France, Algérie et colonies, 1880년)에서 프랑스어 사용자를 "프랑코폰 (francophone)"이라 하고, 그 언어 공동체를 "프랑코포니 (francophonie)"라고 각각 명명했다.[13] 여기서 파생되어 현재는 프랑스어권도 "프랑코포니"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4]

프랑스어는 과거 유럽에서 외교어로 널리 사용되었고, 영어 다음으로 두 번째 외국어로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널리 배우고 있으며, 국제연합과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공용어로도 채택되어 있다. 전 세계 약 5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4. 역사

오네짐 레클뤼(Onésime Reclus)가 1880년에 프랑코포니라는 용어를 고안했다.[6] 그는 "세네갈, 가봉, 코친차이나, 캄보디아라는 네 개의 큰 나라를 제외시키는데, '프랑코폰'이라는 관점에서 이들의 미래는 세네갈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라고 언급했다.[6] 이 용어는 이후 지리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6]

제3공화국 시대 동안 프랑스어는 점차 중요성을 얻었다.

1635년에 설립된 프랑스 아카데미(Académie Française)는 프랑스어의 규칙과 발전을 공식적으로 결정하고 통일하는 역할을 맡은 프랑스 기관으로, 프랑스어의 홍보와 발전에 기여했다.[7] 프랑스의 지리학자인 오네짐 르클뤼는 저서 『프랑스, 알제리 및 식민지』(1880년)에서 프랑스어 사용자를 "프랑코폰 (francophone)"이라 하고, 그 언어 공동체를 "프랑코포니 (francophonie)"라고 각각 명명했다.[13] 여기서 파생되어 현재는 프랑스어권도 "프랑코포니"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4]

프랑스어는 과거 유럽에서 외교어로 널리 사용된 경험이 있다. 영어 다음으로 두 번째 외국어로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널리 배우고 있으며, 국제연합과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공용어로도 채택되어 있다. 전 세계 약 5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5. 프랑스어 사용 국가 및 지역

제국주의의 영향으로 프랑스어는 상당히 넓은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방언 또한 매우 다양하다. 퀘벡 방언은 그나마 낫지만, 아이티 크레올어나 인도양 제도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 계열 피진 등은 프랑스어의 다양성을 잘 보여준다.[8]

순위국가/지역프랑스어 사용
인구[11]
면적 (km2)면적 (sq mi)
1프랑스66,394,000551695km2약 551693.21km2
2콩고 민주 공화국48,925,0002344858km2약 2344844.44km2
3알제리14,904,0002381741km2약 2381728.28km2
4모로코13,457,000446550km2약 446537.63km2
5카메룬11,491,000475650km2약 475648.95km2
6캐나다11,061,0009984670km2약 9984613.53km2
7코트디부아르9,325,000322462km2약 322459.69km2
8벨기에8,815,00030528km2약 30528.04km2
9마다가스카르7,729,000587041km2약 587038.61km2
10튀니지6,321,000163610km2약 163608.74km2
11스위스5,889,00041291km2약 41291.98km2
12부르키나파소5,404,000274200km2약 274278.38km2
13아이티4,906,00027750km2약 27738.63km2
14세네갈4,640,000196712km2약 196711.21km2
15베냉4,306,000114763km2약 114761.80km2
16기니3,777,000245857km2약 245855.99km2
17말리3,703,0001240192km2약 1240186.33km2
18토고3,554,00056785km2약 56785.21km2
19콩고 공화국3,518,000342000km2약 341876.73km2
20니제르3,363,0001267000km2약 1267015.89km2
21레바논2,540,00010452km2약 10453.14km2
22차드2,249,0001284000km2약 1284109.72km2
23미국
* 루이지애나주
* 뉴잉글랜드
2,179,0009525067km2약 9525014.66km2
24가봉1,519,000267668km2약 267666.17km2
25중앙아프리카 공화국1,435,000622984km2약 622979.69km2
26부룬디1,074,00025680km2약 25679.60km2
27모리셔스926,0002040km2약 2040.90km2
28레위니옹799,0002511km2약 2512.28km2
29르완다793,00026338km2약 26337.46km2
30베트남693,000331340km2약 331335.53km2
31모리타니656,0001030700km2약 1030706.54km2
32룩셈부르크642,0002586km2약 2584.80km2
33지부티508,00023200km2약 23206.18km2
34캄보디아463,000181035km2약 181034.09km2
35과들루프336,0001628km2약 1629.09km2
36마르티니크303,0001128km2약 1129.23km2
37뉴칼레도니아288,00018575km2약 18575.30km2
38프랑스령 폴리네시아278,0004167km2약 4167.27km2
39코모로237,0001861km2약 1862.19km2
40라오스204,000236800km2약 236801.44km2
41프랑스령 기아나195,00084000km2약 84000.67km2
42마요트180,000374km2약 372.96km2
43바누아투100,00012189km2약 12188.42km2
44세이셸53,000457km2약 455.84km2
45모나코39,0002km2약 1.81km2
46생마르탱33,00053km2약 51.80km2
47인도
* 푸두체리
10,000483km2약 481.74km2
48왈리스 푸투나9,000142km2약 142.45km2
49생바르텔레미8,00020km2약 20.72km2
50생피에르 미클롱6,000230km2약 230.51km2
합계246,271,00019103017km2약 19102484.08km2


5. 1. 분류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8]

  •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와 지역
  • 인구 대다수가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와 지역
  • 행정 업무의 공용어로 프랑스어를 사용하거나 프랑스어가 여전히 중요한 문화적 영향력과 위상을 가지고 있는 국가와 지역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국가와 지역은 50개에 달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프랑코포니가 특정 지역이나 주에 한정될 수 있다.[8]

국제프랑코포니기구(OIF) 회원국이라고 해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이 사회에서 프랑스어가 주요 역할(공용어 또는 강력한 프랑스어 문화 유산으로서)을 한다는 의미에서 "프랑코포니"로 자동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OIF가 느슨한 기준을 바탕으로 새로운 회원을 점점 더 많이 받아들이기 때문이다.[9] 따라서 루마니아, 이집트, 아르메니아와 같이 프랑스어와 문화와 거의 또는 전혀 관련이 없는 회원국은 프랑코포니 세계의 일부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10]

순위국가/지역프랑스어 사용
인구[11]
면적 (km2)면적 (sq mi)
1align=left|66,394,000551,695213,011
2align=left|48,925,0002,344,858905,354
3align=left|14,904,0002,381,741919,595
4align=left|13,457,000446,550172,410
5align=left|11,491,000475,650183,650
6align=left|11,061,0009,984,6703,855,100
7align=left|9,325,000322,462124,503
8align="left"|8,815,00030,52811,787
9align=left|7,729,000587,041226,658
10align=left|6,321,000163,61063,170
11align="left" |5,889,00041,29115,943
12align=left|5,404,000274,200105,900
13align=left|4,906,00027,75010,710
14align=left|4,640,000196,71275,951
15align=left|4,306,000114,76344,310
16align=left|3,777,000245,85794,926
17align=left|3,703,0001,240,192478,841
18align=left|3,554,00056,78521,925
19align=left|3,518,000342,000132,000
20align=left|3,363,0001,267,000489,200
21align=left|2,540,00010,4524,036
22align=left|2,249,0001,284,000495,800
23
* 루이지애나주
* 뉴잉글랜드
2,179,0009,525,0673,677,647
24align=left|1,519,000267,668103,347
25align=left|1,435,000622,984240,535
26align=left|1,074,00025,6809,915
27align=left|926,0002,040788
28align=left|799,0002,511970
29align=left|793,00026,33810,169
30align=left|693,000331,340127,930
31align=left|656,0001,030,700397,960
32align=left|642,0002,586998
33align=left|508,00023,2008,960
34align=left|463,000181,03569,898
35align=left|336,0001,628629
36align=left|303,0001,128436
37align=left|288,00018,5757,172
38align=left|278,0004,1671,609
39align=left|237,0001,861719
40align=left|204,000236,80091,430
41align=left|195,00084,00032,433
42align=left|180,000374144
43align=left|100,00012,1894,706
44align=left|53,000457176
45align=left|39,00020.7
46 생마르탱33,0005320
47
* 푸두체리
10,000483186
48align=left|9,00014255
49align=left|8,000208
50align=left|6,00023089
합계246,271,00019,103,0177,375,547



프랑스어제국주의의 영향으로 상당히 넓은 지역에 전파되었기 때문에, 방언 또한 매우 다양하다. 퀘벡 방언은 그나마 낫지만, 아이티 크레올어나 인도양 제국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 계열 피진 등은 프랑스어의 다양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정보 출처: [http://www.ethnologue.com/show_language.asp?code=FRN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FRN영어]

5. 2. 목록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는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 인구 대다수가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 행정 업무의 공용어로 프랑스어를 사용하거나 프랑스어가 여전히 중요한 문화적 영향력과 위상을 가지고 있는 국가 및 지역으로 구분된다.[8] 그러나 국제프랑코포니기구(OIF) 회원국이라고 해서 자동적으로 프랑코포니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OIF는 느슨한 기준을 바탕으로 회원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루마니아, 이집트, 아르메니아처럼 프랑스어 및 문화와 관련이 적은 국가도 회원국에 포함되어 있다.[9][10]

순위국가/지역프랑스어 사용
인구[11]
면적 (km2)면적 (sq mi)
1프랑스66,394,000551695km2약 551693.21km2
2콩고 민주 공화국48,925,0002344858km2약 2344844.44km2
3알제리14,904,0002381741km2약 2381728.28km2
4모로코13,457,000446550km2약 446537.63km2
5카메룬11,491,000475650km2약 475648.95km2
6캐나다11,061,0009984670km2약 9984613.53km2
7코트디부아르9,325,000322462km2약 322459.69km2
8벨기에8,815,00030528km2약 30528.04km2
9마다가스카르7,729,000587041km2약 587038.61km2
10튀니지6,321,000163610km2약 163608.74km2
11스위스5,889,00041291km2약 41291.98km2
12부르키나파소5,404,000274200km2약 274278.38km2
13아이티4,906,00027750km2약 27738.63km2
14세네갈4,640,000196712km2약 196711.21km2
15베냉4,306,000114763km2약 114761.80km2
16기니3,777,000245857km2약 245855.99km2
17말리3,703,0001240192km2약 1240186.33km2
18토고3,554,00056785km2약 56785.21km2
19콩고 공화국3,518,000342000km2약 341876.73km2
20니제르3,363,0001267000km2약 1267015.89km2
21레바논2,540,00010452km2약 10453.14km2
22차드2,249,0001284000km2약 1284109.72km2
23미국
* 루이지애나주
* 뉴잉글랜드
2,179,0009525067km2약 9525014.66km2
24가봉1,519,000267668km2약 267666.17km2
25중앙아프리카 공화국1,435,000622984km2약 622979.69km2
26부룬디1,074,00025680km2약 25679.60km2
27모리셔스926,0002040km2약 2040.90km2
28레위니옹799,0002511km2약 2512.28km2
29르완다793,00026338km2약 26337.46km2
30베트남693,000331340km2약 331335.53km2
31모리타니656,0001030700km2약 1030706.54km2
32룩셈부르크642,0002586km2약 2584.80km2
33지부티508,00023200km2약 23206.18km2
34캄보디아463,000181035km2약 181034.09km2
35과들루프336,0001628km2약 1629.09km2
36마르티니크303,0001128km2약 1129.23km2
37뉴칼레도니아288,00018575km2약 18575.30km2
38프랑스령 폴리네시아278,0004167km2약 4167.27km2
39코모로237,0001861km2약 1862.19km2
40라오스204,000236800km2약 236801.44km2
41프랑스령 기아나195,00084000km2약 84000.67km2
42마요트180,000374km2약 372.96km2
43바누아투100,00012189km2약 12188.42km2
44세이셸53,000457km2약 455.84km2
45모나코39,0002km2약 1.81km2
46생마르탱33,00053km2약 51.80km2
47인도
* 푸두체리
10,000483km2약 481.74km2
48왈리스 푸투나9,000142km2약 142.45km2
49생바르텔레미8,00020km2약 20.72km2
50생피에르 미클롱6,000230km2약 230.51km2
합계246,271,00019103017km2약 19102484.08km2



프랑스어제국주의의 영향으로 넓은 지역에 전파되어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퀘벡 방언 외에도 아이티 크레올어나 인도양 제도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 계열 피진 등은 프랑스어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프랑스어를 공용어 또는 준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은 다음과 같다.

5. 3. 국제 프랑코포니 기구 (OIF) 회원국 관련 주의 사항

국제프랑코포니기구(OIF) 회원국이라 해서 그 국가나 지역이 자동적으로 프랑스어권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9] OIF는 프랑스어 학습, 인권, 민주주의, 국제 협력, 지속 가능한 개발, 문화 및 언어 다양성, 교육 및 훈련 증진 등 느슨한 기준을 바탕으로 회원을 받기 때문이다.[9]

따라서 루마니아, 이집트, 아르메니아와 같이 프랑스어나 프랑스 문화와 거의 관련이 없는 회원국은 프랑스어권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10]

참조

[1] 논문 Placing Louisiana in the Francophone World: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http://geography.uor[...] 2008
[2] 간행물 Qu’est-ce qu’un francophone? (What is a francophone?) https://observatoire[...] Observatoire de la langue française 2015
[3] 웹사이트 Qu'est-ce que la Francophonie ? -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Données et statistiques sur la langue française -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https://web.archive.[...]
[5] 간행물 L'année francophone internationale ACCT 1994
[6] 논문 Aux origines du discours francophone https://www.persee.f[...] 2004
[7] 웹사이트 La Francophonie: The History of the French Language Training School https://www.language[...] 2022-07
[8] 논문 Francophonie https://www.annualre[...] 2013
[9] 뉴스 Franco... quoi? Le Devoir 1999-09-04
[10] 웹사이트 La Francophonie au bord de la cacophonie ? https://www.levif.be[...] 2018-10-09
[11] 간행물 La langue française dans le monde, 2022 https://www.francoph[...]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IF) 2022
[12] 웹사이트 Franco scope https://www.outils-o[...]
[13] 웹사이트 フランコフォニーの成立と展望 http://sjdf.org/pdf/[...] 2003
[14] 웹사이트 フランコフォニー(フランス語圏) http://www.ambafranc[...] 在日フランス大使館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